KR20080083037A - 약물 운반체 - Google Patents

약물 운반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3037A
KR20080083037A KR1020087018699A KR20087018699A KR20080083037A KR 20080083037 A KR20080083037 A KR 20080083037A KR 1020087018699 A KR1020087018699 A KR 1020087018699A KR 20087018699 A KR20087018699 A KR 20087018699A KR 20080083037 A KR20080083037 A KR 20080083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drug carrier
peg
adp
molec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8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 다케오까
유스케 오카무라
잇페이 마에카와
마꼬토 한다
야스오 이케다
Original Assignee
각고호우징 게이오기주크
미쓰비시 타나베 파마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각고호우징 게이오기주크, 미쓰비시 타나베 파마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각고호우징 게이오기주크
Publication of KR20080083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30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706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 A61K31/707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containing purines, e.g. adenosine, aden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4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 A61K47/542Carboxylic acids, e.g. a fatty acid or an amino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4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 A61K47/543Lipids, e.g. triglycerides; Polyamines, e.g. spermine or sperm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 A61K47/6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oxyalkylene oligomer, polymer or dendrimer, e.g. PEG, PPG, PEO or polyglyc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0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colloid or an emulsion
    • A61K47/691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colloid or an emulsion the form being a liposo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4Antihaemorrhagics; Procoagulants; Haemostatic agents; Antifibrinoly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8Plasma substitutes; Perfusion solutions; Dialytics or haemodialytics; Drugs for electrolytic or acid-base disorders, e.g. hypovolemic sh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8Vasodilators for multiple indic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하는 장소까지 약물을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어 운반중인 약물이 원하는 장소 이외의 장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따라서,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낮고), 외부 수단 없이 원하는 장소에서만 약물을 방출하여 약물에 효과를 발휘시키는, 1)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 2) 링커 및 3) 활성화 혈소판, 혈관 손상 부위 및/또는 염증 조직을 인식하는 물질의 결합체인 약물 운반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약물 운반체{DRUG DELIVERY MATERIAL}
본 발명은 1)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 2) 링커 및 3) 활성화 혈소판, 혈관 손상 부위 및/또는 염증 조직을 인식하는 물질의 결합체인 약물 운반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질환의 예방·치료제, 진단약 및 시약으로서 특히, 혈소판 대체제 또는 항혈소판제로서 유용한 약물 운반체에 관한 것이다.
혈소판막 표면에는 각종 당단백질(glycoprotein; GP)이 존재하고 있어 혈소판 기능의 발현에 관여하고 있다. 이러한 혈소판 당단백질로는, GPIb, GPIIb, GPIIIa, GPIIIb, GPIV, GPIX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중, GPIb는 폰 빌레브란트 인자(vW 인자)의 수용체로서 기능하고 있다. GPIb는 α쇄 및 β쇄가 이황화 결합한 분자량 160,000의 헤테로 이량체이다.
최근에는 GPIb, α쇄의 45 kDa의 친수성부의 재조합체(rGPIbα), GPIIb/IIIa 등의 기능성 고분자를 어떠한 미립자의 표면에 결합시킨 혈소판 대체물이 알려져 있다. 이들 중, rGPIbα를 갖는 것은, rGPIbα와 vW 인자의 상호 작용에 기인한 점착 작용을 가짐으로써 혈소판 대체물로서 기능하는 것이 기대되는 한편, GPIIb/IIIa를 갖는 것은, GPIIb/IIIa와 피브리노겐 및/또는 vW 인자의 상호 작용에 기인한 응집 작용을 가짐으로써 혈소판 대체물로서 기능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또한, 이들 기능성 고분자를 결합시키는 미립자로서는, 소포체 등의 지질막, 인간 알부민 또는 그 중합체, 혹은 인간 적혈구 등이 알려져 있고, 특허문헌 1에는 소포체에 rGPIbα를 결합시킨 것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혈소판 상에 기능성 고분자를 가짐으로써 혈소판 대체물로서 기능하는 것은 아니고, 환자 혈액 중에 잔존하는 혈소판의 활성을 보조함으로써 혈액의 응집을 유도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예컨대, 혈소판 상의 GPIIb/IIIa와 상호 작용을 일으킴으로써 혈소판 응집을 유도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 구체적으로는 비특허문헌 1에는, 소포체에 피브리노겐의 GPIIb/IIIa 인식 부위에 포함되는 도데카펩타이드(H12)를 포함하는 펩타이드를 결합시킨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 및 3에는, GPIb나 도데카펩타이드와 소포체 사이에 링커를 삽입한 결합체가 기재되어 있어, 혈관 손상 부위에 집적시킴으로써 생리학적 또는 약리학적으로 유효한 약물의 약물 운반체로서 이들 문헌에 기재한 결합체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비특허문헌 2에는, 아데노신 이인산(ADP)을 담지시킨 소포체가 기재되어 있다. ADP는, 혈소판 응집이나 혈전 형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물질이다. 이 소포체는 레이저 조사에 의해 ADP를 방출하여 혈소판 응집을 일으킨다.
그러나, 전술한 문헌 중 어떤 것도 원하는 장소에서만 자발적으로 약물을 방출하여 약리 효과를 달성하는 약물 운반체를 개시하고 있지 않다. 특허문헌 2 및 3에서는, 이들 문헌에 기재한 결합체를 약물 운반체로서 이용하는 것은 기재되어 있지만, 그 구체적 형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비특허문헌 2에는, ADP 담지 소포체가 기재되어 있지만, 이 소포체는 ADP를 방출하기 위해 레이저 조사라는 외부 수단을 필요로 한다.
특허문헌 1: 일본특개평9-208599호 공보
특허문헌 2: 국제공개 제01/64743호 팜플렛
특허문헌 3: 국제공개 제2004/069862호 팜플렛
비특허문헌 1: T. Nishiya 등, Thromb Haemost, 91, 1158-67(2004)
비특허문헌 2: B. Khoobehi 등, Lasers Surg Med., 12(6), 609-14, 1992
[발명의 개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자들은 원하는 장소까지 약물을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어, 운반 중인 약물이 원하는 장소 이외의 장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따라서,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낮고), 외부 수단 없이 원하는 장소에서만 약물을 방출하여 약물에 효과를 발휘시키는 약물 운반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했다.
[과제 해결 수단]
본 발명자들은 약물을 담지하는 특정 분자 집합체, 링커 및 활성화 혈소판, 혈관 손상 부위 및/또는 염증 조직을 인식하는 물질을 결합시킴으로써, 원하는 세포(예컨대, 활성화 혈소판) 및/또는 생체 조직(예컨대, 혈관 손상 부위, 염증 조직)까지 약물을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고, 이들 원하는 장소에서 세포 및/또는 생체 조직과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가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에 결합한 활성화 혈소판, 혈관 손상 부위 및/또는 염증 조직을 인식하는 물질을 통해 상호 작용하며, 이에 따라,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가 세포 및/또는 생체 조직으로부터 물리적인 자극을 받고, 이로써 약물이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로부터 방출되어 원하는 장소에서만 원하는 효과를 약물에 발휘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1〕1)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 2) 링커 및 3) 활성화 혈소판, 혈관 손상 부위 및/또는 염증 조직을 인식하는 물질의 결합체인 약물 운반체.
〔2〕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가 그 내수상에 약물이 내포되어 있는 지질 이분자막 소포체인 〔1〕에 기재한 약물 운반체.
〔3〕(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링커)-(활성화 혈소판, 혈관 손상 부위 및/또는 염증 조직을 인식하는 물질)로 표시되는 〔1〕또는〔2〕에 기재한 약물 운반체.
〔4〕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와의 결합시에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의 구성 성분의 일부가 되는 양친매성 분자를 링커가 포함하고, 이 양친매성 분자를 통해 링커와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가 결합하고 있는 〔3〕에 기재한 약물 운반체.
〔5〕링커가 소수성 분자를 포함하고, 링커와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가 이 소수성 분자를 통해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에 결합하고 있는 〔3〕에 기재한 약물 운반체.
〔6〕링커가 스페이서 부분을 포함한〔1〕∼〔5〕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약물 운반체.
〔7〕스페이서 부분이 폴리옥시에틸렌인 〔6〕에 기재한 약물 운반체.
〔8〕약물이 혈소판 응집 야기제, 혈소판 응집 억제제, 혈관 수축제, 혈관 확장제 및 항염증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약물 운반체.
〔9〕약물이 아데노신 이인산, 콜라겐, 콜라겐 유래 펩타이드, 콘불륵신(convulxin), 세로토닌, 아스피린, 디피리다몰, 티클로피딘, 실로스타졸 및 베라프로스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약물 운반체.
〔10〕활성화 혈소판, 혈관 손상 부위 및/또는 염증 조직을 인식하는 물질이, 활성화 혈소판에 노출되어 있는 인테그린 또는 셀렉틴, 혈관 손상 부위에 노출되어 있는 콜라겐, 혈관 손상 부위에 노출되어 있는 콜라겐에 결합하고 있는 폰 빌레브란트 인자, 염증 조직에 노출되어 있는 셀렉틴 및/또는 백혈구에 노출되어 있는 셀렉틴 리간드를 인식하고, 활성화 혈소판 및/또는 백혈구의 응집 덩어리에 혼입되는 물질, 및/또는 혈관 손상 부위 및/또는 염증 조직에 집적되는 물질인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약물 운반체.
〔11〕활성화 혈소판, 혈관 손상 부위 및/또는 염증 조직을 인식하는 물질이 H12, GPIbα, GPIa/IIa, GPVI, MAC-1, 피브리노겐, P-셀렉틴 및 PSGL-1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10〕에 기재한 약물 운반체.
〔12〕지질 이분자막 소포체가 수소 첨가 난황 레시틴, 수소 첨가 대두 레시틴,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콜린 또는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인 포스파티딜콜린에 대하여 콜레스테롤을 20∼100%의 몰비로 함유하는 혼합 지질로 구성되고, 링커와 활성화 혈소판, 혈관 손상 부위 및/또는 염증 조직을 인식하는 물질의 결합체가 이 포스파티딜콜린에 대하여 0.001∼20% 포함되어 있는 〔2〕에 기재한 약물 운반체.
〔13〕지질 이분자막 소포체의 입자경이 50∼300 nm이고, 지질 이분자막의 층수가 1∼4장인 〔12〕에 기재한 약물 운반체.
〔14〕1)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 2) 링커 및 3) 활성화 혈소판, 혈관 손상 부위 및/또는 염증 조직을 인식하는 물질의 결합체인 약물 운반체로서, 세포 또는 생체 조직에 도달했을 때에 세포 또는 생체 조직으로부터 물리적인 자극을 받음으로써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로부터 약물이 방출되는 약물 운반체.
〔15〕세포가 활성화 혈소판 또는 백혈구이고, 약물이 혈소판 응집 야기제, 혈소판 응집 억제제, 혈관 수축제, 혈관 확장제 및 항염증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4〕에 기재한 약물 운반체.
〔16〕생체 조직이 혈관 손상 부위 또는 염증 조직이고, 약물이 혈소판 응집 야기제, 혈소판 응집 억제제, 혈관 수축제, 혈관 확장제 및 항염증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4〕에 기재한 약물 운반체.
〔17〕〔1〕∼〔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약물 운반체를 포함하는 진단약.
〔18〕〔1〕∼〔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약물 운반체를 포함하는 시약.
〔19〕〔1〕∼〔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약물 운반체를 포함하는 혈소판 대체제.
〔20〕〔1〕∼〔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약물 운반체를 포함하는 항혈소판제.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약물 운반체는 원하는 세포 및/또는 생체 조직에 도달하기 전에 혈관 속에서 미활성인 혈소판 등과 응집을 일으켜 불필요한 혈전의 생성이나 혈액의 혈관 내 응고 등을 유도하지 않고, 또한, 해당 부위에 도달하면, 레이저 등의 외부 수단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원하는 장소에서만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가 붕괴되어 약물을 방출하기 때문에, 효율적이며 간편하게 약물을 원하는 세포 및/또는 생체 조직까지 운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약물 운반체는 약물의 흡수 효율이 높고 부작용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실시예 1에 기재한 Glu2C18, H12-MAL-PEG-Glu2C18의 합성 반응식이다.
도 2는 수화시 ADP 농도(0, 10, 25, 100 mM)에 대한 지질 10 mg/mL 중에 내포된 ADP 농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H12-PEG(ADP) 소포체(흑) 또는 PEG(ADP) 소포체(백)의 존재하에서의 혈소판으로의 PAC-1의 결합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H12-PEG(ADP) 소포체에 의한 콜라겐 야기 혈소판 응집의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투과도의 변화이다. [콜라겐]: f.c. 0.4 μg/mL, [혈소판]: 2.0×105/μL, [지질]: 0.05 mg/mL. (a) PEG 소포체, (b) H12-PEG 소포체, (c) PEG(ADP) 소포체, (d) H12-PEG(ADP) 소포체, (e) 콜라겐 비존재하의 H12-PEG(ADP) 소포체.
도 5는 꼬리 출혈 시간에 대한 H12-PEG(ADP) 소포체 투여의 지혈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H12-PEG(ADP) 소포체 투여량: 1, 4, 10 mg/kg(지질량 환산). ○: 혈소판 수(N=10). *P<0.05.
도 6은 귀 출혈 시간에 대한 H12-PEG(ADP) 소포체 투여 및 PRP의 지혈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H12-PEG(ADP) 소포체 투여량: 10, 20 mg/kg(지질량 환산). 토끼 혈소판 투여량: 0.4, 2.0, 4.0×109/kg. ○: 혈소판 수(N=5∼6). *P<0.05 vs. 생리 식염수군.
도 7은 꼬리 출혈 시간에 대한 PEG(ADP) 소포체와 H12-PEG(ADP) 소포체의 지혈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소포체 투여량: 10 mg/kg. ○: 혈소판 수(N=6∼10).
도 8은 PEG 소포체 및 H12-PEG 소포체로의 ADP 내포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혈소판 응집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상. 화살표로 나타낸 것이 H12-PEG(ADP) 소포체이다.
도 10은 CF 내포 H12-PEG 소포체에 의한 ADP 야기 혈소판 응집의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투과도의 변화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적의 실시형태]
본 발명은, 1)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 2) 링커 및 3) 활성화 혈소판, 혈관 손상 부위 및/또는 염증 조직을 인식하는 물질(인식 물질이라고 약기하는 경우도 있음)의 결합체인 약물 운반체(본 발명의 약물 운반체라고도 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물 운반체는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링커)-(활성화 혈소판, 혈관 손상 부위 및/또는 염증 조직을 인식하는 물질)로 표시되는 것, 즉 이 순서로 각 구성 요소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란, 약물이 담지되어 있는 분자 집합체로서, 링커 및 인식 물질과 결합할 때 원하는 세포 및/또는 생체 조직(예컨대, 활성화 혈소판, 혈관 손상 부위, 염증 조직)에서는 담지한 약물을 방출하지만, 그 밖의 장소에서는 담지한 약물을 방출하지 않아 약물의 효과를 쉽게 발휘시키지 않는 분자 집합체를 의미한다. 그와 같은 분자 집합체로서는, 생체 적합성을 갖는 의료용 비경구 투여가 가능한 담체를 들 수 있다. 분자 집합체의 바람직한 재료로서는, 소포체, 미셀, 고분자 미셀, 미세구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소포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소포체는, 지질 인공막으로 구성되는 입자이며, 인지질, 글리세로당지질, 콜레스테롤 등으로부터 지질 이분자막으로서 제작된다. 본 발명에서는 인지질 이분자막 소포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지질 이분자막을 구성하는 탄화수소 쇄의 탄소 원자의 수는 12∼18이 바람직하다. 탄화수소 쇄에 1∼3개의 불포화기를 도입하여 막의 강도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탄화수소 쇄의 탄소 원자 수가 지나치게 많아지면 막의 강도가 너무 높아지기 때문에, 약물을 담지시킨 경우에 약물의 방출이 곤란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수소 첨가 난황 레시틴, 수소 첨가 대두 레시틴,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콜린 또는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인 포스파티딜콜린과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바람직하게는 이들로부터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혼합 지질,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소 첨가 난황 레시틴, 수소 첨가 대두 레시틴,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콜린 또는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인 포스파티딜콜린에 대하여 콜레스테롤을 20∼100%의 몰비로 함유하는 혼합 지질로 구성되는 인지질 이분자막 소포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소포체는, 계면활성제 제거법, 수화법, 초음파법, 역상 증류법, 동결 융해법, 에탄올 주입법, 압출법 및 고압 유화법 등, 공지의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소포체 조제의 세부사항은, 일본 특개평9-208599호 공보 및 문헌[T. Nishiya 등, Biochim. Biophys. Res. Commun., 224, 242-245, 1996]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링커 및 인식 물질 도입 후의 소포체의 입자경은, 링커 및 인식 물질의 도입량과 이들의 기능 발현 및 체내 동태의 관점에서 50∼300 nm가 바람직하고, 100∼270 nm가 보다 바람직하며, 150∼250 nm가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입자경이란, 링커 및 인식 물질 도입 후에 필터를 이용하여 입경을 제어한 입자경이다. 입자경이 50 nm보다 작아지면, 약물을 담지시킨 경우에 분자 집합체로부터의 약물의 방출이 곤란해진다.
소포체의 지질 이분자막의 층수는, 이분자막을 1장으로 생각하면, 1∼4장이 바람직하고, 1∼2장이 보다 바람직하다. 층수가 4장보다 많아지면, 약물을 담지시킨 경우에 분자 집합체로부터의 약물의 방출이 곤란해진다.
층수는, 필터의 구멍 직경, 소포체의 분산매(pH, 온도, 이온 강도)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층수의 측정 방법으로서는, 동결할단법, 소각 X선 산란법, 스핀라벨 지질을 이용한 전자 스핀 공명(ESR), 31P-NMR을 이용한 측정 방법, 6-p-톨루이디노-2-나프탈렌술폰산(TNS)을 이용한 측정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로서는, 그 내수상에 약물이 내포되어 있는 지질 이분자막 소포체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링커」란,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와, 활성화 혈소판, 혈관 손상 부위 및/또는 염증 조직을 인식하는 물질을 가교 가능한 것으로서, 생체 적합성이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링커로서는,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 또는 인식 물질과의 결합 부위가 되는 작용기를 갖는 탄소수 2∼10의 포화 혹은 불포화 비환식 탄화수소 또는 지방족 혹은 방향족 환식 탄화수소가 바람직하고, 쇄 또는 환에 헤테로 원자(예컨대, 산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 등)를 포함하더라도 좋다. 또한 2종 이상의 다른 링커를 조합시켜 이용하더라도 좋다. 링커로서는, SH기, OH기, COOH기, NH2기 중 어느 하나와 반응하는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링커로서는, 예컨대 디카르복실산, 아미노카르복실산, 비스말레이미드 화합물, 비스할로카르보닐 화합물, 할로카르보닐말레이미드 화합물, 디티오말레이미드, 디티오카르복실산, 말레이미도카르복실산 등을 원료로서 합성된 것을 들 수 있고, 또한 SH기, OH기, COOH기, NH2기 중 어느 하나와 반응하는 작용기를 갖는 링커로서는, 예컨대 N-(α-말레이미도아세톡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 N-[4-(p-아지드살리실아미도)부틸]-3'-(2'-피리딜디티오)프로피오네이트, N-β-말레이미도프로피온산, N-(β-말레이미도프로피온산)히드라지드, N-(β-말레이미도프로피옥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 N-ε-말레이미도카프론산, N-(ε-말레이미도카프론산)히드라지드, N-(ε-말레이미도카프로일옥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 N-(γ-말레이미도부티릴옥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 N-κ-말레이미도운데칸산, N-(κ-말레이미도운데칸산)히드라지드, 숙신이미딜-4-(N-말레이미도메틸)시클로헥산-1-카르복시-(6-아미도카프로에이트), 숙신이미딜-6-[3-(2-피리딜디티오)-프로피온아미도]헥사네이트, m-말레이미도벤조일-N-히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 4-(4-N-말레이미도페닐)부틸산 히드라지드 등을 원료로서 합성된 링커를 들 수 있다.
상기 링커는,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와 인식 물질 사이에 있어서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와 인식 물질 사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스페이서 부분을 포함하더라도 좋다. 스페이서 부분의 배치 위치는,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링커-스페이서-인식 물질이라도 좋고,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스페이서-링커-인식 물질이라도 좋다. 또한, 동일하거나 상이한 링커 사이에 스페이서 부분을 삽입하더라도 좋다. 즉,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링커-스페이서-링커-인식 물질이라도 좋다. 스페이서는, 생체 적합성이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옥시에틸렌, 폴리펩티드, 다당, 알부민 및 항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알부민이나 항체는 재조합체를 사용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스페이서로서는 특히 폴리옥시에틸렌 또는 그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약물 운반체로서는, 링커가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와의 결합시에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의 구성 성분의 일부가 되는 양친매성 분자를 포함하고, 이 양친매성 분자를 통해 링커 또는 스페이서와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가 결합하고 있는 것과, 링커가 소수성 분자를 포함하고, 링커 또는 스페이서와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가 이 소수성 분자를 통해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에 결합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양친매성 분자나 소수성 분자의 예로서는, 예컨대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Glu2C18이 양친매성 분자로서 특히 바람직하다.
Figure 112008054719783-PCT00001
포스파티딜콜린에 대하여 콜레스테롤을 20∼100%의 몰비로 함유하는 혼합 지질로 구성되는 지질 이분자막 소포체의 경우, 링커와 활성화 혈소판, 혈관 손상 부위 및/또는 염증 조직을 인식하는 물질의 결합체가 이 포스파티딜콜린에 대하여 0.001∼20%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활성화 혈소판, 혈관 손상 부위 및/또는 염증 조직을 인식하는 물질」이란, 활성화 혈소판, 혈관 손상 부위 및/또는 염증 조직을 인식하고, 본 발명의 약물 운반체를 활성화 혈소판, 혈관 손상 부위 및/또는 염증 조직에 지향시키며, 이들 장소에 본 발명의 약물 운반체를 집적시키도록 기능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인식 물질로서는, 활성화 혈소판에 노출되어 있는 인테그린 또는 셀렉틴, 혈관 손상 부위에 노출되어 있는 콜라겐, 혈관 손상 부위에 노출되어 있는 콜라겐에 결합하고 있는 폰 빌레브란트 인자, 염증 조직에 노출되어 있는 셀렉틴 및/또는 백혈구에 노출되어 있는 셀렉틴 리간드를 인식하고, 활성화 혈소판 및/또는 백혈구의 응집 덩어리에 혼입되는 물질, 및/또는 혈관 손상 부위 및/또는 염증 조직에 집적되는 물질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식 물질로서는 H12(HHLGGAKQAGDV, 서열 번호 1), GPIbα, GPIa/IIa(인테그린 α2β1), GPVI, MAC-1, 피브리노겐, P-셀렉틴, PSGL-1 등이 바람직하다.
H12, GPIbα, GPIa/IIa, GPVI, MAC-1, 피브리노겐, P-셀렉틴 및 PSGL-1의 조제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고, 혈소판막으로부터 추출·단리하는 방법, 세포 배양에 의한 방법, 유전자 공학적으로 생산하는 방법 등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인식 물질은,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한, 그 아미노산 서열 중의 1개 또는 복수 개의 아미노산에 결실, 치환, 부가 혹은 수식이라고 하는 임의의 변이를 행한 것이라도 좋고, 예컨대 천연의 인식 물질의 치환체, 유사체, 변이체, 수식체, 유도체, 당쇄 부가물 등도 포함된다.
GPIbα로서는, GPIbα〔His(1)∼Leu(610)〕, 해당 α쇄의 vWF 결합 영역의 단편 등의 GPIbα 단편, 또한 막 관통 부위를 결실한 GPIbα 단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한 것은, 막 관통 부위를 결실한 GPIbα 단편이다.
보다 구체적인 GPIbα쇄 단편으로서, His(1)∼Cys(485), His(1)∼Pro(340), His(1)∼Thr(304), His(1)∼Ala(302), His(1)∼Arg(293)〔일본 특개평1-221394호 공보, EP0317278〕, Ala(165)∼Leu(184), Gln(180)∼Phe(199), His(195)∼Leu(214), Asn(210)∼Val(229), Glu(225)∼Ala(244) 및 Thr(240)∼Tyr(259)〔일본 특개평1-100196호 공보〕, Asn(61)∼Thr(75), Gln(71)∼Ser(85), Thr(81)∼Leu(95), Gln(97)∼Arg(111), Leu(136)∼Leu(150), Asn(210)∼Ala(224), Gln(221)∼Asp(235) 및 Ser(241)∼Asp(255)〔일본 특표평5-503708호 공보, WO91/09614〕등이 예시된다. 또한, 치환체로서, His(1)∼Ala(302)로 이루어지는 GPIbα쇄 단편에 있어서, Gly(233) 또는 Met(239)를 각각 Val로 치환한 것 등이 예시된다〔WO93/16712〕. 이들 GPIbα쇄 단편은 전부 막 관통 부위를 결실하고 있다. 막 관통 부위는, GPIbα쇄에서는 Leu(486)∼Gly(514)가 해당된다(Proc. Natl. Acad. Sci. USA, 84권, 5615∼5619 페이지, 1987년).
본 발명의 약물 운반체는, 세포 또는 생체 조직에 도달했을 때에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가 세포 또는 생체 조직으로부터 물리적인 자극을 받음으로써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로부터 약물이 방출된다. 즉, 약물 운반체를 구성하는 인식 물질이 표적 세포 또는 표적 생체 조직에 본 발명의 약물 운반체를 지향시킨다. 표적 세포 또는 표적 생체 조직에 본 발명의 약물 운반체가 도달하면, 본 발명의 약물 운반체는 링커 및 인식 물질을 통해 표적 세포 또는 표적 생체 조직과 상호 작용하고, 이에 따라 물리적 자극을 받아 담지되어 있던 약물이 분자 집합체로부터 방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식 물질이 표적 세포 또는 표적 생체 조직에 끌어당겨지고, 이들 세포 또는 생체 조직의 형태 변화에 의해 물리적인 부하가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에 걸림으로써,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가 붕괴되고 약물이 방출된다.
여기서, 표적이 세포인 경우에는, 표적은 활성화 혈소판 또는 백혈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약물 운반체는 활성화 혈소판이나 백혈구의 응집 덩어리에 혼입되고, 혈소판이나 백혈구의 형태 변화에 의한 물리적인 자극에 의해 분자 집합체가 붕괴되어 약물을 유리시킨다. 또한, 표적이 생체 조직인 경우에는, 표적은 혈관 손상 부위 또는 염증 조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 상에 결합되는 인식 물질의 분자 수는, 고밀도인 것이 세포 또는 생체 조직과의 결합성의 가능성을 높여 응집 덩어리의 형성이 신속히 진행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 수는 원하는 응집도 및 응집 속도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하게 조정 가능하다.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 링커 및 인식 물질의 결합체의 조제는, 분자 집합체를 조제한 후, 분자 집합체에 링커를 결합시키고, 이어서 인식 물질을 반응시킴으로써 조제하더라도 좋고, 혹은 링커와 인식 물질의 반응 산물을 미리 조제해 두고, 그 후 그 반응 산물을 분자 집합체와 결합시키더라도 좋다.
링커와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가,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의 구성 성분의 일부가 되는 양친매성 분자를 통하거나 소수성 분자를 통해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에 결합하고 있는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 링커 및 인식 물질의 결합체를 조제하는 경우에는, 링커, 인식 물질 및 양친매성 분자 또는 소수성 분자의 반응 산물을 미리 조제해 두고, 그 후 그 반응 산물을 분자 집합체와 결합시키더라도 좋다.
약물은 처음부터 분자 집합체에 담지시켜 두어도 좋고, 분자 집합체, 링커 및 인식 물질의 결합체를 조제한 후, 마지막으로 분자 집합체에 담지시키더라도 좋다. 반응 조건은 분자 집합체의 원료에 따라 자체 공지의 조건을 사용할 수 있다.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와 인식 물질의 혼합비는, 최종적인 결합체에서의 인식 물질의 원하는 밀도에 의해 조절된다.
링커와 지질 이분자막 소포체가, 지질 이분자막의 구성 성분의 일부가 되는 양친매성 분자를 통하거나 소수성 분자를 통해 지질 이분자막 소포체에 결합하고 있는 지질 이분자막 소포체, 링커 및 인식 물질의 결합체를 조제하는 경우에는, 링커, 인식 물질 및 양친매성 분자 또는 소수성 분자를 결합시킨 지질 이분자막의 구성 성분이 될 수 있는 상기 양친매성 분자를, 소포체를 구성하는 지질과 유기 용매 중에서 혼합해 두고, 통상의 방법으로 소포체를 조제함으로써 소포체 표면을 인식 물질로 변형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필요하다면, 상기와 같이 제작된 결합체를 생리적 허용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제균 여과, 분주 등을 행하여, 본 발명의 약물 운반체를 액제, 펠릿 또는 현탁제로 할 수 있다. 제제화는 의약품 제조 분야에서 공지의 방법에 준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액제를 동결시킨 후, 감압 건조하여 동결 건조 제제로 할 수도 있다. 또, 동결 건조하는 경우는, 보호제로서 단당류(예컨대, 포도당 등), 이당류(예컨대, 자당) 등을 배합하더라도 좋다. 제제에는, 알부민, 덱스트란, 비닐 중합체, 젤라틴 및 히드록실에틸전분 등의 고분자를 안정화제로서 배합하더라도 좋다. 안정제의 첨가량은 지질 1 중량부에 대하여 0.5∼1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1∼5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에 담지되는 약물로서는, 활성화 혈소판이나 백혈구 등의 세포나, 혈관 손상 부위나 염증 조직 등의 생체 조직에 있어서, 원하는 생리 활성을 발휘하는 약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혈소판 응집 야기제, 혈소판 응집 억제제, 혈관 수축제, 혈관 확장제 및 항염증제가 바람직하다. 진단약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생리 활성을 갖지 않는 형광 시약이나 조영제 등을 담지시킬수도 있다.
혈소판 응집 야기제로서는, 아데노신 이인산(ADP), 콜라겐, 콜라겐 유래 펩타이드, 콘불륵신, 세로토닌, 에피네프린, 바소프레신, 카르바조크롬, 혈액 응고 인자(FVIII, FIX), 트롬빈, 항플라스민제(예컨대, ε-아미노카프론산, 트라넥삼산), 황산프로타민, 에탄실레이트, 피토나디온, 결합형 에스트로겐(예컨대, 에스트론 황산나트륨, 에퀼린 황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혈소판 응집 억제제로서는, 아스피린, 디피리다몰, 티클로피딘, 실로스타졸, 베라프로스트, 헤파린 등의 무코다당류나, 쿠마린계 항응고약, 히루딘 등의 천연 추출물이나 그 유도체, 트롬보모듈린이나 활성 단백질 C 등의 생리 활성 물질 등을 들 수 있다.
혈관 수축제로서는, 노르아드레날린, 노르에피네프린, 페닐에프린, 메타라미놀, 메톡사민, 프로스타글란딘 F1α, 프로스타글란딘 F2α, 트롬복산 A2 등을 들 수 있다.
혈관 확장제로서는, 프로스타글란딘 E, 프로스타글란딘 I2 등을 들 수 있다.
항염증제로서는,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덱사메타손, 히드로코르티손, 프레드니솔론, 베타메타손, 트리암시놀론, 메틸프레드니솔론 등),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인도메타신, 아세메타신, 플루르비프로펜,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플루페남산, 케토프로펜 등) 등을 들 수 있다.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에 담지되는 약물로서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아데노신 이인산(ADP), 콜라겐, 콜라겐 유래 펩타이드, 콘불륵신, 세로토닌, 아스피린, 디피리다몰, 티클로피딘, 실로스타졸 및 베라프로스트를 들 수 있다.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에 담지시키는 약물의 양은, 담지시키는 약물의 종류나 사용 목적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정의하는 것은 곤란하지만, 예컨대 인지질 이분자막 내에 ADP를 내포시키고 원하는 장소에서 혈소판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약물 운반체를 이용하는 경우, 지질 10 mg/mL 중에 0.1∼25 mM 내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0.5∼10 mM 내포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1∼6 mM 내포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물 운반체를 포함하는 제제의 투여량은, 담지되는 약물의 양이나, 환자의 성별, 연령, 증상 등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되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는 없지만, 예컨대 1일당 0.001∼1000 mg 정도를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물 운반체를 포함하는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되고, 구체적으로는 혈관 내(동맥 내 또는 정맥 내) 주사, 지속 점적, 피하 투여, 국소 투여, 근육 내 투여 등에 의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물 운반체를 포함하는 제제는 혈소판 응집 야기제, 혈소판 응집 억제제, 혈관 수축제, 혈관 확장제 및 항염증제로서 유용하며, 또한 혈소판 대체제, 항혈소판제, 혈관 장애, 혈관 손상 및 혈전증 등의 예방·치료제 등의 의약품, 혹은 혈소판 무력증 등의 혈소판 기능 이상증의 진단약,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인 시약, 혈소판 대체제나 항혈소판제의 스크리닝용 시약, 혈관 손상 부위 및 혈관 형성 부위의 검사용 진단제 또는 치료제 등으로서도 유용하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실시예 중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경우, ADP 또는 CF 내포 농도는 지질 10 mg/mL 중에 ADP 또는 CF를 내포시킨 농도(mM)를 나타낸다.
실시예 1 ADP 내포 소포체
1. Glu2C18 의 합성
글루타민산(2.96 g, 20 mmo1), p-톨루엔술폰산 일수화물(4.56 g, 24 mmo1)을 벤젠 150 mL에 용해하고, Dean-Stark 장치를 이용하여 105℃에서 생성수를 제거하면서 1시간 환류했다. 스테아릴알콜(11.9 mg, 44 mmo1)을 첨가하고, 105℃에서 생성수를 제거하면서 14시간 더 환류했다. 용매를 감압 증류한 후, 잔분을 클로로포 름 150 mL에 용해하고, 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 150 mL로 2회, 물 150 mL로 2회 세정했다. 클로로포름 층을 회수하고 황산나트륨 5 g으로 탈수한 후, 용매를 감압 제거했다. 잔분을 60℃에서 메탄올 400 mL에 용해하여 불용 성분이 있으면 여과하고, 4℃에서 재결정하며, 여과 후 건조하여 백색 분말 Glu2C18(13.3 g, 수율 85%)을 얻었다.
2. H12 - MAL - PEG - Glu2C18 의 합성
클로로포름 5 mL 중에 Glu2C18(115.1 mg, 176 μmo1), 트리에틸아민(TEA)(24.6 μL, 176 μmo1)을 첨가한 후에 α-말레이미딜-ω-N-히드록시숙신이미딜폴리에틸렌글리콜(MAL-PEG-NHS)(Mw=3400)(300 mg, 58.8 μmo1)을 용해하고, 실온에서 12시간 교반했다. 반응 용액을 디에틸에테르 250 mL에 적하하고 불용 성분을 회수했다. 회수물을 벤젠 중에 용해하고 동결 건조한 후, 백색 분말 MAL-PEG-Glu2C18(264.8 mg, 수율 64%)을 얻었다.
MAL-PEG-Glu2C18(n=71)(100 mg, 25.37 μmo1)과 C 말단에 시스테인을 도입한 피브리노겐 γ쇄 C말단 400∼411번째의 아미노산 서열(Cys-H12)(CHHLGGAKQAGDV, 서열 번호 2)(32.8 mg, 25.37 μmo1)을 디메틸포름아미드(DMF) 5 mL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12시간 교반했다. 반응 용액을 디에틸에테르 250 mL에 적하하고 불용 성분을 회수했다. 물 250 mL를 첨가하고 불용 성분을 제거한 후, 동결 건조기로 용매를 제거하여 담황색 분말 H12-MAL-PEG-Glu2C18(62.8 mg, 수율 47%)을 얻었다.
3. 소포체 조제 방법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롤-3-포스파티딜콜린(DPPC)(100 mg, 136 μmo1), 콜레스테롤(52.7 mg, 136 μmo1) 및 1,5-디헥사데실-N-숙시닐-L-글루타메이트(DHSG)(19.0 mg, 13.6 μmo1)의 혼합 지질(본 명세서에서의 지질 농도의 표기에서는, 혼합 지질이라도 단순히 지질이라고 기재하고 있음) 및 PEG-Glu2C18(PEG-DSPE, 일본 유지제, 4.74 mg, 0.817 μmo1) 또는 H12-MAL-PEG-Glu2C18(4.34 mg, 0.817 μmo1)을 벤젠 5 mL에 용해하고, 동결 건조를 3시간 행했다. 건조 후, 아데노신 이인산(ADP) 용액(0, 1, 10, 25 또는 100 mM) 8.5 mL를 첨가하고 12시간 교반한 후 조립 장치를 이용하여 필터(3000 nm→800 nm→650 nm→450 nm→300 nm→220 nm×2)를 통과시켜 입경 제어를 행했다. 초원심분리(33000 rpm, 30분)를 2회 행하고, 인산 완충 생리 식염수(PBS) 5 mL 중에 분산시켜 소포체 분산액을 얻었다. 또한, 소포체 분산액을 겔 여과(Sephadex G25)하여 외수상에 미량으로 잔존하는 ADP를 완전히 제거했다.
상기 순서에 의해 ADP 내포 H12-PEG 소포체(평균 입자경 250±80 nm, 평균 층수 1.6; Glu2C18은 소포체의 구성 성분의 일부로 되어 있음. 이하 동일), ADP 미내포 H12-PEG 소포체(평균 입자경 230±70 nm, 평균 층수 1.8), ADP 내포 PEG 소포체(평균 입자경 240±90 nm, 평균 층수 1.5), ADP 미내포 PEG 소포체(평균 입자경 250±90 nm, 평균 층수 1.8)의 분산액을 얻었다.
회수한 소포체 분산액의 지질 농도의 정량(인지질 C-테스트와코, 와코쥰야쿠고교 제조)을 행한 바, 지질 농도는 18±5 mg/mL였다. 후술하는 동물 실험에서는, PBS를 이용하여 각 소포체 분산액의 지질 농도를 0.25, 1.0, 2.5, 5.0, 10 mg/mL의 농도로 조정하고, 이 분산액을 4 mL/kg으로 투여하여 지질 농도가 1, 4, 10, 20, 40 mg/kg(지질량 환산)이 되도록 했다.
소포체의 층수(평균 층수)는 이하와 같이 산출했다.
ADP 미내포 H12-PEG 소포체의 분산액(0.5 wt%, 0, 20, 30, 50, 70, 90 μL)을 PBS로 희석하여 3 mL로 정용했다. TNS 수용액(70 μM) 또는 순수한 물을 100 μL씩 첨가하고 실온에서 12시간 진동했다. 형광 측정하고(λex=321 nm, λem=445 nm), 지질 농도와 형광 강도의 비례식을 산출하여 기울기 K1으로 했다. 구멍 직경 0.05 μM의 필터를 통과시킨 PEG 소포체의 분산액(0.5 wt%, 0, 20, 30, 50, 70, 90 μL)으로도, 마찬가지로 TNS 수용액(70 μM) 또는 순수한 물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2시간 진동한 후, 기울기 K2를 산출하고 평균 층수 N=K1/K2를 산출했다. ADP 미내포 H12-PEG 소포체, ADP 내포 PEG 소포체, ADP 미내포 PEG 소포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평균 층수를 산출했다.
이하, H12-MAL-PEG-Glu2C18을 이용하여 제작한 ADP 내포 H12-PEG 소포체와 ADP 미내포 H12-PEG 소포체를 각각 H12-PEG(ADP) 소포체, H12-PEG 소포체라고 표기한다. 또한, PEG-Glu2C18을 이용하여 제작한 ADP 내포 PEG 소포체와 ADP 미내포 PEG 소포체를 각각 PEG(ADP) 소포체, PEG 소포체라고 표기한다.
4. HPLC 를 이용한 ADP 내포 농도의 정량
H12-PEG(ADP) 소포체(1 mg/mL)를 2% 라우릴에테르(C12E10)로 가용화하고, HPLC(Abs. 260 nm)로 ADP의 정량을 행했다.
수화시(조제시)의 ADP 농도(0, 10, 25, 100 mM)에 대한 지질 10 mg/mL 중에 내포된 ADP 농도의 관계를 도 2에 나타낸다. 내포된 ADP 농도는 수화시의 ADP 농도에 비례하여, 내포 농도를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입경(250±80 nm)으로부터 산출한 내수상의 ADP 농도는 수화시의 ADP 농도와 거의 동등했다.
5. 유세포 분석기( FACS )에 의한 상호 작용 해석
전혈(1/10(v/v) 3.8% 시트르산나트륨)을 원심 분리하여 (600 rpm, 15분), 혈소판 풍부 혈장(PRP)을 얻었다. 침전 성분을 더 원심 분리하여(2500 rpm, 10분), 혈소판 결핍 혈장(PPP)을 얻었다. PPP로 혈소판 수를 조정한 PRP([혈소판]=1.0×105/μL, 50 μL)에 ADP 내포 농도가 다른 H12-PEG(ADP) 소포체를 첨가하고([지질]= 1 mg/mL, 10 μL) 37℃에서 10분간 교반했다. 혈소판 활성화 표식인 FITC 표식 PAC-1(20 μL)을 첨가한 후, 37℃에서 10분간 진동하고, 포름알데히드(f.c. 1%)로 고정했다. 샘플을 유세포 분석기에 의해 시험했다. 양성 대조군은 ADP 자극시로 하고, 음성 대조군은 PEG 소포체로 했다.
ADP의 내포 농도가 1.5 mM 이하인 PEG(ADP) 소포체 혹은 H12-PEG(ADP) 소포체를 혈소판에 첨가한 계에서는, ADP 미내포 소포체 첨가계와 비교하여 PAC-1 혼입률은 거의 동등하고, 혈소판을 활성화시키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도 3). 한편, 내포 농도가 가장 높은 PEG(ADP) 소포체, H12-PEG(ADP) 소포체(6 mM)를 혈소판에 첨가한 계에서는, 혈소판의 활성화를 야기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6. 혈소판 응집계에 의한 기능 평가
이하의 실험에서는, FACS 측정에 의해 혈소판을 활성화시키지 않는 것이 분 명해진 ADP 내포 농도가 1.5 mM인 PEG(ADP) 소포체, H12-PEG(ADP) 소포체, PEG 소포체 및 H12-PEG 소포체를 이용했다. PPP로 혈소판 수를 조정한 PRP([혈소판]= 2.0×105/μL, 180 μL)에 소포체 분산액(10 μL)을 첨가한 후, 콜라겐(f.c. 0.4 μg/mL, 10 μL)으로 혈소판 응집을 야기시키고 투과도 변화를 계측했다(도 4).
PEG 소포체(a)를 첨가한 바, PBS 첨가계와 비교하여 혈소판 응집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 PEG 소포체(a) 대신에 H12-PEG 소포체(b)를 첨가한 바, 투과도가 증대하여 혈소판 응집 촉진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H12-PEG 소포체가 혈소판과 다점 혼입하여 혈소판 응집을 촉진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PEG(ADP) 소포체(c)에서는 (b)와 비교하여 응집이 항진하고, H12-PEG(ADP) 소포체(d)에서는 (c)의 촉진 효과 이상이었다. 한편, (d)를 존재시킨 것만으로는(즉, 콜라겐 비존재하, (e)) 혈소판의 응집은 야기되지 않은 것도 확인했다. 따라서, 콜라겐에 의해 혈소판의 응집이 야기되고, 즉시 소포체가 물리적으로 그 응집 덩어리에 혼입되어 소포체가 변형되고 ADP가 방출되었다고 생각된다. (d)의 효과는, H12를 담지시킨 것에 의한 다점 결합과 ADP 방출의 상승 효과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콜라겐 첨가로부터 약 1분 후에, 콜라겐 자극에 의한 혈소판 형상 변화에 따른 완만한 투과도의 감소를 볼 수 있다 ((a) 및 (b)). 그러나, ADP 내포계(c) 및 (d)에서는, 콜라겐 첨가 후 즉시 투과도의 상승을 볼 수 있고, 이것은 ADP 자극 특유의 현상이다. 이에 따라, 혈소판 응집에 의해 H12-PEG(ADP) 소포 체(d)로부터의 ADP 방출이 야기되었음이 시사되었다.
7. 혈소판 감소증 모델 래트를 이용한 H12 - PEG 소포체 및 H12 - PEG ( ADP ) 소포체의 꼬리 출혈 시간에 미치는 영향의 평가
수컷 흰 래트(Wistar계)(8주령, 250∼270 g)에 부설판(20 mg/kg)을 꼬리 정맥 투여하고, 투여 후 10일째를 혈소판 감소증 모델 래트([혈소판]=20×104/μL)로 했다. 세보플루란 마취 후 샘플을 투여하고, 투여 5분 후에 꼬리 선단으로부터 1 cm의 부위에 길이 2.5 mm, 깊이 1 mm의 상처를 내며, 그 부분을 생리 식염수 중에 침지하여 출혈 시간을 측정했다.
혈소판 감소증 모델 래트에 생리 식염수를 투여한 바(4 mL/kg), 출혈 시간은 682±198초이며, 정상 래트([혈소판]=80×104/μL)의 출혈 시간(178±56초)과 비교하여 약 3.8배 연장되었다(도 5). 지질 농도를 2.5, 10 mg/mL로 조정한 H12-PEG 소포체 분산액을 투여한 바(4 mL/kg), 투여량 의존적으로 출혈 시간이 단축되어 10, 40 mg/kg(지질량 환산)에서의 출혈 시간은 각각 573±127, 335±96초가 되었다. 여기서, 지질 농도 0.25, 1, 2.5 mg/mL로 조정한 H12-PEG(ADP) 소포체 분산액(ADP 내포 농도 1 mM)을 투여한 바(4 mL/kg), 1, 4, 10 mg/kg(지질량 환산)에 있어서의 출혈 시간은 각각 543±134, 521±88, 349±49초가 되어, H12-PEG 소포체로 단축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던 1/4의 투여 농도로 단축할 수 있음이 판명되었다. 이상으로부터, ADP 내포에 의한 H12-PEG 소포체의 지혈 효과 향상이 생체 내에서 확인되었다.
8. 위독한 혈소판 감소증 모델 토끼를 이용한 H12 - PEG ( ADP ) 소포체의 귀 출혈 시간에 미치는 영향의 평가
뉴질랜드 화이트 토끼(11주령, 2.5 kg)에 부설판(30 mg/kg)을 꼬리 정맥 투여하고, 투여 후 15일째를 혈소판 감소증 모델 토끼([혈소판]= 2.6×104/μL)로 했다. 케타민/셀락탈 마취 후 O.5 mL/분의 속도로 샘플을 투여하고, 투여 30분 후에 귓바퀴 주위 정맥에 길이 6 mm의 상처를 내며, 그 부분을 생리 식염수 중에 침지하여 출혈 시간을 측정했다.
혈소판 감소증 모델 토끼에게 생리 식염수를 투여한 바(4 mL/kg), 출혈 시간은 1695±197초이며, 정상 토끼([혈소판]= 41×104/μL)의 출혈 시간(112±24초)과 비교하여 약 15배 연장되었다(도 6). 양성 대조군으로서 토끼 혈소판을 0.4×109, 2.0×109, 4.0×109/kg으로 투여한 바, 혈소판 수 의존적으로 출혈 시간을 단축시켰다(각각 1505±410, 863±440, 505±257초). 여기서, 지질 농도를 2.5, 5.0 mg/mL로 조정한 H12-PEG(ADP) 소포체 분산액(4 mL/kg)을 투여한 바, 출혈 시간은 각각 881±303, 433±52초이며, 생리 식염수군과 비교하여 투여량 의존적으로 출혈 시간을 상당히 단축시켜, 혈소판 투여군의 그것에 필적했다. 따라서, H12-PEG(ADP) 소포체는 혈소판 감소 모델 토끼의 출혈 시간을 효율적으로 단축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9. PEG ( ADP ) 소포체와 H12 - PEG ( ADP ) 소포체의 출혈 시간에 미치는 영향의 비 교
PEG(ADP) 소포체 또는 H12-PEG(ADP) 소포체의 분산액(10 mg/kg(지질량 환산), ADP 내포 농도 0, 1, 10 mM)을 투여했을 때의 출혈 시간을 측정했다. 출혈 시간의 측정은, 정상 래트 및 혈소판 감소증 모델 래트를 이용하여 7.에서와 동일하게 행했다. 결과를 도 7에 나타낸다. H12-PEG 소포체(즉, ADP 내포 농도 0) 투여계에서는 출혈 시간 단축 효과는 보이지 않지만, H12-PEG(ADP) 소포체에서는 혈소판 감소증 모델 래트의 생리 식염수 투여계와 비교하여 출혈 시간의 상당한 단축을 볼 수 있어, PEG(ADP) 소포체로 단축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던 1/10의 투여 농도로 동일한 정도의 단축을 얻을 수 있었다. 이상으로부터, PEG(ADP) 소포체보다 H12-PEG(ADP) 소포체 쪽이 우수한 지혈 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10. 혈소판 응집계를 이용한 ADP 내포 효과 측정
PEG 소포체, H12-PEG 소포체에 대해 ADP 내포량이 다른 소포체(PEG(ADP) 소포체, H12-PEG(ADP) 소포체)를 조제했다. ADP 내포 농도의 산출은 소포체를 2% 라우릴에테르로 가용화시켜 HPLC(260 nm)로 행했다. ADP 내포의 효과를 혈소판 응집계에 의해 평가했다. PPP로 혈소판 수를 조정한 혈소판 감소 혈장(PLT)([혈소판]= 10×104/μL, 180 μL)을 조제하고, 소포체 분산액을 10 μL 첨가한 후, ADP(30∼45 μM, 10 μL)를 첨가하여 투과율을 계측했다. 첨가 소포체는 ADP 내포 농도가 0, 0.1, 0.5, 1.0, 2.0 혹은 10.0 mM인 PEG(ADP) 소포체 또는 H12-PEG(ADP) 소포체를 이용했다. 평가는 PEG 소포체 첨가시의 투과율과의 차에 의해 행했다. ADP를 이용 하여 혈소판 응집을 야기시킨 경우의 결과를 도 8에 나타낸다. H12-PEG(ADP) 소포체 첨가계는 ADP 내포 농도 1 mM 이상에서 내포 효과를 확인할 수 있고, 그 이상의 고농도 내포 소포체에 있어서도 그 내포 효과는 거의 동등했다. 또한, PEG(ADP) 소포체 첨가계에 대해서는 그 내포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11. Bio - PEG - Glu2C18 의 합성
N-[6-(비오틴아미드)헥실]-3'-(2'-피리딜디티오)프로피온아미드(Bio-HPDP, 10 mg, 18.5 μmo1)를 DMF 5 mL에 용해하고, 디티오트레이톨 수용액(1 M)을 20 μL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 교반 후, MAL-PEG-Glu2C18(73.0 mg, 18.5 μmo1)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2시간 교반했다. 반응 용액을 디에틸에테르 250 mL에 적하하고 불용 성분을 회수했다. 물 250 mL를 첨가하고 불용 성분을 제거한 후, 동결 건조기로 용매를 제거하여 담황색 분말 Bio-MAL-PEG-Glu2C18을 얻었다(Bio: 비오틴).
12. 혈소판 응집 덩어리에 혼입된 H12 - PEG ( ADP ) 소포체의 전자 현미경 관찰
H12-PEG(ADP) 소포체 첨가계 중의 소포체 관찰을 목적으로 하여, H12-PEG(ADP) 소포체에 Bio-MAL-PEG-Glu2C18을 도입하고, 그 응집 덩어리를 동결 초박절하여 투과형 전자 현미경으로 면역 전자 현미경 관찰을 행했다(도 9). 혈소판 사이에 소포체가 혼입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고, 혈소판의 각 부위에 Bio-MAL-PEG-Glu2C18이 점재하는 것으로부터, 소포체가 응집 덩어리 중에서 붕괴되어 있음이 시사되었다.
실시예 2 CF 내포 소포체
1. CF 내포 PEG 소포체 및 CF 내포 H12 - PEG 소포체의 제조
실시예 1의 1.∼3.에 기재한 순서에 준하여 10 mM의 5(6)-카르복시플루오레세인(CF)을 내포시킨 PEG 소포체 및 H12-PEG 소포체를 제작했다. CF 내포량은 실시예 1의 4.와 동일하게 정량했다.
CF 내포 PEG 소포체(평균 입자경 230±80 nm, 평균 층수 1.8)
CF 내포 H12-PEG 소포체(평균 입자경 240±50 nm, 평균 층수 1.6)
2. 혈소판 응집에 따른 소포체 내포물 방출량의 정량
CF(10 mM) 내포 PEG 소포체 또는 CF(10 mM) 내포 H12-PEG 소포체를 PRP([혈소판]= 2.0×105/μL, [소포체]= f.c. 0.05 mg/mL)에 첨가한 후, ADP에 의해 혈소판 응집을 야기하고([ADP]= f.c. 2 μM), 혈소판 응집계로 투과도 변화를 측정했다. 측정 종료 후, 원심 분리(1200 rpm, 5분)로 응집 덩어리를 제거했다. 이때, ADP 미첨가계에 있어서, 혈소판만을 제거하고 2% 라우릴에테르(C12E10)로 소포체를 가용화했을 때의 형광 강도(A)를 측정하여, 100%로 정의했다. 이 상청액 중(소포체 분산액)의 형광 강도(B)를 측정하여, 혈소판 응집 덩어리로의 소포체 혼입률을 산출했다. 또한, 이 상청액을 원심 분리(33000 rpm, 45분)하여 소포체를 제거하고, 그 상청의 형광 강도(C)를 측정하여, 혈소판 응집 덩어리에 혼입된 소포체로부터의 CF 방출률을 산출했다.
Figure 112008054719783-PCT00002
CF 내포 PEG 소포체를 첨가한 바, PBS 첨가계와 비교하여 혈소판 응집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 CF 내포 PEG 소포체 대신에 CF 내포 H12-PEG 소포체를 첨가한 바, 2차 응집이 항진하고 투과도가 증대하여 혈소판 응집 촉진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도 10). 이것은 CF 내포 H12-PEG 소포체가 혈소판과 다점 결합하여 혈소판 응집을 촉진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혈소판 응집 덩어리로의 CF 내포 PEG-소포체, CF 내포 H12-PEG 소포체의 혼입률은 각각 13±5, 17±5%이며, 양쪽이 거의 동등했다. 여기서, 혼입된 소포체로부터의 CF 방출률을 측정한 바, 각각 0.6±0.5, 10±1%가 되었다(표 1). 이것은 소포체에 H12를 담지시킴으로써 소포체와 혈소판의 결합이 강화되어, 소포체가 혈소판 응집에 혼입되었을 때의 물리적인 자극에 따라 CF 방출률이 증대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표 1]
혈소판 응집에 따른 소포체 혼입률, CF 방출률
혼입률 (%) CF 방출률 (%)
CF 내포 PEG 소포체 13±5 0.6±0.5
CF 내포 H12-PEG 소포체 17±5 10±1
[혈소판] = 2.0×105/μL, [ADP] = f.c. 2 μM, [지질] = f.c. 0.05 ㎎/㎖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형태 중 몇 가지를 상세히 설명했지만, 당업자라면, 개시된 특정한 양태에, 본 발명의 교시와 이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수정과 변경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수정 및 변경도, 모두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 이다.
본 출원은 일본에서 출원된 일본 특원 2006-001916을 기초로 하고 있고, 그 내용은 본 출원에 모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약물 운반체는 활성화 혈소판, 혈관 손상 부위 및/또는 염증 조직과 선택적인 결합성을 나타내고, 이들 장소에서만 담지된 약물을 방출하기 때문에, 원하는 장소 이외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담지 약물의 효과를 활성화 혈소판, 혈관 손상 부위 및/또는 염증 조직에서만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물 운반체를 포함하는 제제는 혈소판 응집 야기제, 혈소판 응집 억제제, 혈관 수축제, 혈관 확장제 및 항염증제로서 유용하고, 또한, 혈소판 대체제, 항혈소판제, 혈관 장애, 혈관 손상 및 혈전증 등의 예방·치료제 등의 의약품, 혹은 혈소판 무력증 등의 혈소판 기능 이상증의 진단약,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인 시약, 혈소판 대체제나 항혈소판제의 스크리닝용 시약, 혈관 손상 부위 및 혈관 형성 부위의 검사용 진단제 또는 치료제 등으로도 유용하다.
서열 목록 프리텍스트
서열 번호 1: 디자인 펩타이드
서열 번호 2: 디자인 펩타이드
SEQUENCE LISTING <110> KEIO UNIVERSITY Mitsubishi Tanabe Pharma Corporation <120> DRUG DELIVERY MATERIAL <130> 091014 <150> JP 2006-001916 <151> 2006-01-06 <160> 2 <170> PatentIn version 3.3 <210> 1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Designed peptide <400> 1 His His Leu Gly Gly Ala Lys Gln Ala Gly Asp Val 1 5 10 <210> 2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Designed peptide <400> 2 Cys His His Leu Gly Gly Ala Lys Gln Ala Gly Asp Val 1 5 10

Claims (20)

1)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 2) 링커 및 3) 활성화 혈소판, 혈관 손상 부위 및/또는 염증 조직을 인식하는 물질의 결합체인 약물 운반체.
제1항에 있어서,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가 그 내수상에 약물이 내포되어 있는 지질 이분자막 소포체인 약물 운반체.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링커)-(활성화 혈소판, 혈관 손상 부위 및/또는 염증 조직을 인식하는 물질)로 표시되는 약물 운반체.
제3항에 있어서,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와의 결합시에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의 구성 성분의 일부가 되는 양친매성 분자를 링커가 포함하고, 이 양친매성 분자를 통해 링커와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가 결합하고 있는 것인 약물 운반체.
제3항에 있어서, 링커가 소수성 분자를 포함하고, 링커와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가 이 소수성 분자를 통해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에 결합하고 있는 것인 약물 운반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링커가 스페이서 부분을 포함하 는 것인 약물 운반체.
제6항에 있어서, 스페이서 부분이 폴리옥시에틸렌인 약물 운반체.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물이 혈소판 응집 야기제, 혈소판 응집 억제제, 혈관 수축제, 혈관 확장제 및 항염증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약물 운반체.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물이 아데노신 이인산, 콜라겐, 콜라겐 유래 펩타이드, 콘불륵신, 세로토닌, 아스피린, 디피리다몰, 티클로피딘, 실로스타졸 및 베라프로스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약물 운반체.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활성화 혈소판, 혈관 손상 부위 및/또는 염증 조직을 인식하는 물질이, 활성화 혈소판에 노출되어 있는 인테그린 또는 셀렉틴, 혈관 손상 부위에 노출되어 있는 콜라겐, 혈관 손상 부위에 노출되어 있는 콜라겐에 결합하고 있는 폰 빌레브란트 인자, 염증 조직에 노출되어 있는 셀렉틴 및/또는 백혈구에 노출되어 있는 셀렉틴 리간드를 인식하고, 활성화 혈소판 및/또는 백혈구의 응집 덩어리에 혼입되는 물질, 및/또는 혈관 손상 부위 및/또는 염증 조직에 집적되는 물질인 약물 운반체.
제10항에 있어서, 활성화 혈소판, 혈관 손상 부위 및/또는 염증 조직을 인식하는 물질이 H12, GPIbα, GPIa/IIa, GPVI, MAC-1, 피브리노겐, P-셀렉틴 및 PSGL-1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약물 운반체.
제2항에 있어서, 지질 이분자막 소포체가 수소 첨가 난황 레시틴, 수소 첨가 대두 레시틴,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콜린 또는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인 포스파티딜콜린에 대하여 콜레스테롤을 20∼100%의 몰비로 함유하는 혼합 지질로 구성되고, 활성화 혈소판, 혈관 손상 부위 및/또는 염증 조직을 인식하는 물질과 링커의 결합체가 해당 포스파티딜콜린에 대하여 0.001∼20% 포함되어 있는 것인 약물 운반체.
제12항에 있어서, 지질 이분자막 소포체의 입자경이 50∼300 nm이고, 지질 이분자막의 층수가 1∼4장인 약물 운반체.
1)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 2) 링커 및 3) 활성화 혈소판, 혈관 손상 부위 및/또는 염증 조직을 인식하는 물질의 결합체인 약물 운반체로서, 세포 또는 생체 조직에 도달했을 때에 세포 또는 생체 조직으로부터 물리적인 자극을 받는 것에 의해 약물 담지 분자 집합체로부터 약물이 방출되는 것인 약물 운반체.
제14항에 있어서, 세포가 활성화 혈소판 또는 백혈구이고, 약물이 혈소판 응집 야기제, 혈소판 응집 억제제, 혈관 수축제, 혈관 확장제 및 항염증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약물 운반체.
제14항에 있어서, 생체 조직이 혈관 손상 부위 또는 염증 조직이고, 약물이 혈소판 응집 야기제, 혈소판 응집 억제제, 혈관 수축제, 혈관 확장제 및 항염증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약물 운반체.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약물 운반체를 포함하는 진단약.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약물 운반체를 포함하는 시약.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약물 운반체를 포함하는 혈소판 대체제.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약물 운반체를 포함하는 항혈소판제.
KR1020087018699A 2006-01-06 2007-01-05 약물 운반체 KR200800830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01916 2006-01-06
JP2006001916 2006-0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037A true KR20080083037A (ko) 2008-09-12

Family

ID=38228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8699A KR20080083037A (ko) 2006-01-06 2007-01-05 약물 운반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87837B2 (ko)
EP (1) EP1977766A4 (ko)
KR (1) KR20080083037A (ko)
CN (1) CN101389356B (ko)
WO (1) WO20070779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79169B (zh) * 2010-07-09 2012-11-14 西安力邦制药有限公司 一种治疗血管相关疾病的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MX2013009862A (es) 2011-03-02 2013-10-25 Novo Nordisk As Factor de coagulacion dirigido al transcripto 1 tipo trem (tlt-1) en plaquetas activadas.
FR2977585B1 (fr) * 2011-07-06 2015-08-28 Ard Sa Procede de preparation d'esters
FR3006592B1 (fr) * 2013-06-10 2015-11-20 L B A Consulting Dispositif de decontamination pour materiel medical
WO2016168884A1 (en) * 2015-04-20 2016-10-27 Academia Sinica Platelet-like proteo-microparticles and method of using such in drug delivery
US11654057B2 (en) 2020-04-09 2023-05-23 Bio 54, Llc Devices for bleeding reducti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A3192287A1 (en) * 2020-09-14 2022-03-17 Dennis S. Murphy Compositions containing dialkyl amino acid ester salts
US11642324B1 (en) 2022-03-01 2023-05-09 Bio 54, Llc Topical tranexamic aci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0510A (en) 1987-06-16 1993-04-06 Zymogenetics, Inc. Method for purifying factor viii:c, von willebrand factor and complexes thereof
US5340727A (en) 1987-11-17 1994-08-23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GPIbα fragments and recombinant DNA expression vectors
IL88308A0 (en) 1987-11-17 1989-06-30 Scripps Clinic Res Peptides that block the binding of von willebrand factor
AU3734793A (en) 1992-02-26 1993-09-13 Scripps Research Institute, The Mutant gpibalpha fragments and recombinant expression thereof
JP3735921B2 (ja) 1996-02-07 2006-01-18 三菱ウェルファーマ株式会社 GPIb・脂質複合体およびその用途
DE60130741T2 (de) 2000-03-02 2008-07-03 Mitsubishi Pharma Corp. GPib-GEBUNDENES KONSTRUKT UND VERWENDUNGEN DAVON
WO2003028640A2 (en) 2001-10-03 2003-04-10 Vanderbilt University In vivo panning for ligands to radiation-induced molecules
WO2004069862A1 (ja) 2003-02-06 2004-08-19 Keio University ペプチド結合体
EP1537858A1 (en) 2003-12-04 2005-06-08 Vectron Therapeutics AG Drug delivery vehicles and us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77766A1 (en) 2008-10-08
CN101389356A (zh) 2009-03-18
EP1977766A4 (en) 2011-05-25
CN101389356B (zh) 2012-09-05
WO2007077990A1 (ja) 2007-07-12
US20090220422A1 (en) 2009-09-03
US7887837B2 (en) 201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20728C (en) Drug carrier and drug carrier kit for inhibiting fibrosis
KR20080083037A (ko) 약물 운반체
JP2023002687A (ja) Peg化リポソームおよび血液凝固因子の製剤処方
JP5216219B2 (ja) 薬物運搬体
US20080241233A1 (en) Targeted delivery and expression of procoagulant hemostatic activity
JP7160678B2 (ja) 医薬用コロイド粒子
EP1997504A1 (en) Novel antithrombotic agent
KR20050111583A (ko) 펩티드 결합체
JP4505556B2 (ja) ぺプチド結合体
KR101933623B1 (ko) 엘라스틴 유사 폴리펩티드 및 암 세포 표적화 물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및 그의 용도
WO2024108091A1 (en) Platelet-binding proteins and conjugates thereof, particles comprising them and use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