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1384A -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1384A
KR20080071384A KR1020070009551A KR20070009551A KR20080071384A KR 20080071384 A KR20080071384 A KR 20080071384A KR 1020070009551 A KR1020070009551 A KR 1020070009551A KR 20070009551 A KR20070009551 A KR 20070009551A KR 20080071384 A KR20080071384 A KR 20080071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sonic signal
ultrasonic
signal generator
signal
genera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0792B1 (ko
Inventor
고도영
이재준
Original Assignee
(주)펜앤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펜앤프리 filed Critical (주)펜앤프리
Priority to KR1020070009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0792B1/ko
Publication of KR20080071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0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0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 G06F3/043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in which the acoustic waves are either generated by a movable member and propagated within a surface layer or propagated within a surface layer and captured by a movable memb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Characterised By Use Of Acous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는 복수의 초음파신호 발생부가 발생시킨 고주파수의 초음파신호가 중첩되어 증폭되도록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초음파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초음파신호의 세기를 증가시켜 도달 거리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술한 구성적 특징으로 인해서, 초음파신호의 세기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크기가 크며 주파수가 낮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초래되는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Device for generating the signals used for position tracing and the system including the same}
도 1 은 종래의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라서 도 2 의 가이드부가 도 2 의 본체부에 결합된 경우에 가이드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라서 생성된 초음파신호의 파형과, 각 초음파신호가 중첩되어 증폭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입력 시스템의 전체 구성과 입력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입력 시스템의 전체 구성과 입력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 및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의 위치를 추적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위치 추적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위치 추적 입력 장치란, 사용자가 움직이는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의 위치를 인식하여, 신호 발생 장치의 위치 및 궤적에 따른 정보를 입력하는 것으로서, 현재로서는 입력펜으로 구현되는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와 함께 자연 필기 입력 시스템으로서 구현되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 및 위치 추적 입력 장치가 자연 필기 입력 시스템으로 구현된 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들을 설명한다.
자연 필기 입력 시스템은 테이블릿 PC 상의 자연 필기 인식 방식과 달리, 입력펜에서 생성되는 기준 신호와 초음파 신호가 자연 필기 입력 장치에 수신되는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입력펜의 좌표를 인식하고, 입력펜의 이동 좌표를 연결함으로써 입력펜의 궤적을 인식하여 입력한다. 이 때, 기준 신호로서는 적외선(IR) 또는 무선 주파수 신호(RF) 또는 전자기 유도 신호(EM)를 사용한다.
종래의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 구성을 도 1 에 도시하였다. 도 1 를 참조하면, 종래의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는 펜타입으로 구현되어 입력펜의 본체부(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 기준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준신호 발생부(13), 및 초음파 신호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17), 기준신호 발생부(13)와 초음파 발생부(17)를 제어하는 제어부(11)를 포함한다.
아울러, 사용자가 실제로 종이위에 기록할 수 있도록 내부에 잉크를 포함하는 펜심부(19), 또는 단순히 사용자의 필기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체부의 중심을 관통하는 펜심부(19)를 포함하고, 펜심부(19)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초음파 발생부(17)를 관통하며, 외부 하우징부가 초음파 발생부(17) 및 펜심부(19)를 둘러싸며 본체부와 결합된다. 이 때, 초음파 발생부(17)는 피에조 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부(20)는 초음파 발생부(17)가 생성한 초음파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둘레에 관통부(2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의 초음파 발생부(17)에서 생성된 초음파 신호의 도달 거리는 초음파 신호의 출력이 클수록 길어진다.
따라서, 입력 시스템의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가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와 근거리에 있는 경우에는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초음파 신호의 크기가 크게 문제되지 않으나,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가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초음파 신호가 초음파 신호 수신부까지 도달하지 않아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의 위치를 정확하게 추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초음파 신호의 출력을 크게하기 위한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초음파 신호의 출력을 크게 하려면 초음파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펜심부(19) 둘레를 감싸는 피에조 필름의 길이가 길어지고, 이에 비례하여 입력펜으로서 구현되는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져 사 용자들이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초음파 신호의 도달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는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입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되어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각각 초음파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초음파신호 발생부; 복수의 초음파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초음파신호들이 상호 중첩되어 증폭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복수의 초음파신호 발생부로 각각 출력하는 제어부; 및 초음파신호가 방출되도록 방출부가 형성되고, 복수의 초음파신호 발생부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초음파신호 발생부가 지지되는 본체부와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제어부는 중첩된 초음파신호가 방출부를 통해서 방출되도록, 방출부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된 초음파신호 발생부부터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입력 시스템은, 소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되어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각각 초음파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초음파신호 발생부와, 초음파신호가 방출되도록 방출부가 형성되고, 복수의 초음파신호 발생부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초음파신호 발생부가 지지되는 본체부와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 및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시간 주기로 복수의 초음파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초음파신호들이 상호 중첩되어 증폭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복수의 초음파신호 발생부로 각각 출력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는 물리적으로 크게 본체부(200)와 본체부(200)와 결합되는 가이드부(300)로 구성된다.
본체부(200)에는 전원부(230), 초음파신호 생성부(240), 기준신호 발생부(220), 제어부(210), 및 펜심부(250)가 설치된다. 전원부(230)는 초음파신호 생성부(240), 기준신호 발생부(220), 및 제어부(210)로 전원을 공급하고, 기준신호 발생부(220)는 전원을 공급받아 제어부(210)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서 기준신호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기준신호로서는 적외선 신호(IR) 또는 무선 주파수(RF) 혹은 전자기 유도 신호(EM)가 이용될 수 있다.
펜심부(250)는 일반적인 펜을 이용한 필기감만을 제공하도록 초음파신호 생성부(240)의 말단에 형성될 수 있고, 실제로 사용자가 필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내부에 잉크를 포함하여 초음파신호 생성부(240)를 관통하여 본체부(200) 내부로 삽입될 수도 있다.
초음파신호 생성부(240)는 제어부(210)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진동에 의해서 초음파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초음파신호 발생부(240a,240b), 펜심부(250)가 수납될 수 있도록 중심에 실린더 형상의 공간이 형성된 심부(242), 및 가이드부(300)의 내면과 밀착되어 가이드부(300) 내에서 초음파신호 발생부(24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지지부(2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초음파신호 발생부(240a,240b) 각각은 일정한 거리(L1)만큼 서로 이격되어, 심부(242)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거나 심부(242)의 일정 영역에만 설치된다. 복수의 초음파신호 발생부(240a,240b) 각각은 제어신호에 따라서 전원부(230)로부터 인가된 전기 에너지를 진동으로 변환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피에조 필름과 같은 압전 소자로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도 2에는 2개의 초음파신호 발생부(240a,240b)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3이상의 초음파신호 발생부도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때, 각각 초음파신호 발생부는 서로 다른 이격 거리로 배치될 수도 있으나, 동일한 이격 거리마다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신호 생성부(240)는 사용자가 입력펜을 이용하여 필기 수행시 지면과 가깝게 위치(예컨대, "입력펜의 하단")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어부(210), 기준신호 발생부(220), 및 전원부(230)의 위치는 본체부(200)내에서 임의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300)는 그 내부에 초음파신호 생성부(240)를 수용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수용된 초음파신호 생성부(240)를 감싸면서 본체부(200)와 결합된다.
가이드부(300)는 하부 가이드부(310)와 상부 가이드부(320)로 구성되는데, 상부 가이드부(320)의 단면은 본체부(200)와 끼움 결합, 나사 결합 또는 접착 결합의 방식으로 본체부(2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부 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가이드부(310)의 외주면에는 가이드부(300) 내부에 수용된 초음파신호 발생부(240a,240b)에서 발생된 초음파 신호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방출부(330)가 형성되어 있다. 방출부(330)의 길이는 지면과 가장 가깝도록 설치된 초음파신호 발생부(최하단 초음파신호 발생부:240a) 전체가 외부에서 관찰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최하단 초음파신호 발생부(240a)에서 발생된 초음파 신호는 초음파신호 생성부(240)와 가이드부(300)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 경로를 따라 진행함이 없이 직접 공기중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부 가이드부(320)는 내부에서 수용된 초음파신호 발생부(상단 초음파신호 발생부;240b)에서 발생된 초음파신호가 방출부(330)를 통해서 방출되도록 상단 초음파신호 발생부(240b)와의 사이에 가이드 경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단 초음파신호 발생부(240b)에서 발생된 초음파 신호는 가이드 경로를 따라서 지면 방향으로 하강하여 방출부(300)를 통해서 공기중으로 방출된다.
이 때, 초음파신호 생성부(240)에 3이상의 초음파신호 발생부가 설치된 경우에, 지면 방향의 말단에 배치된 최하단 초음파신호 발생부를 제외한 나머지 초음파신호 발생부는 상부 가이드(320)에 의해서 감싸지도록 수용되고, 이들 초음파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초음파신호들은 가이드 경로를 따라서 방출부(330)로 진행하여 공기중으로 방출된다.
한편, 제어부(210)는 소정의 시간 주기마다 초음파신호 생성부(240)와 기준신호 발생부(220)가 각각 초음파신호와 기준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초음파신호 생성부(240)와 기준신호 발생부(220)로 출력한다.
제어부(210)는 초음파신호 발생부(240a,240b) 각각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초음파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각 초음파신호 발생부(240a,240b)에서 발생된 초음파 신호들이 상호 중첩되어 증폭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각 초음파신호 발생부(240a,240b)로 출력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가이드부(300)가 본체부(200)에 결합된 경우에 가이드부(30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초음파신호 생성부(240)가 가이드부(300)내로 삽입되면 펜심부(250)가 초음파신호 생성부(240)의 심부(242) 및 하부 가이드부(310)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본체부(200)와 상부 가이드부(320)가 밀착되도록 결합되어 초음파신호 발생부(240a,240b)에서 발생된 초음파가 지면방향의 반대편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초음파신호 생성부(240)가 가이드부(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초음파신호 생성부(240)의 심부(242)와 가이드부(300)의 내면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인 가이드 경로(350)가 형성되고, 초음파신호 발생부(240a,240b)에서 발생된 초음파신호는 가이드 경로(340)를 따라서 진행하여 초음파 방출부(330)로 방출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라서 생성된 초음파신호의 파형과, 각 초음파신호가 중첩되어 증폭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를 더 참조하면, 제어부(210)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기준신호 및 초음파신호의 발생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기준신호 발생부(220) 및 방출부(330)로부터 원거리의 초음파신호 발생부(240b)로 출력한다.
제어신호를 수신한 기준신호 발생부(220)는 적외선신호 또는 무선주파수신호로서 구현되는 기준신호를 발생시키고, 초음파신호 발생부(240b)는 초음파신호를 발생시킨다(401:도 4 의 ⓐ 참조).
초음파신호 발생부(240b)에서 발생된 초음파신호(ⓐ)는 가이드경로(350)를 따라서 방출부(330) 방향으로 진행한다(402).
한편, 제어부(210)는 초음파신호 발생부(240b)에서 발생된 초음파신호(ⓐ)가 초음파신호 발생부(240a)에 도달하는 시간이 되면, 즉, 초음파신호(ⓐ)가 초음파신호 발생부(240a,240b)간의 이격거리(L1)만큼 진행되면, 초음파신호의 발생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초음파신호 발생부(240a)로 출력하여, 이미 발생된 초음파신호와 동일한 주파수와 위상으로 초음파신호를 발생시킨다(403:도 4 의 ⓑ 참조).
그러면, 초음파신호(ⓐ)와 초음파신호(ⓑ)는 상호 중첩되어 증폭된 초음파신호(ⓐ+ⓑ)가 발생되고, 증폭된 초음파신호는 방출부(330)을 통해서 공기중으로 방출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입력 시스템의 전체 구성과 입력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본체부(200)와 가이드부(300)가 결합된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50a:이하, "입력펜"이라 칭함)의 제어부(210)는 소정의 시간 주기로 기준 신호 및 초음파 신호를 생성하도록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기준신호 발생부(220) 및 초음파신호 생성부(240)로 출력한다.
제어부(210)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기준신호 발생부(220)는 기준신호를 발생시키고, 초음파신호 생성부(240)의 초음파신호 발생부(240a)와 초음파신호 발생부(240b)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초음파신호를 발생시키고, 각각 발생된 초음파신호는 중첩되어 증폭된 상태로 방출부(330)를 통해서 공기중으로 방출된다.
위치 추적 입력 장치(60a)는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기준신호 수신센서(40)와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초음파신호 수신센서(30a,30b)를 구비한다. 이 때, 초음파신호 수신센서(30a,30b)들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된다.
입력펜(50a)의 (x,y) 좌표는 다음의 수학식 1을 x 및 y 에 대해서 풀면 구할 수 있다.
a2=x2+y2
b2=(c-x)2+y2
수학식 1에서 기준 신호인 적외선 또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빛의 속도로 진 행하므로 입력펜(50a)에서 생성됨과 동시에 기준신호 수신센서(40)에 수신된다고 간주하여, 거리 a 및 b 는 기준 신호가 수신된 시간과 초음파 신호가 좌측 초음파 센서(30a)와 우측 초음파 센서(30b)에 각각 수신된 시간간의 차이에 음속을 곱하여 구할 수 있고, 거리 c 는 사전에 설정된 값이므로, a, b, 및 c 값을 수학식 1 에 적용하여 (x,y) 좌표를 구할 수 있고, 입력펜(50a)이 움직인 좌표값들을 이용하여 문자와 같은 사용자가 필기를 수행한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입력 시스템의 전체 구성과 입력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 2 실시예의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50b)는 제 1 실시예의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50a)의 구성에서 본체부(200)에 설치되는 제어부(210), 기준신호 발생부(220), 및 전원부(230)가 생략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초음파신호 생성부(240) 및 가이드부(300)의 구조적인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제어부(210), 기준신호 생성부(220), 전원부(230)가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면, 본체부(200)에 초음파신호 생성부(240) 및 펜심부(250)가 포함되고, 가이드부(300)가 초음파신호 생성부(240)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본체부(200)와 결합되는 구조적인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며, 초음파신호 생성부(240)가 제어신호와 전력을 위치 추적 입력 장치(60b)로부터 유선으로 입력받아 초음파신호를 발생시킨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다른 구성 및 동작 방식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6 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의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50b)는 위치 추적 입력 장치(60b)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다. 또한, 위치 추적 입력 장치(60b)는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50b: 이하, "입력펜"이라 칭함)로 하여금 초음파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소정의 시간 주기로 생성하여 입력펜(50b)으로 출력한다.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입력펜(50b)의 각 초음파신호 발생부(240a,240b)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초음파신호를 생성하여 증폭된 초음파신호를 초음파 방출부(330)를 통해서 방출하고, 초음파신호는 위치 추적 입력 장치(60b)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30a 및 30b)에 수신된다.
위치 추적 입력 장치(60b)는 초음파 신호 발생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입력펜(50b)으로 출력한 시간을 기준 시간으로 설정하고, 기준시간으로부터 복수의 초음파 센서에 초음파 신호가 수신된 순간까지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입력펜(50b)의 위치를 측정하여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입력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초음파신호 생성부(240)가 2개의 초음파신호 발생부(240a,240b)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2이상의 초음파신호 발생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최상단 초음파신호 발생부에서부터 차례 로, 초음파신호가 인접한 초음파신호 발생부까지 진행하는 시간간격으로 초음파신호를 발생시켜 증폭된 초음파신호를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는 복수의 초음파신호 발생부가 발생시킨 고주파수의 초음파신호가 중첩되어 증폭되도록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초음파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초음파신호의 세기를 증가시켜 도달 거리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술한 구성적 특징으로 인해서, 초음파신호의 세기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크기가 크며 주파수가 낮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므로 초래되는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소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되어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각각 초음파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초음파신호 발생부;
    상기 복수의 초음파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초음파신호들이 상호 중첩되어 증폭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초음파신호 발생부로 각각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초음파신호가 방출되도록 방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초음파신호 발생부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상기 초음파신호 발생부가 지지되는 본체부와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중첩된 상기 초음파신호가 상기 방출부를 통해서 방출되도록, 상기 방출부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된 초음파신호 발생부부터 일정한 시간차를 두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
  3. 소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되어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각각 초음파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초음파신호 발생부와,
    상기 초음파신호가 방출되도록 방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초음파신호 발생부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상기 초음파신호 발생부가 지지되는 본체부와 결합되 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 및
    상기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시간 주기로 상기 복수의 초음파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초음파신호들이 상호 중첩되어 증폭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초음파신호 발생부로 각각 출력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시스템.
KR1020070009551A 2007-01-30 2007-01-30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 KR100850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551A KR100850792B1 (ko) 2007-01-30 2007-01-30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551A KR100850792B1 (ko) 2007-01-30 2007-01-30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384A true KR20080071384A (ko) 2008-08-04
KR100850792B1 KR100850792B1 (ko) 2008-08-06

Family

ID=39882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551A KR100850792B1 (ko) 2007-01-30 2007-01-30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07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0762A1 (ko) * 2009-07-21 2011-01-27 (주)펜앤프리 신호 발생 장치
WO2011010760A1 (ko) * 2009-07-21 2011-01-27 (주)펜앤프리 초음파 신호를 이용한 정보 입력 시스템 및 방법
KR101521773B1 (ko) * 2008-11-27 2015-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101B1 (ko) 2011-06-07 2012-03-21 (주)펜앤프리 신호 발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2096A (ja) * 1993-12-24 1995-07-21 Fuotoron:Kk 座標読取り装置
IL129450A (en) * 1999-04-14 2004-09-27 Pegasus Technologies Ltd Digitizer for erasable white whiteboard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773B1 (ko) * 2008-11-27 2015-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
WO2011010762A1 (ko) * 2009-07-21 2011-01-27 (주)펜앤프리 신호 발생 장치
WO2011010760A1 (ko) * 2009-07-21 2011-01-27 (주)펜앤프리 초음파 신호를 이용한 정보 입력 시스템 및 방법
CN101963845A (zh) * 2009-07-21 2011-02-02 Pnf有限公司 信号发生装置
KR101033543B1 (ko) * 2009-07-21 2011-05-11 (주)펜앤프리 초음파 신호를 이용한 정보 입력 시스템 및 방법
KR101039399B1 (ko) * 2009-07-21 2011-06-08 (주)펜앤프리 신호 발생 장치
JP2012533816A (ja) * 2009-07-21 2012-12-27 ピーエヌエフ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信号発生装置
CN103593067A (zh) * 2009-07-21 2014-02-19 Pnf有限公司 信号发生装置
CN101963845B (zh) * 2009-07-21 2014-05-07 Pnf有限公司 信号发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0792B1 (ko) 200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1359B2 (ja) 信号発生装置
KR100850792B1 (ko)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
KR100984036B1 (ko) 타블렛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080014273A (ko) 위치 추적용 신호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
JP2007004614A (ja) 座標入力ペ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座標入力装置
KR101146209B1 (ko) 정보 입력 시스템 및 방법
US20090009490A1 (en) Ultrasonic input device for information display
JP5742718B2 (ja) 超音波送信装置、超音波伝播時間測定システムおよび超音波伝播時間測定方法
JP2009134505A (ja) 手書筆跡入力システム
TWI608401B (zh) 觸控筆、觸控系統及其方法
US20090257315A1 (en) Position tracing signal generator unit and input system having the same
KR100980691B1 (ko) 다기능 초음파 입력신호 발생 장치
JPS60134325A (ja) デイスプレイ付座標入力装置
JP4145095B2 (ja) 座標入力装置
KR10245245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JP2009251654A (ja) 位置追跡用信号発生装置及びこれを含む入力システム
JP5526557B2 (ja) 電子ペン及び電子ペンシステム
JP4924259B2 (ja) 位置検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機器、位置検出方法
CN112364771A (zh) 传感电路单元、电路、识别方法、传感器、面板及装置
JP7153354B2 (ja) 情報取得システム
KR101654888B1 (ko) 초음파 변환기
CN101556511A (zh) 位置跟踪信号发生器单元及具有该单元的输入系统
Klyuev et al. Apparatus for Broadband Seismic-Acoustic Surveys of Shelf Fluvial Paleo-Structures
KR20020050197A (ko) 피에조 필름을 이용한 볼펜형 초음파 신호 발생 장치
RU2402112C2 (ru) Ультразвуковой пьез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