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7242A - 이동 통신 장치의 의도되지 않는 작동을 방지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장치의 의도되지 않는 작동을 방지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7242A
KR20080077242A KR1020087016068A KR20087016068A KR20080077242A KR 20080077242 A KR20080077242 A KR 20080077242A KR 1020087016068 A KR1020087016068 A KR 1020087016068A KR 20087016068 A KR20087016068 A KR 20087016068A KR 20080077242 A KR20080077242 A KR 20080077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lock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slider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6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4183B1 (ko
Inventor
마이클 제이. 챔버스
마이클 키스링
Original Assignee
에이저 시스템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저 시스템즈 인크 filed Critical 에이저 시스템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080077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1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single handed use or left/right hand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 통신 장치 및 이의 의도되지 않은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이를 조작하는 방법. 일 실시예에서, 이동 통신 장치는 (1) 제 1 몸체부, (2) 제 2 몸체부, (3) 제 2 몸체부를 제 1 몸체부에 활주 가능하게 부착하게 구성된 슬라이더 메커니즘으로서, 제 2 몸체부는 슬라이더 메커니즘에 의해 제 1 몸체부에 관하여 적어도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인, 상기 슬라이더 메커니즘, (4) 제 1 위치에서 제 2 몸체부를 록킹하게 구성된 록을 포함한다.
몸체부, 록킹, 슬라이더 메커니즘, 이동 통신 장치, 키패드

Description

이동 통신 장치의 의도되지 않는 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AN UNINTENTIONAL ACTIV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장치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도되지 않은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 통신 장치들을 록킹(locking)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장에서 변치않는 경향은 소형화를 향한 계속적인 개발이다. 그러나, 조작성은 키패드 혹은 디스플레이와 같은, 사용자가 상호작용해야 하는 성분들에 대한 어떤 최소 크기들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이동 통신 장치들의 어떤 설계들은 폴딩 혹은 슬라이딩 메커니즘들을 포함한다. 이들 설계들은 장치가 사용중이 아닐 때 보다 작은 크기들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키패드 및 디스플레이에 대한 추가의 보호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영국특허출원 GB2235606A 호는 사용중이 아닐 때의 접은 위치와 사용을 위한 전개된 위치 간에 종방향 활주 가능한 이동을 위해 장착된 연장되는 슬리브 유사 부분이 구비된 휴대전화에 관한 것이다. 연장부는 접은 위치에서 키패드의 선택된 키들을 이들 키들의 우발적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감추게 구성될 수 있다. 영국특허출원 GB2235606A GB2235606A 호는 접은 위치에서 연장부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해제 버튼이 눌려졌을 때, 연장부는 스프링의 작용하에, 전개된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된다.
영국 특허출원 GB2235606 호는 해제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불행하게도, 이의 설계는 예를 들면 다른 것들과 함께 배낭에 넣고 다닐 때 스스로 열리기 쉽게 되어 있다. 활주 이동을 수동으로 수행하도록 된 그 외의 슬라이더 메커니즘들은 같은 문제를 갖고 있다.
이것은 전자 장치가 작동될 때 이의 전력소비가 증가하기 때문에 사소한 문제가 아니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가 작동될 때, 통상적으로 이의 백라이트가 턴 온 하여, 전력소비가 극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슬라이딩 메커니즘은 통상적으로 이의 키패드 혹은 이의 부분들을 감추도록 된 것이 때문에, 무심코 슬라이더 메커니즘을 열게 되면 뜻하지 않게 키들을 누를 수 있게 되고 뜻하지 않게 기능들을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심지어는 위급 응답 번호들에의 원하지 않는 발호들이 초래될 수도 있다.
미국특허 제 5,241,583 호는 우발적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키들을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전자식 키패드 록(lock) 기능이 구비된 휴대 라디오 전화에 관한 것이다. 키패드는 미리 결정된 순서의 키 누름들을 수행함으로써 비활성화 및 활성화된다. 또한, 특허는 착호(incoming call)를 검출하였을 때 키패드가 자동으로 언록 킹(unlocking)되는 변형예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키패드를 비활성화하는 것은 우발적으로 열린 슬라이더 메커니즘에 의해 스위칭 온 된 백라이트에 기인하여 증가된 전력소비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이 기술에 필요한 것은 의도되지 않은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동 통신 장치들을 록킹하는 기본적으로 새로운 방법이다.
발명의 요약
위에 논의된 종래 기술의 결함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일 특징에서, 이동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 통신 장치는, (1) 제 1 몸체부, (2) 제 2 몸체부, (3) 상기 제 2 몸체부를 상기 제 1 몸체부에 활주 가능하게 부착하게 구성된 슬라이더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제 2 몸체부는 상기 슬라이더 메커니즘에 의해 상기 제 1 몸체부에 관하여 적어도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인, 상기 슬라이더 메커니즘, (4)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몸체부를 록킹하게 구성된 록을 포함한다.
다른 특징에서, 본 발명은 제 1 몸체부, 제 2 몸체부, 상기 제 2 몸체를 상기 제 1 몸체부에 활주 가능하게 부착하게 구성된 슬라이더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제 2 몸체부는 상기 슬라이더 메커니즘에 의해 상기 제 1 몸체부에 관하여 적어도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인, 상기 슬라이더 메커니즘,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몸체부를 록킹하게 구성된 록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장치의 록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1) 착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2) 검출된 착호에 응답하여 상기 록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는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당업자들이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하고 택일적인 특징들을 개괄하였다. 발명의 청구항들의 요지를 이루는 발명의 추가의 특징들이 이하 기술될 것이다.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동일 목적들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들을 설계 혹은 수정하기 위한 토대로서, 개시된 개념 및 구체적인 실시예를 쉽게 사용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또한, 당업자들은 이러한 동등 구조들은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 있음을 알 것이다.
발명의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 첨부한 도면에 관련하여 취해진 다음의 설명을 참조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되고 전개된 위치에서 기계식 록 및 제 1 몸체부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개략적 정면도.
도 1b는 도 1b의 장치의 개략적 측면도.
도 2a는 접은 위치에서 제 2 몸체부와 함께 도 1a의 장치의 개략적 정면도.
도 2b는 도 2a의 장치의 개략적 측면도.
도 3은 도 1a의 장치의 제 2 몸체부의 개략적 내부도.
도 4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이동 통신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제 2 몸체부의 개략적 내부도.
도 5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되고 전기기계식 록을 구비한 이동 통신 장치의 제 3 실시예의 제 2 몸체부의 개략적 내부도.
도 6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되고 전기기계식 록 및 2개의 슬라이더 레일들을 포함하는 슬라이더 메커니즘을 구비한 이동 통신 장치의 제 4 실시예의 제 2 몸체부의 개략적 내부도.
도 7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수행되는 이동 통신 장치를 자동으로 언록킹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
이동 통신 장치, 특히 이동전화, 개인용 디지털 어시스턴트(PDA), 혹은 멀티미디어 디지털 어시스턴트(MDA) 형태를 취하는 본 발명의 일 특징이 여기에서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 통신 장치는 제 1 몸체부, 제 2 몸체부, 상기 제 2 몸체부를 상기 제 1 몸체부에 활주 가능하게 부착하게 구성된 슬라이더 메커니즘,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몸체부를 록킹하게 구성된 록을 포함한다. 제 2 몸체부는 슬라이더 메커니즘에 의해 제 1 몸체부에 관하여 적어도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위치는 제 2 위치에 비해 보다 작은 장치 크기들로 되는 접은 위치이다. 접은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혹은 키패드 혹은 이의 부분들은 의도되지 않은 작동을 보호 혹은 방지하기 위해 감추어진다. 이 실시예에서, 제 2 위치는 키패드 및 디스플레이를 완전히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전개된 위치이다.
실제적인 목적들을 위해서 록 메커니즘은 잇점이 있게, 슬라이더 메커니즘을 차단하기 위한 멈춤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슬라이더 메커니즘의 설계에 따라, 이외 어떤 다른 적합한 종류의 멈춤부이든 제공될 수 있다. 록은 예를 들면 멈춤부에 힘을 가하기 위해, 스프링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a, 도 1b, 도2a 및 도 2b에 관련하여 이하 기술되는 제 1 실시예에서, 록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기계식 스위치를 포함하는 기계식 록이다. 사용자 조작가능 기계식 스위치는 마이크로-슬라이더 스위치일 수 있다. 사용자 조작가능 기계식 스위치는 한 손 조작을 위해 이동 통신 장치의 일측에 배열된다.
의도되지 않은 조작을 방지함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가능 기계식 스위치는 스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이동될 때 예를 들면 충분히 큰 마찰저항에 의해 제공되는 주어진 최소의 힘의 인가에 의해서만 조작되게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우측 혹은 좌측손으로 택일적 조작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사용자 조작가능 기계식 스위치는 적어도 2개의 조작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제적인 목적들을 위해서, 이들 요소들은 장치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에 배열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 관련하여 이하 기술되는 제 2 실시예에서, 록은 전기모터 및 전기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하는 전기기계식 록이다. 제 2 실시예에서, 록은 슬라이더 메커니즘을 차단하기 위한 멈춤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잇점이 있게 멈춤부는 전기모터에 결합되고, 이에 따라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멈춤부의 자동적인 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록은 이동 통신 장치의 키패드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수동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키패드의 일부는 제 2 몸체부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노출된 채로 있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록이 관여되게 하기 위한 추가의 버튼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착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착호에 응답하여 록을 자동으로 비활성화시키게 구성된다. 그럼으로써 제 2 몸체부는 착호의 경우에 어떠한 더 이상의 수고도 없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활주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 통신 장치는 키패드 록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는 잇점이 있게, 키패드의 키들의 적어도 일부를 비활성화하게 구성된다. 또한, 제어기는 착호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키패드의 비활성을 자동으로 중단하게 구성된다.
슬라이더 메커니즘을 차단하기 위한 록은 키패드 록에 연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동 통신 장치내 소프트웨어는 키패드 록 기능을 이행할 수 있다. 잇점을 가지고 키패드와 함께 슬라이더 메커니즘을 록킹하는 것은 이동 통신 장치의 맨-머신 인터페이스(MMI)의 메뉴에서 선택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한 손 조작을 할 수 있게 한다.
이동 통신 장치는 슬라이더 메커니즘의 록을 비활성화할 뿐만 아니라 착호가 검출되었을 때 키패드의 키들의 비활성을 중단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동 통신 장치의 록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형태를 취하는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이 여기에서 기술된다. 위에서처럼, 이동 통신 장치는 제 1 몸체부, 제 2 몸체 부, 상기 제 2 몸체부를 상기 제 1 몸체부에 활주 가능하게 부착하게 구성된 슬라이더 메커니즘, 및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몸체부를 록킹하게 구성된 록을 구비한다. 제 2 몸체부는 슬라이더 메커니즘에 의해 제 1 몸체부에 관하여 적어도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방법은 착호를 검출하는 것과, 검출된 착호에 응답하여 록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동 통신 장치는 키패드의 키들의 적어도 일부를 비활성화하기 위한 사용자 작동가능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고, 이 경우 방법은 검출된 착호에 응답하여 키 비활성을 중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착호를 감지하였을 때 키패드 록을 비활성화시키게 구성된 키패드 록 소프트웨어가 이미 구비된 이동 통신 장치는 여기 기술된 록 및 슬라이더 메커니즘의 실시예를 키패드 록 소프트웨어에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게 구성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방법은 디지털 저장매체, 예를 들면, 칩에 저장되어 프로세서, 예를 들면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에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물론, 방법은 대안적으로, 전용의 하드웨어로 수행될 수도 있다.
먼저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되고 전개된 위치에서 기계식 록 및 제 2 몸체부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개략적 정면도가 도시되었다. 도 1a에서, 이동 통신 장치는 이동전화(1)이다. 이동전화(1)는 서로간에 활주되게 부착된 제 1 몸체부(10) 및 제 2 몸체부(20)를 구비한다. 이동전화(1)는 디스플레이(50)와, 제 1 부분(42) 및 제 2 부분(44)을 포함하는 키패드 를 더 구비한다. 이동전화(1)의 일측에 위치된 기계식 마이크로-슬라이더 스위치(30)는 제 1 몸체부(10)와 제 2 몸체부(20)를 서로 부착되게 하는 슬라이더 메커니즘(도 1a에는 도시되 않았으나 도 1b에는 54로 표시되었음)을 차단한다. 도 1a에서 제 2 몸체부(20)는 제 1 몸체부(10)에 관하여 연장된 위치에 있다. 측면도가 도 1b에 주어졌다.
이제 도 2a로 가서, 제 2 몸체부(20)가 제 1 몸체부(10)에 관하여 접은 위치에 있는, 도 1a 및 도 1b의 이동전화(1)가 도시되었다. 도 2a에서, 키패드의 부분(44)은 제 2 몸체부가 접은 위치에 있을 때 감추어지고 그럼으로써 외부 영향들에 대해 키패드의 이 부분을 보호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렇지만 키패드의 부분(42)은 이동전화(1)의 어떤 기능들을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여전히 액세스될 수 있다. 도 2b는 접은 위치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서로에 관하여 주어진 위치에서 제 1 몸체부(10) 및 제 2 몸체부(20)를 록킹하기 위한 록의 설계가 다른 본 발명의 이동 통신 장치의 대안적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들의 바깥쪽 외양은 도 1a, 도 1b, 도 2a, 도 2b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개략적 내부도들만이 도시되었다.
도 3은 이동전화(1)의 제 2 몸체부(20)의 개략적인 내부도이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슬라이더 메커니즘을 차단하기 위한 록은 마이크로-슬라이더 스위치(30)를 포함하고, 이 스위치에는 스프링 메커니즘을 구비한 레버(34)가 결합된다. 이동전화(1)의 주축에 평행한 종 방향으로 마이크로-슬라이더 스위치(30)를 수동으로 이 동시킴으로써, 레버(34)는 슬라이더 레일(60)(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차단하거나 방면되게 이동되고, 이에 의해서 제 2 몸체부(20)가 제 1 몸체부(10)에 부착된다.
도 4는 레버(34)를 조작하기 위해 2개의 상호 연결된 마이크로-슬라이더 스위치들(30, 32)이 구비된 이동전화(2)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는 사용자의 좌측 혹은 우측 손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요망된다면 특히 잇점이 있다.
도 5는 슬라이더 메커니즘을 록킹하기 위한 전기-기계식 록이 구비된, 이동전화(3)의 제 2 몸체부(20)의 개략적 내부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이동전화(3)는 키패드의 키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활성화하기 위한 키패드 록 소프트웨어를 구비한다. 키패드 록 소프트웨어는 멈춤부(80)에 결합되는 소형 전기모터(70)를 제어기(90)를 통해 제어한다. 모터(70)는 슬라이더 메커니즘이 닫혀질 경우, 즉 제 2 몸체부가 접은 위치에 있을 경우 슬라이더 레일(60)을 차단하기 위해서 멈춤부(80)를 이동시킨다.
도 6은 제 1 몸체부(10)에 제 2 몸체부(20)를 부착하기 위해, 이동전화(4)에 2개의 슬라이더 레일들(62, 64)이 구비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전기모터(70)는 두 슬라이더 레일들(62, 64)을 차단하기 위해 2개의 멈춤부들(82, 84)을 이동시킨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전기모터(70)는 이동전화(4)에 구현된 키패드 록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기(90)를 통해 제어된다. 착호의 경우에 키패드 록이 제거되고 슬라이더 레일들(62, 64)은 방면되어 슬라이더 메커니즘은 어떠한 더 이상의 절차도 없이 조작될 수 있다.
이제 도 7로 가서,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수행되는 이동 통신 장치를 자동으로 언록킹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가 도시되었다. 방법은 이동 통신 장치가 록킹되는 시작 단계(710)에서 시작한다. 단계(720)에서, 이동 통신 장치는 착호를 검출한다. 단계(730)에서, 록은 검출된 착호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비활성화되어, 슬라이더 메커니즘을 방면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통신 장치를 전개된 위치에 있게 할 수 있다. 단계(740)에서, 검출된 착호에 응답하여 키패드의 어떠한 비활성도 중단되어, 사용자의 이익을 위해서 키패드를 작동되는 상태에 둔다. 방법은 종료 단계(750)에서 끝나며, 이동 통신 장치는 자동으로 언록킹되었다.
본 발명이 상세히 기술되었을지라도,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들, 치환들, 및 변경들을 가장 광범한 형태로 행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Claims (10)

  1. 이동 통신 장치에 있어서,
    제 1 몸체부;
    제 2 몸체부;
    상기 제 2 몸체부를 상기 제 1 몸체부에 활주 가능하게 부착하게 구성된 슬라이더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제 2 몸체부는 상기 슬라이더 메커니즘에 의해 상기 제 1 몸체부에 관하여 적어도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인, 상기 슬라이더 메커니즘;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몸체부를 록킹(locking)하게 구성된 록(lock)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은 상기 슬라이더 메커니즘의 이동을 차단하게 구성된 멈춤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은 스프링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은 사용자 조작가능 기계식 스위치를 포함하는 기계식 록인, 이동 통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가능 기계식 스위치는 마이크로-슬라이더 스위치인, 이동 통신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가능 기계식 스위치는 사용자의 우측손 또는 좌측손으로의 택일적 조작을 위해 구성된 적어도 2개의 조작 요소들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은 전기모터 및 상기 전기모터를 제어하게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는 전기-기계식 록인, 이동 통신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착호(incoming call)를 검출하고,
    상기 착호를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록을 자동으로 비활성화시키도록 구 성된, 이동 통신 장치.
  9. 제 1 몸체부, 제 2 몸체부, 및 상기 제 2 몸체부를 상기 제 1 몸체부에 활주 가능하게 부착하게 구성된 슬라이더 메커니즘을 갖는 이동 통신 장치를 자동으로 언록킹(unlocking)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 2 몸체부는 상기 슬라이더 메커니즘에 의해 상기 제 1 몸체부에 관하여 적어도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록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몸체부를 록킹하게 구성된, 상기 이동 통신 장치를 자동으로 언록킹하는 방법에 있어서,
    착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착호에 응답하여 상기 록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장치를 자동으로 언록킹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장치는 상기 키패드의 상기 키들의 적어도 일부를 비활성화하게 구성된 사용자 작동가능의 기능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착호를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키패드의 비활성을 자동으로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장치를 자동으로 언록킹하는 방법.
KR1020087016068A 2005-12-01 2006-11-30 이동 통신 장치의 의도되지 않는 작동을 방지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KR101304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91,937 2005-12-01
US11/291,937 US7570978B2 (en) 2005-12-01 2005-12-01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an unintentional activ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CT/US2006/061406 WO2007065130A1 (en) 2005-12-01 2006-11-30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an unintentional activ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242A true KR20080077242A (ko) 2008-08-21
KR101304183B1 KR101304183B1 (ko) 2013-09-06

Family

ID=37898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6068A KR101304183B1 (ko) 2005-12-01 2006-11-30 이동 통신 장치의 의도되지 않는 작동을 방지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70978B2 (ko)
EP (1) EP1966980B1 (ko)
KR (1) KR101304183B1 (ko)
WO (1) WO20070651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260061U (en) * 2004-06-11 2005-03-21 Quanta Comp Inc Automatic sliding mechanism
US20070060219A1 (en) * 2005-09-09 2007-03-15 Hung-Chih Lin Sliding shell
US8019394B2 (en) * 2007-06-29 2011-09-13 Motorola Mobility, Inc. Component packaging for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US20090170571A1 (en) * 2007-12-31 2009-07-0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al flip-open assist of ultra thin clam communication devices
US20100066640A1 (en) * 2008-09-12 2010-03-1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onic Device with Locking, Movable Displays
US8204560B2 (en) * 2008-12-17 2012-06-19 Motorola Mobility, Inc. Clamshell phone with edge access
EP2271062A1 (fr) * 2009-06-30 2011-01-05 Celsius X Vi Ii Appareil électronique
FR3072849A1 (fr) * 2017-10-24 2019-04-26 Orange Dispositif de protection pour un equipement electroniqu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43117B (en) * 1990-04-20 1994-04-20 Technophone Ltd Portable radio telephone
GB2353170A (en) * 1999-08-06 2001-02-14 Nokia Mobile Phones Ltd Slide assembly for a communication unit
US6980840B2 (en) * 2000-01-24 2005-12-27 Lg Electronics Inc. Drawer-type mobile phone
FI112422B (fi) 2000-04-28 2003-11-28 Nokia Corp Teleskooppirakenne puhelinlaitetta varten
EP1193953B1 (fr) * 2000-06-30 2004-11-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eillage électronique comportant un écran rétractable
US20030003962A1 (en) * 2001-06-29 2003-01-02 Tan Vooi-Kia Automatic sliding ma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product, particularly for a sliding front cover of a mobile phone
JP2003046618A (ja) * 2001-07-31 2003-02-14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端末
JP2003204383A (ja) 2001-10-26 2003-07-18 Nec Corp 携帯電話機
US20050054397A1 (en) 2003-09-08 2005-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sliding-typ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nd locking apparatus thereof
KR20050027654A (ko) * 2003-09-16 2005-03-2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703339B1 (ko) 2003-09-24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및 이 무선단말기에서의 슬라이딩 제어 방법
JP2005167488A (ja) * 2003-12-01 2005-06-23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携帯端末のスライド機構
KR100616544B1 (ko) * 2004-04-30 2006-08-29 삼성전기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자동구동방법
TWI253274B (en) * 2004-05-05 2006-04-11 Benq Corp Mobile phone
KR100664983B1 (ko) * 2004-06-23 2007-01-09 삼성전기주식회사 자동/반자동/수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586979B1 (ko) * 2004-09-02 2006-06-08 삼성전기주식회사 자동/수동 슬라이드형 통신단말기
KR100617673B1 (ko) * 2004-12-06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및 이를채용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TWI271086B (en) * 2005-06-21 2007-01-11 Asustek Comp Inc Mobile phone with indicating fun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mobile phone to provide indicat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4183B1 (ko) 2013-09-06
EP1966980B1 (en) 2015-06-17
WO2007065130A1 (en) 2007-06-07
US7570978B2 (en) 2009-08-04
EP1966980A1 (en) 2008-09-10
US20070129121A1 (en) 200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4183B1 (ko) 이동 통신 장치의 의도되지 않는 작동을 방지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US20100281441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EP0647037B1 (en) Portable radio apparatus with a folding structure
US6453169B1 (en) Portable radiotelephone with multiple function power key
US7574002B2 (en) Mechanical key lo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he same
US7697965B2 (en) Mobile phone with sliding keypad insertion into housing
JP4055116B2 (ja) 携帯電話機
JPH0544217B2 (ko)
ITMO20130151A1 (it) Sistema di chiusura per armadi a cassetti
US7957779B2 (en) Slidable mobile phone
US7369884B2 (en) Slide assembly
JP4601638B2 (ja) 携帯端末の制御方法
US20110092254A1 (e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ith two Input Devices
KR101575562B1 (ko) 터치스크린 잠금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JP4588301B2 (ja) 携帯端末
EP2259558B1 (en) A biasing component for raising and lowering a keyboard for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JP2008108427A (ja) スライドノブ構造及びスイッチ構造並びに携帯電子機器
JP3907388B2 (ja) 携帯電話機
KR10086639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JP4392458B2 (ja) 携帯電話機
KR200179806Y1 (ko) 휴대폰용 안테나 및 플립개방장치
JP4796973B2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KR20060044063A (ko) 터치 스크린 방식에 의해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진동 출력 모드를 설정/해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60010210A (ko) 동작 제어 버튼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ITMI980513U1 (it) Apparecchio portatile ricetrasmittente con meccanismo di attivazione perfeziona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