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3189A - 촬영렌즈조출장치 - Google Patents

촬영렌즈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3189A
KR20080073189A KR1020070062992A KR20070062992A KR20080073189A KR 20080073189 A KR20080073189 A KR 20080073189A KR 1020070062992 A KR1020070062992 A KR 1020070062992A KR 20070062992 A KR20070062992 A KR 20070062992A KR 20080073189 A KR20080073189 A KR 20080073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lens
photographing
lens group
inclined cam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1086B1 (ko
Inventor
마사키 쓰치야
Original Assignee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3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1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adapted to interchange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절환레버의 회전시에 촬영렌즈군의 광축의 방향이 바뀌지 않는 촬영렌즈조출장치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촬영센서소자(1)를 탑재한 회로기판(3), 대좌(6), 절환레버(7)를 구비한 회전통체(8), 내주면에 너트(10)를 마련한 매크로코어(11), 촬영렌즈군(12)을 내장해서 외주에 너트(10)에 나사결합 하는 볼트(13)를 가지는 렌즈홀더(14), 웨이브와셔(15), 개구부(16)를 가지는 커버(17)를 포개고, 커버(17)를 단단히 죄어 회로기판(3)에 고정한다. 대좌(6) 위로 가이드통부(21)를 돌설한다. 가이드통부(21)의 외주에 절환레버(7)가 마련된 회전통체(8)를 회전가능하게 끼울 수 있다. 매크로코어(11)의 밑면에 가이드통부(21)의 선단부를 끼울 수 있는 환상홈(23)을 마련한다. 가이드통부(21)의 선단부에 매크로코어(11)의 환상홈(23)을 접동 하도록 끼울 수 있다. 회전통체(8)의 윗면에 높이가 둘레방향에 따라 서서히 바뀌는 복수의 경사캠면(22)을 준비한다. 매크로코어(11)의 밑면에 각 경사캠면(22)에 당접하는 돌기(24)를 각각 마련한다.
촬영렌즈조출장치, 절환레버, 광축

Description

촬영렌즈조출장치{Apparatus for moving a taking le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렌즈조출장치의 하나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촬영렌즈조출장치의 조립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촬영렌즈조출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촬영센서소자 2 : 축심
3 : 회로기판 4 : 적외선필터
5 : 창 6 : 대좌
7 : 절환레버 8 : 회전통체
9 : 밀봉링 10 : 너트
11 : 매크로코어 12 : 촬영렌즈군
13 : 볼트 14 : 렌즈홀더
15 : 웨이브와셔 16 : 개구부
17 : 덮개 18 : 와이어본딩
19 : 코너브라켓 19a : 오목부
20 : 후크돌기 21 : 가이드통부
22 : 경사캠면 23 : 환상홈
24 : 돌기 25 : 밀봉부
26 : 회전방지돌기 27 : 오목부
28 : 후크루프
본 발명은 광학계 기기에 설치할 수 있는 촬영렌즈군을, 촬영면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촬영렌즈조출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통상촬영모드와 매크로촬영모드와의 절환기구를 구비한 촬영렌즈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 종류의 촬영렌즈조출장치에서는 통상 촬영모드와 매크로 촬영모드와의 절환레버측과 촬영렌즈군이 일체화되어 있어서, 레버를 돌리면 촬영렌즈군도 회전하는 구조였다. 또한, 종래의 이 종류의 촬영렌즈조출장치에서는, 그 고정계의 부분과 회전계의 부분의 접동개소의 지름방향의 외측의 부분에 밀봉재가 배치되어 있어서 밀봉을 행하는 구조였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참조.)
(특허문헌1) 특허 제3813167호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촬영렌즈조출장치에서는, 절환레버를 돌리면 촬영렌즈군도 회전하므로, 촬영렌즈조출장치의 축심과 촬영렌즈군의 광축과의 사이에 축어긋남이 있으면, 촬영렌즈군의 회전에 의해 촬영렌즈군의 광축의 방향이 바 뀌고, 적정한 촬영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촬영렌즈조출장치에서는, 그 고정계의 부분과 회전계의 부분의 접동개소에서 발생하는 마모가루가 촬영렌즈군 측으로 이동해서 렌즈가 더럽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절환레버의 회전시에 촬영렌즈군의 광축의 방향이 바뀌지 않는 촬영렌즈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계의 부분과 회전계의 부분의 접동개소에서 발생하는 마모가루가 촬영렌즈군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촬영렌즈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은 촬영센서소자를 중앙의 수직한 축심에 중심을 두고 탑재한 회로기판과, 상기 촬영센서소자에 대응하는 상기 축심을 포위하여 창을 가지고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된 대좌와, 상기 대좌 위로 상기 축심에 동심 모양으로 절환레버가 마련된 환상을 한 회전통체, 내주면에 너트를 마련한 매크로코어, 촬영렌즈군을 내장해서 외주에 상기 너트에 나사결합하는 볼트를 가지는 렌즈홀더, 가압수단, 중앙에 개구부를 가지는 커버를 포갤 수 있고, 상기 커버가 상기 대좌에 단단히 고정되고, 상기 대좌위로 상기 축심에 대해 동축형으로 가이드통부가 돌설되고, 상기 가이드통부의 외주에 상기 회전통체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고, 상기 회전통체의 상기 축심의 주변에서의 회전에 따라 상기 촬영렌즈군이 부착된 상기 렌즈홀더가 상기 축심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촬영렌즈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코어의 밑면에 상기 가이드통부의 선단부를 끼울 수 있는 환상홈이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통부의 선단부에 상기 매크로코어의 상기 환상홈이 접동하도록 끼울 수 있을 수 있고, 상기 회전통체의 윗면에 상기 축심의 방향에 대한 높이가 둘레 방향에 따라 서서히 변하는 복수의 경사캠면이 마련되고, 상기 매크로코어의 밑면에 상기 각 경사캠면에 당접하는 돌기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회전통체의 상기 축심의 주변에서의 회전에 따르는 복수의 상기 경사캠면의 회전으로 상기 각 돌기의 상기 경사캠면상에서의 접촉 위치가 바뀌고, 상기 렌즈홀더를 구비한 상기 매크로코어가 상기 축심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에 기재된 구성에 더해, 상기 가이드통부의 선단부가 밀봉링을 통해 상기 매크로코어의 상기 환상홈에 끼워질 수 있을 수 있어서 환상의 밀봉부가 상기 회전통체 보다 지름방향의 안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촬영렌즈조출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도 1 내지 도 3에 보이는 실시예를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실시예의 촬영렌즈조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예의 촬영렌즈조출장치의 조립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의 촬영렌즈조출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촬영렌즈조출장치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촬영센서소자(1)를 중앙의 수직한 축심(2)에 중심을 두고 탑재한 회로기판(3)과, 적외선 필터(4)와, 촬영센서소자(1)에 대응하는 축심(2)을 포위해서 창(5)을 가지고 회로기 판(3)에 고정된 대좌(6)와, 대좌(6) 위로 축심(2)에 동심 모양으로 절환레버(7)가 부착된 환상의 회전통체(8), 밀봉링(9), 내주면에 너트(10)를 마련한 매크로코어(11), 촬영렌즈군(12)을 내장해서 외주에 너트(10)에 나사결합 하는 볼트(13)를 가지는 렌즈홀더(14), 가압수단으로서의 환상의 웨이브와셔(15), 중앙에 개구부(16)를 가지는 커버(17)가 포개지도록 되어 있다.
회로기판(3)은 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그 위에 상기 회로기판(3) 중앙의 수직한 축심(2)에 중심을 두고 사각형의 촬영센서소자(1)를 탑재할 수 있고, 와이어본딩(18)으로 접속되어 있다. 촬영센서소자(1) 위에는 적외선 필터(4)가 포개져 있다. 축심(2)을 포위해서 창(5)을 가지는 사각형의 대좌(6)가 회로기판(3) 위에 탑재되어 있다. 회로기판(3)에 대좌(6)가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다. 대좌(6)의 윗면의 네 귀퉁이에는, 코너브래킷(19)이 돌설되어 있다. 사각형의 대좌(6)의 대향하는 2개의 변에 대응하는 측에서 각 코너브래킷(19)의 외면에는, 훅 돌기(20)가 각각 돌설되어 있다. 대좌(6)의 윗면에는, 축심(2)에 대하여 동축형으로 환상의 가이드통부(21)가 돌설되어 있다.
가이드통부(21)의 외주에는 절환레버(7)를 구비한 환상의 회전통체(8)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회전통체(8)의 윗면에는 축심(2)의 방향에 대한 높이가 둘레방향에 따라 서서히 변하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경사캠면(22)이 연속해서 120도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각 경사캠면(22)은 축심(2)의 방향에 대한 높이가 본 실시예에서는 반시계방향에 따라 높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매크로코어(11)의 밑면에는 가이드통부(21)의 선단부를 끼울 수 있는 환상 홈(23)이 설치되어 있다. 매크로코어(11)의 밑면에는 환상홈(23)의 지름방향의 외측에서 각 경사캠면(22)에 당접하는 돌기(24)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통부(21)의 선단부에 밀봉링(9)을 거쳐서 매크로코어(11)의 환상홈(23)을 끼울 수 있고 환상의 밀봉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매크로코어(11)는 그 환상홈(23)에 떨어진 가이드통부(21)를 가이드로 하여 축심(2)의 방향에 접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매크로코어(11)의 외주에는, 그 외주에 둘레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회전방지돌기(26)가 돌설되어 있다. 이들 회전방지돌기(26)는 대좌(6)의 네 귀퉁이의 코너브래킷(19) 안쪽의 오목부(19a)에 끼워질 수 있어서 매크로코어(11)의 회전을 방지하고 있다. 코너브래킷(19)의 내주의 너트(10)에 촬영렌즈군(12)을 내장한 렌즈홀더(14)의 볼트(13)가 나사결합 되어 고정되어 있다. 렌즈홀더(14)의 윗면에는, 이 렌즈홀더(14)를 회전하기 위한 복수의 오목부(27)가 마련되어 있다.
매크로코어(11)의 윗면에는 환상의 웨이브와셔(15)를 포갤 수 있고, 렌즈홀더(14)의 윗면에는 중앙에 개구부(16)를 가지는 사각형의 커버(17)가 포개져 있다. 커버(17)에는 대좌(6)의 각 훅돌기(20)에 대응해서 훅 루프(28)가 하방을 향해 돌설되어 있다. 커버(17)는 대좌(6) 측으로 가압해서 그 각 훅 루프(28)를 대좌(6)의 각 훅 돌기(20)에 끼울 수 있어서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촬영렌즈조출장치는 절환레버(7)를 회전조작하는 회전통체(8)의 축심(2)의 주변에서의 회전에 따라, 그 윗면의 경사캠면(22)이 함께 회전한다. 경사캠면(22)의 회전으로, 매크로코어(11)의 각 돌기(24)는 경사캠면(22) 위에서의 접촉위치가 서서히 변하고 매크로코어(11)가 축심(2)의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하고, 촬영렌즈군(12)을 구비한 렌즈홀더(14)가 촬영센서소자(1)에 대응하는 거리가 바뀐다.
이러한 구조의 촬영렌즈조출장치는 절환레버(7)의 회전시에 촬영렌즈군(12)은 회전하지 않고, 축심(2)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촬영렌즈군(12)의 광축의 방향이 바뀌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대좌(6)의 가이드통부(21)의 선단부를 밀봉링(9)을 거쳐서 매크로코어(11)의 환상홈(23)에 끼울 수 있고 밀봉부(25)를 회전통체(8)의 지름방향의 안쪽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 밀봉부(25)는 경사캠면(22)과 이에 접촉하는 돌기(24)와의 접동개소의 지름방향의 안쪽에 존재하고, 이 때문에 접동개소에서 발생하는 마모가루가 촬영렌즈군(12)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압수단으로서 웨이브와셔(15)를 썼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렌즈홀더(14)와 커버(17)의 사이에 축심(2)의 둘레방향에 간헐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코일스프링을 채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촬영렌즈조출장치는 매크로코어의 밑면에 가이드통부의 선단부를 끼울 수 있는 환상홈을 마련하고 가이드통부의 선단부에 매크로코어의 환상홈을 접동할 수 있게 끼울 수 있으므로 가이드통부를 가이드로 하여 매크로코어를 축심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통체의 윗면에 축심의 방향에 대한 높이가 둘레방향에 따라 서서히 바뀌는 복수의 경사캠면을 마련하고, 매크로코어의 밑면에 각 경사캠면에 접촉하는 돌기를 각각 마련하고, 회전통체의 축심의 주변에 서의 회전에 따른 복수의 경사캠면의 회전으로 각 돌기의 경사캠면상에서의 접촉위치가 바뀌고, 렌즈홀더를 구비한 매크로코어를 축심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절환레버의 회전시에 촬영렌즈군은 회전하지 않고 축심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촬영렌즈군의 광축의 방향이 바뀌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통부의 선단부를 밀봉링을 통해 매크로코어의 환상홈에 끼울 수 있어서 밀봉부를 회전통체보다 지름방향의 안쪽에 형성함으로써, 이 밀봉부는 경사캠면과 이에 접촉하는 돌기와의 접동개소의 지름방향의 안쪽에 존재하고, 이 때문에 접동개소에서 발생하는 마모가루가 촬영렌즈군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촬영센서소자를 중앙의 수직한 축심에 중심을 두고 탑재한 회로기판과, 상기 촬영센서소자에 대응하는 상기 축심을 포위해서 창을 가지고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된 대좌와, 상기 대좌 위로 상기 축심에 동심 모양으로 절환레버가 마련된 환상의 회전통체, 내주면에 너트를 마련한 매크로코어, 촬영렌즈군을 내장해서 외주에 상기 너트에 나사결합하는 볼트를 가지는 렌즈홀더, 가압수단, 중앙에 개구부를 가지는 커버를 포갤 수 있고, 상기 커버가 상기 대좌에 단단히 고정되고, 상기 대좌 위로 상기 축심에 대하여 동축형으로 환상의 가이드통부가 돌설되고, 상기 가이드 통부의 외주에 상기 회전 통체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상기 회전통체의 상기 축심의 주변에서의 회전에 따라 상기 촬영렌즈군에 부착된 상기 렌즈홀더가 상기 축심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촬영렌즈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코어의 밑면에 상기 가이드통부의 선단부를 끼울 수 있는 환상홈이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통부의 선단부에 상기 매크로코어의 상기 환상홈이 접동하도록 끼울 수 있고, 상기 회전통체의 윗면에 상기 축심의 방향 에 대한 높이가 둘레방향에 따라 서서히 바뀌는 복수의 경사캠면이 마련되고, 상기 매크로코어의 밑면에 상기 각 경사캠면에 당접하는 돌기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회전통체의 상기 축심의 주변에서의 회전에 따르는 복수의 상기 경사캠면의 회전으로 상기 각 돌기의 상기 경사캠면상에서의 접촉 위치가 바뀌고, 상기 렌즈홀더를 구비한 상기 매크로코어가 상기 축심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렌즈 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통부의 선단부가 밀봉링을 통해 상기 매크로코어의 상기 환상홈에 끼울 수 있고 환상의 밀봉부가 상기 회전통체보다 지름방향의 안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렌즈조출장치.
KR1020070062992A 2007-02-05 2007-06-26 촬영렌즈조출장치 KR1010310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25528A JP2008191383A (ja) 2007-02-05 2007-02-05 撮像レンズ繰り出し装置
JPJP-P-2007-00025528 2007-0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189A true KR20080073189A (ko) 2008-08-08
KR101031086B1 KR101031086B1 (ko) 2011-04-25

Family

ID=39675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992A KR101031086B1 (ko) 2007-02-05 2007-06-26 촬영렌즈조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186598A1 (ko)
JP (1) JP2008191383A (ko)
KR (1) KR101031086B1 (ko)
TW (1) TW20083414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06562B (zh) * 2009-10-30 2013-08-21 Ability Entpr Co Ltd 影像感測模組及鏡頭模組
US8830389B2 (en) 2010-02-12 2014-09-09 Ability Enterprise Co., Ltd. Image detecting module and lens module
DE102014112614A1 (de) * 2014-09-02 2016-03-03 Schaffner Emv Ag Filterbauteil mit wicklungslosen magnetischem Ringkern
CN112738298A (zh) * 2019-10-14 2021-04-30 瑞声科技(南京)有限公司 摄像装置、电子设备及电子设备的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9573A (ja) * 2004-09-21 2006-05-11 Fuji Photo Film Co Ltd レンズ装置、撮像装置及び光学装置
JP2006267617A (ja) 2005-03-24 2006-10-05 Konica Minolta Opto Inc 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JP3813167B1 (ja) 2006-04-13 2006-08-23 マイルストーン株式会社 撮像レンズ繰出し装置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1086B1 (ko) 2011-04-25
JP2008191383A (ja) 2008-08-21
TW200834142A (en) 2008-08-16
US20080186598A1 (en) 200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086B1 (ko) 촬영렌즈조출장치
WO2014034388A1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8129597A (ja) 焦点調節構造
US7436607B1 (en) Lens module
JP2011066518A (ja) 撮像装置
US7535662B2 (en) Auto-focusing camera
US20020001144A1 (en) Image pickup lens unit
JP2003337279A (ja) マクロ撮影用レンズ繰出し装置
US20010055164A1 (en) Image pickup lens unit
JP6159565B2 (ja) バックフォーカス調整機構
US8743472B2 (en) Lens device
JP6590640B2 (ja) 回転揺動式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134850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1930346B1 (ko) 복수 단의 회전 조작부재를 구비한 전자기기
JP2005338659A (ja)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KR200194828Y1 (ko) 감시용카메라의초점조절장치
JP2007163707A (ja) マクロ機構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マクロ機構付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6039051A (ja) 切換機能を備えたマクロ撮影用レンズ
JP2010243780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15032375A (ja) 回転式ダイヤル及び電子機器
JP2009075271A (ja) レンズ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8048595A (ja) ローター内蔵モーターの構造
JP2007133254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8139332A (ja) 撮像装置の埋込み金具、撮像装置の埋込み構造、及び撮像装置の埋込み方法
JP2006091277A (ja) 切換機能を備えたマクロ撮影用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