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3526A -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전회피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전회피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3526A
KR20080073526A KR1020070012239A KR20070012239A KR20080073526A KR 20080073526 A KR20080073526 A KR 20080073526A KR 1020070012239 A KR1020070012239 A KR 1020070012239A KR 20070012239 A KR20070012239 A KR 20070012239A KR 20080073526 A KR20080073526 A KR 20080073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image
image forming
leve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철
정현선
양유석
유용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2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3526A/ko
Priority to US11/970,681 priority patent/US20080187337A1/en
Priority to CNA2008100043478A priority patent/CN101241333A/zh
Publication of KR20080073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5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6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potential of the developing electro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62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the copy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25Machine control, e.g. regulating different parts of the machine
    • G03G2215/00029Image density detection
    • G03G2215/00033Image density detection on recording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25Machine control, e.g. regulating different parts of the machine
    • G03G2215/00029Image density detection
    • G03G2215/00067Image density detection on recording medium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전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도포하는 현상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현상장치에 현상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화상의 농도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농도가 허용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상전원의 레벨을 조절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조립공정 상의 편차 및 외부환경에 관계없이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전회피방법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IC DISCHARGE EVASION METHOD THEREOF }
도 1은 화상형성장치에서 현상장치와 감광체 사이의 이격거리 및 기압에 따른 방전개시전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감지패턴화상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감지패턴화상에 따라 감지된 출력전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방전회피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화상형성부 11 : 감광체
12 : 대전롤러 13 : 노광부
14 : 현상장치 15 : 전사롤러
20 : 전원공급부 30 : 감지부
40 : 제어부 50 : 이송벨트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전회피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현상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의 레벨을 조절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전회피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잉크젯 방식과 전자사진 방식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인쇄화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전자사진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LSU (Laser Scanning Unit)에 의한 광주사에 의해 감광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고,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장치가 토너를 현상하며, 전사롤러가 현상된 토너를 기록매체에 전사하여 원하는 인쇄화상을 출력한다.
전자사진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와 현상장치 간의 이격거리가 존재하는 비접촉 방식에 의해 현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비접촉 현상방식에서는 현상장치와 감광체 간의 전위차에 의해 극성을 가지는 토너가 이동한다.
여기서, 현상장치와 감광체 간의 이격거리 및 전위차에 따라 화상의 농도와, 방전여부가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유전매체를 사이에 두고 두 개의 전극봉 사이에 전위차가 존재할 때, 특정 임계값 이상으로 전위차가 유지되면 유전매체의 절연파괴가 이루어져 두 전극봉 사이에 급격한 전류의 흐름인 방전이 발생한다. 방전이 발생하는 경우 토너의 감광체로의 이동이 방해를 받아 인쇄화상에 결함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현상장치와 감광체 사이의 이격거리(D) 및 기압(P)과 방전 개시전압(Vbr)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개시전압은 현상장치와 감광체 사이의 이격거리(D) 및 기압(P)에 비례하며, 식 1에 의해 방전개시전압이 산출된다.
[식 1]
Vbr = 312.5 + 6.2PD
화상형성장치는 조립공정상의 편차 및 화상형성장치 주변의 환경변화와, 화상형성장치의 장기적인 사용으로 인한 마모 등에 의해 현상장치와 감광체 사이의 이격거리 및 전위차가 변화하며, 방전개시전압 역시 이에 따라 변화한다. 그리하여, 종래의 화상형성장치 중 전위센서 등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센서에 의해 전위를 감지하여 현상장치에 인가되는 현상전원의 레벨을 조절할 수 있지만,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하므로 가격경쟁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농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농도에 따라 현상장치에 공급되는 현상전원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전위센서나 거리센서 등 고가의 센서를 구비하지 않아도 조립공정 상의 편차 및 외부환경에 관계없이 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전회피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도 포하는 현상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현상장치에 현상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화상의 농도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농도가 허용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상전원의 레벨을 조절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감지패턴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감지패턴에 대응하는 화상 내에서 토너영역 커버리지 (TAC; Toner Area Coverage)가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너영역 커버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다른 토너영역 커버리지에 대응하는 현상전원의 레벨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벨트 및 상기 감광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감지패턴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상장치에 공급되는 최대현상전원 및 최소현상전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현상전원의 크기를 기설정된 단위량만큼 낮추거나 높일 수 있다.
한편,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도포하는 현상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방전회피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에 전 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부가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형성된 화상의 농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농도가 허용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상장치에 공급되는 현상전원의 레벨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방전회피방법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감지패턴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감지패턴에 대응하는 화상 내에서 토너영역 커버리지 (TAC; Toner Area Coverage)가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현상전원의 레벨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토너영역 커버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다른 토너영역 커버리지에 대응하는 현상전원의 레벨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는,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벨트 및 상기 감광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감지패턴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현상전원의 레벨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현상장치에 공급되는 최대현상전원 및 최소현상전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현상전원의 레벨을 기설정된 단위레벨만큼 낮추거나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화 상형성부(10)와, 전원공급부(20)와, 감지부(30)와, 제어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전자사진 방식의 컬러 프린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화상형성부(10)는 감광체(11)와, 감광체(12)를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12)와, 대전된 감광체(11)에 인쇄데이터에 따라 대응하는 광을 감광체(11)에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부(13)와, 현상제를 포함하여 감광체(11)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도포하기 위한 현상장치(14)와, 대전된 감광체(11)에 현상된 토너를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전사롤러(15)를 포함한다.
이하, 현상장치(14)에 대해 현상롤러를 일실시예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현상장치(14)는 벨트타입의 현상장치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원공급부(20)는 감광체(11)의 현상을 위해 현상장치(14)에 현상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부(20)는 AC 전원과 DC 전원을 중첩하여 현상장치(14)에 현상전원을 공급함으로써, 현상전원의 최대최소값 및 듀티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감지부(30)는 화상형성부(10)에 의해 형성된 화상의 현상제의 양을 측정하여 화상의 농도를 감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부(30)는 농도센서 (Color Toner Density Sensor; CTD Sensor)로 구현될 수 있으며,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벨트(50) 또는 감광체(11)에 마련될 수 있다.
감지부(30)는 소정의 광을 이송벨트 또는 감광체(11)에 조사하는 광원(미도시) 및 이송벨트(50) 또는 감광체(11)로부터 반사되는 광량을 측정하는 수광부(미 도시)를 포함하여, 반사되는 광량에 따라 출력신호의 레벨을 가변시킴으로써 화상의 농도를 감지한다.
제어부(40)는 감지부(30)에 의해 감지된 농도가 허용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 현상장치(14)에 공급되는 현상전원의 레벨을 조절하도록 전원공급부(20)를 제어한다.
제어부(40)는 현상제의 극성이 음인 경우 현상장치(14)에 인가되는 전원의 레벨을 Vmin, Vmin-ΔV, Vmin-2ΔV, ..., Vmin-5ΔV와 같은 단계별로 조절한다. 여기서, Vmin은 현상장치(14)에 공급될 수 있는 최소전원레벨을 의미하며, 제어부(40)는 현상제의 극성이 양인 경우에는 현상장치(14)에 인가되는 현상전원의 레벨을 현상장치(14)에 공급될 수 있는 최대전원레벨인 Vmax로부터 단계별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어부(40)는 현상장치(14)에 인가되는 현상전원레벨의 평균값인 Vmean을 기준으로 현상전원의 레벨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하, 표 1 및 표 2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40)가 현상장치(14)에 인가되는 전원의 레벨을 조절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표 1]
Vmin Vmin-ΔV Vmin-2ΔV Vmin-3ΔV Vmin-4ΔV Vmin-5ΔV
100% Coverage 방전유무 미발생 미발생 미발생 미발생 발생 발생
전위편차 <0.4V <0.4V <0.4V <0.4V <0.4V <0.4V
60% Coverage 방전유무 미발생 미발생 미발생 미발생 미발생 발생
전위편차 <0.4V <0.4V <0.4V <0.4V <0.4V 0.76V
표 1은 감지패턴이 CMYK 중 Black에 대응하는 화상에 해당하는 경우,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패턴에 대응하는 화상의 토너영역 커버리지 (TAC; Toner Area Coverage)를 각각 100%와, 60%로 하여 현상장치(14)에 인가되는 전원의 레벨을 조 절하는 경우 방전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낸 표이다.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토너영역 커버리지가 100%인 경우에는 현상전원의 레벨이 Vmin-4ΔV와, Vmin-5ΔV인 경우에 방전이 발생하였고, 토너영역 커버리지가 60%인 경우에는 현상전원의 레벨이 Vmin-5ΔV인 경우 방전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Vmin은 -1300V이며, ΔV는 50V로 출력전압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도 3a는 블랙에 대응하는 감지패턴화상을 현상장치(14)에 공급되는 현상전원의 레벨에 따라 토너영역 커버리지별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b는 감지부(30)가 블랙에 대응하는 감지패턴화상을 감지하는 경우, 현상장치(14)에 공급되는 현상전원의 레벨이 Vmin, Vmin-ΔV, Vmin-2ΔV, ..., Vmin-5ΔV로 조절됨에 따라 감지부(30)에 출력되는 출력전압의 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영역 커버리지가 60%이고 현상전원의 레벨이 Vmin-5ΔV인 경우, 방전에 의해 감지패턴화상의 일부구간에 화상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장치(14)에 공급되는 현상전원의 레벨이 Vmin-2ΔV와, Vmin-3ΔV와, Vmin-4ΔV 인 경우에는 커버리지가 60%인 구간의 출력전압의 편차가 0.4V 이내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현상장치(14)에 공급되는 현상전원의 레벨이 Vmin-5ΔV 인 경우에는 커버리지가 60%인 구간의 출력전압의 편차가 0.76V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제어부(40)는 출력전압의 편차가 0.4V를 넘는 경우 방전에 의해 토너의 이동이 방해를 받은 것으로 판단하여, 현상장치(14)에 인가되는 현상전원의 레벨을 조절함으로써 방전을 회피할 수 있다.
여기서, 토너영역 커버리지가 100%인 경우에는 감지부(30)로부터의 출력전압의 값이 포화되어 방전이 발생하는 영역과 방전이 발생하지 않는 영역의 농도의 차이를 인식하지 못하므로, 제어부(40)는 토너영역 커버리지의 값을 단계별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며 50% 이상의 커버리지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2]
Vmin Vmin-ΔV Vmin-2ΔV Vmin-3ΔV Vmin-4ΔV Vmin-5ΔV
100% Coverage 방전유무 미발생 미발생 미발생 미발생 발생 발생
전위편차 <0.4V <0.4V <0.4V <0.4V <0.4V <0.4V
60% Coverage 방전유무 미발생 미발생 미발생 미발생 발생 발생
전위편차 <0.4V <0.4V <0.4V <0.4V 0.6V 1.62V
한편, 표 2는 감지패턴이 CMYK 중 시안(Cyan)과, 마젠타(Magenta)와, 옐로우(Yellow)의 색상에 대응하는 화상인 경우,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패턴에 대응하는 화상의 토너영역 커버리지 (TAC; Toner Area Coverage)를 각각 100%와, 60%로 하여 현상장치(14)에 인가되는 전원의 레벨을 조절하는 경우 방전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낸 표이다.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토너영역 커버리지가 100%와 60%인 경우 모두 현상전원의 레벨이 Vmin-4ΔV와, Vmin-5ΔV인 경우에 방전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도 4a는 CMYK 중 시안과, 마젠타와, 옐로우에 대응하는 감지패턴화상을 현상장치(14)에 공급되는 현상전원의 레벨에 따라 토너영역 커버리지 별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b는 감지부(30)가 시안과, 마젠타와, 옐로우에 대응하는 감지패턴화상을 감지하는 경우, 현상장치(14)에 공급되는 현상전원의 레벨이 Vmin, Vmin-ΔV, Vmin-2ΔV, ..., Vmin-5ΔV로 조절됨에 따라 감지부(30)에 의해 감지되는 출력전압의 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출력전압의 패턴은 블랙 화상에 대응하는 도 3a의 출력전압의 패턴과 현상전원의 축을 중심으로 대칭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블랙 화상의 경우 감지부(30)에서 조사된 광이 정반사되지만, 컬러 화상의 경우 난반사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장치(14)에 공급되는 현상전원의 레벨이 Vmin-2ΔV와, Vmin-3ΔV인 경우에는 커버리지가 60%인 구간의 출력전압의 편차가 0.4V 이내이다. 그런데, 현상장치(14)에 공급되는 현상전원의 레벨이 Vmin-4ΔV 인 경우에는 커버리지가 60%인 구간의 출력전압의 편차가 0.6V에 해당하고, 현상전원의 레벨이 Vmin-5ΔV인 경우에는 커버리지 60%인 구간의 출력전압의 편차가 1.62V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제어부(40)는 출력전압의 편차가 0.4V를 넘는 경우 방전에 의해 토너의 이동이 방해를 받은 것으로 판단하여, 현상장치(14)에 인가되는 현상전원의 레벨을 조절함으로써 방전을 회피할 수 있다.
이상, 제어부(40)가 현상장치(14)에 공급되는 현상전원의 레벨을 Vmax를 고정한 상태에서 Vmin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반대로 Vmin을 고정한 상태에서 Vmax를 변경할 수도 있으며, Vmean을 기준으로 Vmin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커버리지가 100%인 감지패턴에서 방전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현상전원의 레벨이 커버리지가 60%인 감지패턴에서 방전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현상전원의 레벨보다 낮기 때문에, 제어부(40)는 커버리지가 60%인 감지패턴에서 방전이 발생 하기 시작하는 현상전원의 레벨을 기준으로 커버리지가 100%인 감지패턴에서 방전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현상전원의 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리지가 60%인 경우 -1550V에서 방전이 발생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40)는 커버리지가 100%인 패턴의 화상형성을 위해 현상장치(14)에 인가되는 현상전원의 최소값이 -1550V보다 ΔV만큼 낮은 -1600V가 되도록 현상전원의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제어부(40)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리지를 기준으로 다른 커버리지의 감지패턴에서 방전이 개시되는 현상전원의 레벨을 파악하여, 현상장치(14)에 공급되는 현상전원의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는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벨트(50) 뿐만 아니라 감광체(11)에 화상을 형성하고, 감광체(11)에 형성된 화상의 농도를 감지하여 현상장치(14)에 공급되는 현상전원의 레벨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방전회피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40)는 현상장치(14)에 전원을 공급하고(S10), 단계 S10에서 공급된 전원에 따라 화상형성부(10)가 화상을 형성하도록 화상형성부(10)를 제어한다(S20). 여기서, 단계 S20에서 형성되는 화상은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감지패턴에 대응하는 화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감지패턴에 대응하는 화상 내에서 토너영역 커버리지 (TAC; Toner Area Coverage)는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벨트(50) 뿐만 아니라 감광체(11)에 화상이 형성 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어부(40)는 단계 S20에서 형성된 화상의 농도를 감지부(30)를 통해 감지한다(S30). 그리하여, 제어부(40)는 단계 S30에서 감지된 농도가 허용범위 내에 속하는지 판단하고(S40), 단계 S40에서의 판단 결과 감지된 농도가 허용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 현상장치(14)에 공급되는 현상전원의 레벨을 방전이 개시되는 방전개시전원 이하가 되도록 조절한다(S50).
여기서, 제어부(40)는 토너영역 커버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다른 토너영역 커버리지에 대응하는 현상전원의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전위센서나 거리센서 등 고가의 센서를 구비하지 않아도 조립공정 상의 편차 및 외부환경에 관계없이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전회피방법에 의하면 농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농도에 따라 현상장치에 공급되는 현상전원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전위센서나 거리센서 등 고가의 센서를 구비하지 않아도 조립공정 상의 편차 및 외부환경에 관계없이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2)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도포하는 현상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현상장치에 현상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화상의 농도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농도가 허용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상전원의 레벨을 조절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감지패턴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패턴에 대응하는 화상 내에서 토너영역 커버리지 (TAC; Toner Area Coverage)가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너영역 커버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다른 토너영역 커버리지에 대응하는 현상전원의 레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벨트 및 상기 감광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감지패턴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상장치에 공급되는 최대현상전원 및 최소현상전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현상전원의 크기를 기설정된 단위량만큼 낮추거나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도포하는 현상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방전회피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부가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형성된 화상의 농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농도가 허용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상장치에 공급되는 현상전원의 레벨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방전회피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감지패턴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방전회피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패턴에 대응하는 화상 내에서 토너영역 커버리지 (TAC; Toner Area Coverage)가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방전회피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전원의 레벨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토너영역 커버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다른 토너영역 커버리지에 대응하는 현상전원의 레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방전회피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는,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벨트 및 상기 감광 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감지패턴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방전회피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전원의 레벨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현상장치에 공급되는 최대현상전원 및 최소현상전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현상전원의 레벨을 기설정된 단위레벨만큼 낮추거나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방전회피방법.
KR1020070012239A 2007-02-06 2007-02-06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전회피방법 KR2008007352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239A KR20080073526A (ko) 2007-02-06 2007-02-06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전회피방법
US11/970,681 US20080187337A1 (en) 2007-02-06 2008-01-08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ic discharge reduction method thereof
CNA2008100043478A CN101241333A (zh) 2007-02-06 2008-01-22 成像装置及其放电降低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239A KR20080073526A (ko) 2007-02-06 2007-02-06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전회피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526A true KR20080073526A (ko) 2008-08-11

Family

ID=39676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239A KR20080073526A (ko) 2007-02-06 2007-02-06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전회피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187337A1 (ko)
KR (1) KR20080073526A (ko)
CN (1) CN1012413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4222B2 (ja) * 2008-03-25 2012-08-2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1197421A (ja) * 2010-03-19 2011-10-06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6252267B2 (ja) * 2014-03-14 2017-12-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35807B2 (ja) * 2014-11-25 2018-12-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
JP6332116B2 (ja) * 2015-04-07 2018-05-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180077798A (ko) 2016-12-29 2018-07-09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CN107742223B (zh) * 2017-05-04 2020-05-15 国家电网公司 一种考虑电网特性的省级电网输配电定价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4685A (en) * 1986-10-07 1990-01-16 Konishiroku Photo Industry Co., Ltd. Multicolor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JP3310685B2 (ja) * 1991-03-20 2002-08-0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5351107A (en) * 1992-09-24 1994-09-27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having image density correcting function
JP3514398B2 (ja) * 1994-12-07 2004-03-3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6198886B1 (en) * 1999-08-12 2001-03-06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comprising process control for scavengeless development in a xerographic printer
JP3851057B2 (ja) * 2000-04-21 2006-11-2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909858B2 (en) * 2002-08-09 2005-06-21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toner-adhesion calculation method and data processing method
JP4110886B2 (ja) * 2002-08-28 2008-07-02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379350B2 (ja) * 2005-02-21 2009-12-09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653549B2 (ja) * 2005-04-22 2011-03-1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41333A (zh) 2008-08-13
US20080187337A1 (en) 200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000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40372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nsity adjusting method thereof
KR20080073526A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전회피방법
CN107664934B (zh) 图像形成装置
US1174776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325468A (ja) 画像制御装置
US20070172244A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transferring properties
JP4533609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の階調濃度カーブ補正方法
JP4274262B2 (ja) 画像濃度安定化制御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US950728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detects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 correction
JP7383458B2 (ja) 画像形成装置
US1065658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ling charging bias and transfer bias
KR100406994B1 (ko) 화상의 농도 보상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JP484392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印加電圧設定方法
JP4434799B2 (ja) 画像形成装置
US11835910B2 (en) Power source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switch a target voltage of an output voltage output from a secondary side of a transformer
US2024006136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725046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3058347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かぶりマージン決定方法
JP2024027750A (ja) 画像形成装置
JP2020064125A (ja) 画像形成装置
JP2020118943A (ja) 画像形成装置
JPH03256067A (ja) 電子写真装置
JPH03215876A (ja) 電子写真装置の画像濃度自動調整装置
JP2008242250A (ja) 画像形成装置,転写効率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