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5027A -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5027A
KR20060055027A KR1020040094325A KR20040094325A KR20060055027A KR 20060055027 A KR20060055027 A KR 20060055027A KR 1020040094325 A KR1020040094325 A KR 1020040094325A KR 20040094325 A KR20040094325 A KR 20040094325A KR 20060055027 A KR20060055027 A KR 20060055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ity
touch pad
keyboard
input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4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4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5027A/ko
Publication of KR20060055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50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키보드를 포함하는 컴퓨터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위한 터치패드와; 상기 터치패드의 감도를 소정의 작동레벨과 대기레벨로 조절할 수 있는 감도조절부와; 상기 키보드에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터치패드의 감도를 상기 대기레벨로 설정하고,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키보드에 입력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터치패드의 감도를 상기 작동레벨로 조절하도록 상기 감도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자동으로 터치패드의 감도레벨을 조정하여 사용자가 키보드와 터치패드를 원활히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Comput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시스템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시스템의 제어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스플레이 20 : 본체
30 : 터치패드 40 : 키보드
50 : 제어부 70 : 감도조절부
본 발명은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패드를 개선한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시스템은 복수의 입력키로 구성된 키입력부, 마우스, 터치패드 등을 입력장치로 사용하고 있다.
터치패드는 평면형상의 포인팅디바이스로 일반적으로 휴대용컴퓨터에 마련되어 있으며, 마우스의 기능을 한다. 터치패드의 표면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대고 이 동하면 손가락에 의해 눌린 위치의 압력이 전압이나 전류의 레벨로 변환된다. 변환된 신호에 기초하여 CPU는 손가락으로 터치한 영역의 위치좌표를 산출하며, 산출된 위치좌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커서 또는 포인터의 위치가 이동되거나, 아이콘의 클릭 또는 스크롤바 이동 등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의 손이 터치패드에 접촉하면 원하지 않은 오신호가 발생한다. 이렇게 사용자의 손이 의도와 달리 터치패드에 접촉하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커서 또는 포인터가 임의로 조작돼서 오류가 발생되거나 원하지 않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컴퓨터시스템은 셋업 메뉴에서 터치패드가 디스에이블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하는 경우 사용자가 터치패드를 인에이블시키려면 컴퓨터를 항상 재부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다른 방법에 따르는 종래의 컴퓨터시스템은 터치패드의 인에이블 여부를 선택하는 전용 핫키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이 기능에 의하면 사용자가 터치패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핫키를 누르면 터치패드가 디스에이블 된다. 그리고, 다시 터치패드를 사용하려면 핫키를 다시 눌러서 터치패드를 인에이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하는 종래의 컴퓨터시스템은 사용자가 타이핑작업을 할 때마다 핫키를 눌러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키보드와 터치패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다.
종래의 컴퓨터시스템은 PALM CHECK라는 기능을 포함하여, 터치패드의 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터치패드의 감도를 가장 낮게 하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손바닥 등이 의도하지 않고 터치패드에 닿는 경우 오신호의 발생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즉, 터치패드에 사용자의 손 등이 접촉하여 발생하는 신호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신호라고 판단되면, 컴퓨터시스템은 발생한 오신호를 OS(Operating System)에 전송하지 않고 차단할 수 있다.
이런 시스템 하에서는 터치패드의 감도를 가장 낮게 하면 오신호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터치패드만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터치패드의 감도레벨이 낮아서 터치패드가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신호를 잘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터치패드의 감도레벨을 다시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으로 터치패드의 감도레벨을 조정하여 사용자가 키보드와 터치패드를 원활히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키보드를 포함하는 컴퓨터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위한 터치패드와; 상기 터치패드의 감도를 소정의 작동레벨과 대기레벨로 조절할 수 있는 감도조절부와; 상기 키보드에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터치패드의 감도를 상기 대기레벨로 설정하고,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키보드에 입력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터치패드의 감도를 상기 작동레벨로 조절하도록 상기 감도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대기레벨은 상기 작동레벨보다 감도가 낮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키보드와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키보드에 입력신호가 입력되는지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터치패드의 감도를 대기레벨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의 감도가 대기레벨로 조절된 경우, 상기 키보드에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입력신호가 입력되는지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터치패드의 감도를 작동레벨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시스템의 외관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보드 및 CPU 등의 부품이 설치되어 있는 본체(20)와, 본체(20)로부터 입력된 화상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20)의 상단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복수의 입력키로 구성된 키보드(40)와 터치패드(3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시스템은 입력장치인 터치패드(30) 및 키보드(40)와, 터치패드(30)와 키보드(40)의 입력신호를 처리하여 데 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50)와, 제어부(50)의 명령신호에 따라 터치패드(30)의 감도를 조절하는 감도조절부(70)를 포함한다.
터치 패드(30)는 열을 감지하는 패널로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어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포인터를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를 지시하는 마우스 기능을 수행한다.
키보드(40)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가 선택하여 입력하는 복수의 입력키를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해 눌러진 입력키를 소정의 전압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50)에 제공한다.
여기서, 입력장치인 터치패드(30)는 PS/2 인터페이스 방식을 통해 제어부(5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발생하는 입력신호를 제어부(5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인터페이스 방식은 입력장치와 제어부(50)를 연결해 줄 수 있다면 PS/2 방식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감도조절부(7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또는 제어부(50)의 명령신호에 의해 터치패드(30)의 감도레벨을 조정할 수 있으며, 조정된 감도레벨을 저장할 수 있다. 감도조절부(70)는 터치패드(30)의 전용 드라이버에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50)에는 키보드(40) 또는 터치패드(30)로부터 입력신호가 수신된다. 제어부(50)는 터치패드(30) 또는 키보드(40)의 입력신호에 따른 데이터를 처리하여 해당 프로그램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해당 프로그램은 OS일 수 있으며, OS는 입력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할 응용프로그램을 결정하여 해당 응용프로그램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해당 응용프로그램에서는 OS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특정위치에 있는 아이콘 또는 메뉴를 실행하는 명령 등으로 해석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제어부(50)는 키보드(40)로부터 입력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감도조절부(70)를 제어하여 터치패드(30)의 감도레벨을 조정한다. 사용자가 조정해 놓은 감도레벨 또는 기설정된 감도레벨인 작동레벨하에서 사용자가 키보드(40)를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50)는 키보드(40)로부터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터치패드(30)의 감도를 가장 감도레벨이 낮은 대기레벨로 조정하라는 명령신호를 감도조절부(7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소정의 시간 동안 키보드(40)에서 입력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터치패드(30)의 감도를 작동레벨로 재조정하라는 명령신호를 감도조절부(70)에 전송한다. 제어부(50)와 감도조절부(70)는 LPC(Low Pin Count) 버스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서로 통신할 수 있다면 그 범위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시스템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키보드(40)의 입력키를 가압하면 입력신호인 인터럽트신호가 발생한다. 키보드(40)로부터 발생한 인터럽트신호는 제어부(50)에 인가된다(S1). 제어부(50)에 인터럽트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50)는 터치패드(30)의 감도레벨을 조정하라는 명령신호를 감도조절부(70)로 출력한다. 제어부(50)로부터 명령신호를 수신한 감도조절부(70)는 터치패드(30)의 감도를 대기레벨로 조정한다(S3). 터치패드(30)의 감도가 대기레벨로 조정되면, 사용자가 터치패드(30)를 약하게 터치하거나 너무 넓은 면적으로 터치한 경우에는 터치패드(30)가 신호를 인식하지 않는다.
터치패드(30)의 감도가 대기레벨로 조정된 후, 제어부(50)는 소정의 시간 내에 키보드(40)에서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5). 소정의 시간 내에 사용자가 키보드(40)를 사용하여, 제어부(50)가 키보드(40)로부터 발생한 인터럽트 신호를 소정의 시간 내에 수신하면, 제어부(50)는 인터럽트 신호가 수신된 시간부터 다시 소정의 시간 내에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그러나, 소정의 시간 내에 키보드(40)로부터 발생한 인터럽트 신호가 제어부(50)에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50)는 터치패드(30)의 감도를 대기레벨로 조정하기 전의 레벨인 작동레벨로 조정하라는 명령신호를 감도조절부(70)에 인가한다. 이 명령신호를 수신한 감도조절부(70)는 터치패드(30)의 감도를 작동레벨로 조정한다(S7). 그 후, 다시 키보드(40)에서 인터럽트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50)는 다시 감도조절부(70)를 조절해서 터치패드(30)를 대기레벨로 조정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은 사용자가 키보드(40)를 사용하는 동안에는 터치패드(30)의 감도를 자동으로 최하레벨인 대기레벨로 낮춰서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입력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키보드(4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터치패드(30)의 감도레벨을 자동으로 작동레벨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키보드(40)를 사용하면서도 동시에 터치패드(30)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키보드(40)와 터치패드(30)의 활용도를 더욱 높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으로 터치패드의 감도레벨을 조정하여 사용자가 키보드와 터치패드를 원활히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4)

  1. 키보드를 포함하는 컴퓨터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위한 터치패드와;
    상기 터치패드의 감도를 소정의 작동레벨과 대기레벨로 조절할 수 있는 감도조절부와;
    상기 키보드에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터치패드의 감도를 상기 대기레벨로 설정하고,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키보드에 입력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터치패드의 감도를 상기 작동레벨로 조절하도록 상기 감도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레벨은 상기 작동레벨보다 감도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3. 키보드와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키보드에 입력신호가 입력되는지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터치패드의 감도를 대기레벨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의 감도가 대기레벨로 조절된 경우, 상기 키보드에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입력신호가 입력되는지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터치패드의 감도를 작동레벨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40094325A 2004-11-17 2004-11-17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550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325A KR20060055027A (ko) 2004-11-17 2004-11-17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325A KR20060055027A (ko) 2004-11-17 2004-11-17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5027A true KR20060055027A (ko) 2006-05-23

Family

ID=37151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4325A KR20060055027A (ko) 2004-11-17 2004-11-17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502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607B1 (ko) 2006-10-19 2008-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센서 유닛 및 터치 센서 유닛의 민감도 조절 방법
US20080305836A1 (en) * 2007-06-07 2008-12-11 Young Hwan Kim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generating key signal therein
WO2009005560A3 (en) * 2007-06-28 2009-04-16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edance stabilization
EP3173912A1 (en) * 2015-11-25 2017-05-31 Xiaomi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oint-reporting of touchscre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607B1 (ko) 2006-10-19 2008-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센서 유닛 및 터치 센서 유닛의 민감도 조절 방법
US20080305836A1 (en) * 2007-06-07 2008-12-11 Young Hwan Kim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generating key signal therein
US8581854B2 (en) 2007-06-07 2013-11-1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generating key signal therein
KR101405928B1 (ko) * 2007-06-07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키 신호 발생 방법 및 이동 단말기
WO2009005560A3 (en) * 2007-06-28 2009-04-16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edance stabilization
US8456450B2 (en) 2007-06-28 2013-06-04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edance stabilization
US9325253B2 (en) 2007-06-28 2016-04-26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edance stabilization
EP3173912A1 (en) * 2015-11-25 2017-05-31 Xiaomi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oint-reporting of touchscre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0872A (en) Keyboard control of a pointing device of a computer
US6532003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having control element for detecting false touch
KR19990015738A (ko) 터치패드 입력 제어기능을 갖는 휴대형 컴퓨터
JP2009259079A (ja) タッチボードカーソル制御方法
KR20150069420A (ko)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키보드를 이용한 컴퓨터장치의 제어방법
JP6162299B1 (ja) 情報処理装置、入力切替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616194B2 (en) Key lock means and application method of the same
JP6017995B2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その入力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US6018336A (en) Computer system having digitizing tablet
JPH10228350A (ja) 入力装置
CN107621899B (zh) 信息处理装置、误操作抑制方法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833281B1 (ko) 전자기기에서 터치패드 오동작 방지 방법 및 장치
JP6705033B1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入力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00271300A1 (en) Multi-Touch Pad Control Method
KR101348696B1 (ko) 터치패턴기반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55027A (ko)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67861A (ko)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객체 스크롤 방법 및 장치
JP2011204092A (ja) 入力装置
KR101598671B1 (ko)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키보드 및 그 제어방법
US20110216024A1 (en) Touch pad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139647B1 (ja) 情報処理装置、入力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84580A (ko) 컴퓨터키보드의 터치패드 활성화장치와 활성화방법
CN114217727B (zh) 电子装置及其触控方法
KR20130112350A (ko) 터치패턴기반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095527B2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そ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