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1920A -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1920A
KR20080071920A KR1020080009442A KR20080009442A KR20080071920A KR 20080071920 A KR20080071920 A KR 20080071920A KR 1020080009442 A KR1020080009442 A KR 1020080009442A KR 20080009442 A KR20080009442 A KR 20080009442A KR 20080071920 A KR20080071920 A KR 20080071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flexible wiring
wiring circuit
longitudinal direct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분이 호
스-한 흐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1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9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01R35/025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having a flexible conductor wound around a rotation axi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05K1/0281Reinforcement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1Rol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781Dummy conductors, i.e. not used for normal transport of current; Dummy electrodes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20Details of printed circuits not provided for in H05K2201/01 - H05K2201/10
    • H05K2201/2009Reinforced areas, e.g. for a specific part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는, 제 1 단자 부재와, 제 2 단자 부재와, 상기 제 1 단자 부재 및 상기 제 2 단자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체 패턴을 갖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단자 부재 및 상기 제 2 단자 부재는 적어도 한쪽이 다른쪽에 대하여 근접 및 이격하도록 직선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은 상기 이동 방향 도중에 있어서 권회되거나 또는 비틀어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 및 전자기기{CONNECTING CONFIGURATION FOR FLEXIBLE WIRED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 및 전자기기, 상세하게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 및 그 접속 구조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은, 가요성이 우수하고, 박형의 배선 회로기판이기 때문에, 휴대 전화 등의 전자기기에 있어서, 스페이스가 좁은 가동부에 배치되고 있다.
예를 들면,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을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힌지부(hinge portion)를 구비하는 폴더식 휴대 전화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을 힌지부에 권회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6,990,355 호 명세서(도 7) 참조].
또한, 최근, 힌지부를 구비하지 않고,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구비하고, 하부 하우징의 사용시에는, 하부 하우징을 상부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킴으로써, 하부 하우징의 일부를 상부 하우징으로부터 노출시키는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에서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을 상부 하우징에 대하여 하부 하우징이 슬라이딩하는 스팬(span)에 대응시킬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서, FPCB(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을 직선형상의 평판부와 곡률 반경이 작은 만곡형상의 굴곡부가 교대로 형성되는 꾸불꾸불한 형상(S자 형상)으로 배치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6,973,186 호 명세서(도 3) 참조].
그러나, 미국 특허 제 6,973,186 호 명세서에 기재된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에서는, 계속 사용함에 따라,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이 피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하우징이 상부 하우징에 대해 노출되도록 슬라이딩하면, 굴곡부가 국소적으로 직선형상으로 신장하고, 또한 하부 하우징이 상부 하우징에 대해 피복되도록 슬라이딩하면, 굴곡부가 국소적으로 만곡형상으로 굴곡한다. 이러한 상부 하우징에 대한 하부 하우징의 슬라이딩이 반복되면,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은 굴곡부에서 국소적으로 피로한다. 그렇다면, 굴곡부의 도선이 피로에 의해 파단하는 불량이 생긴다.
더욱이, 최근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에서도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어,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를 박형으로 하면,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굴곡부의 곡률 반경이 보다 작아져서, 전술한 국소적인 피로가 보다 현저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계속 사용에 의한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도체 패턴의 단선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 및 그 접속 구조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는, 제 1 단자 부재와, 제 2 단자 부재와, 상기 제 1 단자 부재 및 상기 제 2 단자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체 패턴을 갖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단자 부재 및 상기 제 2 단자 부재는 적어도 한쪽이 다른쪽에 대해 근접 및 이격하도록 직선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은 상기 이동 방향 도중에 있어서 권회되거나 또는 비틀어지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에서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은, 제 1 단자 부재 및 제 2 단자 부재가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이동 방향 도중에 있어서 권회되거나 또는 비틀어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단자 부재 및 제 2 단자 부재의 적어도 한쪽이 이격하도록 직선적으로 이동했을 때에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은 이동 방향 도중의 권회 부분 또는 비틀림 부분이 전체적으로 곡률 반경이 작아지면서 신장한다. 또한, 제 1 단자 부재 및 제 2 단자 부재의 적어도 한쪽이 근접하도록 직선적으로 이동했을 때에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은 이동 방향 도중의 권회 부분 또는 비틀림 부분이 전체적으로 곡률 반경이 커지면서 수축한다. 그 때문에,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국소적인 피로를 회피하여, 계속 사용에 의한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도체 패턴의 단선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권회 부분 또는 비틀림 부분의 곡률 반경을 작게 해서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으면서, 제 1 단자 부재 및 제 2 단자 부재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 신뢰성을 장기간에 걸쳐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에서는, 상기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이 상기 이동 방향 도중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보강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에 의하면, 보강층에 의해,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이동 방향 도중에 있어서의 보강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권회 부분 또는 비틀림 부분을 신축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도체 패턴의 단선을 보다 한층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에서는, 상기 제 1 단자 부재를 지지하는 제 1 지지 부재와, 상기 제 2 단자 부재를 지지하는 제 2 지지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 2 지지 부재는 적어도 한쪽이 다른쪽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에서는, 제 1 지지 부재 및 제 2 지지 부재의 슬라이딩에 의해, 제 1 단자 부재 및 제 2 단자 부재의 직선적인 이동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어,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에서는, 상기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에 있어서의 권회 부분 또는 비틀림 부분이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서 신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단자 부재 및 제 2 단자 부재가 직선적으로 이동했을 때에는, 권회 부분 또는 비틀림 부분이 이동 방향을 따라서 신축하므로,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이 이동에 의해 받는 응력을 효율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국소적인 피로에 의한 도체 패턴의 단선을 보다 한층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제 1 단자 부재를 지지하는 제 1 지지 부재와, 제 2 단자 부재를 지지하는 제 2 지지 부재와, 상기 제 1 단자 부재 및 상기 제 2 단자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체 패턴을 갖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 2 지지 부재는 적어도 한쪽이 다른쪽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은 상기 슬라이드 방향 도중에 있어서 권회되거나 또는 비틀어지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전자기기에서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은 제 1 지지 부재 및 제 2 지지 부재가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 방향 도중에 있어서 권회되거나 또는 비틀어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지지 부재 및 제 2 지지 부재의 적어도 한쪽이 이격하도록 슬라이딩했을 때에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은 슬라이드 방향 도중의 권회 부분 또는 비틀림 부분이 전체적으로 곡률 반경이 작아지면서 신장된다. 또한, 제 1 지지 부재 및 제 2 지지 부재의 적어도 한쪽이 근접하도록 슬라이딩했을 때에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은 슬라이드 방향 도중의 권회 부분 또는 비틀림 부분이 전체적으로 곡률 반경이 커지면서 수축한다. 그 때문에,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국소적인 피로를 회피하여, 계속 사용에 의한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도체 패턴의 단선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권회 부분 또는 비틀림 부분의 곡률 반경을 작게 하여 전자기기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으면서, 제 1 단자 부재 및 제 2 단자 부재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 신뢰성을 장기간에 걸쳐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에 사용되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일 실시형태(권회되는 형태)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폭방향, 이하 동일함)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을 권회한 상태의 설명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일 실시형태(권회되는 형태)로서의, 도 3에 도시하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의 측단면도로서, (a)는 비조작 상태의 측단면도, (b)는 조작 상태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또, 도 3에서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권회 상태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후술하는 도체 패턴(3)은 생략하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편평한 띠형상으로 형성되는 배선 회로기판이며, 제 1 직선부(9) 및 제 2 직선부(10)와, 제 1 굴곡부(11)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제 1 직선부(9)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의 길이방향 한쪽(이하, 선단측이라고 함)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직선부(9)의 선단부에는, 후술하는 선단측 접속 단자부(6)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직선부(10)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의 길이방향 다른쪽(이하, 후단측이라고 함)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에 있어서 제 1 직선부(9)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직선부(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형상으로 제 1 직선부(9)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직선부(10)의 후단부에는, 후술하는 후단측 접속 단자부(7)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굴곡부(11)는 제 1 직선부(9) 및 제 2 직선부(10)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직선부(9)의 후단부와 제 2 직선부(10)의 선단부에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굴곡부(11)는 길이방향에 있어서 제 1 직선부(9)보다 짧고, 폭방향에 있어서 제 1 직선부(9)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굴곡부(11)는 제 1 직선부(9) 및 제 2 직선부(10)의 길이방향으로 교차하는 경사방향(도 1에 있어서, 좌측 경사 상방 및 우측 경사 하방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이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은, 길이방향 도중에 있어서는, 제 1 직선부(9)의 후단부로부터 경사방향으로 만곡하면서 굴곡하여 제 1 굴곡부(11)의 선단부에 이르고, 제 1 굴곡부(11)의 후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만곡하면서 굴곡하여 제 2 직선부(10)의 선단부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절연층(2)과, 베이스 절연층(2)상에 형성되는 도체 패턴(3)과, 베이스 절연층(2)상에 형성되는 보강층(8)과, 베이스 절연층(2)상에, 도체 패턴(3) 및 보강층(8)을 피복하도록 형성되는 커버 절연층(4)을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절연층(2)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의 외형형상에 대응하여, 편평한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직선부(9), 제 1 굴곡부(11) 및 제 2 직선부(10)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 절연층(2)의 두께는, 예컨대 5∼50㎛, 바람직하게는 10∼30㎛이다. 또한, 베이스 절연층(2)의 폭(폭방향 길이, 이하 동일함)은, 예컨대 1∼40㎜, 바람직하게는 5∼20㎜이며, 길이(길이방향 길이, 이하 동일함)는, 예컨대 10∼300㎜, 바람직하게는 20∼80㎜이다.
도체 패턴(3)은, 배선(5)과, 배선(5)에 접속되는 선단측 접속 단자부(6) 및 후단측 접속 단자부(7)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고, 배선(5)과 선단측 접속 단자부(6) 및 후단측 접속 단자부(7)가 베이스 절연층(2)상에 놓여서 배선 회로 패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배선(5)은,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직선부(9)[선단측 접속 단자부(6)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함], 제 1 굴곡부(11) 및 제 2 직선부(10)[후단측 접속 단자부(7)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함]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배선(5)은 폭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4개) 병렬 배치되어 있다.
선단측 접속 단자부(6)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의 제 1 직선부(9)의 선단부에 배치되고, 폭방향을 따라서 서로 간격을 두고서 병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선단측 접속 단자부(6)는 각 배선(5)의 선단부가 각각 접속되도록 복수(4개) 마련되어 있다. 이 선단측 접속 단자부(6)에는, 후술하는 휴대 전화(21)의 상측 커넥터(26)(도 4 참조)가 접속되는 후단측 접속 단자부(7)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의 제 2 직선부(10)의 후단부에 배치되고, 폭방향을 따라서 서로 간격을 두고서 병렬 배치되어 있다. 또한, 후단측 접속 단자부(7)는 각 배선(5)의 후단부가 각각 접속되도록 복수(4개) 마련되어 있다. 이 후단측 접속 단자부(7)에는, 후술하는 휴대 전화(21)의 하측 커넥터(27)(도 4 참조)가 접속된다.
또한, 각 선단측 접속 단자부(6)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른 선단측 접속 단자부(6)의 폭방향 중심과, 각 후단측 접속 단자부(7)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른 후단측 접속 단자부(7)의 폭방향 중심은 폭방향에 있어서 어긋나 있다.
또, 이하 선단측 접속 단자부(6) 및 후단측 접속 단자부(7)는 특별히 구별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단지 단자부(30)로서 설명한다.
보강층(8)은,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의 길이방향 도중에 있어서, 폭방향양단부에 배치되는 선의 패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강층(8)은 제 1 직선부(9)[선단측 접속 단자부(6)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함], 제 1 굴곡부(11) 및 제 2 직선부(10)[후단측 접속 단자부(7)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함]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보강층(8)은, 도체 패턴(3)의 폭방향 최외측의 배선(5)의 양쪽 외측에 있어서, 그 폭방향 최외측의 배선(5)과 간격을 두고서 2개 마련되어 있다.
도체 패턴(3) 및 보강층(8)의 두께는 동일하여, 예컨대 3∼30㎛, 바람직하게는 5∼20㎛이다. 또한, 도체 패턴(3)에 있어서, 각 배선(5)의 폭은, 예컨대 10∼ 100㎛, 바람직하게는 30∼50㎛이며, 각 배선(5) 사이의 간격은, 예컨대 10∼100㎛, 바람직하게는 30∼55㎛이며, 각 배선(5)의 길이는, 예컨대 10∼300㎜, 바람직하게는 20∼80㎜이다. 또한, 단자부(30)의 길이는, 예컨대 3∼200㎜, 바람직하게는 50∼100㎜이다. 또한, 각 보강층(8)의 폭은, 예컨대 10∼500㎛, 바람직하게는 30∼200㎛이며, 보강층(8)과 그것에 인접하는 배선(5) 사이의 길이는, 예컨대 10∼300㎛, 바람직하게는 30∼200㎛이며, 보강층(8)과 그것에 근접하는 베이스 절연층(2)의 단부 가장자리 사이의 길이는, 예컨대 20∼300㎛, 바람직하게는 50∼200㎛이다.
커버 절연층(4)은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의 외형형상에 대응하여, 편평한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버 절연층(4)은, 폭방향에 있어서는 그 폭방향 양단 가장자리가 평면에서 보아 베이스 절연층(2)의 폭방향 양단 가장자리와 동일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커버 절연층(4)은, 길이방향에 있어서는 그 길이방향 양단 가장자리가 베이스 절연층(2)의 길이방향 양단 가장자리보다도 약간 짧아지도록 배치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제 1 직선부(9)[선단측 접속 단자부(6)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함], 제 1 굴곡부(11) 및 제 2 직선부(10)[후단측 접속 단자부(7)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함]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커버 절연층(4)은 배선(5) 및 보강층(8)을 피복하고, 또한 단자부(30)를 노출시키고 있다.
또한, 커버 절연층(4)의 두께는, 예컨대 5∼50㎛, 바람직하게는 10∼30㎛이다.
또, 상기의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예컨대, 우선 베이스 절연층(2)을 폴리이미드 수지 등의 절연 재료의 필름으로 형성하고, 다음에 도체 패턴(3) 및 보강층(8)을, 서브트랙티브(subtractive)법이나 애디티브(additive)법 등의 공지의 패터닝법에 의해, 동등의 도체 재료로 베이스 절연층(2)상에 상술한 패턴으로 동시에 형성한다. 이어서, 커버 절연층(4)을, 폴리이미드 수지 등의 절연 재료로부터 베이스 절연층(2)상에 상술한 패턴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이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은, 다음에 설명하는 휴대 전화(21)[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의 접속 구조체]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 도중이 권회되어 있다.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을 권회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제 1 직선부(9)의 선단부에 대하여, 도 1에 도시하는 폭방향(C1)을 중심으로 하여, 제 2 직선부(10)의 후단부를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시킨다. 이로써, 권회 부분은 길이방향으로 교차하는 경사방향(도 3에 있어서, 좌측 경사 상방 및 우측 경사 하방의 방향)을 따라 나선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이 권회는 최저 1회 권회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복수회 권회한다. 이 권회에서는, 제 2 직선부(10)가 제 1 직선부(9)에 대하여 폭방향 한쪽(도 3에 있어서 우측)으로 어긋나면서 회전된다.
각 권회 부분의 양단부는 서로 교차하여 다른 방향, 즉 서로 이격하는 방향에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은, 예컨대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을 상측 커넥터(26) 및 하측 커넥터(27)에 접속하기 직전에 권회하거나, 또는 미리 권회한다.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을 미리 권회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환봉에 제조 직후의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을 장력을 가하면서 권취하는 방법, 예컨대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의 제조에 있어서, 베이스 절연층(2)의 선팽창 계수 및 커버 절연층(4)의 선팽창 계수를 서로 상이하게 하는 방법 등이 이용된다.
베이스 절연층(2)의 선팽창 계수 및 커버 절연층(4)의 선팽창 계수를 서로 상이하게 하는 방법으로는, 도시하지 않지만, 예컨대 복수의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이 정렬 배치된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 시트를 제조할 때에, 절연 재료의 선팽창 계수를 서로 상이하게 한 베이스 절연층(2) 및 커버 절연층(4)을 형성한다. 그 후,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 시트로부터 각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을 절취하면, 각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은 자연히 권회된다.
또, 이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이 권회되는 회수는, 평면에서 보아 표면측으로 노출되는 후단측 접속 단자부(7)가 표면측으로 노출되는 선단측 접속 단자부(6)에 대하여 360° 권회되어서, 그 후단측 접속 단자부(7)가 다시 표면측으로 노출되도록 권회될 때를 1회로 했을 경우에, 도 3에 있어서는, 예컨대 3회 권회되어 있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1회 이상이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2회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10회로 설정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접속 구조체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휴대 전화(21)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휴대 전화(21)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도 4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박형의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로서, 제 1 지지 부재로서의 상측 하우징(22)과, 제 2 지지 부재로서의 하측 하우징(23)과,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을 구비하고 있다.
상측 하우징(22)은, 평판 대략 장방형 형상을 하고, 그 상면에 있어서, 액정 표시부(28)를 구비하는 동시에, 액정 표시부(28)의 액정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상측 기판(24)을 내장하고 있다.
상측 기판(24)은 상측 기판(24)의 하면에 마련되는 제 1 단자 부재로서의 상측 커넥터(26)를 구비하고 있다. 상측 커넥터(26)는 상측 기판(24)의 길이방향 일단부(도 4에 있어서의 우측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하측 하우징(23)은, 상측 하우징(22)과 두께방향(상하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 전화(21)의 비조작시에는, 상측 하우징(22)과 서로 중첩되도록 평면에서 보아 동일 형상의 평판 대략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하측 하우징(23)은, 그 길이방향 일단측의 상면에 있어서, 조작 패널부(29)를 구비하는 동시에, 조작 패널부(29)의 조작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하측 기판(25)을 내장하고 있다.
하측 기판(25)은, 휴대 전화(21)의 비조작시에는, 상측 기판(24)과 두께방향에 있어서 대향 배치되어 있고, 하측 기판(25)의 상면에 마련되는 제 2 단자 부재로서의 하측 커넥터(27)를 구비하고 있다. 하측 커넥터(27)는 하측 기판(25)의 길이방향 일단부(도 4에 있어서의 우측 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휴대 전화(21)의 비 조작시에는, 상측 기판(24)의 상측 커넥터(26)와 두께방향에 있어서 대향 배치된다.
또한, 하측 하우징(23)은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상측 하우징(22)에 연결되어 있고, 하측 하우징(23)은 상측 하우징(22)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하측 커넥터(27)는 상측 커넥터(26)에 대하여 근접 및 이격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은, 상술한 권회 상태에 있어서, 선단측 접속 단자(6)(도 1 참조)가 상측 커넥터(26)에 접속되고, 후단측 접속 단자(7)(도 1 참조)가 하측 커넥터(27)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은, 상측 하우징(22)과 하측 하우징(23) 사이에 있어서, 그 길이방향 도중이 권회되도록 마련되어, 상측 커넥터(26) 및 하측 커넥터(27)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이 휴대 전화(21)는, 비조작시에는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 하우징(22) 및 하측 하우징(23)이 두께방향에 있어서 겹쳐서, 평면에서 보아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사용 개시시에는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 하우징(23)을 상측 하우징(22)에 대하여 길이방향 한쪽을 향해서 슬라이딩시켜서, 하측 하우징(23)의 조작 패널부(29)를 상측 하우징(22)으로부터 노출시킨다. 이 하측 하우징(23)의 슬라이딩에 의해, 하측 커넥터(27)가 상측 커넥터(26)에 대하여 이격하도록 길이방향 한쪽을 향해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이 길이방향을 따라 신장한다.
한편, 휴대 전화(21)의 사용 종료후에는,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 하우징(23)을 상측 하우징(22)에 대하여 길이방향 다른쪽을 향해서 슬라이딩시켜서, 하측 하우징(23)의 조작 패널부(29)를 상측 하우징(22)에 의해 피복시킨다. 이 하측 하우징(23)의 슬라이딩에 의해, 하측 커넥터(27)가 상측 커넥터(26)에 대하여 근접하도록 길이방향 다른쪽을 향해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이 길이방향을 따라 수축한다.
그리고, 이 휴대 전화(21)에서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은 하측 커넥터(27)가 상측 커넥터(26)에 대하여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이동 방향, 즉 길이방향 도중에 있어서 권회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하측 하우징(23)이 상측 하우징(22)에 대하여 길이방향 한쪽을 향해서 이격하도록 슬라이딩했을 때, 즉 하측 커넥터(27)가 상측 커넥터(26)에 대하여 길이방향 한쪽을 향해서 이격하도록 직선적으로 이동했을 때에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은 길이방향 도중의 권회 부분이 전체적으로 곡률 반경이 작아지면서 신장한다.
한편, 하측 하우징(23)이 상측 하우징(22)에 대하여 길이방향 다른쪽을 향해서 근접하도록 슬라이딩했을 때, 즉, 하측 커넥터(27)가 상측 커넥터(26)에 대하여 길이방향 다른쪽을 향해서 직선적으로 이동했을 때에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은 길이방향 도중의 권회 부분이 전체적으로 곡률 반경이 커지면서 수축한다.
그 때문에,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의 국소적인 피로를 회피하여, 계속 사용에 의한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의 도체 패턴(3)의 단선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권회 부분의 곡률 반경을 작게 하여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으면서, 상측 커넥터(26) 및 하측 커넥터(27)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 신뢰성을 장기간에 걸쳐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에서는, 보강층(8)에 의해,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의 길이방향 도중에 있어서의 보강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권회 부분을 신축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의 도체 패턴(3)의 단선을 보다 한층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휴대 전화(21)에서는, 하측 하우징(23)의 상측 하우징(22)에 대한 슬라이딩에 의해, 하측 커넥터(27)가 상측 커넥터(26)에 대하여 확실하게 직선적으로 이동한다. 그 때문에, 하측 커넥터(27)의 상측 커넥터(26)에 대한 직선적인 이동을 확실하게 확보하면서,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의 접속 신뢰성을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측 커넥터(27)가 상측 커넥터(26)에 대하여 직선적으로 이동했을 때에, 권회 부분이 이동 방향, 즉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하므로,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이 이동에 의해 받는 응력을 효율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국소적인 피로에 의한 도체 패턴(3)의 단선을 보다 한층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상측 커넥터(26)를 상측 기판(24)의 길이방향 일 단부에 마련하고, 하측 커넥터(27)를 하측 기판(25)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마련했지만, 각 커넥터의 배치는 이것에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상측 커넥터(26) 및 하측 커넥터(27)를 모두 길이방향 타단부에 마련하거나, 상측 커넥터(26)를 길이방향 일단부에 마련하고, 또한 하측 커넥터(27)를 길이방향 타단부에 마련하거나, 또는 상측 커넥터(26)를 길이방향 타단부에 마련하고, 또한 하측 커넥터(27)를 길이방향 일단부에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상측 커넥터(26) 및/또는 하측 커넥터(27)를 길이방향 도중에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하측 하우징(23)을 상측 하우징(22)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했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상측 하우징(22)을 하측 하우징(23)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해도 좋거나, 또는 상측 하우징(22) 및 하측 하우징(23)을 함께 하측 하우징(23) 및 상측 하우징(22)에 대하여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에 보강층(8)을 마련했지만,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의 용도 및 목적에 따라, 보강층(8)을 마련하는 일없이,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보강층(8)을 마련하지 않을 경우에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의 제조 공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어,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을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전자기기로서, 휴대 전화(21)를 예시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노트북, 전자사전, 개인용 휴대용 정보단말(PDA) 등의 슬라이드식의 각종 전자기기 등을 들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에 사용되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다른 실시형태(비틀어지는 형태)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을 비튼 상태의 설명도를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다른 실시형태(비틀어지는 형태)로서의, 도 6에 도시하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의 측단면도로서, (a)는 비조작 상태의 측단면도, (b)는 조작 상태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8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다른 실시형태(내측 하우징이 외측 하우징내에 수용되는 형태)로서의, 도 6에 도시하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의 측단면도로서, (a)는 비조작 상태의 측단면도, (b)는 조작 상태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또, 상술한 각부에 대응하는 부재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8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 6에서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비틀림 상태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 도체 패턴(3)은 생략하고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에는, 굴곡부로서 제 1 굴곡부(9)를 1개 형성하고,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을 권회했지만,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컨대 제 1 굴곡부(9)에 부가하여, 또한 2개의 굴곡부로서 제 2 굴곡부(12) 및 제 3 굴곡부(13)를 형성하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을 비틀 수도 있다.
도 5에 있어서, 이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은, 제 1 직선부(9) 및 제 2 직선부(10)와, 제 1 굴곡부(11), 제 2 굴곡부(12) 및 제 3 굴곡부(13)를 일체적으 로 구비하고 있다.
제 2 굴곡부(12)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의 선단부에 배치되고, 제 1 직선부(9)의 선단부와 연속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교차하는 경사방향에 있어서, 제 1 굴곡부(11)의 경사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굴곡부(12)의 선단부에는, 선단측 접속 단자부(6)가 형성되어 있다.
제 3 굴곡부(13)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의 후단부에 배치되고, 제 2 직선부(10)의 후단부와 연속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교차하는 경사방향에 있어서, 제 1 굴곡부(11)의 경사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3 굴곡부(13)의 후단부에는, 후단측 접속 단자부(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은, 그 선단측에 있어서는, 제 1 직선부(9)의 선단부로부터 경사방향으로 만곡하면서 굴곡하여 제 2 굴곡부(12)의 후단부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의 후단측에 있어서는, 제 2 직선부(10)의 후단부로부터 경사방향으로 만곡하면서 굴곡하여 제 3 굴곡부(13)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선단측 접속 단자부(6)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른 선단측 접속 단자부(6)의 폭방향 중심과, 각 후단측 접속 단자부(7)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른 후단측 접속 단자부(7)의 폭방향 중심은 상술한 경사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에서 어긋나 있다.
그리고, 이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 도중이 비틀어져 있다.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을 비틀기 위해서는, 예컨대 제 1 직선부(9)의 선단부에 대하여 제 2 직선부(10)의 후단부를 도 5에 도시하는 길이방향(C2)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시킨다. 이로써, 비틀림 부분은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비틀림은 최저 1회 비틀어지지만, 바람직하게는 복수회 비튼다.
각 비틀림 부분에 있어서의 양단부는 서로 다른 방향, 즉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을 비트는 방법은, 상술한 권회 방법과 동일한 방법이 이용된다. 또한,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을 비트는 회수에 대해서는 상술한 권회의 회수와 동일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접속 구조체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다른 실시형태로서의 휴대 전화(21)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은 상술한 비틀림 상태에서 상측 커넥터(26) 및 하측 커넥터(27) 사이를 접속한다. 이에 의해,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은 상측 하우징(22)과 하측 하우징(23) 사이에서 그 길이방향 도중이 비틀어지도록 마련되어, 상측 커넥터(26) 및 하측 커넥터(27)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이 휴대 전화(21)에서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은 하측 커넥 터(27)가 상측 커넥터(26)에 대하여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이동 방향, 즉 길이방향 도중에 있어서 비틀어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하측 하우징(23)이 상측 하우징(22)에 대하여 길이방향 한쪽을 향해서 이격하도록 슬라이딩했을 때, 즉 하측 커넥터(27)가 상측 커넥터(26)에 대하여 길이방향 한쪽을 향해서 직선적으로 이격하도록 이동했을 때에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은 길이방향 도중의 비틀림 부분이 전체적으로 곡률 반경이 작아지면서 신장한다.
한편, 하측 하우징(23)이 상측 하우징(22)에 대하여 길이방향 다른쪽을 향해서 근접하도록 슬라이딩했을 때, 즉 하측 커넥터(27)가 상측 커넥터(26)에 대하여 길이방향 다른쪽을 향해서 직선적으로 이동했을 때에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은 길이방향 도중의 비틀림 부분이 전체적으로 곡률 반경이 커지면서 수축한다.
그 때문에,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의 국소적인 피로를 회피하여, 계속 사용에 의한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의 도체 패턴(3)의 단선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비틀림 부분의 곡률 반경을 작게 하여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으면서, 상측 커넥터(26) 및 하측 커넥터(27)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 신뢰성을 장기간에 걸쳐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에서는, 보강층(8)에 의해,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비틀림 부분을 신축시킬 수 있다. 그 때문 에,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의 도체 패턴(3)의 단선을 보다 한층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휴대 전화(21)의 비조작시에는, 하측 하우징(23)을 상측 하우징(22)의 하측에 배치하도록 마련했지만, 예컨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지지 부재로서의 내측 하우징(32)을 제 1 지지 부재로서의 외측 하우징(31)내에 수용하도록 마련할 수도 있다.
도 8에 있어서, 이 휴대 전화(21)는 외측 하우징(31)과, 내측 하우징(32)과,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을 구비하고 있다.
외측 하우징(31)은 길이방향 한쪽이 개방되는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측 하우징(31)은, 상부벽과, 하부벽과, 이들 상부벽 및 하부벽의 주연부를 연결하는 측벽을 구비하고 있고, 길이방향 한쪽측의 측벽이 개방되어 있다. 외측 하우징(31)에는, 상부벽과 하부벽 사이에, 다음에 설명하는 내측 하우징(32)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 하우징(31)은 상부벽의 상면에 액정 표시부(28)를 구비하는 동시에, 외측 하우징(31)내의 길이방향 다른쪽에 배치되는 상측 기판(24)을 내장하고 있다.
상측 기판(24)은 상측 기판(24)의 하면에 마련되는 상측 커넥터(26)를 구비하고 있다.
상측 커넥터(26)는 상측 기판(24)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내측 하우징(32)은 길이방향 다른쪽이 개방되는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벽과, 하부벽과, 이들 상부벽 및 하부벽의 주연부를 연결 하는 측벽을 구비하고 있고, 길이방향 다른쪽측의 측벽이 개방되어 있다. 또한, 내측 하우징(32)은 외측 하우징(31)에 수용되는 크기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측 하우징(32)은,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 전화(21)의 비조작시에는, 내측 하우징(32)의 전체가 외측 하우징(31)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이 내측 하우징(32)은 상부벽의 상면에 조작 패널부(29)를 구비하는 동시에, 하측 기판(25)을 내장하고 있다.
하측 기판(25)은, 상측 기판(24)에 대하여, 두께방향에서 겹치지 않도록 길이방향(슬라이드 방향)에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측 기판(25)은 하측 기판(25)의 상면에 마련되는 하측 커넥터(27)를 구비하고 있다.
하측 커넥터(27)는 하측 기판(25)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배치되고, 상측 커넥터(26)와 길이방향에 있어서 대향 배치되어 있다.
또한, 내측 하우징(32)은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외측 하우징(31)에 연결되어 있고, 내측 하우징(32)은 외측 하우징(31)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은 상측 커넥터(26) 및 하측 커넥터(27) 사이를 접속하는 동시에,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의 길이방향 도중이 비틀어져 있다.
그리고, 이 휴대 전화(21)는, 비조작시에는,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하우징(32)이 외측 하우징(31)에 수용되고, 사용 개시시에는,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하우징(32)을 외측 하우징(31)으로부터 인출하도록 슬라이딩시켜서, 내측 하우징(32)의 조작 패널부(29)를 외측 하우징(31)으로부터 노출시킨 다. 이 내측 하우징(32)의 슬라이딩에 의해, 하측 커넥터(27)가 상측 커넥터(26)에 대하여 이격하도록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이 길이방향을 따라 신장한다.
한편, 휴대 전화(21)의 사용 종료후에는,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하우징(32)을 외측 하우징(31)에 수용시키도록 슬라이딩시켜서, 내측 하우징(32)의 조작 패널부(29)를 외측 하우징(31)에 의해 피복시킨다. 이 내측 하우징(32)의 슬라이딩에 의해, 하측 커넥터(27)가 상측 커넥터(26)에 대하여 근접하도록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이 길이방향을 따라 수축한다.
이 휴대 전화(21)에서는, 비조작시에는, 내측 하우징(32)을 외측 하우징(31)내에 수용하는 동시에, 상측 기판(24) 및 하측 기판(25)을 두께방향에 있어서 겹치지 않게 길이방향에 대향하도록 마련하므로, 휴대 전화(21)의 박형화를 보다 한층 도모할 수 있으면서, 상측 커넥터(26) 및 하측 커넥터(27)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 신뢰성을 장기간에 걸쳐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1)을, 한면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을 예시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양면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 다층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 등의 각종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의 실시형태로서 제공했지만, 이것은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명확한 본 발명의 변형예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에 사용되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일 실시형태(권회되는 형태)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폭방향을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을 권회한 상태의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일 실시형태(권회되는 형태)로서의, 도 3에 도시하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의 측단면도로서, (a)는 비조작 상태의 측단면도, (b)는 조작 상태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에 사용되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다른 실시형태(비틀어지는 형태)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을 비튼 상태의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다른 실시형태(비틀어지는 형태)로서의, 도 6에 도시하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의 측단면도로서, (a)는 비조작 상태의 측단면도, (b)는 조작 상태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다른 실시형태(내측 하우징이 외측 하우징내에 수용되는 형태)로서의, 도 6에 도시하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의 측단면도로서, (a)는 비조작 상태의 측단면도, (b)는 조작 상태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 2 : 베이스 절연층
3 : 도체 패턴 4 : 커버 절연층
5 : 배선 6, 7 : 접속 단자부
8 : 보강층 9, 10 : 제 1 및 제 2 직선부
11, 12, 13 : 제 1 내지 제 3 굴곡부
21 : 휴대 전화(전자기기) 22 : 상측 하우징(제 1 지지 부재)
23 : 하측 하우징(제 2 지지 부재) 26 : 상측 커넥터(제 1 단자 부재)
27 : 하측 커넥터(제 2 단자 부재)

Claims (5)

  1. 제 1 단자 부재와, 제 2 단자 부재와, 상기 제 1 단자 부재 및 상기 제 2 단자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체 패턴을 갖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단자 부재 및 상기 제 2 단자 부재는 적어도 한쪽이 다른쪽에 대해 근접 및 이격하도록 직선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은 상기 이동 방향 도중에 있어서 권회되거나 또는 비틀어지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이, 상기 이동 방향 도중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보강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 부재를 지지하는 제 1 지지 부재와, 상기 제 2 단자 부재를 지지하는 제 2 지지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 2 지지 부재는 적어도 한쪽이 다른쪽에 대 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에 있어서의 권회 부분 또는 비틀림 부분이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서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
  5. 제 1 단자 부재를 지지하는 제 1 지지 부재와, 제 2 단자 부재를 지지하는 제 2 지지 부재와, 상기 제 1 단자 부재 및 상기 제 2 단자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체 패턴을 갖는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 2 지지 부재는 적어도 한쪽이 다른쪽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은 상기 슬라이드 방향 도중에 있어서 권회되거나 또는 비틀어지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80009442A 2007-01-31 2008-01-30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 및 전자기기 KR200800719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21958A JP2008187154A (ja) 2007-01-31 2007-01-31 フレキシブル配線回路基板の接続構造および電子機器
JPJP-P-2007-00021958 2007-01-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920A true KR20080071920A (ko) 2008-08-05

Family

ID=39668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442A KR20080071920A (ko) 2007-01-31 2008-01-30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41488B2 (ko)
JP (1) JP2008187154A (ko)
KR (1) KR20080071920A (ko)
CN (1) CN10123774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4797B2 (en) * 2007-04-27 2011-08-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ape drive with a clamping mechanism coupled to a flexible circuit
TW201023598A (en) * 2008-12-12 2010-06-16 Asustek Comp Inc Electronic device
JP2011086689A (ja) * 2009-10-14 2011-04-28 Sumitomo Electric Printed Circuit Inc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の取付構造及び電子機器
JP5195767B2 (ja) * 2010-01-05 2013-05-15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US8862190B2 (en) * 2010-02-15 2014-10-14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upper housing and cover plate therefor
JP5567879B2 (ja) * 2010-03-29 2014-08-06 京セラ株式会社 スライド式携帯電子機器
JP5284308B2 (ja) * 2010-04-19 2013-09-11 日本メクトロン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263345A (zh) * 2010-05-24 2011-11-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连接件
JP5682238B2 (ja) * 2010-11-05 2015-03-11 富士通株式会社 スライド式無線端末装置
KR101055508B1 (ko) * 2010-12-31 2011-08-08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모터
JP6029262B2 (ja) * 2011-04-26 2016-11-24 日本メクトロン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回路体
WO2013008632A1 (ja) * 2011-07-11 2013-01-17 日本電気株式会社 圧電振動センサ
KR101669396B1 (ko) * 2012-01-20 2016-10-25 아사히 가세이 이-매터리얼즈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조성물, 적층체, 다층 프린트 배선판 및 다층 플렉시블 배선판 및 그 제조 방법
US8895865B2 (en) * 2012-09-07 2014-11-25 Conor P. Lenahan Conductive connections allowing XYZ translation
US9674949B1 (en) * 2013-08-27 2017-06-06 Flextronics Ap, Llc Method of making stretchable interconnect using magnet wires
US9338915B1 (en) 2013-12-09 2016-05-10 Flextronics Ap, Llc Method of attaching electronic module on fabrics by stitching plated through holes
US10015880B1 (en) 2013-12-09 2018-07-03 Multek Technologies Ltd. Rip stop on flex and rigid flex circuits
TWI622328B (zh) * 2014-03-03 2018-04-21 Stretchable flexible circuit board
US9723713B1 (en) 2014-05-16 2017-08-01 Multek Technologies, Lt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inge
JP6264363B2 (ja) * 2015-12-03 2018-01-24 Smk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タッチパネルおよび電子機器
JP6105104B1 (ja) * 2016-02-03 2017-03-2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フラットケーブルの配線構造
WO2017156730A1 (en) * 2016-03-16 2017-09-21 Dresser, Inc. Expanding functions of a process device
US10109939B2 (en) * 2016-03-16 2018-10-23 Rosemount Aerospace Inc. Flex circuit connector configuration
JP2018116809A (ja) * 2017-01-17 2018-07-2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US10697567B2 (en) * 2017-09-25 2020-06-30 Baker Hughes, A Ge Company, Llc Flexible device and method
CN108419384B (zh) * 2018-05-14 2020-07-10 皆利士多层线路版(中山)有限公司 半弯折印刷线路板及其制作方法
CN108495488B (zh) * 2018-05-23 2019-06-21 深圳市汇芯线路科技有限公司 一种多层印刷线路板的制作方法
CN108650780B (zh) * 2018-05-23 2019-07-16 深圳市爱升精密电路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印刷电路板
JP7486042B2 (ja) * 2019-02-14 2024-05-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配線基板及び配線基板の製造方法
KR20230130203A (ko) * 2022-03-02 2023-09-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8122A (en) * 1973-05-29 1974-06-18 Schjeldahl Co G T Flexible printed circuit interconnecting cable
US4715928A (en) * 1985-09-27 1987-12-29 Hamby Bill L Flexible printed circuits and methods of fabricating and forming plated thru-holes therein
WO2002003764A1 (fr) 2000-06-30 2002-01-10 Sanyo Electric Co., Ltd. Carte de circuit imprime souple et terminal telephonique cellulaire pliable
KR100417248B1 (ko) 2001-03-22 2004-02-0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을 이용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
US7409236B1 (en) * 2005-08-25 2008-08-05 Kyocera Wireless Corp.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xtendable visual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82435A1 (en) 2008-07-31
US7641488B2 (en) 2010-01-05
JP2008187154A (ja) 2008-08-14
CN101237743A (zh) 200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1920A (ko) 플렉시블 배선 회로기판의 접속 구조체 및 전자기기
JP5172285B2 (ja) ハーネス一体型スライドヒンジ及びスライド型電子機器
US201200089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optical fibers in flexible circuits
US841658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wiring harness having a flat U-shape
JP4661428B2 (ja) 同軸ケーブル接続構造
EP1953768A2 (en) Electronic device and harness for wiring electronic device
JP4168079B2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におけるハーネスの配線方法
JP2006324406A (ja) フレックスリジッド多層配線板
US20110244723A1 (en) Connection structure of coaxial harness
CN101843182B (zh) 滑动式电子设备的线缆配线构造以及电子设备配线用线束
KR20120088531A (ko)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및 그 제조 방법
JP5177054B2 (ja) 情報端末装置
JP5128141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配線用ハーネス
JP3992470B2 (ja) ケーブル部を有する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US20100157548A1 (en) Foldable electrical devices
JP2010040929A (ja) 電子機器及び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JP2008532240A (ja) 同軸ケーブルのプリント回路基板接続構造
JP3990389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および電子装置
JP4907328B2 (ja) プリント配線基板、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4394495B2 (ja) 携帯端末装置
JP2007265761A (ja) 配線装置
JP5463953B2 (ja) 細径同軸ケーブル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09522U (ko) 소경 동축 케이블 하네스
KR101171665B1 (ko)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및 기판이 붙어 있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KR100782435B1 (ko) 두 축을 둘러싸는 인쇄 회로 라인들을 구비한 플랙시블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