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6123A -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6123A
KR20080076123A KR1020070015618A KR20070015618A KR20080076123A KR 20080076123 A KR20080076123 A KR 20080076123A KR 1020070015618 A KR1020070015618 A KR 1020070015618A KR 20070015618 A KR20070015618 A KR 20070015618A KR 20080076123 A KR20080076123 A KR 20080076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put
processing
increasing
temporal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5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0627B1 (ko
Inventor
강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5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627B1/ko
Publication of KR20080076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5Adapting incoming signals to the display format of the display terminal
    • G06T5/73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172Image enhancement details
    • G06T2207/20182Noise reduction or smoothing in the temporal domain; Spatio-temporal filter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이 입력되는 영상입력부; 상기 입력영상의 포맷에 맞게 화질을 처리하는 화질처리부;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화면정지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화질처리부가 시간적 필터의 적용비중을 높여서 상기 입력영상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사용자 입력조건을 판단하여 정지영상이 분명한 경우에는 시간적 필터의 적용비중을 높여서 해상도를 높이고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처리방법{DISPLAY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처리방법에 관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처리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영상입력부 20 : 화질처리부
30 : 디스플레이부 40 : 사용자입력부
50 : 제어부 60 : 정지영상검출부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지영상의 화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는 정지영상 보다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따라서 화질을 처리하는 모듈이 동영상 처리에 적합하게 설계되고 또한 소프트웨어 적으로도 그에 적합하게 세팅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 동영상 화질의 처리는 크게 시간적 필터(Temporal Filter) 처리와 공간적 필터(Spatial Filter) 처리의 혼합적용으로 이루어진다. 공간적 필터 처리는 현재 프레임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화면을 구현할 수 있으나 영상의 해상도를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상대적으로 앞, 뒤 프레임을 이용한 시간적 필터 처리는 해상도를 높이는 장점이 있으나 모션의 크기, 장면 전환, 노이즈 등의 원인으로 인해 안정적인 화면을 구현하기 어렵다.
종래 디스플레이장치 중에는 필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화질 처리 시에 시간적 필터의 적용 영역과 공간적 필터의 적용 영역을 판별하여 보다 좋은 화질을 구현하고자 설계된 제품들이 있다. 그러나, 시간적 필터의 적용 영역과 공간적 필터의 적용 영역을 판별하는 모듈의 오류로 인해 현실적으로는 해상도를 높이는 시간적 필터의 적용보다는 안정적인 공간적 필터의 적용 비율을 높게 설계하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사진과 같은 정지영상을 디스플레이 또는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 기대에 못 미치는 해상도 및 선명도로 인해 원하는 화질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입력조건을 판단하여 정지영상이 분명한 경우 시간적 필터의 적용비중을 높여서 해상도를 높이고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화질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이 입력되는 영상입력부; 상기 입력영상의 포맷에 맞게 화질을 처리하는 화질처리부;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화면정지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화질처리부가 시간적 필터의 적용비중을 높여서 상기 입력영상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영상이 정지영상인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정지영상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입력부를 통해 카메라, 메모리 스틱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영상이 입력될 때, 상기 정지영상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영상이 정지영상인 경우 상기 화질처리부가 시간적 필터의 적용비중을 높여서 상기 입력영상을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처리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화면정지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영상을 시간적 필터의 적용비중을 높여서 처리하여 강도 높은 잡음 제거, 선명도 증가, 휘도 및 채도 증가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처리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처리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메모리 스틱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입력영상이 정지영상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영상이 정지영상인 경우, 상기 입력영상을 시간적 필터의 적용비중을 높여 강도 높은 잡음 제거, 선명도 증가, 휘도 및 채도 증가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처리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처리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입력부(10), 화질처리부(20), 디스플레이부(30), 사용자입력부(40),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영상입력부(10)는 방송신호 또는 외부소스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영상입력부(10)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및 방송채널을 선국하는 튜너를 포함하며, 외부소스와 연결되는 연결케이블 등이 꼽히는 입력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외부소스에 대응하는 S-video, Component, PC-signal, DVI-signal, HDMI, USB 등의 입력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입력부(10)는 화질처리부(20)가 신호처리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모듈로서, CVBS(Composite Video Broadcast Signal)신호 또는 S-Video신호를 디코딩 하는 디코더, Component신호 또는 PC-signal인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DVI-signal를 R,G,B 디지털신호와 H/V신호로 분리하는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질처리부(20)는 입력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30)의 출력규격에 맞는 수직주파수, 해상도, 화면비율 등에 맞도록 변환하는 스케일러와, 노이즈 감소, 컬러, 휘도, 대조 등의 다양한 화질을 처리하는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질처리부(20)는 입력된 영상을 처리할 때 시간적 필터와 공간적 필터를 혼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화질처리부(20)는 후술할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일반 동영상 화질의 처리 시에는 공간적 필터의 사용비중을 높여서 안정적인 화면을 구현하고, 정지영상의 경우에는 시간적 필터의 적용비중을 높여서 처리하여 해상도를 높인다.
디스플레이부(30)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디스플레이패널의 구동을 제어하는 패널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30)(23)(130)(30)는 CRT(Cathode Ray Tube),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enal)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용 가능하다.
사용자입력부(40)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및 제어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리모트 컨트롤러, 마우스, 키보드, 키패드, 터치패널로 마련되거나, TV의 본체 케이싱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40)를 통해 화면정지명령을 입력하거나 화면정지기능 오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 각종 제 어 코드가 저장된 메모리와, 제어 코드가 실행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 CPU(Central Processor Unit)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특히, 제어부(50)는 사용자입력부(40)의 입력내용에 따라 입력영상이 정지영상이 분명한 경우에는 화질처리부(20)가 앞, 프레임 간 시간적 필터의 적용 비율을 높이도록 제어하여, 화질 개선 효과를 극대화 시킨다. 여기서, 시간적 필터의 적용 비율은 일반 동영상 처리 시 보다 높은 비율로서, 제품 또는 화질처리모듈의 종류에 따라 그 적용 비율을 달리 설정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그 적용비율이 100%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지영상의 경우 시간적 필터의 적용비율을 높임으로써 화질처리부(20)에서 입력영상은 강도 높은 잡음 제거 처리, 선명도 증가, 휘도 및 채도 증가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부(30)로 출력된다.
제어부(50)의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디스플레이장치가 입력된 영상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하고 있는 도중(S10), 사용자입력부(40)를 통해 화면정지명령이 입력되면(S11), 제어부(50)는 화면정지명령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화질처리부(20)가 현재 처리하는 정지된 영상을 시간적 필터의 적용비율을 높여서 처리하도록 제어한다(S12).
만약, 화면정지기능이 오프되면(S13), 제어부(50)는 화질처리부(20)가 일반 동영상을 처리하는 방법에 따라 입력영상을 처리하도록 제어한다(S14).
이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화면정지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와 같이, 현재의 영상이 정지영상이 확실한 경우에는 시간적 필터의 적용비율을 높임으로써 보다 좋은 화질을 구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화면정지와 동시에 인쇄를 선택하여 정지영상을 프린트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보다 좋은 화질로 프린트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처리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 이외에 정지영상검출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지영상검출부(60)는 입력된 영상이 정지영상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모듈로서, 앞,뒤 프레임 간의 데이터의 동일성 여부에 따라 정지영상 여부를 검출한다. 정지영상 검출에 관해서는 당업자라면 종래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어 있음을 충분히 알 수 있으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50)는 입력영상의 소스가 카메라, 메모리 스틱 등인 경우, 정지영상검출부(60)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화질처리부(20)를 제어한다.
제어부(50)의 구체적인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입력된 영상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한다(S20). 이때, 입력영상이 카메라, 메모리 스틱 등의 저장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경우(S21), 제어부(50)는 정지영상 검출부(60)의 검출결과를 확인한다(S22). 확인 결과, 현재 입력영상이 사진 등과 같은 정지영상인 경우에는 제어부(50)는 화질처리부(20)가 현재 처리하는 정지된 영상을 시간적 필터의 적용비율을 높여서 처리하도록 제어한다(S23).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 동영상을 처리하는 모드로 입력영상을 처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 메모리 스틱 등의 저장장치의 경우, 사진 등과 같은 정지영상이 입력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정지영상여부를 검출하여 시간적 필터의 적용비율을 높임으로써 보다 좋은 화질을 구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카메라, 메모리 스틱 등의 사진을 화면출력과 동시에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보다 좋은 화질로 프린트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입력조건을 판단하여 정지영상이 분명한 경우 시간적 필터의 적용비중을 높여서 해상도를 높이고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화질처리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4)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이 입력되는 영상입력부;
    상기 입력영상의 포맷에 맞게 화질을 처리하는 화질처리부;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화면정지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화질처리부가 시간적 필터의 적용비중을 높여서 상기 입력영상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영상이 정지영상인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정지영상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입력부를 통해 카메라, 메모리 스틱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영상이 입력될 때, 상기 정지영상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영상이 정지영상인 경우 상기 화질처리부가 시간적 필터의 적용비중을 높여서 상기 입력영상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처리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화면정지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영상을 시간적 필터의 적용비중을 높여서 처리하여 강도 높은 잡음 제거, 선명도 증가, 휘도 및 채도 증가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처리방법.
  4.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처리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메모리 스틱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입력영상이 정지영상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영상이 정지영상인 경우, 상기 입력영상을 시간적 필터의 적용비중을 높여 강도 높은 잡음 제거, 선명도 증가, 휘도 및 채도 증가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처리방법.
KR1020070015618A 2007-02-14 2007-02-14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처리방법 KR101070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618A KR101070627B1 (ko) 2007-02-14 2007-02-14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618A KR101070627B1 (ko) 2007-02-14 2007-02-14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123A true KR20080076123A (ko) 2008-08-20
KR101070627B1 KR101070627B1 (ko) 2011-10-07

Family

ID=39879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5618A KR101070627B1 (ko) 2007-02-14 2007-02-14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62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0627B1 (ko) 201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27121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2190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잔상제거방법
US20060274206A1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djustable pip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7014623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5010487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eliminating afterimage thereof
US2006010364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ng incidental image thereof
JP2009116254A (ja)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US8379149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70627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처리방법
KR100676701B1 (ko) 디스플레이장치
EP206123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60214944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8004314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65060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영상신호 처리 디바이스
JP2005006038A (ja) 液晶テレビジョン装置
KR100710255B1 (ko) 영상 포맷 변환 방법
KR2008005161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0429228B1 (ko) 티브이의 사이드 화면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200412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710083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82255B1 (ko) 텔레비전 및 그 제어방법
KR101552886B1 (ko) 동영상의 화질 개선 장치 및 방법
KR100762148B1 (ko) 모션량에 따른 디테일 및 샤프니스 조정 방법 및 장치
KR20090056505A (ko) 영상기기의 영상 신호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영상기기
KR2008000816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