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4477A - 흰들 버섯의 배양여액 및 배양 균사체로부터 항 종양활성을갖는 다당체를 얻는 방법 - Google Patents

흰들 버섯의 배양여액 및 배양 균사체로부터 항 종양활성을갖는 다당체를 얻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4477A
KR20080074477A KR1020070013670A KR20070013670A KR20080074477A KR 20080074477 A KR20080074477 A KR 20080074477A KR 1020070013670 A KR1020070013670 A KR 1020070013670A KR 20070013670 A KR20070013670 A KR 20070013670A KR 20080074477 A KR20080074477 A KR 20080074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ure
polysaccharide
agaricus blazei
blazei murrill
fil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민
히토시 이또오
Original Assignee
박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미경 filed Critical 박미경
Priority to KR1020070013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4477A/ko
Publication of KR20080074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47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3General processes for their isolation or fractionation, e.g. purification or extraction from biom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흰들 버섯으로부터 항 종양활성을 갖는 다당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히메마쓰다게(학명; 아가리쿠스 브라재이 무릴(Agaricus blazei murrill), 일명 "흰들 버섯")의 배양여액 및 배양 균사체로부터 항 종양활성을 갖는 다당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얻어진 단백 다당체는 현저한 항종양 작용을 가짐과 함께, 면역 증강 작용, 혈관기능개선작용 등을 가지는 유용한 물질로 본 발명은 상기한 유용한 물질을 용이하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항종양, 균사체, 배양여액.

Description

흰들 버섯의 배양여액 및 배양 균사체로부터 항 종양활성을 갖는 다당체를 얻는 방법{Producing process of polysaccharide from culture medium of Agaricus blazei murrill}
본 발명은 흰들 버섯으로부터 항 종양활성을 갖는 다당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히메마쓰다게(학명; 아가리쿠스 브라재이 무릴(Agaricus blazei murrill), 일명 "흰들 버섯")의 배양여액 및 배양 균사체로부터 항 종양활성을 갖는 다당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담자균류에서 항 종양성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은 종래에도 많이 제안되고 있으며, 담자균의 자실체를 원료로 하여 수계의 용매의 추출에 의해 항 종양성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은 예를들면, 일본 특허공보 특공소 51-22042호 공보에도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아가리쿠스(Agaricus)속에 속하는 신종 버섯인 히메마쓰다게(학명; 아가리쿠스 브라재이 무릴(Agaricus blazei murrill), 일명 "흰들 버섯")의 자실체에서 항 종양작용을 갖는 단백 다당체의 제조방법(특원소 53-149828)을 이전 에 제안한바 있으나, 이번에 배지에 배양하여 얻은 균사체 및 배양여액에 축적되어 있는 단백 다당체를 체취하여, 이들의 약리작용에 대해 예의 연구한 결과, 자실체로부터 얻어진 물질보다 더 강력한 항 종양작용을 갖고 있는 물질을 공업적 생산에서 유리하게 균사체로부터 제조할 수 있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케 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히메마쓰다게(학명; 아가리쿠스 브라재이 무릴(Agaricus blazei murrill), 일명 "흰들 버섯")의 배양여액 및 배양 균사체로부터 항 종양활성을 갖는 다당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담자균인 히메마쓰다게는 버섯분류상 주름버섯과에 속하는 것으로, 브라질의 상파울로에서 200㎞ 떨어진 산악 지대인 피에다데(Piedade) 지방에서만 자생하는 희귀 버섯으로, 학명은 '아가리쿠스 브라재이 무릴(Agaricus blazei murrill; 이하 “흰들버섯”이라 한다)'이며 우리나라 보건복지부의 식품공전 식품원재료 분류표에는 '흰들버섯(아가리쿠스 브라재이 무릴)'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이 버섯의 겉모양은 양송이(Agaricus bisporus)와 유사하지만, 버섯대가 양송이보다 두껍고 길며, 마른 오징어나 멸치 냄새 같은 구수한 냄새가 난다. 버섯대 부분의 육질은 단맛이 있고 씹었을 때의 느낌이 좋으며 일반 양송이나 느타리처럼 요리로 먹을 수 있고, 달여서 차로 마시거나 그대로 씹어 먹을 수 있다.
생 아가리쿠스 버섯은 통상 자실체의 85∼87%가 수분으로 되어 있고 수분을 뺀 건조성분을 보면, 단백질이 40∼45%, 당질 38∼45%, 섬유질 6∼8%, 회분 5∼7%, 지방질 3∼4%로 수분과 단백질 효소가 많기 때문에 날 것 상태에서는 쉽게 산화되어 변질되므로 저장기간이 짧고 냉장보관하여도 2일 이상 보관하기 어려우므로 아가리쿠스버섯은 대부분이 건조된 상태로 소비자에게 유통된다.
본 발명의 담자균에 의한 자실체의 재배법에 대하여는 특원소 52-54638호 명세서에 기재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신품종 버섯인 아가리쿠스 브라재이 무릴(Agaricus blazei murrill)의 균학적 성질을 나타낸다.
(1) 자실체 : 자실체의 모양은 종모양을 하고 있으며, 갓의 크기는 5~15 cm이고, 독특한 향기를 가지고 있다.
(2) 변아즙 한천배지 및 PD 배지 위에서 잘 생육한다.
PD배지 위에서는 백색의 균사가 발육하여, 배지를 갈색으로 변화시킨다.
(3) 균사체 최적 생육조건 : PH 〓 6.0~6.5, 28℃
(4) 균사체의 생육범위 : PH 〓 4.0~8.0, 10~33℃
(5) 자실체 발생의 온도범위 : 20~30℃, 보다 적정한 온도는 24~28℃
(6) 자실체 형성을 위한 균사망을 만든다.
(7) 자실체 형성에 있어 퇴비 위에 두둑히 복토를 한다.
이상 균학적 특성을 같은 속의 공지의 버섯 예로써, 주름버섯(Agricus compestris Fr.)과 비교하면, 갓(머리) 부위가 굵고, 포자가 검은 빛갈로 변하는 것이 늦은 점이 다르고, 또 향기가 강하고 갓 부위의 아름다움이 좋은 것이 다른 것에서 찾아볼 수 없는 특징적 성질이라 할 것이다.
이들의 균학적 제성질로부터 본 담자균은 상기한 바와 같이 흰들버섯속(Agaricus)에 속하는 균종으로 판정되어 흰들버섯이라고 명명하였다.
상기 담자균의 인공적 또는 자연적 변이주에 의해서도 본 단백다당류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균주의 배양은 담자균의 배양에 통상적으로 쓰이는 고체배양법 또는 액체배양법 중 어느 것이라도 좋으나, 후자의 경우가 생산성을 고려하여 보다 바람직하다. 배양의 배지로서는 균의 발육에 필요한 제 영양이 함유되어 있으면 좋고, 통상의 배지처방으로 좋다. 즉, 탄소원으로는 예를들면, 글루코스, 슈크로스, 말토오스, 전분 등 자화할 수 있는 탄소원이면 이용할 수 있다. 또, 질소원으로는 예를 들면, 유안, 초안, 초산소오다, 요소 등 천연의 복합 영양원로서 예를 들면, 감자엑스, 당근엑스, 맥아엑스, 펩톤, V-8 쥬스, 효모엑스, 효모분, 양파엑스 등을 들 수 있고, 무기염류로서는 예를 들면, 린산, 염류, 마그네슘염류, 칼슘염류, 철염류, 카리염류, 그 이외의 무기염류등을 이용할 수 있다. 기타 생장에 필요한 미량의 원소, 비타민 등은 적의 첨가하여도 좋다.
배양은 통상 호기조건 하에서 좋고, 예를 들면, 진동배양법 또는 통기교반 배양법이 이용된다. 배양온도는 20~37℃, 바람직하기는 30℃ 전후에서 배양하는 것이 좋다. 배양 pH는 3.0~9.0 바람직하기는 4.5~7.0이 생육에 양호하다. 배양 일수는 배양조건에 따라 다르나, 균사체의 생육이 있으면 좋고, 통상 2~30일 사이에서 최대의 균사체를 생산하는 시기가 좋다.
통기교반 배양에서는 통기량 0.1~10vvm, 교반속도 30~600r.p.m.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좋다. 배양 종료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 또는 여과함으로서 균사체를 배양액에서 분리 채취한다.
균사체 및 배양 여액에서 단백다당체를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균사체를 수성 용매에 의해 처리하여 추출한다. 수성 용매로는 물을 주체로 한 용매로서, 물 단독 또는 물과 유기용매, 산 또는 염기를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용매를 말한다. 또 배양액 그 자체도 균사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배양액도 수성용매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어야 한다. 추출할 때에는 통상 균사체 습중량의 2~10배의 수성 용매를 사용하고, 처리는 50~100℃의 온도에서 약 1~10시간 처리한다.
이와 같은 추출처리는 반복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추출액은 그 속에 유효성분인 단백 다당체를 함유하고 있어서 그대로도 항종양성을 나타내며, 특히 여러방법에 의해서 추출액에서 유효성분을 분말 상으로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예로서, 알콜, 아세톤과 같은 수 가용성 유기용매 또는 각종 염류, 예를 들 면, 유안, 염화칼슘 등을 첨가하여 목적물을 침전시킨 다음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고, 아세톤, 에테르등으로 세척 건조시키면 분말 상의 목적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추출액에서 침전물을 얻기 이전에 필요에 따라 투석, 한외여과, 겔여과 등에 의해 저분자 물질을 제거하거나, 활성탄, 이온교환처리 등에 의해 탈색, 탈이온을 할 수도 있다. 또, 얻어진 침전물도 필요에 따라 물 등에 재용해시킨 다음 상기 처리를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물질은 담회백색 부정형의 분말이고, 그 1%수용액은 pH 6.0을 나타낸다. 이 물질에 대해 착색반응을 실행하였더니 안스론--황산반응, 페놀황산반응, 비알반응, 뷰렛반응 및 키산트프로틴반응은 모두 양성을 나타내고, 본 발명 물질은 이들 제반응에 의해서 단백다당체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 물질의 그 이외의 물리 화학적 성질의 일 예는 아래와 같다.
(1) 평균분자량 105 ~ 107
세파로오즈 4B를 사용한 겔여과법에 따라 측정한 분자량의 표준물질 로서 덱스트란을 사용하였다.
(2) 비선광도 (투석시료에 대하여)
(α)d 20=+63°(2.0중량/용량%수용액)
(3) 원소분석
N; 1.6%, C; 39.3%, H;6.5%, O;52.6%로 정제의 정도에 따라 함량의 변화가 있음.
(4) 용해성
물, 1N 가성소다, 1N 암모니아, 1N 염산 등
(5) 점도
2.0% 수용액에 BL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3.8cps임.
(6) 분해점
일정한 분해점 및 융점을 가짐.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단백 다당체는 종래의 항 종양제인 미토마이신 씨(mitomycin C) 및 엔독산(endoxan)에 비해 월등한 항종양 효과 증진작용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얻어진 단백 다당체는 현저한 항종양 작용을 가짐과 함께, 면역 증강 작용, 혈관기능개선작용 등을 가지는 유용한 물질로 본 발명은 상기한 유용한 물질을 용이하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히메마쓰다게(학명; 아가리쿠스 브라재이 무릴(Agaricus blazei murrill), 일명 "흰들 버섯")의 배양여액 및 배양 균사체로부터 항 종양활성을 갖는 다당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070013670A 2007-02-09 2007-02-09 흰들 버섯의 배양여액 및 배양 균사체로부터 항 종양활성을갖는 다당체를 얻는 방법 KR200800744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670A KR20080074477A (ko) 2007-02-09 2007-02-09 흰들 버섯의 배양여액 및 배양 균사체로부터 항 종양활성을갖는 다당체를 얻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670A KR20080074477A (ko) 2007-02-09 2007-02-09 흰들 버섯의 배양여액 및 배양 균사체로부터 항 종양활성을갖는 다당체를 얻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477A true KR20080074477A (ko) 2008-08-13

Family

ID=39883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670A KR20080074477A (ko) 2007-02-09 2007-02-09 흰들 버섯의 배양여액 및 배양 균사체로부터 항 종양활성을갖는 다당체를 얻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44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4285A (zh) * 2013-10-15 2014-02-05 甘肃省商业科技研究所 一种鸡油菌菌丝多糖的提取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4285A (zh) * 2013-10-15 2014-02-05 甘肃省商业科技研究所 一种鸡油菌菌丝多糖的提取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814B1 (ko) 고분자 β-1, 3-글루칸의 제조방법
Kannan et al.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ushroom chitosan under solid-state fermentation conditions
CN109439553A (zh) 产麦角硫因的菌株及其筛选方法
Umeo et al. Screening of basidiomycetes in submerged cultivation based on antioxidant activity
WO2021158179A1 (en) SCHIZOPHYLLUM COMMUNE STRAIN PLNP13 AND β-GLUCAN OBTAINED FROM CO-CULTURING THE STRAIN WITH GANODERMA LUCIDUM
KR102060832B1 (ko) 담자균류균사의 액상배양공정을 이용한 천문동 및 대두배아의 생물전환산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JP4180108B1 (ja) 醗酵生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醗酵生成物
Jebur et al. Chitosan Production from Aspergillus oryzae SU-B2 by submerged fermentation and studying some of its Physiochemical and antibacterial Characteristics
US3969189A (en) Cell wall-lysing complex enzymes and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20080074477A (ko) 흰들 버섯의 배양여액 및 배양 균사체로부터 항 종양활성을갖는 다당체를 얻는 방법
Singh et al. Production of Pullulan from a high yielding strain of Aureobasidium pullulans in non-stirred flask-type fermentation system
CN111718857B (zh) 一种绣球菌的培养方法,绣球菌干燥粉末,及其溶媒提取物和应用
CN110423788B (zh) 一种利用诱变产生的灰树花菌株生产灰树花多糖的方法
US3890198A (en) Cell wall-lysing complex enzymes and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0461960B1 (ko) 신규한 담자균류 그리폴라 프론도사 hb0071 kctc10337bp와 이 균주로부터 생산된 다량의 다당류의 제조방법과 이의 용도
SU503532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фермента дл лизиса клеток микроорганизмов
KR20160065434A (ko) 감귤즙과 포도즙 등 과일배지로 활용한 버섯 균사체 엑기스 제조 방법
RU255612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настоя чайного гриба
KR20100094868A (ko) 치마버섯 균사체 유래 다당류의 제조방법
Angelova et al. Optimization of exopolysaccharide synthesys by medicinal fungus Trametes versicolor in submerged culture
KR100441741B1 (ko) 항산화 효과를 증진시키는 상황버섯의 균사체 제조법
US20080293670A1 (en) Edible tremella polysaccharide for prevention and/or improvement of intestinal disorder
KR100393254B1 (ko) 상황버섯 속성 배양배지 및 이를 이용한 상황버섯 균사체속성 배양방법
KR100470609B1 (ko) 균류로부터 생산된 키토산을 이용한 늦죽순 병조림의 백탁방지방법
CN109355243B (zh) 高产葡聚糖的富硒裂褶菌的制备方法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