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1141A - 조인트 장치용 장착 방법 및 자동차 차축용 조인트 장치 - Google Patents

조인트 장치용 장착 방법 및 자동차 차축용 조인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1141A
KR20080071141A KR1020087012023A KR20087012023A KR20080071141A KR 20080071141 A KR20080071141 A KR 20080071141A KR 1020087012023 A KR1020087012023 A KR 1020087012023A KR 20087012023 A KR20087012023 A KR 20087012023A KR 20080071141 A KR20080071141 A KR 20080071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joint
mounting
ring member
axle jou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2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티아스 게르케
홀거 클란케
미카엘 뮈흘
브요른 스파기아리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080071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8Steering knuckles; King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8Attaching arms to un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10Independent suspensions
    • B60G2200/14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ateral arms
    • B60G2200/142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ateral arms with a single lateral arm, e.g. MacPhers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10Independent suspensions
    • B60G2200/14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ateral arms
    • B60G2200/144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ateral arms with two lateral arms forming a parallelogr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4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steer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8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unsprung part of the vehicle, e.g. wheel knuckle or rigid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50Constructional features of wheel supports or knuckles, e.g. steering knuckles, spindle attach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의 구동륜 차축용 조인트 장치의 장착 방법 및 특히 자동차 차축용 조인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인트 장치는 차축 영역에 배치 가능한 조인트 포크(1), 및 휠 베어링(3)을 지지하며 2개의 베어링 지점들(4, 5)에 의해 상기 조인트 포크(1)에 대해 선회 가능한 차축 저널(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베어링 지점들 중 하나는 고정 베어링(4)으로 형성되고, 다른 베어링 지점은 외부 링 부재(8) 및 내부 링 부재(9)를 포함하는 가동 베어링(5)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동 베어링(5)은 축방향의 그리고 추가의 선회 각 자유도를 갖는다. 상기 장착 방법 및 조인트 장치는 조인트 포크(1) 및 차축 저널(2)이 볼트 장치(20) 및 간격 유지 장착 보조 부재(18)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시에, 장착 시점에 상기 가동 베어링(5) 내에서 내부 링(9)의 정확한 중심 위치가 항상 재현 가능하게 보장된다. 이로 인해, 제품의 수명이 연장되며 고장 안전성이 커지는 동시에, 필요한 부품의 수, 필요한 장착 공간, 현수되지 않은 질량, 장착 비용 및 제조 비용이 감소한다.
차축 영역, 조인트 포크, 휠 베어링, 차축 저널, 고정 베어링, 가동 베어링, 외부 링 부재, 내부 링 부재, 볼트 장치, 간격 유지 장착 보조 부재.

Description

조인트 장치용 장착 방법 및 자동차 차축용 조인트 장치{MOUNTING METHOD FOR AN ARTICULATION SYSTEM AND ARTICULATION SYSTEM FOR A MOTOR VEHICLE AXL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자동차의 휠 가이드용, 특히 스티어링 가능한, 예컨대 구동륜 차축용 조인트 장치의 장착 방법, 및 청구항 10의 전제부에 따른 조인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방식의 조인트 장치는 예컨대 특히 맥퍼슨(McPherson) 차축, 완충기 스트러트 차축 또는 2중 컨트롤 암 차축의 소위 분리형 휠 지지체에 사용된다. 이러한 분리형 휠 지지체는, 현수되지만 스티어링 운동 불가능한 휠 지지체 부분에 선회 가능한 인서트, 특히 휠의 스티어링 운동을 담당하는 차축 저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분리형 휠 지지체는 스티어링 운동시 휠이 선회되는, 수직 스티어링 차축이 작은 경사각을 가지고 휠의 중심 평면에 가까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은 큰 및/또는 포지티브한 스티어링 롤러 반경이 생기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는 특히 구동 또는 브레이크 토크의 반작용을 감소시키고 예컨대 도로의 울퉁불퉁함, 휠 불평형 또는 횡력에 의해 야기되는, 차량의 스티어링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킨다. 또한, 이로 인해 특히 모든 운행 조건 하에서 그리고 가 급적 큰 스티어링 각 범위에서 최적의 차량 가이드 및 민감하고 반동력 없는 스티어링 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전체 차축 구조, 특히 경사, 스티어링 롤러 반경, 바퀴 폭 및 캠버 그리고 후 동작의 상호 작용이 양호하게 최적화될 수 있다.
이러한 2부분의, 분리형 휠 지지체는 예컨대 간행물 DE 603 00 085 T2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된 휠 지지체는 볼-앤드-소켓 조인트 및 롤러 베어링을 포함하고, 이들 2개의 조인트의 상호 작용에 의해 스티어링 차축 또는 휠 지지체의 고정 부분에 대한 스티어링 가능한 차축 저널의 선회 축이 고정된다. 차축 저널은 상기 간행물에 따라 상기 2개의 조인트에 의해 결정된 스티어링 차축을 중심으로, 현수되지만 스티어링 운동에 대해 고정된 휠 지지체의 포크형 조인트 장치에 대해 선회됨으로써, 차량의 상응하는 휠이 스티어링 운동을 한다.
2개의 조인트에 의해 형성된 휠 가이드 조인트는, 불가피한 제조 및 장착 공차 그리고 작동 중에 나타나는 조인트 부품 및 차축 부품의 변형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정 베어링/가동 베어링 조합체로서 구현되어야 한다. 이는, 이러한 휠 지지체 또는 휠 가이드 조인트가 휠의 구동 샤프트의 통과를 위해 연속 리세스를 특히 구동 차축에 가져야 하는 경우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이러한 휠 지지체의 개방된 포크형 디자인은 추가의 탄성을 수반하며, 상기 탄성은 구동력, 제동력 및 원심력 그리고 도로의 영향과 같은 반동력이 휠 가이드 조인트에 작용하면, 조인트 포크, 차축 저널 또는 각각의 베어링 지지체를 변형시킨다.
이러한 반동력으로 인해, 2개의 베어링의 영역에서 선회 가능한 차축 저널과 고정 휠 지지체 사이의 일정한 정적 및/또는 동적 경사 위치 및 축방향 변위가 불가피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경사 위치 또는 축방향 변위를 베어링 측에서 흡수하기 위해, 선행 기술에 따른 휠 가이드 조인트에서는 일반적으로 고정 베어링/가동 베어링 조합체가 사용된다. 상기 조합체에서 고정 베어링으로는 회전 및 선회 가능한 볼-앤드-소켓 조인트가 제공된다. 선회 가능한 차축 저널 및 고정 휠 지지체 사이의 약간의 경사 위치 및 축방향 변위를 동시에 흡수하기 위한 가동 베어링으로는 선행 기술에 따라 회전/선회를 위한 그리고 축방향 변위 가능성을 위한 2개의 상이한 베어링 면 영역을 가진 슬라이딩 베어링이 사용되거나, 또는 추가의 축방향의 및 추가의 선회 각 자유도를 가진 롤러 베어링, 예컨대 토로이달 롤러 베어링이 사용된다.
그러나, 고정 베어링 및 가동 베어링을 가진 이러한 공지된 휠 가이드 조인트는 제조, 특히 장착이 복잡하다. 이는, 휠 지지체와 차축 저널 사이에 2개의 베어링 지점, 즉 고정 베어링 및 가동 베어링의 장착, 및 선회 가능한 차축 저널의 장착이 2부분의 조인트 포크의 개구에 의해 이루어지기 위해, 대개 조인트 포크로서 형성된 고정 휠 지지체가 선행 기술에 따라 2 부분으로 형성되어야 한다는 것에 관련된다. 달리 표현하면, 고정 휠 지지체 또는 그것의 조인트 포크의 포크 단부들 중 하나 이상이 휠 지지체 또는 조인트 포크와 결합 가능한, 2개의 선회 베어링 중 하나의 수용을 위한 별도의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어야 한다(참고: 상기 간행물 DE 603 00 085 T2의 도 2 및 도 4).
차축 저널 및 조인트 포크의 장착은 선행 기술에 따라 선회 가능한 차축 저널과 고정 조인트 포크가 먼저 볼-앤드-소켓 조인트로서 형성된 상부 고정 베어링 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나서, 하부 가동 베어링이 선회 가능한 차축 저널에 장착된다. 2부분으로 형성된 고정 휠 지지체 내로 차축 저널의 선회 후에, 이것에 의해 형성된 조인트 포크가 폐쇄되고, 이로 인해 선회 운동가능한 차축 저널과 고정 휠 지지체 또는 조인트 포크로 형성된 선회 가능한 유닛이 형성된다.
그러나, 선행 기술에 따라 필요한 2부분의 실시는 한편으로는 구조적으로 복잡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휠 지지체의 2부분 실시가 부품의 수를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휠 지지체, 차축 저널 및 선회 베어링의 장착시 복잡함을 증가시킨다. 또한, 이로 인해 주행 특성 및 서스펜션 쾌적성에 결정적인, 휠 서스펜션의 현수되지 않은 질량이 바람직하지 않게 증가한다.
선행 기술에 공지된 분리형 또는 2부분의 휠 지지체의 다른 결정적인 단점은 2부분으로 실시할 조인트 포크와 결합되는 많은 수의 부품에 의해 고정 휠 지지체와 선회 가능한 차축 저널 사이의 선회 베어링의 영역에 제공된 낮은 공차를 지키는데 문제가 생긴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가동 베어링이 작동 중에 발생하는 상기 경사 위치 및/또는 축방향 변위를 흡수하기 위해서는 힘없는 상태 동안 주어지는 가동 베어링의 베어링 부품의 중심 위치가 휠 지지체의 장착시에도 매우 정확히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선행 기술에서 특히 2부분으로 실시되는 조인트 포크로 인해 존재하는 다수의 개별 부품 때문에, 이와 관련해서 바람직하지 않은 공차의 체인화가 나타나고, 이로 인해 선행 기술에 따른 조인트 장치에서 가동 베어링의 중심 위치는 종종 충분치 않 은 정확도로 조절되고 대량 생산에서 충분치 않게 재현된다.
개별 부품의 바람직하지 않은 공차 상태에서는,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동 베어링이 장착 후에 이미 축방향 변위와 관련한 그것의 허용 작동 범위의 한계에 있을 수 있다. 주행 다이내믹의 효과로 인해 또는 온도 효과로 인해, 특히 주행 작동 중에 나타나는 조인트 포크 및/또는 차축 저널의 팽창은 가동 베어링의 선회 및/또는 축방향 변위의 형태로 차축 저널의 선회 베어링에 의해 흡수될 수 없다. 이로부터, 차축 저널과 휠 지지체 또는 조인트 포크 사이의 제어되지 않은 변형이 초래되고, 이는 베어링 과부하로 인해, 차축 저널의 2개의 선회 베어링 지점의 조기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을 갖지 않는, 휠 가이드용 조인트 장치 또는 이러한 조인트 장치의 장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방법 또는 조인트 장치는 특히 가동 베어링의 정확한 중심 위치를 확실하고 재현 가능하게 보장해야 한다. 또한, 조인트 장치는 가급적 적은 질량으로, 장소 절감 방식으로 긴 수명을 갖도록 형성되며, 저렴하고 신속한 제조 및 장착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가진 조인트 장치의 장착 방법, 및 청구항 10에 따른 조인트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휠 가이드용, 특히 자동차의 예컨대 구동륜 차축용 조인트 장치의 장착에 관한 것이다. 조인트 장치는 차축에 또는 스트러트에 배치 가능한, 또는 차축 가이드 장치와 결합 가능한 조인트 포크 장치(고정 휠 지지체라고도 함) 및 실제 휠 베어링을 지지하며 스티어링 기능을 하는 차축 저널 장치를 포함한다. 고정 휠 지지체(또는 조인트 포크 장치) 및 차축 저널 장치는 2개의 축방향으로 정렬된 베어링 지점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서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베어링 지점 중 하나는 고정 베어링으로서 그리고 다른 베어링 지점은 축방향의 그리고 추가의 선회 각 자유도를 가진 가동 베어링으로서 형성된다. 가동 베어링은 외부 링 부재, 및 상기 외부 링 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적어도 약간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선회 가능한 내부 링 부재를 포함한다. 조인트 장치의 차축 저널 장치는 가동 베어링의 외부 링 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베어링 시트를 포함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외부 링 부재" 및 "내부 링 부재"는 예컨대 롤러 베어링의 링형 베어링 부품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롤러 베어링의 베어링 링과 기능적으로 상응하는 예컨대 볼-앤드-소켓 조인트의 부품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a)에서 먼저 고정 베어링의 예비 장착이 이루어진다. 즉, 고정 베어링의 부품들이 차축 저널 장치 및/또는 조인트 포크 장치에 예비 장착된다.
거의 동시에 - 단계 a) 및 b)의 순서는 본 발명에서 중요하지 않음- 다음 단계 b)에서 가동 베어링을 차축 저널 장치의 베어링 시트 내로 압입함으로써, 가동 베어링의 외부 링 부재 및 내부 링 부재가 압입 방향으로 각각 존재하는 엔드 스톱(end stop)에 접촉한다.
달리 표현하면, 가동 베어링의 외부 링 부재 및 내부 링 부재, 예컨대 토로이달 롤러 베어링의 외부 링 및 내부 링 또는 추가의 축방향 자유도를 가진 볼-앤드-소켓 조인트의 조인트 하우징 및 그 안에서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베어링 셸이 둘다 축방향으로 차축 저널 장치의 베어링 시트의 각각의 스톱에 정확히 규정된 위치를 갖는다. 외부 링 부재와 내부 링 부재의, 베어링 축방향으로 편심인 상대 위치 설정에 상응하는, 외부 링 부재와 내부 링 부재의 상기 정확히 규정된 위치에 의해, 외부 링 부재와 내부 링 부재의 정확한 출발 위치가 차축 저널 장치와 관련해서 형성되고, 이는 나중에 이루어지는, 가동 베어링의 중심 위치에 외부 링 부재와 내부 링 부재의 정확한 그리고 재현 가능한 상대 위치 설정에 대한 전제 조건이다. 가동 베어링의 내부 링 부재가 가동 베어링의 압입 시에 이미 차축 저널 장치의 베어링 시트에 있는 그 엔드 스톱에 반드시 접촉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상기 엔드 스톱에 상기 가동 베어링의 내부 링 부재가 접촉하는 것은 늦어도 단계 e)에서 내부 링 부재가 조인트 포크 장치의 가동 베어링 측 포크 단부와 결합될 때는 보장되어야 한다.
후속해서, 다음 단계 c)에서 차축 저널 장치와 거기서 압입된 가동 베어링이 조인트 포크 장치 내로 예비 장착된다. 상기 예비 장착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여전히 조여지지 않은 또는 고정 베어링과 조인트 포크 장치 및/또는 차축 저널 장치의 느슨한 결합에 의해, 조인트 포크 장치와 차축 저널 장치가 단지 고정 베어링에 의해서만 느슨하게 가동적으로 서로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고정 베어링의 영역에 제공된, 조인트 포크 장치와 고정 베어링 사이의 또는 고정 베어링과 차축 저널 장치 사이의 장착 갭은 유지되거나 또는 열림으로써, 상기 장착 갭은 간격 유지 보조 부재의 수용을 위해 제공된다.
장착 갭은 조인트 포크 장치의 영역에서 조인트 포크 장치와 고정 베어링 사이에 또는 차축 저널 장치의 영역에서 고정 베어링과 차축 저널 장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다음 단계 d)에서 간격 유지 보조 부재가 상기 장착 갭 내에 배치되고, 고정 베어링과 포크 단부 또는 차축 저널 장치의 여전히 느슨한 결합이 일시적으로 조여진다. 간격 유지 보조 부재는 차축 저널 장치와 조인트 포크 장치 사이의 정확히 결정된, 추가의 축방향 간격을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에 따라 고정된, 추가의 축방향 간격은 나중에 외부 링 부재와 내부 링 부재를 그 중심 위치에 정확히 상대 위치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보조 부재의 유효 두께는 내부 링 부재와 외부 링 부재의 중심 위치에서 편심 장착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의, 가동 베어링 내부 링 부재의 축방향 변위 거리에 정확히 상응한다.
달리 표현하면, 차축 저널 장치의 베어링 시트 내에서 외부 링 부재와 내부 링 부재용 각각의 엔드 스톱들의 베어링 축방향 간격도 간격 유지 보조 부재의 유효 두께에 정확히 상응한다.
내부 링 부재의 장착 위치는 장착 시에 내부 링 부재가 차축 저널 장치 내의 베어링 시트의 엔드 스톱에 지지될 때 상기 내부 링 부재의 위치에 상응하는 한편, 내부 링 부재의 작동 위치는 조인트 장치의 작동 동안 외부 링 부재 내의 내부 링 부재의 중심 위치에 상응한다.
그 후에, 다음 단계 e)에서 조인트 포크 장치의 가동 베어링 측 포크 단부와 가동 베어링의 내부 링 부재 사이의 단단한 결합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의 형성은 내부 링 부재와 외부 링 부재의 편심 상대 위치의 변동 없이 또는 베어링 시트 내의 엔드 스톱에 내부 링 부재의 지지를 유지하거나 또는 재형성하면서 이루어진다.
즉, 가동 베어링의 내부 링 부재가 여느 때와 같이 차축 저널 장치의 베어링 시트의 엔드 스톱에서 그 편심 스톱 위치에 있거나, 또는 내부 링 부재가 이 시점에서 차축 저널 장치의 베어링 시트 내에서 그 편심 스톱 위치에 여전히 놓이지 않아야 하거나 또는 더 이상 놓이지 않아야 하면, 내부 링 부재의 상기 스톱 위치는 가동 베어링 측 포크 단부와 내부 링 부재 사이의 결합의 형성 범주에서 형성되거나 또는 재형성된다.
상기 단계의 범주에서, 하기의 공차 체인
"고정 베어링 측 포크 단부→고정 베어링→선회 가능한 차축 저널→가동 베어링→가동 베어링 측 포크 단부"
에 존재하거나 또는 가산된 치수 공차는, 내부 링 부재와 가동 베어링 측 포크 단부 사이의 결합이 가동 베어링 측 포크 단부와 내부 링 부재 사이의, 공차에 따라 상이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항상 정확히 이루어짐으로써, 정확히 그리고 완전히 보상되거나 또는 중화되는데, 상기 공차는 선행 기술에 따른 장착 방법에서는 가동 베어링의 중심 위치의 유지에 영향을 줄 것이다.
그리고 나서, 다음 단계 f)에서, 단계 d)에서 배치된, 차축 저널 장치와 조인트 포크 장치 사이의 간격 유지 보조 부재가 다시 분리되고, 다음 단계 g)에서 고정 베어링의 최종 장착이 이루어진다.
고정 베어링의 최종 장착은 예컨대 이전에 여전히 단단히 조여지지 않은 또는 간격 유지 보조 부재의 분리를 위해 헐거워진, 조인트 포크 장치 또는 차축 저널 장치의 수용부 내에 고정 베어링의 나사 결합이 조여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고정 베어링의 나사 결합의 이러한 조임에 의해, 동시에 조인트 포크 장치와 차축 저널 장치 사이의 상대 운동이 이전에 분리된 간격 유지 보조 부재의 유효 두께의 크기 만큼 정확히, 고정 베어링, 조인트 포크 장치 및 차축 저널 장치가 최종 장착된 고정 베어링에 의해 정확히 규정된 그들의 축방향 상대 위치를 가질 때까지 이루어진다.
간격 유지 보조 부재의 분리 후에 얻어진, 조인트 포크 장치와 차축 저널 장치 사이의 최종 축방향 상대 위치에서, 가동 베어링의 내부 링 부재는 자동으로 그리고 항상 정확히 외부 링 내의 그 중심 위치 또는 작동 위치를 갖는데, 그 이유는 이제는 분리된 간격 유지 보조 부재의 유효 두께가 차축 저널 장치의 베어링 시트 내의 베어링 외부 링과 베어링 내부 링용 2개의 엔드 스톱들의 베어링 축방향 간격과 정확히 일치하도록 선택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방법은 달리 표현하면, 조인트 포크가 일체형으로, 특히 분할 불가능하게 실시되면, 선회 가능한 차축 저널을 고정 휠 지지체의 조인트 포크 내에 고정 베어링/가동 베어링 조합체의 형태로 장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방법에 의해, 가동 베어링의 내부 링 부재와 외부 링 부재가 장착 후에 항상 조인트 장치의 연속적이고 확실한 작동을 위해 필요한 정확한 중심 위치를 갖는 것이, 재현 가능하게 그리고 정확히 보장된다.
본 발명에 의해 일체형으로 분할 불가능하게 실시 가능한 고정 휠 지지체의 조인트 포크에 의해 현수되지 않은 질량이 상당량 감소하고, 이는 주행 안전성 및 주행 쾌적성에 바람직하다. 또한, 지금까지 필요했던 조인트 포크의 2 부분 실시에 비해, 휠 서스펜션의 영역에서 필요한 장착 공간이 감소하고, 조인트 장치 부품의 확실한 장착이 간단해지고 신속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방법의 상기 바람직한 효과는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추구되는 제품 자체의 질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조인트 장치의 제조 및 장착시의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결국 제조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키며 조인트 장치의 장착 자동화 가능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단계 e)에서 가동 베어링 포크 단부와 내부 링 부재 사이의 결합 형성이 어떤 방법으로 이루어지는지와는 관계없이 실시된다. 여기서는, 내부 링 부재와 차축 저널의 상대 위치 또는 내부 링 부재와 외부 링 부재의 상대 위치를 유지하면서 내부 링 부재와 포크 단부 사이의 확실하고 단단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모든 결합 방법이 가능하고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단계 e)에서 가동 베어링 측 포크 단부와 가동 베어링의 내부 링 부재 사이의 결합이 가동 베어링 측 포크 단부 내의 리세스를 통해 내부 링 부재 내로 볼트 장치의 삽입에 의해 이루어진다.
내부 링 부재에 할당된 볼트 장치의 단부는 내부 링 부재와 결합되고, 포크 단부에 할당된 볼트 장치의 단부는 포크 단부와 결합된다. 달리 표현하면, 이로 인해 가동 베어링 측 포크 단부와 가동 베어링의 내부 링 부재 사이의 단단한 결합이 이루어지고, 동시에 이전에 간격 유지 보조 부재에 의해 형성된, 내부 링 부재와 포크 단부 사이의 상대 위치가 베어링 축방향으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볼트 장치와 내부 링 부재 사이의 결합 형성, 및/또는 볼트 장치와 포크 단부 사이의 결합 형성이 가압 끼워맞춤의 형태로, 나사 결합의 형태로 또는 예컨대 납땜, 용접 또는 접착과 같은 재료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볼트 장치와 내부 링 부재 사이의 및 볼트 장치와 포크 단부 사이의 결합은 가압 끼워맞춤에 의해 매우 간단히, 신속하게 그리고 저렴하게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내부 링 부재 내로의 볼트 장치의 압입이 차축 저널 장치의 베어링 시트 내의 내부 링 부재의 스톱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어서, 압입시 차축 저널 장치에 대한 내부 링 부재의 위치가 변할 위험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고정 베어링에 의한 축방향 부하의 흡수 및 가동 베어링에 의한 길이 차 및 축방향 오프셋의 보상이 보장된다면, 고정 베어링 및/또는 가동 베어링이 구조적으로 어떻게 실시되고 차축 저널 또는 고정 휠 지지체에 어떻게 연결되는지와는 관계없이 실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고정 베어링은 볼-앤드-소켓 조인트이고 가동 베어링은 추가의 축방향 자유도를 가진 슬라이딩 베어링 또는 토로이달 롤러 베어링이다. 고정 베어링으로서 볼-앤드-소켓 조인트를 가진 실시예는 강성을 가지며 저렴하다. 볼-앤드-소켓 조인트는 조인트 포크 장치에 대한 또는 고정 휠 지지체에 대한 차축 저널의 필요한 선회 운동을 가능하게 하며, 높은 축방향 부하를 흡수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면 차축 저널 및/또는 조인트 포크의 탄성 휨에 의해 발생하는, 각 편차를 허용한다. 고정 베어링으로서 볼-앤드-소켓 조인트가 축방향 오프셋을 흡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장소 절감 방식으로 그리고 강성으로 그리고 유격이 적게 그리고 큰 지지력으로 설계될 수 있다.
가동 베어링으로서 예컨대 추가의 축방향 자유도를 가진 공지된 슬라이딩 베어링 또는 특히 토로이달 롤러 베어링이 사용된다. 가동 베어링은 각각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식으로 차축 저널 장치의 베어링 시트 내에 배치되고, 먼저 편심으로 정렬된 다음, 조인트 장치 내에 그 중심 위치를 규정된 방식으로 설정하면서 장착된다.
토로이달 롤러 베어링은 롤러 베어링의 분야에서 나타나는 특성, 즉 축방향 오프셋 및 각도 에러 위치를 내부 링, 외부 링 및 롤러 바디의 자동 상대 정렬에 의해 흡수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통상의 가동 베어링에서 공지된 마찰 특성은 축방향 변위의 경우에 스틱-슬립(stick-slip) 효과를 나타내며, 이 효과는 바람직하지 않은 진동을 일으킬 수 있거나 또는 롤러 표면의 부하를 일으킬 수 있다. 토로이달 롤러 베어링의 베어링 부품의 상기 보상 운동은 불균일한 표면 압력 또는 롤러 바디의 영역에서 에지 압력의 발생을 수반하지 않는다.
토로이달 롤러 베어링은 토로이달-오목하게 형성된 베어링 링과 볼형 롤러 바디 사이의 항상 균일한 선 접촉으로 인해 매우 높은 지지력을 갖는다. 또한, 토로이달 롤러 베어링은 그 특별한 구조로 인해 각도 에러 위치와 관계없이 그리고 흡수되는 축방향 오프셋과 관계없이 항상 거의 변형이 없고 유격이 없으며, 이는 휠의 조용한 작동 및 스티어링의 민감성 및 반작용 없음에 바람직하다.
휠 가이드 조인트 내에 가동 베어링으로서 토로이달 롤러 베어링의 사용시 결정적인 장점은 휠 가이드 조인트의 영역에서 예컨대 공차로 인해 그리고 힘에 기인한 변형으로 인해 차량의 작동 중에 나타나는 모든 각도 에러 위치 및 축방향 오프 셋이 단일 베어링 면 장치의 영역에서 흡수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간격 유지 보조 부재가 간단히 장착 갭 내에 배치될 수 있다면, 상기 장착 갭이 고정 베어링 측 포크 단부와 차축 저널 장치 사이에 추가 간격을 형성하기 위해 구조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는지와는 관계없이 실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조인트 장치는 고정 베어링과 고정 베어링 측 포크 단부 사이의, 또는 고정 베어링과 차축 저널 장치 사이의 결합 영역에 베어링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장착 슬리브를 갖는다. 이로 인해 가변 장착 갭이 장착 슬리브와 고정 베어링 측 포크 단부 사이에 또는 장착 슬리브와 차축 저널 장치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장착 슬리브의 변위에 의해 형성된 장착 갭 내에 간격 유지 보조 부재의 배치에 의해, 포크 단부와 차축 저널 장치 사이의 추가 간격이 단계 d)에서 간단히 그리고 매우 양호한 재현 가능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자동차의 휠 가이드용, 예컨대 구동륜 차축용 조인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인트 장치는 공지된 방식으로 자동차 차축에 또는 휠 지지체 배치 가능한 조인트 포크 장치(고정 휠 지지체라고도 함) 및 상기 휠 베어링을 지지하는 차축 저널 장치를 포함한다. 조인트 포크 장치와 차축 저널 장치는 2개의 축방향으로 정렬된 베어링 지점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서로 결합된다. 베어링 지점 중 하나는 고정 베어링이고, 다른 베어링 지점은 축방향의 그리고 추가의 선회 각 자유도를 가진 가동 베어링으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조인트 장치는 조인트 포크 장치 및 차축 저널 장치가 각각 분할되지 않거나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가동 베어링의 외부 링 부재는 차축 저널 장치의 오목한 베어링 시트 내에 배치되는 한편, 가동 베어링의 내부 링 부재는 조인트 포크 장치의 가동 베어링 측 포크 단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 베어링의 영역에 - 고정 베어링 측 포크 단부와 고정 베어링 사이에 또는 고정 베어링과 차축 저널 장치 사이에 - 가변 폭을 가진 장착 갭 또는 장착 리세스가 고정 베어링 측 포크 단부와 차축 저널 장치 사이에 고정된 추가 간격을 형성하기 위한 간격 유지 보조 부재를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해 고정 휠 지지체의 분할되지 않으며 일체형으로 실시 가능한 조인트 포크에 의해, 필요한 부품의 수 및 현수되지 않는 질량이 감소할 수 있고, 이는 주행 안전성 및 주행 쾌적성을 개선한다. 또한, 선행 기술에 따라 지금까지 필요했던 조인트 포크의 2 부분 실시에 비해, 조인트 장치가 차지하는, 휠 서스펜션 영역의 장착 공간이 감소하고, 조인트 장치의 개별 부품의 장착이 간단해지고 가속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제품 품질의 향상과 더불어 제조 비용의 현저한 감소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가동 베어링에서 축방향 오프셋 및 길이 차의 보상이 보장된다면, 고정 베어링 및/또는 가동 베어링이 구조적으로 어떻게 실시되는지 및 차축 저널 또는 고정 휠 지지체에 어떻게 배치되는지와는 관계없이 실시될 수 있다.
가동 베어링의 내부 링 부재와 가동 베어링 측 포크 단부 사이의 결합은 바람직하게 조인트 포크 장치의 가동 베어링 측 포크 단부에 배치된 볼트 장치에 의해, 예컨대 볼트 장치와 내부 링 부재 사이의 및/또는 볼트 장치와 포크 단부 사이의 가압 끼워맞춤에 의해 이루어진다. 볼트 장치 및 가압 끼워맞춤에 의한 내부 링 부재와 포크 단부 사이의 및 볼트 장치와 포크 단부 사이의 결합은 매우 간단하며 저렴하게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볼트 장치의 압입시, 경사 위치와 관련해서 차축 저널 장치에 대한 내부 링 부재의 위치에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고정 베어링이 볼-앤드-소켓 조인트로서 형성되고, 가동 베어링은 추가의 축방향 자유도를 가진 슬라이딩 베어링으로서 또는 토로이달 롤러 베어링으로서 형성된다. 고정 베어링으로서 볼-앤드-소켓 조인트를 가진 실시예는 강성을 가지며 저렴하다. 볼-앤드-소켓 조인트는 조인트 포크 장치 또는 고정 휠 지지체에 대한 차축 저널의 필요한 선회 운동을 가능하게 하며, 높은 축방향 부하를 흡수할 수 있고, 또한 차축 저널 및/또는 조인트 포크의 탄성 휨에 의해 발생하는, 각 편차를 문제없이 흡수할 수 있다.
가동 베어링으로서 추가의 축방향 자유도를 가진 슬라이딩 베어링 또는 전술한 장점을 가진 토로이달 롤러 베어링이 사용된다. 가동 베어링은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방법의 적용에 의해, 고정 휠 지지체와 선회 가능한 차축 저널 사이에 그 중심 위치를 제조 중에 문제없이 재현 가능하게 규정대로 설정하면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조인트 장치는 고정 베어링과 고정 베어링 측 포크 단부 사이에, 또는 고정 베어링과 차축 저널 장치 사이에 배치된, 베어링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장착 슬리브를 갖는다. 간격 유지 보조 부재를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장착 리세스 또는 장착 갭은 장착 슬리브와 고정 베어링 측 포크 단부 사이에 또는 장착 슬리브와 차축 저널 장치 사이에 배치된다.
장착 슬리브가 베어링 축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형성 가능한 또는 폭 가변의 장착 갭에 의해, 가동 베어링의 내부 링 부재의 중심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추가 간격이 포크 단부와 차축 저널 장치 사이에 간단히 그리고 매우 양호하게 재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장착 중간 위치에서 간격 유지 보조 부재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간격 유지 보조 부재의 평면도.
도 3은 완전히 장착된 상태에서 도 1에 따른 조인트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에는 관련 자동차의 주행 방향을 따라 바라본 차축의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장치는 고정 휠 지지체에 할당 배치된 조인트 포크(1)과 차축 저널(2)로 구성된다. 조인트 포크(1)는 도면 좌측에서 예컨대 도시되지 않은 스트러트에 결합되거나 또는 차축 가이드에 결합되는 한편, 차축 저 널(2)은 도면 우측에서 3에 있는 관통구 내에 마찬가지로 도시되지 않은 휠의 베어링을 수용할 수 있다.
조인트 포크(1)과 차축 저널(2)은 2개의 공통 베어링 지점들(4, 5)을 갖는다. 상기 베어링 지점들 중 하나는 밀봉 벨로우즈(6)를 가진 볼-앤드-소켓 조인트(4)로서 형성되고, 다른 베어링 지점(5)은 롤러 베어링을 갖는다. 차축 저널(2)은 공통의 베어링 지점들(4, 5)로 형성된 스티어링 차축(7)을 중심으로, 현수되지만 스티어링 불가능한 조인트 포크(1)에 대해 선회 가능하다.
롤러 베어링(5)은 토로이달 롤러 베어링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토로이달 롤러 베어링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외부 링(8)과 그 내부 링(9) 사이의 일정한 각 오프셋을 허용하고 외부 링(8)에 대한 내부 링(9)의 축방향 변위를 실제로 반동력 없이 흡수할 수 있다.
도시된 조인트 장치의 장착을 시작할 때, 먼저 가동 베어링을 형성하는 토로이달 롤러 베어링(5)의 외부 링(8)이 차축 저널(2)의 하부면 상의 포트형 리세스(10) 내로 압입된다. 베어링 외부 링(8)은 베어링 축방향으로 정확히 규정되어 차축 저널(2)의 포트형 리세스(10) 내의 링형 칼라(11)에 놓인다.
조인트 포크(1) 또는 고정 휠 지지체(1)의 도면 상측 포크 단부(12)의 영역에서 조인트 장치는 도 1에서 볼 저널(13) 및 밀봉 벨로우즈(6)로 나타나는 볼-앤드-소켓 조인트(4)를 갖는다.
볼-앤드-소켓 조인트(4)는 고정 베어링을 형성하기 때문에, 특히 베어링 축방향(7)으로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을 흡수한다. 볼-앤드-소켓 조인트(4)는 가압 끼워맞춤에 의해 차축 저널(2)의 리세스 내에 고정된, 편의상 도시되지 않은 조인트 하우징을 갖는다.
장착시 가동 베어링(5)의 외부 링(8)이 차축 저널(2)의 도면 하측 면 상의 포트형 리세스(10) 내로 압입된 후에, 볼-앤드-소켓 조인트(4)의 볼 저널(13)은 원추형 샤프트를 통해, 그에 따라 마찬가지로 원추형인 내부 장착 슬리브(14)를 통해 그리고 나사 결합(15)을 통해 고정 휠 지지체(1)의 도면 상측 포크 단부(12)와 결합된다. 볼 저널(13)과 장착 슬리브(14) 사이의, 베어링 축방향(7)으로 정확히 규정된 지지를 얻기 위해, 볼 저널(13)의 원추형 샤프트는 환형 리세스(16)를 가지며, 상기 리세스는 장착 슬리브(14)의 도면 하측 단부면에 지지된다.
(17)에서 고정 베어링측 상부 포크 단부(12)의 하부 단부면과 장착 슬리브(14)의 칼라 사이에는 간격 유지 보조 부재(18)의 수용을 위한 장착 갭(17)이 제공된다. 도 1에서 간격 유지 보조 부재(18)(그 포크형 형상은 도 2의 평면도에 나타남)는 볼-앤드-소켓 조인트(4)의 장착 동안 장착 슬리브(4)의 칼라와 고정 베어링측 포크 단부(12)의 하부 에지 사이에 배치된다. 장착 슬리브(14)의 칼라와 포크 단부(12)의 하부 단부면 사이의 장착 갭(17) 내에 배치된 간격 유지 보조 부재(18)로 인해, 볼 저널(13)을 상부 포크 단부(12)에 장착할 때, 볼 저널(13), 그에 따라 전체 볼-앤드-소켓 조인트(4) 및 차축 저널(2)의 최종 장착 위치가 얻어지지 않는다. 오히려, 장착된 간격 유지 보조 부재(18)에 의해 얻어진, 차축 저널(2)의 일시적인 장착 위치와 최종 장착 위치 사이에 베어링 축방향(7)으로 결정된, 추가의 선형 간격이 남아있고, 상기 간격은 간격 유지 보조 부재(18)의 두께에 정확히 상응한다.
상기 방식으로 간격 유지 보조 부재(18)를 포함해서 조인트 장치의 고정 베어링, 즉 볼-앤드-소켓 조인트(4)가 일시적으로 상부 포크 단부(12)와 결합된 후에, 하부 포크 단부(19)에 있는 가동 베어링(5)의 영역에서, 볼트(20)가 하부 포크 단부(19)의 상응하는 리세스 내로, 및 가동 베어링(5)의 베어링 내부 링(9) 내로 압입된다. 볼트(20)는 상응하게 선택된 끼워맞춤에 의해 베어링 내부 링(9) 및 고정 휠 지지체(1)의 포크 단부(19) 내의 관통구와 함께 가압 끼워맞춤을 형성한다.
늦어도 상기 볼트(20)의 압입 과정의 순간에 가동 베어링(5)의 내부 링(9)은 도 1에 도시된, 가동 베어링(5)의 외부 링(8)에 대해 베어링 축방향으로 정확히 규정된 크기만큼 도면 상측으로 변위된 위치를 취한다. 베어링 내부 링(9)의 위치를 고정하는 차축 저널(2) 내의 포트형 리세스(10)의 바닥의 깊이와, 베어링 외부 링(8)이 접촉하는 링형 칼라(11)의 깊이 사이의 차이, 따라서 볼트(20)의 압입시 상기 베어링 내부 링(9)이 베어링 외부 링(8)에 대해 베어링 축방향으로 변위되는 정도는 간격 유지 보조 부재(18)의 두께에 정확히 상응한다.
달리 표현하면, 가동 베어링(5)의 베어링 내부 링(9) 및 베어링 외부 링(8)은 볼트(20)의 압입 후에도 베어링 축방향(7)으로 항상 정확히 동일한 거리를 가지며, 특히 하기 공차 체인
"고정 베어링 측 포크 단부(12)→고정 베어링(4)→차축 저널(2)→가동 베어링(5)→가동 베어링 측 포크 단부(19)"
에 존재하거나 또는 거기에 가산된 공차와는 관계없이 동일한 거리를 갖는 다.
상기 공차, 또는 그것의 합은 오히려 볼트(20)의 압입시, 볼트(20)가 부품 공차에 따라 자동으로 가동 베어링(5)의 내부 링(9) 내로 그에 상응하게 깊게 또는 덜 깊게 삽입됨으로써, 자동으로 그리고 정확히 보상된다. 볼트(20)는, 항상 볼트의 헤드가 하부 포크 단부(19)의 관통구 내에 형성된, 상응하는 형상을 가진, 환형 칼라에 지지됨으로써, 하부 포크 단부(19)와 관련해서 그 베어링 축방향 최종 위치에 도달한다.
이로 인해 가동 베어링(5)이 차축 저널(2)과 관련해서, 그리고 하부 포크 단부(19)와 관련해서 그 최종 장착 위치에 도달한 후에, 상부 포크 단부(12)의 영역에서 나사 결합(15)의 일시적인 헐거워짐 하에, 간격 유지 보조 부재(18)가 장착 슬리브(14)와 상부 포크 단부(12)의 하부 단부면 사이의 장착 갭(17)으로부터 빼내진다. 그리고 나서, 상부 포크 단부(12)와 볼 저널(13) 사이의 나사 결합(15)이 다시 조여진다. 그에 따라 얻어지는, 조인트 장치의 모든 부품의 최종 상대 위치가 도 3에 나타난다.
그러나, 이로 인해 고정 베어링 또는 볼-앤드-소켓 조인트(4), 차축 저널(2) 및 가동 베어링(5)의 베어링 외부 링(8)으로 이루어진 전체 유닛이 이제 분리된 간격 유지 보조 부재(18)의 두께 및 상기 두께와 일치하는, 포트형 리세스(10) 내의 베어링 내부 링(9)과 베어링 외부 링(8)에 대한 정지 깊이들(10, 11) 사이의 차에 상응하는 크기 만큼 도면 상측으로 변위된다. 그러나, 이는 가동 베어링(5)이 간격 유지 보조 부재(18)를 빼낸 후에 그리고 상부 포크 단부(12)와 볼 저널(13) 사 이의 나사 결합(15)을 조인 후에, 예컨대 조인트 포크(1), 차축 저널(2), 볼-앤드-소켓 조인트(4), 볼트(20) 등과 같은 개별 부품에 존재하는 그리고 경우에 따라 공차 체인에 가산된 공차와는 완전히 무관하게, 항상 정확히 그 중립 위치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동 베어링(5)이 조인트 장치의 최종 장착 후에 조인트 장치의 힘 없는 상태에서 항상 도 3에 따른 그 중립 위치에 있는 것이 보장된다.
이는, 주행 작동 중에 주행 다이내믹의 작용으로 인해 그리고 온도 효과로 인해 불가피하게 나타나는 조인트 포크(1) 및 차축 저널(2)의 변형, 예컨대 경사 위치 또는 축방향 변위가 베어링 지점들(4, 5)에서 허용되지 않는 변형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가동 베어링(5)에 의해 흡수될 수 있기 위한 중요한 전제 조건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가동 베어링의 정확한 중심 위치가 확실하게 그리고 제조 중에 일정하게 재현될 수 있게 보장되는, 휠 서스펜션용, 특히 스티어링 가능한 구동 또는 비구동 자동차 차축용 조인트 장치 및 상기 조인트 장치의 장착 방법이 형성된다. 따라서, 조인트 장치는 매우 컴팩트하고, 가볍고 장소 절감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방법 및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장치는 긴 수명, 서비스 필요의 감소 및 자동차에 사용시 양호한 쾌적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해 가능해지는 제품 또는 유닛의 개선과 더불어, 동시에 휠 서스펜션 및 차축 시스템의 구성, 장착 및 작동에 있어서의 비용 절감도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휠 서스펜션 및 차축 시스템의 영역에서, 특히 작동 안전 성, 비용 효율성, 서비스 감소 및 주행 쾌적성을 기여한다.

Claims (15)

  1. 특히 자동차의 구동륜 차축용 휠 가이드 조인트 장치의 장착 방법으로서, 상기 조인트 장치는 차축에 배치 가능한 또는 차축 가이드 장치와 결합 가능한 조인트 포크 장치(1), 및 휠 베어링(3)을 지지하는 차축 저널 장치(2)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포크 장치(1) 및 상기 차축 저널 장치(2)는 2개의 축방향으로 정렬된 베어링 지점(4, 5)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서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베어링 지점들 중 하나는 고정 베어링(4)으로서 그리고 다른 베어링 지점은 외부 링 부재(8) 및 내부링 부재(9)를 포함하며 축방향의 그리고 추가의 선회 각 자유도를 가진 가동 베어링(5)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차축 저널 장치(2)는 상기 가동 베어링(5)의 상기 외부 링 부재(8)가 수용될 수 있는 베어링 시트(10, 11)를 포함하는, 조인트 장치용 장착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고정 베어링(4)의 예비 장착 단계,
    b) 상기 가동 베어링(5)의 상기 외부 링 부재(8) 및 상기 내부 링 부재(9)가 각각 압입 방향으로 존재하는 베어링 축방향의 엔드 스톱(10, 11)에 접촉하도록, 상기 차축 저널 장치(2)의 상기 베어링 시트 내로 상기 가동 베어링(5)을 압입하는 단계,
    c) 상기 고정 베어링(4)의 영역에서 장착 갭(17)을 유지하면서 상기 고정 베어링(4)과 상기 조인트 포크 장치(1) 및/또는 상기 차축 저널 장치(2)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여전히 느슨한 결합에 의해 상기 차축 저널 장치(2)와 상기 조인트 포크 장치(1)의 예비 장착 단계,
    d) 상기 장착 갭(17) 내에 간격 유지 보조 부재(18)를 배치함으로써 고정 베어링 측 포크 단부(12)와 상기 차축 저널 장치(2) 사이에 고정된, 추가의 간격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보조 부재(18)의 유효 두께는 상기 차축 저널 장치(2) 내의 상기 베어링 시트의 상기 엔드 스톱(10)에 대한 가동 베어링 내부 링 부재의 지지점과 상기 외부 링 부재(8) 내의 상기 내부 링 부재(9)의 중심 위치 사이에서 상기 가동 베어링 내부 링 부재(9)의 축방향 변위 거리에 상응하는, 간격 형성 단계,
    e) 상기 내부 링 부재(9)를 상기 차축 저널 장치(2)의 상기 베어링 시트 내의 그 엔드 스톱(10)에 지지하면서, 상기 조인트 포크 장치(1)의 가동 베어링 측 포크 단부(19)와 상기 가동 베어링(5)의 상기 내부 링 부재(9) 사이의 단단한 결합을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차축 저널 장치(2)와 상기 조인트 포크 장치(1) 사이의 상기 간격 유지 보조 부재(18)의 분리 단계,
    g) 상기 고정 베어링(4)의 최종 장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장치용 장착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베어링 측 포크 단부(19)와 상기 내부 링 부재(9) 사이의 결합 형성은 단계 e)에서 상기 포크 단부(19) 내의 리세스틀 통해 상기 내부 링 부재(9) 내로 볼트 장치(20)의 삽입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링 부재(9)에 할당된 상기 볼트 장치(20)의 단부는 상기 내부 링 부재(9)와 단단히 결 합되고, 상기 포크 단부(19)에 할당된 상기 볼트 장치(20)의 단부는 상기 포크 단부(19)와 단단히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장치용 장착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장치(20)와 상기 내부 링 부재(9) 사이의, 또는 상기 볼트 장치(2)와 상기 포크 단부(19) 사이의 결합 형성은 가압 끼워맞춤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장치용 장착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장치(20)와 상기 내부 링 부재(9) 사이의, 또는 상기 볼트 장치(20)와 상기 포크 단부(19) 사이의 결합 형성은 나사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장치용 장착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장치(20)와 상기 내부 링 부재(9) 사이의 또는 상기 볼트 장치(20)와 상기 포크 단부(19) 사이의 결합 형성은 재료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장치용 장착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베어링(4)은 볼-앤드-소켓 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장치용 장착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베어링(5)은 추가의 축방향 자유도를 가진 슬라이딩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장치용 장착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베어링(5)은 토로이달 롤러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장치용 장착 방법.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베어링(4)과 상기 고정 베어링 측 포크 단부(12) 사이의, 또는 상기 고정 베어링(4)과 상기 차축 저널 장치(2) 사이의 결합은 베어링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장착 슬리브(14)에 의해 이루어지고, 가변 장착 갭(17)은 상기 장착 슬리브(14)와 상기 고정 베어링 측 포크 단부(12) 사이에, 또는 상기 장착 슬리브(14)와 상기 차축 저널 장치(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장치용 장착 방법.
  10. 특히 자동차의 구동륜 차축용 휠 가이드 조인트 장치로서, 상기 조인트 장치는 차축에 또는 휠 지지체에 배치 가능한 조인트 포크 장치(1), 및 휠 베어링(3)을 지지하는 차축 저널 장치(2)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포크 장치(1) 및 상기 차축 저널 장치(2)는 2개의 축방향으로 정렬된 베어링 지점(4, 5)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서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베어링 지점들 중 하나는 고정 베어링(4)으로서 그리고 다른 베어링 지점은 외부 링 부재(8) 및 내부 링 부재(9)를 포함하며 축방향의 그리고 추가의 선회 각 자유도를 가진 가동 베어링(5)으로서 형성되는, 조인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장치(1)와 상기 차축 저널 장치(2)는 각각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동 베어링(5)의 외부 링 부재(8)는 상기 차축 저널 장치(2)의 오목한 베어링 시트(10, 11) 내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 베어링(5)의 상기 내부 링 부재(9)는 상기 조인트 포크 장치(1)의 가동 베어링 측 포크 단부(19)와 결합되며, 상기 고정 베어링(4)의 영역에서, 고정된 추가 간격을 형성하기 위한 간격 유지 보조 부재(18)를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가변 폭을 가진 장착 리세스 또는 장착 갭 (17)이 고정 베어링 측 포크 단부(12)와 상기 차축 저널 장치(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베어링(5)의 상기 내부 링 부재(9)는 상기 조인트 포크 장치(1)의 상기 가동 베어링측 포크 단부(19)에 배치된 볼트 장치(20)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장치.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베어링(4)은 볼-앤드-소켓 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장치.
  13. 제 10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베어링(5)은 추가의 축방향 자유도를 가진 슬라이딩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장치.
  14. 제 10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베어링(5)은 토로 이달 롤러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장치.
  15. 제 10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베어링(4)과 상기 고정 베어링 측 포크 단부(12) 사이에, 또는 상기 고정 베어링(4)과 상기 차축 저널 장치(2) 사이에, 베어링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장착 슬리브(14)가 배치되고, 상기 간격 유지 보조 부재(18)의 일시적 수용을 위한 상기 장착 리세스 또는 상기 장착 갭(17)은 상기 장착 슬리브(14)와 상기 고정 베어링 측 포크 단부(12) 사이에, 또는 상기 장착 슬리브(14)와 상기 차축 저널 장치(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장치.
KR1020087012023A 2005-11-28 2006-11-27 조인트 장치용 장착 방법 및 자동차 차축용 조인트 장치 KR200800711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56877.7 2005-11-28
DE102005056877A DE102005056877B4 (de) 2005-11-28 2005-11-28 Montageverfahren für Gelenkanordnung sowie Gelenkanordnung für Kraftfahrzeugach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141A true KR20080071141A (ko) 2008-08-01

Family

ID=37761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2023A KR20080071141A (ko) 2005-11-28 2006-11-27 조인트 장치용 장착 방법 및 자동차 차축용 조인트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80309042A1 (ko)
JP (1) JP2009517267A (ko)
KR (1) KR20080071141A (ko)
CN (1) CN101316750A (ko)
AU (1) AU2006317225A1 (ko)
BR (1) BRPI0619061A2 (ko)
DE (1) DE102005056877B4 (ko)
WO (1) WO20070597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5203B2 (en) * 2008-09-12 2010-10-19 Dana Heavy Vehicle Systems Group, Llc Dual taper knuckle and dual taper adapter sleeve
CN102266891B (zh) * 2011-08-02 2013-08-07 联伟汽车零部件(重庆)有限公司 一种轿车加油口盖铰链装配模具及装配方法
US8777241B1 (en) * 2013-03-08 2014-07-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spension component with tapered spindle joint
DE102013222442B4 (de) * 2013-11-05 2016-12-15 Brist Axle Systems S.R.L. Radaufhängung für ein lenkbares Antriebsrad bei einem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14674A (en) * 1945-02-19 1947-01-21 Chrysler Corp Vehicle wheel suspension
US2455343A (en) * 1945-04-11 1948-11-30 Chrysler Corp Joint
FR2441526A1 (fr) * 1978-11-14 1980-06-13 Renault Train avant pour vehicule automobile
US4690418A (en) * 1985-05-07 1987-09-01 V. W. Kaiser Engineering, Inc. Steering knuckle and kingpin assembly
DE3616998A1 (de) * 1986-05-21 1987-11-26 Bergische Achsen Kotz Soehne Verbundachsaggregat
ATE117954T1 (de) * 1991-06-25 1995-02-15 Carraro Spa Achsschenkel.
US5199730A (en) * 1991-08-14 1993-04-06 Westfall Rodney D Spindle assembly for extending the turning angle of a motor vehicle and reducing tire wear
US6010272A (en) * 1998-11-19 2000-01-04 Trw Inc. Ball joint with two-piece bearing and spring
US6042294A (en) * 1998-11-23 2000-03-28 Trw Inc. Ball joint having rotational and axial movement
ES2165304B1 (es) * 2000-02-14 2003-05-16 Multitor S A Eje direccional para acoplamiento de motorruedas en vehiculos.
FR2837776B1 (fr) * 2002-03-26 2005-02-04 Skf Ab Dispositif de fixation de pivot de roue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04007127A1 (de) * 2004-02-12 2005-09-22 Zf Friedrichshafen Ag Radführungsgelenk
US7490840B2 (en) * 2005-06-23 2009-02-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Steering and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309042A1 (en) 2008-12-18
WO2007059763A1 (de) 2007-05-31
DE102005056877A1 (de) 2007-05-31
BRPI0619061A2 (pt) 2011-09-20
AU2006317225A1 (en) 2007-05-31
JP2009517267A (ja) 2009-04-30
CN101316750A (zh) 2008-12-03
DE102005056877B4 (de) 200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76655B1 (en) Steering knuckle
CN102762395B (zh) 用于机动车的车轮悬架
US7712753B2 (en) Joint for vehicle steering and suspension system
EP1934491B1 (en) Cone adaptor for ball joint studs, tie rods, sway bar links and the like
KR101591562B1 (ko) 자동차 휠의 캠버 및/또는 토의 조절 장치
US7740253B2 (en) Vehicle steer axle assembly
US7846031B2 (en) Universal joint socket with axial guiding
US20190118596A1 (en) Axial Ball Joint And Length-Adjustable Two-Point Link With Such An Axial Ball Joint
EP3116730B1 (en) Strut-type suspension device
KR20080071141A (ko) 조인트 장치용 장착 방법 및 자동차 차축용 조인트 장치
CN111356599A (zh) 伸缩连杆和悬架
US20070096419A1 (en) Wheel guide joint
EP1395482B1 (en) Truck corner module with split kingpin support
US6719636B2 (en) Centered double universal joint
JP2009503381A (ja) 枢着装置
JPS62175208A (ja) 車両のリヤサスペンシヨン装置
EP1356962A1 (en) Suspended, articulated and powered front axle for vehicles.
KR20180068412A (ko) 볼조인트의 장착구조 및 그 장착방법
JPH08225010A (ja) 操舵車輪用サスペンションのジョイント機構
JP2002019657A (ja) サスペンションの組付装置
JPH08225009A (ja) 操舵車輪用サスペンションのアッパジョイント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