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3049A - 타일 접착식 블럭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타일 접착식 블럭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3049A
KR20080073049A KR1020070011562A KR20070011562A KR20080073049A KR 20080073049 A KR20080073049 A KR 20080073049A KR 1020070011562 A KR1020070011562 A KR 1020070011562A KR 20070011562 A KR20070011562 A KR 20070011562A KR 20080073049 A KR20080073049 A KR 20080073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tar
tile
block
primary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장호
Original Assignee
남양부직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양부직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양부직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1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3049A/ko
Publication of KR20080073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0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2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 B28B13/0215Feeding the moulding material in measured quantities from a container or silo
    • B28B13/0225Feeding specific quantities of material at specific location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2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 B28B13/0215Feeding the moulding material in measured quantities from a container or silo
    • B28B13/023Feeding the moulding material in measured quantities from a container or silo by using a feed box transferring the moulding material from a hopper to the moulding cavities
    • B28B13/0235Feeding the moulding material in measured quantities from a container or silo by using a feed box transferring the moulding material from a hopper to the moulding cavities the feed box being provided with agitating means, e.g. stirring vanes to avoid premature setting of the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5/00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 Industrial outlines or plant insta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5/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 B28B5/04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in moulds moved in succession past one or more shap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5/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 B28B5/06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in moulds on a turn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97Press moulds; Press-mould and press-ram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시 타일 등을 붙이는 작업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경제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비산물이 날리지 않고 우수의 물빠짐이 용이하여 친환경적인 타일 접착식 블럭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접착식 블럭 제조장치는, 상면에 블럭 성형을 위한 성형틀이 안착되는 회전원판, 회전원판의 회전을 조정하는 회전원판 회전수단, 1차 몰탈을 공급하는 1차 몰탈 공급기, 1차 몰탈을 압축하여 블럭을 성형하는 몰탈 압축기, 2차 몰탈을 공급하는 2차 몰탈 공급기, 타일을 투입하는 타일 투입기, 타일을 가압하는 타일 가압기, 및 타일이 접착된 블럭을 성형틀로부터 탈형시키는 탈형 프레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접착식 블럭의 제조방법은, 1차 몰탈을 공급하는 단계, 1차 몰탈을 가압 압축하여 블럭을 형성하는 단계, 블럭의 상부로 2차 몰탈을 공급하는 단계, 2차 몰탈의 상부로 타일을 공급하는 단계, 타일을 가압하여 2차 몰탈을 매개로 타일을 블럭의 상부에 접착하는 단계, 및 타일이 부착된 블럭을 성형틀로부터 탈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원판, 1차 몰탈 공급기, 몰탈 압축기, 2차 몰탈 공급기

Description

타일 접착식 블럭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lock bonding ti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접착식 블럭 제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조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회전원판에 성형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성형틀과 블럭받침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블럭받침으로부터 망을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1차 몰탈 공급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몰탈 압축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2차 몰탈 공급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타일 투입기를 이용해 타일을 투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타일 투입기를 이용해 타일을 투입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타일 가압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제품 탈형을 위해 성형틀을 상승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성형틀로부터 제품이 탈형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탈형된 제품을 외부로 배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접착식 블럭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전체 공정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접착식 블럭 제조장치를 이용해 블럭을 제조하는 모습을 평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7은 1차 몰탈을 공급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8은 1차 몰탈을 가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9는 1차 몰탈의 가압후 누름판을 상승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20은 2차 몰탈을 공급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1은 타일을 투입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2는 타일을 가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3은 타일 가압후 누름판을 상승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24는 성형된 블럭의 탈형을 위해 성형틀을 상승시키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5는 성형된 블럭의 탈형을 위해 성형틀을 하강시키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6은 탈형 프레스의 누름부를 하강시키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7은 탈형 프레스의 누름부를 하강시킨 후 성형틀을 상승시키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8은 탈형된 블럭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받침대 20 : 회전원판
30 : 구동모터 40 : 성형틀
41 : 지지대 42 : 블럭받침
43 : 망 50 : 1차 몰탈 공급기
51 : 보조믹서 52 : 몰탈 공급판
53 : 레일 54 : 정량 공급통
60 : 몰탈 압축기 61 : 유압실린더
62 : 누름판 70 : 2차 몰탈 공급기
71 : 보조믹서 72 : 몰탈 공급판
73 : 레일 74 : 정량 공급통
80 : 타일 투입기 81 : 유압실린더
82 : 수평 포스트 83 : 석션
90 : 타일 가압기 100 : 탈형 프레스
본 발명은 타일 접착식 블럭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블럭을 제조하는 타일 접착식 블럭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통행하는 인도에는 보도블럭을 깔게 되는데, 현재 많이 사용되는 보도블럭의 종류로는 시멘트블럭과 점토블럭이 주를 이룬다.
그러나, 시멘트블럭과 점토블럭은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표면이 일어나고 마모되는 현상등으로 인해 비산물이 공기중에 날려 인체에 크게 해로울 뿐만 아니라, 교체주기 또한 자주 도래하기 때문에 시공비의 비중이 커져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시멘트블럭과 점토블럭을 단점으로 인해 고급화된 건물 주변이나 번화가에서는 타일이나 자연석재를 이용한 보도블럭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타일이나 자연석재를 이용한 보도블럭은 기초공사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그 위에 몰탈을 이용해 타일 및 자연석재를 수작업으로 붙이는 공정으로 공사가 진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보도블럭의 시공방법은 타일 및 자연석재의 분리현상이 자주 발생하고, 시공시 수작업으로 타일이나 석재를 한장 한장 붙여야 하기 때문에 시공기간이 길어지고 작업인부가 추가로 필요하기 때문에 시공비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중 시민의 불편함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닥 전체를 콘크리트로 타설함으로써 우수가 지하로 스며들지 못하기 때문에 나무 등이 고사하는 등 친환경적이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 출된 것으로, 시공시 타일 등을 붙이는 작업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경제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비산물이 날리지 않고 우수의 물빠짐이 용이하여 친환경적인 타일 접착식 블럭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접착식 블럭 제조장치는, 받침대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상면에 블럭 성형을 위한 성형틀이 안착되는 회전원판, 회전원판의 회전을 조정하는 회전원판 회전수단, 성형틀 내로 1차 몰탈을 공급하는 1차 몰탈 공급기, 1차 몰탈을 압축하여 블럭을 성형하는 몰탈 압축기, 블럭의 상부로 2차 몰탈을 공급하는 2차 몰탈 공급기, 2차 몰탈의 상부로 타일을 투입하는 타일 투입기, 타일을 가압하여 2차 몰탈에 접착시키는 타일 가압기, 및 타일이 접착된 블럭을 성형틀로부터 탈형시키는 탈형 프레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성형틀은 지지대에 의해 회전원판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몰탈과 타일이 수용되는 성형공간이 상하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성형공간의 하측에는 성형공간의 하측을 폐쇄함과 아울러 1차 몰탈 가압시 물빠짐이 이루어지는 블럭받침이 각각 설치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1,2차 몰탈 공급기는, 메인믹서로부터 몰탈을 각각 공급받는 보조믹서, 보조믹서와 회전원판 사이에 설치되며 선단에 몰탈 공급홀이 각각 형성된 몰탈 공급판, 및 몰탈 공급판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보조믹서로부터 정량의 몰탈을 공급받아 몰탈 공급홀을 통해 성형공간 내에 공급하 는 정량 공급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접착식 블럭의 제조방법은, 성형틀의 성형공간 내에 1차 몰탈을 공급하는 단계, 성형공간 내에 공급된 1차 몰탈을 가압 압축하여 블럭을 형성하는 단계, 블럭의 상부로 2차 몰탈을 공급하는 단계, 2차 몰탈의 상부로 타일을 공급하는 단계, 공급된 타일을 가압하여 2차 몰탈을 매개로 타일을 블럭의 상부에 접착하는 단계, 및 타일이 부착된 블럭을 성형틀로부터 탈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접착식 블럭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타일 접착식 블럭 제조장치(1)는, 받침대(10)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원판(20), 회전원판(20)을 회전시키는 회전원판 회전수단, 회전원판(20)의 상면에 설치되는 성형틀(40), 성형틀(40)에 몰탈을 1차 공급하는 1차 몰탈 공급기(50), 몰탈을 압축하는 몰탈 압축기(60), 1차 몰탈의 상부로 2차 몰탈을 공급하는 2차 몰탈 공급기(70), 2차 몰탈의 상부로 타일(2)을 투입하는 타일 투입기(80), 타일(2)을 가압하는 타일 가압기(90), 및 블럭을 성형틀(40)로부터 탈형시키는 탈형 프레스(100)를 포함하여 이 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회전원판(20)은 받침대(10)의 상면에 수직으로 입설된 지지대(110)에 수평 장착된 받침판(12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그 하부에 후술할 회전원판 회전수단의 작동기어와 맞물리는 종동기어가 장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회전원판 회전수단은 받침대(10)와 회전원판(20)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원판(20)의 회전을 조정하는 것으로, 구동모터(30), 및 구동모터(30)의 구동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미도시), 및 감속기의 출력측 기어와 맞물림과 동시에 회전원판(20)의 종동기어와 맞물리는 작동기어로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성형틀(40)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회전원판(20)의 상면에 동일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것으로, 네 개의 지지대(41)에 의해 회전원판(20)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 지지되며, 블럭이 성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형공간(40a)이 형성된다.
이 때, 성형공간(40a)은 상하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부측으로는 1,2차 몰탈 및 타일이 공급되고 하부측으로는 성형된 블럭이 탈형된다.
그리고, 블럭 성형과정에서 성형공간(40a)의 하부측은 블럭받침(42)에 의해 차폐된다. 블럭받침(42)에는 1차 몰탈을 압축할 때 발생되는 물이 배수되는 복수 개의 배수구(42a)가 형성되며, 블럭받침(42)의 상부에는 1차 몰탈의 유출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망(43)이 설치된다.
망(43)은 망 고정볼트(44)에 의해 블럭받침(42)의 상부에 고정된다.
도 6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1차 몰탈 공급기(50)는 회전원판(20)의 상방에 설치되어 성형틀(40)의 성형공간(40a) 내로 몰탈을 공급하는 것으로, 메인믹서(130)로부터 몰탈을 공급받는 보조믹서(51), 보조믹서(51)와 회전원판(20) 사이에 설치되며 선단에 몰탈 공급홀(52a)이 성형공간(40a)의 갯수와 동일하게 형성된 몰탈 공급판(52), 및 상부가 몰탈 공급판(52)의 상방에 설치된 레일(53)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어 보조믹서(51)로부터 정량의 몰탈을 공급받아 몰탈 공급판(52)의 몰탈 공급홀(52a)을 통해 성형공간(40a)으로 공급하는 정량 공급통(54)으로 구성된다.
이 때, 몰탈 공급판(52)의 몰탈 공급홀(52a)은 성형틀(40)의 성형공간(40a)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도 6에서는 몰탈 공급판(52)의 형상이 정확히 표시되지 않고 간력하게 표시되었다.
그리고, 1차 몰탈 공급기(50)로부터 공급되는 몰탈은 블럭의 몸체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시멘트에 모래, 석분, 후레스, 물을 섞되 물의 양을 많이 하는 습식의 형태뿐만 아니라 물을 수분이 흡수될 정도로만 적게 넣는 건식의 형태로도 공급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몰탈 압축기(60)는 성형틀(40)의 성형공간(40a) 내에 1차 공급된 몰탈을 압축하여 고압의 시멘트 블럭을 형성하는 것으로, 회전원판(20)의 상방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61), 유압실린더(61)에 의해 승강되면서 성형공간(40a) 내의 몰탈을 눌러 가압하는 누름판(62)으로 구성된다.
이 때, 누름판(62)의 저면에는 타일(2)의 저면에 형성된 홈(미도시)과 동일 한 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즉, 누름판(62)으로 몰탈을 눌러 가압할 때 블럭의 상부에 타일의 홈과 맞물리는 홈이 형성된다.
누름판(62)의 저면에 형성되는 홈은 길이방향으로만 길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길이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섞어 형성됨으로써 1차 몰탈에 의해 형성되는 블럭과 타일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누름판(62)에 의해 가압되는 압력은 120㎏/㎠ 이상이어야 한다. 만일, 가압압력이 120㎏/㎠ 미만일 경우에는 형성된 블럭의 강도가 약해진다.
도 8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2차 몰탈 공급기(70)는 회전원판(20)의 상방에 설치되어 몰탈 압축기(60)에 의해 가압 성형된 블럭의 상부로 타일 접착을 위한 몰탈을 공급하는 것으로, 메인믹서(130)로부터 몰탈을 공급받는 보조믹서(71), 보조믹서(71)와 회전원판(20) 사이에 설치되며 선단에 몰탈 공급홀(72a)이 성형공간(40a)의 갯수와 동일하게 형성된 몰탈 공급판(72), 및 상부가 몰탈 공급판(72)의 상방에 설치된 레일(73)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어 보조믹서(71)로부터 정량의 몰탈을 공급받아 몰탈 공급판(72)의 몰탈 공급홀(72a)을 통해 성형공간(40a)으로 공급하는 정량 공급통(74)으로 구성된다.
이 때, 몰탈 공급판(72)의 몰탈 공급홀(72a)은 성형틀(40)의 성형공간(40a)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도 8에서는 몰탈 공급판(72)의 형상이 정확히 표시되지 않고 간략하게 표시되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타일 투입기(80)는 2차 몰탈 공급기(70)에 의해 공급된 2차 몰탈 위로 타일(2)을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 유압실린 더(81)에 의해 승강되는 수평 포스트(82)가 구비되고 수평 포스트(82)의 일단에는 타일(2)을 흡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석션(83)이 장착된다.
이 때, 석션(83)은 성형틀(40)에 형성된 성형공간(40a)과 동일한 갯수가 구비된다.
이러한 타일 투입기(80)에 따르면, 수평 포스트(82)를 타일 적재상자로 회전시켜 각 석션(83)으로 타일을 흡착한 후, 도 9에서와 같이 타일이 성형틀(40)의 각 성형공간(40a)의 상측에 위치될 때까지 반대로 회전시킨 다음, 도 10에서와 같이 수평 포스트(82)를 하강시켜 타일을 각 성형공간(40a) 내에 투입한 후, 석션(83)의 흡착력을 해제시키고 수평 포스트(82)를 상승시키게 된다.
한편, 타일 투입기(80)에 의해 투입되는 타일의 소재로는 점토질, 또는 화강석 등과 같은 석재가 주로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무나 나무가 타일의 형태로 가공되어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타일 가압기(90)는 회전원판(20)의 상방에 설치되어 각 성형공간(40a) 내에 투입된 타일(2)을 가압하여 2차 몰탈을 매개로 블럭의 상면에 접착시키는 것으로, 회전원판(20)의 상방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91), 유압실린더(91)에 의해 승강되면서 성형공간(40a) 내의 타일을 눌러 가압하는 누름판(92)으로 구성된다.
이 때, 누름판(92)은 타일의 깨짐을 방지하기 위해 신축성을 갖는 우레탄 등으로 제작되며, 누름판(92)에 의해 가압되는 압력은 20~26㎏/㎠ 이 바람직하다. 만일, 가압압력이 26㎏/㎠를 초과하게 되면 압력이 너무 커서 타일이 깨지거나 아직 양생되지 않은 블럭이 깨질 염려가 있으며, 20㎏/㎠ 미만일 경우에는 압력이 너무 작아서 타일이 제대로 접착되지 못한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탈형 플레스(100)는 타일이 부착된 블럭을 성형틀(40)의 성형공간(40a)으로부터 탈형시키는 것으로, 회전원판(20)의 상방에 설치되는 미도시된 유압실린더, 및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승강되면서 각 성형공간(40a) 내의 블럭을 밀어 하강시키는 누름부(101)로 구성된다.
이 때, 성형공간(40a)으로부터 블럭을 탈형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도 12에서처럼 성형틀(40)을 지지대(41)를 따라 상승시켜 성형틀(40)과 블럭받침(42)을 분리시킨 다음, 블럭받침(42) 위에 업로드 판넬(140)을 올려놓게 되며, 도 13에서처럼 누름부(101)가 정지된 상태에서 성형틀(40)이 계속해서 상승하면 누름부(101)에 의해 성형된 블럭이 성형공간(40a)으로부터 탈형되어 업로드 판넬(140)에 안착되고, 이어서 도 14에서처럼 아암(150)을 이용해 블럭이 적재된 업로드 판넬(140)을 회전원판(20)의 외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타일 접착식 블럭 제조장치를 이용해 블럭을 제조하는 공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접착식 블럭 제조장치를 이용해 블럭을 제조하는 공정은, 성형틀(40)의 성형공간(40a) 내에 1차 몰탈을 공급하는 단계(S1), 성형공간(40a) 내에 투입된 1차 몰탈을 가압하여 압축하는 단계(S2), 압축된 1차 몰탈의 상부로 2차 몰탈을 공급하는 단계(S3), 2차 몰탈의 상 부로 타일(2)을 투입하는 단계(S4), 투입된 타일을 가압하는 1차 몰탈의 상부에 접착하는 단계(S5), 및 최종 성형된 블럭을 탈형하는 단계(S6)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조공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6, 도 16 및 도 17을 참조로 1차 몰탈을 공급하는 단계(S1)를 살펴보면, 메인믹서(130)로부터 몰탈을 공급받은 보조믹서(51)로부터 정량 공급통(54)으로 몰탈이 정량 공급되고, 이어서 정량 공급통(54)이 몰탈 공급판(52)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몰탈 공급판(52)의 단부에 형성된 몰탈 공급홀(52a)을 통해 정량 공급통(54)에 있는 몰탈이 성형틀(40)의 성형공간(40a) 내로 공급된다.
도 7, 도 18 및 도 19를 참조로 1차 몰탈을 압축하는 단계(S2)를 살펴보면, 유압실린더(61)의 작동에 의해 누름판(62)이 하강하여 성형틀(40)의 성형공간(40a) 내에 투입된 1차 몰탈을 120㎏/㎠ 이상의 압력을 고압 압축하게 된다.
이처럼, 1차 몰탈을 고압으로 압축하게 되면 1차 몰탈로부터 수분이 배출되면서 블럭의 형태로 성형되고, 1차 몰탈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은 망(43)과 블럭받침(42)을 통해 하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1차 몰탈의 분말들은 망(43)에 의해 걸러지므로 유실될 염려가 없다.
한편, 누름판(62)의 저면에는 타일(2)의 저면에 형성된 홈과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므로, 1차 몰탈의 가압에 의해 성형되는 블럭의 상면에는 타일(2)의 홈과 맞물리는 홈이 형성된다.
1차 몰탈의 고압 압축이 완료되면 유압실린더(61)의 작동에 의해 누름판(62) 이 상승한다.
도 8, 도 16 및 도 20을 참조로 2차 몰탈을 공급하는 단계(S3)를 살펴보면, 메인믹서(130)로부터 몰탈을 공급받은 보조믹서(71)로부터 정량 공급통(74)으로 몰탈이 정량 공급되고, 이어서 정량 공급통(74)이 몰탈 공급판(72)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몰탈 공급판(72)의 단부에 형성된 몰탈 공급홀(72a)을 통해 정량 공급통(74)에 있는 몰탈이 성형틀(40)의 성형공간(40a) 내로 공급된다.
도 9, 도 10 및 도 21을 참조로 타일을 투입하는 단계(S4)를 살펴보면, 수평 포스트(82)가 타일 적재상자로 회전되어 각 석션(83)으로 타일을 흡착한 후, 도 9에서와 같이 타일이 성형틀(40)의 각 성형공간(40a)의 상측에 위치될 때까지 반대로 회전시킨 다음, 도 10 및 도 21에서와 같이 수평 포스트(82)를 하강시켜 타일을 각 성형공간(40a) 내에 투입한 후, 석션(83)의 흡착력을 해제시키고 수평 포스트(82)를 상승시키게 된다.
도 12, 도 22 및 도 23을 참조로 타일을 가압하여 1차 몰탈의 상부에 접착하는 단계(S5)를 살펴보면, 타일이 투입된 후 유압실린더(91)가 작동하여 누름판(92)이 하강하여 타일을 20~26㎏/㎠의 압력으로 가압함에 의해 2차 몰탈을 매개로 타일이 1차 몰탈에 의해 성형된 블럭의 상부에 접착된다.
도 12 내지 도 14, 그리고 도 24 내지 도 28을 참조로 최종 성형된 블럭을 탈형하는 단계(S6)를 살펴보면, 타일이 블럭의 상부에 접착된 후에는 블럭과 타일이 삽입된 상태로 성형틀(40)을 상승시키고 블럭받침(42)의 상부에 업로드 판넬(140)을 올려놓은 후, 블럭과 타일이 삽입된 상태로 성형틀(40)을 하강시키고, 이어서 탈형 프레스(100)의 누름부(101)를 성형틀(40)의 내측까지 하강시킨 다음, 누름부(101)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성형틀(40)을 상승시켜 성형틀(40)로부터 타일이 접착된 블럭을 탈형시키고, 아암(150)을 이용해 블럭이 적재된 업로드 판넬(140)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전술한 공정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한 단계의 공정이 완료되면, 회전원판(20)이 회전하여 성형틀(40)이 다음 단계로 자동으로 옮겨지며, 이러한 모든 공정이 미도시된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단계의 공정이 완료되면 그 때마다 회전원판(20)이 회전하여 성형틀(40)이 다음 단계로 옮겨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자리에서 두 단계의 공정이 연속 진행될 수도 있다. 즉, 1차 몰탈의 공급과 가압이 제자리에서 연속 진행되고, 타일의 공급과 가압이 제자리에서 연속 진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일 접착식 블럭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1차 몰탈 공급기에 의해 몰탈을 공급하는 대신 이미 제작된 블럭을 성형틀 내로 공급한 후 후속공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2차 몰탈은 1차 몰탈에 의해 형성되는 블럭에 타일을 접착시키는 역할 을 하는 바, 2차 몰탈 대신 접착제를 공급하여 블럭에 타일을 접착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타일 접착식 블럭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따르면, 시공시 블럭에 타일 등을 붙이지 않고 블럭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타일 등을 일체로 접착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현장에서의 타일 등의 부착작업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경제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비산물이 날리지 않고, 종래에 콘크리트로 바닥을 타설하는 것에 비해 우수의 물빠짐이 용이하여 친환경적이다.

Claims (10)

  1. 받침대(10)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상면에 블럭 성형을 위한 성형틀(40)이 안착되는 회전원판(20);
    상기 회전원판(20)의 회전을 조정하는 회전원판 회전수단;
    상기 성형틀(40) 내로 1차 몰탈을 공급하는 1차 몰탈 공급기(50);
    상기 1차 몰탈을 압축하여 블럭을 성형하는 몰탈 압축기(60);
    상기 블럭의 상부로 2차 몰탈을 공급하는 2차 몰탈 공급기(70);
    상기 2차 몰탈의 상부로 타일을 투입하는 타일 투입기(80);
    상기 타일을 가압하여 2차 몰탈에 접착시키는 타일 가압기(90); 및
    상기 타일이 접착된 블럭을 상기 성형틀(40)로부터 탈형시키는 탈형 프레스(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접착식 블럭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40)은 지지대(110)에 의해 상기 회전원판(2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몰탈과 타일이 수용되는 성형공간(40a)이 상하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성형공간(40a)의 하측에는 상기 성형공간(40a)의 하측을 폐쇄함과 아울러 상기 1차 몰탈 가압시 물빠짐이 이루어지는 블럭받침(42)이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접착식 블럭 제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받침(42)에는 배수구(42a)가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몰탈의 유출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망(43)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접착식 블럭 제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2차 몰탈 공급기(50)(70)는,
    메인믹서(130)로부터 몰탈을 각각 공급받는 보조믹서(51)(71);
    상기 보조믹서(51)(71)와 상기 회전원판(20) 사이에 설치되며 선단에 몰탈 공급홀(52a)(72a)이 각각 형성된 몰탈 공급판(52)(72); 및
    상기 몰탈 공급판(52)(72)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보조믹서(51)(71)로부터 정량의 몰탈을 공급받아 상기 몰탈 공급홀(52a)(72a)을 통해 상기 성형공간(40a) 내에 공급하는 정량 공급통(54)(7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접착식 블럭 제조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몰탈 압축기(60)는,
    상기 회전원판(20)의 상방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61); 및
    상기 유압실린더(61)에 의해 승강되는 누름판(6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접착식 블럭 제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62)의 저면에는 상기 타일(2)의 저면에 형성된 홈과 동일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접착식 블럭 제조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투입기(80)에는 유압실린더(81)에 의해 승강되는 수평 포스트(82)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 포스트(82)의 일단에는 타일(2)을 흡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석션(83)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접착식 블럭 제조장치.
  8. 성형틀(40)의 성형공간(40a) 내에 1차 몰탈을 공급하는 단계(S1);
    상기 성형공간(40a) 내에 공급된 1차 몰탈을 가압 압축하여 블럭을 형성하는 단계(S2);
    상기 블럭의 상부로 2차 몰탈을 공급하는 단계(S3);
    상기 2차 몰탈의 상부로 타일을 공급하는 단계(S4);
    공급된 타일을 가압하여 상기 2차 몰탈을 매개로 상기 타일을 상기 블럭의 상부에 접착하는 단계(S5); 및
    타일이 부착된 블럭을 상기 성형틀(40)로부터 탈형시키는 단계(S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접착식 블럭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몰탈의 가압압력은 120㎏/㎠ 이상이고, 상기 타일의 가압압력은 20~2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접착식 블럭의 제조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몰탈은 습식몰탈 또는 건식몰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접착식 블럭의 제조방법.
KR1020070011562A 2007-02-05 2007-02-05 타일 접착식 블럭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0800730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562A KR20080073049A (ko) 2007-02-05 2007-02-05 타일 접착식 블럭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562A KR20080073049A (ko) 2007-02-05 2007-02-05 타일 접착식 블럭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049A true KR20080073049A (ko) 2008-08-08

Family

ID=39882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562A KR20080073049A (ko) 2007-02-05 2007-02-05 타일 접착식 블럭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304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83908A (zh) * 2019-11-08 2020-03-17 福建群峰机械有限公司 一种压砖机的成型机构
CN112829042A (zh) * 2021-01-15 2021-05-25 郝玉龙 一种建筑施工用仿古地砖制作设备
CN115139392A (zh) * 2022-07-05 2022-10-04 江西科技学院 一种转盘式的透水发光混凝土砖的制备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83908A (zh) * 2019-11-08 2020-03-17 福建群峰机械有限公司 一种压砖机的成型机构
CN110883908B (zh) * 2019-11-08 2021-05-14 福建群峰机械有限公司 一种压砖机的成型机构
CN112829042A (zh) * 2021-01-15 2021-05-25 郝玉龙 一种建筑施工用仿古地砖制作设备
CN115139392A (zh) * 2022-07-05 2022-10-04 江西科技学院 一种转盘式的透水发光混凝土砖的制备装置
CN115139392B (zh) * 2022-07-05 2023-12-08 江西科技学院 一种转盘式的透水发光混凝土砖的制备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045222U (zh) 水泥基仿石材型路沿石的成型设备
CN103231432B (zh) 全自动抗震砌体成型机及其实现方法
CN211104585U (zh) 一种水泥基仿石材型路沿石的成型设备
CN104385438A (zh) 坐便器自动注浆机
CN109397514B (zh) 一种仿石材砖成型机
KR101302069B1 (ko) 벽돌 제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벽돌 제조설비
KR20080073049A (ko) 타일 접착식 블럭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12677289A (zh) 一种再生混凝土多孔砖制备方法
KR20100037708A (ko) 접착식 보.차도 블럭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0000919A (zh) 一种建筑废料回收制作地砖的方法及设备
CN102416659B (zh) 一种用于制备复合透水砖的模具
CN112207945A (zh) 一种水泥预制件成型装置
CN208323793U (zh) 一种建筑装饰材料水泥花砖自动下料滚压成型机
CN207997386U (zh) 一种六棱砖原料振动压实平台
CN206926295U (zh) 一种自动化肥料棒成型机
CN212528170U (zh) 一种水泥地板自动化生产线
CN112976229B (zh) 一种建筑工程用预制件加工装置
CN203210490U (zh) 全自动新型抗震砌体成型机
CN112720801B (zh) 一种市政道路生态透水砖制作模具
KR101159548B1 (ko) 테라조 성형용 모르터 다짐, 탈기 및 강성 강화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성형제품
KR101178465B1 (ko) 고강도 테라조 판 제조방법
KR101063314B1 (ko) 양면 배수홈을 갖는 보도블럭 성형장치
CN102518303B (zh) 混凝土楼地面浮浆消除方法
JPH06102329B2 (ja) セメント・モルタル成型品の成型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109707409A (zh) 一种隧道二衬混凝土振捣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