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8331A -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8331A
KR20080078331A KR1020070018293A KR20070018293A KR20080078331A KR 20080078331 A KR20080078331 A KR 20080078331A KR 1020070018293 A KR1020070018293 A KR 1020070018293A KR 20070018293 A KR20070018293 A KR 20070018293A KR 20080078331 A KR20080078331 A KR 20080078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ignal
unit
movement amoun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5453B1 (ko
Inventor
송종호
정준영
박희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8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453B1/ko
Priority to US11/942,074 priority patent/US20080209080A1/en
Priority to CN200810085634.6A priority patent/CN101251777B/zh
Publication of KR20080078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조작의 방향과, 이동량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수행부와;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여 방향정보와, 방향정보에 대응하는 방향의 이동량정보를 생성하는 조작정보생성부와; 조작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는 모드선택부와; 모드선택부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작정보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방향정보에 기초하여 동작수행부를 제어하거나, 방향정보 및 이동량정보에 기초하여 동작수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다양한 조작정보를 얻기 위하여 대응하는 여러 조작정보생성수단을 모두 구비하여야만 하는 공간적인 제약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COMPUT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컴퓨터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컴퓨터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정보신호의 데이터구조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정보신호의 데이터구조를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동작제어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컴퓨터시스템 110 : 동작수행부
120 : 조작정보생성부 130 : 모드선택부
140 : 제어부
본 발명은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사용자 조작의 방향과, 이동량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컴퓨터시스템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컴퓨터시스템은 화면 상에 포인터(pointer) 혹은 커서(cursor)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포인터나 커서를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컴퓨터시스템은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정보(이하, "조작정보"라 한다)를 생성하는 수단(이하, "조작정보생성수단"라 한다)을 구비한다.
종래기술에 의한 조작정보생성수단은 두 가지의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그것은, 예컨대, 키보드(keyboard)의 네 개의 방향키(direction key)와 같이, 사용자 조작이 어느 방향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하, "방향정보"라 한다)를 생성하는 형태의 수단(이하, 통칭하여 "방향키"라 한다)과, 마우스(mouse), 포인팅스틱(pointing stick) 등과 같이, 방향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 조작이 그 방향으로 얼마나 움직이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하, "이동량정보"라 한다)까지 생성하는 형태의 수단(이하, "포인팅디바이스(pointing device)"라 한다)이다.
종래의 컴퓨터시스템은 이러한 방향키와, 포인팅디바이스를 모두 구비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컴퓨터시스템의 외형적인 크기나, 배치설계에 따라, 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하여 방향키와, 포인팅디바이스를 모두 구비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 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소형의 모바일(mobile) 컴퓨터의 경우가 그러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조작정보를 얻기 위하여 대응하는 여러 조작정보생성수단을 모두 구비하여야만 하는 공간적인 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컴퓨터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수행부와;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여 방향정보와, 상기 방향정보에 대응하는 방향의 이동량정보를 생성하는 조작정보생성부와; 조작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는 모드선택부와; 상기 모드선택부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조작정보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방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수행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방향정보 및 상기 이동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수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조작정보생성부는, 상기 방향정보 및 상기 이동량정보를 포함하는 제1정보신호와, 상기 방향정보 및 상기 이동량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정보신호와 신호 규격이 상이한 제2정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정보신호에 포함된 상기 방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수행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제2정보신호에 포함된 상기 방향정보 및 상기 이동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수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수행부를 제어하는 동작제어부와; 상기 제1정보신호에 포함된 상기 방향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동작제어부에 전송하거나, 상기 제2정보신호에 포함된 상기 방향정보 및 상기 이동량정보를 상기 동작제어부에 전달하는 정보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정보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정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와; 상기 신호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제1정보신호를 상기 제2정보신호로 변환하는 상기 신호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생성부는 제1인터럽트신호를 상기 신호변환부 및 상기 정보처리부에 전송하며, 상기 신호변환부 및 상기 정보처리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인터럽트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신호생성부로부터 상기 제1정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정보처리부는 상기 모드선택부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이 상기 제2정보신호의 전송에 대응하는 경우 제2인터럽트신호를 상기 신호변환부에 전송하고, 상기 신호변환부는 상기 정보처리부로부터 상기 제2인터럽트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제2정보신호를 상기 정보처리부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신호생성부 및 상기 신호변환부 사이와, 상기 신호생성부 및 상기 정보처리부 사이의 상기 제1정보신호의 전송은 I2C(Inter-Integrated Circuit) 규격을 따를 수 있다.
상기 신호변환부 및 상기 정보처리부 사이의 상기 제2정보신호의 전송은 PS/2 규격을 따를 수 있다.
상기 조작모드는 방향키모드 및 포인팅디바이스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향키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방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수행부를 제어하고, 상기 포인팅디바이스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방향정보 및 상기 이동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수행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수행부와,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여 방향정보와, 상기 방향정보에 대응하는 방향의 이동량정보를 생성하는 조작정보생성부를 구비하는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조작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조작정보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방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수행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방향정보 및 상기 이동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수행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정보생성부는, 상기 방향정보 및 상기 이동량정보를 포함하는 제1정보신호와, 상기 방향정보 및 상기 이동량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정보신호와 신호 규격이 상이한 제2정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정보신호에 포함된 상기 방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수행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제2정보신호에 포함된 상기 방향정보 및 상기 이동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수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정보생성부로부터 I2C(Inter-Integrated Circuit) 규격에 따라 상기 제1정보신호를 전송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정보생성부로부터 PS/2 규격에 따라 상기 제2정보신호를 전송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2정보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조작정보생성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모드는 방향키모드 및 포인팅디바이스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방향키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방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수행부를 제어하고, 상기 포인팅디바이스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방향정보 및 상기 이동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수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컴퓨터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의 컴퓨터시스템(100)은 동작수행부(110)와, 조작정보생성부(120)와, 모드선택부(130)와,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컴퓨터시스템(100)은 이동 가능한 모바일 컴퓨터일 수 있다.
동작수행부(11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한다. 동작수행부(11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에는, 화면의 표시, 음성의 출력 등이 포함된다. 예컨대, 동작수행부(110)는 화면 상에 포인터나 커서를 표시하고,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포인터나 커서를 움직일 수 있다.
조작정보생성부(120)는 조작정보생성수단으로서,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여 방향정보와, 그 방향정보에 대응하는 방향의 이동량정보를 생성한다.
모드선택부(130)는 조작모드에 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는다. 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조작모드에 따라 조작정보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된 이동량정보를 조작정보로서 이용할 것인지 여부가 결정된다.
제어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조작모드에 따라, 조작정보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된 방향정보 하나에만 기초하여 동작수행부(110)를 제어하거나, 혹은 방향정보 및 이동량정보 둘 다에 기초하여 동작수행부(110)를 제어한다.
예컨대, 조작모드는 방향키모드와 포인팅디바이스모드를 포함한다. 제어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방향키모드가 선택된 경우, 조작정보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된 방향정보에만 기초하여 동작수행부(110)를 제어한다. 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포인팅디바이스모드가 선택된 경우, 조작정보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된 방향정보 및 이동량정보 둘 다에 기초하여 동작수행부(110)를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컴퓨터시스템(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조작정보생성부(120)는 방향정보 및 이동량정보를 포함하는 제1정보신호와, 방향정보 및 이동량정보를 포함하며 제1정보신호와 신호 규격이 상이한 제2정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방향키모드 시 제1정보신호에 포함된 방향정보에 기초하여 동작수행부(110)를 제어하고, 포인팅디바이스모드 시 제2정보신호에 포함된 방향정보 및 이동량정보에 기초하여 동작수행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제어부(142)와, 정보처리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제어부(142)는 동작수행부(110)를 제어한다. 정보 처리부(141)는 방향키모드 시 제1정보신호에 포함된 방향정보를 추출하여 동작제어부에 전송하고, 포인팅디바이스모드 시 제2정보신호에 포함된 방향정보 및 이동량정보를 동작제어부(142)에 전달한다.
조작정보생성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센서(121)와, 신호생성부(122)와, 신호변환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121)는 사용자 조작을 감지한다. 감지센서(121)는 조작부(도시 안됨)를 구비하여, 사용자 조작에 의한 조작부의 x방향 및 y방향의 이동을 감지한다.
신호생성부(122)는 감지센서(121)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1정보신호를 생성한다. 신호변환부(123)는 신호생성부(122)에 의해 생성된 제1정보신호를 제2정보신호로 변환한다.
신호생성부(122)는 생성된 제1정보신호를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제1인터럽트신호를 신호변환부(123) 및 정보처리부(141)에 전송할 수 있다. 신호변환부(123) 또는 정보처리부(141)는 신호생성부(122)에 의해 제1인터럽트신호가 전송되면 신호생성부(122)로부터 제1정보신호를 수신한다.
제1정보신호와, 제2정보신호의 규격은 I2C(Inter-Integrated Circuit) 및 PS/2를 포함한다. 예컨대, 신호생성부(122) 및 신호변환부(123) 사이와, 신호생성부(122) 및 정보처리부(141) 사이의 제1정보신호의 전송은 I2C 규격을 따를 수 있다. 신호변환부(123) 및 정보처리부(141) 사이의 제2정보신호의 전송은 PS/2 규격을 따를 수 있다.
도 3은 I2C 규격에 따라 전송되는 제1정보신호의 데이터구조(31)의 일례를 도시한다. 제1정보신호는 8비트(bit)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향정보로서, 'Bit0'은 x부호(x sign)를, 'Bit4'는 y부호(y sign)를 나타낸다. 이동량정보로서, 'Bit1' 내지 'Bit3'은 x방향의 이동량을, 'Bit5' 내지 'Bit7'은 y방향의 이동량을 나타낸다.
정보처리부(141)는 방향키모드 시 I2C 규격에 따라 전송되는 제1정보신호로부터 방향정보를 추출하여 동작제어부(142)에 전송할 수 있다. 정보처리부(141)로부터 동작제어부(142)로 전송되는 방향정보는, 예컨대, 4방향, 8방향 등의 정보일 수 있다.
도 4는 PS/2 규격에 따라 전송되는 제2정보신호의 데이터구조(41)의 일례를 도시한다. 제2정보신호는 3바이트(byt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향정보로서, 'Byte1'의 'Bit4' 및 'Bit5'는 각각 x부호 및 y부호를 나타낸다. 이동량정보로서, 'Byte2' 및 'Byte3'은 각각 x방향의 이동량 및 y방향의 이동량을 나타낸다.
정보처리부(141)는 포인팅디바이스모드 시 PS/2 규격에 따라 전송되는 제2정보신호의 방향정보와 이동량정보를 그대로 동작제어부(142)에 전달할 수 있다.
정보처리부(141)와 동작제어부(142) 사이의 신호의 전송은 LPC 버스(Low Pin Count bus) 규격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모드선택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정보처리부(141)는 모드선택부(130)의 버튼이 눌러질 때마다 제1정보신호 및 제2정보신호 중 어느 하나를 교대로 선택하여 처리할 수 있다.
정보처리부(141)는 모드선택부(130)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2정보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도록 신호변환부(123)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정보처리부(141)는 모드선택부(130)의 버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포인팅디바이스모드로 선택된 경우 제2인터럽트신호를 신호변환부(123)에 전송한다. 신호변환부(123)는 제2인터럽트신호가 전송되면 제2정보신호를 정보처리부(141)에 전송한다.
반면, 방향키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2정보신호가 신호변환부(123)로부터 정보처리부(141)에 전송되지 않으므로, 신호변환부(123)의 데이터전송 지연으로 인하여 정보처리부(141)가 제1정보신호와 제2정보신호를 동시에 수신함으로써 발생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컴퓨터시스템(100)은 마우스의 좌측버튼 및 우측버튼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2개의 보조버튼(151 및 1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변환부(123)는 2개의 보조버튼(151 및 152)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결과신호를 정보처리부(141)에 전송한다. 동작제어부(142)는 포인팅디바이스모드 시 정보처리부(141)를 통하여 신호변환부(123)로부터 전송되는 2개의 보조버튼(151 및 152)의 상태에 따라 동작수행부(110)를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동작제어부(142)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동작제어부(142)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이하, "컴퓨터프로그램"이라 한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하드웨어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Central Processing Unit, 1421)와, 메인메모리(main memory, 1422)와, BIOS메모리(Basic Input/Output System memory, 1423)와, 보조메모리(1424)와, MCH(Memory Controller Hub, 1425)와, ICH(I/O controller hub, 1426)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메모리(1422)는 휘발성메모리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BIOS메모리(1423)는 비휘발성메모리로서 ROM(read-only memory)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보조메모리(1424)는 비휘발성메모리로서 하드디스크드라이브(hard disc drive)로 구현될 수 있다.
MCH(1425)는 CPU(1421)와, 메인메모리(1422)와, 표시부(111) 사이의 고속 데이터 전송을 인터페이스한다. 표시부(111)는 동작수행부(110)의 일례로서, 그래픽처리부와, LCD(liquid crystal display)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ICH(1426)는 MCH(1425)와, BIOS메모리(1423), 보조메모리(1424) 및 정보처리부(141) 사이의 저속 데이터 전송을 인터페이스한다.
동작제어부(142)는 컴퓨터프로그램(1427)으로서, BIOS(Basic Input/Output System, 1427a)와, 운영체계(operating system, 1427b)와,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1427c)을 포함할 수 있다. BIOS(1427a)는 BIOS메모리(1423)에 저장되며, 운영체계(1427b) 및 응용프로그램(1427c)은 보조메모리(1424)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프로그램(1427)은 CPU(1421)가 실행할 수 있는 일련의 코드(code)로 이루어지며, 실행 시 그 전부 또는 일부가 메인메모리(1422)에 로딩된다. CPU(1421)는 메인메모리(1422)에 로딩된 컴퓨터프로그램(1427)의 코드를 읽어 내어 이를 실행함으로써 컴퓨터프로그램(1427)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컴퓨터시스템(100)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140)는 조작정보생성부(120)를 통하여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01).
단계S101에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조작정보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된 방향정보 및 이동량정보를 이용하여 포인팅디바이스모드 혹은 방향키모드로 동작수행부(110)를 제어한다(S102).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모드선택부(130)를 통하여 포인팅디바이스모드 및 방향키모드를 상호 전환하라는 사용자의 지시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03). 단계S103에서의 확인 결과, 모드 전환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지시가 입력되지 않으면, 단계S102가 수행된다.
만일, 단계S103에서의 확인 결과, 모드 전환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지시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포인팅디바이스모드 및 방향키모드를 상호 전환한다(S104). 단계S104에서는, 예컨대, 단계S104 직전에 포인팅디바이스모드이었다면 방향키모드로 전환된다.
다음으로, 동작을 계속할 것으로 판단되면(S105), 단계S102가 수행된다. 만일, 단계S105에서의 확인 결과, 동작을 계속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면 모든 동작을 종료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조작정보를 얻기 위하여 대응 하는 여러 조작정보생성수단을 모두 구비하여야만 하는 공간적인 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향키와, 포인팅디바이스로서의 역할을 하나의 수단이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함에 있어서, 방향키로서의 조작정보와, 포인팅디바이스로서의 조작정보 중 어느 하나가 지연되어 입력되는 경우 이로 인하여 두 정보를 동시에 수신함으로써 발생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5)

  1. 컴퓨터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수행부와;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여 방향정보와, 상기 방향정보에 대응하는 방향의 이동량정보를 생성하는 조작정보생성부와;
    조작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는 모드선택부와;
    상기 모드선택부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조작정보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방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수행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방향정보 및 상기 이동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수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정보생성부는, 상기 방향정보 및 상기 이동량정보를 포함하는 제1정보신호와, 상기 방향정보 및 상기 이동량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정보신호와 신호 규격이 상이한 제2정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정보신호에 포함된 상기 방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수행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제2정보신호에 포함된 상기 방향정보 및 상기 이동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수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수행부를 제어하는 동작제어부와;
    상기 제1정보신호에 포함된 상기 방향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동작제어부에 전송하거나, 상기 제2정보신호에 포함된 상기 방향정보 및 상기 이동량정보를 상기 동작제어부에 전달하는 정보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정보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정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와;
    상기 신호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제1정보신호를 상기 제2정보신호로 변환하는 상기 신호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생성부는 제1인터럽트신호를 상기 신호변환부 및 상기 정보처리부에 전송하며,
    상기 신호변환부 및 상기 정보처리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인터럽트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신호생성부로부터 상기 제1정보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부는 상기 모드선택부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이 상기 제2정보신호의 전송에 대응하는 경우 제2인터럽트신호를 상기 신호변환부에 전송하고,
    상기 신호변환부는 상기 정보처리부로부터 상기 제2인터럽트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제2정보신호를 상기 정보처리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생성부 및 상기 신호변환부 사이와, 상기 신호생성부 및 상기 정보처리부 사이의 상기 제1정보신호의 전송은 I2C(Inter-Integrated Circuit) 규격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변환부 및 상기 정보처리부 사이의 상기 제2정보신호의 전송은 PS/2 규격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작모드는 방향키모드 및 포인팅디바이스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향키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방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수행부를 제어하고, 상기 포인팅디바이스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방향정보 및 상기 이동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수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10.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수행부와,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여 방향정보와, 상기 방향정보에 대응하는 방향의 이동량정보를 생성하는 조작정보생성부를 구비하는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조작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조작정보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방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수행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방향정보 및 상기 이동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수행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정보생성부는, 상기 방향정보 및 상기 이동량정보를 포함하는 제1정보신호와, 상기 방향정보 및 상기 이동량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정보신호와 신호 규격이 상이한 제2정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정보신호에 포함된 상기 방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수행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제2정보신호에 포함된 상기 방향정보 및 상기 이동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수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정보생성부로부터 I2C(Inter-Integrated Circuit) 규격에 따라 상기 제1정보신호를 전송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정보생성부로부터 PS/2 규격에 따라 상기 제2정보신호를 전송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2정보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조작정보생성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작모드는 방향키모드 및 포인팅디바이스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방향키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방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수행부를 제어하고, 상기 포인팅디바이스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방향정보 및 상기 이동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수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70018293A 2007-02-23 2007-02-23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15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293A KR101315453B1 (ko) 2007-02-23 2007-02-23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1/942,074 US20080209080A1 (en) 2007-02-23 2007-11-19 Comput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0810085634.6A CN101251777B (zh) 2007-02-23 2008-01-23 计算机系统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293A KR101315453B1 (ko) 2007-02-23 2007-02-23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331A true KR20080078331A (ko) 2008-08-27
KR101315453B1 KR101315453B1 (ko) 2013-10-04

Family

ID=39717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293A KR101315453B1 (ko) 2007-02-23 2007-02-23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209080A1 (ko)
KR (1) KR101315453B1 (ko)
CN (1) CN1012517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0891B2 (en) * 2008-10-17 2011-11-01 Zeemote Technology Inc. Sensor mapping
CN101807124A (zh) * 2010-02-05 2010-08-18 王家焱 光学指点杆控制方法及其装置
CN103176634A (zh) * 2011-12-21 2013-06-26 冠捷投资有限公司 电子系统、触控装置、控制电路及触控处理方法
CN106249847A (zh) * 2015-07-21 2016-12-21 深圳市拓丰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头戴式设备实现远程控制的虚拟增强现实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7930A (en) * 1984-11-28 2000-03-14 The Whitaker Corporation Multimodal touch sensitive peripheral device
JPH07284166A (ja) * 1993-03-12 1995-10-27 Mitsubishi Electric Corp 遠隔操作装置
US6873333B1 (en) * 1997-06-17 2005-03-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er system with post screen format configurability
JP2001125703A (ja) 1999-10-27 2001-05-11 Sharp Corp 情報処理装置
JP4108401B2 (ja) 2002-07-26 2008-06-25 日本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移動端末
JP2004157866A (ja) 2002-11-07 2004-06-03 Fujitsu Component Ltd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移動電話
CN2665805Y (zh) * 2003-09-26 2004-12-22 英群企业股份有限公司 模拟键盘功能键输入的指针输入装置
JP2005198825A (ja) * 2004-01-15 2005-07-28 Olympus Corp 生体組織形成促進材とその製造方法
JP4578947B2 (ja) * 2004-11-19 2010-11-10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装置
JP4694392B2 (ja) * 2005-05-30 2011-06-08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用キーシート及び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KR100791378B1 (ko) * 2005-12-29 2008-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양한 입력 모드를 지원하는 사용자 명령 입력 장치 및이를 이용한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453B1 (ko) 2013-10-04
CN101251777B (zh) 2014-02-12
CN101251777A (zh) 2008-08-27
US20080209080A1 (en) 200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0143B1 (ko) 터치 키패드의 키선택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US8417971B2 (en) Data process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20030091377A1 (en) Input apparatus and method
JP3091500U (ja) キーボードとディスプレイとマウスを共用できる切り換え装置
US20080120578A1 (en) Mouse with a screen saver control function
KR101315453B1 (ko)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080238728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key pressing determination method
US2003022318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window size control method used in the same unit
JP4245334B2 (ja) キーパッド命令モードの入力方法
US9696823B2 (en) Computer and method for sharing input device thereof
US6714143B2 (en) Auxiliary keyboard and keyboard improved in operability for key inpu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40085228A1 (en) Touch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US20110199309A1 (en) Input Device
US817929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key operation control method
KR101376603B1 (ko) 컴퓨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할 수 있는 컴퓨터용 키보드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호출 방법
KR101149146B1 (ko) 터치스크린 잠금장치 및 방법
JP7241989B1 (ja) プログラム作成装置、プログラム作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10019741A (ko) 포인팅 디바이스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의 스크롤 기능을 위한장치 및 방법
US20040030811A1 (en) Method for switching input devices between an input mode and a serial use mode
JP2010086065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制御方法
JP2010086387A (ja) キーボード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50026142A (ko)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단축키 판별장치 및 방법
KR101118224B1 (ko) 노트북컴퓨터에서 키보드를 이용한 마우스 기능 버튼구현방법
TWI307852B (ko)
TWI248013B (en) A peripheral device having lockable control over numeric codes inputted by key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