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8461A - 휴대 단말기 및 그에 장착되는 사운드 가이드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에 장착되는 사운드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8461A
KR20080068461A KR1020070006290A KR20070006290A KR20080068461A KR 20080068461 A KR20080068461 A KR 20080068461A KR 1020070006290 A KR1020070006290 A KR 1020070006290A KR 20070006290 A KR20070006290 A KR 20070006290A KR 20080068461 A KR20080068461 A KR 20080068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housing
sound
terminal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2294B1 (ko
Inventor
김유진
김하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64177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8006846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6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294B1/ko
Priority to EP08000776.8A priority patent/EP1968285B1/en
Priority to US12/015,610 priority patent/US7920904B2/en
Publication of KR20080068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어 음성을 제1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마이크홀; 상기 단말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음성을 받아들이는 수음부(受音部)가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배치되는 마이크(microphone); 및 상기 마이크홀과 수음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마이크홀을 통과한 음성을 상기 수음부로 가이드하여 집중시키는 집음부(集音部)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마이크홀과 마이크의 수음부의 방향이 다른 경우에도 음성을 충분히 수음부로 유도하게 되어 송화 성능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변형 설계를 용이하게 한다.
핸드폰, 휴대폰, 단말기, 마이크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에 장착되는 집음부{MOBILE TERMINAL AND SOUND GUIDING UNIT EQUIPPED THEREWITH}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마이크 부분을 분해하여 보인 전면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마이크 부분을 분해하여 보인 후면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집음부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집음부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휴대 단말기 10: 제1하우징
12: 디스플레이 20: 제2하우징
30: 제3하우징 31: 마이크홀
32: 지지면 40: 회로기판
41: 마이크 장착부 43: 관통홀
50: 마이크 51: 수음부
60: 집음부 61: 제1가이드부
62: 제1채널 63: 제2가이드부
64: 제2채널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중에 이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음성 송수신이나 정보를 열람 또는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하나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기지국과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안테나 장치가 필요하게 되고, 사용자가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스피커 및 마이크가 장착된다.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경량화되고 슬림화되어 가고 있으므로, 마이크나 안테나 장치를 장착하더라도 이동통신 단말기에 과다한 불요 공간을 만드는 것을 피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는 정보통신 기술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는 보다 많은 기능이나 정보를 제공하면서도, 복잡한 외관을 만들지 않고 간결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함을 주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마이크 장치는 통화시 사용자의 입에 가깝게 위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의 하단의 정면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러한 배치는 다른 장치 예를 들어 입력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관련하여 적절할 것을 요한다. 예를 들어, 입력장치의 하단 정면에 별도로 공간을 마련하여 마이크를 배치하는 경우 마이크 성능은 좋아질 수 있지만, 휴대 단말기의 길이를 길어지게 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마이크가 음성을 받는 방향과 마이크로 이어지는 마이크홀의 방향이 다른 경우라면, 마이크의 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적 고려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마이크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마이크를 적절하게 배치함으로써 외관을 개선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에 장착되는 집음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어 음성을 제1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마이크홀; 상기 단말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음성을 받아들이는 수음부(受音部)가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배치되는 마이크(microphone); 및 상기 마이크홀과 수음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마이크홀을 통과한 음성을 상기 수음부로 가이드하여 집중시키는 집음부(集音部)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마이크홀은 상기 단말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마이크는 부품들이 장착되는 회로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부품들과 동일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수음부가 상기 회로기판에 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마이크가 장착되는 마이크 장착부에는 음성이 상기 수음부로 통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마이크장착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일부가 상기 제1방향과 평행하게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집음부에는 상기 마이크 장착부의 후면 및 테두리를 감싸며 밀폐시키는 홀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집음부는 상기 제1방향으로 들어온 음성을 가이드하는 제1채널 및 상기 제1채널과 상기 관통홀 사이를 연통시키는 제2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집음부는 탄성이 있는 연질의 러버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 하우징은 상기 단말기의 전면 외관을 이루는 제1하우징, 상기 단말기의 후면 외관을 이루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단말기의 측면 외관을 이루는 제3하우 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홀은 상기 제3하우징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3하우징은 상기 마이크홀의 하부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지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집음부는 상기 지지면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단말기의 전면을 일체로 덮을 수 있게 형성되며, 그 일부분이 디스플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하우징의 디스플레이는 터치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하단에는 푸시방식으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단말기 하우징의 내면에 밀착되어 상기 단말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마이크홀을 통하여 제1방향으로 들어온 음성을 가이드할 수 있게 제1채널이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 및 상기 제1채널에 연통될 수 있게 형성되어, 음성을 받아들이는 수음부가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마이크의 상기 수음부를 향해 음성을 가이드하는 제2채널이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부 및 제2가이드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 및 마이크의 장착 후에 별개로 조립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집음부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집음부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1)는 전면(front surface)을 일체로 덮고 있는 제1하우징(10)과,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20) 및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20)의 사이에 배치되어 휴대 단말기(1)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제3하우징(30)으로 구성되고 있는 단말기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제1하우징(10)의 전면은 그 일부가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2)로 활용되는 것이 가능하며, 그 상단에는 리시버 장치(11)가 장착되고, 하단에는 간단한 입력을 위한 키(13)가 구비되고 있다. 키(13)는 배제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보다 넓은 디스플레이(12)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12)는 터치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내부에 센서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두는 것이 가능하며, 키(13)는 푸시 방식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키(13) 대신 또는 키(13)와 더불어 스크롤(scroll) 장치 또는 다이얼(dial) 장치를 두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스크롤 장치 또는 다이얼 장치는 스크롤 또는 다이얼의 회전운동을 통하여 디스플레이(12)에 표시되는 포인터나 커서를 빠르게 이동시킴으로써 원하는 입력이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를 말한다.
도 2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1)의 후면에는 배터리를 장착하기 위한 배터리커버(21)가 장착되어 있다. 다만, 배터리커버(21) 대신 커버와 배터리셀이 일체로 형성되는 팩(pack) 형태가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 의하면, 제3하우징(30)의 측면에는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종래의 예와 달리 마이크홀(31)이 형성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홀(31)의 배치는, 제1하우징(10)을 더욱 심플하게 형성시켜 외관을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1)의 크기 대비 디스플레이(12)의 면적을 넓힐 수 있어 대량의 정보를 입출력하는데 유리하다. 다만, 마이크홀()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하우징(11)에도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부가될 있는 장치로서, 휴대 단말기(1)의 일측에는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23), 사이드키(33)(34) 또는 카메라 장치(25)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마이크 부분을 분해하여 보인 전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마이크 부분을 분해하여 보인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하우징(30)은 수평한 지지면(32)을 구비하고 있으며, 지지면(32)에는 부품들(42)이 장착되는 회로기판(40) 및 회로기판(40)에 실장되고 있는 마이크(50)가 지지되고 있다.
마이크홀(31)은 휴대 단말기(1)의 측면에 대략 수직한 제1방향으로 들어갈 수 있게 형성되어 있으며(도 3참조), 마이크(50)는 음성을 받아들이는 수음부(受音部)(51)가 제1방향과 대략 수직한 방향을 이루는 제2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음(도 4 및 도 7 참조)을 볼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제1방향과 제2방향은 마이크홀(31)과 마이크(50)의 배치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본 실 시예 외에도 제1방향과 제2방향이 같지 않은 다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이크(50)는 다른 부품들(42)과 동일한 회로기판(40)의 면에 배치됨으로써, 마이크(50)를 장착한 결과로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이크(50)는 회로기판(40)의 하단의 일부분이 제1방향과 평행하게 돌출되어 형성되고 있는 마이크장착부(41)에 실장되고 있으며, 수음부(51)가 회로기판(40)에 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마이크장착부(41)에는 음성이 수음부(51)로 통할 수 있도록 제2방향으로 관통홀(4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마이크홀(31)에 들어온 음성을 수음부가 제2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마이크(50)에 손실없이 가이드하여 집중시킬 수 있도록 마이크홀(31)과 수음부(51) 사이에는 집음부(集音部)(60)가 배치되어 있다.
집음부(60)는 마이크(50)가 장착된 회로기판(40)과 단말기 하우징을 조립하는 함께 조립하거나, 회로기판(40)이 고정된 상태에서 빼내거나 다시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고 음성이 새어 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연질의 탄성을 갖는 러버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도 3의 집음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집음부의 단면도를보인 것이다. 도 5와 도 6에 의하면, 집음부는 제3하우징(30)의 내면에 밀착되어 제2하우징에 형성되는 마이크홀(31)을 통하여 제1방향으로 들어온 음성을 가이드할 수 있게 제1채널(62)이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61) 및 제1채널(62)에 연통될 수 있게 형성되어 마이크(50)의 수음부(51)를 향해 음성을 가이드하는 제2채널(64)이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63)를 구비하고 있다. 제1가이드부(61) 및 제2가이드부(63)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성형과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음부(60)의 전면은 마이크장착부(41)의 후면 및 테두리를 감싸며 밀폐시키는 홀딩부(6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집음부(60)를 회로기판(40)과 제3하우징(30)의 사이에 장착시 조립 위치를 결정하기 용이하게 하면서도 음성이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용이하다.
집음부(60)에 형성되는 제1채널(62)은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제3하우징(30)의 지지면(32)과 조합되어 밀폐된 통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도 7에서 보는 것과 같이, 사용자의 음성이 마이크홀(31)을 통하여 제1방향으로 들어오게 되더라도 휴대 단말기(1)의 내부의 다른 공간으로 새지 않고 집음부(60)의 제1채널(62)과 제2채널(64)을 따라 전파되어 마이크(50)의 수음부(51)로 도달하게 된다(화살표 참조).
이러한 집음부(60)는 마이크(50)의 장착 위치와 마이크홀(31)의 장착 위치가 다르거나 그 방향이 다른 경우와 같이 변형적인 설계에 있어서도 유용하게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및 그에 장착되는 집음부에 의하면, 마이크홀과 마이크의 수음부의 방향이 다른 경우에도 음성을 충분히 수음부로 유도하게 되어 송화 성능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변형 설계를 용이하 게 한다. 또한, 집음부는 간단한 구조로 성형하기 용이하므로, 저렴한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에 장착되는 집음부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2)

  1. 음성을 제1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마이크홀이 외면에 형성된 단말기 하우징;
    상기 단말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음성을 받아들이는 수음부(受音部)가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배치되는 마이크(microphone); 및
    상기 마이크홀과 수음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마이크홀을 통과한 음성을 상기 수음부로 가이드하여 집중시키는 집음부(集音部)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홀은 상기 단말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부품들이 장착되는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부품들과 동일한 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수음부가 상기 회로기판에 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마이크가 장착되는 마이크 장착부에는 음성이 상기 수음부로 통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장착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일부로부터 상기 제1방향과 평행하게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집음부에는 상기 마이크 장착부의 후면 및 테두리를 감싸며 밀폐시키는 홀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집음부는 상기 제1방향으로 들어온 음성을 가이드하는 제1채널 및 상기 제1채널과 상기 관통홀 사이를 연통시키는 제2채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음부는 탄성이 있는 연질의 러버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하우징은 상기 단말기의 전면 외관을 이루는 제1하우징, 상기 단말기의 후면 외관을 이루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단말기의 측면 외관을 이루는 제3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홀은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제3하우징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하우징은 상기 마이크홀의 하부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지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집음부는 상기 지지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단말기의 전면을 일체로 덮을 수 있게 형성되며, 그 일부분이 디스플레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디스플레이는 터치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하단에는 푸시방식으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70006290A 2007-01-19 2007-01-19 휴대 단말기 및 그에 장착되는 사운드 가이드 KR100862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290A KR100862294B1 (ko) 2007-01-19 2007-01-19 휴대 단말기 및 그에 장착되는 사운드 가이드
EP08000776.8A EP1968285B1 (en) 2007-01-19 2008-01-16 Mobile terminal
US12/015,610 US7920904B2 (en) 2007-01-19 2008-01-17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290A KR100862294B1 (ko) 2007-01-19 2007-01-19 휴대 단말기 및 그에 장착되는 사운드 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461A true KR20080068461A (ko) 2008-07-23
KR100862294B1 KR100862294B1 (ko) 2008-10-13

Family

ID=39641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290A KR100862294B1 (ko) 2007-01-19 2007-01-19 휴대 단말기 및 그에 장착되는 사운드 가이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20904B2 (ko)
EP (1) EP1968285B1 (ko)
KR (1) KR1008622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0567A (ko) * 2011-04-25 2012-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 홀이 배제된 휴대용 단말기
KR20140038243A (ko) * 2012-09-20 2014-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50026250A (ko) * 2013-09-02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닛 고정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전자 장치
KR20150139180A (ko) * 2014-06-03 2015-12-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가스누설 경보기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994B1 (ko) * 2008-06-25 2014-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JP2011055300A (ja) * 2009-09-02 2011-03-17 Fujitsu Ltd 携帯端末装置
US8264837B2 (en) * 2010-04-19 2012-09-11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ver assembly reten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30002109A1 (en) * 2011-06-30 2013-01-03 Peter Benjamin Gloria Mobile Electronic Device Housing
US20130076654A1 (en) * 2011-09-27 2013-03-28 Imerj LLC Handset states and state diagrams: open, closed transitional and easel
US9307314B2 (en) * 2013-06-12 2016-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side acoustic emission type speaker device
TWI583207B (zh) * 2013-10-23 2017-05-11 宏碁股份有限公司 手持式電子裝置
US10745192B2 (en) 2015-11-06 2020-08-18 Ameriglobe, Llc Industrial bag discharge spout
US10479599B2 (en) 2015-12-17 2019-11-19 Ameriglobe, Llc Industrial bag lift loop assembly
US11678445B2 (en) 2017-01-25 2023-06-13 Apple Inc. Spatial composites
US11099649B2 (en) 2017-03-29 2021-08-24 Apple Inc. Device having integrated interface system
USD841610S1 (en) * 2017-04-22 2019-02-26 Innovative Dimmers, LLC Wireless transceiver for controlling professional visual effects devices
US10965019B1 (en) 2017-04-23 2021-03-30 Innovative Dimmers, LLC Wireless transceiver for controlling professional lights and special effects devices
JP6941732B2 (ja) 2017-09-29 2021-09-29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マルチパートデバイスエンクロージャ
CN208548931U (zh) * 2018-08-04 2019-02-26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移动通讯装置
US11175769B2 (en) 2018-08-16 2021-11-1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lass enclosure
US11258163B2 (en) 2018-08-30 2022-02-22 Apple Inc. Housing and antenna architecture for mobile device
US10705570B2 (en) 2018-08-30 2020-07-0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ousing with integrated antenna
US11189909B2 (en) 2018-08-30 2021-11-30 Apple Inc. Housing and antenna architecture for mobile device
US11133572B2 (en) 2018-08-30 2021-09-2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segmented housing having molded splits
US10553196B1 (en) * 2018-11-06 2020-02-04 Michael A. Stewart Directional noise-cancelling and sound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sound targeted hearing and imaging
USD892097S1 (en) * 2019-01-04 2020-08-04 Furrion Property Holding Limited Electronic speaker assembly
CN113994345A (zh) 2019-04-17 2022-01-28 苹果公司 无线可定位标签
CN110913048B (zh) * 2019-11-29 2021-09-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US11968488B2 (en) 2021-05-26 2024-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c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7884C2 (sv) * 1996-05-03 1998-07-27 Ericsson Telefon Ab L M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ljudupptagning i en talkommunikator
US6101402A (en) * 1997-09-04 2000-08-08 Ericcson Inc. Radiotelephone with sliding acoustic member
KR200257575Y1 (ko) * 1998-12-18 2002-08-22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단말기의스피커소리유도장치
KR20000014209U (ko) * 1998-12-30 2000-07-25 윤종용 휴대폰의 송화음 전달구조
JP2001211089A (ja) 2000-01-26 2001-08-03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イクロホン実装構造
JP4133615B2 (ja) * 2003-06-19 2008-08-13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小型音響素子のホルダ及びホルダの取付構造
KR100595705B1 (ko) * 2003-12-10 200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보강장치
US7395095B2 (en) * 2004-05-28 2008-07-01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602004011621T2 (de) * 2004-11-16 2009-01-29 Research In Motion Ltd., Waterloo Mikrofonkoppler für ein Kommunikationsgerät
US7912508B2 (en) * 2006-12-15 2011-03-22 Motorola Mobility,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additional input or output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0567A (ko) * 2011-04-25 2012-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 홀이 배제된 휴대용 단말기
KR20140038243A (ko) * 2012-09-20 2014-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50026250A (ko) * 2013-09-02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닛 고정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전자 장치
KR20150139180A (ko) * 2014-06-03 2015-12-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가스누설 경보기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2294B1 (ko) 2008-10-13
US20080176609A1 (en) 2008-07-24
EP1968285B1 (en) 2014-10-01
EP1968285A2 (en) 2008-09-10
US7920904B2 (en) 2011-04-05
EP1968285A3 (en) 200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29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에 장착되는 사운드 가이드
KR101529921B1 (ko) 와치형 단말기
US8773847B2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CN107547997B (zh) 电路板组件及电子设备
KR20130000392A (ko)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하우징
US8611577B2 (en) Portable terminal with duct for transmitter
US11057507B2 (en) Electronic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JP2011055300A (ja) 携帯端末装置
JP4387342B2 (ja) 携帯端末装置
JP2000299723A (ja) 携帯無線機器の音響部品実装構造
CN108600456B (zh) 玻璃盖板组件以及电子装置
WO2013099068A1 (ja) 携帯型電子機器
JP2007143086A (ja) 無線通信端末
KR10103963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스피커 장치
WO2019072121A1 (zh) 电子设备及其中框结构
JP5100679B2 (ja) 通話装置における受話口の構造および携帯電話機
CN1722740B (zh) 键盘和麦克风布置系统和无线通信设备
KR20130098708A (ko) 외부출력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CN108418913B (zh) 电子装置
JP2011250076A (ja) 携帯電子機器
JP2012186549A (ja) 携帯端末の筺体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6805919B2 (ja) 電子機器
KR1011460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CN112165542A (zh) 出音组件及其电子设备
JP2009290561A (ja) 携帯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