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2157A - 죽관악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죽관악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2157A
KR20080072157A KR1020070010505A KR20070010505A KR20080072157A KR 20080072157 A KR20080072157 A KR 20080072157A KR 1020070010505 A KR1020070010505 A KR 1020070010505A KR 20070010505 A KR20070010505 A KR 20070010505A KR 20080072157 A KR20080072157 A KR 20080072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wind instrument
cutting
manufactur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3479B1 (ko
Inventor
김성남
Original Assignee
담양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담양군 filed Critical 담양군
Priority to KR1020070010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479B1/ko
Publication of KR20080072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2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HBENDING WOOD OR SIMILAR MATERIAL; COOPERAGE; MAKING WHEELS FROM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H3/00Manufacture of constructional elements of tubes, coop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JMECHANICAL WORKING OF CANE, CORK, OR SIMILAR MATERIALS
    • B27J1/00Mechanical working of cane or the lik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8Material for manufacturing wind musical instruments; Treatment of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나무의 다양한 형태의 절편 조각을 조합해 죽관을 형성시킨 후, 악기의 기능을 하도록 세부 절삭을 시킴으로써, 죽관악기를 제작하기 위해 필요한 대나무의 수를 대폭 절약할 수 있으며, 필요로 하는 사이즈의 죽관악기를 얼마든지 제작할 수 있는 죽관악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절단되는 대나무 판재들을 서로 면접하도록 얇고 평평하게 형성시키는 대나무 절단 단계와; 상기 대나무 판재들을 면접하게 적층시키되 그 사이에 천연 접착제를 도포하여 서로 고정되게 적층시키는 동일 형상의 한 쌍의 각재를 형성하는 적층 단계와; 상기 각재를 각각 반원형의 내부 통로면을 형성하도록 절삭시켜 중공부를 형성하는 절삭 단계와; 상기 절삭 단계에서 각 각재의 절삭부위의 최 상위 판재에 형성되는 양측의 절삭 여유분인 접합면을 서로 맞대어 접착제로 접착시키는 합체 단계와; 상기의 합체되어 있는 한 쌍의 각재 외표면을 원기둥형 몸체를 형성하도록 절삭시키고, 상기 원통형 몸체의 소정 부위에 음공을 천공하는 외표면 절삭단계를 수행하여 죽관악기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관악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죽관악기, 대나무, 절삭

Description

죽관악기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AMBOO-WIND INSTRUMENT}
도 1은 일반적인 죽관악기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죽관악기의 제조의 제 1실시예에 사용되는 대나무의 절단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과 도 3a는 도 2의 절단된 대나무 판재를 서로 접착되게 적층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a와 도4b는 도 3의 적층된 대나무 판재에 반원형 홈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
도 5a와 도 5b는 도 4의 홈이 형성된 대나무 한 쌍을 서로 맞댄 상태를 도시,
도 6a과 도 6b는 도 5의 서로 맞댄 대나무 절편의 외표면을 악기형상으로 절삭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도 9는 본 발명의 죽관악기 제조방법의 제 2실시예에 따라, 절삭된 대나무 절편조합의 외표면에 천연대나무 외피를 덧대어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0~도 11은 본 발명의 죽관악기 제조방법의 제 3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폭과 두께를 가지는 대나무 판재를 적층시켜 접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대나무 11 : 대나무 판재
12 : 접착제 13 : 중공부
14 : 밑면 15 : 접착면
16 : 통로면 21 : 지지판
본 발명은 전통악기인 대나무를 주 재료로 하여 제조되는 죽관악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통 죽관악기의 음 및 질감을 그대로 간직하면서도 균일한 음색 및 음질을 낼 수 있는 죽관악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악기인 단소, 대금 및 서양 악기인 펜 플룻과 같은 죽관 악기는 대나무를 사용하여 제조하고 있는데, 이러한 대나무를 이용하여 제조함에 있어서 재료인 대나무의 선택 및 가공에 있어서도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즉, 사용되는 대나무는 곧게 자란 것을 선택하여야 하고, 또한 그 죽관악기의 크기에 따라 항상 동일한 직경을 가진 것을 선택해야 하고, 선택한 대나무라 하더라도 이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고, 그 대나무의 내부에 있는 모든 마디를 뚫어 야 하고, 또한 뚫은 후에도 그 내부를 매끄럽게 가공하여야 하는 등의 가공 상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제조를 통하여 제조를 완료한 후에라도 시간이 지나면 쉽게 갈라지기 때문에 실로 감아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많은 대나무가 재료로 공급되기 위해 그만큼 많은 대나무를 벌채되어야 하지만 자연보존을 위해 대량의 대나무 벌채를 제한하기 때문에 공급되는 대나무는 제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벌채한 대나무에서도 그 사용되는 부분이 제한되므로 선택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모두 버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통나무를 이용하여 위와 같은 종류의 죽관악기를 제조하였으나 위에서 열거한 죽관악기에서와 같은 음색이 나오지 않아 결국 대나무를 사용하는 죽관악기를 생산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것은 대나무가 가지고 있는 목질에 의하여 나타나는 현상으로 다른 어떠한 재료로도 죽관악기와 같은 음색을 낼 수 없음이다.
특히 죽관 악기 중에서도 대금은 "여러 해 묵은 누른 대나무의 마디를 통공하여, 일단은 폐쇄되고 일단은 개구된 길이 2척 7촌7푼의 원통형으로 구성하되, 웃끝에서 취공까지 6촌3푼, 취공에서 청공까지 3촌9푼, 청공에서 제1공까지 2촌9푼반, 제1공에서 제2,3,4,5,6공까지 매 구멍사이 1촌2푼강, 제6공에서 칠성 제1공까지 2촌9푼, 칠성 제1공에서 칠성 제2공까지 1촌7푼, 취공의 길이 5푼, 넓이 4푼반, 매 구멍길이 3푼, 넓이 3푼약, 칠성공은 조금 작으며, 웃끝 안직경은 4푼강, 아래끝 안직경 6푼강으로 한다"고 악학궤범에 전해 내려오고 있다.
상기와 같은 대금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일반적인 대나무로는 상기의 요구 조건을 맞추기가 극히 곤란하였으며, 살이 두껍고 단단하며 내경이 작기 때문에 묵직하고도 깊은 소리를 낼 수 있는 쌍골대라는 대나무가 예로부터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쌍골대라고 하더라도, 마디의 위치나 내경이 적절하게 형성되어 대금 제조에 적합한 것을 구현하기란 용이한 일이 아니며, 더욱이 적절한 쌍골대를 구해서 대금을 제조한다고 하더라도 내경의 크기나 마디의 위치가 저마다 달라 음색이나 음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가 없었다. 음의 균일성 문제는 여러 개 악기의 합주 시 특히 문제가 되는 것으로, 합주 준비 시 각 대금 연주자는 각자의 대금 소리가 서로 일치되도록 조율하는데 많은 시간을 허비하고 있으며, 대금 자체가 서로 상이한 상태에서 완벽한 조율은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나무의 살을 판재로 절단한 후 상기 절단된 판재를 복수개 접착하여 각재를 형성하고, 상기 각재를 절삭 가공하여 중공 원통형의 대금 몸체와 상기 몸체에 음공을 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방법으로는 동일한 폭을 가지는 판재를 접착되게 적층시킨 후 중공되게 절삭시키고, 그 외부도 중공의 내부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절삭시키게 되므로, 절삭되는 대나무가 많고, 그에 따른 절삭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절삭된 대나무는 재활용이 되지 않아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나무의 다양한 형태의 절편 조각을 조합해 죽관을 형성시킨 후, 악기의 기능을 하도록 세부 절삭을 시키는 죽관악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조합한 절편조각의 외표면에 천연대나무를 덧대어 접착시킴으로써, 절편조각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죽관악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은 죽관악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절단되는 대나무 판재들을 서로 면접하도록 얇고 평평하게 형성시키는 대나무 절단 단계와; 상기 대나무 판재들을 면접하게 적층시키되 그 사이에 천연 접착제를 도포하여 서로 고정되게 적층시키는 동일 형상의 한 쌍의 각재를 형성하는 적층 단계와; 상기 각재를 각각 반원형의 내부 통로면을 형성하도록 절삭시켜 중공부를 형성하는 절삭 단계와; 상기 절삭 단계에서 각 각재의 절삭부위의 최 상위 판재에 형성되는 양측의 절삭 여유분인 접합면을 서로 맞대어 접착제로 접착시키는 합체 단계와; 상기의 합체되어 있는 한 쌍의 각재 외표면을 원기둥형 몸체를 형성하도록 절삭시키고, 상기 원통형 몸체의 소정 부위에 음공을 천공하는 외표면 절삭단계를 수 행하여 죽관악기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관악기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대나무 절단 단계의 대나무 판재는 동일한 폭과 두께를 가지는 서로 동일한 형태의 판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적층 단계에서 동일한 폭과 두께를 가지는 서로 동일한 형태의 판재를 적층시켜 정사각 형태의 각재를 형성하는 것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대나무 절단 단계의 대나무 판재는 서로 다른 폭과 두께를 가지는 서로 다른 형태의 판재인 것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적층 단계에서 서로 다른 폭과 두께를 가지는 서로 다른 형태의 판재를 적층시키되, 양 측이 일렬로 정렬되어 'C' 형의 각재를 형성하는 것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각재는 그 접합면을 서로 맞대어 합체시킨 후, 합체되는 한 쌍의 각재 양측에 지지판을 접착시켜 각 대나무 판재 양단들이 지지판과 맞닿도록 하는 것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각재는 그 일 측은 밑면을 형성하도록 폐쇄되어 있으며, 타 측은 개구되도록 절삭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표면 절삭 단계에서, 외경 선삭 시 길이방향 적정 개소에 대나무 마디 모양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표면 절삭단계에서 상기 각재의 외표면을 원통형으로 절삭시킨 후, 죽관악기 길이로 잘라내어 그 길이방향으로 반으로 쪼개어 놓은 천연 대나무를 그 외표면에 덧씌우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죽관악기 제조방법에 대해 첨부되는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죽관악기의 제조의 제 1실시예에 사용되는 대나무의 절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과 도 3a는 도 2의 절단된 대나무 판재를 서로 접착되게 적층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a와 도4b는 도 3의 적층된 대나무 판재에 반원형 홈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a와 도 5b는 도 4의 홈이 형성된 대나무 한 쌍을 서로 맞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a과 도 6b는 도 5의 서로 맞댄 대나무 절편의 외표면을 악기형상으로 절삭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7~도 9는 본 발명의 죽관악기 제조방법의 제 2실시예에 따라, 절삭된 대나무 절편조합의 외표면에 천연대나무 외피를 덧대어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도 11은 본 발명의 죽관악기 제조방법의 제 3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폭과 두께를 가지는 대나무 판재를 적층시켜 접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죽관악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죽관악기는 대나무를 주 재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나무(10)를 그 길이방향으로 적정 길이(제작하고자 하는 죽관악기의 길이보다 길게)로 베어내어 상기 대나무의 살을 얇 은 평면의 판재형으로 절단한 대나무 판재(11)를 만든다.
상기 대나무 판재(11)는 10~30mm의 두께를 가지며, 그 두께는 서로 일정하지 않아도 무방하나 요철이나 돌기가 없는 평평한 표면을 가지고 있어 상기 대나무 판재(11)들 간의 표면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면접할 수 있어야 하며, 그 폭은 제작될 죽관악기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절단 가공된 상기 대나무 판재(11)들은 아교와 같이 목재를 서로 접합시키는 천연 접착제(12)를 사용하여 면접되게 적층시킴으로써, 정사각형의 각재를 형성되게 한다.
상기 대나무 판재(11)들의 적층 두께는 죽관악기의 최대 반지름 길이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 작업은 각각의 판재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서로 접착시킨 후 접착제가 충분히 굳을 때까지 바이스 등으로 압착시켜 유지시킴으로써 판재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고 확실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대나무 판재(11)들을 접착제(12)로 고정되게 적층시킨 상태에서, 접착제가 완전히 굳은 후 NC 머신 등을 이용하여 도 4와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면이 반원형인 내부 통로면(16)을 형성하도록 절삭시킨다.
상기 통로면(16)의 지름은 상기 죽관악기의 내부통로의 지름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일 측은 밑면(14)이 있어 폐쇄되어 있으며, 타 측은 개구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대나무 판재(11)의 폭은 죽관악기 전체 지름치수보다 크게 형성되 어 있어, 절삭부위의 최 상위 판재는 그 양측에 절삭 여유분을 남겨두게 됨에 따라 상기 여유분은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합면(15)이 된다.
상기 접합면의 폭은 절삭 후의 최종 죽관악기의 측면두께보다 커야 한다.
상기와 같은 접합면(15)을 남겨두고 반원형의 일 측은 폐쇄되고 타 측은 개구되어 있는 중공부(13)를 형성하는 각재를 동일한 치수를 갖도록 상기의 방법으로 하나 더 제작하게 된다.
따라서 도 5와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접합면(15)을 서로 맞대어 접착제로 접착시킨 후 지지판(21)으로 한 쌍의 각재 양측에 접착시킴으로써, 각 대나무 판재(11)들이 지지판(21)과 맞닿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한 쌍의 각재를 서로 맞대어 접착시킴으로써 원통형의 측면이 밀폐되는 내부통로가 형성되고 일 측은 폐쇄되고 타 측은 개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판(21)으로 고정되게 접착되어 있는 한 쌍의 각재를 NC머신을 이용하여 도 6의 죽관악기의 모양대로 선삭함으로써 원기동형 몸체를 형성한다.
또한 시각적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외경 선삭 시 길이방향 적정 개소에 대나무 마디 모양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형성된 원통형 몸체의 소정 부위에 음공을 천공함으로써 절단해 내게 됨으로써 원하는 종류의 죽관악기를 제작하게 된다.
도 7~도 9는 본 발명의 죽관악기 제조방법의 제 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7에서와 같이 천연의 대나무를 죽관악기 길이보다 길게 잘라내어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반으로 쪼개어 놓는다.
상기 대나무의 내직경은 최종적으로 제작될 죽관악기의 외표면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대나무 조각을 제작한 후, 상기 제 1실시예의 도 5에서 설명되어 진 각재와 동일 또는 유사한 각재를 제작하게 된다.
즉 상기 각재는 얇은 대나무 판재를 적층하여 접착제로 접착시킨 후 반원형으로 절삭시킨 한 쌍의 각재를 원형의 중공부를 가지도록 서로 맞닿게 접착시킨 형태를 가지며, 지지판으로 각 대나무 판재가 지지판에 고정, 접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후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의 각재는 그 외표면을 원통형으로 절삭시킨 후, 도 9에서와 같이, 상기의 천연 대나무 조각을 상기 각재의 외표면을 감싸도록 접착시키도록 한다.
도 10~도 11은 본 발명의 죽관악기 제조방법의 제 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10은 천연 대나무를 평면으로 얇은 판상형태로 절삭시키는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과정에서 절삭되는 천연 대나무 판재의 대부분을 사용하게 되므로 그 폭과 두께 등은 서로 다르게 된다.
즉, 절단 후 비교적 폭이 넓은 대나무 판재(32)를 아래에 적층하고 그 판재를 기준으로 하여 그 위로 비교적 폭이 좁은 대나무 판재(33, 34 등)을 차례로 적층하여 그 끝이 양측에 일치되도록 하여 접착시키게 된다.
상기 대나무 판재들의 양단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은 지지대와 접하여 접착되 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제 1실시예에서 도시된 반원형의 각재와 동일 유사한 형태의 각재를 형성시키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적층된 각재들은 지지대로 양단이 지지 및 고정된 상태에서 NC머신 등으로 상기 제 1실시예에서 도시된 반원형의 각재와 동일 유사한 형태로 절삭하게 된다.
단 상기 제 1실시예의 반원형 각재는 일측이 폐쇄되어 있으며 타측이 개방되도록 절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상기 제 3실시예에서는 양측이 모두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절삭과정을 통해 죽관악기의 모양대로 선삭함으로써 원기동형 몸체를 형성한 후, 상기 원통형 몸체의 소정 부위에 음공을 천공함으로써 절단해 내게 됨으로써 원하는 종류의 죽관악기를 제작하게 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죽관악기 제조방법의 목적은, 대나무의 다양한 형태의 절편 조각을 조합해 죽관을 형성시킨 후, 악기의 기능을 하도록 세부 절삭을 시킴으로써, 죽관악기를 제작하기 위해 필요한 대나무의 수를 대폭 절약할 수 있으며, 필요로 하는 사이즈의 죽관악기를 얼마든지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조합한 절편조각의 외표면에 천연대나무를 덧대어 접착시킴으로써, 절편조각이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죽관악기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며 천연의 대나무형태를 그대로 유지시킴으로써 미관상의 심미감과 자연친 화적인 느낌을 연주자와 청취자에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죽관악기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9)

  1. 죽관악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절단되는 대나무 판재들을 서로 면접하도록 얇고 평평하게 형성시키는 대나무 절단 단계와;
    상기 대나무 판재들을 면접하게 적층시키되 그 사이에 천연 접착제를 도포하여 서로 고정되게 적층시키는 동일 형상의 한 쌍의 각재를 형성하는 적층 단계와;
    상기 각재를 각각 반원형의 내부 통로면을 형성하도록 절삭시켜 중공부를 형성하는 절삭 단계와;
    상기 절삭 단계에서 각 각재의 절삭부위의 최 상위 판재에 형성되는 양측의 절삭 여유분인 접합면을 서로 맞대어 접착제로 접착시키는 합체 단계와;
    상기의 합체되어 있는 한 쌍의 각재 외표면을 원기둥형 몸체를 형성하도록 절삭시키고, 상기 원통형 몸체의 소정 부위에 음공을 천공하는 외표면 절삭단계를 수행하여 죽관악기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관악기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절단 단계의 대나무 판재는 동일한 폭과 두께를 가지는 서로 동일한 형태의 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관악기 제조방법.
  3. 제 1항 혹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단계에서 동일한 폭과 두께를 가지는 서로 동일한 형태의 판재를 적층시켜 정사각 형태의 각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관악기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절단 단계의 대나무 판재는 서로 다른 폭과 두께를 가지는 서로 다른 형태의 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관악기 제조방법.
  5. 제 1항 혹은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단계에서 서로 다른 폭과 두께를 가지는 서로 다른 형태의 판재를 적층시키되, 양 측이 일렬로 정렬되어 'C' 형의 각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관악기 제조방법.
  6. 제 3항 혹은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각재는 그 접합면을 서로 맞대어 합체시킨 후, 합체되는 한 쌍의 각재 양측에 지지판을 접착시켜 각 대나무 판재 양단들이 지지판과 맞닿도록 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관악기 제조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각재는 그 일 측은 밑면을 형성하도록 폐쇄되어 있으며, 타 측은 개구되도록 절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관악기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표면 절삭 단계에서, 외경 선삭 시 길이방향 적정 개소에 대나무 마디 모양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관악기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표면 절삭단계에서 상기 각재의 외표면을 원통형으로 절삭시킨 후, 죽관악기 길이로 잘라내어 그 길이방향으로 반으로 쪼개어 놓은 천연 대나무를 그 외표면에 덧씌우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관악기 제조방법.
KR1020070010505A 2007-02-01 2007-02-01 죽관악기 제조방법 KR100873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505A KR100873479B1 (ko) 2007-02-01 2007-02-01 죽관악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505A KR100873479B1 (ko) 2007-02-01 2007-02-01 죽관악기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157A true KR20080072157A (ko) 2008-08-06
KR100873479B1 KR100873479B1 (ko) 2008-12-19

Family

ID=39882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505A KR100873479B1 (ko) 2007-02-01 2007-02-01 죽관악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34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52369A (zh) * 2022-12-01 2023-06-13 成都大有林泉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竹制竖吹管笛的加工工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52369A (zh) * 2022-12-01 2023-06-13 成都大有林泉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竹制竖吹管笛的加工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3479B1 (ko) 2008-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08839B (zh) 木质复合板
US10442111B1 (en) Bamboo laminated lu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B2234935A (en) Laminated board including bamboo
KR100873479B1 (ko) 죽관악기 제조방법
JP2006255911A (ja) 竹積層構造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84554B1 (ko) 구조용 직교집성판상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얻어진 구조용 직교집성판상재
MY166028A (en) Short grain plywo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JP2014094497A (ja) 単板集成材積層体
JP2000153508A (ja) 複合集成材
CA2590067A1 (en) A reuse method for utilising reject rolls being produced in paper and cardboard factories
CN105171857A (zh) 锯制板条穿榫竖拼板的生产方法
JP2002210709A (ja) 竹を用いた集成材及びその製作方法
JP7133865B2 (ja) 木製車輪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2045926A1 (en) Process for producing plywood with a laminated core
CN210727220U (zh) 一种槽口折叠蜂巢仿生芯板
JP2002307409A (ja) 集成材の製造方法及びこの製造方法により形成された集成材
CN102729296A (zh) 实木多层指接板
JP3236744U (ja) 包装材料
JP2901598B1 (ja) 卓球用ラケットブレードの製造方法
SE2050918A1 (en) Methods, and products produced by such methods
KR20050071321A (ko) 폐목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의 제조 방법
JP2001058306A (ja) 新規な板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10416B2 (ko)
JP2003251610A (ja) 構造用集成材の製造方法
JPS6056504A (ja) 集成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