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2280A -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2280A
KR20080082280A KR1020070022937A KR20070022937A KR20080082280A KR 20080082280 A KR20080082280 A KR 20080082280A KR 1020070022937 A KR1020070022937 A KR 1020070022937A KR 20070022937 A KR20070022937 A KR 20070022937A KR 20080082280 A KR20080082280 A KR 20080082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rame
control signal
emission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8614B1 (ko
Inventor
박영종
이장두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2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8614B1/ko
Priority to US11/907,826 priority patent/US8274453B2/en
Publication of KR20080082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modulation of the duration of a single pulse during which the logic level remains consta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61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신호와 발광제어신호와 데이터선에 대응되어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영상을 표현하는 화소부, 상기 화소부에 상기 주사신호와 상기 발광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주사구동부,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화소부에 전달하는 데이터구동부, 한 프레임에 입력되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합인 프레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제어신호의 펄스폭을 조절하며 상기 프레임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한 프레임시간을 조절하는 제어부 및 상기 화소부에 제 1 전원과 제 2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개념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에 의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동작을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서 채용된 제어부의 블럭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동작을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서 채용된 제어부의 블럭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동작을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서 채용된 제어부의 블럭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채용된 화소의 일실시예를 나 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9는 도 3,5 및 7에 도시된 휘도제어부의 블럭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화소부에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합에 대응하여 휘도를 제한폭을 결정하여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며 화질을 개선시키도록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근래에 음극선관과 비교하여 무게와 부피가 작은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뛰어나며 응답속도가 빠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가 주목 받고 있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현하도록 하는 것으로,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애노드 전극, 캐소드 전극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여 전자와 정공의 결합에 의하여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한다.
유기발광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량이 많은 경우에 고휘도를 표현하고 흐르는 전류량이 적은 경우에 저휘도를 표현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계조표현을 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서 표현하는 한 화면의 전체 밝기가 높은 경우가 전체 밝기가 낮은 경우 보다 더 많은 전류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고계조를 표현하는 경우 고계조와 저계조를 표현하는 경우 흐르는 전류의 양 차이가 적은 경우 고계조와 저계조 간의 밝기 차이가 크기 않아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콘트라스트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전류의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원공급부를 이용하게 되면 생산원가가 비싸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갑작스럽게 전류의 양이 증가하게 되면 구동이 정지될 우려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프레임 구간에 입력되는 데이터의 합산된 양에 대응하여 전류량을 제한하여 전력의 소모를 줄이도록 하고 콘트라스트를 높여 화질의 품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주사신호와 발광제어신호와 데이터선에 대응되어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영상을 표현하는 화소부, 상기 화소부에 상기 주사신호와 상기 발광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주사구동부,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화소부에 전달하는 데이터구 동부, 한 프레임에 입력되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합인 프레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제어신호의 펄스폭을 조절하며 상기 프레임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한 프레임시간을 조절하는 제어부 및 상기 화소부에 제 1 전원과 제 2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주사신호와 발광제어신호와 데이터선에 대응되어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영상을 표현하는 화소부, 상기 화소부에 상기 주사신호와 상기 발광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주사구동부,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화소부에 전달하는 데이터구동부, 한 프레임에 입력되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합인 프레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제어신호의 펄스폭을 조절하며 상기 프레임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한 프레임시간을 조절하는 제어부 및 상기 화소부에 제 1 전원과 제 2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구동부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합산하는 과정에서 상기 프레임 데이터의 크기가 소정치 이상이면 블랙데이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화소부에 전달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은, 주사신호와 발광제어신호와 데이터선에 대응되어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영상을 표현하는 화소부, 상기 화소부에 상기 주사신호와 상기 발광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주사구동부,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화소부에 전달하는 데이터구동부, 한 프레임에 입력되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합인 프레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제어신호의 펄스폭을 조절하며 상기 프레임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한 프 레임시간을 조절하되,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이 서로 다른 메모리에 저장되며, 는 제어부; 및 상기 화소부에 제 1 전원과 제 2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측면은, 주사신호, 데이터신호 및 발광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영상을 표현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비디오 데이터의 합인 프레임 데이터를 파악하고 프레임 데이터의 크기에 대응하여 한 프레임의 시간을 조절하는 제 1 단계, 상기 프레임 데이터에 대응하여 화소부의 휘도를 제한 범위를 파악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휘도 제한 범위에 따라 상기 발광제어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발광제어신호의 펄스폭과 수는 상기 휘도제한범위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측면은, 주사신호, 데이터신호 및 발광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영상을 표현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비디오 데이터의 합인 프레임 데이터를 파악하는 제 1 단계, 상기 프레임 데이터를 합산하는 과정에서 상기 프레임 데이터의 크기가 소정치 이상이면 상기 데이터신호는 블랙데이터를 전달하는 제 2 단계, 상기 프레임 데이터에 대응하여 화소부의 휘도를 제한 범위를 파악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휘도 제한 범위에 따라 상기 발광제어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발광제어신호의 펄스폭과 수는 상기 휘도제한범위에 대응하여 결정 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측면은, 주사신호, 데이터신호 및 발광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영상을 표현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 제 1 프레임에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제 1 프레임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프레임이 저장된 후 상기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합산하여 프레임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프레임 데이터에 대응하여 화소부의 휘도를 제한 범위를 파악하는 제 3 단계, 상기 휘도 제한 범위에 따라 상기 발광제어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발광제어신호의 펄스폭과 수는 상기 휘도제한범위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제 4 단계;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 제 2 프레임에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제 2 프레임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2 프레임이 저장된 후 상기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합산하여 프레임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6 단계, 상기 프레임 데이터에 대응하여 화소부의 휘도를 제한 범위를 파악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휘도 제한 범위에 따라 상기 발광제어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발광제어신호의 펄스폭과 수는 상기 휘도제한범위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제 8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개념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화소부(100), 제어 부(110), 데이터구동부(120), 주사구동부(130) 및 전원공급부(140)를 포함한다.
화소부(100)는 복수의 화소(101)가 배열되고 각 화소(101)에 전류의 흐름에 대응하여 빛을 발광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미도시)를 포함한다. 그리고, 행방향으로 형성되며 주사신호를 전달하는 n 개의 주사선(S1,S2,...Sn-1,Sn)과 발광제어신호를 전달하는 n 개의 발광제어신호선(E1,E2, ...En-1,En), 열방향으로 형성되며 데이터신호를 전달하는 m 개의 데이터선(D1, D2,....Dm-1, Dm)이 배열된다. 또한, 제 1 전원(ELVDD)과 제 2 전원(ELVSS)을 전원공급부(140)으로부터 전달받아 구동한다. 따라서, 화소부(101)는 주사신호, 데이터신호, 제 1 전원(ELVDD) 및 제 2 전원(ELVSS)에 의해 유기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화소부(100)는 입력되는 데이터의 합이 큰 경우는 화소부 전체에 고휘도로 발광하는 화소의 수가 많아 화소부(100)는 높은 휘도를 표현하게 되고 입력되는 데이터의 합이 작은 경우에는 화소부 전체에 고휘도로 발광하는 화소의 수가 적어 화소부(100)는 낮은 휘도를 표현하게 된다. 화소부(100)가 높은 휘도로 발광하는 경우에 눈부심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유기발광다이오드의 경우 전류의 양에 따라 휘도가 표현되므로 소비전력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
제어부(110)는 데이터구동부, 주사구동부에 디지털 신호인 비디오 데이터, 소정의 제어신호 등을 전달하여 데이터구동부와 주사구동부가 정상적인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한 프레임 당의 밝기를 파악하여 화소부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제한하여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한다. 소정의 제어신호로는 클럭, 수평동기신호, 수직동기신호, 휘도제어신호 등을 의미한다.
그리고, 전류의 양의 제한은 각 프레임 별 밝기에 대응하여 다르게 적용되도록 하여 한 프레임의 밝기가 낮은 경우의 계조간 밝기의 차이가 한 프레임의 밝기가 높은 경우 밝기의 차이보다 크게 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한 프레임의 대부분이 저계조를 표현하고 일부분에서 고계조를 표현하는 경우 즉, 어두운 화면의 일부에 빛이 나는 경우 각 계조간의 밝기 차이가 크게 나타나게 되어 어두운 부분은 더 어둡게 느껴지고 밝은 부분은 더 밝게 느껴지게 되어 시인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한 프레임의 대부분이 고계조를 표현하고 일부에서 저계조를 표현하는 경우, 각 계조간의 밝기 차이가 작게 나타나게 되며 고계조부분의 밝기가 낮아져 눈부심 등을 방지하여 시인성이 향상된다.
데이터구동부(120)는 화소부(100)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수단으로, 적색, 청색, 녹색의 성분을 갖는 비디오 데이터를 입력받아 데이터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데이터구동부(120)는 화소부(100)의 데이터선(D1, D2,....Dm-1, Dm)과 연결되어 생성된 데이터 신호를 화소부(100)에 인가한다.
주사구동부(130)는 화소부(100)에 주사신호와 발광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수단으로, 주사구동부(130)는 주사선(S1,S2,...Sn-1,Sn)과 발광신호선(E1,E2,...En-1,En)에 연결되어 주사신호와 발광제어신호를 화소부(100)의 특정한 행에 전달한다. 주사신호가 전달된 화소(101)에는 데이터구동부(120)에서 출력된 데이터신호가 전달되며, 발광제어신호가 전달된 화소(101)는 발광제어신호에 따라 화소(101)가 발광하게 된다.
그리고, 주사신호가 전달된 화소부(100)의 특정한 행에는 데이터 구동 부(130)에서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며 발광제어신호의 펄스폭에 의해 데이터신호에 대응되는 전류가 유기발광다이오드에 전달되는 시간이 결정되어 유기발광다이오드의 발광시간을 조절한다. 발광제어신호의 펄스폭은 휘도제어신호에 의해 결정되며 휘도제어신호는 제어부(110)에서 생성된다.
또한, 주사구동부(130)는 주사신호를 생성하는 주사구동회로와 발광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발광구동회로로 구분될 수 있으며, 주사구동회로와 발광구동회로는 하나의 구성부분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별도의 구성부분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전원공급부(140)는 화소부(100)에 제 1 전원(ELVDD)과 제 2 전원(ELVSS)을 전달하여 제 1 전원(ELVDD)과 제 2 전원(ELVSS)의 차이에 의해 각 화소에서 데이터신호에 대응되는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그리고, 한 프레임에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합이 큰 경우 휘도제한범위가 커 소비전력이 크게 증가하지 않게 되어 전체적으로 소비전력을 줄어들게 된다.
도 2는 도 1에 의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입력되는 데이터는 전체 화면이 흰색으로 표현되는 것을 나타내며, (a)는 실제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나타내고, (b)는 시간에 따라 화소부에서 표현되는 이미지를 나타내며, (c)는 시간에 따른 전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그리고, 전류의 제한범위는 100mA로 가정한다.
먼저,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은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에 의해 (a)와 같이 흰색을 나타내야 한다. 하지만, 데이터가 화소에 입력되는 시간 등에 의해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은 (b)와 같이 나타난다. 즉, 제 1 프레임에서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화면의 1/3에 데이터신호가 전달되고, 또 일정시간이 지나면 화면의 2/3에 데이터신호가 전달되고, 또 일정시간이 지나면 화면 전체에 데이터신호가 전달된다. 그리고, 제 2 프레임 역시 제 1 프레임과 동일하게 시간의 경과에 따라 화면에서 표현되는 영역이 넓어지게 된다.
그리고, 휘도제어부는 한 프레임에 전달되는 비디오데이터를 합산한 후 휘도의 제한 범위를 결정하게 되는데, 제 1 프레임의 경우에는 데이터합산부에서 합산하는 동안 비디오 데이터가 화소부에 전달되기 때문에 제 1 프레임에 전달되는 비디오 데이터는 휘도제어부에서 휘도제한 범위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뿐 휘도제한이 결정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체 화면이 흰색으로 표현되는 경우에도 발광시간에 변화가 없어 전류의 제한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화소부에 흐르는 전류는 제한범위를 초과하여 흐르게 된다. 즉, 제 1 프레임에 일정시간 동안 데이터신호가 인가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며 제 1 프레임의 소정면적 이상이 흰색으로 발광하면 제한범위로 정해져 있는 전류의 크기를 초과하게 되고 제 1 프레임이 완성될 때 최대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리고, 제 2 프레임에서는 제 1 프레임에 전달된 비디오 데이터들에 의해 제한 범위가 결정되게 되지만 제 2 프레임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초기에는 화면의 하부에는 제 1 프레임의 데이터에 의한 발광이 지속되어 화소부에 흐르는 전류의 양이 제한범위를 초과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프레임이 완성되는 시점전까지는 화소부에 흐르는 전류의 양이 제한치를 초과하게 된다. 그 리고, 제 3 프레임부터 화소부는 제한범위 이하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렇게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에서 흐르는 전류양이 제한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전원공급부에 큰 부하가 인가되어 전원공급부에 무리가 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먼저,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이 진행되는 동안 주파수를 증가시켜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의 진행을 빠르게 하여 (c)에 나타나 있는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에서 전류 제한범위가 초가되는 시간(Tc)를 짧게 가져갈 수 있도록 하여 전류가 초가되는 부분의 면적이 작아지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류의 양을 줄여 전원공급부에 가해지는 부담이 줄어들도록 한다.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의 진행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클럭, 수평동기신호, 수직동기신호 등의 주기를 빠르게 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동영상보다 정지영상의 경우에 높은 휘도로 발광하는 화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입력되는 영상이 정지영상으로 판단되면 프레임들의 진행을 빨리하여 전류의 제한범위가 초과되는 시간이 줄어들 수 있도록 한다. 동영상과 정지영상을 구별하는 방법으로는 정지영상에 높은 휘도로 발광하는 화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여 한 프레임에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계조 합이 소정값 이상을 초과하면 정지영상으로 판단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동작을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서 채용된 제어부의 블럭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는 클럭발생 부(310),프레임 메모리(320) 및 휘도제어부(330)를 포함한다.
클럭발생부(310)는 입력되는 영상이 동영상과 정지 영상 중 어느 영상인지를 파악하여 복수의 클럭 중 하나의 클럭을 생성한다. 입력되는 영상이 정지 영상인 경우에 발생되는 클럭의 주파수는 입력되는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에 발생되는 클럭의 주파수보다 더 빠른 주기를 갖도록 한다. 프레임 메모리(32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RGB data)를 전달받아 저장한다. 그리고, 휘도제어부(330)는 한 프레임에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계조값의 합을 파악하여 한 프레임의 휘도제한 범위를 파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a)는 실제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나타내고, (b)는 시간에 따라 화소부에서 표현되는 이미지를 나타내며, (c)는 시간에 따른 전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그리고, 전류의 제한범위는 100mA로 가정한다.
먼저,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은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에 의해 (a)와 같이 흰색을 나타내야 한다. 하지만, 데이터가 화소에 입력되는 시간 등에 의해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은 (b)와 같이 나타난다. 즉, 제 1 프레임에서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화면의 1/3에 데이터신호가 전달되고, 또 일정시간이 지나면 화면의 2/3에 데이터신호가 전달되고, 또 일정시간이 지나면 화면 전체에 데이터신호가 전달된다. 그리고, 제 2 프레임 역시 제 1 프레임과 동일하게 시간의 경과에 따라 화 면에서 표현되는 영역이 넓어지게 된다.
제 1 프레임에서 데이터를 합산하는 과정에서 화면의 2/3 정도를 표현하게 되었을 경우에 화소부에 흐르는 전류의 양이 전류의 제한 범위에 도달하게 되면, 화소부의 나머지 1/3은 블랙데이터를 전달한다. 블랙데이터가 전달된 화소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화소부에 흐르는 전류의 양이 전류의 제한 범위를 초과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 2 프레임에서는 발광제어신호의 펄스폭이 조절되어 전류의 흐름이 제한범위에 따라 흐르게 된다. 이때, 발광제어신호는 한 프레임의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제 2 프레임의 초기에는 화소부의 윗부분에 전달되는 발광제어신호는 펄스폭이 전류의 제한범위에 의해 결정되어 전류의 양이 적게 흐르게 된다. 그리고, 아랫부분에 위치한 화소에 입력되는 데이터는 제 1 프레임 구간에 전달된 블랙데이터이므로 아랫부분에 위치한 화소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화소부에 흐르는 전류의 양은 제한범위보다 적게 흐르게 된다. 그리고, 제 2 프레임이 완성된 경우에는 제한 범위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리고, 제 3 프레임부터 화소부는 제한범위에 해당하는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에서 흐르는 전류의 양이 제한범위를 초과하지 않게 되어 전원공급부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어부에서 한 프레임의 데이터를 합산하는 과정에서 합산된 데이터가 소정치 이상이 되면 그 시점부터 해당 프레임이 종료될 시점까지 데이터구동부에 블랙데이터를 전달하여 화소부에 더이상 전류 가 흐르지 않도록 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동작을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서 채용된 제어부의 블럭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는 프레임 메모리(510), 휘도제어부(520) 및 블랙데이터생성부(530)를 포함한다.
프레임 메모리(51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RGB data)를 전달받아 저장한다. 휘도제어부(520)는 한 프레임에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계조값의 합을 파악하여 한 프레임의 휘도제한 범위를 파악한다. 그리고, 블랙데이터생성부(530)는 휘도제어부(520)에서 한 프레임에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합산하는 중에 기준값을 초과하게 되면 블랙데이터가 데이터구동부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블랙데이터를 저장하여 블랙데이터가 데이터구동부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데이터구동부의 구동전압을 조절하여 데이터구동부에서 블랙전압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a)는 실제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나타내고, (b)는 시간에 따라 화소부에서 표현되는 이미지를 나타내며, (c)는 시간에 따른 전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그리고, 전류의 제한범위는 100mA로 가정한다.
먼저,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은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에 의해 (a)와 같이 흰색을 나타내야 한다. 하지만, 데이터가 화소에 입력되는 시간 등에 의해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은 (b)와 같이 나타난다. 즉, 제 1 프레임에서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화면의 1/3에 데이터신호가 전달되고, 또 일정시간이 지나면 화면의 2/3에 데이터신호가 전달되고, 또 일정시간이 지나면 화면 전체에 데이터신호가 전달된다. 그리고, 제 2 프레임 역시 제 1 프레임과 동일하게 시간의 경과에 따라 화면에서 표현되는 영역이 넓어지게 된다.
제 1 프레임이 화소부에 표현되는 경우에, 먼저 휘도제어부에서 제 1 프레임에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합산한 후 발광제어신호의 펄스폭을 결정하고 제 1 프레임에 해당하는 비디오 데이터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신호가 화소부에 전달될 때 발광제어신호가 휘도제어부에 의해 펄스폭이 휘도제어부에 의해 조절되어 제 1 프레임의 처음부터 전류량을 제한받게 된다. 따라서, 화소부에 흐르는 전류의 양이 전류의 제한 범위를 초과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 2 프레임이 화소부에 표현되는 경우에도 휘도제어부에서 이미 제 2 프레임에 해당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합산한 후 발광제어신호의 펄스폭을 결정하게 되므로, 제 2 프레임 역시 처음부터 전류량의 제한을 받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화소부에 흐르는 전류는 제한범위를 초과하지 않게 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동작을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서 채용된 제어부의 블럭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비디오 데이터는 먹 스(711)에 의해 제 1 프레임 메모리(712), 제 2 프레임 메모리(713) 중 하나의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되며, 제 1 프레임 메모리(712)가 데이터를 읽을 때 제 2 프레임 메모리(713)는 데이터를 쓰고 제 1 프레임 메모리(712)가 데이터를 쓸때 제 2 프레임 메모리(713)는 데이터를 읽도록 한다. 먹스(711)는 수평동기신호(Hsync), 수직동기신호(Vsync)와 비디오 데이터(RGB data)를 전달받아 제 1 프레임 메모리(712)와 제 2 프레임 메모리(713)가 선택적으로 읽고 쓰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동작을 설명하면, 먹스(711)에 수평동기신호(Hsync), 수직동기신호(Vsync)와 제 1 프레임에 해당되는 비디오 데이터가 전달되면, 제 1 프레임에 해당되는 비디오 데이터는 제 1 프레임 메모리(712)에 쓰여지고 휘도제어부(714)에 전달된다. 이때, 제 1 프레임 메모리(712)는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게 되며 휘도제어부(714)는 제 1 프레임에 해당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계조값을 합산하여 발광제어신호의 펄스폭을 결정한다.
그리고, 먹스(711)에 수평동기신호(Hsync), 수직동기신호(Vsync) 제 2 프레임에 해당되는 비디오 데이터가 먹스(711)에 전달되면, 제 2 프레임에 해당되는 비디오데이터는 제 2 프레임 메모리(713)에 쓰여지고 휘도제어부(714)에 전달된다. 이때, 제 2 프레임 메모리(713)는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게 되며 휘도제어부(714)는 제 2 프레임에 해당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계조값을 합산하여 발광제어신호의 펄스폭을 결정한다.
그리고, 제 2 프레임 메모리(713)에 제 2 프레임에 해당하는 비디오 데이터 가 쓰여질 때 제 1 프레임 메모리(712)에 저장된 제 1 프레임에 해당하는 비디오데이터를 데이터구동부에서 읽어 데이터신호를 생성하게 되고, 제 3 프레임에 해당하는 비디오데이터가 제 1 프레임 메모리(712)에 저장될 때 제 2 프레임 메모리(713)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데이터구동부에서 읽어 데이터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휘도제어부에 의해 제 1 프레임 메모리(712)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들에 의해 결정된 발광제어펄스폭에 대응하여 주사구동부에서 발광제어신호를 화소부에 전달할 때 데이터구동부는 제 1 프레임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를 화소부에 전달하고, 휘도제어부에 의해 제 2 프레임 메모리(713)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들에 의해 결정된 발광제어펄스폭에 대응하여 주사구동부에서 발광제어신호를 화소부에 전달할 때 데이터 구동부는 제 2 프레임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를 화소부에 전달한다.
따라서, 제 1 프레임이 화소부에 표현될 때 부터 발광제어신호의 펄스폭이 조절되어 휘도가 소정치 이상 넘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화소부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채용된 화소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화소는 제 1 트랜지스터(M1), 제 2 트랜지스터(M2), 제 3 트랜지스터(M3), 캐패시터(Cst) 및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포함한다.
제 1 트랜지스터(M1)는 소스는 제 1 전원(ELVDD)에 전달되고 드레인은 제 3 트랜지스터(M3)의 소스에 연결되며 게이트는 제 1 노드(N1)에 연결된다. 제 2 트랜지스터(M2)는 소스는 데이터선(Dm)에 연결되고 드레인은 제 1 노드(N1)에 연결되며 게이트는 주사선(Sn)에 연결된다. 제 3 트랜지스터(M3)는 소스는 제 1 트랜지스터(M1)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드레인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며 게이트는 발광제어선(En)에 연결된다. 캐패시터(Cst)는 제 1 전극은 제 1 전원에 연결되고 제 2 전극은 제 1 노드(N1)에 연결된다. 그리고,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및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애노드 전극에서 캐소드 전극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면 빛을 발광하는 발광층을 포함하며, 애노드 전극은 제 3 트랜지스터(M3)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제 2 전원(ELVSS)에 연결된다.
화소의 동작은 주사신호가 로우 상태가 되어 제 2 트랜지스터(M2)가 온상태가 되면 데이터선(Dm)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신호가 제 1 노드(N1)에 전달되어 캐패시터(Cst)의 제 2 전극에 데이터신호가 전달된다. 이때, 캐패시터(Cst)의 제 1 전극에는 제 1 전원(ELVDD)의 전압이 전달되어 있다. 그리고, 주사신호가 하이 상태가 되어 제 2 트랜지스터(M2)가 오프 상태가 되면 제 1 노드(N1)와 데이터선(Dm) 사이는 플롯팅 상태가 되며, 제 1 노드(N1)의 전압은 캐패시터(Cst)에 의해 데이터신호의 전압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 1 노드(N1)의 전압은 제 1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에 전달되어 제 1 트랜지스터(M1)는 소스에서 드레인 전극 방향으로 제 1 노드(N1)의 전압에 대응하여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제 3 트랜지스 터(M3)는 발광제어신호에 의해 온 오프 동작이 수행되어 발광제어신호에 의해 제 3 트랜지스터(M3)가 오프 상태가 되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전달되는 전류가 차단되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가 발광하지 못하게 되고, 발광제어신호에 의해 제 3 트랜지스터(M3)가 온 상태가 되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가 빛을 발광하게 된다. 그리고, 발광제어신호의 펄스폭에 의해 제 3 트랜지스터(M3)가 온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이 조절되어 발광제어신호의 펄스폭에 의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도 3,5 및 7에 도시된 휘도제어부의 블럭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휘도제어부는 데이터합산부(910), 룩업테이블(920) 및 휘도제어구동부(930)를 포함한다.
데이터합산부(910)는 한 프레임에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들의 합을 구하는 수단으로,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들의 계조값을 합산한다. 비디오 데이터들의 계조값을 프레임 데이터라고 한다. 데이터합산부(910)에 의해 합산된 프레임데이터가 크면 고휘도로 발광하는 화소의 수가 많은 것으로 판단하고 합산된 비디오 데이터의 합이 작으면 고휘도로 발광하는 화소의 수가 적은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비디오 데이터들의 합에 의해 휘도의 제한 범위를 결정한다.
룩업테이블(920)은 데이터합산부(910)에 의해 합산된 비디오 데이터의 합에 의해 파악된 휘도의 제한 범위에 따라 형성되는 발광제어신호의 펄스의 수와 펄스 의 폭 및 펄스와 펄스와의 간격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룩업테이블(920)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비디오 데이터의 일부 비트를 이용하여 휘도의 제한범위를 지정할 수도 있다.
휘도제어구동부(930)는 휘도의 제한 범위에 따라 지정되어 있는 발광제어신호에 대응되는 휘도제어신호를 생성한다. 휘도제어신호는 주사구동부에 입력되어 주사구동부에서 휘도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발광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의하면, 소비전력을 줄이며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초기에 고휘도로 발광하는 경우에도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전원공급부에 부하가 크게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단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Claims (37)

  1. 주사신호와 발광제어신호와 데이터선에 대응되어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영상을 표현하는 화소부;
    상기 화소부에 상기 주사신호와 상기 발광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주사구동부;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화소부에 전달하는 데이터구동부;
    한 프레임에 입력되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합인 프레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제어신호의 펄스폭을 조절하며 상기 프레임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한 프레임시간을 조절하는 제어부; 및
    상기 화소부에 제 1 전원과 제 2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한 프레임 단위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비디오 데이터를 합산하여 상기 프레임 데이터를 생성는 데이터합산부;
    상기 프레임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발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룩업테이블; 및
    상기 룩업테이블에 저장된 발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휘도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휘도제어신호구동부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제어신호는 상기 휘도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한 프레임 당 상기 화소부의 발광시간이 조절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구동부는 상기 주사신호를 생성하는 주사구동회로와 상기 발광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발광제어구동회로로 구분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데이터의 크기가 작으면, 상기 한 프레임 시간에서 상기 화소부는 발광시간이 길게 유지되고 상기 프레임 데이터의 크기가 크면 상기 화소부는 발광시간이 짧게 유지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되는 영상이 정지영상과 동영상 중 하나의 영상인 것을 판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클럭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되는 영상이 정지 영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클럭의 주파수는 상기 입력되는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 보다 더 빠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 데이터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되는 영상이 정지영상과 동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인지를 파악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0. 주사신호와 발광제어신호와 데이터선에 대응되어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영상을 표현하는 화소부;
    상기 화소부에 상기 주사신호와 상기 발광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주사구동부;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화소부에 전달하는 데이터구동부;
    한 프레임에 입력되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합인 프레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제어신호의 펄스폭을 조절하며 상기 프레임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한 프레임시간을 조절하는 제어부; 및
    상기 화소부에 제 1 전원과 제 2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구동부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합산하는 과정에서 상기 프레임 데이터의 크기가 소정치 이상이면 블랙데이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화소부에 전달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한 프레임 단위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비디오 데이터를 합산하여 상기 프레임 데이터를 생성는 데이터합산부;
    상기 프레임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발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저장 하는 룩업테이블; 및
    상기 룩업테이블에 저장된 발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휘도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휘도제어신호구동부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제어신호는 상기 휘도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한 프레임 당 상기 화소부의 발광시간이 조절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구동부는 상기 주사신호를 생성하는 주사구동회로와 상기 발광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발광제어구동회로로 구분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합산부에서 합산되는 동안 상기 비디오 데이터가 소정값 이상이면 한 프레임의 시간이 끝날 때까지 상기 데이터구동부에 블랙데이터를 전달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합산부에서 합산되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가 소정값이상이면 상기 데이터구동부의 출력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화소부가 블랙을 표현하도록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7. 주사신호와 발광제어신호와 데이터선에 대응되어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영상을 표현하는 화소부;
    상기 화소부에 상기 주사신호와 상기 발광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주사구동부;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화소부에 전달하는 데이터구동부;
    한 프레임에 입력되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합인 프레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제어신호의 펄스폭을 조절하며 상기 프레임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한 프레임시간을 조절하되,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이 서로 다른 메모리에 저장되며, 는 제어부; 및
    상기 화소부에 제 1 전원과 제 2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비디오 데이터를 합산하여 상기 프레임 데이터를 생성는 데이터합산부;
    상기 프레임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발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룩업테이블; 및
    상기 룩업테이블에 저장된 발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휘도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휘도제어신호구동부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제어신호는 상기 휘도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한 프레임 당 상기 화소부의 발광시간이 조절 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구동부는 상기 주사신호를 생성하는 주사구동회로와 상기 발광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발광제어구동회로로 구분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부와 제 1 프레임 메모리와 제 2 프레임 메모리를 구비하여 상기 선택부에 의해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에 해당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프레임 메모리와 상기 제 2 프레임 메모리 중 하나의 메모리에 전달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23. 주사신호, 데이터신호 및 발광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영상을 표현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비디오 데이터의 합인 프레임 데이터를 파악하고 프레임 데이터의 크기에 대응하여 한 프레임의 시간을 조절하는 제 1 단계;
    상기 프레임 데이터에 대응하여 화소부의 휘도를 제한 범위를 파악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휘도 제한 범위에 따라 상기 발광제어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발광제어신호의 펄스폭과 수는 상기 휘도제한범위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총합에 대응되는 상기 발광제어신호의 펄스폭이 저장되어 있는 룩업테이블을 이용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구동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제어신호의 펄스에 의해 상기 화소부의 발광시간이 결정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데이터에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화소부의 발광시간을 줄이되, 상기 상기 프레임 데이터의 크기가 큰 경우가 작은 경우보다 상기 화소부의 발광시 간의 짧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프레임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으로 판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한 프레임의 시간은 클럭의 주파수를 변경하여 조절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영상인 경우 상기 클럭의 주파수는 상기 동영상인 경우보다 클럭의 주파수가 더 빠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
  30. 주사신호, 데이터신호 및 발광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영상을 표현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비디오 데이터의 합인 프레임 데이터를 파악하는 제 1 단계;
    상기 프레임 데이터를 합산하는 과정에서 상기 프레임 데이터의 크기가 소정치 이상이면 상기 데이터신호는 블랙데이터를 전달하는 제 2 단계;
    상기 프레임 데이터에 대응하여 화소부의 휘도를 제한 범위를 파악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휘도 제한 범위에 따라 상기 발광제어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발광제어신호의 펄스폭과 수는 상기 휘도제한범위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총합에 대응되는 상기 발광제어신호의 펄스폭이 저장되어 있는 룩업테이블을 이용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구동방법.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제어신호의 펄스에 의해 상기 화소부의 발광시간이 결정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데이터에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화소부의 발광시간을 줄이되, 상기 상기 프레임 데이터의 크기가 큰 경우가 작은 경우보다 상기 화소부의 발광시간의 짧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데이터의 크기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 한 프레임의 시간이 끝날 때까지 상기 데이터신호에 의해 블랙데이터가 전달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35. 주사신호, 데이터신호 및 발광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영상을 표현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 제 1 프레임에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제 1 프레임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프레임이 저장된 후 상기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합산하여 프레임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프레임 데이터에 대응하여 화소부의 휘도를 제한 범위를 파악하는 제 3 단계;
    상기 휘도 제한 범위에 따라 상기 발광제어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발광제어신호의 펄스폭과 수는 상기 휘도제한범위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제 4 단계;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 제 2 프레임에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제 2 프레임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2 프레임이 저장된 후 상기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합산하여 프레임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6 단계;
    상기 프레임 데이터에 대응하여 화소부의 휘도를 제한 범위를 파악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휘도 제한 범위에 따라 상기 발광제어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발광제어신호의 펄스폭과 수는 상기 휘도제한범위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제 8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제어신호의 펄스에 의해 상기 화소부의 발광시간이 결정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데이터에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화소부의 발광시간을 줄이되, 상기 상기 프레임 데이터의 크기가 큰 경우가 작은 경우보다 상기 화소부의 발광시간의 짧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20070022937A 2007-03-08 2007-03-08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858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937A KR100858614B1 (ko) 2007-03-08 2007-03-08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11/907,826 US8274453B2 (en) 2007-03-08 2007-10-17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937A KR100858614B1 (ko) 2007-03-08 2007-03-08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280A true KR20080082280A (ko) 2008-09-11
KR100858614B1 KR100858614B1 (ko) 2008-09-17

Family

ID=39741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937A KR100858614B1 (ko) 2007-03-08 2007-03-08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74453B2 (ko)
KR (1) KR1008586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7833B2 (en) 2009-07-31 2013-07-3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190042374A (ko) * 2017-10-16 2019-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705B1 (ko) 2007-06-22 2008-12-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90179833A1 (en) * 2008-01-15 2009-07-1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KR100911978B1 (ko) * 2008-03-10 2009-08-1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9087801B2 (en) * 2010-04-29 2015-07-21 Apple Inc. Power effici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1142702B1 (ko) * 2010-05-06 2012-05-0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142637B1 (ko) * 2010-05-10 2012-05-0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751998B1 (ko) * 2010-07-22 2017-06-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8537079B2 (en) * 2010-07-23 2013-09-17 Chimei Innolu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of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panel an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using the same
KR101710656B1 (ko) 2010-08-02 2017-0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20019691A (ko) 2010-08-26 2012-03-0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20070921A (ko) * 2010-12-22 2012-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이밍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US10841645B1 (en) * 2019-12-09 2020-11-17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video frame segregation to optimize storage
CN112785972A (zh) * 2021-03-08 2021-05-11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发光器件驱动电路、背光模组以及显示面板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484B1 (ko) * 2001-01-22 2004-11-17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WO2002075707A1 (ja) * 2001-03-19 2004-07-08 富士通株式会社 映像信号回路の制御方法、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
TW582000B (en) * 2001-04-20 2004-04-01 Semiconductor Energy Lab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JP3724430B2 (ja) 2002-02-04 2005-12-07 ソニー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3271099A (ja) * 2002-03-13 2003-09-25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TWI359394B (en) * 2002-11-14 2012-03-01 Semiconductor Energy Lab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JP2005189636A (ja) 2003-12-26 2005-07-14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表示装置の駆動方法と駆動回路
JP2005099713A (ja) * 2003-08-25 2005-04-14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JP4033149B2 (ja) * 2004-03-04 2008-01-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回路及び駆動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2005301095A (ja) 2004-04-15 2005-10-27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
JP2005308857A (ja) 2004-04-19 2005-11-04 Sony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06038967A (ja) 2004-07-23 2006-02-09 Sony Corp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846954B1 (ko) * 2004-08-30 2008-07-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JP4993118B2 (ja) * 2005-02-08 2012-08-08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及び半導体記憶装置の読み出し方法
KR100707632B1 (ko) * 2005-03-31 2007-04-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629586B1 (ko) * 2005-03-31 2006-09-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707640B1 (ko) * 2005-04-28 2007-04-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7324123B2 (en) * 2005-05-20 2008-01-2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762693B1 (ko) * 2005-11-09 2007-10-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793542B1 (ko) * 2006-10-12 2008-01-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836433B1 (ko) * 2007-02-05 2008-06-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80082279A (ko) * 2007-03-08 2008-09-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7833B2 (en) 2009-07-31 2013-07-3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190042374A (ko) * 2017-10-16 2019-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8614B1 (ko) 2008-09-17
US8274453B2 (en) 2012-09-25
US20080218448A1 (en) 200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8614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625627B1 (ko) 전기 광학 장치,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CN112349243B (zh) 显示装置
US7986286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96526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857672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534627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05474296A (zh) 补偿精度
KR20110038496A (ko)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50095545A (ko) 표시 장치
JP2006146167A (ja) 有機発光表示装置,有機発光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画素回路の駆動方法
KR102588103B1 (ko) 표시 장치
CN111883053A (zh) 显示设备及驱动显示设备的方法
US11282459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US8248438B2 (en) EL display device for reducing pseudo contour
US805425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07279718A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2652623B1 (ko) Oled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060053694A (ko) 발광 표시장치, 발광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및 화소회로의구동방법
CN112349246A (zh) 显示装置和驱动显示装置的显示面板的方法
US805425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993747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857688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12000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542826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