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2148B1 - 모션량에 따른 디테일 및 샤프니스 조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모션량에 따른 디테일 및 샤프니스 조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2148B1
KR100762148B1 KR1020060049415A KR20060049415A KR100762148B1 KR 100762148 B1 KR100762148 B1 KR 100762148B1 KR 1020060049415 A KR1020060049415 A KR 1020060049415A KR 20060049415 A KR20060049415 A KR 20060049415A KR 100762148 B1 KR100762148 B1 KR 100762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rpness
detail
value
motion amount
g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9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21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2Edging; Conto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4Movement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영상의 모션량에 따라 코어링 게인 및 피킹 게인 값을 조절하여 최적의 디테일 및 샤프니스 값을 설정하도록 하는 모션량에 따른 디테일 및 샤프니스 조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영상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 영상의 모션량을 검출하고; 상기 입력 영상의 모션량에 따라 코어링 게인(Coring gain) 및 피킹 게인(Picking gain) 값을 미리 설정된 값으로 조절하여 적정한 디테일 및 샤프니스 값을 설정하도록 하고; 상기 설정된 디테일 및 샤프니스 값에 따라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링 게인 값과 상기 피킹 게인 값은 상기 모션량의 변화에 따라 서로 반비례 관계를 갖는다. 특히, 상기 모션량이 증가할수록 상기 코어링 게인 값은 감소하고, 상기 모션량이 증가할수록 상기 피킹 게인 값은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샤프니스 값을 사용자가 일일이 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편리할 뿐만 아니라, 링현상도 감소하고, 모션량 많고 적음에 따라 각각 적절하게 코어링 게인 및 피킹 게인이 조정된 디테일 및 샤프니스 값을 적용하기 때문에 영상의 종류에 따라 샤프니스 또는 디테일을 강조함으로써 그 표현력이 향상된다.
샤프니스, 디테일, 모션량, 코어링, 피킹, 게인, 디스플레이

Description

모션량에 따른 디테일 및 샤프니스 조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detail and sharpness by motion measurement}
도 1은 종래의 디테일 및 샤프니스 조정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량에 따른 디테일 및 샤프니스 조정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량에 따른 코어링 게인과 피킹 게인 값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량에 따른 디테일 및 샤프니스 조정 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디코더 30 : 샤프니스 및 디테일 제어부
31 : 코어링 게인 조절부 32 : 하이패스 필터
33 : 피킹 게인 조절부 40 : 디스플레이부
50 : 모션량 검출부
본 발명은 샤프니스 및 디테일 조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력 영상의 모션량에 따른 디테일 및 샤프니스 조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을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기기로는 방송국의 전파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TV 시스템(Television system) 및 VCR 등이 있다. 또한, 최근의 영상 표시 방식은 CRT나 프로젝션 TV과, 또는 상기 방식에 비해 그 두께를 상당히 얇게 구성한 LCD 및 PDP 등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화면 조정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 예로서 밝기(Bright), 콘트라스트(Contrast), 샤프니스(Sharpness) 등의 조절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테일 및 샤프니스 조정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장치는, 입력신호로부터의 영상신호를 검출하는 디코더(10), 영상의 샤프니스를 조절하는 샤프니스 및 디테일 제어부(11) 및 디스플레이부(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재생 비디오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는 TV 및 VCR에는 화질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샤프니스 콘트롤 장치가 있으나 샤프니스 콘트롤 장치는 사용자가 화질 상태를 보아가며 가변 저항을 이용하여 조절해 주는 것으로, 상기 샤프니스 및 디테일 제어부(11)에서 디테일 인헨서(Detail enhanser)의 게인을 고역 성분(약 2㎒대역이상)에 대해 부스트 업(Boost up)시킴에 따라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샤프니스 조절은 상기 샤프니스 및 디테일 제어부(11)에서 디테일 인헨 서의 게인을 2㎒대역 이상의 고역 성분에 대해 부스트 업/다운시킴에 따라서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이의 조정을 통하여 샤프니스 조절을 정상적으로 하거나,부드럽게 또는 날카롭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샤프니스 조절 방식은, 사용자가 일일이 화면 상태에 따라서 수동으로 조정해야 하므로 항시 최적의 화질상태로 조정하기가 어려우며 수동 조작에 의한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RF, AV 등 여러 영상 입력에서 링(Rining)현상이 발생하므로, 이러한 문제를 제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디테일 및 샤프니스 값을 많이 줄여 양산하고 있으며, 더욱이 모션량(motion measurement)에 관계없이 모든 영상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조정된 디테일 및 샤프니스 값을 적용하기 때문에 영상의 종류에 따라 표현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 영상의 모션량에 따라 코어링 게인 및 피킹 게인 값을 조절하여 최적의 디테일 및 샤프니스 값을 설정하도록 하는 모션량에 따른 디테일 및 샤프니스 조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션량에 따른 디테일 및 샤프니스 조정 방법은, 영상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 영상의 모션량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 영상의 모션량에 따라 코어링 게인(Coring gain) 및 피킹 게인(Picking gain) 값을 미리 설정된 값으로 조절하여 적정한 디테일 및 샤프니스 값을 설정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디테일 및 샤프니스 값에 따라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링 게인 값과 상기 피킹 게인 값은 상기 모션량의 변화에 따라 서로 반비례 관계를 갖는다. 특히, 상기 모션량이 증가할수록 상기 코어링 게인 값은 감소하고, 상기 모션량이 증가할수록 상기 피킹 게인 값은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션량에 따른 디테일 및 샤프니스 조정 장치는, 영상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 영상의 모션량을 검출하는 모션량 검출부; 상기 입력 영상의 모션량에 따라 코어링 게인 및 피킹 게인 값을 미리 설정된 값으로 조절하여 적정한 디테일 및 샤프니스 값을 설정하도록 하는 샤프니스 및 디테일 제어부; 상기 설정된 디테일 및 샤프니스 값에 따라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량에 따른 디테일 및 샤프니스 조정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량에 따른 코어링 게인과 피킹 게인 값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코더(20), 샤프니스 및 디테일 제어부(30), 디스플레이부(40), 모션량 검출부(50)를 포함한다.
디코더(20)는 영상 신호를 입력하고, 모션량 검출부(50)는 입력 영상의 모션량을 검출한다. 여기서, 모션량 검출부(50)는 입력 영상의 움직임을 검출하는데, 특히 프레임(frame) 단위의 전후 영상을 비교하여 특정 포인트의 데이터량 변화를 검출하고, 이를 통하여 모션의 전체 변화량을 검출한다.
샤프니스 및 디테일 제어부(30)는 상기 입력 영상의 모션량에 따라 코어링 게인 및 피킹 게인 값을 미리 설정된 값으로 조절하여 적정한 디테일 및 샤프니스 값을 설정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샤프니스 및 디테일 제어부(30)는 코어링 게인을 조절하는 코어링 게인 조절부(31), 하이패스 필터(32), 피킹 게인을 조절하는 피킹 게인 조절부(33)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링 게인 값과 상기 피킹 게인 값은 상기 모션량의 변화에 따라 서로 반비례 관계를 갖는다. 특히, 상기 모션량이 증가할수록 상기 코어링 게인 값은 감소하고, 상기 모션량이 증가할수록 상기 피킹 게인 값은 증가한다. 이러한 값의 조정은 비선형(2차 방정식)함수식을 설정하여 구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설정된 디테일 및 샤프니스 값에 따라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량에 따른 디테일 및 샤프니스 조정 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 영상의 모션량을 검출하는 단계(S101~S102); 상기 입력 영상의 모션량에 따라 코어링 게인(Coring gain) 및 피킹 게인(Picking gain) 값을 미리 설정된 값으로 조절하여 적정한 디테일 및 샤프니스 값을 설정하도록 하는 단계(S103~S107); 상기 설정된 디테일 및 샤프니스 값에 따라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링 게인 값과 상기 피킹 게인 값은 상기 모션량의 변화에 따라 서로 반비례 관계를 갖으며, 상기 모션량이 증가할수록 상기 코어링 게인 값은 감소하고, 상기 모션량이 증가할수록 상기 피킹 게인 값은 증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디코더(20)는 입력신호로부터의 영상신호를 검출한다(S101).
모션량 검출부(50)는 상기 입력 영상의 모션량, 즉 입력 영상의 움직임을 검출하는데, 특히 프레임(frame) 단위의 전후 영상을 비교하여 특정 포인트의 데이터량 변화를 검출하고, 이를 통하여 모션의 전체 변화량을 검출한다(S102).
샤프니스 및 디테일 제어부(30)는 상기 입력 영상의 모션량에 따라 코어링 게인 및 피킹 게인 값을 미리 설정된 값으로 조절하여 적정한 디테일 및 샤프니스 값을 설정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코어링 게인 값과 상기 피킹 게인 값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션량(M)의 변화에 따라 서로 반비례 관계를 갖는다. 특히, 상기 모션량이 증가할수록 상기 코어링 게인 값은 감소하고, 상기 모션량이 증가할수록 상기 피킹 게인 값은 증가한다. 이러한 값의 조정은 비선형(2차 방정식)함수식을 설정하여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션량(M)이 3일 때 코어링 게인은 최대가 되고, 피킹 게인은 최소가 된다. 반대로 상기 모션량(M)이 40이상일 때 코어링 게인은 최소가 되고, 피킹 게인은 최대가 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코어링 게인 조절부(31)는 코어링 게인을 조절하고, 피킹 게인 조절부(33)는 피킹 게인을 각각 단계별로 조절한다(S103~S106).
이와 같이, 입력 영상의 모션량에 따라 코어링 게인 및 피킹 게인 값을 미리 설정된 값으로 조절하여 최적의 디테일 및 샤프니스 값을 설정한다.
따라서, 움직임이 적은 정지영상에서는 피킹값을 크게하여 상세한 디테일을 살리고, 움직임이 많을 경우에는 코어링 값을 많이하여 화면의 디테일을 보완하게 된다.
이후,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설정된 디테일 및 샤프니스 값에 따라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108).
따라서, 입력 영상의 모션량에 따라 샤프니스 및 디테일 값이 조정되므로, 샤프니스 값을 사용자가 일일이 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편리할 뿐만 아니라, 링현상도 감소하고, 모션량 많고 적음에 따라 각각 적절하게 코어링 게인 및 피킹 게인이 조정된 디테일 및 샤프니스 값을 적용하기 때문에 영상의 종류에 따라 샤프니스 또는 디테일을 강조함으로써 그 표현력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각부의 구성은 다양한 형태의 회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하나의 소형 원칩IC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은 PDP 및 LCD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물론이고, 프로 젝션 TV, 일반 TV, 모니터 및 기타 영상기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및 위성 TV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NTSC, PAL, SECAM방식에 모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션량에 따른 디테일 및 샤프니스 조정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입력 영상의 모션량에 따라 샤프니스 및 디테일 값이 조정되므로, 샤프니스 값을 사용자가 일일이 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편리할 뿐만 아니라, 링현상도 감소하고, 모션량 많고 적음에 따라 각각 적절하게 코어링 게인 및 피킹 게인이 조정된 디테일 및 샤프니스 값을 적용하기 때문에 영상의 종류에 따라 샤프니스 또는 디테일을 강조함으로써 그 표현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영상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 영상의 모션량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 영상의 모션량에 따라 코어링 게인 및 피킹 게인 값을 미리 설정된 값으로 조절하여 적정한 디테일 및 샤프니스 값을 설정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디테일 및 샤프니스 값에 따라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량에 따른 디테일 및 샤프니스 조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게인 값과 상기 피킹 게인 값은 상기 모션량의 변화에 따라 서로 반비례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량에 따른 디테일 및 샤프니스 조정 방법.
  3. 제 1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량이 증가할수록 상기 코어링 게인 값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량에 따른 디테일 및 샤프니스 조정 방법.
  4. 제 1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량이 증가할수록 상기 피킹 게인 값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량에 따른 디테일 및 샤프니스 조정 방법.
  5. 영상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 영상의 모션량을 검출하는 모션량 검출부;
    상기 입력 영상의 모션량에 따라 코어링 게인 및 피킹 게인 값을 미리 설정된 값으로 조절하여 적정한 디테일 및 샤프니스 값을 설정하도록 하는 샤프니스 및 디테일 제어부;
    상기 설정된 디테일 및 샤프니스 값에 따라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량에 따른 디테일 및 샤프니스 조정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게인 값과 상기 피킹 게인 값은 상기 모션량의 변화에 따라 서로 반비례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량에 따른 디테일 및 샤프니스 조정 장치.
  7. 제 5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량이 증가할수록 상기 코어링 게인 값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량에 따른 디테일 및 샤프니스 조정 장치.
  8. 제 5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량이 증가할수록 상기 피킹 게인 값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모션량에 따른 디테일 및 샤프니스 조정 장치.
KR1020060049415A 2006-06-01 2006-06-01 모션량에 따른 디테일 및 샤프니스 조정 방법 및 장치 KR100762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415A KR100762148B1 (ko) 2006-06-01 2006-06-01 모션량에 따른 디테일 및 샤프니스 조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415A KR100762148B1 (ko) 2006-06-01 2006-06-01 모션량에 따른 디테일 및 샤프니스 조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2148B1 true KR100762148B1 (ko) 2007-10-02

Family

ID=39418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415A KR100762148B1 (ko) 2006-06-01 2006-06-01 모션량에 따른 디테일 및 샤프니스 조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214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5517A (ko) * 1989-03-20 1990-10-27 다니이 아끼오 움직임벡터 검출장치
KR19980032639U (ko) * 1996-12-04 1998-09-05 김영환 동화상용 자동게인제어 회로
JP2000209464A (ja) * 1999-01-12 2000-07-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1312265A (ja) * 2000-05-02 2001-11-09 Sony Corp 画像表示装置
KR20060013213A (ko) * 2004-08-06 2006-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0662891B1 (ko) * 2005-11-30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는 잡음처리장치 및 그의잡음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5517A (ko) * 1989-03-20 1990-10-27 다니이 아끼오 움직임벡터 검출장치
KR19980032639U (ko) * 1996-12-04 1998-09-05 김영환 동화상용 자동게인제어 회로
JP2000209464A (ja) * 1999-01-12 2000-07-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1312265A (ja) * 2000-05-02 2001-11-09 Sony Corp 画像表示装置
KR20060013213A (ko) * 2004-08-06 2006-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0662891B1 (ko) * 2005-11-30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는 잡음처리장치 및 그의잡음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036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8212936B2 (en) Picture quality control apparatus, method therefor, picture quality processing apparatus, programs for them,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at program therein
KR10075658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잔상제거방법
JP5118444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US20050140827A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image sticking of video display appliance and method thereof
KR100762148B1 (ko) 모션량에 따른 디테일 및 샤프니스 조정 방법 및 장치
JP2008003519A (ja) 液晶受像装置
US2008031071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44526B1 (ko) 스케일 팩터에 따른 샤프니스 조정 방법 및 그 장치
JP2969408B2 (ja) 映像表示装置
JP4924155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と映像信号処理方法
CN101031031B (zh) 冲出抑制方法和图像质量改善设备
JP3799297B2 (ja) 輝度検知acl回路
KR100826199B1 (ko) 대역별 영상 밝기 보정 방법 및 그 영상 표시 장치
KR100875462B1 (ko) 영상표시장치의 화질 개선 방법
JPH066710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80067240A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절전 방법
KR20110080371A (ko) 디지털 tv의 노이즈 감소 방법
KR101070627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처리방법
KR19990027730U (ko) Hdtv 모니터에서 디가우싱 동작제어장치
JP2007324698A (ja) 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装置
KR20040036081A (ko) 텔레비전 채널 변경시 과도 현상 제거 방법 및 그를적용한 텔레비전 수상기
JPH06178314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9990027729U (ko) Hdtv 모니터에서 디가우싱 시간제어장치
JPH04271585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