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4145A - 방사성 불소 표식 유기 화합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방사성 불소 표식 유기 화합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4145A
KR20080074145A KR1020087013012A KR20087013012A KR20080074145A KR 20080074145 A KR20080074145 A KR 20080074145A KR 1020087013012 A KR1020087013012 A KR 1020087013012A KR 20087013012 A KR20087013012 A KR 20087013012A KR 20080074145 A KR20080074145 A KR 20080074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solution
water
solvent
labeled
radioactive fluo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3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이이치 히라노
다이사쿠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니혼 메디피직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메디피직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메디피직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4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1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59/00Introduction of isotopes of elements into organic compounds ; Labelled organic compounds per s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61/00Other general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51/00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51/00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 A61K51/02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i.e. characterised by the agent or material covalently linked or complexing the radioactive nucleus
    • A61K51/04Organic compounds
    • A61K51/0491Sugars, nucleosides, nucleotides, oligonucleotides, nucleic acids, e.g. DNA, RNA, nucleic acid apta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3/00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 C07H13/02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 C07H13/04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having the esterifying carboxyl radicals attache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H13/06Fatty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5/00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in which the hetero bonds to oxygen have been replaced by the same number of hetero bonds to halo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H5/02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in which the hetero bonds to oxygen have been replaced by the same number of hetero bonds to halo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to halo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과제)높은 방사성 불소화 수율로 18F-TAFDG를 얻을 수 있는 18F-TAFDG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18F]불화물 이온과 상간 이동 촉매와 칼륨 이온과 표식 전구체 화합물인 1,3,4,6-테트라-O-아세틸-2-O-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β-D-만노피라노스와 용매를 함유하는 반응 용액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반응 용액에 대하여 반응 조건을 부여함으로써 1,3,4,6-테트라-O-아세틸-2-[18F]플루오로-2-디옥시글루코오스를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사성 불소 표식 유기 화합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용매가 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불소 표식 유기 화합물의 제조 방법.
방사성 불소 표식 유기 화합물

Description

방사성 불소 표식 유기 화합물의 제조 방법 {PROCESS FOR PRODUCTION OF COMPOUND LABELED WITH RADIOACTIVE FLUORINE}
본 발명은 방사성 불소 표식 유기 화합물, 상세하게는 1,3,4,6-테트라-O-아세틸-2-[18F]플루오로-2-디옥시글루코오스 및 이것을 탈보호하여 얻어지는 2-[18F]플루오로-2-디옥시-D-글루코오스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이하, 「PET」로 함) 및 단일 광자 방사 단층 촬영(이하, 「SPECT」로 함)으로 대표되는 핵의학 검사는 암을 비롯한 여러가지 질환의 진단에 유효하다. 이들 검사 방법은 특정한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식된 약제(이하, 「방사성 의약품」으로 함)를 투여하고, 상기 약제의 투여에 의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방출된 γ선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핵의학 검사는 질환에 대한 특이도나 감도가 높다는 우수한 성질을 갖고 있을 뿐 아니라, 병변부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라는 다른 검사 방법에는 없는 특징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PET 검사에 이용되는 방사성 의약품의 하나인 2-[18F]플루오로- 2-디옥시-D-글루코오스(이하, 「18F-FDG」로 함)는 당 대사가 활발한 부위에 집적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당 대사가 활발한 종양을 특이적으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 해진다.
상기의 핵의학 검사 중, PET는 얻어지는 화상의 화질이 뛰어나기 때문에, 종래 널리 임상에 있어서 이용되고 있던 SPECT와 비교해 보다 진단 성능이 높은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그 때문에, PET 검사는 SPECT 검사에 버금가는 새로운 진단 양상으로서 기대받고 있어, PET 검사용의 방사성 의약품(이하, PET 진단제로 함)의 개발이 많은 연구 시설들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여러가지 리셉터 매핑(receptor mapping)제나 혈류 진단 제제가 합성되어 임상 응용을 위해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PET 진단제는 양전자 방출 핵종인 11C, 15O, 18F 등으로 표식된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있는 약제이며, 이들 중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화합물은 18F-FDG로 대표되는 18F 표식 유기 화합물이다. 18F-FDG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보고되어 있지만, 그들의 대부분은 하마처(Hamacher)에 의해 제안된 방법(이하, 하마처법으로 함)과 온 칼럼(on column)법으로 크게 구별된다.
하마처법은 18F, 탄산 칼륨 및 상간 이동 촉매를 함유하는 액을 증산·건고(乾固)시켜 18F를 활성화시킨 후, 표식 전구체인 1,3,4,6-테트라-O-아세틸-2-O-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β-D-만노피라노스(이하, TATM으로 함)의 아세토니트릴 용액을 첨가하여 가열함으로써 중간체인 1,3,4,6-테트라-O-아세틸-2-플루오로-2-디옥시글루코오스(이하, 18F-TAFDG로 함)를 얻고, 이것을 탈보호 공정 및 정제 공정에 부쳐 목적이 되는 18F-FDG를 얻는 방법이다. 한편, 온 칼럼법은 칼럼 내에서 18F의 활성화 및 18F 표식 반응을 행하고, 탈보호 및 정제를 행함으로써 18F-FDG를 얻는 방법이다(특허문헌 1, 비특허문헌 1, 비특허문헌 2 참조).
상기 방법으로 18F-FDG의 합성을 행하는 경우에는, 18F, 탄산 칼륨 및 상간 이동 촉매를 함유하는 액을 증산·건고시켜 18F를 활성화시키는 공정에서 완전히 무수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18F 표식 유기 화합물의 합성에 있어서 상기 18F를 활성화시키는 공정에 있어서의 수분 제거가 불충분하면, 18F가 수화(水和)되어 18F의 구핵성을 저하시켜 수율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3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6-157572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표 평11-508923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평5-345731호 공보
비특허문헌 1 : Hamacher K., Coenen H. H., Stocklin G., "Efficient Stereospecific Synthesis of No-carrier-added-2-[18F]fluoro-2-deoxy-D-glucose Using Aminopolyether Supported Nucleophilic Substitutionm." J. Nucl. Med., 1986, 27, 2, p.235-238
비특허문헌 2 : K. Hamacher et al., "Computer-aided Synthesis (CAS) of No-carrier-added 2-[18F]fluoro-2-deoxy-D-glucose: an Efficient Automated System for the Aminopolyether-supported Nucleophilic Fluorination" Applied Radiation and Isotopes, (Great Britain), Pergamon Press, 1990, 41, 1, p.49-55
18F-FDG를 제조하는 대표적인 방법 중 하마처법은 비교적 높은 수율을 달성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 반면, 제조 수율이 크게 차이나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이 편차의 주된 원인은 18F 표식 반응에 있어서의 수율, 즉 18F-TAFDG의 제조 수율(이하, 방사성 불소화 수율로 함)이 차이나는 것이다. 따라서, 18F-FDG를 상업적으로 안정되게 공급하기 위해서는 고(高)수율로 안정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 내지는 조건을 이용할 필요가 있고, 그러기 위해서는 안정되게 고수율로 18F-TAFDG를 제조할 수 있는 조건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높은 방사성 불소화 수율을 얻을 수 있는 18F-TAFDG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발명자들은 검토를 거듭한 결과, 불소화 반응에 있어서의 반응 용액 중에 일정량의 물을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문제점이 극복되고, 높은 방사성 불소화 수율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종래의 지견에 의하면, 반응 용액 중에 있어서의 물의 존재는 18F화 반응에 있어서의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여, 18F-FDG의 합성에 있어서는 18F화 반응에 앞서 행해지는 18F 활성화 공정(즉, [18F]불화물 이온과 상간 이동 촉매와 칼륨 이온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얻는 공정)으로 수분을 완전히 제거할 필요가 있다고 여져져 왔다(일본 특허 공표 평11-50892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5-345731호 공보 참조). 우리들은 이와 같은 종래의 지견에 반하여 반응 용액 중에 일정량의 물을 공존시킴으로써 18F화 반응에 있어서의 수율이 향상되며, 또한 안정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불소 표식 유기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18F]불화물 이온과 상간 이동 촉매와 칼륨 이온과 표식 전구체 화합물인 TATM과 용매를 함유하는 반응 용액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반응 용액에 대하여 반응 조건을 부여함으로써 18F-TAFDG를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사성 불소 표식 화합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용매가 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응 용액의 용매로서는, TATM을 용해시킬 수 있는 양친매성의 유기 용매에 일정량의 물을 함유시킨 용매를 이용할 수 있고, 전형적으로는 아세토니트릴과 물의 혼액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 중에 함유시키는 물의 양은 500㎍/g~10000㎍/g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50㎍/g~9500㎍/g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0㎍/g~9000㎍/g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0㎍/g~3000㎍/g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 중에 함유시키는 물의 양이 적으면 불소화 반응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고, 반대로 지나치게 많으면 불소화 수율의 저하 및 불순물의 증가를 초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반응 용액을 조제하는 공정은 통상 [18F]불화물 이온과 상간 이동 촉매와 칼륨 이온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미리 조제하고, 상기 혼합물에 TATM과 용매를 각각 첨가함으로써 행해진다. TATM은 미리 용매에 용해시킨 상태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응 용액을 조제하는 공정은 이들 방법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매 중에 함유시키는 물은 TATM의 첨가와 동시에 또는 그 이전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반응 용액을 조제하는 공정은 [18F]불화물 이온과 상간 이동 촉매와 칼륨 이온의 혼합물에 대하여 물 또는 물을 함유하는 용매를 첨가한 계에 표식 전구체 화합물인 TATM을 첨가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TATM의 상기 계로의 첨가 전에 상기 계에 물을 도입시켜 둠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높은 18F화 수율을 얻을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불소 표식 유기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높은 방사성 불소화 수율로 18F-TAFDG를 얻는 것이 가능해 졌다.
도 1은 반응 용액 중의 수분 함량과 18F-TAFDG의 방사 화학적 순도 및 불소 화 수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불소 표식 유기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불소 표식 유기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서는 우선 상간 이동 촉매와 [18F]불화물 이온과 칼륨 이온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얻는다. [18F]불화물 이온은 공지의 방법으로 얻을 수 있고, 예를 들면 H2 18O 농축수를 타깃으로 해서 프로톤 조사(照射)를 행하는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때, [18F]불화물 이온은 타깃으로 한 H2 18O 농축수 중에 존재하고 있다. 이 [18F]불화물 이온을 함유하는 H2 18O 농축수를 음이온 교환 칼럼에 통액하여 상기 칼럼에 방사성 불소를 흡착·포집하고, H2 18O 농축수와 분리한다. 그 후, 상기 칼럼에 탄산 칼륨 용액을 흘려 [18F]불화물 이온을 용출(溶出)시키고, 상간 이동 촉매를 첨가하여 건고시킴으로써 상간 이동 촉매와 [18F]불화물 이온과 칼륨 이온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이용하는 탄산 칼륨의 양은 표식 전구체인 TATM에 대한 몰비로 하여 약 0.3 이상이면 되지만,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수율 저하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가장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는, 칼륨 이온이 TATM에 대한 몰비로 하여 0.3~4가 되도록 상기 탄산 칼륨 용액의 농도 및 양을 조정한다.
상간 이동 촉매는 18F 이온과의 사이에서 포섭체를 형성하는 성질을 갖는 여러가지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방사성 불소 표식 유기 화합물의 제조에 이용되고 있는 여러가지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고, 18-크라운-6-에테르 및 그 밖의 여러가지 아미노폴리에테르를 이용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크립토픽스 222(상품명, 머크사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간 이동 촉매와 [18F]불화물 이온과 칼륨 이온을 함유하는 혼합물이 얻어지면, 상기 혼합물과 표식 전구체 화합물인 TATM을 함유하는 반응 용액을 조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이 공정으로 조제된 반응 용액에 있어서의 용매가 물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가장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본 공정은 상기 혼합물에 물을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하고, 이어서 TATM을 첨가함으로써 행한다.
아세토니트릴에 함유시키는 물의 양은 조제된 반응 용액 중에 있어서의 수분 농도가 500~10000㎍/g이 되도록 조정한다. 첨가하는 용매의 양은 상기 혼합물을 용해시키기에 충분한 양인 한 특별히 한정될 필요는 없지만, 지나치게 많으면 18F-TAFDG로부터 18F-FDG를 조제할 때의 가열·증산 공정에서 처리에 시간이 지나치게 걸리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TATM의 첨가 방법은 특별히 한정될 필요는 없지만,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켜 첨가하는 것이 조작성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다. 이 경우, TATM을 용해시키는 아세토니트릴은 물의 함유량을 최대한 억제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TATM의 분해를 억제하기에 바람직하다.
반응 용액의 조제가 종료되면 반응 조건을 부여하여 표식 반응을 행한다. 반응 조건은 가열 등의 수단에 의해 TATM의 18F화 반응을 진행시키기에 충분한 조건으로 하면 된다. 18F-TAFDG의 제조에 있어서는, 통상 반응 용액을 넣은 용기를 밀봉 상태로 하여 85℃에서 약 5분간 가열함으로써 18F 표식을 달성할 수 있다. 이 조작에 의해 18F-TAFDG가 합성된다.
또한, 18F-TAFDG를 탈보호하여 18F-FDG를 조제하는 경우에는 표식 반응 종료 후의 반응 용기를 개방 상태로 하고, 반응 용액을 가열하여 용매를 증산시키며, 산을 첨가하여 가열하는 공정을 행하면 된다. 또한, 얻어진 18F-FDG는 필요에 따라 정제 공정에 부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11)
18O가 농축된 타깃수에 프로톤 조사를 행하여 [18F]불화물 이온을 [18F]불화물 이온 함유 타깃수로서 얻었다. 이 [18F]불화물 이온 함유 타깃수에 대하여 CRC-15R(제품명, CAPINTEC사제)을 이용하여 방사능량을 측정하고(방사능량 A로 함), 이어서 음이온 교환 칼럼에 통액하여 [18F]불화물 이온을 흡착·포집한 후, 탄산 칼륨 용액을 통액함으로써 [18F]불화물 이온을 용출했다. 이 [18F]불화물 이온을 함유하는 용출액에 크립토픽스 222(제품명, 머크사제)의 아세토니트릴 용액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증산·건고시켜 [18F]불화물 이온, 칼륨 이온 및 상간 이동 촉매(크립토픽스 222, 제품명, 머크사제)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조제했다.
이 혼합물에 반응 용액 중의 함수량이 표 1에 나타내는 양이 되도록 물을 혼합시킨 아세토니트릴 0.5㎖를 첨가하여 상기 혼합물을 용해시켰다. 이 액에 TATM의 아세토니트릴 용액(농도:40㎎/㎖) 0.5㎖를 첨가하여 반응 용액을 조제했다. 그 후, 상기 반응 용액의 용기를 밀폐하고, 히팅블록을 이용해 85℃로 5분간 가열하여 표식 반응을 행했다. 반응 종료 후, 용기를 개방하여 85℃에서 5분 더 가열하여 용매를 증산시키고, CRC-15R(제품명, CAPINTEC사제)을 이용해 방사능량을 측정했다(방사능량 B로 함).
얻어진 반응물을 함수율 1%(w/w)의 아세토니트릴에 용해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TLC 분석을 행하고, 18F-TAFDG의 면적 백분률을 방사 화학적 순도로 했다.
TLC 분석 조건 :
TLC 플레이트 : Silica Gel 60 F254(제품명, 머크사제)
전개상 : 클로로포름/초산에틸=80/20
검출기 : Rita Star(제품명, raytest사제)
얻어진 방사 화학적 순도와 방사능량(A 및 B)을 이용하여 하기 식(1)에 따라 [18F]불소화 수율을 구했다. 또한, 계산에 있어서 방사능량(A 및 B)은 측정한 시각을 고려한 감쇠 보정을 행한 것을 이용했다.
[18F]불소화 수율(%)=B/A×[18F-TAFDG의 방사 화학적 순도] (1)
결과를 표 1 및 도 1에 나타낸다.
이 표 및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8F-TAFDG의 불소화 수율의 값은 반응 용액 중의 수분량이 500~10000㎍/g의 사이에서 70% 이상으로 양호했다. 또한, 반응 용액 중의 수분량이 500㎍/g보다 적은 경우 및 9500㎍/g보다 많은 경우에는 불소화 수율 및 18F-TAFDG의 값이 감소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반응 용액 중에서의 수분 함량이 500~10000㎍/g인 범위에 있어서, 양호한 불소화 수율로 18F-TAFDG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특히 750~9500㎍/g의 사이에서는 85% 이상의 불소화 수율과 90% 이상의 방사 화학적 순도가 달성되어 있었다.
Figure 112008038671175-PCT00001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불소 표식 유기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방사성 의약품의 하나인 18F-FDG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고, 핵의학 검사의 분야에서 유용하다.

Claims (4)

  1. [18F]불화물 이온과 상간 이동 촉매와 칼륨 이온과 표식 전구체 화합물인 1,3,4,6-테트라-O-아세틸-2-O-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β-D-만노피라노스와 용매를 함유하는 반응 용액을 조제하는 공정; 및
    상기 반응 용액에 대하여 반응 조건을 부여함으로써 1,3,4,6-테트라-O-아세틸-2-[18F]플루오로-2-디옥시글루코오스를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사성 불소 표식 유기 화합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용매는 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불소 표식 유기 화합물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과 아세토니트릴의 혼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불소 표식 유기 화합물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용액에 있어서의 수분 함량은 500~100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불소 표식 유기 화합물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용액을 조제하는 공정은 [18F]불화물 이온과 상간 이동 촉매와 칼륨 이온의 혼합물에 대하여 물 또는 물을 함유하는 용매를 첨가한 계에 1,3,4,6-테트라-O-아세틸-2-O-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β-D-만노피라노스를 첨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불소 표식 유기 화합물의 제조 방법.
KR1020087013012A 2005-12-06 2006-11-30 방사성 불소 표식 유기 화합물의 제조 방법 KR200800741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52464 2005-12-06
JP2005352464 2005-1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145A true KR20080074145A (ko) 2008-08-12

Family

ID=38122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012A KR20080074145A (ko) 2005-12-06 2006-11-30 방사성 불소 표식 유기 화합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90281294A1 (ko)
EP (1) EP1958954A4 (ko)
JP (1) JP5106118B2 (ko)
KR (1) KR20080074145A (ko)
CN (1) CN101346392A (ko)
AU (1) AU2006322673A1 (ko)
CA (1) CA2632133A1 (ko)
NO (1) NO20082875L (ko)
WO (1) WO20070665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11854B (zh) * 2006-09-06 2012-07-11 日本医事物理股份有限公司 放射性氟标记有机化合物的制造方法、合成装置及程序
KR101430422B1 (ko) * 2010-04-08 2014-08-14 지멘스 메디컬 솔루션즈 유에스에이, 인크. 함수 유기 용매에서 18f-표지된 트레이서의 합성
WO2016084193A1 (ja) * 2014-11-27 2016-06-02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6-デオキシ-6-放射性ヨード-d-グルコー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る高分子化合物
KR20220009437A (ko) * 2019-07-09 2022-01-24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의 탈보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8224B2 (ja) * 1992-06-15 1998-04-08 日本鋼管株式会社 18f標識有機化合物の製造法
US5264570A (en) * 1992-08-05 1993-11-23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making 2-[18 F]fluoro-2-deoxy-D-glucose
BE1010280A3 (fr) 1996-05-02 1998-05-05 Coincidence S A Procede et dispositif de synthese de 2-[18f] fluoro-2-deoxy-d-glucose.
US20070036258A1 (en) * 2003-09-30 2007-02-15 Osamu Ito Process for producing radioactive fluorine compound
GB0425501D0 (en) * 2004-11-19 2004-12-22 Amersham Plc Fluoridation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7066567A1 (ja) 2009-05-14
WO2007066567A1 (ja) 2007-06-14
EP1958954A4 (en) 2009-12-30
CN101346392A (zh) 2009-01-14
JP5106118B2 (ja) 2012-12-26
EP1958954A1 (en) 2008-08-20
AU2006322673A1 (en) 2007-06-14
NO20082875L (no) 2008-08-28
US20090281294A1 (en) 2009-11-12
CA2632133A1 (en) 200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42586B2 (ja) 放射性フッ素標識化合物の製造方法
JP4550141B2 (ja) 放射性フッ素標識有機化合物の製造方法
JP5258583B2 (ja) 放射性画像診断剤の製造方法
JP4113258B2 (ja) ラベル化化合物を合成する方法及び装置
EP2419096B1 (en) Stabilization of radio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ing ascorbic acid
JP5732198B2 (ja) 放射性フッ素標識有機化合物の製造方法
JP5159636B2 (ja) 放射性画像診断剤
JP5106118B2 (ja) 放射性フッ素標識有機化合物の製造方法
JP5112062B2 (ja) 放射性画像診断剤
Asti et al. Efficient automated one-step synthesis of 2-[18F] fluoroethylcholine for clinical imaging: optimized reaction conditions and improved quality controls of different synthetic approaches
CN113105432B (zh) 一种碳-11(11c)放射性药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7424574B2 (ja) 放射性フッ素標識化合物の製造方法及び放射性医薬組成物の製造方法
JP6770837B2 (ja) 放射性フッ素標識有機化合物を製造する方法
US20100150835A1 (en) Synthesis of [18F] Fluoromethyl Benzene Using Benzyl Pentafluorobenzenesulfonate
US20190262479A1 (en) Imaging method for diffuse intrinsic pontine glioma using an imaging agent, and imaging agents for early stage diagnoses
CN112778163A (zh) 心脏显像正电子药物[18f]mfbg和[18f]mhpg的新型制备方法
US20190261858A1 (en) Imaging method for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using an imaging agent and method of producing an imaging agent
JP2020034493A (ja) 放射性核種18fの精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