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0546A -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0546A
KR20080070546A KR1020080007365A KR20080007365A KR20080070546A KR 20080070546 A KR20080070546 A KR 20080070546A KR 1020080007365 A KR1020080007365 A KR 1020080007365A KR 20080007365 A KR20080007365 A KR 20080007365A KR 20080070546 A KR20080070546 A KR 20080070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vacuum cleaner
inlet
bend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아끼 마쯔모또
가즈오 사이또오
사다오 후꾸시마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0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5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에 있어서, 공기 및 진애의 유로가 굴곡된 상태에 있어서는, 흡입 소음이 발생하기 쉬운 과제가 있었다.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10)의 벤드(12)는 본체(11)에 일체로 형성된 회전 받침부(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 접속통(18)을 갖는다. 접속통(18)이 기립한 상태로 회전되었을 때, 접속통(18)의 선단부 하방에 난류 포켓(26)이 생기고, 이 부분에서 화살표 27로 나타내는 난류가 발생하기 쉬워, 흡입 소음이 발생하기 쉽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접속통(18)의 선단부 내면 하방에는 리브(30)가 설치되어 있다. 리브(30)는 공기 및 진애의 통과 방향(29)으로 연장되고, 평행하게 복수 설치되어 있다.
리브(30)에 의해 난류의 발생이 억지되어 흡입 소음이 저감되므로, 벤드(12)의 회전 위치에 관계없이, 흡입 소음이 발생하기 어렵다.
Figure P1020080007365
리브, 접속통, 벤드, 흡입구, 난류 포켓, 회전 받침부

Description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INLET FOR ELECTRONIC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吸入具)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 청소기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피청소면 상의 진애를 흡입하여 전기 청소기측으로 보내기 위한 흡입구에 관한 것이다.
전기 청소기는, 일반적으로 전동 송풍기를 구비한 본체와, 본체에 후단부가 설치되고 그 선단부에 조작부가 구비된 흡입 호스와, 흡입 호스의 조작부에 후단부가 접속되고 그 선단부측에는 흡입구가 접속된 흡입 파이프를 갖고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에 설치된 그립을 잡고, 흡입구를 피청소면을 따라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청소를 행한다.
종래의 흡입구는, 전후로 이동시킬 때에 효율적으로 피청소면의 진애를 흡입하도록, 흡입 파이프에 대해 소위 T자 형상으로 접속되는 형상을 하고 있다. 즉, 청소 방향(이동 방향)에 대해 직교 방향(폭 방향)으로 긴 흡입구 본체와, 흡입구 본체의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벤드를 갖고 있고, 흡입구 본체에 대해 벤드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흡입구가 피청소면으로부터 부상하지 않고 양호한 흡인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흡입구의 내부에는 회전 브러시가 수용되어 있고, 회전 브러시가 회전함으로써, 피청소면의 진애를 긁어 올리는 작용 등을 하여, 청소 효율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6-7271호 공보
종래의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는, 흡입구 본체에 대해 벤드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흡입구 본체에 흡입된 공기 및 진애는 흡입구 본체로부터 벤드로 흐를 때, 그 유로가 대략 곧은 경우도 있고, 굴곡되는 경우도 있다. 왜냐하면, 벤드가 대략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눕혀진 상태에서는 유로는 대략 곧게 연장되지만, 벤드가 세워진 상태에서는 유로는 굴곡된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에 있어서, 공기 및 진애의 유로가 굴곡된 상태에 있어서는, 유로의 내경은 장소에 의해 광협차가 생긴다. 내경의 광협차는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차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흡입음(공기의 통과음)이 발생하기 쉬운 과제가 판명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흡입 소음(공기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의 발생을 억제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흡입구 본체에 대해 벤드를 어떤 회전 상태로 해도, 소음이 발생하기 어렵도록 개량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은, 피청소면에 대향되는 흡입구(吸入口)를 갖는 본체와, 그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돌출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및 진 애를 전기 청소기 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통 형상의 벤드를 갖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吸入具)이며, 상기 벤드는 상기 본체에 설치된 회전 받침부와, 상기 회전 받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접속통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통의 통 형상 내면에는 소정 위치에 상기 공기 및 진애의 통과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벤드의 회전 받침부는 대략 구면 형상의 받침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통의 일단부는 그 외표면이 상기 받침면에 내부 끼워 맞춤하는 끼워 맞춤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통은 상기 받침면을 중심으로 적어도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접속통의 일단부의 하방 내면에 상기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리브는 평행하게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소정 위치는,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벤드를 회전시켜, 공기 및 진애의 통과 유로를 굴곡시켰을 때에, 굴곡 외측의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상기 접속통의 타단부측 내면에 상기 공기 및 진애의 통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접속통의 타단부측 내면으로부터 일단부측을 향해 대략 둘레 전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상기 회전 받침부는 상기 본체에 대해 본체의 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8의 발명은, 피청소면에 대향되는 흡입구를 갖는 본체와, 그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돌출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및 진애를 전기 청소기 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통 형상의 벤드를 갖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며, 상기 벤드는 상기 본체에 설치된 회전 받침부와, 상기 회전 받침부에 일단부가 피봇 지지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통과, 상기 회전통에 일단부가 피봇 지지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접속통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통의 통 형상 내면에는, 소정 위치에 상기 공기 및 진애의 통과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상기 벤드의 회전 받침부는 대략 원호 형상의 받침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통의 일단부는 그 외표면이 상기 받침면에 내부 끼워 맞춤하는 끼워 맞춤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통은 상기 받침면을 중심으로 적어도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접속통의 일단부의 하방 내면에 상기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8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상기 리브는 평행하게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상기 소정 위치는,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벤드를 회전시켜, 공기 및 진애의 통과 유로를 굴곡시켰을 때에, 굴곡 외측의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8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피청소면에 대향되는 흡입구를 갖는 본체와, 그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돌출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및 진애를 전기 청소기 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통 형상의 벤드를 갖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며, 상기 벤드는 상기 본체에 설치된 회전 받침부와, 상기 회전 받침부에 일단부가 피봇 지지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통과, 상기 회전통에 일단부가 피봇 지지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접속통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통의 통 형상 내면에는, 소정 위치에 상기 공기 및 진애의 통과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13의 발명은, 상기 리브는 평행하게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2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14의 발명은, 피청소면에 대향되는 흡입구를 갖는 본체와, 그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돌출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및 진애를 전기 청소기 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통 형상의 벤드를 갖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며, 상기 벤드는 상기 본체에 설치된 회전 받침부와, 상기 회전 받침부에 일단부가 피봇 지지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통과, 상기 회 전통에 일단부가 피봇 지지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접속통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통의 타단부측 내면에는 상기 공기 및 진애의 통과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15의 발명은, 상기 리브는 상기 접속통의 타단부측 내면으로부터 일단부측을 향해 대략 둘레 전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4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벤드를 구성하는 접속통의 일단부는 회전 받침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이로 인해 그 내경이 접속통의 다른 부분에 비해 넓게 되어 있다. 내경이 확대된 접속통 일단부에는 압력차가 생겨 난류가 발생하기 쉽다. 그래서, 벤드의 통 형상 내면의 소정 위치에 공기 및 진애의 통과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는, 공기의 통과를 안내하여 원활하게 흐르게 하는 정류 작용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통과하는 공기에 난류가 발생하기 어려워, 난류에 기인하는 공기의 통과음(흡입 소음)의 발생이 억제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접속통의 일단부는 끼워 맞춤면을 포함하고 있고, 접속통이 상방으로 회전되었을 때에, 접속통의 일단부 하방으로 공기가 모이기 쉬운 공간(포켓)이 발생한다. 그래서, 접속통의 일단부 하방의 공간(포켓)에 리브를 설치함으로써 난류의 발생을 예방하고,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리브는 평행하게 복수 설치되어 있으므로, 리브에 의한 정류 효과가 향상되어, 소음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벤드를 회전시켜 공기 및 진애의 통과 유로를 굴곡 시켰을 때에, 만곡 외측의 위치에 리브가 설치되어 있다. 즉, 난류가 발생하기 쉬운 위치에 리브가 존재하여, 난류를 가지런히 하여 소음의 발생을 효율적으로 억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접속통은, 회전 부분에 있어서 유로 면적이 좁게 형성되고, 그 하류측(타단부측)이 유로 면적이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접속통의 타단부측에 있어서도 난류가 발생하기 쉽다. 접속통 일단부에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일단부측에 발생하는 난류를 억제하고 있지만, 난류의 발생을 완전히 방지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 접속통 일단부측에 발생하는 난류가 기인이 되어, 접속통의 타단부측에 난류가 발생하기 쉬워져, 난류에 기인하는 공기의 통과음이 발생한다. 제2 리브는, 접속통의 타단부측 공기의 흐름을 정류하고, 난류의 발생을 억제하여, 난류에 기인하는 공기의 통과음을 억제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2 리브는 접속통의 대략 둘레 전체에 형성함으로써, 난류의 발생을 더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회전 받침부를 본체에 대해 본체의 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하고 있으므로, 접속통은 본체에 대해 상하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어, 청소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때, 접속통의 굴곡에 의 해 난류가 발생하기 쉬워지지만, 리브에 의해 난류를 억제하여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벤드를 구성하는 접속통의 일단부는, 회전 받침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이로 인해 그 내경이 접속통의 다른 부분에 비해 넓게 되어 있다. 내경이 확대된 접속통 일단부에는, 압력차가 생겨 난류가 발생하기 쉽다. 그래서, 벤드의 통 형상 내면의 소정 위치에 공기 및 진애의 통과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는 공기의 통과를 안내하여, 원활하게 흐르게 하는 정류 작용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통과하는 공기에 난류가 발생하기 어려워, 난류에 기인하는 공기의 통과음(흡입 소음)의 발생이 억제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접속통의 일단부는 끼워 맞춤면을 포함하고 있고, 접속통이 상방으로 회전되었을 때에, 접속통의 일단부 하방으로 공기가 모이기 쉬운 공간(포켓)이 발생한다. 그래서, 접속통의 일단부 하방의 공간(포켓)에 리브를 설치함으로써 난류의 발생을 예방하고,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리브는 평행하게 복수 설치되어 있으므로, 리브에 의한 정류 효과가 향상되어, 소음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벤드를 회전시켜 공기 및 진애의 통과 유로를 굴곡시켰을 때에, 만곡 외측의 위치에 리브가 설치되어 있다. 즉, 난류가 발생하기 쉬운 위치에 리브가 존재하여, 난류를 가지런히 하여 소음의 발생을 효율 적으로 억지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벤드를 구성하는 접속통의 일단부는, 회전 받침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이로 인해 접속통을 회전시켰을 때에, 공기의 유로가 굴곡되어, 그 굴곡 부분에 있어서 난류가 발생하기 쉽다. 그래서, 벤드의 통 형상 내면의 소정 위치에, 공기 및 진애의 통과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는 공기의 통과를 안내하여, 원활하게 흐르게 하는 정류 작용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통과하는 공기에 난류가 발생하기 어렵고, 난류에 기인하는 공기의 통과음(흡입 소음)의 발생이 억제된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리브는 평행하게 복수 설치되어 있으므로, 리브에 의한 정류 효과가 향상되어, 소음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접속통은 회전 부분에 있어서 유로 면적이 좁게 형성되고, 그 하류측(타단부측)이 유로 면적이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접속통의 타단부측에 있어서 난류가 발생하기 쉽다. 그래서, 접속통의 타단부측에, 공기 및 진애의 통과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는 접속통의 타단부측 공기의 흐름을 정류하고, 난류의 발생을 억제하여, 난류에 기인하는 공기의 통과음을 억제한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리브는 접속통의 대략 둘레 전체에 형성함으로써, 난류의 발생을 더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벤드 내의 소정 위치에 정류 작용을 행하는 리브를 설치함으로써, 흡입구 본체에 대해 벤드를 자유자재로 회전시켜도, 벤드의 회전 위치에 의해 공기의 흡입에 기인하는 소음이 발생하지 않아, 작업음이 저감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하「흡입구」라 함)의 중앙 종단면도이며, 벤드를 눕힌 상태의 도면이다. 또한, 도2는, 마찬가지로 흡입구의 중앙 종단면도이며, 벤드를 세운 상태의 도면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흡입구(10)는 본체(11) 및 벤드(12)를 갖는다. 본체(11)는, 예를 들어 수지로 성형되고, 지면(紙面)에 직교 방향으로 긴 용기 형상(상자형)을 하고 있다. 그리고 그 전방측 바닥면에는 지면에 직교 방향으로 긴 흡입구(13)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11) 내에는, 흡입구(13)에 임하도록, 역시 지면에 직교 방향으로 긴 회전축을 갖는 브러시(14)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브러시(14)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청소시에 피청소면의 진애를 긁어 올려, 흡입구(13)로부터 본체(11) 내로 효율적으로 진애가 흡입되도록 작용한다.
흡입구(13)로부터 본체(11)의 내부 공간(15) 내로 흡입된 공기 및 진애는, 본체(11)의 폭 방향(길이 방향이며, 지면에 직교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어 후방으로 연통되는 입구(16)로 들어가, 입구(16)로부터 후방으로 흐른다. 입구(16)로부터 들어간 공기 및 진애는 안내로(17)를 지나, 벤드(12)를 구성하는 접 속통(18)의 통 내 유로(19)를 통과하여 전기 청소기측으로 유도된다. 그 경우의 공기 및 진애의 흐름이 화살표 20, 29로 도시되어 있다. 접속통(18)은 전기 청소기에 호스를 통해 접속되는 연장관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벤드(12)는 본체(11)에 설치된 회전 받침부(21)와, 이 회전 받침부(21)에 일단부로서의 선단부(22)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술한 접속통(18)을 포함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접속통(18)은 그 선단부(22)를 중심으로 화살표 2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 받침부(21)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11)에 본체(11)의 폭 방향(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접속통(18)의 선단부(22)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회전 받침부(21)는 본체(11)의 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대략 원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접속통(22)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받침면(24)은 대략 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접속통(18)의 선단부(22)에는 받침면(24)에 내부 끼워 맞춤하여 원활하게 미끄럼 접촉하기 위한 끼워 맞춤면(25)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대략 구면 형상의 받침면(24)에 안내되어, 접속통(18)은 그것의 선단부(22)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접속통(18)이 대략 수평 방향으로 눕혀진 회전 상태(도1 참조)와, 접속통(18)이 상방으로 굴곡되도록 세워진 회전 상태(도2 참조)에서는, 접속통(18)의 선단부 부근의 통 내 유로(19a)의 유로 단면적이 변화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통(18)을 눕힌 상태에서는, 입구(16), 안내로(17), 통 내 유로의 선단부(19a) 및 통 내 유로(19)에 연통되는 유로의 크기(굵기)는 상대적으로 변화가 적고, 화살표 2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입구(16)로부터 들어간 공기 및 진애는 통 내 유로(19)의 후방측으로 원활하게 흐른다.
한편,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통(18)을 세운 상태로 회전시키면, 안내로(17)와 통 내 유로의 선단부(19a)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 부분의 크기(내경)가 커진다. 이로 인해, 하방에 위치하는 받침면(24) 및 통 내 유로의 선단부(19a)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 부분에, 공기의 난류가 발생하기 쉬운 포켓(난류 포켓)(26)이 생성된다. 이로 인해, 입구(16)로부터 들어가, 안내로(17)로부터 통 내 유로(19)로 흐르는 공기 및 진애는 화살표 29로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으로 유통하는 것에 더하여, 난류 포켓(26)에서 생기는 압력차 때문에, 화살표 27로 나타낸 바와 같은 난류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난류(27)가 발생하면, 흡입음이 커져, 사용자에 대해 소음의 발생을 인식시키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리브(3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브(30)는 접속통(18)의 선단부측 하방 내면에 대략 전체면에 걸쳐서 복수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화살표 20, 29로 나타내는 공기 및 진애의 통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박판 형상의 돌조로 되어 있다. 리브(30)는 접속통(18)의 선단부로부터 접속통(18)의 가장 유로 면적이 작아지는 위치 근방까지 형성되어 있다. 리브(30)를 설치하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난류 포켓(26)에서 발생하기 쉬운 난류(27)는, 리브(30)에 안내되어 접속통(18)의 통 내 유 로(19)에서 후방으로 유도되므로, 난류의 발생이 억지되고, 그 결과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3은 접속통(18) 단일 부재의 사시도로, 리브(3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30)는 접속통(18)의 선단부측 내면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브(30)는 접속통(18)의 선단부(31)로부터 후방을 향해 접속통(18)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판형 돌기 형상체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접속통(18)을 세운 상태로 회전시켜, 접속통(18)의 선단부(31) 하면측에 생기는 난류 포켓(26)에 있어서, 압력차로부터 발생하기 쉬운 공기의 흐트러짐을 정류할 수 있고, 난류의 발생을 억제하여 흡입되는 공기 및 진애를 원활하게 통 내 유로(19) 내에서 후방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전술한 실시 형태의 리브(30)에 더하여, 제2 리브(41)를 추가한 것이다.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4는 단면도, 도5는 접속통(18)을 연장관의 접속 단부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통(18)을 세운 상태로 회전시키면, 안내로(17)와 통 내 유로의 선단부(19a)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 부분의 크기(내경)가 커진다. 이로 인해, 하방에 위치하는 받침면(24) 및 통 내 유로의 선단부(19a)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 부분에 공기의 난류가 발생하기 쉬운 포켓(난류 포켓)(26)이 생성된다. 이로 인해, 입구(16)로부터 들어가, 안내로(17)로부터 통 내 유로(19)로 흐르는 공기 및 진애는 화살표 29로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으로 유통한 데 더하여, 난류 포켓(26)에서 생기는 압력차 때문에 화살표 27로 나타낸 바와 같은 난류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난류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리브(30)를 형성하여 공기의 흐트러짐을 정류하여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지만, 완전하게는 난류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곤란하다.
접속통(18)은 회전 받침부(21)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회전 받침부(21)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유로가 좁아지는 장소가 형성된다. 그 유로 면적이 좁은 장소의 하류측은, 유로 면적이 넓어지므로, 유로 단면적의 변화에 의해 난류가 발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브(30)를 형성하여 공기의 흐트러짐을 정류하고 있지만, 완전히는 난류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곤란하고, 이 공기의 흐트러짐이 기인이 되어, 접속통(18)의 유로 면적이 좁은 장소보다 하류측에서 난류가 발생하기 쉬워져, 소음이 발생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제2 리브(41)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리브(41)는 접속통(18)의 가장 유로 면적이 좁은 위치로부터 연장관이 접속되는 접속 단부까지 연장 설치되어, 둘레 전체에 형성되어 있다. 제2 리브(41)는 공기 및 진애의 통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박판 형상의 돌조로 되어 있 다.
접속통(18)은 금형 구조 상, 유로 면적이 가장 좁은 장소가 접속통(18) 내면을 성형하는 금형의 맞댐 부위가 된다. 접속통(18)의 유로 면적이 가장 좁은 장소보다 하류측(연장관의 접속 단부측)은, 금형의 발형 테이퍼를 위해, 선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리브(41)는, 서로 대향하는 제2 리브(41) 사이의 치수를 유로 면적이 가장 좁은 장소로부터 연장관의 접속 단부까지 대략 동일 치수로 형성함으로써, 접속통(18) 내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을 연장관의 접속 단부측이 됨에 따라서 높아지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공기의 정류 효과를 크게 하고 있다.
제2 리브(41)를 설치하면, 접속통(18)의 유로 면적이 좁은 장소보다 하류측에서 발생하기 쉬운 난류는, 제2 리브(41)에 의해 정류되므로, 난류의 발생이 억제되고, 그 결과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6 및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는, 본체(11)의 회전 받침부(21)에 회전통(42)을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회전통(42)에 본체(11)의 폭 방향(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접속통(18)을 지지하고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통(18)을 세운 상태로 회전시키면, 안내로(17)와 통 내 유로의 선단부(19a)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 부분의 크기(내경)가 커진다. 이로 인해, 하방에 위치하는 받 침면(24) 및 통 내 유로의 선단부(19a)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 부분에, 공기의 난류가 발생하기 쉬운 포켓(난류 포켓)(26)이 생성된다. 이로 인해, 입구(16)로부터 들어가 안내로(17)로부터 통 내 유로(19)로 흐르는 공기 및 진애는, 후방으로 유통하는 데 더하여, 난류 포켓(26)에서 생기는 압력차 때문에 난류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난류가 발생하면, 흡입음이 커져 사용자에 대해 소음의 발생을 인식시켜 버린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회전통(42) 내면에 리브(30)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30)를 설치하면, 난류 포켓(26)에서 발생하기 쉬운 난류는 리브(30)에 안내되어 회전통(42)의 통 내 유로(19)에서 후방으로 유도되므로, 난류의 발생이 억지되고, 그 결과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통(42)에 대해 접속통(18)을 본체(11)의 폭 방향(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통(42)으로부터 접속통(18)에 이르는 공기 및 진애의 흐름이 급격하게 굴곡되므로, 난류가 발생하기 쉬워져 소음이 커진다.
이러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접속통(18)의 회전통(42) 단부측의 하방 내면에 대략 전체면에 걸쳐서 제3 리브(43)가 복수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3 리브(43)를 설치하면, 유로의 굴곡에 의해 발생하기 쉬운 난류는 제3 리브(43)에 안내되어 접속통(18)의 통 내 유로(19)에서 후방으로 유도되므로, 난류의 발생이 억지되고, 그 결과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접속통(18)의 연장관으로의 접속부측에서 난류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접속통(18)의 연장관으로의 접속부측 내면에 제2 리브(41)를 형성하면 된다.
리브(30), 제2 리브(41) 및 제3 리브(43)의 형상이나 구성은, 도1 내지 도7에 도시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1 내지 도7에 있어서, 각 리브(30, 41, 43)의 높이를 도시보다도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도1 내지 도7에서는 각 리브(30, 41, 43)는 전후 방향(도1, 도4 및 도6에 있어서 좌측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일정한 높이의 리브로 되어 있지만, 선단부측의 리브의 높이를 높게 하고 후단부측의 리브의 높이를 낮게 하거나, 선단부측의 리브의 높이를 낮게 하고 선단부측의 리브의 높이를 높게 하도록 전후 방향의 위치에 의해 리브의 높이에 고저차를 부여해도 좋다.
또한, 도3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30)는 예를 들어 6개의 리브로 하는 것 대신에, 1 내지 N개(N은 임의의 정수)의 리브로 해도 좋다.
또한, 리브(30)를 형성하는 위치는, 본체(11)에 대해 접속통(18)[벤드(12)]을 회전시켜 공기 및 진애의 통과 유로를 굴곡시켰을 때에, 그 굴곡 외측의 위치에 난류 포켓(26)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굴곡 외측의 위치가 바람직하지만, 통 내 유로(19)의 내경이 커지는 위치이면, 상기한 위치 이외에 리브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제2 리브(41)는 둘레 전체에 형성하였지만, 난류가 발생하기 쉬운 장소에만 형성해도 좋다.
또한, 벤드(12)의 회전 방향은 상하 방향에 한하지 않고, 본체(11)에 대해 벤드(12)가 좌우 방향으로도 회전 가능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에 대해서도 본 발 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경우에 있어서, 벤드(12)를 회전시켰을 때에, 통 내 유로의 내경이 커지는 위치에 리브가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는 상술한 실시 형태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브러시(14)가 아닌, 흡입시에 생기는 풍압에 의해 회전되는 브러시를 갖는 것, 브러시는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 등, 다양한 흡입구에 적용 가능하다. 즉, 흡입구를 갖는 본체 및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 및 진애를 안내하기 위한 통 형상의 벤드를 갖는 흡입구이면,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받침부(21)는 본체(11)에 본체(11)의 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었지만, 다른 실시 형태로서, 회전 받침부(21)를 본체(11)에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는 업라이트형 청소기의 흡입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의 중앙 종단면도이며, 벤드를 눕힌 상태의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의 중앙 종단면도이며, 벤드를 세운 상태의 도면.
도3은 접속통(18) 단일 부재의 사시도이고, 리브(3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의 중앙 단면도.
도5는 접속통(18)을 연장관 접속 단부측으로부터 본 평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의 중앙 단면도이며, 벤드를 눕힌 상태의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의 중앙 단면도이며, 벤드를 세운 상태의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흡입구(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11 : 본체
12 : 벤드
13 : 흡입구
16 : 입구
17 : 안내로
18 : 접속통
19 : 통 내 유로
19a : 통 내 유로의 선단부
20, 29 : 공기 및 진애의 흐름을 설명하는 화살표
21 : 회전 받침부
22 : 접속통(18)의 일단부로서의 선단부
24 : 역반구 형상의 받침면
25 : 끼워 맞춤면
27 : 난류를 나타내는 화살표
30 : 리브
41 : 제2 리브(리브)
42 : 회전통
43 : 제3 리브(리브)

Claims (15)

  1. 피청소면에 대향되는 흡입구(吸入口)를 갖는 본체와, 그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돌출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및 진애를 전기 청소기 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통 형상의 벤드를 갖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吸入具)이며,
    상기 벤드는 상기 본체에 설치된 회전 받침부와,
    상기 회전 받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접속통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통의 통 형상 내면에는 소정 위치에 상기 공기 및 진애의 통과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드의 회전 받침부는 대략 구면 형상의 받침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통의 일단부는, 그 외표면이 상기 받침면에 내부 끼워 맞춤하는 끼워 맞춤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통은 상기 받침면을 중심으로 적어도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접속통의 일단부의 하방 내면에 상기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평행하게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위치는,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벤드를 회전시켜, 공기 및 진애의 통과 유로를 굴곡시켰을 때에, 굴곡 외측의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통의 타단부측 내면에 상기 공기 및 진애의 통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접속통의 타단부측 내면으로부터 일단부측을 향해 대략 둘레 전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받침부는 상기 본체에 대해 본체의 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8. 피청소면에 대향되는 흡입구를 갖는 본체와, 그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돌출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및 진애를 전기 청소기 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통 형상의 벤드를 갖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며,
    상기 벤드는 상기 본체에 설치된 회전 받침부와,
    상기 회전 받침부에 일단부가 피봇 지지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통과,
    상기 회전통에 일단부가 피봇 지지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접속통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통의 통 형상 내면에는, 소정 위치에 상기 공기 및 진애의 통과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벤드의 회전 받침부는 대략 원호 형상의 받침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통의 일단부는, 그 외표면이 상기 받침면에 내부 끼워 맞춤하는 끼워 맞춤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통은 상기 받침면을 중심으로 적어도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접속통의 일단부의 하방 내면에 상기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평행하게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위치는,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벤드를 회전시켜, 공기 및 진애의 통과 유로를 굴곡시켰을 때에, 굴곡 외측의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12. 피청소면에 대향되는 흡입구를 갖는 본체와, 그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돌출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및 진애를 전기 청소기 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통 형상의 벤드를 갖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며,
    상기 벤드는 상기 본체에 설치된 회전 받침부와,
    상기 회전 받침부에 일단부가 피봇 지지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통과,
    상기 회전통에 일단부가 피봇 지지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접속통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통의 통 형상 내면에는, 소정 위치에 상기 공기 및 진애의 통과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평행하게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14. 피청소면에 대향되는 흡입구를 갖는 본체와, 그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돌출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및 진애를 전기 청소기 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통 형상의 벤드를 갖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며,
    상기 벤드는 상기 본체에 설치된 회전 받침부와,
    상기 회전 받침부에 일단부가 피봇 지지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통과,
    상기 회전통에 일단부가 피봇 지지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접속통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통의 타단부측 내면에는 상기 공기 및 진애의 통과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접속통의 타단부측 내면으로부터 일단부측을 향해 대략 둘레 전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KR1020080007365A 2007-01-25 2008-01-24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KR200800705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15416 2007-01-25
JP2007015416 2007-01-25
JP2007320255A JP5172309B2 (ja) 2007-01-25 2007-12-12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JP-P-2007-00320255 2007-1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546A true KR20080070546A (ko) 2008-07-30

Family

ID=39778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365A KR20080070546A (ko) 2007-01-25 2008-01-24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172309B2 (ko)
KR (1) KR20080070546A (ko)
CN (1) CN10122903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3641A1 (de) * 2013-09-26 2015-04-02 Alfred Kärcher Gmbh & Co. Kg Saugvorrichtung mit schallspiegel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8060A (ja) * 2000-01-19 2001-07-24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3528736B2 (ja) * 2000-01-31 2004-05-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掃除機の吸口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3641A1 (de) * 2013-09-26 2015-04-02 Alfred Kärcher Gmbh & Co. Kg Saugvorrichtung mit schallspiegeleinrichtung
US10184491B2 (en) 2013-09-26 2019-01-22 Alfred Kärcher SE & Co. KG Suction device with sound mirr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29035B (zh) 2011-01-26
JP5172309B2 (ja) 2013-03-27
CN101229035A (zh) 2008-07-30
JP2008200480A (ja) 200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83522A1 (en) Cleaner
US8695160B2 (en) Nozzle of vacuum cleaner
KR20130124975A (ko) 표면 처리기기용 청소기 헤드
JP2005296621A (ja) 吸入ブラシ組立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真空掃除機
US10646083B2 (en) Vacuum cleaner with angled wheels
KR20090063334A (ko) 로봇청소기의 브러쉬 흡입장치
KR20080070546A (ko)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KR101473793B1 (ko) 브러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CN104703524B (zh) 具有进风孔的被动真空吸尘器吸嘴
WO2012153460A1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AU2008203354B2 (en) Agitator and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JP2007211708A (ja) 電動送風機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05288148A (ja) ブラシ組立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真空掃除機
CN209236000U (zh) 吸入口器具和电动吸尘器
KR100306267B1 (ko) 마루용 흡입구
KR20140089946A (ko) 청소기의 노즐
JP2010029401A (ja) 電気掃除機
CN210989964U (zh) 手持式吸尘器
KR20060107617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시
JP6354204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001198060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KR102095693B1 (ko) 청소기용 유체 흡입장치
JP2012071008A (ja) 付属ブラシ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101653309B1 (ko) 흡입관릴장치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KR100282221B1 (ko) 바닥용 흡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