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6108A -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6108A
KR20080076108A KR1020070015600A KR20070015600A KR20080076108A KR 20080076108 A KR20080076108 A KR 20080076108A KR 1020070015600 A KR1020070015600 A KR 1020070015600A KR 20070015600 A KR20070015600 A KR 20070015600A KR 20080076108 A KR20080076108 A KR 20080076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sh
mesh belt
endless wire
abrasive
main end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5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4453B1 (ko
Inventor
이원호
Original Assignee
(주)세광쇼트기계인천공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광쇼트기계인천공장 filed Critical (주)세광쇼트기계인천공장
Priority to KR1020070015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4453B1/ko
Publication of KR20080076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24C5/06Impeller wheels; Rotor blad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 B24C9/003Removing abrasive powder out of the blasting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는 하우징 내부를 통과하는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의 상ㆍ하부에서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 상에 재치된 주물제품의 표면을 연마하기 위하여 상부 및 하부 임펠러에서 연마제를 분출하고, 연마된 주물제품을 텀불링유닛에 배출한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에는 상부 및 하부 임펠러에서 연마제를 분출하지 않는 구조이므로,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주물제품의 상하부에서 주물제품에 연마제를 동시에 분출하는 구조이므로, 주물제품의 연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이 연마된 주물제품을 뒤집어서 다시 연마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연마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표면이 연마된 주물제품을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에서 뒤집으면서 텀블링유닛의 제1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에 떨어지게하고, 또한 제1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에 떨어진 표면이 연마된 주물제품을 다시 텀블링유닛의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에 떨어지게하는 구조이므로, 주물제품에 부착된 연마제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과 동시에 회수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

Description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SHOT BLASTING APPARATUS HAVING WIRE MESH BELT}
도 1은 종래의 쇼트 블라스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캐비넷에 힌지 이음구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상태도,
도 3은 도 1에서 캐비넷에 각도 조절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상태도,
도 4는 도 1에서 다각 반원형 드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외관도,
도 5는 도 4에서 망간 강판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
도 8은 도 6의 우측에서 본 우측면도,
도 9는 도 1에서 주물제품을 뒤집는 텀블링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우측면도,
도 11은 도 9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하우징 102:제1 호퍼
104:제1 스크류 컨베이어 106:제1 구동모터
108:제2 스크류 컨베이어 110:제2 구동 모터
112:버켓 엘리베이터 114:제1 구동 스프로킷
115:제3 장력조절부재 116:제1 종동 스프로킷
118:제3 구동모터 120:이송 스크류 컨베이어
121:제2 호퍼 122:로타리 스크린 컨베이어
124:제4 구동모터 126:먼지 배출 세퍼레이터
128:연마제 저장탱크 131:연마제 배출 게이트
132:먼지 배출용 후드 133:좌측 프레임
134:우측 프레임 135:제2 구동 스프로킷
136:제2 종동 스프로킷 130: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
140:제1 장력조절부재 142:제2 장력조절부재
144:제1 방향전환 롤러 146:제2 방향전환 롤러
148:와이어 메쉬벨트 지지롤러 150:와이어 메쉬벨트 받침롤러
151:상부 임펠러 151a상부 호퍼
152:하부 임펠러 152a:하부 호퍼
153:상부 임펠러 구동모터 154:하부 임펠러 구동모터
160:텀블링유닛 161:프레임
162:제3 스프로킷 163:제3 종동 스프로킷
164:제1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 165:제4 장력조절부재
166:제4 구동 스프로킷 167:제4 종동 스프로킷
168: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 169:제5 장력조절부재
169:제3 호퍼 170:제3 스크류 컨베이어
172:제4 스크류 컨베이어 182:작업발판
184:작업 발판 186:트레이
본 발명은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쉬 벨트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주물제품의 연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주물제품의 상ㆍ하부에서 연마제를 분출하여 연마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주물제품에 부착된 연마제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 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쇼트 블라스팅장치로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공고번호 특0165652호(공고일 1999년 02월 01일)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한국 등록특허공보 공고번호 특0165652호에 개시되어 있는 쇼트 블라스팅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넷(2) 입구 내측으로 주물, 단조 또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에 의해 제조된 단조제품, 다이캐스팅 제품 또는 주물제품(3 ; 이하, 이들 단조제품, 다이캐스팅 제품 또는 주물제품을 주물제품이라 한 다)이 자동 투입되게 이송컨베이어(4)가 연결되고, 최고 250℃까지의 주물제품(3)을 처리하도록 내열, 내마모성 망간 강판(12)으로 되어 다각 반원형과 이와 원통형으로 상호 연결 결합되어 상부가 개구된 다각 반원형 드럼(5)이 캐비넷(2) 내부에 횡설되어 다각 반원형 드럼(5)의 상부가 개구된 부분의 일측직상 캐비넷(2)에는 쇼트볼(6)이 공급되어 투사되는 임펠러(7)(7a)가 설치되며, 일측 다각 반원형 드럼(5)에 상호 연결결합 형성된 원통형 외주면(8) 하단부 양측에 연결 고정된 회전식 체인(9)(9a)은 캐비넷(2) 상부에 설치된 모터(10)의 축에 설치된 스프래킷(도시하지 않음)과 맞물려서 다각 반원형 드럼(5)이 좌·우 120ㅀ로 반회전되게 결합 설치되고, 다각 반원형 드럼(5)의 라이너 강판(12)에 내협 외광으로 경사지게 통공된 다수의 장공(13)이 형성되며, 캐비넷(2) 출구측 내부의 다각 반원형 드럼(5)에는 임펠러(7)(7a)의 직사부(14)(14a)에 주물제품(3)이 노출되지 않도록 비직사부(15)가 구비되고, 캐비넷(2) 하단면과 하부프레임(16)(16a) 사이의 일측에는 캐비넷(2)에 고정되어 하향 연장된 연결편(17)이 하부프레임(16)에 중앙부가 절개되어 입설된 양 지지간(18)에 내삽되어 캐비넷(2)의 연결편(17)과 양 지지간(18)의 통공을 통하여 힌지핀(19)으로 결합시켜 힌지핀(19) 양단부에 힌지핀(14)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스톱링(19a)이 삽설되어 캐비넷(2)이 회동되게 작동되는 다수의 힌지 이음구(20)와, 타측에는 캐비넷(2)에 고정되어 하향 연장된 보울트(21)에 다수의 너트(22)(22a)가 나합되고 보울트(21)의 하부가 하부프레임(16a)의 지지공(23)에 내삽된 다수의 각도조절구(24)는 너트(22)(22a)를 풀고 조이면서 캐비넷(2)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설치되어 캐비넷(2)의 경사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이음구(20)와 각도 조절구(24)는 동시에 경사각 조절장치로 작동되는 것이며, 캐비넷(2) 출구측에는 쇼트 블라스팅 처리된 주물제품(3)이 낙하되어 자동 이송 되도록 이송 컨베이어(25)가 설치된 것으로 조립 연결하여 구성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6,26a는 다각 반원형 드럼(5)의 하부 좌우측에 배설되어 상기 다각 반원형 드럼(5)을 원활하게 회전시키는 롤러이고, 34는 상기 컨베이어(33)에서 이송 처리된 쇼트볼과 주물사 등을 회수하여 재사용하기 위한 이송 버켓 엘리베이터이고, 35는 버켓 엘리베이터(34)에 의해 이송되어 온 가벼운 이물질은 외부로 방출시키고 사용가능한 쇼트볼은 아래로 떨어지게 하여 임펠러(7,7a)에 재공급하도록 설치된 송풍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쇼트 블라스팅장치는 주물 공장에서 생산되어 주물사등 이물질이 부착된 주물제품(3)이 캐비넷(2) 입구측에 연결된 이송컨베이어(4)에 의하여 자동으로 이송되어 내열, 내마모성 망간 강판으로 된 다각 반원형 드럼(5)에 투입되어지고, 다각 반원형 드럼(5)의 상부가 개구된 직상 캐비넷(2)에 임펠러(7,7a)가 설치되어 주물제품(3)이 최대한 임펠러(7,7a)의 직사부(14)에 노출되므로서 쇼트 블라스팅하며, 다각 반원형 드럼(5)과 회전식 체인(9,9a)으로 치합 연결된 모터(10)에 의하여 좌·우 120ㅀ로 반회전되어 반복 회전하므로서 다각 반원형 드럼(5) 내부의 주물제품(3)이 교반되어 전체 표면이 균일하게 쇼트 블라스팅 처리되고, 다각 반원형 드럼(5) 내부에 쇼트 블라스팅 처리된 쇼트볼(6)과 주물사등은 주물제품(3)이 출구로 나오기 전에 다각 반원형 드럼(5)의 라이너 강판(12)에 막힘이 없게 내협외광으로 경사지게 통공된 다수의 장공(13)을 통하여 하부로 충분히 제거되도록 다각 반원형 드럼(5)에는 직사부(14)(14a)외에 비직사부(1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주물제품(3)의 형상에 따라 처리량의 이송 속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캐비넷(2)입구에서 출구측으로 하향 기울어지게 캐비넷(2)의 하단면과 하부프레임(16,16') 사이에 힌지 이음구(20)와 각도 조절구(24)가 설치된 경사각 조절 장치에 의하여 임의로 각도를 조절하여 다각 반원형 드럼(5) 내부의 주물제품(3)이 쇼트 블라스팅 처리되면서 자동으로 흘러내려가게 되어 캐비넷(2) 출구에서는 흘러내려오면서 쇼트볼(6)과 주물사 등이 제거된 주물제품(3)이 순차적으로 낙하되어 이송컨베이어(25)에 의하여 자동 이송되므로서 연속적으로 쇼트 블라스팅 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쇼트 블라스팅장치는 상기 주물제품(3)의 형상에 따라 처리량의 이송 속도를 조정함과 동시에, 블라스팅 처리되면서 자동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캐비넷(2)입구에서 출구측으로 하향 기울어지게 캐비넷(2)의 하단면과 하부프레임(16,16') 사이에 힌지 이음구(20)와 각도 조절구(24)가 설치된 경사각 조절 장치에 의하여 임의로 각도를 조절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다각 반원형 드럼(5)의 상부가 개구된 직상 캐비넷(2)의 상부에 임펠러(7,7a)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다각 반원형 드럼(5) 내부의 주물제품(3)을 교반하면서 주물제품(3)의 전체 표면을 균일하게 쇼트 블라스팅 처리하기 위하여 모터(10)의 축에 설치된 스프래킷(부호 표시하지 않음)과 상기 다각 반원형 드럼(5) 을 회전식 체인(9,9a)으로 치합 연결해서 모터(10)에 의하여 상기 다각 반원형 드럼(5)을 좌·우 120ㅀ씩 반복해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음과 동시에, 구조의 복잡함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도 많이 소요된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쇼트 블라스팅장치는 상기 다각 반원형 드럼(5)을 좌·우 120ㅀ씩 반복해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주물제품(3)을 뒤집으면서 상기 다각 반원형 드럼(5)의 상부가 개구된 직상 캐비넷(2)에 설치된 상기 임펠러(7,7a)의 직사부(14)에 상기 임펠러(7,7a)에서 연마제인 쇼트볼(6)을 분출하여 상기 주물제품(3)의 전체 표면을 쇼트 블라스팅하므로, 상기 주물제품(3)이 서로 뒤섞여서 상기 주물제품(3)의 전체 표면에 균등하게 쇼트 블라스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쇼트 블라스팅의 작업 수율을 향상시킬 수 없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쉬 벨트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물제품의 연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물제품의 상하부에서 연마제를 분출하여 연마효 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물 제품에 부착된 연마제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상의 쇼트 블라스팅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의 외측 좌ㆍ우측 프레임에 각각 설치된 제2 구동 및 제2 종동 스프로킷과, 표면을 연마할 주물제품이 재치되어 이송시키며 상기 제2 구동 및 제2 종동 스프로킷에 현가되는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와, 상기 좌ㆍ우측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1 및 제2 장력조절부재와, 상기 제2 구동 및 제2 종동 스프로킷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의 이동 방향을 전환하는 제1 및 제2 방향전환 롤러와, 상기 제2 구동 및 제2 종동 스프로킷에 현가된 상부측의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의 하부에서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를 지지하도록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와이어 메쉬벨트 지지롤러와, 상기 제2 구동 및 제2 종동 스프로킷에 현가된 하부측의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의 하부에서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를 받혀주도록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와이어 메쉬벨트 받침롤러와, 제2 구동 및 제2 종동 스프로킷의 회전에 따라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 상부에 재치되어 이송되어 오는 주물제품의 표면을 연마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를 통과하는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의 상ㆍ 하부 및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의 폭방향에 서로 각각 일정한 각도를 두고 대향되게 배설되어 연마제 배출 게이트에서 배출되는 연마제를 받아서 주물제품의 표면에 동시에 분출하는 상부 및 하부 임펠러와, 상기 상부 및 하부 임펠러가 연마제를 분출시키도록 상기 상부 및 하부 임펠러를 구동하는 상부 및 하부 임펠러 구동모터와, 상기 상부 및 하부 임펠러에서 분출되는 연마제에 의해 표면이 연마된 주물제품에 부착된 연마제 및 주물사를 제거하도록 연마된 주물제품을 뒤집어지게 떨어지도록 설치된 텀블링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에 관하여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우측에서 본 우측면도이고, 도 9는 도 1에서 주물제품을 뒤집는 텀블링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우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는 주물제품의 표면을 연마제에 의해 연마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로 떨어지는 연마제를 제1 호퍼(102))에 의해 수집하여 이송하도록 상기 제1 호퍼(102)의 길이방향 하부 에 배설되는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4)와, 체인 또는 벨트를 개재해서 상기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4)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되는 제1 구동모터(106)와, 상기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4)에 의해 이송되어 온 연마제를 다시 이송하도록 상기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4)의 중간 하부에 설치된 제2 스크류 컨베이어(108)와, 체인 또는 벨트를 개재해서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108)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되는 제2 구동 모터(110)와, 상기 제2 구동 모터(110)로부터 체인 또는 벨트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회전되는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108)에 의해 이송되어 온 연마제 및 이물질(먼지 및 버어(burr)를 버켓(도시하지 않음)에서 받아 상부로 이송하는 버켓 엘리베이터(112)와, 상기 버켓 엘리베이터(112)를 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구동 및 제1 종동 스프로킷(114,116)과, 상기 제1 구동 스프로킷(114)에 체인을 개재해서 구동력을 인가하는 제3 구동모터(118)와, 상기 제3 구동모터(118)의 구동에 따라 상기 버켓 엘리베이터(112)가 상승한 후에 하강함에 따라 뒤집혀진 버켓에서 쏟아지는 연마제 및 이물질(먼지 및 버어)을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20)를 통해 받아서 연마제에 섞여있는 이물질( 먼지 및 버어 등)을 필터링해서 제2 호퍼(121)로 배출하는 로타리 스크린 컨베이어(122)와, 상기 로타리 스크린 컨베이어(122)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체인 또는 벨트를 개재해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동되는 제4 구동모터(124)와, 상기 로타리 스크린 컨베이어(122)의 하부로 떨어지는 연마제와 이물질 중에서 가벼운 이물질(먼지 등)을 흡입해서 외부로 배출하는 먼지 배출 세퍼레이터(126)와, 상기 로타리 스크린 컨베이어(122)의 하부로 떨어지는 연마제를 받아서 저장하는 연마제 저장탱크(128)와, 상기 연마제 저장 탱크(128)에 저장된 연마제를 도시하지 않은 연마재 배출배관을 통해서 상부 및 하부 호퍼(151a,152a)에 배출하는 연마제 배출 게이트(131)와, 연마에 따라 발생된 상기 하우징(100)의 먼지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된 다수의 먼지 배출용 후드(13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는 상기 하우징(100)의 좌ㆍ우측 프레임(133,134)에 각각 설치된 제2 구동 및 제2 종동 스프로킷(135,136)과, 상기 제2 구동 및 제2 종동 스프로킷(135,136)에 현가되는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와, 상기 좌ㆍ우측 프레임(133,134)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1 및 제2 장력조절부재(140,142)와, 상기 제2 구동 및 제2 종동 스프로킷(135,136)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의 이동 방향을 전환하는 제1 및 제2 방향전환 롤러(144,146)와, 상기 제2 구동 및 제2 종동 스프로킷(135,136)에 현가된 상부측의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의 하부에서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를 지지하도록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와이어 메쉬벨트 지지롤러(148)와, 상기 제2 구동 및 제2 종동 스프로킷(135,136)에 현가된 하부측의 상기 메인 무단와이어 메쉬벨트(130)의 하부에서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를 받혀주도록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와이어 메쉬벨트 받침롤러(150)와, 도시하지 않은 메인 구동모터에 의해 제2 구동 및 제2 종동 스프로킷(135,136)의 회전에 따라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 상부에 재치되어 이송되어 오는 주물제품의 표면을 연마하도록 상기 하우 징(100) 내를 통과하는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의 상ㆍ하부 및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의 폭방향에 서로 각각 일정한 각도를 두고 대향되게 배설되어 상기 연마제 배출 게이트(131)에서 배출되는 연마제를 도시하지 않은 연마제 배출배관을 통해 받아서 주물제품의 표면에 동시에 분출하는 상부 및 하부 임펠러(151,152)와, 도시하지 않은 브래킷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임펠러(151,152)가 연마제를 분출시키도록 상기 상부 및 하부 임펠러(151,152)를 구동하는 상부 및 하부 임펠러 구동모터(153,154)와, 상기 상부 및 하부 임펠러(151,152)에서 분출되는 연마제에 의해 표면이 연마된 주물제품에 부착된 연마제 및 주물사(주물모래)를 제거하도록 연마된 주물제품을 뒤집어지게 떨어지도록 설치된 텀블링유닛(16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구동 스프로킷(114)의 회전중심축에는 상기 버켓 컨베이어(112)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제3 장력조절부재(1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메쉬벨트 받침롤러(150)는 상기 버켓 컨베이어(112)를 하부에서 선회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종동 스프로킷(116)의 하부에서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를 선회가능하게 받혀주고 있다.
상기 텀블링유닛(160)은 프레임(161)과,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에서 뒤집혀서 떨어지는 표면이 연마된 주물제품을 받음과 동시에 상기 주물제품에 부착된 연마제 및 이물질을 털어내도록 상기 프레임(161)의 좌ㆍ우측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 제3 구동 및 종동 스프로킷(162,163)에 현가된 제1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4)와, 상기 제1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4)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4 장력조절부재(165)와, 상기 제1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4)에서 뒤집혀서 떨어지는 표면이 연마된 주물제품을 다시 받음과 동시에 상기 주물제품에 부착된 연마제 및 이물질을 다시 털어내도록 상기 제3 구동 및 종동 스프로킷(162,163)의 하부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 제4 구동 및 종동 스프로킷(166,167)에 현가된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8)와, 상기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8)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5 장력조절부재(169)와, 상기 제1 및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4,168)에서 떨어지는 연마제 및 이물질을 수집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4,168)의 하부에 설치된 제3 호퍼(169)와, 상기 제3 호퍼(169)에 수집된 연마제 및 이물질을 배면측으로 이송하도록 상기 제3 호퍼(169)의 하부에 설치된 제3 스크류 컨베이어(170)와, 상기 제3 스크류 컨베이어(170)에 의해 이송되어온 연마제 및 이물질을 받아서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108)에 이송하는 제4 스크류 컨베이어(17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종동 스프로킷(136)은 작업자가 연마할 주물제품을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 상에 용이하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제2 구동 스프로킷(135)보다 낮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임펠러(151)는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 상에 재치되어 이송되는 주물제품의 상부를 향해서 연마제를 분출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 상부에 상기 하부 임펠러(152)에 대향해서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의 길이방향 중앙을 향해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 임펠러(152)는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 상에 재치되 어 이송되는 주물제품의 하부를 향해서 연마제를 분출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를 지나가는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의 하부에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의 길이방향 중앙을 향해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4)는 상기 호퍼(102)에 수집된 연마제 및 이물질을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8)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8)의 좌측은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스크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8)의 우측은 왼쪽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스크류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182는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발판이고, 184는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상에 작업자가 용이하게 주물제품을 올려놓도록 작업자가 올라서는 작업 발판으로서 본 발명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186은 텀블링유닛(160)에서 배출되는 표면이 연마된 주물제품을 받는 트레이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시하지 않은 메인 스위치를 스위칭 온하면, 상기 하우징(100)의 좌ㆍ우측 프레임(133,134)에 각각 설치된 제2 구동 및 종동 스프로킷(135,13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구동 및 종동 스프로킷(135,136)에 현가된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텀블링유 닛(160)의 제3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162,163), 제4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166,167)가 시계방향으로 각각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3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162,163), 상기 제4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166,167)에 각각 현가된 제1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4)와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8)가 각각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동시에,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4) 및 제2 스크류 컨베이어(108), 제3 스크류 컨베이어(170), 제4 스크류 컨베이어(172)가 구동되기 시작하며, 또 상기 제3 구동모터(118)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구동 스프로킷(114)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1 종동 스프로킷(116)이 회전되어 버켓 컨베이어(11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108)에 의해 이송되어 온 연마제 및 이물질과 상기 제3 스크류 컨베이어(170) 및 제4 스크류 컨베이어(172)를 통해서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108)에 이송되어 온 연마제 및 이물질을 상기 버켓 컨베이어(112)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버켓에 실어서 이송스크류 컨베이어(120)를 개재하여 로터리 스크린 컨베이어(122)에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로터리 스크린 컨베이어(122)에 공급된 연마제와 이물질은 상기 로터리 스크린 컨베이어(122)에서 분류하여 이물질을 제2 호퍼(121)에 배출하고, 연마제를 연마제 저장탱크(128)에 배출하고, 상기 로터리 스크린 컨베이어(122)에서 분류된 연마제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는 먼지 배출 세퍼레이터(126)에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상기 연마제 저장탱크(128)에 저장되어 있는 연마제 배출 게이트(131) 및 도시하지 않은 연마제 배출배관을 통해서 상부 및 하부 호퍼(151a,152a)에 공급되어 상부 및 하부 임펠러 구동모터(153,154)의 구동에 따라 상부 및 하부 임펠러(151,152)의 구동에 의해 연마제를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의 상ㆍ하부를 향해서 분출한다.
이때,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로 구동력을 전달받은 상기 제3 구동 스프로킷(162)의 구동에 따라 상기 텀블링유닛(160)의 제3 구동 스프로킷(162)과 제3 종동 스프로킷(163)에 현가되어 있는 제1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기 시작함과 동시에, 상기 텀블링유닛(160)의 제4 구동 스프로킷(166)과 제4 종동 스프로킷(167)에 현가되어 있는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구성 요소가 구동되고 있을 때, 작업자가 작업 발판(133)에 올라서서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 상에 표면 가공할 주물제품을 올려놓으면, 도시하지 않은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은 상기 제2 구동 스프로킷(135)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표면 가공할 주물제품이 상기 하우징(100) 내로 이송되며, 이때 상기 상부 및 하부 임펠러 구동모터(153,154)의 구동에 따라 상부 및 하부 임펠러(151,152)가 구동되면서 상부 및 하부 호퍼(151a,152a)에 공급된 연마제를 계속해서 분출하여 주물제품의 표면을 연마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임펠러(151,152)에서 연마제가 배출됨에 따라 발생되는 이물질은 먼지 배출용 후드(132)에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부 및 하부 임펠러(151,152)에서 분출된 연마제는 제1 호퍼(102) 에 수집되어 상기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4)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108)의 상부에 배출되며,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108)에 공급된 이물질이 섞인 연마제는 상기 버켓 컨베이어(112)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버켓에 담겨서 상기 버켓 컨베이어(112)의 상승에 따라 상부, 즉 제1 구동 스프로킷(114)에 도달하여 상기 버켓 컨베이어(112)의 하향 회전시에 버켓이 뒤집어지면서 그 내부에 담겨있는 이물질이 포함된 연마제를 이송스크류(120)에 쏟는다.
상기 이송스크류(120)에 쏟아진 이물질이 포함된 연마제는 상기 이송스크류(120)에 의해 로타리 스크린 컨베이어(122)에 이송되어서 상기 로타리 스크린 컨베이어(122)에서 버어등의 이물질이 분류되어 제2 호퍼(121)로 배출되고, 상기 로타리 스크린 컨베이어(122)에서 연마제 저장탱크(128)로 떨어지면서 먼지 등은 먼지 배출 세퍼레이터(126)에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 상에 재치되어 이송되는 주물제품의 표면은 상부 및 하부 임펠러(151,152)에서 분출되는 연마제에 의해 표면이 연마된 후에 상기 하우징(100)의 밖으로 이송되어서 상기 제2 구동 스프로킷(135)에서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가 하강함에 따라 표면이 연마된 주물제품이 뒤집혀지면서 상기 제3 구동 스프로킷(162) 및 제3 종동 스프로킷(16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기 텀블링유닛(160)의 제1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4) 상에 떨어짐과 동시에, 이송되면서 주물제품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는 연마제 및 이물질(버어를 포함)이 상기 텀블링유닛(16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3 호퍼(169)에 수집된다.
또한, 상기 텀블링유닛(160)의 제1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4) 상에 재치되어 이송되어 온 표면이 연마된 주물제품은 상기 제3 구동 스프로킷(162) 상에서 상기 제1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4)가 하향됨에 따라 표면이 연마된 주물제품이 뒤집혀지면서 상기 제4 구동 스프로킷(166) 및 제4 종동 스프로킷(167)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8) 상에 떨어짐과 동시에, 이송되면서 주물제품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연마제 및 이물질(버어를 포함)이 상기 텀블링유닛(16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3 호퍼(169)에 수집되고, 표면이 연마된 주물제품은 상기 텀블링유닛(160)의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8)에 의해 이송되어서 트레이(186) 상에 떨어진다.
상기 제3 호퍼(169)에 수집된 이물질을 함유하는 연마제는 제3 스크류 컨베이어(170)에 의해 상기 텀블링유닛(160)의 배면쪽으로 이송되어 제4 스크류 컨베이어(172)에 공급되어서 상기 제4 스크류 컨베이어(172)에 의해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108) 상에 배출되고,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108) 상에 공급된 이물질을 함유하는 연마제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버켓 컨베이어(112)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버켓에 담겨서 상기 버켓 컨베이어(112)의 상승에 따라 상부, 즉 제1 구동 스프로킷(114)에 도달하여 상기 버켓 컨베이어(112)의 하향 회전시에 버켓이 뒤집어지면서 그 내부에 담겨있는 이물질이 포함된 연마제를 이송스크류(120)에 쏟으며, 상기 이송스크류(120)에 쏟아진 이물질이 포함된 연마제는 상기 이송스크류(120)에 의해 로타리 스크린 컨베이어(122)에 이송되어서 상기 로타리 스크린 컨베이어(122)에서 버어등의 이물질이 분류되어 제2 호퍼(121)로 배출되고, 상기 로타리 스크린 컨베이어(122)에서 연마제 저장탱크(128)로 떨어지면서 먼지 등은 먼지 배출 세퍼레이터(126)에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의 장시간 구동에 따라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의 장력이 느슨해지면, 상기 구동 스프로킷(135)와 상기 제2 방향전환 롤러(146) 사이에 설치된 제2 장력조절부재(142) 및 상기 제2 종동 스프로킷(136)과 제1 방향전환 롤러(144)사이에 설치된 제1 장력조절부재(144)를 사용하여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텀블링유닛(160)의 제3 구동 및 종동 스프로킷(162,163)에 현가된 제1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4)의 장력이 느슨해졌을 경우에는 제4 장력조절부재(165)를 사용하여 장력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제4 구동 및 종동 스프로킷(166,167)에 현가된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8)의 장력이 느슨해졌을 경우에는 제5 장력조절부재(169)를 사용하여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에 의하면, 하우징 내부를 통과하는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의 상ㆍ하부 에서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 상에 재치된 주물제품의 표면을 연마하기 위하여 상부 및 하부 임펠러에서 연마제를 분출하고, 연마된 주물제품을 텀불링유닛에 배출한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에는 상부 및 하부 임펠러에서 연마제를 분출하지 않는 구조이므로,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주물제품의 상하부에서 주물제품에 연마제를 동시에 분출하는 구조이므로, 주물제품의 연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이 연마된 주물제품을 뒤집어서 다시 연마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연마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표면이 연마된 주물제품을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에서 뒤집으면서 텀블링유닛의 제1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에 떨어지게하고, 또한 제1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에 떨어진 표면이 연마된 주물제품을 다시 텀블링유닛의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에 떨어지게하는 구조이므로, 주물제품에 부착된 연마제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과 동시에 회수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다는 여러 가지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주물제품의 표면을 연마제에 의해 연마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로 떨어지는 연마제를 제1 호퍼(102))에 의해 수집하여 이송하도록 상기 제1 호퍼(102)의 길이방향 하부에 배설되는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4)와, 체인 또는 벨트를 개재해서 상기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4)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되는 제1 구동모터(106)와, 상기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4)에 의해 이송되어 온 연마제를 받아 다시 이송하도록 상기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4)의 중간 하부에 설치된 제2 스크류 컨베이어(108)와, 체인 또는 벨트를 개재해서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108)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되는 제2 구동 모터(110)와, 상기 제2 구동 모터(110)로부터 체인 또는 벨트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회전되는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108)에 의해 이송되어 온 연마제 및 이물질을 버켓에서 받아 상부로 이송하는 버켓 엘리베이터(112)와, 상기 버켓 엘리베이터(112)를 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구동 및 제1 종동 스프로킷(114,116)과, 상기 제1 구동 스프로킷(114)에 체인을 개재해서 구동력을 인가하는 제3 구동모터(118)와, 상기 제3 구동모터(118)의 구동에 따라 상기 버켓 엘리베이터(112)가 상승한 후에 하강함에 따라 뒤집혀진 버켓에서 쏟아지는 연마제 및 이물질(먼지 및 버어)을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20)를 통해 받아서 연마제에 섞여있는 이물질(버어)을 필터링해서 제2 호퍼(121)로 배출하는 로타리 스크린 컨베이어(122)와, 상기 로타리 스크린 컨베이어(122)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체인 또는 벨트를 개재해서 구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동되는 제4 구동모터(124)와, 상기 로타리 스크린 컨베이어(122)의 하부로 떨어지는 연마제와 이물질 중에서 가벼운 이물질을 흡입해서 외부로 배출하는 먼지 배출 세퍼레이터(126)와, 상기 로타리 스크린 컨베이어(122)의 하부로 떨어지는 연마제를 받아서 저장하는 연마제 저장탱크(128)와, 상기 연마제 저장탱크(128)에 저장된 연마제를 연마제 배출배관을 통해서 상부 및 하부 호퍼(151a,152a)에 배출하는 연마제 배출 게이트(131)와, 연마에 따라 발생된 상기 하우징(100)의 먼지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된 다수의 먼지 배출용 후드(132)로 구성되어 있는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좌ㆍ우측 프레임(133,134)에 각각 설치된 제2 구동 및 제2 종동 스프로킷(135,136)과,
    표면을 연마할 주물제품이 재치되어 이송시키며 상기 제2 구동 및 제2 종동 스프로킷(135,136)에 현가되는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와,
    상기 좌ㆍ우측 프레임(133,134)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1 및 제2 장력조절부재(140,142)와,
    상기 제2 구동 및 제2 종동 스프로킷(135,136)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의 이동 방향을 전환하는 제1 및 제2 방향전환 롤러(144,146)와,
    상기 제2 구동 및 제2 종동 스프로킷(135,136)에 현가된 상부측의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의 하부에서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를 지 지하도록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와이어 메쉬벨트 지지롤러(148)와,
    상기 제2 구동 및 제2 종동 스프로킷(135,136)에 현가된 하부측의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의 하부에서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를 받혀주도록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와이어 메쉬벨트 받침롤러(150)와,
    제2 구동 및 제2 종동 스프로킷(135,136)의 회전에 따라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 상부에 재치되어 이송되어 오는 주물제품의 표면을 연마하도록 상기 하우징(100) 내를 통과하는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의 상ㆍ하부 및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의 폭방향에 서로 각각 일정한 각도를 두고 대향되게 배설되어 상기 연마제 배출 게이트(131)에서 배출되는 연마제를 받아서 주물제품의 표면에 동시에 분출하는 상부 및 하부 임펠러(151,152)와,
    상기 상부 및 하부 임펠러(151,152)가 연마제를 분출시키도록 상기 상부 및 하부 임펠러(151,152)를 구동하는 상부 및 하부 임펠러 구동모터(153,154)와,
    상기 상부 및 하부 임펠러(151,152)에서 분출되는 연마제에 의해 표면이 연마된 주물제품에 부착된 연마제 및 주물사를 제거하도록 연마된 주물제품을 뒤집어지게 떨어지도록 설치된 텀블링유닛(16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
  2. 통상의 쇼트 블라스팅장치에 있어서,
    하우징(100)의 좌ㆍ우측 프레임(133,134)에 각각 설치된 제2 구동 및 제2 종동 스프로킷(135,136)과,
    표면을 연마할 주물제품이 재치되어 이송시키며 상기 제2 구동 및 제2 종동 스프로킷(135,136)에 현가되는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와,
    상기 좌ㆍ우측 프레임(133,134)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1 및 제2 장력조절부재(140,142)와,
    상기 제2 구동 및 제2 종동 스프로킷(135,136)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의 이동 방향을 전환하는 제1 및 제2 방향전환 롤러(144,146)와,
    상기 제2 구동 및 제2 종동 스프로킷(135,136)에 현가된 상부측의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의 하부에서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를 지지하도록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와이어 메쉬벨트 지지롤러(148)와,
    상기 제2 구동 및 제2 종동 스프로킷(135,136)에 현가된 하부측의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의 하부에서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를 받혀주도록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와이어 메쉬벨트 받침롤러(150)와,
    제2 구동 및 제2 종동 스프로킷(135,136)의 회전에 따라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 상부에 재치되어 이송되어 오는 주물제품의 표면을 연마하도록 상기 하우징(100) 내를 통과하는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의 상ㆍ하부 및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의 폭방향에 서로 각각 일정한 각도를 두고 대향되게 배설되어 연마제 배출 게이트(131)에서 배출되는 연마제를 받아서 주물제품의 표면에 동시에 분출하는 상부 및 하부 임펠러(151,152)와,
    상기 상부 및 하부 임펠러(151,152)가 연마제를 분출시키도록 상기 상부 및 하부 임펠러(151,152)를 구동하는 상부 및 하부 임펠러 구동모터(153,154)와,
    상기 상부 및 하부 임펠러(151,152)에서 분출되는 연마제에 의해 표면이 연마된 주물제품에 부착된 연마제 및 주물사를 제거하도록 연마된 주물제품을 뒤집어지게 떨어지도록 설치된 텀블링유닛(16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스프로킷(114)의 회전중심축에는 상기 버켓 컨베이어(112)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제3 장력조절부재(11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메쉬벨트 받침롤러(150)는 상기 버켓 컨베이어(112)를 하부에서 선회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종동 스프로킷(116)의 하부에서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를 선회가능하게 받혀주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텀블링유닛(160)은 프레임(161)과,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에서 뒤집혀서 떨어지는 표면이 연마된 주물제품을 받음과 동시에, 상기 주물제품에 부착된 연마제 및 이물질을 털어내도록 상기 프레임(161)의 좌ㆍ우측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 제3 구동 및 종동 스프로킷(162,163)에 현가된 제1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4)와, 상기 제1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4)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4 장력조절부재(165)와, 상기 제1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4)에서 뒤집혀서 떨어지는 표면이 연마된 주물제품을 다시 받음과 동시에 상기 주물제품에 부착된 연마제 및 이물질을 다시 털어내도록 상기 제3 구동 및 종동 스프로킷(162,163)의 하부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 제4 구동 및 종동 스프로킷(166,167)에 현가된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8)와, 상기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8)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5 장력조절부재(169)와, 상기 제1 및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4,168)에서 떨어지는 연마제 및 이물질을 수집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4,168)의 하부에 설치된 제3 호퍼(169)와, 상기 제3 호퍼(169)에 수집된 연마제 및 이물질을 배면측으로 이송하도록 상기 제3 호퍼(169)의 하부에 설치된 제3 스크류 컨베이어(170)와, 상기 제3 스크류 컨베이어(170)에 의해 이송되어온 연마제 및 이물질을 받아서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108)에 이송하는 제4 스크류 컨베이어(17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종동 스프로킷(136)은 작업자가 연마할 주물제품을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 상에 용이하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제2 구동 스프로킷(135)보다 낮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임펠러(151)는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 상에 재치되어 이송되는 주물제품의 상부를 향해서 연마제를 분출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 상부에 상기 하부 임펠러(152)에 대향해서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의 길이방향 중앙을 향해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임펠러(152)는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 상에 재치되어 이송되는 주물제품의 하부를 향해서 연마제를 분출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를 지나가는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의 하부에 상기 메인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30)의 길이방향 중앙을 향해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4)는 상기 호퍼(102)에 수집된 연마제 및 이물질을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8)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8)의 좌측은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스크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8)의 우측은 왼쪽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스크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
KR1020070015600A 2007-02-14 2007-02-14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 KR100864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600A KR100864453B1 (ko) 2007-02-14 2007-02-14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600A KR100864453B1 (ko) 2007-02-14 2007-02-14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108A true KR20080076108A (ko) 2008-08-20
KR100864453B1 KR100864453B1 (ko) 2008-10-23

Family

ID=39879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5600A KR100864453B1 (ko) 2007-02-14 2007-02-14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44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840B1 (ko) 2020-08-20 2020-11-25 김상선 부품 생산 공정에서 부품의 파티클 분리 방법 및 장치
CN113752167A (zh) * 2021-09-14 2021-12-07 津市市荣迪实业有限公司 一种喷砂式抛丸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958B1 (ko) 2019-12-05 2020-11-13 주식회사 태산정공 이송장치를 이용한 폼용 쇼트 블라스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6362A (en) 1980-02-19 1982-04-27 Williams Virgil R Shot blast machine
JPH0238350B2 (ja) 1982-10-16 1990-08-30 Sintokogio Ltd Purasuchitsukususeihinyoshotsutoburasutoki
JPH0798310B2 (ja) * 1992-07-02 1995-10-25 秋元産業株式会社 平面研磨機
JP2001138241A (ja) 1999-11-08 2001-05-22 Nissanki:Kk ショットブラスト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840B1 (ko) 2020-08-20 2020-11-25 김상선 부품 생산 공정에서 부품의 파티클 분리 방법 및 장치
CN113752167A (zh) * 2021-09-14 2021-12-07 津市市荣迪实业有限公司 一种喷砂式抛丸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4453B1 (ko) 200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57594B1 (en) Aggregate washing system and method
US4896835A (en) Screening machine
RU2638191C2 (ru) Установка по переработке минера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акой установкой
CN102448670B (zh) 表面处理装置
KR100864453B1 (ko)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
USRE34458E (en) Screening machine
KR100646754B1 (ko) 석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
WO2017181526A1 (zh) 一种履带式抛丸处理装置
KR100825574B1 (ko) 벨트 컨베이어 이동형슈트의 내부 부착탄 제거장치
CN111250201B (zh) 石灰石破碎均匀的自动化生产线
KR200459703Y1 (ko) 쇼트 블라스팅장치
KR101195971B1 (ko) 표면가공장치
KR20240074343A (ko) 표면처리 검사가 가능한 쇼트 블라스팅 장치
CN212284375U (zh) 一种移动破碎装置
CN205471128U (zh) 一种斗式提升机
KR100917182B1 (ko) 연마대상 제품의 슬립방지 가능한 쇼트 블라스팅 장치
KR19980014349A (ko) 연속식 쇼트 블라스팅 기계
CN210452371U (zh) 一种抛丸机
CN109676536B (zh) 一种清洁型滚筒式喷砂机以及喷砂方法
KR100826594B1 (ko) 선재 전용 쇼트 블라스팅장치
KR200366331Y1 (ko) 석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
KR20050023707A (ko) 고로용 소립광 스크린 장치
JP2002337051A (ja) 研掃方法、および研掃装置
KR200267244Y1 (ko) 경사진 벨트 콘베이어에 있어서 u자형 회전식낙광처리장치
RU2741925C1 (ru) Установка по переработке минера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