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2042A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2042A
KR20080082042A KR1020070022267A KR20070022267A KR20080082042A KR 20080082042 A KR20080082042 A KR 20080082042A KR 1020070022267 A KR1020070022267 A KR 1020070022267A KR 20070022267 A KR20070022267 A KR 20070022267A KR 20080082042 A KR20080082042 A KR 20080082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rying chamber
heater
heating passage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순
정점용
Original Assignee
장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정순 filed Critical 장정순
Priority to KR1020070022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2042A/ko
Publication of KR20080082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0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2Racks for dry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2Preserving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 등을 건조시키는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히터를 통과한 공기와 히터의 측면으로 통과한 공기가 잘 혼합되어 곡물을 통과하는 공기가 고른 온도분포를 가짐으로써 곡물이 균일하게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일정 형상의 함체;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건조실과 가열통로를 구획하고, 건조실과 가열통로를 상하부에서 서로 연결되게 설치된 격벽; 건조실의 상부에 설치된 순환팬; 가열통로에 설치된 히터; 건조실의 하부에 설치되어 외기를 유입시키는 흡입팬;을 포함하여 구성된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의 하측 가열통로의 양측벽에 각각 아래로 경사진 가이드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가 제공된다.
건조기, 곡물, 히터

Description

건조기{A drier}
도 1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부 단면도
도 4는 도 1의 "C-C"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출구 2 : 함체
3 : 건조실 4 : 가열통로
5 : 격벽 6 : 순환팬
7 : 히터 8 : 흡입팬
9 : 가이드 10 : 선반
11 : 원호가이드
본 발명은 농산물 등을 건조시키는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히터를 통과한 공기와 히터의 측면으로 통과한 공기가 잘 혼합되어 곡물을 통과하는 공기가 고른 온도분포를 가짐으로써 곡물이 균일하게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건조기는 곡물 등을 올려 두는 다단의 선반이 설치된 건조실과, 건조실과 격벽으로 구분되어 가열된 공기가 건조실의 상부와 하부로 연통되는 가열통로와, 건조실의 상부에 설치된 순환팬과 건조실의 하부에 설치된 흡입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건조기에는 선반에 건조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곡물을 올려 두고, 순환팬으로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고, 가열통로에서 히터를 통과시켜 가열하여 가열된 공기가 곡물을 통과하면서 건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 및 작용에서 보면, 히터를 통과하는 공기와 히터의 측면으로 흘러가는 공기의 온도가 다르다. 그리고 히터를 통과하는 공기는 히터가가 저항이 되므로 그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는 불균일한 온도의 분포와 흐름량을 가진 공기가 곡물을 통과하게 되는데, 곡물이 널린 선반에서 고른 건조가 일어나지 않게 되고, 전체를 건조시키기 위하여서는 일부는 과건조 되거나 일부는 미숙한 건조가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곡물을 건조시키는 공기의 온도와 양을 균일하게 하여 선 반에 널린 곡물이 균일하게 건조되게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가열된 공기가 흐르는 가열통로에 히터를 거치지 않은 공기와 히터를 거친 공기가 서로 혼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가 설치되고, 외기를 유입시키는 흡입팬을 편향되게 설치하여 외기가 흡입됨과 동시에 공기가 소용돌이치게 되어 가열된 내측 순환공기와 흡입된 외기가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는 건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부에 배출구(1)가 형성된 일정 형상의 함체(2); 함체(2)의 내부에 설치되어 건조실(3)과 가열통로(4)를 구획하고, 건조실(3)과 가열통로(4)를 상하부에서 서로 연결되게 설치된 격벽(5); 건조실(3)의 상부에 설치된 순환팬(6); 가열통로(4)에 설치된 히터(7); 건조실(3)의 하부에 설치되어 외기를 유입시키는 흡입팬(8);을 포함하여 구성된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7)의 하측 가열통로(4)의 양측벽에 각각 아래로 경사진 가이드(9)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팬(8)은 건조실(3)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고, 건조실의 내측 모서리에는 원호가이드(11)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균일한 온도와 량의 공기가 곡물을 통과하게 되어 균일하게 곡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건조시키고자 하는 곡물은 도 1에 도시된 다수의 층으로 설치된 선반(10)에 골고루 얹혀져 널리고, 이에 열풍이 통과하면서 건조된다. 즉, 가열된 내기가 순환하면서 건조시키고, 곡물로 부터 빼앗은 습기는 배출구(1)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 되며 외기는 흡입팬(8)에 의해 공급되면서 내기와 혼합되어 순환된다.
우선, 내기의 순환은 건조실(3)의 상부에 설치된 순환팬(6)에 의해 이루어진다. 순환팬(6)은 내기를 가열통로(4)로 송급하게 되고, 가열통로(4)의 상부에는 히터(7)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순환팬(6)에 의해 가열통로(4)로 송급된 공기는 히터(7)를 통하는 공기와, 히터(7)의 측부로 통하는 공기로 나눠지게 된다. 종래의 경우는 경로에 따라 순환 공기의 온도가 다르고, 히터(7)가 저항으로 작용하여 흐름량에도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구분된 내측 순환공기가 그대로 곡물에 작용하게 되어 곡물이 균일하게 건조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히터(7)의 하단 양측에 하향경사진 가이드(9)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히터(7)를 통과한 공기와 히터(7)의 양측으로 흘러간 공기를 가이드(9)의 하측으로 모이게 한다.
따라서 히터(7)를 통과한 공기와 통과하지 않은 공기를 함께 섞어주게 되고, 이렇게 혼합된 공기는 하나의 흐름을 형성하여 하측으로 흐르게 된다.
가열통로(4)의 하측으로 나온 공기는 건조실(3)의 하측을 통하여 건조실(3)의 상부로 이동된다. 건조실(3)의 하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팬(8)이 설치되어 있어 외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순환되는 내기와 혼합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흡입팬(8)에 건조실(3)의 모퉁이 부분에 설치되어 있어, 흡입되는 공기는 자연스럽게 건조실(3)을 따라 회전되는 와류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와류의 흐름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건조실(3)의 모서리 부분에 원호가 이드(11)가 설치된다. 원호가이드(11)는 모퉁이에서 공기의 흐름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흡입팬(8)에 의한 내기가 건조실(3)의 전체 영역에서 고르게 회전되면서 상부로 흐르도록 가이드 한다.
이와 같이 흡입팬(8)은 와류를 형성시킴으로써, 히터(7)에 의해 가열된 내기와, 흡입팬(8)에 의해 흡입된 외기가 균일하게 섞이게 되고, 건조실(3)을 소용돌이치듯 흐르게 되어 건조실(3)에 체류하는 시간이 길며, 고른 온도 분포를 가진 공기가 곡물에 작용하게 되어 고른 건조가 가능하게 된다.
건조실(3)의 곡물을 통과한 공기는 곡물로부터 빼앗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고, 이러한 습한 공기는 함체(2)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1)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리고 재순환하는 반복된 과정을 통하여 모든 수분은 빠져나가게 되고 곡물은 적절한 수준으로 건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열통로(4)에 가이드(9)가 설치되고, 건조실(3)의 하측에 흡입팬(8)이 편향되게 설치됨으로써, 내부에서 순환되기 공기가 균일하게 혼합될 뿐만 아니라 유입되는 외기와 균일하게 혼합되어 곡물에 작용함으로써, 곡물이 균일하게 건조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부에 배출구(1)가 형성된 일정 형상의 함체(2); 함체(2)의 내부에 설치되어 건조실(3)과 가열통로(4)를 구획하고, 건조실(3)과 가열통로(4)를 상하부에서 서로 연결되게 설치된 격벽(5); 건조실(3)의 상부에 설치된 순환팬(6); 가열통로(4)에 설치된 히터(7); 건조실(3)의 하부에 설치되어 외기를 유입시키는 흡입팬(8);을 포함하여 구성된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7)의 하측 가열통로(4)의 양측벽에 각각 아래로 경사진 가이드(9)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흡입팬(8)은 건조실(3)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고, 건조실의 내측 모서리에는 원호가이드(11)가 설치된 건조기.
KR1020070022267A 2007-03-07 2007-03-07 건조기 KR200800820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267A KR20080082042A (ko) 2007-03-07 2007-03-07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267A KR20080082042A (ko) 2007-03-07 2007-03-07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042A true KR20080082042A (ko) 2008-09-11

Family

ID=40021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267A KR20080082042A (ko) 2007-03-07 2007-03-07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20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5002A (zh) * 2018-05-23 2018-10-16 王朝红 一种农业谷物用除杂烘干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5002A (zh) * 2018-05-23 2018-10-16 王朝红 一种农业谷物用除杂烘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6495C2 (ru) Сушильная система посудомоечной машины
KR101738070B1 (ko) 결로현상을 이용한 초절전 건조기
JP2016223716A (ja) 乾燥機
KR20130118667A (ko) 상하 순환식 전기 건조기
KR100578030B1 (ko) 정치식 원적외선 건조기
KR200471445Y1 (ko) 농산물 건조기
KR20080082042A (ko) 건조기
KR101516669B1 (ko) 농산물 건조기
KR20080089531A (ko) 농수산물 건조기
US3362081A (en) Cabinet dryer and method
KR101721797B1 (ko) 목재건조장치
KR20090056573A (ko) 건조기
BR112020018344A2 (pt) Método e dispositivo para secagem de placas
KR200415582Y1 (ko) 농산물 건조기
KR200470488Y1 (ko) 농산물 건조기
KR100869578B1 (ko) 농산물건조장치
KR200438439Y1 (ko) 농수산물 건조기
JP6206147B2 (ja) 穀物乾燥機
KR20170008022A (ko) 수동식 풍향 가이드가 구비된 냉풍건조장치
KR20130104868A (ko) 식품 건조기의 베이스
KR101299736B1 (ko) 열풍 건조기
CN101381953B (zh) 衣物处理设备
JP4561777B2 (ja) 遠赤外線穀粒乾燥機
US3239949A (en) Drying cabinet
US1645760A (en) Drier or dehydrating 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