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3681A - 심야용 등기구 장치 - Google Patents

심야용 등기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3681A
KR20080073681A KR1020080046155A KR20080046155A KR20080073681A KR 20080073681 A KR20080073681 A KR 20080073681A KR 1020080046155 A KR1020080046155 A KR 1020080046155A KR 20080046155 A KR20080046155 A KR 20080046155A KR 20080073681 A KR20080073681 A KR 20080073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general
delay
ligh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2395B1 (ko
Inventor
이정규
Original Assignee
이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규 filed Critical 이정규
Priority to KR1020080046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395B1/ko
Publication of KR20080073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야용 등기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원; 일반등; 상기 전원과 상기 일반등을 연결하는 일반회로; 상기 일반회로와 병렬로 설치되어 상기 전원과 상기 일반등을 연결하는 지연회로; 상기 지연회로를 제어하는 지연제어회로; 상기 일반회로에 설치되는 스위치; 상기 일반등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출력부; 및 상기 지연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출력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의 OFF신호를 감지하면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일반등이 소등될 수 있도록 시간을 지연하여 주는 시간지연부; 조도를 감지하여 설정조도 이하일 때만 일반등이 점등될 수 있도록 상기 출력부로 통전제어신호를 보내는 주변조도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소등을 지연시켜서 심야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사물의 충돌이나 파손, 사용자의 실족, 부상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사람의 눈이 어둠에 적응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줄 수 있고, 사용자가 자신이 전등조작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주변이 밝으면 지연 기능이 작동되지 않아서 전력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시간지연부, 주변조도감지부, 지연제어회로, OFF신호

Description

심야용 등기구 장치{Lighting fixture apparatus for midnight}
본 발명은 심야용 등기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심야인 경우, 전등을 꺼도 주변을 식별하여 짧은 거리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잠시 동안 전등의 완전 소등을 지연시키는 심야용 등기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주택이나 아파트에서 거실이나 침실의 등기구들은 다양한 모양과 다양한 종류일 지라도, 기능적으로 보면 단순히 전등을 켜고 끄는 기능(ON/OFF기능) 만을 갖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등기구 장치들은 평상시 사용하는 데에는 크게 불편함이 없으나, 주변이 매우 어두운 심야에 예를 들어, 거실의 전등을 끄고 침실로 가는 동안, 또는 침실의 불을 끄고 침대로 가는 동안, 비록 짧은 거리이긴 하지만 주위가 너무 어두워지고, 갑자기 전등이 꺼지면 사람의 눈이 적응하지 못하여 사물의 육안 식별이 순간적으로 불가능해져서 사물을 파악하기 위해 주위를 더듬거리면서 이동하거나 잘못하면 사물에 부딪혀서 넘어지거나 사물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온오프스위치를 오프시키면 전 등이 바로 꺼지지 않고 소정 시간 켜져 있다가 꺼지는 형광등용 단순 지연식 등기구가 개발된 바 있으나, 이러한 형광등용 단순 지연식 등기구는, 주변이 밝은 주간이나, 다른 전등이 켜져 있어서 주변이 밝은 동안에도 사용자가 전등을 끄면 무조건 전등이 소정 시간 켜져 있다가 꺼지기 때문에 이로 인한 전력 낭비가 심하고 사용자가 자신이 전등을 끈 것인지 켠 것인지 인식하기가 불편하여 재차 확인하는 등의 문제점과 형광등용 등기구류 이외의 등기구류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다른 전등이 꺼진 어두운 심야나 어두운 장소, 예를 들어 지하실 등이라 판단되는 경우, 전등 소등시에도 사용자의 이동이 용이하게 주변의 사물 식별이 가능하도록 소정 시간 동안 소등을 지연시켜서 심야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사물의 충돌이나 파손, 사용자의 실족, 부상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하는 심야용 등기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람의 눈이 어둠에 적응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줄 수 있고, 사용자가 자신이 전등조작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주변이 밝으면 지연 기능이 작동되지 않아서 전력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심야용 등기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형광등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가정에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램프(예를 들면, 백열등, 전구형 형광등, 할로겐등, LED등)에 적용이 가능한 심야용 등기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심야용 등기구 장치는, 심야에 전등을 꺼도 주변을 식별하여 짧은 거리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잠시 동안 전등의 완전 소등을 지연시키는 심야용 등기구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원; 일상 활동이나 작업에 필요한 충분한 조도를 갖는 일반등; 상기 전원과 상기 일반등을 연결하는 일반 회로; 상기 일반회로와 병렬로 설치되어, 상기 전원과 상기 일반등을 연결하는 지연회로; 상기 일반회로의 상태와 주변의 조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지연회로를 제어하는 지연제어회로; 상기 일반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일반등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지연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일반등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출력부; 및 상기 지연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출력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의 OFF신호를 감지하면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일반등이 소등될 수 있도록 시간을 지연하여주는 시간지연부; 상기 일반등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설정조도 이하일 때만 일반등이 점등될 수 있도록 상기 출력부로 통전제어신호를 보내는 주변조도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에, 상기 일반등의 조도를 약하게 하거나 또는 서서히 소등될 수 있도록하는 조도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간지연부는 타임릴레이와 타임릴레이의 접점으로 구성되며, 상기 타임릴레이의 접점은 상기 지연제어회로를 제어하며, 상기 주변조도감지부는 조도센서(CDS, 포토다이오드, 포토TR, 등)와 저항, 콘덴서, IC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조도제어부는 저항과 콘덴서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출력부는 트라이악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타임릴레이의 접점은 상기 지연회로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심야용 등기구 장치는, 심야에 전등을 꺼도 주변을 식별하여 짧은 거리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잠시 동안 전등의 완전 소등을 지연시키는 심야용 등기구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원; 일상 활동이나 작업에 필요한 충분한 조도를 갖는 일반등; 상기 일반등과 같으나, 소등 지연등의 역할을 겸하는 심야용 겸용등; 상기 전원과 상기 일반등 및 상기 심야용 겸용등을 연결하는 일반회로; 상기 일반회로와 병렬로 설치되어, 상기 전원과 상기 심야용 겸용등을 연결하는 지연회로; 상기 일반회로의 상태와 주변의 조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일반회로 중 일부 및 상기 지연회로를 제어하는 지연제어회로; 상기 일반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일반등 및 상기 심야용 겸용등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지연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심야용 겸용등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출력부; 및 상기 지연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출력부 및 상기 일반회로 중 일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의 OFF신호를 감지하면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심야용 겸용등이 소등될 수 있도록 시간을 지연하여주는 시간지연부; 상기 일반등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설정조도 이하일 때만 상기 심야용 겸용등이 점등될 수 있도록 상기 출력부로 통전제어신호를 보내는 주변조도감지부; 상기 스위치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바뀌면 상기 심야용 겸용등과 상기 스위치 사이의 일반회로를 연결하고, ON상태에서 OFF상태로 바뀌면 상기 심야용 겸용등과 상기 스위치 사이의 일반회로를 단속하는 접점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에, 상기 심야용 겸용등의 조도를 약하 게 하거나 또는 서서히 소등될 수 있도록하는 조도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간지연부는 타임릴레이와 타임릴레이의 접점으로 구성되며, 상기 타임릴레이의 접점은 상기 지연제어회로를 제어하며, 상기 주변조도감지부는 조도센서(CDS, 포토다이오드, 포토TR, 등)와 저항, 콘덴서, IC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접점부는 릴레이와 릴레이 접점으로 구성되며, 상기 릴레이 접점은 상기 스위치와 상기 심야용 겸용등 사이의 상기 일반회로를 제어하며, 상기 조도제어부는 저항과 콘덴서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출력부는 트라이악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발명에 따르면, 상기 타임릴레이의 접점은 상기 지연회로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심야용 등기구 장치는, 심야에 전등을 꺼도 주변을 식별하여 짧은 거리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잠시 동안 전등의 완전 소등을 지연시키는 심야용 등기구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원; 일상 활동이나 작업에 필요한 충분한 조도를 갖는 일반등; 심야에 사물의 위치만 파악할 수 있는 정도의 조도를 갖는 심야등; 상기 전원과 상기 일반등을 연결하는 일반회로; 상기 일반회로와 별도로 설치되어, 상기 전원과 상기 심야등을 연결하는 지연회로; 상기 일반회로의 상태와 주변의 조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지연회로를 제어하는 지연제어회로; 상기 일반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일반등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지연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심야등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출력 부; 및 상기 지연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출력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의 OFF신호를 감지하면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심야등이 소등될 수 있도록 시간을 지연하여주는 시간지연부; 상기 일반등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설정조도 이하일 때만 상기 심야등이 점등될 수 있도록 상기 출력부로 통전제어신호를 보내는 주변조도감지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에, 상기 심야등이 서서히 소등될 수 있도록 하는 조도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간지연부는 타임릴레이와 타임릴레이의 접점으로 구성되며, 상기 타임릴레이의 접점은 상기 지연제어회로를 제어하며, 상기 주변조도감지부는 조도센서(CDS, 포토다이오드, 포토TR, 등)와 저항, 콘덴서, IC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조도제어부는 저항과 콘덴서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출력부는 트라이악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타임릴레이의 접점은 상기 지연회로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심야용 등기구 장치에 의하면,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전등 소등시에도 사용자의 이동이 용이하게 주변의 사물 식별이 가능하도록 소정 시간 동안 소등을 지연시켜서 심야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사물의 충돌이나 파손, 사용자의 실족, 부상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사람의 눈이 어둠 에 적응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줄 수 있고, 사용자가 자신이 전등조작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형광등 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다른 모든 등들에도 사용이 가능하며, 주변이 밝으면 지연 기능이 작동되지 않아서 전력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에 따른 심야용 등기구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야용 등기구 장치(10)는, 심야에 전등을 꺼도 주변을 식별하여 짧은 거리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잠시 동안 전등의 완전 소등을 지연시키는 심야용 등기구 장치로서, 크게 전원(11)과, 일반등(15)과, 스위치(12)와, 출력부(14) 및 제어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며, 이들은 일반회로(1), 지연회로(2), 지연제어회로(3) 등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11)은, 상기 일반등(15)을 점등시키는 데 소요되는 전력을 공급해 주는 예를 들어 가정용 전력 라인 등 일반적인 전력공급원이다.
또한, 상기 일반등(15)은, 일상 활동이나 작업에 필요한 충분한 조도를 갖는 전등으로서 심야용 겸용등의 역할을 겸한다.
또한, 상기 일반회로(1)는, 상기 일반등(15)와 상기 전원(11)을 연결하는 회로로서, 상기 일반등(15)에 상기 전원(11)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회로이다.
또한, 상기 지연회로(2)는, 상기 일반등(15)와 상기 전원(11)을 연결하고, 상기 일반회로(1)와 병렬 연결되어 상기 일반회로(1)의 단속시에도 상기 일반등(15)에 상기 전원(11)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회로이다.
또한, 상기 지연제어회로(3)는, 상기 일반회로(1)의 상태와 주변의 조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지연회로(2)를 연결 또는 단속하는 제어회로로서, 사용되는 전원은 도면에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정류기를 통하여 공급된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 스위치(12)는, 상기 일반 회로(1)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일반 회로(1)를 연결 또는 단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부(13)는, 상기 스위치(12)의 상태와 주변의 조도상태를 감지하여 출력부(14)에 상기 지연회로(2)의 연결 또는 단속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하는 데, 시간지연부(16), 주변조도감지부(17)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조도제어부(18)가 추가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시간지연부(16)는, 상기 스위치(12)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바뀌면 곧바로 상기 지연제어회로(3) 또는 지연회로(2)를 연결하나, ON상태에서 OFF상태로 바뀌면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5초)후에야 상기 지연제어회로(3) 또는 지연회로(2)를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주변조도감지부(17)는, 상기 일반등(15)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설정조도(예를 들면, 20룩스) 이하일 때만 지연회로 통전신호를 상기 출력부(14)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조도제어부(18)는, 상기 일반등(15)의 조도를 약하게 하는 역할 을 하는데, 서서히 소등될 수 있는 기능(FADE OUT기능)을 추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14)는 상기 주변조도감지부(17)에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지연회로(2)를 통해 상기 일반등(15)으로 전력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이러한 본 발명의 심야용 등기구 장치(10)의 일례를 든다면, 도 2, 3, 4, 5와 같이 도시할 수가 있는 데, 상기 시간지연부(16)는 타임릴레이(Rt)와 타임릴레이의 접점(Rtp)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주변조도감지부(17)는 조도센서(CDS, 포토다이오드, 포토TR, 등)와 저항(R), 콘덴서(C), IC, TR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조도제어부(18)는 저항과 콘덴서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출력부(14)는 트라이악(T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타임릴레이는 기계적 접속식 및 무접접식 부품의 사용이 가능하며, 다른 부품들(즉, 조도센서, 저항, 콘덴서, IC, TR, 트라이악, 등)은 필요에 따라 설계자의 선택에 의해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으며, 다양한 용량과 크기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도 2를 예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12)를 ON상태로 조작하면, 상기 일반회로(1)를 통해 상기 전원(11)의 전력이 상기 일반등(15)에 공급되어 상기 일반등(15)이 점등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12)를 OFF상태로 조작하면, 상기 일반회로(1)는 곧바로 단속되어 상기 일반등(15)이 소등되고, 상기 시간지연부(16)의 상기 타임릴레이(Rt)는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5초)이 지난 후에야 상기 타임릴레이의 접점(Rtp)을 OFF시킨다. 아울러 상기 주변조도 감지부(17)의 조도센서(CDS)는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고, 저항, 콘덴서, IC 등을 이용하여 설정된 조도(예를 들면, 20룩 스)와 비교판단하여, 설정된 조도 이하일 때만 상기 타임릴레이의 접점(Rtp)을 통하여 전해진 통전신호를 상기 트라이악(Tr)으로 보내게 되며, 이 때에만 상기 출력부(14)의 상기 트라이악(Tr)은 상기 지연회로(2)를 통해 상기 일반등(15)으로 전력을 보내게 되어 상기 일반등(15)은 곧바로 소등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시간 점등상태가 유지되었다가 소등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12)를 OFF시키더라도, 주변이 설정된 조도(예를 들면, 20룩스)이하일 때엔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5초)동안 상기 일반등(15)의 소등이 지연되고, 주변이 설정된 조도(예를 들면, 20룩스)이상일 때엔(즉, 주변이 밝은 주간이나 주변에 다른 전등이 켜져있는 경우) 상기 일반등이 즉시 소등되어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임릴레이의 접점(Rtp)이 지연제어회로(3)가 아닌 지연회로(2)를 제어하더라도 똑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와 도 3의 회로 중 상기 지연제어회로(3)상에 조도제어부(18)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조도제어부(18)는 저항(R)과 콘덴서(C)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데, 이 때엔 정상상태보다 낮은 조도로 점등상태가 유지되거나 낮은 조도의 점등 후 점차 희미해지면서 소등될 수 있도록(FADE OUT효과)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야용 등기구 장치(20)는, 크게 전원(21)과, 일반등(25)과, 심야용 겸용등(29)과, 스위치(22)와, 출력부(24) 및 제어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며, 이들은 일반회로(4), 지연회로(5), 지연제어회로(6) 등으로 연결되어 있는 데, 상기 스위치(22)가 ON일 때는 상기 일반등(25)과 상기 심야용 겸용등(29)이 동시에 점등되나, 상기 스위치(22)가 OFF일 때는 OFF와 동시에 일반등(25)은 꺼지지만 심야용 겸용등(29)은 소등 지연등의 역할을 하는 등기구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전원(21)은, 상기 일반등(25)과 상기 심야용 겸용등(29)을 점등시키는 데 소요되는 전력을 공급해 주는 예를 들어 가정용 전력 라인 등 일반적인 전력공급원이다.
또한, 상기 일반등(25)은, 일상 활동이나 작업에 필요한 충분한 조도를 갖고 상기 스위치(22)의 OFF와 동시에 꺼지는 전등이다.
또한, 상기 심야용 겸용등(29)은, 상기 일반등(25)과 같으나 상기 스위치(22)의 OFF시에는 소등 지연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일반회로(4)는, 상기 일반등(25)과 상기 심야용 겸용등(29)을 상기 전원(21)에 연결하는 회로로서, 상기 일반등(25)과 상기 심야용 겸용등(29)에 상기 전원(21)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회로이다.
또한, 상기 지연회로(5)는, 상기 심야용 겸용등(29)과 상기 전원(21)을 연결하고, 상기 일반회로(4)와 병렬 연결되어 상기 일반회로(4)의 단속시에도 상기 심야용 겸용등(29)에 상기 전원(21)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회로이다.
또한, 상기 지연제어회로(6)는, 상기 일반회로(4)의 상태와 주변의 조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일반회로(4) 중 일부 및 상기 지연회로(5)를 연결 또는 단속하는 제어회로로서, 사용되는 전원은 도면에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정류기를 통하여 공급 된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 스위치(22)는, 상기 일반 회로(4)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일반 회로(4)를 연결 또는 단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부(23)는, 상기 스위치(22)의 상태와 주변의 조도상태를 감지하여 출력부(24)에 상기 지연회로(2)의 연결 또는 단속 신호를 보내는 역할과 상기 일반회로(4)중 일부의 연결 또는 단속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하는 데, 시간지연부(26), 주변조도감지부(27), 접점부(261)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조도제어부(28)가 추가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시간지연부(26)는, 상기 스위치(22)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바뀌면 곧바로 상기 지연제어회로(6) 또는 지연회로(5)를 연결하나, ON상태에서 OFF상태로 바뀌면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5초)후에야 상기 지연제어회로(6) 또는 지연회로(5)를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주변조도감지부(27)는, 상기 일반등(25)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설정조도(예를 들면, 20룩스) 이하일 때만 지연회로 통전신호를 상기 출력부(24)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접점부(261)는, 상기 스위치(22)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바뀌면 상기 상기 심야용 겸용등(29)과 상기 스위치(22) 사이의 일반회로(4)를 연결하고, ON상태에서 OFF상태로 바뀌면 상기 심야용 겸용등(29)과 상기 스위치(22) 사이의 일반회로를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조도제어부(28)는, 상기 심야용 겸용등(29)의 조도를 약하게 하 는 역할을 하는데, 서서히 소등될 수 있는 기능(FADE OUT기능)을 추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24)는 상기 주변조도감지부(27)에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지연회로(5)를 통해 상기 심야용 겸용등(29)으로 전력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이러한 본 발명의 심야용 등기구 장치(20)의 일례를 든다면, 도 7, 8, 9, 10와 같이 도시할 수가 있는 데, 상기 시간지연부(26)는 타임릴레이(Rt)와 타임릴레이의 접점(Rtp)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주변조도감지부(27)는 조도센서(CDS, 포토다이오드, 포토TR, 등)와 저항(R), 콘덴서(C), IC, TR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접점부(261)는 릴레이(R)와 릴레이의 접점(Rp)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조도제어부(28)는 저항과 콘덴서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출력부(24)는 트라이악(T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타임릴레이와 릴레이 등은 기계적 접속식 및 무접접식 부품의 사용이 가능하며, 다른 부품들(즉, 조도센서, 저항, 콘덴서, IC, TR, 트라이악, 등)은 필요에 따라 설계자의 선택에 의해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으며, 다양한 용량과 크기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도 7을 예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22)를 ON상태로 조작하면, 상기 일반회로(4)를 통해 상기 전원(21)의 전력이 상기 일반등(25)과 상기 심야용 겸용등(29)에 공급되어 상기 일반등(25)과 상기 심야용 겸용등(29)이 동시에 점등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22)를 OFF상태로 조작하면, 상기 일반회로(4) 는 곧바로 단속되어 상기 일반등(25) 및 상기 심야용 겸용등(29)은 소등되고, 상기 시간지연부(26)의 상기 타임릴레이(Rt)는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5초)이 지난 후에야 상기 타임릴레이의 접점(Rtp)을 OFF시키고, 상기 접점부(261)의 상기 릴레이(R)는 상기 릴레이의 접점(Rp)을 곧바로 OFF시킨다. 아울러 주변조도 감지부(27)의 조도센서(CDS)는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고, 저항, 콘덴서, IC 등을 이용하여 설정된 조도(예를 들면, 20룩스)와 비교판단하여, 설정된 조도 이하일 때만 상기 타임릴레이의 접점(Rtp)을 통하여 전해진 통전신호를 상기 트라이악(Tr)으로 보내게 되며, 이 때에만 상기 출력부(24)의 트라이악(Tr)은 상기 지연회로(5)를 통해 상기 심야용 겸용등(29)으로 전력을 보내게 되어, 상기 심야용 겸용등(29)은 곧바로 소등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시간 점등상태가 유지되었다가 소등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22)를 OFF시키면, 상기 일반등은 곧바로 소등되나, 주변이 설정된 조도(예를 들면, 20룩스)이하일 때엔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5초)동안 상기 심야용 겸용등(29)의 소등이 지연되고, 주변이 설정된 조도(예를 들면, 20룩스)이상일 때엔(즉, 주변이 밝은 주간이나 주변에 다른 전등이 켜져있는 경우) 상기 심야용 겸용등(29)이 즉시 소등되어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임릴레이의 접점(Rtp)이 지연제어회로(6)가 아닌 지연회로(5)를 제어하더라도 똑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과 도 8의 회로 중 상기 지연제어회로(6)상에 조도제어부(28)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조도제어 부(28)는 저항(R)과 콘덴서(C)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데, 이 때엔 정상상태보다 낮은 조도로 점등상태가 유지되거나, 낮은 조도의 점등 후 점차 희미해지면서 소등될 수 있도록(FADE OUT효과)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야용 등기구 장치(30)는, 크게 전원(31)과, 일반등(35)과, 심야등(39)과, 스위치(32)와, 출력부(34) 및 제어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며, 이들은 일반회로(7), 지연회로(8), 지연제어회로(9) 등으로 연결되어 있는 데, 상기 스위치(32)가 ON일 때는 상기 일반등(35)만 점등되고, 상기 스위치(32)가 OFF일 때엔 상기 일반등(35)은 곧바로 소등되고 상기 심야등(39)만 소등지연등으로서의 역할을 하게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31)은, 상기 일반등(35)과 상기 심야등(39)을 점등시키는 데 소요되는 전력을 공급해 주는 예를 들어 가정용 전력 라인 등 일반적인 전력공급원이다.
또한, 상기 일반등(35)은, 일상 활동이나 작업에 필요한 충분한 조도를 갖는 전등으로서 상기 스위치(32)의 OFF와 동시에 꺼지는 전등이다.
또한, 상기 심야등(39)은, 일상 활동이나 작업보다는 심야에 사물의 위치만 파악할 수 있는 정도의 약한 조도(예를 들어, 20룩스 이하)를 갖고, 주변이 어두울 때만 점등이 가능한 전등이다.
또한, 상기 일반회로(7)는, 상기 일반등(35)와 상기 전원(31)을 연결하는 회로로서, 상기 일반등(35)에 상기 전원(31)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회로이다.
또한, 상기 지연회로(8)는, 상기 심야등(39)과 상기 전원(31)을 연결하고, 상기 일반회로(7)와 병렬 연결되어 상기 일반회로(8)의 단속시에도 상기 심야등(39)에 상기 전원(31)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회로이다.
또한, 상기 지연제어회로(9)는, 상기 일반회로(7)의 상태와 주변의 조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지연회로(8)를 연결 또는 단속하는 제어회로로서, 사용되는 전원은 도면에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정류기를 통하여 공급된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 스위치(32)는, 상기 일반 회로(7)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일반 회로(7)를 연결 또는 단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부(33)는, 상기 스위치(32)의 상태와 주변의 조도상태를 감지하여 출력부(34)에 상기 지연회로(8)의 연결 또는 단속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하는 데, 시간지연부(36), 주변조도감지부(37)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조도제어부(38)가 추가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시간지연부(36)는, 상기 스위치(32)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바뀌면 곧바로 상기 지연제어회로(9) 또는 지연회로(8)를 연결하나, ON상태에서 OFF상태로 바뀌면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5초)후에야 상기 지연제어회로(9) 또는 지연회로(8)를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주변조도감지부(37)는, 상기 일반등(35)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설정조도(예를 들면, 20룩스) 이하일 때만 지연회로 통전신호를 상기 출력부(34)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조도제어부(38)는, 상기 심야등(39)이 소등 될 때, 서서히 소등 될 수 있는 기능(FADE OUT기능)을 추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34)는 상기 주변조도감지부(37)에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지연회로(8)를 통해 상기 심야등(39)으로 전력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이러한 본 발명의 심야용 등기구 장치(30)의 일례를 든다면, 도 12, 13, 14, 15와 같이 도시할 수가 있는 데, 상기 시간지연부(36)는 타임릴레이(Rt)와 타임릴레이의 접점(Rtp)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주변조도감지부(37)는 조도센서(CDS, 포토다이오드, 포토TR, 등)와 저항(R), 콘덴서(C), IC, TR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조도제어부(38)는 저항과 콘덴서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출력부(34)는 트라이악(T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타임릴레이는 기계적 접속식 및 무접접식 부품의 사용이 가능하며, 다른 부품들(즉, 조도센서, 저항, 콘덴서, IC, TR, 트라이악, 등)은 필요에 따라 설계자의 선택에 의해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으며, 다양한 용량과 크기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도12를 예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32)를 ON상태로 조작하면, 상기 일반회로(7)를 통해 상기 전원(31)의 전력이 상기 일반등(35)에 공급되어 상기 일반등(35)이 점등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32)를 OFF상태로 조작하면, 상기 일반회로(7)는 곧바로 단속되어 상기 일반등(35)은 소등되고, 상기 시간지연부(36)의 상기 타임릴레이(Rt)는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5초)이 지난 후에야 상기 타임릴레이의 접점(Rtp)을 OFF시킨다. 아울러 상기 주변조도 감지부(37)의 조도센서(CDS)는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고, 저항, 콘덴서, IC 등을 이용하여 설정된 조도(예를 들면, 20룩 스)와 비교판단하여, 설정된 조도 이하일 때만 상기 타임릴레이의 접점(Rtp)을 통하여 전해진 통전신호를 상기 트라이악(Tr)으로 보내게 되며, 이 때에만 상기 출력부(34)의 상기 트라이악(Tr)은 상기 지연회로(8)를 통해 상기 심야등(39)으로 전력을 보내게 되어, 상기 심야등(39)은 곧바로 소등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시간 점등상태가 유지되었다가 소등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32)를 OFF시키더라도, 주변이 설정된 조도(예를 들면, 20룩스)이하일 때엔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5초)동안 상기 심야등(39)이 점등되고, 주변이 설정된 조도(예를 들면, 20룩스)이상일 때엔(즉, 주변이 밝은 주간이나 주변에 다른 전등이 켜져있는 경우) 상기 심야등(39)이 점등되지 않아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임릴레이의 접점(Rtp)이 지연제어회로(9)가 아닌 지연회로(8)를 제어하더라도 똑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2와 도 13의 회로 중 상기 지연제어회로(9)상에 조도제어부(38)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조도제어부(38)는 저항(R)과 콘덴서(C)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데, 이 때엔 심야등(39)이 점등 후 점차 희미해지면서 소등될 수 있도록(FADE OUT효과)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상기 제어부, 상기 출력부, 상기 일반등, 상기 심야용 겸용등, 상기 심야등의 설치 위치나 설치 개수나 내부 부품의 설계 및 디자인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야용 등기구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야용 등기구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9는 도 6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0은 도 6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야용 등기구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Claims (12)

  1. 심야에 전등을 꺼도 주변을 식별하여 짧은 거리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잠시 동안 전등의 완전 소등을 지연시키는 심야용 등기구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원;
    일상 활동이나 작업에 필요한 충분한 조도를 갖는 일반등;
    상기 전원과 상기 일반등을 연결하는 일반회로;
    상기 일반회로와 병렬로 설치되어, 상기 전원과 상기 일반등을 연결하는 지연회로;
    상기 일반회로의 상태와 주변의 조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지연회로를 제어하는 지연제어회로;
    상기 일반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일반등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지연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일반등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출력부; 및
    상기 지연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출력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의 OFF신호를 감지하면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일반등이 소등될 수 있도록 시간을 지연하여주는 시간지연부;
    상기 일반등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설정조도 이하일 때만 일반등이 점등될 수 있도록 상기 출력부로 통전제어신호를 보내는 주변조도감지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야용 등기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상기 일반등의 조도를 약하게 하거나 또는 서서히 소등될 수 있도록하는 조도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야용 등기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지연부는 타임릴레이와 타임릴레이의 접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타임릴레이의 접점은 상기 지연제어회로를 제어하며,
    상기 주변조도감지부는 조도센서와 적어도 저항, 콘덴서, IC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조도제어부는 저항과 콘덴서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출력부는 트라이악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야용 등기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릴레이의 접점은 상기 지연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야용 등기구 장치.
  5. 심야에 전등을 꺼도 주변을 식별하여 짧은 거리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잠시 동안 전등의 완전 소등을 지연시키는 심야용 등기구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원;
    일상 활동이나 작업에 필요한 충분한 조도를 갖는 일반등;
    상기 일반등으로 사용 가능하고, 소등 지연등의 역할을 겸하는 심야용 겸용등;
    상기 전원과 상기 일반등 및 상기 심야용 겸용등을 연결하는 일반회로;
    상기 일반회로와 병렬로 설치되어, 상기 전원과 상기 심야용 겸용등을 연결하는 지연회로;
    상기 일반회로의 상태와 주변의 조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일반회로 중 일부 및 상기 지연회로를 제어하는 지연제어회로;
    상기 일반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일반등 및 상기 심야용 겸용등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지연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심야용 겸용등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출력부; 및
    상기 지연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출력부 및 상기 일반회로 중 일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의 OFF신호를 감지하면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심야용 겸용등이 소등될 수 있도록 시간을 지연하여주는 시간지연부;
    상기 일반등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설정조도 이하일 때만 상기 심야용 겸용등이 점등될 수 있도록 상기 출력부로 통전제어신호를 보내는 주변조도감지부;
    상기 스위치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바뀌면 상기 심야용 겸용등과 상기 스위치 사이의 일반회로를 연결하고, ON상태에서 OFF상태로 바뀌면 상기 심야용 겸용등과 상기 스위치 사이의 일반회로를 단속하는 접점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야용 등기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상기 심야용 겸용등의 조도를 약하게 하거나 또는 서서히 소등될 수 있도록 하는 조도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심야용 등기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지연부는 타임릴레이와 타임릴레이의 접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타임릴레이의 접점은 상기 지연제어회로를 제어하며,
    상기 주변조도감지부는 조도센서와 적어도 저항, 콘덴서, IC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접점부는 릴레이와 릴레이 접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릴레이 접점은 상기 스위치와 상기 심야용 겸용등 사이의 상기 일반회로를 제어하며,
    상기 조도제어부는 저항과 콘덴서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출력부는 트라이악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야용 등기구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릴레이의 접점은 상기 지연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야용 등기구장치.
  9. 심야에 전등을 꺼도 주변을 식별하여 짧은 거리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잠시 동안 전등의 완전 소등을 지연시키는 심야용 등기구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원;
    일상 활동이나 작업에 필요한 충분한 조도를 갖는 일반등;
    심야에 사물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정도의 조도를 갖는 심야등;
    상기 전원과 상기 일반등을 연결하는 일반회로;
    상기 일반회로와 별도로 설치되어, 상기 전원과 상기 심야등을 연결하는 지연회로;
    상기 일반회로의 상태와 주변의 조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지연회로를 제어하는 지연제어회로;
    상기 일반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일반등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지연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심야등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출력부; 및
    상기 지연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출력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의 OFF신호를 감지하면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심야등이 소등될 수 있도록 시간을 지연하여 주는 시간지연부;
    상기 일반등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설정조도 이하일 때만 상기 심야등이 점등될 수 있도록 상기 출력부로 통전제어신호를 보내는 주변조도감지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야용 등기구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상기 심야등이 서서히 소등될 수 있도록 하는 조도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심야용 등기구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지연부는 타임릴레이와 타임릴레이의 접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타임릴레이의 접점은 상기 지연제어회로를 제어하며,
    상기 주변조도감지부는 조도센서와 적어도 저항, 콘덴서, IC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조도제어부는 저항과 콘덴서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출력부는 트라이악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야용 등기구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릴레이의 접점은 상기 지연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야용 등기구장치.
KR1020080046155A 2008-05-19 2008-05-19 심야용 등기구 장치 KR100862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155A KR100862395B1 (ko) 2008-05-19 2008-05-19 심야용 등기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155A KR100862395B1 (ko) 2008-05-19 2008-05-19 심야용 등기구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2209 Division 2007-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681A true KR20080073681A (ko) 2008-08-11
KR100862395B1 KR100862395B1 (ko) 2008-10-13

Family

ID=39883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155A KR100862395B1 (ko) 2008-05-19 2008-05-19 심야용 등기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3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784B1 (ko) * 2009-07-14 2011-03-23 (주)대성엘이디 주변부 감응형 엘이디 보안등
KR101112108B1 (ko) * 2009-06-11 2012-04-05 조남선 운전자 시야보호를 위한 지능형 터널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203Y1 (ko) * 2009-04-16 2011-02-14 구공희 시간지연 전등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039Y1 (ko) 2003-11-19 2004-02-14 곽정설 램프의 구동회로
KR20060036777A (ko) * 2004-10-26 2006-05-02 주식회사 필룩스 조명등의 온/오프시 점진적 밝기 제어장치
KR100523406B1 (ko) 2005-01-19 2005-10-24 태원전기산업 (주) 수동스위치 오프시 일정시간 저조도 유지회로
KR100645310B1 (ko) 2006-06-14 2006-11-15 주식회사 유니룩스 스위치 오프시 일정시간 임의 조도 유지회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108B1 (ko) * 2009-06-11 2012-04-05 조남선 운전자 시야보호를 위한 지능형 터널등
KR101023784B1 (ko) * 2009-07-14 2011-03-23 (주)대성엘이디 주변부 감응형 엘이디 보안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2395B1 (ko) 2008-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7620B2 (en) Occupancy sensor with dimmer feature and night light and method of lighting control using the same
CN101601331B (zh) 照明控制器
KR100862395B1 (ko) 심야용 등기구 장치
KR101284347B1 (ko) 엘이디 가로등 자동 제어 시스템
GB2459180A (en) Adjusting light output according to predetermined condition
JP2012155975A (ja) 人感センサ付照明器具
JP2005071873A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器具
KR100778931B1 (ko) 유아, 장애인용 자동조명스위치
JP2000164367A (ja) 照明装置
JP4406826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20080096167A (ko) 야간 작동 스텝라이트 및 스텝라이트를 이용한 조도조절방법
JPH10125475A (ja) 照明制御装置
KR20070081901A (ko) 조명용 절전 제어시스템
KR101664729B1 (ko) 다조도 엘이디 조명 장치
JP2008010332A (ja) 照明システム及び照明点灯方法
CN219499600U (zh) 一种利于节能的公共照明控制电路
KR200449356Y1 (ko) 센서스위치
JP5685299B2 (ja) 人感センサ付照明器具
JP2005242487A (ja) スイッチ器具
JP5246927B2 (ja) リモコン式照明装置
KR20040075494A (ko) 센서등과 비상등 겸용 램프 제어회로
JPH0367492A (ja) 照明灯の自動点灯制御装置
KR20060103624A (ko) 동작감지 기능을 갖는 적외선 스탠드
JP3739832B2 (ja) 点灯スイッチ装置
JP2004355834A (ja) 照明装置及び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