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255B1 - 텔레비전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텔레비전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255B1
KR101282255B1 KR1020060100957A KR20060100957A KR101282255B1 KR 101282255 B1 KR101282255 B1 KR 101282255B1 KR 1020060100957 A KR1020060100957 A KR 1020060100957A KR 20060100957 A KR20060100957 A KR 20060100957A KR 101282255 B1 KR101282255 B1 KR 101282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lution
supported
signal
television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4693A (ko
Inventor
정원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0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255B1/ko
Publication of KR20080034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비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은 PC 영상신호에 대해 적어도 2 이상의 지원해상도를 지원하며,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PC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적어도 2 이상의 포맷의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입력부와; 상기 신호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 가능한 포맷으로 변화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PC 영상신호의 출력이 선택된 경우 상기 신호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PC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해상도가 상기 지원해상도들과 상이한 경우 상기 지원해상도의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PC 영상신호의 해상도와 텔레비전의 지원해상도 간의 불일치로 인해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텔레비전이 지원하는 지원해상도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텔레비전 및 그 제어방법{TELEVIS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에 PC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텔레비전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의 화면에 지원해상도가 표시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의 제어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텔레비전 3 : PC
10 : 신호입력부 20 : 신호처리부
21 : 스케일러 22 : 비디오디코더
23 : A/D 컨버터 24 : 튜너
30 : 디스플레이부 40 : 제어부
50 : UI 발생부
본 발명은 텔레비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 원되지 않는 PC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지원 가능한 지원해상도의 리스트를 화면상에 표시해주는 텔레비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은 방송신호를 비롯하여 DVD나 VCR 등과 같은 외부입력장치로부터의 다양한 포맷의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있다. 예를 들어,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일반 고주파(RF)신호인 방송신호와, 방송신호와 유사한 콤포지트(Composite) 신호와, 컬러신호와 명암신호를 분리하여 전송하는 S-비디오(S-Video) 신호, 휘도(Y) 신호와 명암 및 컬러(Cb,Cr) 신호를 포함하는 콤포넌트(Component) 신호 등을 입력받아 이미지를 표시한다.
한편, PC용 모니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해상도를 지원하던 텔레비전에서 벗어나 근래에나 HD급 텔레비전과 디지털 방송의 보급과 함께 텔레비전의 해상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텔레비전에 PC로부터의 PC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단자, 예컨대, D-Sub 단자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텔레비전에 PC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PC의 해상도와 텔레비전의 해상도가 상이하므로, 사용자가 PC를 텔레비전에 연결하더라도 텔레비전이 지원하지 않는 해상도로 PC 영상신호의 해상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텔레비전이 이를 표시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종래의 텔레비전에서는 텔레비전의 화면에 PC 영상신호를 이미지로 표시하지 못함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OSD(On Screen Display)를 통해 해당 정보를 표시하거나, 이미지 자체가 표시되지 않았다. 예컨대, 텔레비전은 지원하지 않는 해상도의 PC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OSD로 "Not Supported Mode"라는 문자로 이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 경우, 사용자는 텔레비전에 PC 영상신호가 표시될 수 있도록 텔레비전이 지원하는 해상도로 PC의 출력 해상도를 조절해야 한다.
그런데, 해당 텔레비전이 지원하는 해상도에 대한 정보는 텔레비전의 구입시 첨부된 사용자 설명서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설명서에서 텔레비전이 지원하는 해상도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PC 영상신호의 해상도와 텔레비전의 지원해상도 간의 불일치로 인해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텔레비전이 지원하는 지원해상도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텔레비전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PC 영상신호에 대해 적어도 2 이상의 지원해상도를 지원하는 텔레비전에 있어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PC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적어도 2 이상의 포맷의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입력부와; 상기 신호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 가능한 포맷으로 변화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PC 영상신호의 출력이 선택된 경우 상기 신호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PC 영상신호의 해 상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해상도가 상기 지원해상도들과 상이한 경우 상기 지원해상도의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해상도가 상기 지원해상도들과 상이한 경우 상기 지원해상도들 중 상기 검출된 해상도와 가장 근접한 지원해상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가장 근접한 지원해상도가 나머지 지원해상도들과 구별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PC 영상신호의 해상도 및 상기 가장 근접한 지원해상도를 상기 PC 영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PC 영상신호에 대해 적어도 2 이상의 지원해상도를 지원 가능하며,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텔레비전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PC 영상신호의 출력이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PC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지원해상도들과 상기 검출된 해상도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해상도와 일치하는 상기 지원해상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원해상도의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원해상도의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지원해상도들 중 상기 검출된 해상도와 가장 근접한 지원해상도를 나머지 지 원해상도들과 구별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0), 신호입력부(10), 신호처리부(20) 및 제어부(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30)는 신호처리부(20)에 의해 처리된 신호를 입력받아 이미지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30)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모듈과, 신호처리부(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모듈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모듈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로는 CRT(Cathode Ray Tube),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모듈이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모듈이 DLP인 경우 모듈구동부는 광학엔진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모듈이 LCD인 경우 모듈구동부는 신호처리부(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데이터신호 및 게이트신호로 변환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 디스플레이부(30)는 각 디스플레이모듈의 유형에 따라 대응하는 모듈구동부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신호입력부(10)는 다양한 포맷의 비디오신호가 입력 가능하도록 다양한 영상신호 포맷에 대응하는 입력단자(11,12,13,14,15)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신호입력부(10)는 PC(3)로부터의 PC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PC 입력단자(14)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신호입력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콤포지트(Composite)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콤포지트 입력단자(11)와, S-비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S-비디오 입력단자(12)와, 콤포넌트(Component)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콤포넌트 입력단자(13)와, 방송신호를 각각 입력받기 위한 TV 입력단자(14)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신호처리부(20)는 디스플레이부(30)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30)가 LCD, PDP 또는 DLP 방식인 경우, 신호처리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영상신호를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러(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이 CRT인 경우, 신호처리부(20)는 영상신호를를 증폭하는 도시되지 않은 앰프부와,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수직 및 수평 편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처리부(20)가 스케일러(21)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신호처리부(20)는 신호입력부(10)의 각 입력단자(11,12,13,14,15)를 통해 입력되는 다양한 포맷의 영상신호를 스케일러(21)가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비디오디코더(22), A/D 컨버터(23) 및 튜너(24)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디코더(22)는 콤포지트 입력단자(11)와 S-비디오 입력단자(12)를 통해 입력되는 콤포지트 신호 및 S-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스케일러(21)로 출력한다. 그리고, A/D 컨버터(23)는 콤포넌트 입력단자(13)와 PC 입력단자(14)를 통해 입력 되는 콤포넌트 신호와 PC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스케일러(21)로 출력한다. 또한, 튜너(24)는 TV 입력단자(15)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선별 및 증폭하여 A/D 컨버터(23)로 출력한다. 여기서, 비디오디코더(22) 및 A/D 컨버터(23)는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각각 대응하는 입력단자(11,12,13,14,15)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처리하여 스케일러(21)로 출력한다.
한편, 제어부(40)는 디스플레이부(30)로 PC 영상신호의 출력이 선택되는 경우, 예컨대, 사용자가 리모콘 등으로 PC 영상신호의 출력을 선택하는 경우, 신호입력부(10)의 PC 입력단자(14)를 통해 입력되는 PC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40)는 검출된 해상도와 텔레비전(1)이 지원하는 해상도(이하, '지원해상도'라 함)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어부(40)는 텔레비전(1)이 지원하는 지원해상도들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40)는 PC 영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PC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는 검출된 PC 영상신호의 해상도가 지원해상도들 중 어느 하나와도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원해상도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한다. 여기서, 제어부(40)는 UI 발생부(5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30)에 OSD(On Screen Display) 방식을 통해 지원해상도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제어부(4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30)의 화면상에 표시된 지원해상도의 리스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제어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Not Supported Mode" 등과 같은 문자를 통해 현재 PC(3)로부터 출력되는 PC 영상신호의 해상도가 텔레비전(1)이 지원하지 않는 해상도임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40)는 지원해상도의 리스트를 표시할 때, 검출된 PC 영상신호의 해상도와 가장 근접한 해상도를 갖는 지원해상도를 나머지 지원해상도들과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0)는 PC 영상신호의 해상도와 가장 근접한 해상도를 갖는 지원해상도에 하이라이트를 표시하거나,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다른 지원해상도들과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0)는 PC 영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 및/또는 수평동기신호에 기초하여 가장 근접한 해상도를 갖는 지원해상도를 판별할 수 있다. 예컨대, 텔레비전(1)이 지원하는 해상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고, PC 영상신호의 해상도가 1280*1024로 검출된 경우, 제어부(40)는 지원해상도 중 1280*960를 하이라이트 처리하여 다른 지원해상도들과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1)의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1)과 PC(3)가 연결된 상태에서 PC(3)로부터 PC 영상신호가 텔레비전(1)에 입력된다(S10). 이 때, 사용자가 PC 영상신호를 텔레비전(1)에 표시하기 위해 PC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S11), 제어부(40)는 PC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검출한다(S12).
그런 다음, 제어부(40)는 검출된 PC 영상신호의 해상도와 일치하는 지원해상 도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S13), PC 영상신호의 해상도와 일치하는 지원해상도가 존재하는 경우 해상 지원해상도로 PC 영상신호를 표시한다(S14).
반면, 검출된 PC 영상신호의 해상도와 일치하는 지원해상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40)는 지원해상도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도록 UI 발생부(50)를 제어한다(S15). 여기서, 제어부(40)는 검출된 PC 영상신호의 해상도와 가장 근접한 지원해상도를 하이라이트 처리하여 다른 지원해상도들과 구별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텔레비전(1)에 지원해상도의 리스트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표시된 리스트를 참조하여 PC(3)의 PC 영상신호의 출력 해상도를 조절함으로써, 텔레비전(1)에 PC 영상신호가 출력되도록 PC(3)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1)이 PC(3)와 연결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여기서, PC(3)는 데스트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이 컴퓨터로 인식될 수 있으면 그 명칭과 무관하게 본 발명에 따른 PC(3)의 범주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PC 영상신호가 아날로그 방식의 영상신호인 것을 일 예로 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처리부(20)의 A/D 컨버터(23)에 의해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이 외에도, PC 영상신호는 디지털 방식, 예컨대, DVI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 방식의 영상신호, 예컨대,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신호처리부(20)는 디지털 방식의 영상신호의 수신을 위한 TMDS 리시버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 발생부(50)가 제어부(40)와는 별도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다. 이외에도, UI 발생부는 제어부의 일 기능으로 제어부와 함께 단일의 칩 형태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PC 영상신호의 해상도와 텔레비전의 지원해상도 간의 불일치로 인해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텔레비전이 지원하는 지원해상도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텔레비전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5)

  1. PC 영상신호에 대해 적어도 2 이상의 지원해상도를 지원하는 텔레비전에 있어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PC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적어도 2 이상의 포맷의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입력부와;
    상기 신호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 가능한 포맷으로 변화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PC 영상신호의 출력이 선택된 경우 상기 신호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PC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해상도가 상기 지원해상도들과 상이한 경우 상기 지원해상도의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해상도가 상기 지원해상도들과 상이한 경우 상기 지원해상도들 중 상기 검출된 해상도와 가장 근접한 지원해상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가장 근접한 지원해상도가 나머지 지원해상도들과 구별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PC 영상신호의 해상도 및 상기 가장 근접한 지원해상도를 상기 PC 영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4. PC 영상신호에 대해 적어도 2 이상의 지원해상도를 지원 가능하며,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텔레비전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PC 영상신호의 출력이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PC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지원해상도들과 상기 검출된 해상도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해상도와 일치하는 상기 지원해상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원해상도의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원해상도의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지원해상도들 중 상기 검출된 해상도와 가장 근접한 지원해상도를 나머지 지원해상도들과 구별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의 제어방법.
  5. 삭제
KR1020060100957A 2006-10-17 2006-10-17 텔레비전 및 그 제어방법 KR101282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957A KR101282255B1 (ko) 2006-10-17 2006-10-17 텔레비전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957A KR101282255B1 (ko) 2006-10-17 2006-10-17 텔레비전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693A KR20080034693A (ko) 2008-04-22
KR101282255B1 true KR101282255B1 (ko) 2013-07-10

Family

ID=39574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957A KR101282255B1 (ko) 2006-10-17 2006-10-17 텔레비전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2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277A (ko) * 2003-01-02 2004-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기기 연결시의 디스플레이 모드 최적화 장치 및 방법
KR20060088665A (ko) * 2005-02-02 2006-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브이아이/에이치디엠아이 출력장치의 제어방법
KR20070005294A (ko) * 2005-07-06 2007-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재생 기기와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해상도 설정방법
KR20080032828A (ko) * 2006-10-11 2008-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상도 조절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277A (ko) * 2003-01-02 2004-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기기 연결시의 디스플레이 모드 최적화 장치 및 방법
KR20060088665A (ko) * 2005-02-02 2006-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브이아이/에이치디엠아이 출력장치의 제어방법
KR20070005294A (ko) * 2005-07-06 2007-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재생 기기와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해상도 설정방법
KR20080032828A (ko) * 2006-10-11 2008-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상도 조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693A (ko) 2008-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0671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01812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9014119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preventing transient noise
US8599885B2 (en) Media pla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136078B2 (en) Connection device capable of mixing an RGB graphics signal and a YUV video signal and related method
KR101282255B1 (ko) 텔레비전 및 그 제어방법
US6366329B1 (en) Projection type video display apparatus using a progressive scanning mode
US7480011B2 (en) Video processing chip capable of adjusting aspect ratio and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thereby
KR101090067B1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76701B1 (ko) 디스플레이장치
US2008004314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156612A (ja) 表示装置
US10762871B2 (en) Image control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US6339435B1 (en) Device to automatically adjust video signals to a blanking level and method therefor
US2006016196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525006B1 (ko) 영역들의 컨트라스트 및 샤프니스를 제어할 수 있는디스플레이 장치 및 반도체 장치
KR10063273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11606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22605A (ko)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신호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054907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00412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1070627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처리방법
JP2000148112A (ja) 映像信号判別切替回路及び液晶表示装置
KR20080012646A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26944A (ko) 영상표시장치의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