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2267A -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2267A
KR20080082267A KR1020070022901A KR20070022901A KR20080082267A KR 20080082267 A KR20080082267 A KR 20080082267A KR 1020070022901 A KR1020070022901 A KR 1020070022901A KR 20070022901 A KR20070022901 A KR 20070022901A KR 20080082267 A KR20080082267 A KR 20080082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layer
storage device
holding member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1520B1 (ko
Inventor
요시로 시모야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2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520B1/ko
Priority to JP2007236188A priority patent/JP2008226815A/ja
Priority to US12/006,371 priority patent/US20080217209A1/en
Publication of KR20080082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는 하우징의 구조를 적층식으로 변경하여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의 제조에 소요되는 금형의 단순화 및 비용의 절감을 도모함과 더불어, 배터리 모듈의 조립시 소요되는 공정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층상으로 적층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보유지지부재(100)와; 상기 보유지지부재(100) 사이의 적층면(110)을 양분하여 단일의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이 상기 적층면(110)을 따라 다수의 열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수납부(200); 상기 수납부(200)에 장착되는 완충부재(300) 및; 상기 완충부재(300)에 둘러싸여 상기 수납부(200)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배터리 모듈(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storage device of battery module}
도 1은 종래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내/외벽과 완충부재 사이의 결합부위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유지지부재를 갖춘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마운팅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유지지부재를 갖춘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배터리 모듈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버스바아 플레이트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층상으로 적층되는 보유지지부재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층상으로 적층되는 보유지지부재 사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대한 수납과, 배터리 모듈의 수납을 위한 보관유지부품(保持部品)의 제조 공정의 단순화 및 조립 공정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사용되는 배터리 모듈은 박스형상의 보관장치의 내부에서 다수의 열(列)로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배터리 모듈은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더불어 기계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보관된다.
즉, 종래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풍의 흡/배기를 위해 다수개로 분할되어 개구된 입/출구를 가지도록 외벽(1a)과 내벽(1b)을 갖춘 하우징(1)과, 상기 외벽(1a)과 상기 내벽(1b)에 각각의 대응하는 위치로 다수의 행과 열로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3)을 삽입하여 지지하는 원형의 빈 공간을 형성하는 관통부(5)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관통부(5)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3)의 설치시 완충작용을 하기 위한 완충부재(7)가 설치되는 바, 상기 완충부재(7)는 상기 외벽(1a)및 상기 내벽(1b)에 대해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관통부(5)의 내부로 삽입되는 원통형 돌기부(7a)를 일체로 갖춘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에는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의 설치를 위한 마운팅 브라켓(9)이 일체로 형성되는 바, 상기 마운팅 브라켓(9)은 상기 하우징(1)의 성형시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내에 다수개로 수납되는 상기 배터리 모듈(3)은 상기 관통부(5)에 결합되는 상기 완충부재(7)의 원통형 돌기부(7a)의 내부로 끼워져 지지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의 종래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먼저, 종래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는 외벽(1a)과 내벽(1b) 및 관통부(5)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제조시 복잡한 형상의 금형을 제작해야 하고, 그에 따라 금형의 제작비의 상승과 금형의 수리 및 금형의 제작 기간이 길어짐에 따른 제조의 지연과 인건비의 증대라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7)의 설치시 상기 외벽(1a)과 내벽(1b)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부(5)에 대한 원통형 돌기부(7a)의 끼움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과다해 지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상기 배터리 모듈(3)의 조립시 다수의 원통형 돌기부(7a)내로 배터리 모듈(3)을 낱개씩 삽입해야 하므로,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이 과다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는 하우징의 구조를 적층식으로 변경하여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의 제조에 소요되는 금형의 단순화 및 비용의 절감을 도모함과 더불어, 배터리 모듈의 조립시 소요되는 공정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층상으로 적층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보유지지부재(保持部材)와;
상기 보유지지부재 사이의 적층면(積層面)을 양분하여 단일의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이 상기 적층면을 따라 다수의 열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수납부(受納部);
상기 수납부에 장착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에 둘러싸여 상기 수납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3과 도 4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의 층상으로 적층되도록 배치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다수의 보유지지부재(保持部材)(100)와, 상기 보유지 지부재(100) 사이의 적층면(積層面)(110)을 상하로 양분하여 단일의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이 상기 적층면(110)을 따라 다수의 열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수납부(受納部)(200), 상기 수납부(200)에 장착되는 수지류의 충격완화용 완충부재(300) 및, 상기 완충부재(300)에 둘러싸여 상기 수납부(200)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배터리 모듈(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유지지부재(100)는 상/하측 분할몸체(120)와 중간 분할몸체(140)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상/하측 분할몸체(120)는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배치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된 제1 수평벽(122)과, 상기 제1 수평벽(122)의 좌/우측 양단부에서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배치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제1 외벽(124) 및, 상기 제1 외벽(124) 사이에서 상호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 제1 내벽(126)을 일체로 갖추고 있다.
상기 중간 분할몸체(140)는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배치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된 제2 수평벽(142)과, 상기 제2 수평벽(142)의 좌/우측 양단부에서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배치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고 상기 상/하측 분할몸체(120)의 상기 제1 외벽(124)에 대해 각각 부합(附合)되어 적층되는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제2 외벽(144) 및, 상기 제2 외벽(144) 사이에서 상호 등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상기 상/하측 분할몸체(120)의 상기 제1 내벽(126)에 대해 각각 부합(附合)되어 적층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내벽(146)을 일체로 갖추고 있다.
여기서, 상기 상/하측 분할몸체(120)와 상기 중간 분할몸체(140)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볼트(B)와 너트(N)를 매개로 층상으로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멍(128,148) 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수납부(200)는 상기 상/하측 분할몸체(120)와 상기 중간 분할몸체(140) 사이의 적층면(110) 및, 상기 중간 분할몸체(140) 사이의 적층면(110)을 따라 다수의 열로 형성된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분할몸체(120)의 저면부에는 마운팅 플레이트(500)가 안착되고,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500)는 상기 상측 분할몸체(120)의 외부를 덮는 커버 플레이트(510)와 결합된다.
이 결과, 상기 층상으로 적층되는 보유지지부재(100)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500)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510)에 의해 견고하게 적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볼트(B)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510)와 체결구멍(128,148) 및 마운팅 플레이트(50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너트(N)에 체결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유지지부재(100)는 각형(角形)의 바아로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배치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층상으로 적층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다수의 분할체(16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분할체(160)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볼트(B)와 너트(N)를 매개로 층상으로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멍(162)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수납부(200)는 상기 층상으로 적층되는 분할체(160) 사이의 적층면(110)을 따라 다수의 열로 형성된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있어, 상기 수납부(200)는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배터리 모듈(400)이 원통체로 설정되면, 상기 수납부(200)는 상기 보유지지부재(100) 사이의 적층면(110)에서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된 홈으로 설정되고, 이들 홈의 결합에 의해 상기 수납부(200)는 단면으로 보아 원형의 형태를 이루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200)중 상기 보유지지부재(100)의 최외곽에 위치한 수납부(200) 사이의 적층면(110)에는 인접한 수납부(200) 사이를 관통하는 홈부(H)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H)에는 상기 인접한 수납부(200)에 설치되는 배터리 모듈(40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아 플레이트(busbar plate)(410)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납부(200)에 장착되는 다수의 배터리 모듈(400)은 상기 버스바아 플레이트(410)를 매개로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B)가 층상으로 적층되는 다수의 보유지지부재(100)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다음 너트(N)에 체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볼트(B)의 체결시 볼트(B)에 전달되는 토오크에 의해 볼트(B)의 축부에서 비틀림 변형이 발생될 수 있는 바,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볼트(B)의 축부에서 발생된 비틀림 변형은 볼트(B)와 너트(N) 사이의 체결력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상기 볼트(B)의 길이는 최소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9와 도 10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층상으로 적층되는 다수의 보유지지부재(100)에 있어 상기 볼트(B)에 의한 체결길이를 보다 짧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층상으로 적층되는 다수의 보유지지부재(100)중 최상층과 최하층에 위치하는 보유지지부재(101,102)의 길이는 중간층에 위치하는 보유지지부재(103)의 길이 보다 길게 설정되고, 상기 최하층에 위치하는 보유지지부재(102)의 양측 선단부는 상기 중간층에 위치하는 보유지지부재(103)의 양단부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상기 최상층에 위치하는 보유지지부재(101)의 양단부측 저면부에 접촉되어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볼트(B)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멍(128,148,162)은 다수의 보유지지부재(100)중 최상층과 최하층에 위치한 보유지지부재(101,102)의 양측 선단부에 국한되어 형성하면 된다.
또한,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층상으로 적층되는 다수의 보유지지부재(100)중 최상층과 최하층 및 정중간층에 위치하는 보유지지부재(111,112,113)의 길이는 최상층과 정중간층 사이와 최하층과 정중간층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중간층 보유지지부재(114)의 길이 보다 길게 설정되고,
상기 정중간층에 위치하는 보유지지부재(113)의 양측 선단부는 상기 중간층 보유지지부재(114)의 양단부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상기 최상층과 최하층에 위치하는 보유지지부재(111,112)의 양단부측 저면부에 각각 접촉되어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볼트(B)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멍(128,148,162)은 다수의 보유지지부재(100)중 최상층과 최하층 및 정중간층에 위치한 보유지지부재(111,112,113)의 양측 선단부에 국한되어 형성하면 된다.
따라서,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구조를 이용하여 다수의 보유지지부재(100)를 층상으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볼트(B)와 너트(N)를 이용하여 체결할 경우에는 상기 볼트(B)의 체결거리를 크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보유지지부재(100)를 체결하기 위한 상기 볼트(B)의 길이를 보다 짧게 설정하게 되면, 상기 볼트(B)의 체결시 볼트(B)에 가해지는 토오크가 볼트(B)의 체결에만 전적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볼트(B)의 축부에서 발생되는 비틀림 변형으로 인한 체결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유지지부재(100) 사이의 적층면(110)에 각각 끼움결합을 위한 요부(100a)와 철부(100b)가 각각 부합(附合)하는 위치로 형성된다. 즉, 적층되는 두 개의 보유지지부재(100)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요부(100a)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철부(100b)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요부(100a)와 철부(100b)의 단면형상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형(角形)과 쐐기형 및 원호형 등 다양한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층상으로 적층되는 다수의 보유지지부재(100)는 상기 요부(100a)와 철부(100b) 사이의 끼움결합을 매개로 나사체결 작업이 이루어지기 이전의 시점까지 결합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납부(200)의 표면 전 둘레에 걸쳐 고무와 같은 충격흡수성(吸收性) 재질의 완충부재(300)가 설치되어 고정되는 바, 상기 완충부재(300)는 상기 수납부(200)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상기 배터리 모듈(400)에 대한 충격완화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완충부재(300)는 다양한 형태로 상기 수납부(200)에 설치되는 바, 먼저, 제1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3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층면(110)을 덮도록 상기 수납부(200)에 부합하는 오목한 형태의 만곡부(302a)를 다수로 형성한 제1 완충부(302)와, 상기 제1 완충부(302)의 양단부에서 대략 90°정도로 절곡되어 상기 적층면(110)의 양측부를 감싸는 제2 완충부(304)를 일체로 갖춘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3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200)를 개별적으로 덮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제3 완충부(306)와, 상기 제3 완충부(306)의 양단부에서 대략 90°정도로 절곡되어 상기 적층면(110)의 양측부를 감싸는 제4 완충부(308)를 일체로 갖춘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3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200)를 개별적으로 덮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제5 완충부(310)와, 상기 제5 완충부(310)의 배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납부(200)에 형성된 제1 삽입홈(210)내에 끼워지는 제1 끼움핀(312)을 일체로 갖춘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3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200)에 부합하는 오목한 형태의 만곡부(314a)를 갖추면서 상기 수납부(200)에 인접한 상기 적층면(110)을 덮는 제6 완충부(314)와, 상기 제6 완충부(314)의 양단 배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적층면(110)에 형성된 제2 삽입홈(220)내에 끼워지는 제2 끼움핀(316)을 일체로 갖춘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30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외주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파인 제1 홈(230)에 끼워지는 오링(318)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30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200)에 인접한 상기 적층면(110)을 따라 오목하게 파인 제2 홈(240)에 수납되는 만곡부(320a)를 형성한 띠형 부재(320)와, 상기 띠형 부재(320)의 배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홈(240)에 형성된 제3 삽입홈(250)내에 끼워지는 제3 끼움핀(322)을 일체로 갖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제2 홈(240)은 단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띠형 부재(320)의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데, 상기 띠형 부재(320)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제2 홈(240)을 약간 초과하는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의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의 조립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500)의 상부에 상기 보유지지부재(100)를 올려놓은 다음, 상기 보유지지부재(100)에 다수로 형성된 수납부(200)에 각각 개별적으로 완충부재(300)를 설치한다. 이어, 상기 완충부재(300)에 개별적으로 배터리 모듈(400)을 장착한다.
이러한 과정을 다수회에 걸쳐 반복하게 되면, 상기 보유지지부재(100)는 다수의 층상으로 적층될 수 있게 되고, 마지막으로 커버 플레이트(510)를 조립한 다음, 체결구멍(128,148,162)을 통해 볼트(B)를 삽입시키고, 상기 볼트(B)를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500)의 저면부에서 너트(도시안됨)로서 체결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는 보관장치가 층상으로 적층되는 구조임에 따라 보관장치의 제작에 필요로 하는 금형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금형의 수리 및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가 층상으로 적층되는 구조임에 따라 다수의 배터리 모듈을 조립할 때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특히 배터리 모듈의 조립시 종래와 같은 삽입 방식이 아니라 수납부에 단순히 올려 놓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에 완충부재를 설치할 때에도 층상으로 배치되는 각 보유지지부재에 완충부재를 간편하게 올려 놓기만 하면 되므로, 종래에 비해 완충부재의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음과 더불어 작업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게 된다.

Claims (15)

  1. 층상으로 적층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보유지지부재와;
    상기 보유지지부재 사이의 적층면을 양분하여 단일의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이 상기 적층면을 따라 다수의 열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에 장착되어 배터리 모듈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유지지부재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배치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수평벽과, 상기 제1 수평벽의 좌/우측 양단부에서 상기 배터리 모듈의 배치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외벽 및, 상기 제1 외벽 사이에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제1 내벽을 일체로 갖춘 상/하측 분할몸체와;
    상기 배터리 모듈의 배치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수평벽과, 상기 제2 수평벽의 좌/우측 양단부에서 상기 상/하측 분할몸체의 상기 제1 외벽과 부합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외벽 및, 상기 제2 외벽 사이에서 상기 상/하측 분할몸체의 상기 제1 내벽과 부합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내벽을 일체로 갖춘 중간 분할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측 분할몸체와 상기 중간 분할몸체에는 볼트와 너트를 매개로 층상으로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의 보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상/하측 분할몸체와 상기 중간 분할몸체 사이의 적층면 및, 상기 중간 분할몸체 사이의 적층면을 따라 다수의 열로 형성된 관통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유지지부재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배치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배치된 상태에서 층상으로 적층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다수의 분할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할체에는 볼트와 너트를 매개로 층상으로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층상으로 적층되는 분할체 사이의 적층면을 따라 다수의 열로 형성된 관통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
  6.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중 상기 보유지지부재의 최외곽에 위치한 수납부 사이의 적층면 에는 인접한 수납부 사이를 관통하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는 상기 인접한 수납부에 설치되는 상기 배터리 모듈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아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층상으로 적층되는 다수의 보유지지부재중 최상층과 최하층에 위치하는 보유지지부재의 길이는 중간층에 위치하는 보유지지부재의 길이 보다 길게 설정되고, 상기 최하층에 위치하는 보유지지부재의 양측 선단부는 상기 중간층에 위치하는 보유지지부재의 양단부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상기 최상층에 위치하는 보유지지부재의 양단부측 저면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층상으로 적층되는 다수의 보유지지부재중 최상층과 최하층 및 정중간층에 위치하는 보유지지부재의 길이는 최상층과 정중간층 사이와 최하층과 정중간층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중간층 보유지지부재의 길이 보다 길게 설정되고, 상기 정중간층에 위치하는 보유지지부재의 양측 선단부는 상기 중간층 보유지지부재의 양단부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상기 최상층과 최하층에 위치하는 보유지지부재의 양단부측 저면부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유지지부재 사이의 적층면에는 상호 부합하는 위치로 끼움결합을 위한 요부와 철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적층면을 덮도록 상기 수납부에 부합하는 오목한 형태의 만곡부를 형성한 제1 완충부와, 상기 제1 완충부의 양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적층면의 양측부를 감싸는 제2 완충부를 일체로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수납부를 덮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제3 완충부와, 상기 제3 완충부의 양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적층면의 양측부를 감싸는 제4 완충부를 일체로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수납부를 덮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제5 완충부와, 상기 제5 완충부의 배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납부에 형성된 제1 삽입홈내에 끼워지는 제1 끼움핀을 일체로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수납부에 부합하는 오목한 형태의 만곡부를 갖추면서 상기 수납부에 인접한 상기 적층면을 덮는 제6 완충부와, 상기 제6 완충부의 배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적층면에 형성된 제2 삽입홈내에 끼워지는 제2 끼움핀을 일체로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외주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파인 제1 홈에 끼워지는 오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에 인접한 상기 적층면을 따라 오목하게 파인 제2 홈에 수납되는 만곡부를 형성한 띠형 부재와, 상기 띠형 부재의 배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홈에 형성된 제3 삽입홈내에 끼워지는 제3 끼움핀을 일체로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
KR1020070022901A 2007-03-08 2007-03-08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 KR100911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901A KR100911520B1 (ko) 2007-03-08 2007-03-08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
JP2007236188A JP2008226815A (ja) 2007-03-08 2007-09-12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の保持装置
US12/006,371 US20080217209A1 (en) 2007-03-08 2007-12-31 Storage device for battery modu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901A KR100911520B1 (ko) 2007-03-08 2007-03-08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267A true KR20080082267A (ko) 2008-09-11
KR100911520B1 KR100911520B1 (ko) 2009-08-10

Family

ID=39740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901A KR100911520B1 (ko) 2007-03-08 2007-03-08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217209A1 (ko)
JP (1) JP2008226815A (ko)
KR (1) KR1009115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473A (ko) * 2014-08-22 2016-03-03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 모듈
WO2018062760A1 (ko) * 2016-09-29 2018-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KR102600867B1 (ko) * 2023-06-05 2023-11-09 이현노 원통형 배터리 이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42809B2 (en) 2011-01-04 2015-09-22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10020474B2 (en) 2011-04-12 2018-07-10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Cell block
KR101278506B1 (ko) * 2011-04-25 2013-07-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력 저장용 배터리 모듈의 랙 시스템
ITBO20120184A1 (it) * 2012-04-06 2013-10-07 Ferrari Spa Sistema di accumulo di energia elettrica per un veicolo con propulsione elettrica e presentante batterie chimiche cilindriche inserite in una matrice di supporto plastica
JP6236536B2 (ja) * 2014-08-29 2017-11-2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JP6421829B2 (ja) * 2015-01-23 2018-11-14 日立化成株式会社 蓄電ユニット
JP6315119B2 (ja) * 2017-02-03 2018-04-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パック
KR102345857B1 (ko) * 2017-06-29 2021-12-30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배터리용 트레이
CN109980135A (zh) * 2017-12-28 2019-07-05 广州倬粤动力新能源有限公司 一种环保碳金水平电池减震结构
CN110861844B (zh) * 2019-10-18 2021-09-03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双电源模块的包装衬垫和包装方法
CN110789826A (zh) * 2019-11-23 2020-02-14 湖南金凯循环科技有限公司 一种锂电池回收用储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02142B4 (de) * 1999-01-28 2004-04-29 Sanyo Electric Co., Ltd., Moriguchi Stromversorgung enthaltend wiederaufladbare Batterien
JP3681051B2 (ja) 1999-12-28 2005-08-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蓄電素子装置
JP4196521B2 (ja) * 2000-05-19 2008-12-17 新神戸電機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構造及び電池モジュール
JP3806673B2 (ja) 2002-06-28 2006-08-09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473A (ko) * 2014-08-22 2016-03-03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 모듈
WO2018062760A1 (ko) * 2016-09-29 2018-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US11404738B2 (en) 2016-09-29 2022-08-02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pack
KR102600867B1 (ko) * 2023-06-05 2023-11-09 이현노 원통형 배터리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17209A1 (en) 2008-09-11
JP2008226815A (ja) 2008-09-25
KR100911520B1 (ko) 2009-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520B1 (ko) 배터리 모듈의 보관장치
US10615385B2 (en) Battery pack
JP5504979B2 (ja) 電池接続アセンブリ
US20170355255A1 (en) Battery housing of a traction battery of a motor vehicle
KR101669114B1 (ko) 모듈화 구조가 적용된 배터리 팩
JP5838721B2 (ja) 電池モジュール及び配線モジュール
US8501340B2 (en) Battery module having a bus bar
KR20210041950A (ko)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JP5849665B2 (ja) 蓄電システム
KR20110062996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JP2019075246A (ja) バッテリモジュール
WO2016129473A1 (ja) 電池パック
JP6770997B2 (ja) バッテリモジュール
JP6752190B2 (ja) バッテリモジュール
JP6627291B2 (ja) 電池パック
CN111293243B (zh) 电池模块及电池单元
JP4806924B2 (ja) 組電池
JP6326658B2 (ja) 電池パックの電池モジュール固定構造
US20220190430A1 (en)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10028420A1 (en) Module housing for a stackable battery module, battery module, and battery stack
JP5573032B2 (ja) 組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8026244A (ja) 電池モジュール
JP4720150B2 (ja) 組電池
CN109980138B (zh) 电池模块
WO2016129474A1 (ja) 電池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