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6819A - 리드선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리드선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6819A
KR20080076819A KR1020080013736A KR20080013736A KR20080076819A KR 20080076819 A KR20080076819 A KR 20080076819A KR 1020080013736 A KR1020080013736 A KR 1020080013736A KR 20080013736 A KR20080013736 A KR 20080013736A KR 20080076819 A KR20080076819 A KR 20080076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ead wire
fluorescent tube
hous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3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히로 스기타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6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8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과제
도선을 보다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리드선 지지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형광관으로부터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드선을, 그 리드선을 양 사이드로부터 끼워 넣는 대향 위치에서 그 리드선의 축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 적어도 3 개의 지지체에 의해 끼워 넣어 지지한다.

Description

리드선 지지 장치 {LEAD WIRE SUPP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로서 사용되는 형광관의 리드선을 지지하는 리드선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액정 표시 장치 (액정 디스플레이) 의 백라이트의 광원에는, 열음극관 (HCFL) 이나 냉음극관 (CCFL) 등의 형광관 (선 형상 광원) 이 복수 배열되어 있다. 이들 각 형광관은, 그 양단에 도선 (리드선) 을 갖고,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를 사용하여 이들 도선에 전원 공급선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며, 백라이트 배면판 등의 기판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10, 11 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59370호에 개시된 종래의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 (201) 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 은 이 종래예에 나타낸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 (201) 의 일부를 종단면도로 나타낸 것, 도 11 은 도 10 에 나타내는 기판 (202) 과 단자 (207) 만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 (201) 는, 형광관 (203) 을 지지하거나 또는 형광관 (203) 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가지며, 주로 단자 (207) 와, 하우징 (204) 과, 이들 단자 (207) 와 하우징 (204) 에 대하여 회동 (回動) 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 (205) 를 구비한다. 단자 (207) 는, 형광관 (203) 의 도선 (218) 을 끼워두는 접점부 (210) 를 갖고, 이 접점부 (210) 는, 액추에이터 (205) 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도선 (218) 을 도입할 수 있는 열림 상태와, 도선 (218) 을 끼워두는 닫힘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59370호
그러나, 이 종래예에 개시된 커넥터에서는, 형광관 (203) 의 도선 (218) 을 도선의 양 사이드로부터 끼워 넣어 지지하는 구조가 채용되고 있기 때문에, 도선에 끼워두는 힘이 과도하게 부가되기 쉽고, 또, 도선 (218) 을 끼워두는 접점부 (210) 는, 도선 (218) 과의 충돌면으로서 판 형상체의 파단면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특히 직경이 작은 (예를 들어, φ 0.3 ∼ 0.8㎜ 정도의) 도선에 있어서는 절단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백라이트의 사용시에는, 형광관으로부터 발하여지는 열에 의해 형광관 자체가 신축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도선의 끼임부에는 신축에 수반하는 응력이 부가되기 쉽고, 그 결과, 절단될 우려도 큰 것이 되었다.
본원 발명은, 이들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도선을 보다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리드선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형광관으로부터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드선을, 그 리드선을 양 사이드로부터 끼워 넣는 대향 위치에서 그 리드선의 축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 적어도 3 개의 지지체에 의해 끼워 넣어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선 지지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3 개의 지지체 중 적어도 1 개의 지지체는 상기 리드선측으로 변위하도록 가동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지지체는 상기 리드선에 대하여 고정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 개의 지지체는, 상기 나머지 지지체와 함께, 덮개체에 의해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도록 된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덮개체에 의해 닫혀졌을 때,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적어도 1 개의 지지체의 일부가 상기 덮개체와 접촉하고, 그 접촉을 통해 상기 적어도 1 개의 지지체를 상기 리드선측으로 변위시켜 상기 적어도 1 개의 지지체와 상기 나머지 지지체 사이에서 상기 리드선을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 개의 지지체는, 상기 리드선측에 존재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과 연속 상태로 형성되고, 접어꺾임부를 이용하여 상기 리드선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접어 꺾여 상기 제 1 부분을 개재하여 상기 리드선과 대향 배치된 제 2 부분을 갖고, 상기 제 2 부분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적어도 1 개의 지지체의 일부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나아가 또한,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리드선과의 접촉측에 면을 갖는 지지판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1 장의 금속판을 펀칭,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 (1) 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간략화시킨 형태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 (1) 를 그 주변 부재와 함께, 그 경사진 전방에서 수평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개략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내는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 (1) 를 사용함으로써, 소정 길이를 갖는 형광관 (2) 의 일방의 측을, 백라이트 배면판 (3) 의 일방의 판면측에 있어서, 백라이트 배면판 (3) 으로부터 이간시킨 상태로 배치함과 함께,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 (1) 를 통하여, 백라이트 배면판 (3) 의 다른 일방의 판면측에 장착한 인버터 기판 (4) 으로부터 형광관 (2) 으로 신호를 전달시키거나 또는 그곳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도면 간략화를 위해, 도 1 에는 형광관 (2) 이나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 (1) 를 1 개만 나타내었지만, 실제 사용시에는, 형광관 (2) 의 길이 방향 (도시 화살표 「가」방향) 에 있어서, 형광관 (2) 의 각 단부에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 (1) 가 각각 배치되고, 또한, 이들 형광관 (2) 과 각 단부에 설치한 2 개의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를 하나의 세트로 하여, 그들 세트가 복수 병렬로 배열되어 있다고 생각해도 된다. 이로써, 어떠한 크기의 대화면 텔레비전 등의 백라이트도 서포트할 수 있다.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 (1) 는 좌우 대칭 형상을 이루며, 주로 고정 하우징 (70), 가동 하우징 (40), 덮개체 (10) 및 단자 (90) 의 4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고정 하우징 (70) 은, 백라이트 배면판 (3) 의 구멍 (도시되어 있지 않음) 을 관통시켜, 그곳에 건 상태로 사용된다. 고정 하우징 (70) 의 하부에는, 인버터 기판 (4) 을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할 수 있다. 한편, 고정 하우징 (70) 의 상부에는, 덮개체 (10) 와 협동하여 형광관 (2) 을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 (1) 에 지지, 고정시키는 가동 하우징 (40) 이 설치되어 있다. 단자 (90) 는, 이들 가동 하우징 (40) 과 고정 하우징 (70) 양자를 관통한 상태에서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 (1) 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부 (91) 에서 형광관 (2) 의 중심 부근에서부터 길이 방향 「가」로 연장되는 리드선 (5) 을 지지, 고정시킨다 (후술하는 도 6 등에 잘 나타나 있다). 가동 하우징 (40) 에 고정된 형광관 (2) 은, 예를 들어, 형광관 (2) 에 발생한 열의 영향 등에 의해 팽창되어, 길이 방향 「가」를 따라 그 길이를 변화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 길이의 변화는, 형광관 (2) 의 근원 부근, 특히, 형광관 (2) 의 리드선 (5) 과 단자 (90) 사이의 접속 상태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준다. 이 길이의 변화를 허용하기 위해, 가동 하우징 (40) 은, 고정 하우징 (70) 에 대하여, 형광관 (2) 의 길이 방향 「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덮개체 (10) 는, 가동 하우징 (40) 에 덮개를 덮는 형태로, 가동 하우징 (40) 에 대하여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닫힘 상태로 되었을 때에, 형광관 (2) 의 리드선 (5) 을 단자 (90) 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통상적으로 덮개체 (10) 는, 형광관 (2) 의 장착 전에만 열림 상태로 되고, 장착 후에는 닫힘 상태 그대로 된다.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 (1) 를 일단 조립한 후에 덮개체 (10) 를 열림 상태로 할 필요가 발생하는 것은, 예를 들어, 형광관 (2) 의 교환시 등, 한정된 경우만으로 생각해도 된다.
도 2, 도 3 에 덮개체 (10) 가 열림 상태로 된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 (1) 의 정면도와 측면도를, 또한, 도 4, 도 5 에 덮개체가 열림 상태로 된 형광관용 커넥 터 장치의 도 3 의 A-A 선 단면도와 도 2 의 B-B 선 단면도를, 또, 도 6, 도 7 에 덮개체가 닫힘 상태로 된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의 도 4 에 대응하는 단면도와 도 5 에 대응하는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편의상, 도 6 에는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 (1) 외에, 형광관 (2) 으로부터 연장되는 리드선 (5) 을, 도 7 에는 형광관 (2) 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가동 하우징 (40) 은, 평판 형상의 베이스부 (42) 와, 베이스부 (42) 의 좌우 각 측면으로부터 고정 하우징 (70) 측으로 연장된, 가동 하우징 (40) 과 고정 하우징 (70) 을 걸기 위한 한 쌍의 판부 (60) 와, 베이스부 (42) 의 전측 (前側) 상부에 형성한 형광관 (2) 을 지지하기 위해 상부 (43) 가 반원 형상으로 잘린 지지대 (44) 와, 베이스부 (42) 의 후측 상부에 형성한 덮개를 탑재하기 위한 덮개 탑재대 (45) 와, 덮개 탑재대 (45) 를 끼워 넣도록 좌우 각각에 대향 배치된 한 쌍의 걸림편 (47) 과, 걸림편 (47) 과 쌍으로 하여 사용되고, 걸림편 (47) 보다 길이 방향 「가」를 따라 후측에 배치된 베어링 (49) 으로 이루어진다.
판부 (60) 의 각 내벽 하측, 즉, 고정 하우징 (70) 측에는, 고정 하우징 (70) 의 일부 (대응 슬라이드 걸어맞춤부 (75)) 와 걸 수 있는 한 쌍의 슬라이드 걸림 돌기 (61) 가, 길이 방향 「가」를 따라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들 슬라이드 걸림 돌기 (61) 와 고정 하우징 (70) 의 일부 (대응 슬라이드 걸어맞춤부 (75)) 를 걺으로써, 가동 하우징 (40) 은 고정 하우징 (70) 에 슬라이드할 수 있는 상태로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다.
덮개 탑재대 (45) 의 전측에는, 단자 (90) 의 리드 지지 고정부 (91) 가 일 부 노출 상태로 배치되는 단자 지지부 (54) 가,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단자 지지부 (54) 에는, 좌우를 구분하는 중앙벽 (55) 과 좌우 2 개의 측벽 (56) 이 포함되며, 이들 중앙벽 (55) 과 각 측벽 (56) 사이에 형광관 (2) 의 리드선 (5) 이 관통되는 2 지점의 통로 (57)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덮개체 (10) 가 열림 상태에 있을 때, 특히 길이 방향 「가」에 있어서, 단자 (90) 의 일부 (도 2 의 100) 가, 통로 (57) 에 있어서 측벽 (56) 의 내측 (58) 으로부터 약간 돌출된 상태로 되고, 또한, 단자 (90) 의 일부 (도 2 의 중간 절곡부 (97A), 중간 절곡부 (97B) 부근) 가, 측벽 (56) 의 각 외벽 (59) 으로부터 다소 돌출된 상태로 된다. 특히, 후자의 돌출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덮개체 (10) 와의 협동 작용에 의해 리드선 (5) 을 지지, 고정시키기 때문에 중요하다. 덮개 탑재대 (45) 의 후측에는, 덮개체 (10) 가 탑재되는 평탄면 (52) 이 형성되어 있다. 이 평탄면 (52) 에 탑재된 덮개체 (10) 의 축 (15) (도 1, 도 3 등) 이 회동할 수 있도록 추지 (樞支) 되는 구멍 (50) 이 베어링 (49) 에 형성되어 있다. 걸림편 (47) 에는, 베어링 (49) 등을 이용하여 회동된 덮개체 (10) 가 닫힘 상태로 되었을 때에, 덮개체 (10) 의 걸림부 (20) 와 걸릴 수 있는 걸림 구멍 (48) 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체 (10) 는 전면 (前面) 과 저면에서 개방되고, 좌우 측면 (11), 상면 (12) 및 배면 (13) 에서 닫힌, 거의 상자 형상체로 되어 있다. 측면 (11) 의 배면측 저부 부근의 좌우 대향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2 개의 축 (15) 이 형성되어 있고, 모서리를 둥글게 한 덮개체 (10) 의 저측 에지부 (18) 를 가동 하우징 (40) 의 평탄면 (52) 상에 지지한 상태에서, 이들 축 (15) 을 가동 하우징 (40) 의 베어링 (49) 의 구멍 (50) 에 의해 추지시킴으로써, 덮개체 (10) 는, 도시 화살표 「나」방향에 있어서, 약 90 도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닫힌 덮개체 (10) 를 가동 하우징 (40) 에 걸기 위해, 측면 (11) 의 전측 저부 부근의 좌우 대향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2 개의 걸림부 (20)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걸림부 (20) 를 걸림편 (47) 의 걸림 구멍 (48) 의 상부 부근에서 압입하여 걺으로써, 덮개체 (10) 는 가동 하우징 (40) 에 대하여 닫힘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가동 하우징 (40) 을 덮개체 (10) 에 의해 닫을 때에, 덮개체 (10) 의 걸림부 (20) 가 가동 하우징 (40) 의 걸림 구멍 (48) 에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걸림부 (20) 나 그 주변부에 테이퍼 (21) 를 잘라 두어도 된다. 또, 덮개체 (10) 의 열림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측면 (11) 의 상부 대향측에 외측으로 튀어나오는 걸이부 (17) 를 형성해 두어도 된다. 이들 걸이부 (17) 에 손잡이의 갈고리를 걸거나 하여 덮개체 (10) 의 개폐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고정 하우징 (70) 은, 판 형상의 베이스부 (80) 와, 가동 하우징 (40) 을 탑재하기 위해 베이스부 (80) 로부터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한 가동 하우징 탑재부 (82) 와, 고정 하우징 (70) 을 배면판 백라이트 배면판 (3) (도 1 참조) 에 고정시키기 위해 전측 저부에 형성한 탄성 고정편 (84) 과, 인버터 기판 (4) 를 삽입 고정시켜 단자 (90) 를 삽입 고정시키기 위해 후측 저부에 형성한 상자 형상의 기판 수용부 (86) 로 이루어진다.
도 1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 (80) 의 저면 (81) 보다 하측은 백라이트 배면판 (3) 의 구멍에 삽입되는 부분이고, 그 밖의 부분은 백라이트 배면판 (3) 의 상부에 드러나는 부분이다. 좌우 대향 위치에 대칭 배치된 탄성 고정편 (84) 은, 서로 거리를 좁히는 방향 (도시 화살표 「라」방향) 으로 탄성 변위할 수 있어, 변위 상태에서 백라이트 배면판 (3) 의 구멍에 삽입된 후, 도시 상태로 복귀함으로써, 걸어맞춤부 (85) 로 백라이트 배면판 (3) 의 구멍 가장자리에 찰칵 소리를 내며 고정된다. 기판 수용부 (86) 는, 백라이트 배면판 (3) 의 구멍과 거의 동일한 가로폭 (탄성 고정편 (84) 의 탄성 변위 방향에 있어서의 폭) 을 갖고, 도 1 에 나타낸 상태가 되도록, 인버터 기판 (4) 이 전방 (지면 수직 방향) 으로부터 삽입 지지될 수 있는 기판 삽입구 (71) 를 갖는다. 또한, 기판 수용부 (86) 에는, 도 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90) 를 삽입하기 위해 중앙벽 (72) 에 의해 구분된 2 개의 세로 구멍 (73) 이, 가동 하우징 탑재부 (82) 나 베이스부 (80) 를 관통한 상태에서, 소정의 깊이로 상방에서 저부를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조립시에는 이들 세로 구멍 (73) 에 단자 (90) 의 일부를 삽입하여, 그곳에 압입 고정시킬 수 있다. 가동 하우징 (40) 을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설치하기 위해, 가동 하우징 탑재부 (82) 의 좌우 측벽에는, 가동 하우징 (40) 에 형성한 내측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드 걸림 돌기 (61) 에 대응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대응 슬라이드 걸어맞춤부 (75) 가 길이 방향 「가」를 따라 대향 배치되어 있고, 또한, 베이스부 (80) 의 상면에는, 판부 (60) 의 가장자리가 슬라이드할 수 있는 홈 (83) 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하우징 (70) 에 대한 가동 하우징 (40) 의 슬라이드량은, 도 5, 도 7 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방향, 즉, 길이 방향 「가」에 있어 서의, 가동 하우징 탑재부 (82) 의 내벽 (78) 사이 거리 「마」와, 가동 하우징 (40) 의 저면에서부터 고정 하우징 (70) 측으로 다소 돌출된 상태로 형성된 규제 볼록부 (63) 의 외면 (64) 사이 거리 「바」 의 관계에 의해 규제된다. 즉, 가동 하우징 탑재부 (82) 의 내벽 사이 거리 「마」는, 가동 하우징 (40) 의 외면 사이 거리 「바」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고, 그 결과, 가동 하우징 (40) 은 고정 하우징 (70) 에 대하여, 「마」-「바」의 거리만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슬라이드량은, 규제 볼록부 (63) 의 외면 (64) 이, 이 볼록부 (63) 가 삽입되는 가동 하우징 탑재부 (82) 의 세로 구멍 (73) 의 내벽 (78) 과 충돌함으로써 규제된다.
도 8 에,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 (1) 의 내부에 형성한 단자 (90) 를 리드선 (5) 의 일부와 함께 사시도로 나타낸다. 단자 (90) 는,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배치 (상태) 로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 (1) 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해도 된다. 여기에서는, 단자 (90) 는, 서로 대칭 형상을 이루는 2 개 (단자 (90A, 90B)) 의 단자의 세트로 형성되어 있다. 단, 이들 2 개의 단자 (90A, 90B) 는 서로 떨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 (1) 의 내부에서도 서로 전기적으로도, 물리적으로도 접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 에 나타낸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 (1) 의 2 개의 단자 (90A, 90B) 는, 각각이 다른 신호 또는 전원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고, 이러한 의미에서, 도 1 에 나타낸 커넥터 장치는, 이른바 2 극 타입의 커넥터 장치라고 할 수 있다. 물론, 단자를 1 개로 하거나 또는 단자 (90A 와 90B) 를 서로 접속하도록 하여 1 극 타입으로 할 수도 있다. 이들 단자 (90A, 90B) 는 대칭 형상을 이루고, 실질적으로는 동일 구조를 갖는 것이므로, 이하, 특별히 필요하지 않은 한, A, B 의 문자를 부여하여 기재하지 않고, 간단하게 「90」의 참조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단자 (90) 는, 주로,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리드 지지 고정부 (91), 신축 흡수부 (110), 고정부 (120), 기판 접촉부 (130) 의 4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리드 지지 고정부 (91) 는, 적어도 편측의 거의 모든 측면 (140) 을 노출시킨 상태로, 또한, 일부 (중간 절곡부 (97)) 를 가동 하우징 (40) 의 단자 지지부 (54) 나 측벽 (56) 으로부터 돌출시킨 상태로 가동 하우징 (40) 에 배치된다. 한편, 고정부 (120) 는, 고정 하우징 (70) 의 내부에 외부로부터 덮어 씌워진 상태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고정된다. 또한, 신축 흡수부 (110) 는 리드 지지 고정부 (91) 와 고정부 (120) 사이에 위치되고, 가동 하우징 (40) 과 고정 하우징 (70) 의 간극 (65) 에, 이들 가동 하우징 (40) 과 고정 하우징 (70) 에 의해 외부로부터 덮어 씌워진 상태에서 형광관과 평행이 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기판 접촉부 (130) 는, 고정 하우징 (70) 의 기판 삽입구 (71) 로부터 일부를 노출시킨 상태로 고정 하우징 (70) 에 배치된다. 이들 부분은, 모두 1 장의 금속판을 펀칭, 절곡함으로써 형성되고, 금속판의 롤 면에 의해 형성된 비교적 폭이 넓은 매끄러운 면을 가지며, 이들 매끄러운 면을 리드선 (5) 과의 접촉측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단자 (90) 에 의해 리드선 (5) 을 고정시킨 후에, 이 단자 (90) 에 의해 리드선 (5) 이 절단되어 버리는 위험은 작다. 또한, 이들 부분은 연속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른 부재를 접속시키는 구조에 비해 전기 신호를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최상부에 배치한 리드 지지 고정부 (91) 는, 덮개체 (10) 와의 협동 작용에 의해 형광관 (2) 의 리드선 (5) 을 지지, 고정시키기 위한 부분으로서 중요하다. 리드 지지 고정부 (91) 는, 주로 고정 지지판 (92), 고정 지지판 (93), 가동 지지판 (94) 의 3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것들의 하단부 (95) 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고정 지지판 (92), 고정 지지판 (93) 은, 가동 하우징 (40) 의 중앙벽 (55) 에 형성한 패임부 (66) (도 4, 도 6 등) 에 매립되어 고정 상태로 입설 (立設) 배치된다. 한편, 가동 지지판 (94) 은, 길이 방향 「가」에 있어서, 고정 지지판 (92), 고정 지지판 (93) 의 중간에 위치되고, 또한, 길이 방향 「가」와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가동 하우징 (40) 의 측벽 (56) 의 내부 (도 4, 도 6 등) 에서 가동 상태로 되어 있다. 가동 지지판 (94) 을, 길이 방향 「가」를 따라, 고정 지지판 (92), 고정 지지판 (93) 의 중간에 위치시킴으로써, 이들 고정 지지판 (92), 고정 지지판 (93), 가동 지지판 (94) 은, 리드선 (5) 의 축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대향 배치된다. 그 결과, 고정 지지판 (92) 및 고정 지지판 (93) 과 가동 지지판 (94) 사이에는, 리드선 (5) 을 그 양 사이드로부터 끼워 넣을 수 있는 계곡부 (99) 가 형성된다. 리드선 (5) 은, 이 계곡부 (99) 에 있어서, 이들 3 개의 부분에 의해 3 개의 지지점에 의해 평면적으로 안정되게 지지된다.
가동 지지판 (94) 은, 리드선 (5) 측에 존재하는 입설부 (101) 와, 이 입설부 (101) 의 상단 부근에서 리드선 (5) 으로부터 멀어지는 측 (외측) 으로 접어서 꺾인 상부 접어꺾임부 (96) 와, 이 상부 접어꺾임부 (96) 에 의해 접어서 꺾인 부분의 중간 부근에서 리드선 (5) 측 (내측) 으로 접어 꺾여 입설부 (101) 를 개재하여 리드선 (5) 과 대향 배치된 중간 절곡부 (97) 와, 또한, 이 중간 절곡부 (97) 에 의해 절곡된 선단 부근에서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어, 중간 절곡부 (97) 와 동일하게 입설부 (101) 를 개재하여 리드선 (5) 과 대향 배치된 선단 절곡부 (98) 로 이루어진다. 가동 지지판 (94) 은, 전체적으로는 가동 하우징 (40) 의 측벽 (56)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데,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덮개체 (10) 가 열림 상태에 있을 때, 길이 방향 「가」에 있어서, 단자 (90) 의 일부 (도 2 의 100) 가, 통로 (57) 에 있어서 측벽 (56) 의 내측 (58) 으로부터 약간 돌출된 상태로 되고, 또한, 단자 (90) 의 일부 (도 2 의 중간 절곡부 (97A), 중간 절곡부 (97B) 부근) 가, 측벽 (56) 의 각 외벽 (59) 으로부터 다소 돌출된 상태로 된다. 그 결과, 예를 들어, 도 5 와 도 7 을 비교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덮개체 (10) 가 닫혀졌을 때, 중간 절곡부 (97) (리드 지지 고정부 (91)) 의 측면 (140) 부근이, 닫혀져 있는 덮개체 (10) 의 내벽 (22) 에 의해 끼워 넣어진 상태로 충돌하고, 이로써, 가동 지지판 (94) 은 내측 (도 4, 도 6 의 도시 화살표「다」방향) 으로 압입되어, 리드선 (5) 측으로 변위한다. 또한, 이 변위에 의해, 상부 접어꺾임부 (96) 를 개재하여 가동 지지판 (94) 에 접속된 입설부 (101) 가, 상부 접어꺾임부 (96) 의 운동에 응답하거나 또는 가동 지지판 (94) 의 선단 부근에 형성한 선단 절곡부 (98) 가 입설부 (101) 와 접촉됨으로써, 입설부 (101) 는 리드선 (5) 측으로 변위하고, 고정 지지판 (92), 고정 지지판 (93) 과 입설부 (101) (가동 지지판 (94)) 사이에 형성된, 리드선 (5) 을 지지하는 계곡부 (99) 의 간극이 탄성적으로 좁아져, 계곡부 (99) 에 지지된 리드선 (5) 은 그곳에서 끼어, 고정되게 된다. 또한, 리드선 (5) 을 지지, 고정시키는 위치는, 계곡부 (99) 의 하부에서 그 상부에 걸친 어느 위치이어도 된다. 어느 위치이더라도, 가동 상태로 된 가동 지지판 (94) 의 탄성 작용의 기능에 의해, 형광관 (2) 을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계곡부 (99) 에 삽입된 리드선 (5) 이 다소 변형되어 있는 경우라도, 가동 지지판 (94) 의 탄성 작용에 의해, 이러한 변형을 허용하여, 리드선 (5) 은 그곳에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임의적이지만, 덮개체 측면 (11) 의 전측 저부의 좌우 대향측에, 저측을 향하여 선단이 좁아지도록 테이퍼 (24) 를 자른, 돌출된 안내부 (23) 를 형성해도 된다. 중간 절곡부 (97) 의 측면 (140) 과 동일 방향으로 경사진 테이퍼 (24) 를 형성함으로써, 덮개체 (10) 의 내벽 (22) 과 중간 절곡부 (97) (리드 지지 고정부 (91)) 의 측면 (140) 의 충돌 (가동 지지판 (94) 의 내측 (도 4, 도 6 의 도시 화살표 「다」방향) 으로의 변위) 을 원활하게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테이퍼 (24) 의 기능에 의해, 안내부 (23) 는, 이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진 중간 절곡부 (97) 의 측면 (140) 상을 원활하게 슬라이드하면서, 단자 지지부 (54, 56) 의 내측으로 압입되어, 단자 지지부 (54, 56) 의 외벽 (59) 을 끼워둘 수 있다.
가동 하우징 (40) 에 고정된 형광관 (2) 이 열 팽창 등에 의해 길이 방향 「가」에 있어서의 길이를 변화시킨 경우, 이 형광관 (2) 을 지지하는 리드 지지 고정부 (91) 가 고정된 가동 하우징 (40) 은, 고정부 (120) 나 기판 접촉부 (130) 가 고정된 고정 하우징 (70) 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데, 그 결과, 리드 지지 고정부 (91) 와 고정부 (120) 나 기판 접촉부 (130) 사이의 상대 거리에 변화가 발생한다. 길이 방향 「가」를 따라 자유롭게 신축될 수 있도록 한 신축 흡수부 (110) 를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상대 거리의 변화는 허용된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축 흡수부 (110) 의 일방의 단부 (141) 는, 길이 방향 「가」의 지면 안쪽에 있어서 리드 지지 고정부 (91) 의 하단부 (95) 에, 다른 일방의 단부 (142) 는, 길이 방향 「가」의 지면 앞쪽에 있어서 고정부 (120) 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신축 흡수부 (110) 는 전체적으로 주름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형상을 이용하여, 리드 지지 고정부 (91) 와 고정부 (120) 나 기판 접촉부 (130) 사이의 상대 거리의 변화를 흡수하여 허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신축 흡수부 (110) 는 반드시 주름 형상으로 할 필요는 없으며, 리드 지지 고정부 (91) 와 고정부 (120) 의 상대 거리의 변화를 흡수할 수 있는 형상이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권회 코일과 같은 형상으로 해도 된다.
고정부 (120) 는, 길이 방향 「가」로 확장되는 폭이 넓은 부분을 가진 판 형상체이며, 저측 부근의 절곡부 (146) 에서 절곡됨으로써, 수직판부 (144) 와 수평판부 (145) 로 나눠져 있다. 수직판부 (144) 는, 고정 하우징 (70) 의 세로 구멍 (73) 의 내벽 (87) 에 접촉시킨 상태로 압입 고정되고, 수평판부 (145) 는, 고정 하우징 (70) 의 세로 구멍 (73) 의 내저에 접촉시킨 상태로 배치된다. 수직판부 (144) 를 압입 고정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내벽 (87)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내측) 에 기립부와, 또한, 이 기립부로부터 연속된 상태로 내벽 (87) 과 평 행하게 연장되는 부분을 갖음으로써, L 부 (89) 가 형성되어 있다. 이 L 부 (89) 에 의해, 내벽 (87) 과의 사이에 고정부 (120) 를 압입하기 위한 간극 (76) (도 4, 도 6) 을 형성하고, 이 간극 (76) 에, 수직판부 (144) 의 압입 돌기 (147) 를 이용하여 수직판부 (144) 를 압입함으로써, 고정부 (120) 는 내벽 (87) 에 밀착시킨 상태로 세로 구멍 (73) 에 고정될 수 있다.
기판 접촉부 (130) 는 고정부 (120) 의 하부에 위치하며, 인버터 기판 (4) 을 단자 (90) 에 접속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인버터 기판 (4) 의 소정 부분 (도시되어 있지 않음) 을 소정의 힘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그것들의 선단 부근을 내측을 향하여 가볍게 절곡시킴으로써 접촉편 (131) 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하우징 (70) 의 하부에 형성한 기판 삽입구 (71) 로부터 인버터 기판 (4) 이 삽입되었을 때, 접촉편 (131) 은 인버터 기판 (4) 과 접촉됨으로써 변위하여, 소정의 힘으로 인버터 기판 (4) 에 접촉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9 를 참조하여, 단자의 기타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편의상, 기타 실시형태와 관련된 단자 (90') 에 대해서는, 단자 (90) 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에 「'」를 부여하여 나타낸다. 도 9 는 이 기타 실시형태와 관련된 단자 (90') 의 외관 사시도를, 도 8 과 동일한 방법으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는, 단자는 1 개만 형성하고 있고 (대칭 형상으로 한 단자는 존재하지 않음), 따라서, 단자 (90') 는 이른바 1 극 타입의 커넥터 장치용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단, 위와 동일한 형태로 함으로써, 2 극 타입으로 할 수도 있다. 도 9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의 실시형태와의 본질적인 차이점은 2 가지 있다. 하나는, 신축 흡수부 (110') 가 수평 방향이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고정 지지판 (도 8 의 고정 지지판 (92, 93)) 으로서 형성하였던 부재가 가동 지지판 (94') (도 8 의 가동 지지판 (94)) 과 동일한 가동 지지판 (94C'), 가동 지지판 (94D') 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또한, 전자와 후자의 차이점 사이에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 전자의 차이점에 관하여, 신축 흡수부 (110') 를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변형시킴에 수반하여, 도 9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도 8 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의 수직판부 (144) 가 신축 흡수부 (110') 에 의해 대체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이더라도, 신축 흡수부 (110') 는, 리드 지지 고정부 (91') 와 기판 접촉부 (130') 의 상대 거리의 변화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으며, 또한, 수평판부 (145') 에 의해 고정 하우징 (70) 에 대한 고정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후자의 차이점에 관하여, 도 9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지지판을 가동 지지판으로서 형성함으로써, 형광관 (2) 을 지지, 고정시키는 3 개의 지지점 모두 가동 상태로 되기 때문에, 보다 유연하게 형광관 (2) 을 지지할 수 있다.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그 밖의 변형 양태로서, 예를 들어, 도 9 의 가동 지지판 (94') 을 고정 지지판으로서 형성하고, 가동 지지판 (94C'), 가동 지지판 (94D') 중 어느 일방 또는 쌍방을 가동 지지판으로서 형성해도 된다. 적어도 1 개의 판 형상체가 가동 지지판으로서 있으면, 기능은 발휘된다. 따라서, 그 밖의 변형도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는 덮개체가 열림 상태로 된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덮개체가 열림 상태로 된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 는 덮개체가 열림 상태로 된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의 도 3 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5 는 덮개체가 열림 상태로 된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의 도 2 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6 은 덮개체가 닫힘 상태로 된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의 도 4 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덮개체가 닫힘 상태로 된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의 도 5 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8 은 단자를 리드선의 일부와 함께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는 단자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은 종래예에 나타낸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의 일부를 종단면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도 10 의 기판과 단자만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
2 : 형광관
3 : 백라이트 배면판
4 : 인버터 기판
5 : 리드선
10 : 덮개체
11 : 측면
12 : 상면
13 : 배면
15 : 축
17 : 걸이부
18 : 저측 에지부
20 : 걸림부
21 : 테이퍼
22 : 내벽
23 : 안내부
24 : 테이퍼
40 : 가동 하우징
42 : 베이스부
43 : 상부
44 : 지지대
45 : 덮개 탑재대
47 : 걸림편
48 : 걸림 구멍
49 : 베어링
50 : 구멍
52 : 평탄면
54 : 단자 지지부
55 : 중앙벽
56 : 좌우 측벽
57 : 통로
58 : 내측
59 : 외벽
60 : 판부
61 : 슬라이드 걸림 돌기
63 : 규제 볼록부
64 : 외면
65 : 간극
66 : 패임부
67 : 가장자리
70 : 고정 하우징
71 : 기판 삽입구
72 : 중앙벽
73 : 세로 구멍
75 : 대응 슬라이드 걸어맞춤부
76 : 간극
78 : 내벽
80 : 베이스부
81 : 저면
82 : 가동 하우징 탑재부
83 : 홈
84 : 탄성 고정편
85 : 걸어맞춤부
86 : 기판 수용부
87 : 내벽
89 : L 부
90 : 단자
91 : 리드 지지 고정부
92 : 고정 지지판
93 : 고정 지지판
94 : 가동 지지판
95 : 하단부
96 : 상부 접어꺾임부
97 : 중간 절곡부
98 : 선단 절곡부
99 : 계곡부
100 : 기단부
101 : 입설부
110 : 신축 흡수부
120 : 고정부
130 : 기판 접촉부
131 : 접촉편
140 : 측면
141 : 단부
142 : 단부
144 : 수직판부
145 : 수평판부
146 : 절곡부

Claims (6)

  1. 형광관으로부터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드선을, 그 리드선을 양 사이드로부터 끼워 넣는 대향 위치에서 그 리드선의 축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 적어도 3 개의 지지체에 의해 끼워 넣어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선 지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3 개의 지지체 중 적어도 1 개의 지지체는 상기 리드선측으로 변위하도록 가동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지지체는 상기 리드선에 대하여 고정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 개의 지지체는, 상기 나머지 지지체와 함께, 덮개체에 의해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도록 된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덮개체에 의해 닫혀졌을 때,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적어도 1 개의 지지체의 일부가 상기 덮개체와 접촉하고, 그 접촉을 통해 상기 적어도 1 개의 지지체를 상기 리드선측으로 변위시켜 상기 적어도 1 개의 지지체와 상기 나머지 지지체 사이에서 상기 리드선을 고정시키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 개의 지지체는, 상기 리드선측에 존재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과 연속 상태로 형성되고, 접어꺾임부를 이용하여 상기 리드선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접어 꺾여 상기 제 1 부분을 개재하여 상기 리드선과 대향 배치된 제 2 부분을 갖고, 상기 제 2 부분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적어도 1 개의 지지체의 일부로서 사용되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리드선과의 접촉측에 면을 갖는 지지판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1 장의 금속판을 펀칭,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장치.
KR1020080013736A 2007-02-16 2008-02-15 리드선 지지 장치 KR200800768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36769A JP4368896B2 (ja) 2007-02-16 2007-02-16 リード線支持装置
JPJP-P-2007-00036769 2007-0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819A true KR20080076819A (ko) 2008-08-20

Family

ID=39781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3736A KR20080076819A (ko) 2007-02-16 2008-02-15 리드선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368896B2 (ko)
KR (1) KR2008007681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9476A (ja) * 2007-08-29 2009-03-19 Smk Corp 陰極管用のソケット
JP4575507B2 (ja) * 2008-07-01 2010-11-0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29283B2 (ja) * 2009-04-07 2013-10-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61580B2 (ja) * 2009-07-10 2013-12-0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及び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68896B2 (ja) 2009-11-18
JP2008204656A (ja) 200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8065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CN108011247B (zh) 具有悬臂的平坦触头插座
JP4621092B2 (ja) 蛍光管の取付構造
US7591695B2 (en) Electric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at least one fluorescent lamp and a circuit board and connection structure for same
US7837521B2 (en) Terminal reducing a large insertion force
JP2007095672A (ja) 蛍光管の取付構造
JP4563974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CN109004410A (zh) 可动连接器
KR20100003702A (ko) 커넥터
CN102237577A (zh) 弹力夹紧接头和夹紧构件
KR20080076819A (ko) 리드선 지지 장치
KR20080076818A (ko)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
EP2704268B1 (en) Connector terminal
JPH11288768A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5021391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
EP3435491A1 (en) Terminal with contact piece,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JP4495231B2 (ja) 電気コネクタの取付構造
JP2007184293A (ja) 蛍光管の取付方法
JP2009301957A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電気コネクタユニット
JP5030770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190045984A (ko) 터미널 하우징
JP5172471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KR20090076770A (ko) 충돌음 발생 회피 구조를 구비한 형광관용 커넥터 장치
JP5215763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JP2004039559A (ja) 雌型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