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9970A - 맛사지 장치 - Google Patents

맛사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9970A
KR20080079970A KR1020070030198A KR20070030198A KR20080079970A KR 20080079970 A KR20080079970 A KR 20080079970A KR 1020070030198 A KR1020070030198 A KR 1020070030198A KR 20070030198 A KR20070030198 A KR 20070030198A KR 20080079970 A KR20080079970 A KR 20080079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e
shape
protrusions
driv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0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유키 타케다
카츠히코 요시다
테츠야 카미무라
후지에 하야카와
Original Assignee
트윈버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윈버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트윈버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9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99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4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power-driven, e.g. electrical
    • A61H7/005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power-driven, e.g. electrical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2Enhanced rubbing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1Scal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 Brush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세발(洗髮) 및 두피(頭皮)를 맛사지 할 경우, 시료부(施療部)에 의해서 우수하고 또 효과적인 두피의 맛사지 및 세발을 할 수 있는 맛사지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가요성(可撓性)과 탄성을 갖는 기부(基部)(18)와 이 기부(18)의 면과 교차하도록 기부(18)에 설치된 복수의 돌기(19)~(22)로 이루어진 시료부(3)를 구동부인 본체(2)의 프레임(8)과 본체(2) 안에 있는 왕복구동수단(7)이 본체(2)에 대한 위치관계가 고정된 상태에서 착탈자재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왕복구동수단(7)에 의해 기부(18)를 그 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반복하여 휘어지게 함으로서, 각 돌기(19)~(22)에 의해서 두피(S)를 세척 또는 맛사지를 하게 되고, 시료부(3)를 본체(2)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복수의 돌기(19)~(22) 선단을 연결한 가상면(假想面)이 무부하(無負荷)상태에서 왕복구동수단(7)의 상태에 의존하지 않고, 항상 요입(凹)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복수의 돌기(19)~(22) 선단이 두피(S)의 돌출(凸) 곡면을 꽉꽉 잘 눌러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맛사지, 두피, 시료부, 기부.

Description

맛사지 장치{Massag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맛사지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맛사지 장치의 우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맛사지 장치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맛사지 장치의 무부하 상태 하에서의 동작설명도로, (a)는 기부가 최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b)는 기부가 최내측으로 당겨진 상태를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맛사지 장치의 유부하 상태 하에서의 동작설명도로, (a)는 기부가 최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b)는 기부가 최내측으로 당겨진 상태를 도시한다.
* 도면의 부호에 대한 설명 :
1. 맛사지 장치 2. 본체 (구동부)
3. 시료부(施療部) 7. 왕복구동수단
8. 프레임 18. 기부(基部)
19. 제1돌기 20. 제2돌기
21. 제3돌기 22. 제4돌기
L1. 돌기의 길이(제1돌기)
L2. 돌기의 길이(제2돌기)
L3. 돌기의 길이(제3돌기)
L4. 돌기의 길이(제4돌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1-258794호 공보
본 발명은 동력 구동 맛사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체의 머리를 세정하거나 맛사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맛사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것으로는 예를 들어, 모터를 내장한 케이싱에 탄성부재를 매개하여 진동 헤드를 설치하고, 이 진동헤드 내에 상기 모터의 모터 축을 돌설시켜 이 모터 축에 진동자를 편심되게 고정시키고, 여기에 상기 진동헤드의 일 측면에 유연한 물질로 이루어진 브러시를 고정시킨 맛사지겸 전동 세발(洗髮) 브러시가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이와 같은 맛사지 겸용 전동 세발 브러시에 있어서는, 유연한 물질로 구성된 상기 브러시는 원반 모양으로 형성된 기부으 로 된 브러시 본체부와, 이 브러시 본체부의 일 측면에 다수 돌설된 돌기로 이루어진 침상의 몸체 조각편으로 이루어지고, 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진동 헤드에 내장되어 있는 진동자의 편심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진동 헤드와 브러시를 거쳐 두피에 전달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브러시는 유연한 물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두피를 손상치 않고 모혈(毛穴)에 끼어 있는 지방분을 제거하고 동시에 맛사지를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세발과 동시에 두피의 맛사지 등을 수행할 때에, 전술한 진동헤드에 내장되어 있는 진동자의 편심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진동헤드 및 유연물질로 구성된 상기 브러시에 의해 두피에 전달되므로 상기 브러시는 두피에 대해서 단순히 진동만 하게 되어 두피의 맛사지를 충분히 할 수 없을뿐 만 아니라, 두피의 오염부위를 충분하게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해결하여, 세발 및 두피의 맛사지 등을 수행할 경우에 시료부에 의해 우수하고 또한 효과적인 두피의 맛사지 및 세정을 수행하기 위한 맛사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맛사지 장치는 구 동부와, 이 구동부에 의해 작동되는 시료부(施療部)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시료부의 기부의 주연을 상기 구동부에 대한 위치 관계가 고정된 상태에서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프레임을 가짐과 함께, 상기 기부의 중심 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기부을 긁어주는 왕복구동수단을 가지며, 여기서 상기 시료부는 가소성 및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기부과 그 기부 상으로 돌출되도록 된 복수의 돌기로 구성된 맛사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료부가 상기 프레임 및 왕복구동수단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복수의 상기 돌기의 선단에 의해 형성된 가상면이 무부하 상태에서는 상기 왕복구동수단의 상태에 관계없이 항상 요(요입(凹))상으로 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른 청구항 2에 기재된 맛사지 장치는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료부가 상기 프레임 및 왕복구동수단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상기 왕복구동수단이 최대한 외측으로 돌출된 경우의 상기 기부과의 형상이 상기 기부의 자연 상태(휴지상태)와 동일하거나 또는 기부이 자연 상태인 때의 형상보다 내측으로 약간 당겨진 때의 형상과 같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른 청구항 3에 기재된 맛사지 장치는 청구항 1 또는 2 에 따른 맛사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부이 자연상태에서 외측으로 철(돌출(凸))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른 청구항 4에 기재된 맛사지 장치는 청구항 3에 따른 맛사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료부가 상기 프레임 및 왕복구동수단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상기 왕복구동수단이 최대한 내측으로 끌어 들여진 경우의 상기 기 부의 형상이 상기 기부의 중앙부가 그 외주부보다 더 오목한 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른 청구항 5에 기재된 맛사지 장치는 청구항 1 내지 4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맛사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기부의 중앙으로부터 외주로 갈수록 상기 돌기의 길이가 점진적으로 길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른 청구항 6에 기재된 맛사지 장치는 청구항 1 내지 5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맛사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부의 상기 표면의 형상이 정면형상으로 실질적으로 원형이거나 또는 타원형상으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맛사지 장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 상기 시료부의 기부의 주연이 상기 프레임에 의해 잡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기부의 중앙부가 왕복구동수단에 의해서 상기 기부의 중심 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빗겨날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돌기를 반복적으로 열고 닫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런 다음 상기 돌기를 두피에 접하게 함으로 두피를 효과적으로 세정하거나 맛사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왕복구동수단의 상태에 관계없이 상기 복수의 돌기의 선단에 의해 형성된 가상면은 항상 오목한(요입(凹)) 상태를 가지므로 복수의 상기 돌기의 선단은 두피 등에 용이하게 접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시에 상기 시료부의 기부가 최대한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이 이 기부의 자연 상태의 형상과 같게 되거나 또는 기부이 자연 상태인 때의 형상보 다 내측으로 약간 당겨진 때의 형상과 같으므로, 상기 기부의 탄성에 의한 그의 복원력이 상기 왕복구동수단에 가해질 때 상기 기부가 자연상태로 복원되는 경우를 제하고는 상기 왕복구동수단이 외측으로 지속적으로 당겨지고, 이에 의해 상기 왕복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기부를 외측으로 밀어낼 때에, 상기 기부는 복원됨과 동시에 상기 왕복구동수단에 의해 밀려짐으로써, 상기 기부가 상기 기부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비스듬히 밀려지지 않게 되고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복원되고, 따라서 두피 또는 환부의 맛사지 등을 양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시료의 기부는 자연상태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왕복구동수단에 의해서 기부를 끌어당길 경우, 그 기부를 휘게 하여 쉽게 면방향으로 끌어당겨 줄 필요가 없게 되므로, 상기 시료부의 기부를 변형시키기 위한 파워는 약하여도 된다. 따라서 소비전력은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돌출(凸) 형상의 기부를 끌어들여, 중앙부가 외주 부위보다 요입(凹)의 형상이 될 때까지 변형시켜 상기 기부는 돌출(凸) 상태와 요입(凹) 상태 사이에서 반복하여 휘어지게 됨으로서 상기 기부에 형성된 돌기는 크게 움직이게 되어 효과적으로 두피나 환부의 맛사지를 할 수 있게 된다.
또, 복수의 돌기는 기부의 중앙에서 외주쪽으로 갈 수록 돌기의 길이가 점점 더 길며, 외주측 돌기의 가요성은 커지게 되므로, 기부의 중앙에서 외주에 걸쳐 위치하는 돌기는 각기 서로 다른 자극을 각기 두피에 주게 되므로 보다 양호한 맛사지와 세정을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시료부를 프레임에 고정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왕복구동수단의 상태에 의존하지 않고, 복수의 돌기 선단을 연결한 가상면이 반 드시 요입(凹)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복수의 돌기 선단은 머리 등의  돌출(凸) 곡면이 효과적이고 적절하게 눌러줄 수 있다.
특히, 자연상태에서 상기 기부의 복수 돌기의 선단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면의 요입(凹) 곡면을 인체의 머리 두정부(頭頂部) 등의 돌출(凸) 곡면에 서로 대응토록 함으로서, 복수 돌기의 선단은 인체의 머리 등의 돌출(凸) 곡면에 잘 접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내지 도 3 의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전후 상하 좌우를 규정한다, 도면에서 1 은 본 발명의 맛사지 장치이다. 이 맛사지 장치(1)는 구동부로서 본체(2)와 이 본체(2)에 대하여 착탈자재하게 지지된 시료부(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2)는 합성수지등에 의해 구성된 외곽체(4)에 2차전지(5)와 도시되어 있지 않는 제어회로와 이들 2차전지(5) 및 제어회로에 의해 작동되는 전동기(6) 및 이 전동기(6)의 구동축(6A)의 회전을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왕복구동수단(7)을 수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외곽체(4)에는 시료부(3)를 고정시키는 위한 프레임(8)로 구성되어 있다.
정면에서 보면, 타원모양의 취부판(9)이 있고, 동시에 이 취부판(9)의 중앙부에는 내외를 관통하는 원형의 창공(1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창공(10)은 신축가능한 덮개(11)에 의해 덮어씌워져 있다. 그러나 이 덮개(11)는 가요성을 가지는 사복(蛇腹) 모양의 판재에 의해서 상기 창공(10)을 수밀상태에서 봉할 수 있도록 되 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 왕복구동수단(7)은 전동기(6)의 구동축(6A)에 감속기구(12)에 의해 접속되는 크랭크기구(13)와, 이 크랭크기구(13)의 편심축(13A)에 기단(14A)측이 접속되어 있어, 이 편심축(13A)의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콘로드부재(1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덮개(11)의 몸통부에 형성된 중앙부(11A)는 상기 콘로드부재(14)의 선단(14B)측과 접속 중계부재(15)에 의해서 안밖으로 좁혀지도록 되어 있고, 이 콘로드부재(14)의 선단(14B)측과 접속 중계부재(15)를 나사(N)로 고정시킨다. 또 상기 접속 중계부재(15)의 바깥쪽에는 후크(16)가 있다.
그리하여 이 후크(16)는 상기 크랭크기구(13)에 의해서 전동기(6)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2)에 대해서 출몰하는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후크(16)의 왕복운동에 따라 앞에서 설명한 사복모양의 덮개(11)가 수밀상태를 유지한 체 휘어지게 된다. 또, 상기 후크(16)의 진폭은 편심축(13A)의 편심거리(F)의 2배(2F)가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외곽체(4)에는 전동기(6)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17)가 달려있다.
상기 시료부(3)는 가요성 및 탄성을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에 의해서 일체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시료부(3)는 기부(18)와 이 기부(18)에 설치된 4종류의 돌기(19) ~ (2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부(18)는 정면에서 볼 때 대략 타원모양이고, 동시에 자연상태에서 중앙부가 외측으로 경사져 있는 돌출(凸) 곡면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기부(18)는 그 외주에 리브(18A)가 전주에 걸쳐 일체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리브(18A)의 내측에, 상기 본체(2)의 취부 판(9)의 프레임(8)과 끼워맞춰 고정시키는 계지부(18B)가 형성되어 있다. 다만, 여기서 말하는「고정」이란 다소의 움직임을 허용하면서 고정시키는 상태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 상기 기부(18)의 이면에는 중심부에 상기 후크(16)를 받치는 받침부(8C)가 있다.
또, 상기 기부(18)의 외주부위에는 기부(18)의 중심축선 X를 중심으로 하여, 복수의 제1돌기(19)가 환열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제1돌기(19)의 내측에는 상기 중심축선 X를 중심으로 하여, 복수의 제2돌기(20)가 환열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제2돌기(20)의 내측에는 상기 중심축선 X를 중심으로 하여, 복수의 제3돌기(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제3돌기(21)는 원호상으로 된 군을 두 개의 축대칭으로 형성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 제3돌기(21)의 내측에는 중심축 X를 중심으로 하여 복수의 제4돌기(22)가 환열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돌기(19) 내지 제4돌기(22)의 길이 L1 ~ L4는 L1 > L2 >L3 > L4가 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1돌기(19), 제2돌기(20), 제4돌기(22)는 모두 그 선단측이 아주 가늘게 되어 있으며, 동시에 그 선단이 둥근 막대모양( 꼭지각이 작은 원추모양 )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3돌기(21)는 꼭지각이 비교적 큰 원추모양으로 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 제3돌기(21)의 선단은 타의 돌기(19), (20), (22)의 선단보다 더 뾰죽한 모양을 하고 있으며, 동시에 상기 제3돌기(21)의 기단은 타의 돌기(19), (20), (22)의 기단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3돌기(21)는 외력에 의해서 휘어지는 것이 다른 돌기(19), (20), (22) 보다는 더 어렵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8)에 시료부(3)의 계지부(18B)를 끼워 맞추고, 동시에 상기 후크 받침부(18C)에 후크(16)를 걸어 둔 상태, 즉 시료부(3)를 프레임(8) 및 왕복구동수단(7)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상기 후크(16)가 하사점에 있는 상태에서 기부(18)의 형상은 그 기부(18)의 자연상태 형상과 거이 같다. 역으로, 상기 후크(16)가 상사점에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기부(18)는 그 외주보다 중앙부가 안으로 들어간 L곡면 형상을 하게 된다(편의상 상기 후크(16)이 가장 돌출된 상태를 “하사점”, 상기 후크(16)이 가장 들어 간 상태를 “상사점”이라 한다). 그리하여, 상기 후크(16)가 하사점에 있는 경우, 즉 상기 기부(18)의 중앙부가 가장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돌기(19)의 높이는 가장 높고, 상기 제4돌기(22)의 높이는 가장 낮다. 그리하여 이들 돌기(19 ~ 22)의 선단을 연결한 가상곡면을 형성하면 요입(凹) 곡면상을 이루게 된다. 또, 상기 제1돌기(19)는 시료부(3)가 프레임(8)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왕복구동수단(7)에 의하지 않고 [후크(16)가 상사점에 있거나 하사점에 있거나 또는 그 중간에 있더라도] 상기 취부판(9)으로 부터의 높이거리(H1)가 상기 제2돌기(20)의 높이거리(H2) 보다도 항상 크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상기 제2돌기(20)는 그 높이거리(H2)가 제3돌기(21)의 높이거리(H3)보다 항상 크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또 상기 제3돌기(21)는 그 높이거리(H3)가 제4돌기(22)의 높이거리(H4)가 항상 크도록 형성되어 있다 ( H1 > H2 > H3 > H4 ).
그러나, 도 3 내지 도 5에서, 전술한 모든 돌기(19 ~ 22)에 대해서 기재하게 되면 선이 들어가 복잡하게 되는 것으로, 그 설명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에 필요한 돌기(19 ~ 22)만 기재하고, 그 이외의 돌기(19 ~ 22)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세발시에 두피(S)를 맛사지하거나 부드럽게 문지를 경우, 사용자는 우선 앞에서 설명한 시료부(3)를 손으로 잡고, 이 시료부(3)의 기부(18)의 뒷면 중앙에 있는 후크 받침부(18C)를 후크(16)에 건 다음, 계지부(18B)를 프레임(8)에 끼워맞추어 시료부(3)의 본체(2)를 고정시킨다. 이와같이 시료부(3)가 본체(2)에 붙어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맛사지장치(1)의 본체(2)를 손으로 잡고, 상기 시료부(3)의 각 돌기(19 ~ 22)의 선단이 두피(S)를 꼭 꼭 눌러주도록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왕복구동수단의 상태와는 관계없이, H1 > H2 > H3 > H4 이므로, 각 돌기(19 ~ 22)의 선단을 연결한 전술한 가상면은 항상 요입(凹) 곡면상을 이루므로, 각 돌기(19 ~ 22)의 선단이 두피(S)의  돌출(凸) 곡면을 쉽게 눌러줄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스위치(17)를 켜면, 상기 2차 전지(5)로부터 전력이 급전되어지므로, 상기 전동기(6)가 작동하여 구동축(6A)이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서 상기 감속기구(12)에 구동축(6A)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크랭크기구(13)가 회전하게 되고, 이 크랭크기구(13) 및 이 크랭크기구(13)의 편심축(13A)에 연결되어 있는 콘로드부재(14)에 의해서 상기 구동축(6A)의 회전운동이 왕복운동으로 변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콘로드부재(14)에 연결되어 있는 접속중계부재(15) 및 후크(16)가 본체(2)에 대해서 출몰하는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취부판(9)의 창공(10)은 덮개(11)에 의해 수밀상태로 봉하여져 있기 때문에 상기 창공(10)으로부터 본체(2)내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 상기 덮개(1)는 가요성을 갖는 재질에 의해서 사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콘로드부재(14) 및 접속중계부재(15)의 왕복운동에 따라 휘어지는 것으로, 상기 창공(10)의 봉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후크(16)가 출몰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되어, 이 후크(16)에 걸려 있는 후크 받침부(18C)를 갖는 시료부(3)의 기부(18)의 중앙주도 출몰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 때에 상기 기부(18)의 외주연에 형성된 계지부(18B)는 상기 프레임(8)에 끼워 맞추어져 있으므로, 상기 기부(18)의 외주연이 본체(2)에 대해서 위치관계가 고정되어 있어 상기 기부(18)의 중앙부가 출몰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더라도, 상기 기부(18)의 외주연이 움직이지 않으므로, 상기 기부(18)는 그 기부(18)의 면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만곡 돌출(凸) 형상과 내측으로 들어간 만곡 요입(凹) 상태와의 사이에서 반복하여 휘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기부(18)는 후크(16)가 걸려있는 상기 후크 받침부(18C), 즉 상기 기부(18)의 중앙이 최대 진폭개소가 됨과 동시에 그 진폭은 전술한바와 같이 상기 크랭크기구(13)의 중심에서 편심축(13A)까지의 편심거리(F)의 2배 (2F)가 된다. 그리하여 상기 시료부(3)의 기부(18)가 자연상태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동시에 상기 프레임(8) 및 왕복구동수단(7)에 시료부(3)를 접속시킨 상태에서, 상기 후크(16)가 하사점에 있을 때의 기부(18)의 형상이 상기 기부(18)의 자연상태에서의 형상과 같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왕복구동수단(7)에 의해서 상기 기부(18)를 당길 때에는 기부(18)의 탄성에 대항하여 그 기부(18)가 휘어지면서 당겨지고, 상기 왕복구동수단(7)에 의해서 기부(18)를 압출할 때에는 복원하는 기부(18)에 당겨지는 형태에서 상기 왕복구동수단(7)이 압출되어지므로 상기 기부(18)는 그 복원방향에서 미끄러지는 방향으로 눌리면서 거의 균일하게 복원하므로 두피(S)의 맛사지를 양호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왕복구동수단(7)에 의해서 기부(18)를 당기게 되므로 그 기부(18)를 휘게하여 그 기부(18)의 면방향으로 당길 필요는 없으므로 상기 기부(18)를 변형시키기 위한 파워는 작아도 상관 없고, 따라서 소비전력을 억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기부(18)가 바깥쪽으로 돌출한 만곡 돌출(凸) 형상과 내측으로 들어간 만곡 요입(凹) 상태 사이에서 반복하여 휘게 하면 그 기부(18)에 일체로 형성된 각 돌기(19 ~ 22)를 움직이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무부하의 경우에 전술한 각 돌기(19 ~ 22)는 상기 후크(16)이 하사점에 있는 상태, 즉 상기 기부(18)가 가장 많이 돌출한 상태에서는 그 선단이 넓혀진 상태( 열린 상태 )에 있게 되고, 또 상기 후크(16)이 상사점에 있는 상태, 즉 상기 기부(18)가 가장 많이 들어 간 상태에서는 전체로서 그 선단이 좁혀진 상태( 닫힌 상태)가 된다. 이로부터 각 돌기(19 ~ 22)는 상기 중심축선(X)을 중심으로 하여 그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하거나,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을 반복하여 이로 인하여 상기 두피(S)를 부드럽게 눌러주도록 하여 맛사지를 하게 된다.
이하, 두피(S)를 맛사지할 때 각 돌기(19 ~ 22)의 동작에 대해 상술한다. 상기 기부(18)가 왕복구동수단(7)에 의해서 가장 바깥쪽으로 돌출한 만곡 돌출(凸) 형상과 내측으로 들어간 만곡 요입(凹) 상태 사이에서 반복하여 휘도록 하면, 각 돌기(19 ~ 22) 가운데 비교적 휘어지기 어려운 제3돌기(21)는 그 선단이 항상 두피(S)에 대해 닿을 수 있게 눌러주는 경우, 머리가 흔들리는 방향으로 약간 휘어지게 되고, 그 선단이 두피(S)를 마찰할 수 있도록 움직이므로 이 제3돌기(21)에 의해서 두피(S)가 세정 및 맛사지를 하게 된다. 특히, 본 예시에서는 상기 제3돌기(21)의 자극을 주는 선단이 비교적 그 끝이 뾰죽하므로 이 제3돌기(21)에 의해 두피(S)는 자극을 받으면서 양호한 세정과 맛사지를 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제3돌기(21) 보다 더 길고, 휘어지기 쉬운 상기 제1돌기(19) 및 제2돌기(20)는 그 선단이 두피(S)에 닿을 수 있도록 눌러주는 경우, 상기 기부(18)가 가장 외측으로 돌출한 만곡 돌출(凸) 형상과 가장 안쪽으로 들어간 만곡 요입(凹) 상태 사이에서 반복하여 휘도록 하면 머리가 흔들리는 방향으로 크게 휘어지게 된다. 그리하여 그때에 휘어진 상태인 상기 제1돌기(19) 및 제2돌기(20)는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두피(S)는 자극을 받아 세정 및 맛사지가 이루어진다. 또, 상기 제1돌기(19)와 제2돌기(20)는 휘어지기 쉽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3돌기(21)에 의해 항상 확실하게 두피(S)에 계속하여 접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제3돌기(21)에 의한 두피(S)의 자극을 언제나 지속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제3돌기보다 짧은 제4돌기(22)는 기부(18)가 가장 외측으로 만곡 돌출(凸) 상태에 두피(S)에 닿더라도 상기 기부(18)가 가장 안쪽으로 들어간 만곡 요입(凹) 상태에서는 두피(S)에 대해 떨어져 있다. 이것은 상기 기부(18)가 가장 안쪽으로 들어간 만곡 요입(凹) 상태에서 상기 제3돌기(21)의 선단과 제4돌기(22)의 선단을 연결한 요입(凹) 곡면의 곡율이 두피(S)의 곡율보다 크기 때문이다. 이와같은 것은 특별히 본 예시 에서 상기 제3돌기(21)가 보다 더 어렵게 휘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은 상기 제4돌기(22)가 두피(S)에 대해 그의 접촉과 이탈을 반복하는 것을 조장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상기 제4돌기(22)가 두피(S)에 대해 접촉과 이탈을 반복함으로서 두피(S)는 상기 제4돌기(22)에 의해서 가볍게 세정 및 맛사지를 하게 된다.
특히, 본 예시에서는 상기 제4돌기(22)는 그 선단이 비교적 굵고, 또 그 기단이 비교적 섬세한 대략 막대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제3돌기(21)보다 휘어지기 쉽게 되어 있어, 상기 제4돌기(22)가 두피(S)에 닿았을 때 휘어지게 되어, 두피(S)에 필요 이상의 자극을 주지 않게 되어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4돌기(22)의 기단이 비교적 섬세하여 이 제4돌기(22)의 기단부가 상기 기부(18)의 휨을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각 돌기(19 ~ 22)는 각각 서로 다른 자극을 두피(S)에 주게 되므로 두피(S)에 대해 보다 양호한 맛사지와 세정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시료부(3)는 그 사용을 반복함으로써 더러워지거나 파손되어지므로 적의 교환할 필요가 발생한다. 따라서 시료부(3)를 상기 본체(2)로부터 떼어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기 계지부(18B)와 프레임(8)과의 계합을 푼 다음, 상기 후크(16)에서 후크 받침부(18C)를 떼어내면, 시료부(3)가 본체(2)에서 떨어지게 된다. 그런 다음, 새로운 시료부(3) 또는 깨끗이 세척한 시료부(3)를 전술한 순서에 따라 본체(2)에 다시 붙이게 되면, 다시 상기 맛사지장치(1)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맛사지장치(2)는 가요성과 탄성을 갖는 기부(18)와 이 기부(18)의 면과 교차하도록 기부(18)에 설치된 복수의 돌기(19 ~ 22)로 이루어진 시료부(3)를 구동부인 본체(2)의 프레임(8) 및 상기 본체(2) 안에 있는 왕복구동수단(7)에, 상기 본체(2)에 대한 위치관계가 고정된 상태에서 착탈자재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상기 왕복구동수단(7)에 의해 기부(18)를 그 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반복하여 휘어지게 함으로서, 각 돌기(19 ~ 22)에 의해서 두피(S)를 세척 또는 맛사지를 하게 되고, 상기 시료부(3)를 본체(2)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복수의 돌기(19 ~ 22) 선단을 연결한 가상면이 무부하 상태에서 상기 왕복구동수단(7)의 상태에 의존하지 않고, 항상 요입(凹)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되어있어서, 복수의 돌기(19 ~ 22) 선단이 두피(S) 등의 돌출(凸) 곡면을 꽉 잘 눌러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맛사지장치(1)는 상기 시료부(3)를 프레임(8) 및 왕복구동수단(7)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그 왕복구동수단(7)이 가장 바깥쪽으로 돌출된 경우의 기부(18)의 모양이 그 기부(18)의 자연상태 형상과 같거나, 약간 안쪽으로 당겨진 경우와 같은 것으로, 상기 기부(18)의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서 기부(18)가 자연상태로 복원된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 왕복구동수단(7)의 콘로드부재(14)가 바깥쪽으로 당겨져 여기에 상기 기부(18)를 바깥쪽으로 압출시켰을 때 복원되는 상기 기부(18)에 이끌리는 형태로 상기 왕복구동수단(7)의 콘로드부재(14)가 압출되어 상기 기부(18)가 그 복원방향을 빗나가는 방향으로 눌러주고, 거이 균일하게 복원하게 됨으로 두피(S)의 맛사지가 양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맛사지장치(1)는 상기 기부(18)를 자연상태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상기 왕복구동수단(7)에 의해 상기 기부(18)를 끌어드리는 경우, 그 기부(18)가 휘어지도록 만 하면 되고, 이 기부(18)를 면방향으로 펼쳐 줄 필요는 없으므로 상기 시료부의 기부(18)를 변형시키기 위한 파워는 약하여도 된다. 따라서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맛사지장치(1)는 프레임(8) 및 왕복구동수단(7)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시료부(3)의  돌출(凸) 형상을 갖는 기부(18)를 잡아당겨 그 중앙부가 외주부보다 들어가도록 하여 요입(凹) 형상으로 변형시키고, 상기 기부(18)를 만곡 돌출(凸) 상태와 만곡 요입(凹) 상태에서 반복하여 휘도록 하여 상기 기부(18)를 형성된 돌기(19 ~ 22)를 크게 움직여 효과적인 두피(S)의 맛사지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상기 복수의 돌기(19 ~ 22)는 기부(18)의 중앙에서 외주에 걸쳐서 돌기(19 ~ 22)의 길이(L1 ~ L4)를 점차 크게 형성한 것으로 ( L1 > L2 > L3 > L4 ) 외주 측의 돌기가 더 가요성이 커서 기부(18)의 중앙에서 외주 쪽에 위치하는 돌기(19 ~ 22)일수록 각기 서로 다른 자극을 두피에 주게 되는 것으로, 두피(S)에 대해 보다 양호한 맛사지 및 세정을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시료부(3)를 프레임(8)에 고정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왕복구동수단(7)의 상태에 의하지 않고, 복수의 돌기(19 ~ 22)의 선단을 연결하는 가상면은 반드시 요입(凹) 상을 형성하므로 복수의 상기 돌기(19 ~ 22)의 선단부위가 머리의  돌출(凸) 곡면에 효과적으로 눌러줄 수 있게 된다.
또, 기부(18)의 상기 면의 형상을 정면형상으로 대략 원모양 또는 타원모양이 되게 함으로서 자연상태의 상기 기부(18)의 복수개의 돌기(19 ~ 22) 선단을 연 결하는 가상면의 요입(凹) 곡면을 인체의 머리의 정부와 같은 돌출(凸) 곡면에 대응하는 역구면상 또는 역타원 구면상으로 하고, 복수의 돌기(19 ~ 22)의 선단이 머리의  돌출(凸) 곡면에 잘 대응케 함으로서 효과적으로 머리를 눌러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로는 시료부를 프레임 및 왕복구동수단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시료부의 기부의 최대 돌출시 형상이 기부의 자연상태 형상이 될 수 있도록 상기 왕복구동수단을 설정하거나, 상기 시료부의 기부의 최대 돌출시 형상이 상기 시료부의 기부의 자연상태 형상보다 약간 내측으로 당겨진 형상이 되도록 상기 왕복구동수단을 설정하여도 좋다. 또, 상기 기부의 정면에서 본 형상은 대략 타원모양이 되거나, 대략 원모양이 되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맛사지 장치는 이상 설명한바와 같이 시료부의 기부의 주연이 프레임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에서 기부의 중앙부를 왕복구동수단에 의해서 기부의 중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함으로서 상기 복수의 돌기를 반복하여 서로 개폐시켜 이들 돌기가 두피를 효과적으로 문질러 주기 때문에 효과적인 세정과 맛사지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왕복구동수단의 상태에 의존하지 않고, 복수의 상기 돌기의 선단을 연결하는 가상면은 반드시 요입(凹) 형상을 이루게 되 므로 복수 돌기의 선단이 머리 등의  돌출(凸) 곡면을 효과적으로 눌러주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구동부와, 이 구동부에 의해 작동되는 시료부(施療部)를 가지며, 상기 구동부에 시료부의 기부(基部)의 주연을 상기 구동부에 대한 위치관계를 고정된 상태에서 착탈자재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기부의 중심 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 기부를 휘도록 하는 왕복구동수단을 가지며, 상기 시료부가 가요성과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기부와, 이 기부에 돌출되게 설치된 복수의 돌기로 구성된 맛사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료부가 프레임 및 왕복구동수단에 접속된 상태에서 복수의 상기 돌기의 선단을 연결한 가상면(假想面)이 무부하(無負荷) 상태에서 상기 왕복구동수단의 상태에 의존하지 않고, 항상 요입(凹) 상태가 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맛사지 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시료부를 상기 프레임 및 왕복구동수단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그 왕복구동수단이 가장 외측으로 돌출된 경우의 기부 형상이 그 기부의 자연상태 형상과 같거나 약간 내측으로 끌어 당겨진 형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맛사지 장치.
  3. 청구항 1 내지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가 자연상태에서 외측으로 돌출(凸)이 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맛사지 장치.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시료부를 프레임 및 왕복구동수단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그 왕복 구동수단이 가장 내측으로 인입되었을 때의 상기 기부의 형상이, 그 기부의 중앙부가 외주부보다 들어간 요입(凹)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맛사지 장치.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를 상기 기부의 중앙에서 외주에 걸쳐, 돌기의 길이를 점차적으로 더 길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맛사지 장치.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의 면 형상이 정면(正面) 형상으로 보아 대략 원모양 또는 대략 타원모양임을 특징으로 하는 맛사지 장치.
KR1020070030198A 2007-02-28 2007-03-28 맛사지 장치 KR200800799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48635A JP2008206902A (ja) 2007-02-28 2007-02-28 マッサージ装置
JPJP-P-2007-00048635 2007-0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970A true KR20080079970A (ko) 2008-09-02

Family

ID=39469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0198A KR20080079970A (ko) 2007-02-28 2007-03-28 맛사지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964537A1 (ko)
JP (1) JP2008206902A (ko)
KR (1) KR20080079970A (ko)
CN (2) CN101254148A (ko)
TW (1) TW2008354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8707A (ko) * 2014-01-24 2015-08-03 트윈버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두피 케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286832Y (zh) * 2008-07-25 2009-08-12 深圳市轻松科技股份有限公司 按摩器及其按摩手柄
JP5267151B2 (ja) 2009-01-20 2013-08-21 ツインバード工業株式会社 電動式ブラシ装置
JP2010269124A (ja) * 2009-04-24 2010-12-0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頭皮ケア装置
JP2011000198A (ja) * 2009-06-16 2011-01-06 Twinbird Corp 電動式ブラシ装置
JP2011044366A (ja) * 2009-08-21 2011-03-03 Twinbird Corp 防水型電気機器
JP5421211B2 (ja) * 2010-09-16 2014-02-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頭皮ケア装置
JP2012061174A (ja) * 2010-09-16 2012-03-29 Panasonic Corp 頭皮ケア装置
JP5466130B2 (ja) * 2010-10-18 2014-04-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頭皮ケア装置
FR2973661A1 (fr) 2011-04-08 2012-10-12 Oreal Procede de traitement des cheveux.
FR2973687A1 (fr) 2011-04-08 2012-10-12 Oreal Procede de traitement du cuir chevelu
JP5895206B2 (ja) * 2011-11-10 2016-03-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頭皮ケア装置
EP3025696A1 (en) 2014-11-27 2016-06-01 L'oreal Device for treating conditions associated withy sebum production
CN105581893B (zh) * 2016-02-29 2017-10-10 傅丹晨 一种头皮按摩器
KR102208091B1 (ko) * 2019-05-10 2021-01-26 김변삼 신체지압장치
CN115568676A (zh) * 2021-01-04 2023-01-06 哈工大机器人(中山)无人装备与人工智能研究院 一种按摩手和洗头机
CN115568677A (zh) * 2021-01-04 2023-01-06 哈工大机器人(中山)无人装备与人工智能研究院 一种后脑按摩机械臂及洗头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13756A (en) * 1926-08-09 1929-05-21 Robert H Hassler Manually-operable head-massaging device
JP4235160B2 (ja) * 2004-10-25 2009-03-11 ツインバード工業株式会社 ブラシ装置
JP4235164B2 (ja) * 2004-11-18 2009-03-11 ツインバード工業株式会社 ブラシ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8707A (ko) * 2014-01-24 2015-08-03 트윈버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두피 케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35472A (en) 2008-09-01
CN201127709Y (zh) 2008-10-08
EP1964537A1 (en) 2008-09-03
JP2008206902A (ja) 2008-09-11
CN101254148A (zh) 200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9970A (ko) 맛사지 장치
KR100878686B1 (ko) 마사지 장치
JP4433500B2 (ja) マッサージ装置
JP5267151B2 (ja) 電動式ブラシ装置
JP3991360B2 (ja) ブラシ装置及びマッサージ装置
EP2443958A1 (en) Electrically driven brush device
JP4697904B2 (ja) ブラシ装置
JP4433501B2 (ja) ブラシ装置及びマッサージ装置
JP4235160B2 (ja) ブラシ装置
JP4235164B2 (ja) ブラシ装置
JP4785902B2 (ja) ブラシ装置
JP4138754B2 (ja) ブラシ装置及びマッサージ装置
JP2007037978A (ja) ヘアブラシ
JP5357552B2 (ja) 電動式ブラシ装置
JP3034547B2 (ja) 美容器具
JP2009165664A (ja) マッサージ装置
JPH04341266A (ja) 頭皮マッサージ用ヘアーブラシ
KR20130047540A (ko) 진동퍼프
JP2005124893A (ja) 美容器具
KR200477468Y1 (ko) 진동체를 갖는 세안퍼프
JPH10234459A (ja) 脱毛装置
JPH08289911A (ja) 皮膚のマッサージ機
JP2011005210A (ja) 電動洗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