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3007A - 볏짚자동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볏짚자동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3007A
KR20080073007A KR1020070011468A KR20070011468A KR20080073007A KR 20080073007 A KR20080073007 A KR 20080073007A KR 1020070011468 A KR1020070011468 A KR 1020070011468A KR 20070011468 A KR20070011468 A KR 20070011468A KR 20080073007 A KR20080073007 A KR 20080073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straw
rice straw
main body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5667B1 (ko
Inventor
권태영
Original Assignee
권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영 filed Critical 권태영
Priority to KR1020070011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667B1/ko
Publication of KR20080073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87/00Loaders for hay or like field crops
    • A01D87/12Loaders for sheaves, stacks or bales
    • A01D87/127Apparatus for handling, loading or unrolling round ba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87/00Loaders for hay or like field crops
    • A01D87/0053Tractor-mounted loa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87/00Loaders for hay or like field crops
    • A01D87/02Loaders for hay or like field crops with conveyor belts or conveyor chains, with or without pick-up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04Sheaf carri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수 후에 박스 형상으로 묶여져 논바닥에 놓여지는 볏짚을 자동으로 수거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한 볏짚자동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볏짚자동이송장치는, 운전자가 탑승가능하고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주행가능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설치되고 볏짚을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본체의 후방에 덤핑가능하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볏짚이 수거되는 수거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볏짚자동이송장치는, 상기 본체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유압실린더를 더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볏짚자동이송장치는, 볏짚에 한정되지 않고 쌀가마니, 감자상자, 고구마상자의 수거 및 적재와 같은 농산물의 수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볏짚자동이송장치, 본체, 가이드플레이트, 이송수단, 수거함, 유압실린더

Description

볏짚자동이송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rice straw automatical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볏짚자동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볏짚자동이송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볏짚자동이송장치에 있어서, 이송수단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볏짚자동이송장치에 있어서, 체인장력조절부의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볏짚자동이송장치에 있어서, 볏짚수집함의 덤핑작동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볏짚자동이송장치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가이드플레이트 111: 축
112: 낙하방지프레임 113: 감지센서
120: 이송수단 121a 내지 121d: 스프로킷
122a: 제 1 체인 122b: 제 2 체인
123: 횡바 124: 구동부
124a: 피동기어 124b: 구동체인
124c: 구동기어 124d: 구동모터
125,126: 전,후방연결바 126a,126a: 롤러
127: 롤러 128: 체인장력조절부
128a: 고정프레임 128b: 슬라이더
128c: 조임볼트 130: 수거함
140: 유압실린더
본 발명은 볏짚자동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추수 후에 박스 형상으로 묶여져 논바닥에 놓여지는 볏짚을 자동으로 수거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한 볏짚자동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추수 후에 박스 형상으로 묶여져 논바닥에 놓여지는 볏짚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이송하거나 또는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굴삭기와 같은 중장비를 이용하여 이송하여왔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들 중 작업자가 논바닥을 직접 돌아다니며 수작업으로 볏집단을 수거 및 적재하는 경우에는 작업시간의 증가로 인해 작업능률이 떨어지며 볏짚의 중량(일반적으로 20 내지 30kg으로 묶여짐)으로 인해 작업자의 피로도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반면에, 중장비를 이용하여 볏짚을 수거하는 경우에는 값비싼 중장비 대여로 인해 비용이 증가됨으로써 볏짚을 최종적으로 소비하는 영세한 농,축산가에 비용상의 부담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탑승가능하고 박스 형상의 볏짚을 자동으로 수거 및 이송할 수 있도록 농기계를 개조시켜,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이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볏짚자동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볏짚을 수거하는 작업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원가비용을 줄이고 신속하고 손쉽게 볏짚을 이송 및 수거할 수 있는 볏짚자동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운전자가 탑승가능하고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주행가능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설치되고 볏짚을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본체의 후방에 덤핑(damping)가능하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볏짚이 수거되는 수거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볏짚자동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사이 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유압실린더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양측면 전후방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래킷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일측면 전후방에 설치된 스프래킷을 연결하는 제 1 체인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타측면 전후방에 설치된 스프래킷을 연결하는 제 2 체인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볏짚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체인을 횡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횡바와, 상기 스프래킷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양측면 전방에 설치된 스프래킷의 중심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양측면 후방에 설치된 스프래킷의 중심을 각각 연결하는 전방 및 후방연결바와, 상기 전방 및 후방연결바에 설치되는 다수의 롤러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양측면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체인장력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체인장력조절부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양측면 전방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전방연결바의 양단부가 각각 지지고정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고정프레임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조임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측면에는 낙하방지프레임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전방에는 볏짚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설치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볏짚자동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볏짚자동이송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볏짚자동이송장치의 측면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볏짚자동이송장치에 있어서, 이송수단의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볏짚자동이송장치에 있어서, 체인장력조절부의 구조도가 도시되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볏짚자동이송장치에 있어서, 볏짚수집함의 덤핑작동도가 도시되고, 도 6a 및 도 6b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볏짚자동이송장치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볏짚자동 이송장치(100)는 추수 후에 박스 형상으로 묶여져 논바닥에 놓여지는 볏짚을 자동으로 수거하여 이송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6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운전자가 탑승가능하고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주행가능한 본체(100)와, 본체(10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본체(100)보다 더 전방으 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가이드플레이트(110)와, 가이드플레이트(110)에 설치되고 볏짚을 가이드플레이트(1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120)과, 본체(100)의 후방에 덤핑가능하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송수단(120)에 의해 이송된 볏짚이 수거되는 수거함(130)과, 본체(100)와 가이드플레이트(110) 사이에 설치되고 본체(100)에 대한 가이드플레이트(11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유압실린더(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00)는 운전자가 탑승가능하고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주행가능한 콤바인,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가 개조되어 형성된다.
전술한 본체(100)의 일측에는 가이드플레이트(110)가 축(11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 설치되는데, 이 가이드플레이트(110)는 박스 형상으로 묶여져 논바닥에 놓여지는 볏짚의 이송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볏짚이 본체(10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의 수거함(130)으로 손쉽게 이송될 수 있도록, 그 선단이 본체(100)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전술한 가이드플레이트(110)에는 이송수단(120)이 설치되는데, 이 이송수단(120)은 박스 형상으로 묶여져 논바닥에 놓여지는 볏짚을 가이드플레이트(110)를 통해 본체(10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의 수거함(130)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가이드플레이트(110)의 양측면 전후방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4개의 스프래킷(121a, 121b, 121c, 121d)과, 가이드플레이트(110)의 일측면 전후방에 설치된 2개의 스프래킷(121a, 121b)을 연결하는 제 1 체인(122a)과, 가이드플레이트(110)의 타측면 전후방에 설치된 스프래킷(121c, 121d)을 연결하는 제 2 체인(122b)과, 가 이드플레이트(1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볏짚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체인(122a, 122b)을 횡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횡바(123)와, 스프래킷(121a, 121b, 121c, 121d)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24)와, 가이드플레이트(110)의 양측면 전방에 설치된 2개의 스프래킷(121a, 121c)의 중심과 가이드플레이트(110)의 양측면 후방에 설치된 2개의 스프래킷의 중심(121a, 121c)을 각각 연결하는 전방 및 후방연결바(125, 126)와, 전방 및 후방연결바(125, 126)에 설치되는 다수의 롤러(127)와, 가이드플레이트(110)의 양측면 전방에 설치되고 제 1 및 제 2 체인(122a, 122b)의 장력을 조절하는 체인장력조절부(1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4개의 스프래킷(121a, 121b, 121c, 121d) 중 2개의 스프래킷(121a, 121c)는 전방연결바(125)에 연결되고, 2개의 스프래킷(121b, 121d)은 후방연결바(126)에 연결됨으로써, 제 1 및 제 2 체인(122a, 122b)이 균일한 속도로 회전되고, 이로 인해 각각의 횡바(123)는 비틀림없이 서로 평행하게 이동된다. 여기서 제 1 체인(122a)과 제 2 체인(122b)을 횡으로 연결하는 횡바(123)의 형상은 "ㄴ"자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횡바(123)의 양단부는 제 1 및 제 2 체인(122a, 122b)에 볼트로 체결되거나 또는 용접에 의해 접합가능하다.
스프래킷(121a, 121b, 121c, 121d)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24)는 후방연결바(126)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는 피동기어(124a)와, 구동체인(124b)에 의해 피동기어(124a)와 연결되는 구동기어(124c)와, 구동기어(124c)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24d)로 구성된다.
전방연결바(125)의 중간에 설치된 다수의 롤러(127)은 볏짚 안착을 위한 것 이고, 후방연결바(126)의 양단부에 설치된 롤러(126a)는 횡바(123)의 가이드를 위한 것이다.
제 1 및 제 2 체인(122a, 122b)의 장력을 조절하는 체인장력조절부(128)는, 가이드플레이트(110)의 양측면 전방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28a)과, 전방연결바(125)의 양단부가 각각 지지고정되고 고정프레임(128a)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128b)와, 고정프레임(128a)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슬라이더(128b)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조임볼트(128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조임볼트(128c)를 조정하여 고정프레임(128a)에 대한 슬라이더(128b)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슬라이더(128b)에 고정된 전방연결바(125)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 체인(122a, 122b)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전술한 이송수단(120)에 의해 이송되는 볏짚이 가이드플레이트(110) 상에서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고 안전하게 수거함(130) 내로 안내될 수 있도록 가이드플레이트(110)의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낙하방지프레임(11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이드플레이트(110)의 전방에는 볏짚의 유무를 감지하는 예를 들어 초음파센서, 근접센서, 광센서와 같은 형태의 감지센서(11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체(100)의 후방에는 설치되는데, 이 수거함(130)은 이송수단(120)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된 볏짚이 수거되어 덤핑시까지 보관되는 부분으로서, 회동핀(180)에 의해 덤핑가능하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볏짚의 덤핑을 위해 수거함(130)의 하부에는 유압실린더(도시되지는 않음)가 설치되어 수거함(130)을 기울여 그 수거함(130) 내에 수거된 볏짚을 손쉽게 덤핑(하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본체(100)와 가이드플레이트(110) 사이에는 유압실린더(140)가 설치되는데, 이 유압실린더(140)는 본체(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플레이트(11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가이드플레이트(110)를 축(111)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동시켜서 운전자가 원하는 각도로 가이드플레이트(11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유압실린더(140)의 실린더측 단부는 본체(10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유압실린더(140)의 로드측 단부는 일단이 가이드플레이트(110)에 고정되는 제 1 플레이트(160)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본체(100)와 가이드플레이트(110) 사이에는, 일단이 가이드플레이트(110)에 고정되고 타단이 본체(100)의 축(11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2 플레이트(170)가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볏짚자동 이송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는 본체(100)를 운전하여 가이드플레이트(110)를 박스 형상으로 묶여져 논바닥에 놓여지는 볏짚에 근접시킨다.
이 때, 가이드플레이트(110)의 전방에 설치된 감지센서(113)가 볏짚을 감지하게 되며, 이 감지센서(113)의 감지신호에 의해 구동모터(124d)에 전원이 인가된다.
구동모터(124d)에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모터(124d)의 회전축(124e)에 고정된 구동기어(124c)가 회전되고, 이 때 구동체인(124b)에 의해 피동기어(124a)가 회전하면서 후방연결바(126)를 회전시킨다.
이 때, 후방연결바(126)에 설치된 스프래킷(121b, 121d)이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제 1 및 제 2 체인(122a, 122b)에 의해 스프래킷(121a, 121c)이 회전된다.
4개의 스프래킷(121a, 121c, 121b, 121d)이 모두 회전됨에 따라, 제 1 및 제 2 체인(122a, 122b)는 물론 전방연결바(125)에 설치된 롤러(127)와, 후방연결바(126)에 연결된 롤러(126a)도 회전된다.
전방연결바(125)에 설치된 롤러(127)는 볏짚에 안착된 상태에서 볏짚을 가이드플레이트(110)의 상면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며, 이렇게 가이드플레이트(110) 상으로 가이드된 볏짚은 다수개의 횡바(123)에 의해 가이드플레이트(110)의 후방으로 이송된 후 수거함(130) 안으로 떨어져 수납된다.
수거함(130) 내에 수납된 볏짚은 수거함(130)의 하부에 설치된 유압실린더(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소정 장소에 덤핑된다.
한편, 운전자가 가이드플레이트(11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유압실린더(140)를 작동시켜 가이드플레이트(110)가 축(111)을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가이드플레이트(110)의 설치각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볏짚을 원활하게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제 1 및 제 2 체인(122a, 122b)의 장력을 적절히 조절하여야 하는데, 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조임볼트(128c)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고정프레임(128a)에 나사결합된 조임볼트(128c)가 고정프레임(128a)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인다.
이 때, 조임볼트(128c)의 일단부에 결합된 슬라이더(128b)가 고정프레임(128a)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데, 슬라이더(128b)의 슬라이딩과 함께 전방연결바(125)도 고정프레임(128a)의 동일 방향으로 이동된다.
전방연결바(125)의 양단부는 슬라이더(128b)에 결합되는 바, 슬라이더(128b)가 고정프레임(128a)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 전방연결바(125)도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고, 또 스프래킷(121a, 121c)도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어 결국, 제 1 체인(122a)과 제 2 체인(122b)의 장력이 적절히 조절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는 추수 후에 박스 형상으로 묶여져 논바닥에 놓여지는 볏단을 자동으로 수거하는 용도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볏짚자동이송장치가 볏짚에 한정되지 않고 쌀가마니, 감자상자, 고구마상자의 수거 및 적재와 같은 농산물의 수확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볏짚자동이송장치에 의하면, 콤바인,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를 개조하여 이송수단이 구비된 가이드플레이트를 설치함으로써 추수 후에 박스 형상으로 묶여져 논바닥에 놓여지는 볏단을 자동으로 수거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이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볏짚을 소비하 는 농,축산가의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낙하방지프레임을 통해 이송중인 볏짚을 가이드플레이트 상에서 바닥으로 떨어뜨리지 않고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송 및 수거할 수 있으며, 수거된 볏짚을 손쉽게 덤핑할 수 있고, 가이드플레이트의 설치각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많은 양의 볏짚을 손쉽게 이송 및 수거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운전자가 탑승가능하고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주행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가이드플레이트;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설치되고 볏짚을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및
    상기 본체의 후방에 덤핑가능하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볏짚이 수거되는 수거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볏짚자동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유압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자동이송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양측면 전후방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래킷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일측면 전후방에 설치된 스프래킷을 연결하는 제 1 체인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타측면 전후방에 설치된 스프래킷을 연결하는 제 2 체인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볏짚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체인을 횡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횡바와, 상기 스프래킷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양측면 전방에 설치된 스프래킷의 중심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양측면 후방에 설치된 스프래킷의 중심을 각각 연결하는 전방 및 후방연결바와, 상기 전방 및 후방연결바에 설치되는 다수의 롤러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양측면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체인장력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자동 이송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체인장력조절부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양측면 전방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전방연결바의 양단부가 각각 지지고정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고정프레임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조임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자동 이송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측면에는 낙하방지프레임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자동 이송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전방에는 볏짚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자동 이송장치.
KR1020070011468A 2007-02-05 2007-02-05 볏짚자동이송장치 KR100855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468A KR100855667B1 (ko) 2007-02-05 2007-02-05 볏짚자동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468A KR100855667B1 (ko) 2007-02-05 2007-02-05 볏짚자동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007A true KR20080073007A (ko) 2008-08-08
KR100855667B1 KR100855667B1 (ko) 2008-09-03

Family

ID=39882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468A KR100855667B1 (ko) 2007-02-05 2007-02-05 볏짚자동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56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9669A (zh) * 2019-06-26 2019-09-06 贵州大学 农业收割机用麸皮秸秆包袱式收集装置
KR20210004384A (ko) * 2019-07-04 2021-01-13 주식회사 세웅 자주식 계사청소기
KR20210102753A (ko) * 2020-02-12 2021-08-20 주식회사 세웅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
KR20210128077A (ko) * 2020-04-16 2021-10-26 주식회사 세웅 자주식 계사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139Y1 (ko) * 2000-12-09 2001-05-15 주규택 볏집 수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9669A (zh) * 2019-06-26 2019-09-06 贵州大学 农业收割机用麸皮秸秆包袱式收集装置
KR20210004384A (ko) * 2019-07-04 2021-01-13 주식회사 세웅 자주식 계사청소기
KR20210102753A (ko) * 2020-02-12 2021-08-20 주식회사 세웅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
KR20210128077A (ko) * 2020-04-16 2021-10-26 주식회사 세웅 자주식 계사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5667B1 (ko) 200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32496A (en) Round bale handling device
CN108202776B (zh) 履带行驶装置
US11685300B2 (en) Agricultural dump cart
KR100855667B1 (ko) 볏짚자동이송장치
GB2535281A (en) A trail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trailer
US6220810B1 (en) Chain driven belt discharge apparatus and method
CN106793754B (zh) 收割机
JP4521097B2 (ja) 汎用コンバインの掻込みリール
JP2014103944A (ja) コンバイン
JP6676288B2 (ja) コンバイン
KR20200064978A (ko) 콤바인
US20230192411A1 (en) Crop unloader drive with tensioner
JP4705933B2 (ja) コンバインの排藁搬送装置
JP7094198B2 (ja) 収穫機
JP6661119B2 (ja) 芝収穫機
JP2010011772A (ja) 自脱型コンバインの刈り取り搬送構造
JP4058188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部
JP2006254706A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JP4510411B2 (ja) 自走式のロールベール運搬機
JP3935604B2 (ja) コンバイン
JP2002360038A (ja) 汎用コンバインの掻込みリール変速構造
JP3831520B2 (ja) コンバイン
RU83892U1 (ru) Загрузчик прицепной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й продукции
JPH083243Y2 (ja) コンバインの縦搬送装置
JP2002253031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