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6069A - 자동 액체 분배기 - Google Patents

자동 액체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6069A
KR20080076069A KR1020070015508A KR20070015508A KR20080076069A KR 20080076069 A KR20080076069 A KR 20080076069A KR 1020070015508 A KR1020070015508 A KR 1020070015508A KR 20070015508 A KR20070015508 A KR 20070015508A KR 20080076069 A KR20080076069 A KR 20080076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ontainer
unit
height
disp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5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환
윤주환
이영현
유동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5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6069A/ko
Priority to US11/874,779 priority patent/US8167004B2/en
Priority to EP07119112A priority patent/EP1959245A3/en
Priority to CNA2007101869940A priority patent/CN101245965A/zh
Publication of KR20080076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0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47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01F23/296Acoustic waves
    • G01F23/2962Measuring transit time of reflected 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2001/1259Fluid level contro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0/00Radiant energy
    • Y10S250/90Optical liquid level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액체 분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 상부면으로 초음파를 발신하고, 상기 용기 상부면에서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하여 용기 높이를 측정하는 용기 높이 측정부와; 상기 용기에 액체를 투출하는 액체 디스펜서(Dispenser)부와; 상기 용기내에서 액체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검출부와; 상기 액체 디스펜서부에서 투출되는 액체를 조절하는 액체 조절부와;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 액체 디스펜서부, 수위 검출부 및 액체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체 조절부를 구비하여 용기 외부로 액체 튀김을 방지하여, 자동 액체 분배기에 액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의 모양, 재질, 표면상태에 관계없이 용기 높이를 자유롭게 검출 수 있으며, 용기가 놓여진 위치와도 무관하게 용기 높이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액체분배기, 수위, 용기, 높이, 초음파, 조절, 측정, 튀김

Description

자동 액체 분배기{ Automatic liquid dispenser }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체 분배기가 냉장고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액체 분배기의 개략적인 구성 블럭도
도 3은 용기에서 액체 튀김이 발생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액체 조절부의 제 1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에 따라 액체량 조절 셔터로 액체 디스펜서부의 관이 차단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액체 조절부의 제 2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액체 조절부의 제 3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액체 조절부의 제 4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액체 분배기의 개략적인 구성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초음파 트랜스듀서들로 용기 높이를 측정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특성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200 : 용기 높이 측정부 210 : 제어부
220 : 액체 디스펜서부 221,221a,221b : 관
230 : 수위 검출부 240 : 액체 조절부
241 : 액체량 조절 셔터 242 : MFC(Mass Flow Controller)
243a : 솔레노이드 밸브 245 : n-방향(Way) 솔레노이드 밸브
245a,245b,245c : 유출구 250 : 용기 높이 결정부
260 : 저장부 270 : 비교부
본 발명은 자동 액체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 분배기는 냉장고, 정수기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쉽게 액체를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냉장고에 설치된 액체 분배기는 냉장고의 도어를 열지않고도 냉장고 외부에 설치된 액체 분배기를 통하여, 냉장고 내부의 액체를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체 분배기가 냉장고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냉장고(100)의 도어(110)의 전면에는 액체 분배기(120)가 설치되어 있 다.
이 액체 분배기(120)는 용기 안착부(130)가 구비되어 있고, 액체를 투출시키는 액체 투출키(미도시)가 액체 분배기(120)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냉장고(100)의 도어(110)의 전면에 설치된 액체 분배기(120)의 용기 안착부(130)에 용기(140)를 삽입하고, 액체 투출키를 눌러서 액체 투출키가 눌린 시간 동안만 액체를 용기(140)에 투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액체 분배기가 냉장고에 설치된 경우 도어를 열 필요가 없으므로, 냉장실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냉장고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냉장고에 보관중인 식품들의 신선도를 더 길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최근에, 자동으로 구현되는 액체 분배기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며, 자동 액체 분배기는 사용자의 편리성에 중점을 두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 조절부를 구비하여 용기 외부로 액체 튀김을 방지하여, 자동 액체 분배기에 액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액체 분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 다른 목적은 용기 상부면에 초음파를 발신하고, 용기 상부면에서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하여 용기 높이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용기의 모양, 재질, 표면상태에 관계없이 용기 높이를 자유롭게 검출 수 있으며, 용기가 놓여진 위치와도 무관하게 용기 높이를 검출할 수 있는 자동 액체 분배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 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초음파를 이용함으로써, 광을 이용하는 방식보다 저렴한 제조 비용으로 자동 액체 분배기를 구현할 수 있는 자동 액체 분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양태(樣態)는,
용기 상부면으로 초음파를 발신하고, 상기 용기 상부면에서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하여 용기 높이를 측정하는 용기 높이 측정부와;
상기 용기에 액체를 투출하는 액체 디스펜서(Dispenser)부와;
상기 용기내에서 액체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검출부와;
상기 액체 디스펜서부에서 투출되는 액체를 조절하는 액체 조절부와;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 액체 디스펜서부, 수위 검출부 및 액체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 액체 분배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다른 양태(樣態)는,
용기 상부면으로 초음파를 발신하고, 상기 용기 상부면에서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하여 용기 높이를 복수번 측정하는 용기 높이 측정부와;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에서 복수번 측정된 용기 높이의 평균치를 계산하여 용기 높이를 결정하는 용기 높이 결정부와;
상기 용기에 액체를 투출하는 액체 디스펜서(Dispenser)부와;
용기 높이에 대하여 액체 수위가 미리 설정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와;
상기 용기내에서 액체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검출부와;
상기 용기 높이 결정부에서 결정된 용기 높이와 상기 수위 검출부에서 검출된 수위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미리 설정된 용기 높이에 대한 액체 수위를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액체 디스펜서부에서 투출되는 액체를 조절하는 액체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 액체 분배기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액체 분배기의 개략적인 구성 블럭도로서, 용기 상부면으로 초음파를 발신하고, 상기 용기 상부면에서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하여 용기 높이를 측정하는 용기 높이 측정부(200)와; 상기 용기에 액체를 투출하는 액체 디스펜서(Dispenser)부(220)와; 상기 용기내에서 액체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검출부(230)와; 상기 액체 디스펜서부(220)에서 투출되는 액체를 조절하는 액체 조절부(240)와;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200), 액체 디스펜서부(220), 수위 검출부(230) 및 액체 조절부(240)를 제어하는 제어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자동 액체 분배기는 사용자가 용기를 투입하면,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200)에선 초음파를 용기 상부면으로 발신하고, 상기 상부면에서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하여 신호를 발생한다.
이어서,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200)에서 발생된 신호를 제어부(210)에서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210)는 액체 디스펜서부(220) 및 수위 검출부(230)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액체 디스펜서부(220)는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용기로 액체를 투출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수위 검출부(230)는 상기 용기내로 투출되는 액체의 수위를 실시간 검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위 검출부(230)에서 검출된 액체 수위가, 용기 높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액체 수위에 도달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액체 디스펜서부(220)의 액체 투출을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디스펜서부(220)에서 용기(310)로 투출된 액체(340)가 소정 높이(H)가 되면, 액체 디스펜서부(220)에서 투출되는 액체(340)의 속도에 의해, 액체(340)가 튀겨서 상기 용기(310) 외부로 누출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자동 액체 분배기는 액체 조절부(240)를 구비하여 액체(340) 튀김을 방지하여, 자동 액체 분배기에 액체의 오염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용기 상부면에 초음파를 발신하고, 용기 상부면에서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하여 용기 높이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용기의 모양, 재질, 표면상태에 관계없이 용기 높이를 자유롭게 검출 수 있으며, 용기가 놓여진 위치와도 무관하게 용기 높이를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초음파를 이용함으로써, 광을 이용하는 방식보다 저렴한 제조 비용으로 자동 액체 분배기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체 조절부를 구비하여 액체 튀김을 방지하여, 자동 액체 분배기에 액체의 오염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액체 조절부의 제 1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액체 디스펜서부에는 액체를 용기로 투출시키는 관(管)(221)이 구비되어 있고, 액체 조절부는 상기 관(221)에 장착되어 있어 상기 관의 단면을 차단하여 액체량을 조절하는 액체량 조절 셔터(241)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액체량 조절 셔터(241)는 액체가 통과하는 상기 관(221)의 단면을 일부 또는 전부를 차단하여, 상기 관(221)을 통과하는 액체의 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액체량 조절 셔터(241)는 액체 디스펜서부(220)에서 액체가 투출되기 시작부터 액체의 투출이 종료될 때까지, 용기 내에서의 액체 수위에 따라 투출되는 액체의 량이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액체량 조절 셔터(241)로 용기 내에서의 액체 수위에 따라 투출되는 액체의 량을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면, 액체가 용기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액체량 조절 셔터(241)는 카메라 조리개 방식과 같이, 액체가 통과되는 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단할 수 있으며, 이 차단 방식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에 따라 액체량 조절 셔터로 액체 디스펜서부의 관이 차단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먼저, 도 5a는 액체가 투출되기 시작할 때는 액체량 조절 셔터는 액체가 통과되는 관(221)을 차단하지 않는다.
그 후, 액체가 용기에 제 1 높이로 채워지면, 도 5b와 같이, 액체가 통과되는 관(221)의 단면 일부 'A'를 차단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상기 제 1 높이보다 높은 제 2 높이로 용기에 액체가 채워지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가 통과되는 관(221)의 단면 다른 일부 'B'를 차단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도 5b의 차단 상태가 상기 관(221)의 단면적 50%가 차단되었다고 하면, 도 5c에서는 상기 관(221)의 단면적 90%가 차단된 상태이다.
즉, 본 발명의 액체량 조절 셔터는 상기 관(221)의 단면적을 차단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액체 디스펜서부에서 액체의 투출을 종료하기 위해서는, 상기 관(221)의 단면 전부 'C'가 완전히 차단되어 액체가 투출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액체 조절부의 제 2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액체 조절부의 제 2 예로, 액체 디스펜서부의 관(221)에 장착되어 있고, 용기 로 투출되는 액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MFC(Mass Flow Controller)(242)로 구성한다.
즉, 상기 MFC(242)는 투출되는 액체의 압력을, 액체 수위에 따라 투출되는 액체의 압력이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MFC(242)는 투출되는 액체의 압력을 점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액체가 용기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액체 조절부의 제 3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조절부의 제 3 예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액체 디스펜서부에는 액체를 용기로 투출시키는 관(221)이 구비되어 있고, 이 관(221)은 제 1과 2 관(221a,221b)로 분기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 1 관(221a)에는 제 1 솔레노이드(Solenoid) 밸브(243a)를 장착하고, 상기 제 2 관(221b)에는 제 2 솔레노이드 밸브(243b)를 장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 3 예의 액체 조절부를 구현하는 것이다.
결국, 제 1과 2 솔레노이드 밸브(243a,243b)는 제 3 예의 액체 조절부이다.
이러한, 제 3 예의 액체 조절부는 액체 디스펜서부에서 액체가 투출될 때는 상기 제 1과 2 솔레노이드 밸브(243a,243b)를 모두 개방하여 양 솔레노이드 밸브가 액체 투출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액체의 수위가 용기의 높이의 50% 이상을 넘으면, 액체 튀김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폐쇄하여 하나의 개방된 솔레노이드 밸브로 액체 투출을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액체 디스펜서부에는 액체를 투출할 수 있는 복수개의 관들 들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관들 각각에 솔레노이드 밸브들을 설치하여, 제 3 예의 액체 조절부를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액체 조절부의 제 4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액체 디스펜서부에는 액체를 용기로 투출시키는 관(管)(221)이 구비되어 있고, 액체 조절부는 하나의 유입구와 복수개의 유출구들(245a,245b,245c)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관(221)의 끝단에 유입구가 장착되어 있고, 용기의 액체 수위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유출구들(245a,245b,245c)이 점차적으로 차단되는 n-방향(Way) 솔레노이드 밸브(245)로 구성한다.
이 n-방향 솔레노이드 밸브(245)는 액체가 투출될 때는 복수개의 유출구들(245a,245b,245c) 모두가 개방되어 있으나, 용기의 액체 수위가 높아질수록, 유출구들을 점차적으로 차단하여, 용기 외부로 액체 튀김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n-방향 솔레노이드 밸브(245)가 1개 유입구와 2개의 유출구들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2-방향(Way) 솔레노이드 밸브라 하고,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 것이니, 그의 구조에 대해선 자세히 기술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액체 분배기의 개략적인 구성 블럭도로서, 용기 상부면으로 초음파를 발신하고, 상기 용기 상부면에서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하여 용기 높이를 복수번 측정하는 용기 높이 측정부(200)와;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200)에서 복수번 측정된 용기 높이의 평균치를 계산하여 용기 높이를 결정하는 용기 높이 결정부(250)와; 상기 용기에 액체를 투출하는 액체 디스펜서(Dispenser)부(220)와; 용기 높이에 대하여 액체 수위가 미리 설정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260)와; 상기 용기내에서 액체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검출부(230)와; 상기 용기 높이 결정부(250)에서 결정된 용기 높이와 상기 수위 검출부(230)에서 검출된 수위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260)에 저장되어 있는 미리 설정된 용기 높이에 대한 액체 수위를 비교하는 비교부(270)와; 상기 액체 디스펜서부(220)에서 투출되는 액체를 조절하는 액체 조절부(2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200), 용기 높이 결정부(250), 액체 디스펜서부(220), 저장부(260), 수위 검출부(230), 비교부(270)와 액체 조절부(240)는 제어부(210)의 제어를 받는다.
그리고,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200)는, 발신 초음파 트랜스듀서와 복수개의 수신 초음파 트랜스듀서들을 구비하고, 상기 발신 초음파 트랜스듀서에서 용기 상부면으로 초음파를 발신하고, 상기 용기 상부면에서 반사된 초음파를, 복수개의 수신 초음파 트랜스듀서들 중 가장 먼저 수신하는 수신 초음파 트랜스듀서로 용기 높이를 복수번 측정하는 용기 높이 측정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위 검출부(230)는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200)의 복수개의 수신 초음파 트랜스듀서들 중, 상기 액체 디스펜서부(220) 및 발신 초음파 트랜스듀서와 가장 근접되어 있는 수신 초음파 트랜스듀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액체 분배기는 사용자가 용기를 투입하면, 상기 제어부(210)는 용기 상부면으로 초음파를 발신하라는 제어신호를 상기 용 기 높이 측정부(200)로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200)의 발신 초음파 트랜스듀서에서 용기 상부면으로 초음파를 발신하고, 상기 용기 상부면에서 반사된 초음파를 복수개의 수신 초음파 트랜스듀서들에서 수신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수신 초음파 트랜스듀서들 중, 가장 먼저 수신하는 수신 초음파 트랜스듀서로 용기 높이를 복수번 측정한다.
여기서, 복수번 측정이란, 용기내로 액체가 투출되기 시작부터 실시간으로 액체 투출이 완료될 때까지 계속 수행하는 것이다.
그 후,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200)에서 복수번 측정된 용기 높이의 평균치를 상기 용기 높이 결정부(250)에서 계산하여 용기 높이를 결정한다.
상기 용기 높이 결정부(250)에서 용기 높이가 결정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액체 디스펜서부(220)로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액체 디스펜서부(220)는 용기 내로 액체 투출을 시작한다.
연이어, 상기 액체 디스펜서부(220)가 용기 내로 액체 투출을 시작하면, 수위 검출부(230)는 상기 용기내에서 액체의 수위를 검출한다.
한편, 상기 저장부(260)에는 용기 높이에 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액체 수위가 미리 설정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기 높이의 80%를 액체 수위로 설정하고, 이 설정된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210)는 용기 외부로 액체의 튀김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 기 액체 조절부(24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액체 디스펜서부(220)에서 투출되는 액체를 조절한다.
상기 수위 검출부(230)에서 검출된 액체 수위가, 용기 높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액체 수위에 도달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액체 디스펜서부(220)의 액체 투출을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비교부(270)는 상기 용기 높이 결정부(250)에서 결정된 용기 높이와 수위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260)에 저장되어 있는 미리 설정된 용기 높이에 대한 액체 수위를 비교하고, 상기 용기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용기 높이에 대한 액체 수위와 일치하거나 그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액체 디스펜서부(220)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액체 투출을 종료시킨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초음파 트랜스듀서들로 용기 높이를 측정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특성 그래프로서, 먼저, 발신 초음파 트랜스듀서가 주기적인 초음파 신호(501,502,503)을 발신하면, 용기의 상부면에서 반사되어 제 1 수신 트랜스듀서에서도 주기적인 신호(511,512,513)가 수신되고, 제 2 수신 트랜스듀서에서도 주기적인 신호(521,522,523)가 수신된다.
본 발명은 먼저 초음파 신호가 수신된 수신 트랜스듀서로 용기 높이를 측정하는 것이므로, 도 10에서는 제 1 수신 트랜스듀서에서 수신된 신호(511,512,513)로 용기 높이를 측정한다.
이때, 거리는 초음파 속도 x 시간/2이고, 거리는 시간과 비례함으로, 제 1 수신 트랜스듀서의 특성 그래프에서 용기 높이는 D1,D2,D3가 된다.
그러므로, D1,D2,D3의 평균치를 계산하여 용기의 높이로 결정하는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액체 조절부를 구비하여 용기 외부로 액체 튀김을 방지하여, 자동 액체 분배기에 액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 상부면에 초음파를 발신하고, 용기 상부면에서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하여 용기 높이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용기의 모양, 재질, 표면상태에 관계없이 용기 높이를 자유롭게 검출 수 있으며, 용기가 놓여진 위치와도 무관하게 용기 높이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초음파를 이용함으로써, 광을 이용하는 방식보다 저렴한 제조 비용으로 자동 액체 분배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0)

  1. 용기 상부면으로 초음파를 발신하고, 상기 용기 상부면에서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하여 용기 높이를 측정하는 용기 높이 측정부와;
    상기 용기에 액체를 투출하는 액체 디스펜서(Dispenser)부와;
    상기 용기내에서 액체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검출부와;
    상기 액체 디스펜서부에서 투출되는 액체를 조절하는 액체 조절부와;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 액체 디스펜서부, 수위 검출부 및 액체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 액체 분배기.
  2. 용기 상부면으로 초음파를 발신하고, 상기 용기 상부면에서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하여 용기 높이를 복수번 측정하는 용기 높이 측정부와;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에서 복수번 측정된 용기 높이의 평균치를 계산하여 용기 높이를 결정하는 용기 높이 결정부와;
    상기 용기에 액체를 투출하는 액체 디스펜서(Dispenser)부와;
    용기 높이에 대하여 액체 수위가 미리 설정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와;
    상기 용기내에서 액체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검출부와;
    상기 용기 높이 결정부에서 결정된 용기 높이와 상기 수위 검출부에서 검출 된 수위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미리 설정된 용기 높이에 대한 액체 수위를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액체 디스펜서부에서 투출되는 액체를 조절하는 액체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 액체 분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디스펜서부에는 액체를 용기로 투출시키는 관(管)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액체 조절부는,
    상기 관에 장착되어 있어 상기 관의 단면을 차단하여 액체량을 조절하는 액체량 조절 셔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액체 분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량 조절 셔터는,
    상기 용기 내에서의 액체 수위에 따라 투출되는 액체의 량이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조절하는 셔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액체 분배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디스펜서부에는 액체를 용기로 투출시키는 관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액체 조절부는,
    상기 용기로 투출되는 액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MFC(Mass Flow Controll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액체 분배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디스펜서부에는 액체를 투출할 수 있는 복수개의 관들들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액체 조절부는,
    상기 복수개의 관들 각각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액체 분배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디스펜서부에는 액체를 투출할 수 있는 복수개의 관들들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액체 조절부는,
    하나의 유입구와 복수개의 유출구들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관의 끝단에 유입구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용기의 액체 수위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유출구들이 점차적으로 차단되는 n-방향(Way)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액체 분배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는,
    발신 초음파 트랜스듀서와 복수개의 수신 초음파 트랜스듀서들을 구비하고, 상기 발신 초음파 트랜스듀서에서 용기 상부면으로 초음파를 발신하고, 상기 용기 상부면에서 반사된 초음파를, 복수개의 수신 초음파 트랜스듀서들 중, 가장 먼저 수신하는 수신 초음파 트랜스듀서로 용기 높이를 복수번 측정하는 용기 높이 측정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액체 분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검출부는,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의 복수개의 수신 초음파 트랜스듀서들 중, 상기 발신 초음파 트랜스듀서와 액체 디스펜서부에 가장 근접되어 있는 수신 초음파 트랜스듀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액체 분배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설정된 수위는,
    용기의 크기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액체 분배기.
KR1020070015508A 2007-02-14 2007-02-14 자동 액체 분배기 KR2008007606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508A KR20080076069A (ko) 2007-02-14 2007-02-14 자동 액체 분배기
US11/874,779 US8167004B2 (en) 2007-02-14 2007-10-18 Automatic liquid dispensers
EP07119112A EP1959245A3 (en) 2007-02-14 2007-10-23 Automatic liquid dispenser with liquid level detector
CNA2007101869940A CN101245965A (zh) 2007-02-14 2007-11-16 自动液体供给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508A KR20080076069A (ko) 2007-02-14 2007-02-14 자동 액체 분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069A true KR20080076069A (ko) 2008-08-20

Family

ID=39879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5508A KR20080076069A (ko) 2007-02-14 2007-02-14 자동 액체 분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80076069A (ko)
CN (1) CN10124596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65306A (zh) * 2010-11-05 2012-05-23 无锡华润上华半导体有限公司 氢氟酸添加装置及添加方法
CN102173055B (zh) * 2011-01-30 2014-11-19 河南工业职业技术学院 液位检测与油液自动补偿装置
CN103720366A (zh) * 2013-12-20 2014-04-16 北京联合大学生物化学工程学院 智能饮料机
CN104257270A (zh) * 2014-08-22 2015-01-07 广州市番禺奥迪威电子有限公司 饮用水供给装置的出水控制方法和系统
CN104631578B (zh) * 2014-12-25 2016-08-24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家用洗涤水槽和智能厨房
CN105433810B (zh) * 2015-12-26 2018-07-03 宁波远志立方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红外测距传感器的直饮水机
CN106917740B (zh) * 2015-12-28 2019-07-02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水泵出水控制方法及液体加热装置
CN106609868B (zh) * 2016-06-28 2018-11-09 苏州麦可旺志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多种流体周期性定向导流装置
CN107736803B (zh) * 2017-10-31 2020-01-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饮水机的控制方法及饮水机
KR20190126635A (ko) * 2018-05-02 2019-11-12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냉장고의 자동물공급장치
CN110398272A (zh) * 2019-07-26 2019-11-01 辽宁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自动确定被测液体的测量变量的分析仪表
CN113116153B (zh) * 2019-12-31 2023-01-06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水杯高度的测量方法、出水控制方法和出水控制装置
US20210261400A1 (en) * 2020-02-21 2021-08-26 Bartrack, Inc. Monitoring equilibrium and dispensement of a fluid dispensement system to improve quality and efficienc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45965A (zh) 200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6069A (ko) 자동 액체 분배기
US8167004B2 (en) Automatic liquid dispensers
KR100816149B1 (ko) 자동 액체 분배기
US20120111031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896321B2 (en) Auto water dispenser cutoff
CA2738192C (en) Dispenser for liquids
US8025186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6789585B1 (en) Refrigerator and automated liquid dispenser therefor
AU2005202247B2 (en) Rapid comestible fluid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JP2024062994A (ja) 容器内の液体の体積パラメータ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301808B1 (ko) 자동 액체 분배기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50073603A (ko)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401080B2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a dispenser
US7533682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water flow rate compensation
EP1959245A2 (en) Automatic liquid dispenser with liquid level detector
KR20080081464A (ko) 자동 급수 시스템
KR100755142B1 (ko) 액체 분배 제어장치 및 방법
JP2791526B2 (ja) 後付式自動水栓装置
US11505444B1 (en) Refrigerator appliance and method for measuring contents in a container
JP5034875B2 (ja) 漏水検知装置
KR102334040B1 (ko)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
WO2003022454A1 (en) Liquid usage detector for a coating apparatus
US20230098486A1 (en) Appliance with presence detection system
JP2553964Y2 (ja) 給水加圧装置
JP2002328135A (ja) 流出検出方法及び液面維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