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1980A - 제진 합금 박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제진 합금 박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1980A
KR20080081980A KR1020087017978A KR20087017978A KR20080081980A KR 20080081980 A KR20080081980 A KR 20080081980A KR 1020087017978 A KR1020087017978 A KR 1020087017978A KR 20087017978 A KR20087017978 A KR 20087017978A KR 20080081980 A KR20080081980 A KR 20080081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damping alloy
plate
mass
compon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7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2007B1 (ko
Inventor
고이치로 후지타
다다시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1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1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Of Steel Electrode Plates (AREA)

Abstract

다량의 Al, Si, Cr 등의 원소를 필요로 하지 않고, 손실 계수가 0.030 이상이 되는 양호한 제진성과 우수한 가공성을 갖는 판두께가 2.0㎜ 이하인 철계의 제진 합금 박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질량 % 로 C : 0.005% 이하, Si : 1.0% 미만, Mn : 0.05 ∼ 1.5%, P : 0.2% 이하, S : 0.01% 이하, Sol.Al : 1.0% 미만, N : 0.005%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성분 조성을 갖고, 또한 평균 결정 입경이 50㎛ 이상 300㎛ 이하, 최대 비투자율이 4000 이상, 잔류 자속 밀도가 1.10T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두께 2.0㎜ 이하의 제진 합금 박판.
합금 박판

Description

제진 합금 박판 및 그 제조 방법{DAMPING ALLOY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량의 첨가 원소를 필요로 하지 않고, 양호한 제진성 (制振性) 을 갖는 철계의 제진 합금 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음이나 진동을 저감시키는 요구는 선박, 교량, 산업 기계, 건축 등의 주로 후강판이 사용되는 종래의 분야에 추가하여, 자동차나 전기 (電機) 등 판두께 2.0㎜ 이하의 박강판 (박판) 을 사용하는 분야에 있어서도 높아지고 있어, 다양한 대책이 세워지고 있다. 그 대책 중 하나로, 머테리얼 덤핑이 있다. 머테리얼 덤핑이란, 진동의 에너지를 재료 중에서 열 에너지로 변환시킴으로써 손실시켜, 진동을 감쇠 (제진) 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머테리얼 덤핑에 의한 제진 재료로서, 수지를 강판에 샌드위치시킨 제진 강판이 있다. 제진 강판은 수지의 전단 변형에 의해 제진하는 작용을 가져, 제진성의 지표인 손실 계수가 높고, 또한 사용 실적도 많다. 그러나, 제조성이 떨어지거나, 용접성이나 가공성이 부족하거나 한 문제가 있기 때문에, 그 적용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용접성이나 가공성이 우수한 철계의 제진 재료로서, 자벽 (磁壁) 이동 의 히스테리시스를 이용한 강자성형 제진 합금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 3 에는 Al, Si, Cr 등의 페라이트 포머 원소 중 적어도 1 종의 원소를 1% 이상 첨가한 고합금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페라이트 포머 원소의 첨가 목적은 ⅰ) 자왜 상수를 높여 손실 계수를 향상시키고, ⅱ) 고온 소둔시에 오스테나이트로의 역변태를 억제하고 결정 입자를 조대화시켜, 손실 계수를 향상시키는 2 점으로 집약된다. 그러나, 이러한 원소의 첨가는 제조 비용의 상승이나,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결정 입자의 조대화에 의해 손실 계수는 향상되지만, 인성의 저하나 가공시의 표면 거침 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페라이트 포머 원소의 첨가를 박판에 적용하면, 열간 압연시에 특이한 집합 조직이 형성되어, 리징이라고 불리는 표면 결함이 발생한다.
또한, 특허 문헌 4 ∼ 8 에는 Al, Si, Cr 등의 원소가 비교적 소량인 제진 합금이나 제진 강판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들 기술에서는 손실 계수가 높고, 우수한 가공성을 갖는 판두께 2.0㎜ 이하의 박판이 반드시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중, 판두께 2.0㎜ 이하의 박판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것은 문헌 2 만으로, 강자성형 제진 합금에 대한 견지는 박판 분야에서는 거의 얻어지지 않았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99148호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2-73118호
특허 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94408호
특허 문헌 4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96140호
특허 문헌 5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40236호
특허 문헌 6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43623호
특허 문헌 7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76780호
특허 문헌 8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04950호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다량의 Al, Si, Cr 등의 원소를 필요로 하지 않고, 손실 계수가 0.030 이상이 되는 양호한 제진성과 우수한 가공성을 갖는 판두께가 2.0㎜ 이하인 철계의 제진 합금 박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철계의 강자성형 제진 합금 박판의 제진성에 대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Al, Si, Cr 등의 합금 원소를 다량으로 첨가하지 않고, 결정 입경 및 최대 비투자율과 잔류 자속 밀도를 제어함으로써, 0.030 이상의 높은 손실 계수를 갖는 철계의 제진 합금 박판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견지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질량 % 로 C : 0.005% 이하, Si : 1.0% 미만, Mn : 0.05 ∼ 1.5%, P : 0.2% 이하, S : 0.01% 이하, Sol.Al : 1.0% 미만, N : 0.005%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성분 조성을 갖고, 또한 평균 결정 입경이 50㎛ 이상 300㎛ 이하, 최대 비투자율이 4000 이상, 잔류 자속 밀도가 1.10T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두께 2.0㎜ 이하의 제진 합금 박판을 제공한다.
상기 성분 조성에 있어서, 질량 % 로 Si : 0.5% 이상 1.0% 미만, P : 0.05% 이상 0.2% 이하, S : 0.002% 이하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진 합금 박판은 예를 들어, 상기의 성분 조성을 갖는 강을 열간 압연하고, 산세 (酸洗) 후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고, 연속 소둔할 때에 재결정 온도 이상 Ac1 변태점 미만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평균 결정 입경을 50㎛ 이상 300㎛ 이하로 하고, 0.1㎫ 이상 4.9㎫ 이하의 장력하에서 냉각시킴으로써 최대 비투자율을 4000 이상, 잔류 자속 밀도를 1.10T 이하로 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Al, Si, Cr 등의 합금 원소를 다량으로 첨가하지 않고, 0.030 이상의 높은 손실 계수를 갖고, 가공성이 우수한 철계의 제진 합금 박판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진 합금 박판은 자동차나 전기 등의 분야에서 판두께 2.0㎜ 이하의 박판을 사용하는 용도에 바람직하다.
도 1 은 소둔 냉각시의 장력과 손실 계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철계의 제진 합금 박판에서는 높은 자왜 상수나 극단적인 조립 (粗粒) 조직으로 하지 않아도, 진동 부여시에 자벽을 효과적으로 이동시켜 높은 제진성을 얻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 때문에, 자벽을 움직이기 어렵게 하는 결정 입자 내의 잔류 응력이나 소성 변형을 저감시키는 것에 본 발명의 포인트가 있다. 잔류 응력이 존재하는 경우, 그 잔류 응력을 완화시키도록 자구 (磁區) 구조가 동결되기 때문에, 진동 부여시의 자벽 이동이 효과적으로 실시되지 않아, 제진성이 저하된다. 또한, 소성 변형이 존재하는 경우, 소성 변형은 자벽 이동의 장애가 되기 때문에 진동 부여시의 자벽 이동이 효과적으로 실시되지 않아, 제진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자들은 페라이트 포머 원소인 Al 이나 Si 등의 합금 성분이 1% 미만인 철계의 제진 합금 박판의 손실 계수에 대해, 자구 구조의 동결 회피나 소성 변형의 저감이라는 관점에서 검토한 결과,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손실 계수는 최대 비투자율 및 잔류 자속 밀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성분 (이하의 「%」는 「질량 %」를 나타낸다)
C : C 량이 0.005% 초과하면, 탄화물이 형성되어 자벽 이동의 장애가 된다. 그러므로, C 량은 0.005% 이하, 바람직하게는 0.003% 이하로 한다.
Si : Si 는 본 발명의 과제인 양호한 제진성과 우수한 가공성을 얻기 위해서는 특별히 적극적으로 첨가할 필요는 없고, 불가피적 불순물로서 존재하는 정도의 양이면 된다 (0% 이어도 된다). 한편, Si 는 고용 강화에 의해 강판 강도를 높이는 데에는 매우 효과적인 원소이기도 하므로, 원하는 강도에 따라 적절히 Si 를 첨가할 수 있다. 그러나, Si 량이 1.0% 이상이면, 제조성이 저해되고, 비용이 상승하고, 리징이 발생하기 쉬워지므로, Si 량은 1.0% 미만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강판은 결정 입경을 50㎛ 이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Si 를 적극적으로 첨가하지 않으면 매우 연질이고, 하강복점이 170㎫ 미만으로 되어, 핸들링성이 나쁜 경우, 즉 핸들링시 (취급시) 에 변형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하강복점을 17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러기 위해서는 Si 량을 0.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n : Mn 은 황화물을 형성하여 열간 취성을 개선시키는 원소이고, 또한 고용 강화 원소이다.
그러므로, Mn 량은 0.05%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한편, 다량으로 첨가하면 가공성이 열화되기 때문에, Mn 량의 상한은 1.5% 로 한다.
P : P 는 본 발명의 과제인 양호한 제진성과 우수한 가공성을 얻기 위해서는 특별히 적극적으로 첨가할 필요는 없고, 불가피적 불순물로서 존재하는 정도의 양이면 된다 (0% 이어도 된다). 한편, P 는 고용 강화에 의해 강판 강도를 높이는 데에는 매우 효과적인 원소이기도 하므로, 원하는 강도에 따라 적절히 P 를 첨가할 수 있다. 그러나, P 량이 0.2% 를 초과하면, 가공성이 현저하게 열화되므로, P 량은 0.2%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강판은 결정 입경을 50㎛ 이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P 를 적극적으로 첨가하지 않으면 매우 연질이고, 하강복점이 170㎫ 미만으로 되어, 핸들링성이 나쁜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하강복점을 17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러기 위해서는 P 량을 0.0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 : S 량이 0.01% 를 초과하면, 황화물이 형성되어 자벽 이동의 장애가 된 다. 또한, 입자 성장성을 현저하게 저해한다. 그러므로, S 량은 0.01% 이하로 한다. 또한, S 량을 0.00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이하로 하면, 결정 입자의 성장성이 현격히 양호해져, 현저하게 손실 계수가 향상된다. 따라서, S 량을 0.002%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01%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l : Al 은 탈산 원소이지만, 미세한 AlN 을 석출시켜, 입자 성장을 억제하는 원소이기도 하다. 양호한 입자 성장성을 얻기 위해서는 Sol.Al 량을 0.004%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탈산 효과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AlN 이 조대화되어 입자 성장성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Sol.Al 량을 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Sol.Al 량이 1.0% 이상이면, 제조성이 저해되고, 비용이 상승하고, 리징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러므로, Sol.Al 량은 1.0% 미만으로 한다.
N : N 량이 0.005% 를 초과하면, 석출물이 형성되어 자벽 이동의 장애가 된다. 그러므로, N 량은 0.005% 이하, 바람직하게는 0.003% 이하로 하는데, 적을수록 바람직하다.
잔부는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인데, 특히 Ti, Nb, Zr 과 같은 원소는 미세한 석출물을 형성하고 입자 성장성을 방해하여 결정 입경을 작게 하기 때문에, 특히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양은 각각 0.003% 미만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01% 미만으로 제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2) 평균 결정 입경
본 발명의 제진 합금 박판에서는 자벽의 이동을 촉진시킴으로써 진동을 감쇠시키고 있기 때문에, 자벽 이동의 장애가 되는 결정 입계가 적을수록, 즉 결정 입경이 클수록 바람직하다. 효과적으로 자벽을 이동시켜 0.030 이상의 높은 손실 계수를 얻기 위해서는 평균 결정 입경을 50㎛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한편, 과도하게 결정 입경이 커지면 가공시에 표면 거침을 발생시키므로, 평균 결정 입경은 300㎛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3) 최대 비투자율
또한, 자벽 이동의 장애가 되는 것은 상기 서술한 석출물이나 결정 입계 외에, 결정 입자 내의 소성 변형이 있다. 결정 입자 내의 소성 변형은 최대 비투자율과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자벽 이동의 장애가 되지 않을 정도로 소성 변형을 저감시켜, 0.030 이상의 높은 손실 계수를 얻기 위해서는 최대 비투자율을 4000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4) 잔류 자속 밀도
또한, 결정 입자 내에 잔류 응력이 존재한 경우, 그 응력을 완화시키도록 정 (正) 자왜 방향이 응력 방향으로 배향하여 자구 구조가 동결되기 때문에, 제진성이 저하된다. 결정 입자 내의 잔류 응력은 잔류 자속 밀도와 밀접하게 관계되어, 자구 구조를 동결시키지 않을 정도로 잔류 응력을 저감시켜, 0.030 이상의 높은 손실 계수를 얻기 위해서는 잔류 자속 밀도를 1.10T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5)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제진 합금 박판은 예를 들어, 상기의 성분을 갖는 강을 열간 압연 하고, 산세 후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고, 연속 소둔할 때에 재결정 온도 이상 Ac1 변태점 미만의 온도로 가열하고, 0.1㎫ 이상 4.9㎫ 이하의 장력하에서 냉각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열간 압연은 압연에 앞서 강을 1000℃ 이상 1150℃ 미만으로 가열하고, 700℃ 이상의 마무리 온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가 1000℃ 이하이면, 700℃ 이상의 마무리 온도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고, 가열 온도가 1150℃ 이상이면, 미량 불순물이 고용되고, 열간 압연시나 그 후의 권취시에 미세하게 재석출되어, 소둔시의 입자 성장을 저해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마무리 온도가 700℃ 미만이면, 판 형상이 열화되기 쉬워진다.
열간 압연 후의 열연판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산세되고, 냉간 압연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판두께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6㎜ 이하의 냉연판이 된다. 또한, 판두께가 2.0㎜ 를 초과하면, 라인 통판 (通板) 변형이 커져, 연속 소둔 라인에서의 재결정 후의 통판이나, 그 후의 정정 (精整) 라인의 통판에 의해 큰 변형이 도입되어, 손실 계수가 저하된다. 이 관점에서도 판두께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6㎜ 이하로 한다. 또한, 구조 부재로서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0.5㎜ 를 초과하는 판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강자성형 제진 합금은 가공부의 손실 계수 열화가 현저하기 때문에, 가능한 한 경가공, 바꿔 말하면, 굽힘 가공 주체의 평판 구조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판 구조가 주체가 되는 강자성형 제진 합금의 판두께는 강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0.75㎜ 초과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를 초과하는 판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강판의 소둔에는 통상적으로 연속 소둔과 배치 소둔이 있는데, 배치 소둔의 경우에는 강판을 코일 형상으로 권취한 상태에서 소둔을 실시하기 때문에, 소둔 중에 권취 습성이 형성되어, 소둔 후에 권취 습성을 교정하기 위한 형상 교정이 필요하고, 이 때, 입자 내에 소성 변형이 도입되어, 최대 투자율이 저하되고, 손실 계수가 열화된다. 따라서, 소둔은 연속 소둔으로 할 필요가 있고, 냉간 압연 후의 냉연판은 평균 결정 입경이 50㎛ 이상 300㎛ 이하가 되도록 소둔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재결정 온도 이상 Ac1 변태점 미만의 온도로 가열할 필요가 있다. 재결정 온도 미만에서는 입자 내에 소성 변형이 잔류하기 때문에 4000 이상의 최대 비투자율이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Ac1 변태점 이상에서는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 2 상역 또는 오스테나이트 단상역이 되고, 냉각시에 페라이트 변태할 때에 입자 내에 변형이 부여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소둔은 다음에 서술하는 바와 같이, 냉각시에 장력 제어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재결정 후의 결정 입자 내의 잔류 응력을 저감시키기 위해, 소둔시의 냉각 과정에 있어서, 강판에 부여하는 장력을 낮게 할 필요가 있다. 높은 장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냉각된 경우, 장력 방향의 응력을 완화시키도록 자구 구조가 동결되기 때문에, 잔류 자속 밀도가 1.10T 를 초과한다.
도 1 에, 냉각시의 장력과 손실 계수의 관계를 나타내었는데, 4.9㎫ 이하의 장력이면 0.030 이상의 높은 손실 계수가 얻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장력을 현저하게 낮게 하면 강판이 사행 (蛇行) 하기 때문에, 장력은 0.1㎫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소둔 후에는 소성 변형을 도입하여 최대 비투자율을 저하시키는 조질 압연이나 레벨링은 실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최대 비투자율이 4000 이상을 유지하는 경도의 조질 압연이나 레벨링이면 실시해도 된다. 또한, 최대 비투자율이 4000 이상이고, 잔류 자속 밀도가 1.10T 이하를 만족시키는 범위에서, 강판의 표면에 아연, 크롬, 니켈과 같은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원소를 도금해도 된다.
실시예 1
표 1 에 나타내는 본 발명 범위 내의 성분을 갖는 강 슬래브를, 1100℃ 로 재가열하고, 810℃ 의 마무리 온도에서 열간 압연하고, 산세 후, 냉간 압연에 의해 판두께 0.8㎜ 의 냉연판으로 한 후, 880℃ 에서 2min 의 연속 소둔을 실시하고, 장력을 변경하여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또한, 표 1 에 나타내는 화학 성분 이외의 잔부는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이며, 특히 Nb, Ti, Zr 은 각각 0.001% 미만이었다. 또한, 재결정 온도는 사전에 20℃ 마다 온도를 변경한 소둔을 실시하고, 소둔 후의 조직을 관찰함으로써 재결정 온도를 구하여, 880℃ 가 재결정 온도 이상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Ac1 변태점은 열역학 계산에 의해 산출하여, 880℃ 가 Ac1 변태점 미만인 것을 확인하였다. 냉각 후의 강판으로부터 길이 250㎜, 폭 25㎜ 의 시료를 기계 가공에 의해 잘라내고, JIS G 0602 에 준거한 외팔보 자유 감쇠법에 따라, 손잡이부의 길이 50㎜, 자유 길이 200㎜ 에서 진동시켜, 그 진폭의 감쇠를 레이저 변위계로 측정하고, 하기 식에 의해 손실 계수를 구하였다.
손실 계수 = 1n (Xk / Xk +1) / π
여기서, Xk 는 k 번째의 진폭을 나타낸다.
또한, 손실 계수는 진동시의 재료의 변형량에 의존하기 때문에, 측정 중에 구해진 최대의 손실 계수를 각 시료에 있어서의 손실 계수로 하였다. 또한, 100㎜ 길이이고 10㎜ 폭의 직사각형을 기계 가공에 의해 4 개 잘라내고, JIS C 2550 (2000) 에 준거한 엡스타인법에 따라, 최대 비투자율과 잔류 자속 밀도 (최대 여자 (勵磁) 자계 3183A/m) 를 측정하였다. 또한, JIS G 0552 (1998) 에 준거한 절단법에 따라 평균 결정 입경을 측정하였다. 또한, 압연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JIS 5 호 인장 시험편을 사용하여, JIS Z 2241 에 준거한 인장 시험에 의해 기계 특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냉각시의 장력이 4.9㎫ 이하이면, 최대 비투자율이 4000 이상이고 또한 잔류 자속 밀도가 1.10T 이하로 되어, 0.030 이상의 높은 손실 계수가 얻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평균 결정 입경은 장력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고, 모두 68㎛ 이었다.
Figure 112008052630446-PCT00001
Figure 112008052630446-PCT00002
실시예 2
실시예 1 에서 0.2㎫ 의 장력을 부여하여 실온까지 냉각시킨 강판에, 그 후, 조질 압연을 실시하지 않은 것 (신장률 0%), 및 신장률을 변경하여 조질 압연을 실시한 것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손실 계수, 자기 특성, 평균 결정 입경, 기계 특성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신장률이 2% 이상이면, 결정 입자 내에 소성 변형이 도입되기 때문에, 최대 비투자율이 저하되어, 0.030 이상의 손실 계수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평균 결정 입경은 신장률에 따라 거의 변화하지 않고, 모두 66 내지 69㎛ 사이였다.
Figure 112008052630446-PCT00003
실시예 3
표 4 에 나타내는 성분을 갖는 강 슬래브를, 1090℃ 로 재가열하고, 900℃ 의 마무리 온도에서 열간 압연하고, 산세 후, 냉간 압연에 의해 판두께 1.2㎜ 의 냉연판으로 하였다. 이들 냉연판 A ∼ I 를 800℃ 에서 1min 의 연속 소둔을 실시하고, 0.2㎫ 의 장력을 부여하여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또한, 표 4 에 나타내는 화학 성분 이외의 잔부는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이며, 특히 Ti, Zr 은 각각 0.001% 미만이었다. 또한, 재결정 온도, Ac1 변태점은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구하여, 800℃ 가 재결정 온도 이상 Ac1 변태점 미만인 것을 확인하였다. 냉각 후의 강판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손실 계수, 자기 특성, 평균 결정 입경, 기계 특성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본 발명 범위 내의 성분을 갖는 냉연판 A, C, E, F, G, H, I 는 입자 성장성이 우수하고, 0.030 이상의 높은 손실 계수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S 량이 0.001% 또는 0.0005% 로 낮은 냉연판 A, I 는 입자 성장성이 현저하게 우수하고, 0.040 이상의 매우 높은 손실 계수를 갖는다. 한편, C 량과 S 량이 본 발명 범위 외인 냉연판 B 또는 C 량이 본 발명 범위 외이고, Nb 가 첨가된 냉연판 D 는 입자 성장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높은 손실 계수가 얻어지지 않았다. 또한, 0.5% 이상의 Si 또는 0.05% 이상의 P 를 첨가한 냉연판 C, F, G, H, I 는 0.030 이상의 높은 손실 계수를 가짐과 함께, 170㎫ 이상의 높은 하강복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핸들링성이 양호하였다.
Figure 112008052630446-PCT00004

Claims (5)

  1. 질량 % 로 C : 0.005% 이하, Si : 1.0% 미만, Mn : 0.05 ∼ 1.5%, P : 0.2% 이하, S : 0.01% 이하, Sol.Al : 1.0% 미만, N : 0.005%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성분 조성을 갖고, 또한 평균 결정 입경이 50㎛ 이상 300㎛ 이하, 최대 비투자율이 4000 이상, 잔류 자속 밀도가 1.10T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두께 2.0㎜ 이하의 제진 합금 박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조성에 있어서, 질량 % 로 Si : 0.5% 이상 1.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두께 2.0㎜ 이하의 제진 합금 박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조성에 있어서, 질량 % 로 P : 0.05% 이상 0.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두께 2.0㎜ 이하의 제진 합금 박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조성에 있어서, 질량 % 로 S : 0.00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두께 2.0㎜ 이하의 제진 합금 박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성분 조성을 갖는 강을 열간 압연하고, 산세 후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고, 연속 소둔할 때에 재결정 온도 이상 Ac1 변태점 미만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평균 결정 입경을 50㎛ 이상 300㎛ 이하로 하고, 0.1㎫ 이상 4.9㎫ 이하의 장력하에서 냉각시킴으로써 최대 비투자율을 4000 이상, 잔류 자속 밀도를 1.10T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두께 2.0㎜ 이하의 제진 합금 박판의 제조 방법.
KR1020087017978A 2006-02-21 2007-02-06 제진 합금 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0320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43711 2006-02-21
JP2006043711 2006-02-21
JPJP-P-2006-00295514 2006-10-31
JP2006295514A JP5186753B2 (ja) 2006-02-21 2006-10-31 制振合金薄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980A true KR20080081980A (ko) 2008-09-10
KR101032007B1 KR101032007B1 (ko) 2011-05-02

Family

ID=38437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7978A KR101032007B1 (ko) 2006-02-21 2007-02-06 제진 합금 박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022618A1 (ko)
EP (1) EP1980636A1 (ko)
JP (1) JP5186753B2 (ko)
KR (1) KR101032007B1 (ko)
CN (1) CN101389779B (ko)
WO (1) WO20070972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8672B2 (ja) * 2006-02-21 2012-08-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制振合金薄板の製造方法
EP2919404B1 (en) * 2014-03-10 2016-07-20 Alcatel Lucent Multiplexing system and demultiplexing system for WDM channel transmission
JP6557526B2 (ja) * 2014-06-26 2019-08-0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軟磁性鋼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鋼板、ならびに軟磁性鋼板の製造方法
JP6370275B2 (ja) 2015-08-17 2018-08-08 日新製鋼株式会社 制振性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材および製造方法
JP6370276B2 (ja) 2015-08-17 2018-08-08 日新製鋼株式会社 高Al含有制振性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材および製造方法
JP6427290B1 (ja) * 2017-11-22 2018-11-21 株式会社Uacj 磁気ディスク用アルミニウム合金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当該磁気ディスク用アルミニウム合金基板を用いた磁気ディスク
CN112662942B (zh) * 2020-11-19 2022-04-19 南京钢铁股份有限公司 阻尼钢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3741A (ja) * 1989-12-12 1991-08-09 Nkk Corp 振動減衰特性に優れた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329506A (ja) * 1992-05-28 1993-12-14 Nippon Steel Corp 高靱性を有する制振構造物の製造方法
JP2000234152A (ja) * 1998-12-15 2000-08-29 Nippon Steel Corp 磁気シールド構造用鋼およびその厚鋼板の製造方法
JP4023088B2 (ja) * 2000-12-25 2007-12-19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電磁石アクチュエータ部品用軟磁性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2002294408A (ja) * 2001-03-30 2002-10-09 Nippon Steel Corp 鉄系制振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69970B2 (ja) * 2002-02-20 2008-04-0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内部磁気シールド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内部磁気シールド
JP2005060785A (ja) * 2003-08-15 2005-03-10 Jfe Steel Kk 内部磁気シールド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30102B2 (ja) * 2005-03-17 2011-07-2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接性に優れた低降伏比高張力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98672B2 (ja) * 2006-02-21 2012-08-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制振合金薄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254880A (ja) 2007-10-04
WO2007097216A1 (ja) 2007-08-30
JP5186753B2 (ja) 2013-04-24
US20090022618A1 (en) 2009-01-22
EP1980636A1 (en) 2008-10-15
KR101032007B1 (ko) 2011-05-02
CN101389779A (zh) 2009-03-18
CN101389779B (zh) 201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007B1 (ko) 제진 합금 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6112273B1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熱延鋼板および熱延焼鈍板、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101606946B1 (ko) 고강도 스테인리스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JP3064871B2 (ja) 成形加工後の耐肌あれ性および高温疲労特性に優れる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熱延鋼板
KR101850231B1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KR101029229B1 (ko) 제진 합금 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6036615B2 (ja) 溶接性および耐疲労き裂伝ぱ特性に優れた溶接構造物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952649B2 (en) High-strength stainless steel
JP4606113B2 (ja) 比例限界応力の高い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材および製造法
JP3613387B2 (ja) 成形加工後の耐肌あれ性および高温疲労特性に優れる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熱延鋼板
JP3492026B2 (ja) 高強度高靱性制振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2155180A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2069229A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0015969A (ja) スポット溶接部の強度と耐食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オーステナイト二相ステンレス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493447B2 (ja) タッピング性に優れた高強度電縫鋼管製自動車用フレーム材の製造方法
JP2718550B2 (ja) 疲労特性の優れた強加工用高強度熱間圧延鋼板の製造方法
JPH09157794A (ja) 制振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227997A (ja) 制振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252596A (ja) 複層制振鋼
JPH09143624A (ja) 制振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1110020A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材及び制振部材
JPH09170049A (ja) 制振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143623A (ja) 制振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176780A (ja) 制振性に優れた高強度鋼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268458A (ja) 高振動減衰能を有し、靭性の優れた機械構造用鋼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