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9740A -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9740A
KR20080079740A KR1020070020031A KR20070020031A KR20080079740A KR 20080079740 A KR20080079740 A KR 20080079740A KR 1020070020031 A KR1020070020031 A KR 1020070020031A KR 20070020031 A KR20070020031 A KR 20070020031A KR 20080079740 A KR20080079740 A KR 20080079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skin
water
composition
purs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조
Original Assignee
권혁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조 filed Critical 권혁조
Priority to KR1020070020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9740A/ko
Publication of KR20080079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974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싸리나무 추출물 5 내지 25 부피%, 카멜리아 워터 1 내지 10 부피%, 쇠비름 증류수 55 내지 93 부피% 및 글리세롤 1 내지 10 부피%로 이루어진, 피부의 보습력이 떨어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피부 가려움증 완화에 탁월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 또는 완화에 효과적인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성 피부염, 싸리나무 추출물, 카멜리아 워터

Description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ATOPY SKIN}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싸리나무 추출물 5 내지 25 부피%, 카멜리아 워터 1 내지 10 부피%, 쇠비름 증류수 55 내지 93 부피% 및 글리세롤 1 내지 10 부피%로 이루어진, 피부의 보습력이 떨어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피부 가려움증 완화에 탁월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 또는 완화에 효과적인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는 1925년 미국의 A.코카가 특유한 어떤 종류의 물질에 대한 인간의 선천적 과민성에 대하여 명명한 것으로서, 아토피는 천식, 부염 등이 가족 내에 많거나, 여러 가지 알레르겐(난백, 비듬, 꽃가루, 먼지 등)에 대하여 피내 반응의 양성률이 높거나, 혈청 내 항체(아토피성 알레르겐)가 존재하거나, 각종 스트레스(온도, 습도, 외상, 정신적 긴장, 감염 등)에 대하여 비정상적인 반응을 나타내는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종전에는 유아기에 주로 발생하여 태열이라고도 하였으며 주로 각질층 내의 세라마이드의 함량이 감소됨에 따라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 었다.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은 각질층의 수분 유지 기능이 떨어져 피부가 건조하게 되고 각질이 쉽게 일어나며, 피부의 보호 장벽으로서의 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자극유발물질이 각질층 내로 침입하여 자극을 유발시키며, 정상적인 피부에서는 침입하기 어려운 항원 단백질이 침입함에 따라 피부 알러지 등이 용이하게 발생하여 참기 힘든 소양증 증상을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아토피 피부는 심하게 긁게 되면 습진, 켈로이드(keloid) 현상이 수반되고 심한 각질화가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아토피 피부는 지금까지 다음의 네 가지 원인에 의한 것으로 밝혀져 있다. 첫째, 유전적 원인 에 의한 것으로 피부보호기능을 담당하는 피부 보호막인 세포막의 인지질과 각질세포간의 결합물질인 세포간지질을 구성하는 필수 지방산인 감마-리놀레인산이 부족한 상태로 되어 피부 보호막을 단단하게 만들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견해이며, 둘째, 아토피는 환경적 요인에 의한 것이라는 견해로서 현대인들의 주거환경이 아파트 등의 건조한 환경으로 바뀌게 됨에 따라 세계적으로 아토피성 피부가 증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수분 보유력이 저하되고 피부보호기능이 상실되어 작은 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알러지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또한, 셋째로는 활성산소에 의한 것으로 활성산소에 의해 과산화지질이 생성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아토피 피부가 발생한다는 견해이며, 넷째로는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미생물에 감염되어 발생한다는 견해가 있으나, 최근에는 상기한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관여하여 아토피 증상이 발생된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아토피 피부를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피부를 청결히 하여 항원 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물질을 제거하고 피부 장벽기능을 강화하여 건조화로부터 피부를 지키는데 필요한 세포간지질 성분인 세라마이드를 공급하여 각질층에 자극을 주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해 왔다. 그래서 아토피 피부를 개선하기 위해 공지의 세라마이드, 리놀레인산, 식물유 또는 광물성 오일 등의 성분들, 하이드로코티손과 같은 스테로이드 제제, 또는 특정의 식물추출물을 일반적인 유화제품의 처방에 함유시키거나 인지질 성분인 레시틴을 이용하여 리포좀 형태로 만들어 피부 각질층에 공급함으로써 보습효과 및 수분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오일막을 만들어주고 세균오염 등을 막아주기 위해 항균 및 항염 기능의 성분을 강화한 피부외용제 또는 화장료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방법들은 아토피 피부의 예방과 치료에 있어서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효과적인 측면이나 피부 안전성의 측면에서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하이드로코티손과 같은 스테로이드 제제의 사용은 표피의 성장 억제나 부작용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우레아 퍼옥사이드 등은 피부에 자극을 주며 또 다른 접촉성 피부염의 우려가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항히스타민제와 같은 항생 물질은 내균성이 발생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공지의 상기생, 합환피, 창이자, 맥아, 쑥 등은 어느 정도의 효과는 있으나 민감한 아토피 피부에 대해서는 경우에 따라 알레르기 과민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있어 그 사용 범위가 한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싸리나무 추출물, 카멜리아 워터, 쇠비름 증류수 및 글리세롤을 필수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면 세균 등의 미생물이 피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피부의 보습력이 떨어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어서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 또는 완화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싸리나무 추출물, 카멜리아 워터, 쇠비름 증류수 및 글리세롤을 일정한 비율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싸리나무 추출물 5 내지 25 부피%, 카멜리아 워터 1 내지 10 부피%, 쇠비름 증류수 55 내지 93 부피% 및 글리세롤 1 내지 10 부피%로 이루어진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싸리나무 추출물 5 내지 25 부피%, 카멜리아 워터 1 내지 10 부피%, 쇠비름 증류수 55 내지 93 부피% 및 글리세롤 1 내지 10 부피%로 이루어진, 피부의 보습력이 떨어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피부 가려움증 완화에 탁월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 또는 완화에 효과적인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의 필수 성분인 (A) 싸리나무 추출 물, (B) 카멜리아 워터, (C) 쇠비름 증류수 및 (D) 글리세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싸리나무 추출물
싸리나무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낙엽관목 식물로서 정확한 학명은 Lespedeza bicolor이다. 산과 들에서 흔히 자라며 높이는 2 내지 3m 정도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 있으며 잎은 어긋나고 3장의 작은 잎이 나온 잎이다. 턱잎은 가늘고 길며 짙은 갈색이고 그 길이가 약 5mm이고 작은 잎은 달걀 모양이거나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다. 꽃은 7 내지 8월에 붉은 자줏빛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번식은 종자나 포기나누기로 하고 좋은 밀원식물이며 겨울에는 땔감으로 사용된다. 잎은 사료, 줄기에서 벗긴 껍질은 섬유자원으로 이용되기도 하며, 한방에서는 무좀, 습진 등에 사용된 바 있었다.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싸리나무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싸리나무의 추출은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이용하여 할 수 있으며, 유기용매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 중 에탄올, 메탄올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싸리나무로부터 싸리나무 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특정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나 다음의 3가지의 방법이 바람직하다.
① 먼저, 싸리나무를 5 내지 10cm 정도의 크기로 썰어서 압력 추출기에 넣고 추출용매 및 물을 적당량 부은 다음, 200 내지 250 ℃ 정도의 온도에서 적당한 압력을 가하여 10 내지 30 시간 정도 가열한다. 이렇게 하여 얻은 액상 물질을 다시 진공 농축기에 부은 다음 진공 상태에서 적당한 압력으로 30 내지 60 ℃ 정도의 온도로 약 5 내지 10 시간 가열하면 추출용매가 액상에서 분리되고 다시 100 내지 150 ℃의 온도에서 적당한 압력으로 5 내지 15시간 정도 가열하여 수분이 분리된 순수 액상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서 가열 시간 및 온도, 압력 등은 싸리나무의 양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② 땅을 파고 커다란 항아리를 입구가 10 cm 정도 땅밖으로 나오게 묻은 다음, 땅속에 묻혀있는 항아리보다 입구가 조금 작은 항아리에 싸리나무를 5 cm 정도의 크기로 썰어서 다져 넣는다. 그 후, 싸리나무를 넣은 항아리 입구를 삼베보자기로 덮은 뒤 항아리 입구를 철사줄로 동여매고 땅 밖으로 노출된 항아리 입구와 서로 입구가 맞물리도록 거꾸로 엎어 놓은 뒤 새끼줄로 항아리를 빈틈없이 동여맨다. 그리고 3 cm 정도의 두께로 진흙 반죽으로 항아리 전체를 바른 다음, 왕겨 또는 톱밥 5 가마니 정도를 노출되어 있는 항아리 전체를 덮은 뒤, 불을 지피고 3일 정도 태운 뒤 4일째 되는 날 항아리에 입혀 놓았던 진흙 반죽과 새끼줄을 제거하고 입구가 맞물린 항아리를 분리하면 땅속에 묻어 두었던 항아리에서 액상 물질을 추출할 수 있다.
③ 금속으로 된 드럼통 밑바닥에 구멍을 뚫어서 10 mm 내경의 금속파이프를 길게 드럼통에서 2 m 정도 떨어지게 약간 경사지게 용접해서 붙인 뒤 드럼통 하단부분에 20 cm 높이의 다리를 만들어 고정시킨다. 그 후, 드럼통 내부에 싸리나무를 잘게 썰어서 다져 넣은 뒤 뚜껑을 덮고 톱밥 또는 왕겨, 그 외 나뭇잎 등으로 외부를 가열하는데 이때 드럼통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전자 온도계를 설치해서 내부온도가 300도 정도 되게 10 내지 15시간 정도 가열하면 액상 물질이 파이프를 타고 흘러나온다.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은 싸리나무 추출물을 전체 조성물에 대해 5 내지 25 부피%를,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부피%를 포함한다. 싸리나무 추출물의 함량이 전체의 5 부피% 미만인 경우에는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가 미약할 수 있고, 싸리나무 추출물의 함량이 전체의 25 부피%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효과의 증대 정도가 미미하여 비경제적일 수 있다.
(B) 카멜리아 워터
카멜리아는 1겹 또는 8겹으로 피는 것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고, 추위 속에서도 아름다운 꽃을 피우는 동백이다. 예로부터 카멜리아 열매로 기름을 내어 머리에 바르면 머릿결이 부드러워지고 윤기가 있다고 하여, 카멜리아 오일(동백기름)로도 널리 사용되어 왔다. 카멜리아 오일은 올레산 외에도 피지에 포함되어 있는 팔미트산을 함유하고 있고, 매우 침투성이 높으며 잘 변질되지 않아서 마사지의 베이스 오일로도 매우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카멜리아 워터는 상기 카멜리아 오일을 증류하여 추출함으로써 얻어지는데, 이는 식물의 응축수로서 식물 의 수용성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카멜리아 오일을 증류 및 추출하는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사용되는 모든 증류 및 추출 방법을 포함하며 특정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은 카멜리아 워터를 전체 조성물에 대해 1 내지 10 부피%,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부피% 포함한다. 카멜리아 워터의 함량이 1 부피% 미만인 경우에는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며, 10 부피%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효과의 증대 정도가 미미하여 비경제적이고 다른 성분들이 조성물에 충분히 포함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C) 쇠비름 증류수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은 오행초, 장명채, 마치채 등으로 불리기도 하는 1 년생 식물이다. 주로 길가, 텃밭 등에서 자생하며 줄기의 높이가 약 15∼30 cm내외로 털이 없으며 줄기의 직경은 2∼3 mm이고, 적갈색이며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땅위로 비스듬히 퍼지면서 자란다. 쇠비름은 양념 등으로 버무려서 먹기도 하고 약재로도 활용되어 왔으며 과거 선조들의 민간요법에서는 충독, 사독 등의 해독제로도 사용되었다. 또한 아라비아 반도에서는 방부제, 항괴혈병제제, 진경제, 이뇨제, 구충제로도 사용되었다. 그 외 근육이완 활성과 항암효과에 대한 연구도 보고되었다. 또한, 쇠비름은 염증을 삭히는 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종기나 염증에 생으로 즙을 내어 바르기도 한다.
쇠비름은 L-노르아드레날린, 도파민, 도파와 칼륨, 여러 종류의 유기산, 글 루탐산, 아스파르트산, 알라닌 그리고 모노테르펜 배당체인 포튜로시드 A(portuloside A)와 같은 화학 성분들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쇠비름 증류수는 먼저 쇠비름을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등으로 추출하여 쇠비름 추출물을 얻은 후에, 이를 다시 증류하여 얻는다. 예를 들어, 쇠비를 증류수를 얻는 방법을 설명하면, 증류 한약기에 쇠비름을 넣고 물을 부은 다음, 충분히 가열하여 추출하면 엑기스 물질(쇠비름 추출물)이 추출되는데, 이 엑기스 물질을 다시 증류해서 추출하면 쇠비름 증류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은 쇠비름 증류수를 전체 조성물에 대해 55 내지 93 부피%,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부피%를 포함한다. 쇠비름 증류수의 함량이 55 부피% 미만인 경우에는 싸리나무 추출물 등 다른 성분들의 용해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며, 93 부피%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른 유효 성분들의 함량이 줄어들게 되어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D) 글리세롤
글리세롤은 지방족 3가 알코올의 하나로서 글리세린, 리슬린, 1,2,3-프로판트리올 또는 트리옥시프로판이라고도 한다. 시성식 CH2OHCH(OH)CH2OH이고, 분자량은 92.10, 비중은 1.2644(15℃), 녹는점 및 끓는점은 18℃ 및 290℃이다. 무색투명하고 단맛이 나는 끈기 있는 액체로 흡습성이 강하다. 아주 순수한 글리세롤을 강하게 냉각하면, 녹는점 18℃의 결정을 얻는데, 과냉각을 일으키기 쉽다. 물과 알 코올에는 임의의 비율로 섞이지만, 탄화수소에는 녹지 않는다. 글리세롤을 철(Ⅱ)염의 존재 하에 과산화수소로 산화시키면 글리세르알데히드를 생성하는데, 과망간산칼륨과 같은 강한 산화제로 격렬하게 산화시키면 발화하거나 폭발을 일으킨다. 1779년 스웨덴의 K.W.셸레가 올리브유의 가수분해 생성물 속에서 발견하였고, 1836년 프랑스의 T.J.펠루즈에 의해서 성분비가 결정되었다.
지방산과의 에스테르로서 유지나 지질 등의 형태로 동, 식물계에 널리 분포한다. 비누 제조시의 부산물인 폐액에서 제조되었으나, 근년에는 석유의 크래킹(분해증류)에 의해 생기는 프로필렌에서 염화알릴을 거쳐 합성하는 방법이나, 효모의 글리세롤발효(알코올발효의 한 변형)의 생성물로서 얻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약제로서 관장제, 습윤제, 점활제로 사용되는 외에, 니트로글리세린의 제조 원료로도 쓰인다. 니트로글리세린 제조에 쓰이는 글리세롤은 수분이 포함되어 있으면 부적당하므로, 비중 1.26 이상, 수분 1.5% 이하인 고순도의 것이 사용된다. 글리세롤을 약용으로 쓰는 경우는 주로 외용인데 사용할 때는 희석하여 국부에 바르거나 글리세롤 연고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글리세롤을 포함한다. 글리세롤은 전체 조성물에 대해 1 내지 10 부피%,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부피%를 포함한다. 글리세롤의 함량이 1 부피%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보습을 주요 기능으로 하는 글리세린의 함유율이 낮아지면 아토피성 피부염의 주요 증상인 피부건조로 인한 소양증(가려움증)을 완화시킬 수 없고, 10 부피%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화장료의 점성이 강해져서 사용할 경우에 끈적거림, 외관상 번들거림 등에 의한 피부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의 필수 성분들 이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된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화장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하는 것도 무방하다. 예컨대 친수성 또는 친지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지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및 염료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다양한 보조제의 양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이며, 예컨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0.01 부피% 내지 20 부피%이다. 그 성질에 따라 이러한 보조제는 지방상, 수성상, 지질 소포체 및/또는 나노입자에 도입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라도 보조제 및 그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선택될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성, 수성-알콜성 또는 오일성 용액, 수중유 또는 유증수 또는 다중 에멀전, 수성 또는 오일성 겔, 액체, 페이스트성 또는 고체 무수 생성물, 소구체를 사용한 수성 상에서의 오일분산물의 형태일 수 있다.
본 조성물은 다소 유체일수 있으며, 백색 또는 유색크림, 연고, 밀크로션, 유액(serum), 에센스, 페이스트 또는 무스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형태로 피부에 적용될 수도 있고, 고체 형태 예컨대, 스틱의 형태일 수도 있다. 이는 피부용 케어 제품 및/또는 메이크업 제품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화장료 조성물 1의 제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싸리나무 추출물, 카멜리아 워터 및 쇠비름 증류수를 각각 제조한 후, 글리세린과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싸리나무 30 kg을 5 내지 10 cm 크기로 썰어서 압력추출기에 넣은 다음 에탄올 0.5 L 를 붓고 물 1 L를 부은 후에, 200 내지 250 ℃의 온도에서 2 kg/cm2 정도의 압력을 가해서 20 시간정도 가열하였다. 이렇게 하여 약 1.8리터의 액상물질을 얻었고, 이 액상물질을 다시 진공농축기에 부은 다음 진공상태에서 압력 2 kg/cm2 에서 40 ℃의 온도로 약 7시간 정도 가열하였더니 에탄올이 액상에서 분리되었다. 이를 다시 130 ℃의 온도에서 3 kg/cm2 정도의 압력으로 10시간 정도 가열하였더니 수분이 거의 분리되어 순수 액상물질 800 ml가 추출되었다.
또한, 카멜리아 오일 1 L를 증류하여 400ml의 카멜리라 워터를 얻었다.
그리고, 증류 한약기에 쇠비름 600 g을 넣고 물 3 L를 부은 다음 3 시간 동안 가열해서 추출하였다. 이렇게 하였더니 약 2.2 L 정도의 엑기스 물질이 추출되었으며, 이를 다시 증류하여 추출하였더니 약 1리터 정도의 쇠비름 증류수를 얻을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쇠비름 증류수 760 ml에 싸리나무 추출물 150 ml를 넣고 잘 흔들어서 용해 한 다음 다시 카멜리아 워터 70ml, 글리세롤 20 ml를 넣고 잘 흔들어서 용해 시켰다. 이를 스프레이형 용기에 옮겨 담아 아토피 피부용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화장료 조성물 2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싸리나무 추출물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 2를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의 싸리나무 추출물은 먼저 땅을 파고 커다란 항아리를 입구가 10cm 정도 땅밖으로 나오게 묻은 다음 땅속에 묻혀있는 항아리 보다 입구가 조금 작은 항아리에 싸리나무 100 kg을 5 cm 크기로 썰어서 다져 넣었다. 그 후에, 싸리나무를 넣은 항아리 입구를 삼베보자기로 덮은 뒤 항아리 입구를 철사줄로 동여맨 뒤 땅밖으로 노출 된 항아리 입구와 서로 입구가 맞물리도록 거꾸로 엎어 놓았다. 그 다음 새끼줄로 항아리를 빈틈없이 동여맨 뒤 3cm 두께로 진흙반죽으로 항아리 전체를 바른 다음 왕겨 또는 톱밥 5 가마니를 노출 되어있는 항아리 전체를 덮은 뒤 불을 지피고 3일간 태운 뒤 4일째 되는 날 항아리에 입혀 놓았던 진흙 반죽과 새끼줄을 제거하고 입구가 맞물린 항아리를 분리하였더니 땅속에 묻어 두었던 항아리에서 약 3 L의 액상물질이 추출되었다.
실시예 3: 화장료 조성물 3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싸리나무 추출물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 2를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의 싸리나무 추출물은 금속으로 된 드럼통 밑바닥에 구멍을 뚫어서 10 mm 내경의 금속파이프를 길 게 드럼통에서 2 m 정도 떨어지게 약간경사지게 용접해서 붙인 뒤 드럼통 하단부분에 20 cm 높이의 다리를 만들어 고정시킨 뒤 드럼통 내부에 싸리나무 200 kg을 잘게 썰어서 다져 넣은 뒤 뚜껑을 덮고 톱밥 또는 왕겨 그 외에 나뭇잎 등으로 외부를 가열하는데 이때 드럼통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전자 온도계를 설치하였다. 내부온도가 300 ℃ 정도 되게 10 내지 15 시간 정도 가열하였더니 약 5 내지 6 L의 액상 물질이 파이프를 타고 흘러나왔다.
실험예 : 실시예 1 내지 3 조성물의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효과 확인
실시예 1 내지 3의 화장수를 아토피 피부염 환자 10명씩 30명 (남자와 여자 비율 1:1)에게 각각 30일간 바르게 했더니 다음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화장수 조성물 치병 호전 가려움증 해소 총계(명)
실시예 1 3 5 2 10
실시예 2 3 4 3 10
실시예 3 4 4 2 10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화장수 조성물의 경우에는 3명의 환자가 환부의 상처가 사라지면서 치병되었고 5명의 환자가 환부가 적어지거나 호전 되었으며 2명의 환자는 별다른 효과는 없었으나 피부 가려움증은 모두 해소 되었다. 그리고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화장수 조성물의 경우에도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아토피의 상처를 아물게 하거나, 증상을 호전시키거나 또는 가려움증을 해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수 조성물은 피부소양증인 피부가려움증에 놀라운 효과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아토피 피부염 환자 모두가 피부가려움증이 해소되거나 적어져서 잠을 편히 잘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은 싸리나무 추출물 5 내지 25 부피%, 카멜리아 워터 1 내지 10 부피%, 쇠비름 증류수 55 내지 93 부피% 및 글리세롤 1 내지 10 부피%로 이루어진, 피부의 보습력이 떨어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피부 가려움증 완화에 탁월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 또는 완화에 효과적이다.
또한, 천연 원료들을 다량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화학 물질들을 사용하는 경우와 같은 부작용이 없으며, 아토피성 피부염 및 가려움증의 해소에 효과가 탁월하다.

Claims (8)

  1. 싸리나무 추출물 5 내지 25 부피%, 카멜리아 워터 1 내지 10 부피%, 쇠비름 증류수 55 내지 93 부피% 및 글리세롤 1 내지 10 부피%로 이루어진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싸리나무 추출물은 10 내지 20 부피%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멜리아 워터는 4 내지 8 부피%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쇠비름 증류수는 60 내지 80 부피%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롤은 4 내지 8 부피%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싸리나무 추출물은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쇠비름 증류수는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알코올올에 의해 추출된 쇠비름 추출물을 증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70020031A 2007-02-28 2007-02-28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797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031A KR20080079740A (ko) 2007-02-28 2007-02-28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031A KR20080079740A (ko) 2007-02-28 2007-02-28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740A true KR20080079740A (ko) 2008-09-02

Family

ID=40020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031A KR20080079740A (ko) 2007-02-28 2007-02-28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97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8449A1 (es) * 2011-12-28 2013-07-04 Tudini Roberto Composición de productos naturales para aplicación tópic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8449A1 (es) * 2011-12-28 2013-07-04 Tudini Roberto Composición de productos naturales para aplicación tópica
ES2416804A1 (es) * 2011-12-28 2013-08-02 Roberto TUDINI Composición de productos naturales para aplicación tópic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9811B2 (ja) 皮膚外用剤
US20100323040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topical use comprising wasabi
KR101555354B1 (ko) 발효식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헤어샴푸
KR20100130878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82209B1 (ko) 생달나무 추출 정유를 포함하는 항균성 조성물
KR102221033B1 (ko) 개양귀비, 붉은토끼풀, 라케모사승마 및 칼메그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4322B1 (ko) 자귀나무껍질, 숙근안개초, 시계꽃, 권백 및 딜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32215B1 (ko) 삼나무 및 연잎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 및 면역증강용 화장료조성물
KR101533624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가락지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97160B1 (ko)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EP1429720A2 (fr)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e soin de la peau et des cheveux de l'homme
KR102236236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개선용 조성물
KR101587447B1 (ko) 초임계추출조건으로 추출한 추출물, bl-s를 포함하는 피부유분조절, 피부장벽강화, 피부수분조절, 피부보호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
KR100985228B1 (ko) 동아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67703B1 (ko) 화장료 및 피부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090075950A (ko) 난치성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20110030187A (ko)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79740A (ko)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2645B1 (ko) 천궁 및 황금 혼합 추출물 또는 이들의 분리화합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및 비듬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82137B1 (ko) 히어리 및 얼레지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79315B1 (ko) 천연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진정용 조성물
KR20170058546A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8280318A (ja) 皮膚外用剤
KR20090042073A (ko) 자극완화 효능을 가진 특정의 식물추출 혼합물과 이를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7685A (ko) 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화상에 의해 손상된 피부용 화장료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