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3211A -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3211A
KR20080073211A KR1020080006775A KR20080006775A KR20080073211A KR 20080073211 A KR20080073211 A KR 20080073211A KR 1020080006775 A KR1020080006775 A KR 1020080006775A KR 20080006775 A KR20080006775 A KR 20080006775A KR 20080073211 A KR20080073211 A KR 20080073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able
extension
file
data file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8438B1 (ko
Inventor
박성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0810095119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1261572B/zh
Priority to US12/025,262 priority patent/US9007620B2/en
Publication of KR20080073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438B1/ko
Priority to US14/645,787 priority patent/US2015018608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인쇄할 데이터 파일의 확장자가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 가능한 확장자로 등록되어 있지 않더라도 데이터 파일의 헤더 내용을 분석하여 데이터 파일이 인쇄 가능한 경우, 해당 확장자를 화상형성장치에 인쇄 가능한 확장자로 등록시킴으로써 이 후 동일한 확장자에 대해서는 별도의 헤더 내용 분석과정 없이도 인쇄 가능한 확장자로 판단할 수 있어 인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매체가 연결되는 경우,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 중에서 인쇄 가능한 확장자로 등록되지 않는 확장자가 있으면 그 데이터 파일이 인쇄 가능한지를 판단하여 인쇄 가능하면 그 데이터 파일의 확장자를 인쇄 가능한 확장자로 등록시키고, 화상형성장치에 등록된 확장자를 가지는 데이터 파일만을 표시함으로써 인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인쇄가 가능하지 않는 데이터 파일을 선택할 수 없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인쇄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메모리부 내에 테이블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테이블에 jp 확장자를 추가 등록한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기능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저장매체 20 : 화상형성장치
21 : 인터페이스부 22 : 키입력부
23 : 표시부 24 : 인쇄부
25 : 메모리부 26 : 제어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의 파일의 확장자가 인쇄 가능한 확장자인 경우 데이터 파일을 인쇄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트 프린터 및 복합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정보처리장치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스틱과 같은 외부 메모리장치로부터 인쇄데이터를 전송받아 인쇄용지를 인쇄하는 장치이다.
사용자는 컴퓨터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로드하여 텍스트 및 이미지를 포함하는 파일을 작성하거나 로드하여 인쇄데이터를 생성하고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여 인쇄용지에 인쇄한다.
응용 프로그램 상에서 파일을 최초로 생성하거나 저장할 때 사용자는 BMP, PDF 또는 TIFF 등 파일의 포맷을 지정하여 파일을 생성하거나 저장하고, 해당 파일을 인쇄하기 위해 응용 프로그램 상에서 인쇄명령을 입력하면 프린터 드라이버에서 인쇄데이터를 생성하여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한다.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정보처리장치 또는 외부 메모리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인쇄할 데이터 파일이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 가능한 파일인 경우 인쇄한다. 즉, 인쇄할 데이터 파일의 확장자가 화상형성장치에 인쇄 가능한 확장자로 등록되어 있으면, 인쇄할 데이터 파일을 인쇄 가능한 파일로 판단한다. 또한, 인쇄할 데이터 파일의 확장자가 화상형성장치에 인쇄 가능한 확장자로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별도로 인쇄할 데이터 파일의 헤더 내용을 분석하여 인쇄 가능한 파일인지를 판단한다.
하지만, 종래에는 인쇄할 데이터 파일의 확장자가 화상형성장치에 등록된 확장자와 다를 때마다 매번 데이터 파일의 헤더 내용을 분석하여 인쇄할 데이터 파일이 인쇄 가능한 파일인지 아닌지를 판단해야 하기 때문에 인쇄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파일에 대한 인쇄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시간을 줄여 인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에 대한 인쇄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시간을 줄임과 함께 인쇄 가능한 데이터 파일만을 표시시켜 인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을 물론 사용자 편의성 및 인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데이터 파일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파일이 인쇄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인쇄 가능한 경우, 상기 데이터 파일의 확장자를 인쇄 가능한 확장자로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복수의 데이터 파일이 저장된 저장매체가 연결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파일 중에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등록되지 않은 확장자를 가지는 데이터 파일이 있으면 상기 데이터 파일이 인쇄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파일이 인쇄 가능하면 상기 데이터 파일의 확장자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등록시키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등록된 확장자를 가지는 데이터 파일만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인쇄 가능한 확장자가 저장된 메모리부와, 인쇄할 데이터 파일이 인쇄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인쇄 가능한 경우 상기 데이터 파일의 확장자를 상기 메모리부에 인쇄 가능한 확장자로 등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인쇄 가능한 확장자가 저장된 메모리부와, 데이터 파일을 입력받는 키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데이터 파일의 확장자가 인쇄 가능한 확장자인지를 판단하고, 인쇄 가능한 확장자가 아닌 경우 상기 데이터 파일의 헤더 내용을 분석하여 인쇄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인쇄 가능한 경우 상기 데이터 파일의 확장자를 상기 메모리부에 인쇄 가능한 확장자로 등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20)에는 저장매체(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저장매체(10)에는 사진이나 그림들로 이루어진 이미지파일 및 문서로 이루어 진 텍스트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다.
저장매체(10)가 연결되면, 화상형성장치(20)는 저장매체(10)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을 인쇄용지에 출력한다.
저장매체(10)와 화상형성장치(20)는 일예로, USB케이블을 이용해 연결된다.
화상형성장치(20)는 인터페이스부(21), 키입력부(22), 표시부(23), 인쇄부(24), 메모리부(25), 및 제어부(26)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21)는 저장매체(10)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마련되며, 저장매체(10)와 화상형성장치(20)사이의 정보 교환을 위한 통신 및 파일들의 전송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매체(10)가 연결되면, 인터페이스부(21)는 저장매체(10)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에 대한 정보를 후술하는 제어부(26)에 전송해준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21)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이 출력되도록 제어부(26)로 전송해 준다.
키입력부(22)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다. 특히 키입력부(22)는 사용자로부터 인쇄할 데이터 파일을 입력받는다.
표시부(23)는 LCD 또는 LED가 이루어지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특히 표시부(23)는 저장매체(10)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메모리부(25)에는 화상형성장치(20)에서 인쇄 가능한 포맷종류와 확장자가 미리 등록 저장되어 있다.
인쇄부(24)는 제어부(26)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매체(10)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 중 인쇄 가능한 파일을 인쇄용지에 인쇄한다.
제어부(26)는 상술한 화상형성장치(2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저장매체(10)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인쇄하도록 제어한다.
상기한 제어부(26)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동을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26)는 인터페이스부(21)에 저장매체(10)가 연결되면, 저장매체(10)의 연결 여부를 감지한다.
저장매체(10)의 연결이 감지되면, 제어부(26)는 인터페이스부(21)를 제어하여 저장매체(10)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파일들을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26)는 수신된 모든 파일들을 표시부(23)에 표시시킨다.
사용자가 표시부(23)에 표시된 데이터 파일들 중 인쇄하고자 하는 데이터 파일을 키입력부(22)를 통해 선택하면, 제어부(26)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 파일의 파일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이 인쇄 가능한 파일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파일정보로는 데이터 파일의 확장자 및 헤더 내용 등이 있다. 확장자는 파일의 포맷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파일명의 마침표 뒤에 붙이는 문자로써, 통상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 가능한 파일의 확장자로는 *.jpg, *.hwp, *.HLT, *.HML, *.TXT 등이 있다. 헤더 내용은 데이터 파일의 선두에 놓인 문자 군으로 파일의 내용, 성격 등의 정보를 담고 있다. 즉, 제어부(26)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확장자가 메모리부(25)에 저장된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 가능한 확장자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을 인쇄 가능한 파일로 판단하고, 일 치하지 않으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헤더 내용을 분석하여 인쇄 가능한 파일인지를 재판단한다. 만약, 헤더 내용을 분석하여 인쇄 불가능한 파일로 판단되면, 파일을 인쇄할 수 없음을 표시부(23)를 통해 표시한다. 한편, 헤더 내용을 분석하여 인쇄 가능한 파일로 판단되면, 해당 데이터 파일의 확장자를 메모리부(25)에 인쇄 가능한 확장자로 등록 저장시켜 이 후 해당 확장자를 갖는 데이터 파일에 대해서는 별도의 헤더 내용 분석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도 인쇄 가능한 파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일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부(25)에 인쇄 가능한 확장자가 JPEG 포맷에 대해서 jpg, jpe, jpeg 등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인쇄하기 위해 선택한 데이터 파일이 XXX.jp 인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 파일의 확장자 *.jp는 메모리부(25)에 인쇄 가능한 확장자로 등록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XX.jp 파일의 헤더 내용 분석을 통하여 XXX.jp 파일이 인쇄 가능한 파일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헤더 내용 분석결과 XXX.jp 파일의 포맷 종류가 메모리부(25)에 등록 저장된 JPEG 포맷이어서 인쇄 가능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jp 확장자를 JPEG 포맷에 대하여 인쇄 가능한 확장자로 등록시킨다. 이에 따라, 이 후 *.jp 확장자를 가진 파일에 대해서는 별도의 헤더 내용 분석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도 인쇄 가능한 파일로 판단할 수 있어 인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때, 메모리부(25)에 등록 저장된 인쇄 가능한 확장자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 삭제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기한 제어부의 작동을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살펴보면, 제어부(26)는 단계 S100에서 저장매체(10)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00에서의 판단결과 저장매체(10)가 연결되었으면, 제어부(26)는 인터페이스부(21)를 제어하여 저장매체(10)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에 대한 정보를 읽어 들여 단계 S101에서 파일 리스트를 표시부(23)에 표시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키입력부(22)를 통해 인쇄하길 원하는 파일을 선택한다. 이때, 복수의 파일도 선택 가능하다.
그런 후 제어부(26)는 단계 S102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이 있으면, 단계 S103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확장자가 메모리부(25)에 저장된 인쇄 가능한 확장자를 비교하고, 단계 S104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확장자가 인쇄 가능한 확장자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확장자가 인쇄 가능한 확장자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단계 S104에서의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확장자가 메모리부(25)에 등록되어 있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확장자 인쇄 가능한 확장자이면, 단계 S105와 단계 S106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을 인쇄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한 후 인쇄부(24)를 통해 인쇄용지에 인쇄한다.
한편, 단계 S104에서의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확장자가 메모리부(25)에 인쇄 가능한 확장자로 등록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확장자가 인쇄 가능한 확장자가 아니면, 단계 S107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헤더정보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단계 S108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이 인쇄 가능한 파일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단계 S108에서의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이 인쇄 가능한 파일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10에서 표시부(23)를 통해 인쇄불가를 표시시킨다. 한편, 단계 S108에서의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이 인쇄 가능한 파일로 판단되면, 단계 S109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확장자를 메모리부(25)에 인쇄 가능한 확장자로 등록시킨다. 이에 따라, 이후에 해당 확장자를 갖는 데이터 파일에 대해서는 별도의 헤더정보 분석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도 인쇄 가능한 파일로 판단할 수 있어 인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단계 S109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확장자를 메모리부(25)에 인쇄 가능한 확장자로 등록시킨 후 단계 S105와 단계 S106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을 인쇄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한 후 인쇄부(24)를 통해 인쇄용지에 인쇄한다.
한편, 상기한 제어부(26)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작동을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26)는 단계 S200에서 저장매체(10)의 연결을 감지하여 저장매체(10)의 연결여부를 판단한다.
저장매체(10)가 연결되었으면, 제어부(26)는 인터페이스부(21)를 제어하여 저장매체(10)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에 대한 정보를 읽어 들여 단계 S201에서 저장매체(10)에 저장된 파일의 확장자와 메모리부(25)에 저장된 인쇄 가능한 확장자를 비교하고, 단계 S202에서 저장매체(10)에 저장된 파일의 확장자가 인쇄 가능한 확장자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저장매체(10)가 저장된 파일의 확장자가 인쇄 가능한 확장자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단계 S202에서의 판단결과 저장매체(10)에 저장된 파일의 확장자가 메모리부(25)에 등록되어 있어 저장매체(10)에 저장된 파일의 확장자가 인쇄 가능한 확장자이면, 단계 S203에서 해당 파일에 대한 표시를 허용한다.
한편, 단계 S202D에서의 판단결과 저장매체(10)에 저장된 파일의 확장자가 메모리부(25)에 등록되어 있지 않아 저장매체(10)에 저장된 파일의 확장자가 인쇄 가능한 확장자가 아니면, 단계 S204에서 저장매체(10)에 저장된 파일의 헤더정보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단계 S205에서 저장매체(10)에 저장된 파일이 인쇄 가능한 파일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단계 S205에서의 판단결과 저장매체(10)에 저장된 파일이 인쇄 가능한 파일이 아니면, 단계 S207에서 해당 파일에 대한 표시를 금지시킨다. 한편, 단계 S205에서의 판단결과 저장매체(10)에 저장된 파일이 인쇄 가능한 파일이면, 단계 S206에서 해당 파일의 확장자를 메모리부(25)에 인쇄 가능한 확장자로 등록시킨다. 그리고, 단계 S203에서 해당 파일에 대한 표시를 허용한다. 이에 따라, 이후에 해당 확장자를 갖는 데이터 파일에 대해서는 별도의 헤더정보 분석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도 인쇄 가능한 파일로 판단할 수 있어 표시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후의 인쇄시 해당 확장자를 가지는 데이터 파일에 대해서는 별도의 헤더분석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인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런 후 단계 S208에서 상기한 제어를 수행한 데이터 파일이 마지막 파일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마지막 파일이 아니었으면, 단계 S201로 리턴하여 이하의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마지막 파일이었으면, 단계 S209에서 상기한 표시 허용된 파일리스트를 표시부(23)를 통해 표시한다. 이때, 확장자에 따른 데이터 파일의 군별 로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jpg, bmp, tiff 등의 확장자별로 데이터 파일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인쇄 가능한 확장자임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인쇄 가능한 확장자임을 나타내는 특정 표식을 데이터 파일에 포함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인쇄 가능한 확장자를 가진 데이터 파일들만을 순차적 또는 특정 표식에 대한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순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확장자 정보를 가진 데이터 파일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
표시 허용된 파일리스트가 표시 후 단계 S210에서 표시된 파일리스트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인쇄할 파일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단계 S211에서 인쇄할 파일이 선택되었으면, 단계 S211에서 인쇄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한 후 단계 S212에서 인쇄부(24)를 통해 인쇄용지에 인쇄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할 데이터 파일의 확장자가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 가능한 확장자로 등록되어 있지 않더라도 데이터 파일의 헤더 내용을 분석하여 데이터 파일이 인쇄 가능한 경우, 해당 확장자를 화상형성장치에 인쇄 가능한 확장자로 등록시킴으로써 이 후 동일한 확장자에 대해서는 별도의 헤더 내용 분석과정 없이도 인쇄 가능한 확장자로 판단할 수 있어 인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데이터 파일이 저장된 저장매체가 연결되는 경우, 데이터 파일 중에서 화상형성장치에 등록되지 않은 확장자를 가지는 데이터 파일이 있으면 그 데이터 파일이 인쇄 가능한지 판단하고, 데이터 파일이 인쇄 가능하면 데이터 파일의 확장자를 화상형성장치에 등록시키고, 화상형성장치에 등록된 확장자를 가지는 데이터 파일만을 표시함으로써 인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인쇄가 가능하지 않는 데이터 파일을 선택할 수 없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인쇄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데이터 파일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파일이 인쇄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인쇄 가능한 경우, 상기 데이터 파일의 확장자를 인쇄 가능한 확장자로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데이터 파일의 확장자 및 상기 데이터 파일의 헤더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단계는, 상기 데이터 파일의 헤더 내용을 분석하여 상기 데이터 파일이 인쇄 가능한 경우, 상기 데이터 파일의 확장자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파일의 확장자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확장자 정보는 인쇄 가능 또는 인쇄 불가능한 확장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확장자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확장자 정보를 편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는, 확장자 정보에 따른 데이터 파일의 군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는, 인쇄 가능한 확장자임을 나타내는 특정 표식을 포함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는, 인쇄 가능한 확장자를 가진 데이터 파일들만을 순차적 또는 상기 특정 표식에 대한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순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확장자 정보를 가진 데이터 파일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단계 후 상기 데이터 파일을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단계는, 상기 데이터 파일이 인쇄 가능한 경우, 인쇄 가능한 확장자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 파일이 인쇄 가능하지만 인쇄 가능한 확장자로 등록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 파일의 확장자를 인쇄 가능한 확장자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4. 복수의 데이터 파일이 저장된 저장매체가 연결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파일 중에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등록되지 않은 확장자를 가지는 데이터 파일이 있으면 상기 데이터 파일이 인쇄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파일이 인쇄 가능하면 상기 데이터 파일의 확장자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등록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등록된 확장자를 가지는 데이터 파일만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5. 인쇄 가능한 확장자가 저장된 메모리부; 및
    인쇄할 데이터 파일이 인쇄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인쇄 가능한 경우 상기 데이터 파일의 확장자를 상기 메모리부에 인쇄 가능한 확장자로 등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파일의 확장자가 인쇄 가능한 확장자인지를 판단하고, 인쇄 가능한 확장자가 아니면, 상기 데이터 파일의 헤더 내용을 분석하여 인쇄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인쇄 가능한 경우, 상기 데이터 파일의 확장자를 상기 메모리부에 인쇄 가능한 확장자로 등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인쇄 가능한 확장자를 등록, 삭제 또는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인쇄 가능한 확장자가 저장된 메모리부;
    데이터 파일을 입력받는 키입력부; 및
    상기 입력된 데이터 파일의 확장자가 인쇄 가능한 확장자인지를 판단하고, 인쇄 가능한 확장자가 아닌 경우 상기 데이터 파일의 헤더 내용을 분석하여 인쇄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인쇄 가능한 경우 상기 데이터 파일의 확장자를 상기 메모리부에 인쇄 가능한 확장자로 등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인쇄 가능한 확장자를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등록, 삭제 또는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파일이 저장된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응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80006775A 2007-02-05 2008-01-22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58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8100951196A CN101261572B (zh) 2007-02-05 2008-02-04 成像装置及控制其的方法
US12/025,262 US9007620B2 (en) 2007-02-05 2008-02-04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4/645,787 US20150186086A1 (en) 2007-02-05 2015-03-12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858 2007-02-05
KR20070011858 2007-0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211A true KR20080073211A (ko) 2008-08-08
KR101258438B1 KR101258438B1 (ko) 2013-05-02

Family

ID=39883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775A KR101258438B1 (ko) 2007-02-05 2008-01-22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58438B1 (ko)
CN (1) CN101261572B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60819B (en) * 1996-10-16 1999-06-11 Canon Kk File management system of image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61572A (zh) 2008-09-10
KR101258438B1 (ko) 2013-05-02
CN101261572B (zh)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9317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executing print processing using hot folder
US740916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JP2006281663A (ja) 画像処理パラメータ値の設定方法
US20120224190A1 (en) Data Generating Apparatus, and Print Apparatus
US792915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74983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2015018608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090020980A (ko) 단말장치, 화상형성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과인쇄 방법
JP2009187553A (ja) Pdf文書のテキストのみのコンテンツを印刷するための方法
KR100657324B1 (ko) XHTML-Print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형성방법 및시스템
JP2016063400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5077948B2 (ja) ネットワークプリンタ
KR101258438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9049566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8123471A (ja) 印刷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7267373A (ja) データ生成装置及び印刷装置
US20050280855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KR100346219B1 (ko) 인쇄 페이지 표시방법
JP2005297360A (ja) 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用紙サイズ指定方法
KR100312719B1 (ko) 프린터의출력물분류방법
JP200613081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37473A (ja) 印刷装置
JP2008048143A (ja)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5517602B2 (ja) ファイル管理装置、ファイル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618447B2 (ja) プリンタおよびプリンタの印刷条件設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