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392A -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하우징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392A
KR20130000392A KR1020127024224A KR20127024224A KR20130000392A KR 20130000392 A KR20130000392 A KR 20130000392A KR 1020127024224 A KR1020127024224 A KR 1020127024224A KR 20127024224 A KR20127024224 A KR 20127024224A KR 20130000392 A KR20130000392 A KR 20130000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housing
sheath
additional
cur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4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7438B1 (ko
Inventor
데미안 마이크로프트
치 이 왕
로버트 리우
마크 뉴먼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00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04M1/0269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mounted in a fixed curved configuration, e.g. display curved around the edges of the telephone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8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ortable, e.g. battery opera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43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for decorative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하우징(housing)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앞면(front face)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제1 측면(first side face)으로 구부러지도록(curve) 구성되는 제1 투명 커브 부분; 상기 하우징의 상기 앞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제2 측면으로 구부러지도록 구성되는 제2 투명 커브 부분; 상기 하우징의 뒷면(rear face)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측면으로 구부러지도록 구성되는 제3 투명 커브 부분;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뒷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측면으로 구부러지도록 구성되는 제4 투명 커브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

Description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하우징{A housing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우징과 관련된다. 특히, 그것들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대체로 투명한 하우징과 관계된다.
종래의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색깔이 있는(colored)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진 하우징(housing)을 구비한다. 하우징은 디스플레이 및 열쇠들(keys)을 위한 개구들(apertures)을 포함하는 앞면(front face)과 카메라를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뒷면(rear face)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그러나 반드시 모두는 아닌 실시예들에 따르면,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하우징(housing)이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앞면(front face)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제1 측면(first side face)으로 구부러지도록 구성되는 제1 투명 커브 부분; 상기 하우징의 상기 앞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제2 측면으로 구부러지도록 구성되는 제2 투명 커브 부분; 상기 하우징의 뒷면(rear face)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측면으로 구부러지도록 구성되는 제3 투명 커브 부분;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뒷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측면으로 구부러지도록 구성되는 제4 투명 커브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투명 커브 부분들의 각각은 볼록 곡률(convex curvature)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및 제2 측면들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를 따라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하우징의 폭(width)을 한정할 수 있다.
상기 앞면 및 상기 뒷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하우징의 깊이(depth)를 한정할 수 있고, 상기 깊이는 상기 폭보다 작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앞면을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제1 투명 커브 부분 및 상기 제2 투명 커브 부분 중간에 배치되는 앞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앞벽, 상기 제1 투명 커브 부분 및 상기 제2 투명 커브 부분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앞면의 적어도 한 부분은 대체로 평평할 수 있다. 상기 앞면의 적어도 한 부분은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뒷면을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제3 투명 커브 부분 및 상기 제4 투명 커브 부분 중간에 배치되는 뒷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뒷벽, 상기 제3 투명 부분 및 상기 제4 투명 부분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뒷면은 대체로 평평할 수 있다. 상기 뒷면의 적어도 한 부분은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제1 투명 커브 표면 및 상기 제2 투명 커브 표면은 제1 반쪽 외피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제3 투명 커브 표면 및 상기 제4 투명 커브 표면은 제2 반쪽 외피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제1 반쪽 외피는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에서 상기 제2 반쪽 외피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반쪽 외피는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에서 상기 제2 반쪽 외피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투명 커브 부분들은 투명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투명 커브 부분들의 각각은 동일한 투명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투명 물질은 매끄러울 수 있다. 상기 투명 물질은 플라스틱 물질 또는 유리(glass)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투명 커브 부분들의 외부 테두리(outer rim)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되는 구멍(opening)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구멍 및 상기 외부 테두리를 덮도록 배치되는 말단 뚜껑(end ca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말단 뚜껑은 오디오 디바이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말단 뚜껑은 상기 오디오 디바이스를 위한 개구(apertur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추가의 말단에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투명 부분들의 추가의 외부 테두리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되는 추가의 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추가의 구멍 및 상기 추가의 외부 테두리를 덮도록 배치되는 추가의 말단 뚜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의 말단 뚜껑은 추가의 오디오 디바이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추가의 말단 뚜껑은 상기 추가의 오디오 디바이스를 위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그러나 반드시 모두는 아닌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에서 언급된 것과 같은 상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앞면을 통해 보이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투명 커브 부분과 정합되는 제1 커브 부분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투명 커브 부분과 정합되는 제2 커브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그러나 반드시 모두는 아닌 실시예들에 따르면,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하우징이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은: 길이(length), 폭(width) 및 깊이(depth)를 구비하는 투명 외피 - 상기 투명 외피는 상기 길이의 하나의 말단에서 구멍(opening)을 포함함 -; 및 상기 구멍을 덮도록 구성되는 말단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말단 뚜껑은 오디오 디바이스를 위한 개구를 포함한다.
상기 투명 외피는, 상기 길이에 대체로 수직이며 상기 구멍을 한정하는 외부 테두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말단 뚜껑은 상기 구멍을 한정하는 상기 외부 테두리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말단 뚜껑은, 상기 투명 외피로까지 확장되며 상기 말단 뚜껑을 제자리에 유지시키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외피는 상기 길이의 추가의 말단에서 추가의 구멍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추가의 구멍을 덮도록 구성되는 추가의 말단 뚜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의 말단 뚜껑은 추가의 오디오 디바이스를 위한 추가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외피는 상기 길이에 수직이며 상기 추가의 구멍을 한정하는 외부 테두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말단 뚜껑은 상기 추가의 구멍을 한정하는 상기 외부 테두리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디바이스는 마이크일 수 있고, 상기 추가의 오디오 디바이스는 확성기일 수 있다. 상기 투명 외피는 전체적으로 투명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그러나 반드시 모두는 아닌 실시예들에 따르면,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하우징이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은: 길이(length), 폭(width) 및 깊이(depth)를 구비하는 투명 외피 - 상기 투명 외피는 상기 길이의 하나의 말단에서 구멍(opening)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은 상기 투명 외피의 외부 테두리에 의해 한정됨 -; 및 상기 구멍 및 상기 외부 테두리를 덮도록 배치되는 말단 뚜껑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테두리는 상기 길이에 대체로 수직일 수 있다. 상기 투명 외피는 깨지기 쉬운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깨지기 쉬운 물질은 유리(glass)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여러 가지 예시들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이제 첨부된 도면들에 대해 오직 예시의 방법으로 참고가 이루어질 것이고, 그 도면에서:
도 1a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하우징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1b는 하우징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1c는 하우징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2는 제1 및 제2 말단 뚜껑들(end caps)을 나타내고;
도 3은 제1 및 제2 말단 뚜껑들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나타내고;
도 4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5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배면도를 나타내고;
도 6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도를 나타내고; 그리고
도 7은 대안의 하우징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a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portable electronic device)를 위한 하우징(housing, 100)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b는 하우징(10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c는 하우징(100)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휴대폰(mobile telephone), 게임 콘솔(games console), 개인용 음악 플레이어(personal music player),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일 수 있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주머니 안에 들어갈 만큼 작을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제1 및 제2 반쪽 외피들(half shells, 6, 7)로 만들어진, 속이 빈(hollow), 투명 외피(transparent shell, 5)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시에서, 제1 및 제2 반쪽 외피들(6, 7)은 유리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 물질과 같은 투명한, 매끄러운(smooth) 물질로 전체적으로 만들어진다. 각각의 반쪽 외피(6, 7)는 동일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각각의 반쪽 외피(6, 7)는 일체로(integrally) 형성된다.
투명 외피(5)는 길이(length) L1, 폭(width) W1 및 깊이(depth) D1를 구비한다. 길이 L1은 폭 W1 및 깊이 D1 보다 크다. 폭 W1은 길이 L1보다 작고, 그리고 깊이 D1보다 크다. 투명 외피(5)는 형상이 관 모양(tubular)이고, 그리고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하우징 전자 부품들을 위한 내부 공간(inner space)을 한정한다(define).
제1 반쪽 외피(6)는 제1 투명 커브 부분(first transparent curved portion, 15), 투명 앞벽(transparent front wall, 16) 및 제2 투명 커브 부분(17)을 포함한다. 제1 투명 커브 부분(15), 앞벽(16) 및 제2 투명 커브 부분(17)은 일체로(integrally) 형성된다.
도 1a, 1b 및 1c에 도시된 예시에서, 제1 투명 커브 부분(15), 투명 앞벽(16) 및 제2 투명 커브 부분(17)에는 개구들(apertures)이 없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를 위한 개구가 없고, 그리고 열쇠들(keys)를 위한 개구들이 없다.
앞벽(16)은 제1 투명 커브 부분(15) 및 제2 투명 커브 부분(17)의 중간에 위치한다. 앞벽(16)은 내부 표면(inner surface, 18) 및 외부 표면(outer surface, 19)을 포함한다. 앞벽(16)의 외부 표면(19)은 하우징(100)의 앞면(front face, 19)을 제공한다. 도시된 예시에서, 앞면(19)의 적어도 일 부분은 대체로(substantially) 평평하다(flat).
제1 투명 커브 부분(15)은 앞벽(16)으로부터 하우징(100)의 제1 측벽(side wall, 50)으로 구부러지도록(curve) 구성된다. 제1 투명 커브 부분(15)은 외부 표면(11) 및 내부 표면(12)을 구비한다. 제1 투명 커브 부분(15)의 외부 표면(11)은 볼록 곡률(convex curvature)을 구비하고, 투명 외피(5)의 깊이 D1 및 폭 W1에 의해 한정되는 평면에서 앞면(19)으로부터 제1 측벽(50)의 외부 표면(51)으로 구부러진다(curve). 제1 측벽(50)의 외부 표면(51)은 하우징(100)의 제1 측면(side face, 51)을 제공한다. 이 예시에서, 제1 측벽(50)의 일 부분은 제1 투명 반쪽 외피(6)에 의해 제공되고, 그리고 일 부분은 제2 투명 반쪽 외피(7)에 의해 제공된다.
제1 투명 커브 부분(15)의 내부 표면(12)은 볼록 곡률(convex curvature)을 구비하고, 투명 외피(5)의 깊이 D1 및 폭 W1에 의해 한정되는 평면에서 앞벽(16)의 내부 표면(18)으로부터 제1 측벽(50)의 내부 표면(53)으로 구부러진다(curve).
제1 투명 커브 부분(15)의 외부 표면(11) 및 내부 표면(12) 모두의 곡률의 호(arc)는, 제1 투명 커브 부분(15)이 앞벽(16)으로부터 제1 측벽(50)으로 확장(extend)할수록 증가한다. 도시된 제1 예시에서, 제1 투명 커브 부분(15)의 내부 표면(12)의 곡률의 호는 외부 표면(11)의 곡률의 호보다 더 빠른 속도(rate)로 증가하고, 이는 제1 투명 커브 부분(15)의 두께(thickness)가, 그것이 앞벽(16)으로부터 제1 측벽(50)으로 확장할수록 증가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 측벽(50)의 두께(r2)는 앞벽(16)의 두께(r1)보다 두껍다.
제2 투명 커브 부분(17)은 앞벽(16)으로부터 하우징(100)의 제2 측벽(52)으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된다. 제2 측벽(52)의 외부 표면(58)은 하우징(100)의 제2 측면(58)을 제공한다. 이 예시에서, 제2 측벽(52)의 일 부분은 제1 투명 반쪽 외피(6)에 의해 제공되고, 그리고 일 부분은 제2 투명 반쪽 외피(7)에 의해 제공된다.
제1 측면(51)과 제2 측면(58) 사이의 거리(distance) W1은 하우징(100)의 폭 W1을 한정한다. 도 1b에서 W2로 표시된 화살표는 제1 측벽(50)의 내부 표면(53) 및 제2 측벽(52)의 내부 표면(57)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제2 투명 커브 부분(17)은 외부 표면(13) 및 내부 표면(14)을 구비한다. 제2 투명 커브 부분(17)의 외부 표면(13)은 볼록 곡률을 구비하고, 투명 외피(5)의 깊이 D1 및 폭 W1에 의해 한정되는 평면에서 앞면(19)으로부터 제2 측벽(52)의 외부 표면(58)으로 구부러진다.
제2 투명 커브 부분(17)의 내부 표면(14)은 볼록 곡률을 구비하고, 투명 외피(5)의 깊이 D1 및 폭 W1에 의해 한정되는 평면에서 앞벽(16)의 내부 표면(18)으로부터 제2 측벽(52)의 내부 표면(57)으로 구부러진다.
제2 투명 커브 부분(17)의 외부 표면(13) 및 내부 표면(14) 모두의 곡률의 호(arc)는, 제2 투명 커브 부분(17)이 앞벽(16)으로부터 제2 측벽(52)으로 확장(extend)할수록 증가한다. 도시된 예시에서, 제2 투명 커브 부분(17)의 내부 표면(14)의 곡률의 호는 외부 표면(13)의 곡률의 호보다 더 빠른 속도(rate)로 증가하고, 이는 제2 투명 커브 부분(17)의 두께(thickness)가, 그것이 앞벽(16)으로부터 제2 측벽(52)으로 확장할수록 증가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2 측벽(52)의 두께(r2)는 앞벽(16)의 두께(r1)보다 두껍다.
도 1a로부터 볼 수 있듯이, 앞벽(16)은 투명 외피(5)의 길이 L1 전체를 따라 확장된다. 제1 투명 커브 부분(15) 및 제2 투명 커브 부분(17)은 투명 외피(5)의 길이 L1 전체를 따라 또한 확장되는 구부러진 벽들(curved walls)이다.
도 1a, 1b 및 1c에 도시된 예시에서, 제1 투명 반쪽 외피(6)는 측벽들(50, 52)의 각각에서 제2 투명 반쪽 외피(7)와 결합(join)된다. 참고 번호들 54 및 56은 제1 투명 반쪽 외피(6)가 제2 투명 반쪽 외피(7)에 부착되는 갈라진 틈들(discontinuities)을 나타낸다. 도 1a, 1b 및 1c에 도시된 예시에서, 갈라진 틈들(discontinuities, 54, 56)은 투명 외피의 길이 L1 전체를 따라 확장된다. 제1 투명 반쪽 외피(6)는, 예를 들어 갈라진 틈들(54, 56)에서 제2 투명 반쪽 외피(7)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제2 반쪽 외피(7)는 제3 투명 커브 부분(25), 투명 뒷벽(transparent rear wall, 26) 및 제4 투명 커브 부분(27)을 포함한다. 제3 투명 커브 부분(25), 투명 뒷면(transparent rear face, 26) 및 제4 투명 커브 부분(27)은 일체로 형성된다.
도 1a, 1b 및 1c에 도시된 예시에서, 제3 투명 커브 부분(25), 투명 뒷벽(26) 및 제4 투명 커브 부분(27)에는 개구들이 없다. 예를 들어, 카메라를 위한 개구가 없다.
뒷벽(26)은 제3 투명 커브 부분(25) 및 제4 투명 커브 부분(27)의 중간에 위치한다. 뒷벽(26)의 외부 표면(29)은 하우징(100)의 뒷면을 제공한다. 도시된 예시에서, 뒷면(rear face, 29)의 적어도 일 부분은 대체로 평평하다. 뒷벽(26)은 내부 표면(28) 및 두께 r1을 구비한다. 이 예시에서, 뒷벽(26)은 앞벽(16)과 동일한 두께 r1을 구비한다.
뒷면(29) 및 앞면(19) 사이의 거리 D1은 하우징(100)의 깊이 D1을 한정한다. D2로 표시된 화살표는 앞벽(16)의 내부 표면(18) 및 뒷벽(26)의 내부 표면(28)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제3 투명 커브 부분(25)은 뒷벽(26)으로부터 하우징(100)의 제1 측벽(50)으로 구부러지도록 구성된다. 제3 투명 커브 부분(25)은 외부 표면(21) 및 내부 표면(22)을 구비한다. 제3 투명 커브 부분(25)의 외부 표면(21)은 볼록 곡률을 구비하고, 투명 외피(5)의 깊이 D1 및 폭 W1에 의해 한정되는 평면에서 뒷면(29)으로부터 제1 측면(51)으로 구부러진다. 제3 투명 커브 부분(25)의 내부 표면(22)은 볼록 곡률을 구비하고, 투명 외피(5)의 깊이 D1 및 폭 W1에 의해 한정되는 평면에서 뒷벽(26)의 내부 표면(28)으로부터 제1 측벽(50)의 내부 표면(53)으로 구부러진다.
제3 투명 커브 부분(25)의 외부 표면(21) 및 내부 표면(22) 모두의 곡률의 호는, 제3 투명 커브 부분(25)이 뒷벽(26)으로부터 제1 측벽(50)으로 확장할수록 증가한다. 도시된 제1 예시에서, 제3 투명 커브 부분(25)의 내부 표면(22)의 곡률의 호는 외부 표면(21)의 곡률의 호보다 더 빠른 속도(rate)로 증가하고, 이는 제3 투명 커브 부분(22)의 두께(thickness)가, 그것이 뒷벽(26)으로부터 제1 측벽(50)으로 확장할수록 증가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 측벽(50)의 두께(r2)는 뒷면(26)의 두께(r1)보다 두껍다.
제4 투명 커브 부분(27)은 뒷벽(26)으로부터 하우징(100)의 제2 측벽(52)으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된다. 제4 투명 커브 부분(27)은 외부 표면(23) 및 내부 표면(24)을 구비한다. 제4 투명 커브 부분(27)의 외부 표면(23)은 볼록 곡률을 구비하고, 투명 외피(5)의 깊이 D1 및 폭 W1에 의해 한정되는 평면에서 뒷면(26)으로부터 제2 측면(58)으로 구부러진다. 제4 투명 커브 부분(27)의 내부 표면(24)은 볼록 곡률을 구비하고, 투명 외피(5)의 깊이 D1 및 폭 W1에 의해 한정되는 평면에서 뒷벽(26)의 내부 표면(28)으로부터 제2 측벽(52)의 내부 표면(57)으로 구부러진다.
제4 투명 커브 부분(27)의 외부 표면(23) 및 내부 표면(14) 모두의 곡률의 호는, 제4 투명 커브 부분(27)이 뒷면(26)으로부터 제2 측면(52)으로 확장할수록 증가한다. 도시된 예시에서, 제4 투명 커브 부분(27)의 내부 표면(24)의 곡률의 호는 외부 표면(23)의 곡률의 호보다 더 빠른 속도(rate)로 증가하고, 이는 제4 투명 커브 부분(27)의 두께(thickness)가, 그것이 뒷벽(26)으로부터 제2 측벽(52)으로 확장할수록 증가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2 측면(52)의 두께(r2)는 앞면(16)의 두께(r1)보다 두껍다.
뒷벽(26)은 투명 외피(5)의 길이 L1 전체를 따라 확장된다. 제3 투명 커브 부분(25) 및 제4 투명 커브 부분(27)은 투명 외피(5)의 길이 L1 전체를 따라 또한 확장되는 구부러진 벽들(curved walls)이다.
이 예시에서, 제1 투명 커브 부분(15)이 제2 투명 커브 부분(17) 및 제3 투명 커브 부분(25)과 대칭적임을 도 1b로부터 볼 수 있다. 제2 투명 커브 부분(17)은 제4 투명 커브 부분(27)과 대칭적이다. 제3 투명 커브 부분(25)은 제4 투명 커브 부분(27)과 대칭적이다.
도 1a, 1b 및 1c에 도시된 예시에서, 투명 외피(5)는 형상이 관 모양이고, 그리고 투명 외피(5)의 길이 L1의 각각의 말단(end)에서 제1 및 제2 구멍들(openings, 40, 42)을 포함한다.
투명 외피(5)의 길이의 상부 말단(upper end)에 위치하는 제1 구멍(40)은, 제1 및 제2 반쪽 외피들(6, 7)의 제1 외부 테두리(outer rim, 30, 32)에 의해 한정된다. 제1 외부 테두리의 둘레의 일 부분(30)은 제1 투명 커브 부분(15), 앞벽(16) 및 제2 투명 커브 부분(17)에 의해 제공된다. 제1 외부 테두리의 둘레의 추가의 부분(32)은 제3 투명 커브 부분(25), 뒷벽(26) 및 제4 투명 커브 부분(27)에 의해 제공된다.
제1 외부 테두리(30, 32)는 투명 외피(5)의 길이 L1에 대체로 수직이다. 제1 외부 테두리(30, 32)는 앞벽(16)에서 리세스(recess, 8)를 포함한다.
투명 외피(5)의 길이의 하부 말단(lower end)에 위치하는 제2 구멍(40)은, 제1 및 제2 반쪽 외피들(6, 7)의 제2 외부 테두리(34, 36)에 의해 한정된다. 제2 외부 테두리의 둘레의 일 부분(34)은 제1 투명 커브 부분(15), 앞벽(16) 및 제2 투명 커브 부분(17)에 의해 제공된다. 제2 외부 테두리의 둘레의 추가의 부분(36)은 제3 투명 커브 부분(25), 뒷벽(26) 및 제4 투명 커브 부분(27)에 의해 제공된다.
제2 외부 테두리(34, 36)는 투명 외피(5)의 길이 L1에 대체로 수직이다. 제2 외부 테두리(34, 36)는 앞벽(16)에서 리세스(recess, 9)를 포함한다.
도 2는 제1 말단 뚜껑(end cap, 70) 및 제2 말단 뚜껑(75)을 나타낸다. 제1 말단 뚜껑(70)은 제1, 상부, 부분(first, upper, portion; 72) 및 제2, 하부, 부분(second, lower, portion; 74)을 포함한다. 제2 부분(74)은 제1 구멍(40) 안으로 삽입을 위해 형성되고, 제1 말단 뚜껑(70)을 제자리에 유지시키도록(to hold the first end cap 70 in place)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2 부분(74)은 투명 외피(5)의 2개의 측벽들(50, 52)의 내부 표면들(53, 57) 사이의 거리와 대체로 대응하는(corresponding with) 폭 W2 및 앞벽(16) 및 뒷벽(26)의 내부 표면들(18, 28) 사이의 거리에 대체로 대응하는 깊이 D2를 구비한다(도 1b를 참고). 제2 부분(74)은, 제1 말단 뚜껑(70)의 하부 부분(74) 및 투명 외피(5)의 내부 표면들(12, 14, 18, 22, 24, 28) 사이에 푸시-핏 연결(push-fit connection)이 제공될 수 있도록 특정의 치수로 만들어진다(is dimensioned to). 마찰(friction)은, 제1 말단 뚜껑(70)의 하부 부분(74)이 그것이 삽입될 때 제1 구멍(40)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제1 말단 뚜껑(70)의 제1 부분(72)은 투명 외피(5)의 제1 외부 테두리(30, 32) 및 제1 구멍(40)을 덮도록(to cover)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1 부분(72)은 투명 외피(5)의 2개의 측면들(51, 58) 사이의 거리에 대체로 대응하는 폭 W1 및 앞면(19) 및 뒷면(29) 사이의 거리에 대체로 대응하는 깊이 D1을 구비한다(도 1b를 참고).
제1 말단 뚜껑(70)은 확성기/수화기(loudspeaker/earpiece)와 같은 오디오 디바이스를 수용하도록(to house) 구성된다. 제1 말단 뚜껑(70)은 제2 부분(74)으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바깥쪽에(outwardly) 돌출된 제3 부분(72)을 더 포함한다. 제3 부분(72)은 제1 투명 반쪽 외피(6)의 제1 외부 테두리(30, 32)에서 리세스(8)에 들어맞도록(to fit into) 형성된다. 제3 부분(72)은 제1 말단 뚜껑(70)에 수용된 오디오 디바이스를 위한 개구(71)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디바이스가 확성기이면, 개구는 확성기에 의해 생성된 음파(sound waves)가 제1 말단 뚜껑(70)을 나갈 수 있게 한다.
제2 말단 뚜껑(75)은 제1, 상부, 부분(first, upper, portion; 78) 및 제2, 하부, 부분(second, lower, portion; 76)을 포함한다. 제1 부분(78)은 제2 구멍(42) 안으로 삽입을 위해 형성되고, 제2 말단 뚜껑(75)을 제자리에 유지시키도록(to hold the second end cap 75 in place)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1 부분(78)은 투명 외피(5)의 2개의 측벽들(50, 52)의 내부 표면들(53, 57) 사이의 거리와 대체로 대응하는 폭 W2 및 앞벽(16) 및 뒷벽(26)의 내부 표면들(18, 28) 사이의 거리에 대체로 대응하는 깊이 D2를 구비한다(도 1b를 참고). 제1 부분(78)은, 제2 말단 뚜껑(75)의 상부 부분(78) 및 투명 외피(5)의 내부 표면들(12, 14, 18, 22, 24, 28, 53, 57) 사이에 푸시-핏 연결(push-fit connection)이 제공될 수 있도록 특정의 치수로 만들어진다(is dimensioned to). 마찰(friction)은, 제2 말단 뚜껑(75)의 상부 부분(78)이 그것이 삽입될 때 제2 구멍(42)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말단 뚜껑(75)의 제2 부분(76)은 투명 외피(5)의 제2 외부 테두리(34, 36) 및 제2 구멍(42)을 덮도록(to cover)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2 부분(76)은 투명 외피(5)의 2개의 측면들(51, 58) 사이의 거리에 대체로 대응하는 폭 W1 및 앞면(19) 및 뒷면(29) 사이의 거리에 대체로 대응하는 깊이 D1을 구비한다(도 1b를 참고).
제2 말단 뚜껑(75)은 마이크(microphone)와 같은 오디오 디바이스를 수용하도록(to house) 구성된다. 제2 말단 뚜껑(75)은 제1 부분(78)으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바깥쪽에(outwardly) 돌출된 제3 부분(78)을 더 포함한다. 제3 부분(78)은 제1 투명 반쪽 외피(6)의 제2 외부 테두리(34, 36)에서 리세스(9)에 들어맞도록(to fit into) 형성된다. 제3 부분(78)은 제2 말단 뚜껑(75)에 수용된 오디오 디바이스를 위한 개구(77)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디바이스가 마이크이면, 개구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음파(sound waves)가 마이크의 진동판(diaphragm)에 도달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제자리에 있는(in position) 제1 및 제2 말단 뚜껑들(70, 75)을 구비하는 하우징(100)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하우징(100)은 투명 외피의 길이 L1보다 조금 더 긴 길이 L2를 구비한다.
도 3으로부터, 본 발명의 이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에서 유일한 개구들은 제1 및 제2 말단 뚜껑들(70, 75)에 있는 개구들임이 이해될 수 있다. 말단 뚜껑들(70, 75)에서 확성기 및 마이크를 위한 개구들(71, 77)의 존재는 그러한 개구들이 투명 외피(5)에 존재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한다. 이것의 유리한 기술적 효과는 투명 외피(5)가 그러한 개구들이 투명 외피(5)에 존재하는 경우보다 더 강하다는 것이다.
도 3으로부터, 제1 및 제2 말단 뚜껑들(70, 75)은 투명 외피(5)의 제1 및 제2 외부 테두리들(30, 32, 34, 36)을 덮도록(to cover) 배치되는 것이 또한 이해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말단 뚜껑들(70, 75) 및 그것들의 배치의 기술적 효과는, 그것들이 하우징(100)이 떨어지는 경우에 제1 및 제2 외부 테두리들(30, 32, 34, 36)이 손상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이것은 투명 외피(5)가 유리와 같은 깨지기 쉬운(brittle) 물질로 만들어진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도 4는 도 1a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하우징(100)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200)를 나타낸다. 이 특정한 예시에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200)는 커브 디스플레이(curved display, 21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의 커브 투명 부분들(15, 17)의 투명성(transparency)은 커브 디스플레이(210)가 제공될 수 있게 한다.
커브 디스플레이(210)는 예를 들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커브 디스플레이(210)는 터치 감지(touch sensitive)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는 예를 들어 용량성 기술(capacitive technology)을 이용하여 작동할 수 있다. 커브 디스플레이(210)는 제1 커브 부분(215), 대체로 평평한 부분(216) 및 제2 커브 부분(217)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210)의 제1 커브 부분(215)은 투명 외피(5)의 제1 투명 커브 부분(15)과 정합되게(in register with) 구부러지도록(curve)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커브 부분(215)의 곡률은 투명 외피(5)의 제1 투명 커브 부분(15)의 내부 표면(12)의 곡률을 따를(follow)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의 제2 커브 부분(217)은 투명 외피(5)의 제2 투명 커브 부분(217)과 정합되게(in register with) 구부러지도록(curve)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2 커브 부분(217)의 곡률은 투명 외피(5)의 제2 투명 커브 부분(17)의 내부 표면(14)의 곡률을 따를(follow)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시에서, 커브 디스플레이(210)는 제1 투명 부분(15), 앞벽(16) 및 제2 투명 커브 부분(17)에 걸쳐 확장된다. 이것은 하우징(100)의 측벽들(50, 52)에서, 갈라진 틈들(54, 56)에서 끝난다.
본 발명의 몇몇 대안의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210)의 적어도 일부는 측벽들(50, 52) 및 투명 외피(5)의 제3 및 제4 투명 커브 부분들(25, 27)에 걸쳐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10)의 적어도 일부는 제3 및 제4 투명 커브 부분들(25, 27)과 정합되게(in register with) 구부러질(curve) 수 있다. 그것은 디스플레이(210)가 뒷벽(26)을 포함하는, 투명 외피(5)의 전체 둘레를 돌아 확장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 숙련된 자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커브 디스플레이(210)의 사용에 제한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대신에, 평평한 디스플레이가 제공될 것이다.
하우징(100)의 외피(5)가 투명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210)를 위한 개구(aperture)를 가질 필요가 없다. 디스플레이(210)는 투명 외피(5)를 통해 볼 수 있다(viewable). 그러한 개구를 갖지 않는 것의 유리한 기술적 효과는 하우징(100)이 그러한 개구가 존재할 때보다 더 강하다는 것이다.
도 5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200)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예시에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200)는 카메라(90)를 포함한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200)는 또한 플래시 회로 소자(flash circuitry)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외피(5)는 카메라를 위한 개구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미지들은 외피(5)의 투명 뒷면(26)을 통해 캡처(capture)될 수 있다. 또한, 플래시 회로 소자는 투명 외피(5)를 통해 바로 빛(light)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대안의 실시예들에서, 카메라(90) 및 플래시 회로 소자 중 하나 또는 양쪽은 말단 뚜껑들(70, 75) 중 하나 안에 수용(house)될 수 있다. 이 실시예들에서, 말단 뚜껑(70, 75)은 카메라(90) 및/또는 플래시 회로 소자를 위한 하나 이상의 개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대표적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200)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그러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200)가 구성될 수 있는 방법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6 예에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200)는 제1 투명 반쪽 외피(6)를 포함한다. 평평한, 경계 없는(borderless),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210)는 제1 투명 반쪽 외피(6)의 바로 밑에 위치한다. 디스플레이(210)는 디스플레이 받침판(display support plate, 91)에 고정되는데, 디스플레이 받침판(91)은 예를 들어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부 인쇄 배선판(upper printed wiring board, 92)은 커넥터(93)에 의해 하부 인쇄 배선판(lower printed wiring board, 9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예시에서, 상부 인쇄 배선판(92)은 제1 말단 뚜껑(70)에 위치하고, 수화기/확성기, 통합 핸즈프리(integrated handsfree), 및 마이크로 USB(Universal Serial Bus) 칩셋(chipset)을 포함한다.
배터리(96)는 접착제(adhesive, 95)를 이용하여 하부 인쇄 배선판(94)에 부착된다. 배터리(96)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캐리어(antenna carrier, 97) 안에 있다. 안테나 캐리어(7)는 투명 제2 반쪽 외피(7)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 예시에서, 인쇄 부재(printed member)가 안테나 캐리어(97) 및 제2 반쪽 외피(7) 사이에 존재할 수 있어, 안테나 캐리어(97) 및/또는 배터리(96)가 사용자에게 보이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은 외피(151)의 하부 말단에서 오직 하나의 구멍(42)을 포함하는 투명 외피(151)의 대안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예시에서, 외피(151)의 상부 말단에는 구멍이 없다. 본 발명의 일부 다른 대안의 실시예들에서, 구멍(42)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고, 투명 외피(5)는 '밀폐(closed)'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예시들을 참고하여 이전 단락들에서 설명되었으나, 주어진 예시들에의 변형들이 청구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앞면(19) 및 뒷면(29)은 도면들에서 대체로 평평한 것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앞면(19) 및/또는 뒷면(29)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구부러질 수 있다. 측면들(51 , 58)은 도면들에서 구부러진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대안의 실시예들에서 그것들은 대체로 평평할 수 있거나, 대체로 평평한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외피(5)는 함께 결합되는 2개의 반쪽 외피들(6, 7)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에서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일부 대안의 실시예들에서, 투명 외피(5)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어, 갈라진 틈들(54, 56)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전 설명에서 기술된 특징들은 명확하게 기술된 결합들을 제외한 결합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기능들이 특정한 특징들을 참고하여 설명되었으나, 이 기능들은, 기술되었든 아니든 다른 특징들에 의해 실행 가능할 수 있다.
특징들이 특정한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되었으나, 이 특징들은, 기술되었든 아니든 다른 실시예들에서 또한 존재할 수 있다.
이전 설명에서 특히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본 발명의 이 특징들에 주의를 끌기 위해 노력하긴 했으나, 출원인은 앞에서 도면들을 참고 및/또는 도면들에서 도시된 임의의 특허를 받을 수 있는 특징들 또는 특징들의 결합에 대해, 특별한 강조가 그것에 대해 두어졌든 아니든, 보호를 주장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40)

  1.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하우징(housing)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앞면(front face)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제1 측면(first side face)으로 구부러지도록 구성되는 제1 투명 커브 부분;
    상기 하우징의 상기 앞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제2 측면으로 구부러지도록 구성되는 제2 투명 커브 부분;
    상기 하우징의 뒷면(rear face)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측면으로 구부러지도록 구성되는 제3 투명 커브 부분;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뒷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측면으로 구부러지도록 구성되는 제4 투명 커브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투명 커브 부분들의 각각은 볼록 곡률(convex curvature)을 구비하는 하우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및 제2 측면들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를 따라 확장되는 하우징.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하우징의 폭(width)을 한정하는 하우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앞면 및 상기 뒷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하우징의 깊이(depth)를 한정하고, 상기 깊이는 상기 폭보다 작은 하우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앞면을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제1 투명 커브 부분 및 상기 제2 투명 커브 부분 중간에 배치되는 앞벽을 더 포함하는 하우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앞벽, 상기 제1 투명 커브 부분 및 상기 제2 투명 커브 부분은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앞면의 적어도 한 부분은 대체로 평평한 하우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앞면의 적어도 한 부분은 구부러진 하우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뒷면을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제3 투명 커브 부분 및 상기 제4 투명 커브 부분 중간에 배치되는 뒷벽을 더 포함하는 하우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뒷벽, 상기 제3 투명 부분 및 상기 제4 투명 부분은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뒷면은 대체로 평평한 하우징.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뒷면의 적어도 한 부분은 구부러진 하우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 커브 표면 및 상기 제2 투명 커브 표면은 제1 반쪽 외피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제3 투명 커브 표면 및 상기 제4 투명 커브 표면은 제2 반쪽 외피에 의해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제1 반쪽 외피는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에서 상기 제2 반쪽 외피에 결합되는 하우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쪽 외피는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에서 상기 제2 반쪽 외피에 직접 부착되는 하우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투명 커브 부분들은 투명 물질로 만들어진 하우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투명 커브 부분들의 각각은 동일한 투명 물질로 만들어진 하우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물질은 매끄러운 하우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물질은 플라스틱 물질 또는 유리(glass)인 하우징.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투명 커브 부분들의 외부 테두리(outer rim)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되는 구멍(opening)을 구비하는 하우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 및 상기 외부 테두리를 덮도록 배치되는 말단 뚜껑(end cap)을 더 포함하는 하우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 뚜껑은 오디오 디바이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 뚜껑은 상기 오디오 디바이스를 위한 개구(aperture)를 포함하는 하우징.
  24. 제20항 내지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추가의 말단에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투명 부분들의 추가의 외부 테두리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되는 추가의 구멍을 구비하는 하우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구멍 및 상기 추가의 외부 테두리를 덮도록 배치되는 추가의 말단 뚜껑을 더 포함하는 하우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말단 뚜껑은 추가의 오디오 디바이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말단 뚜껑은 상기 추가의 오디오 디바이스를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28.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앞면을 통해 보이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투명 커브 부분과 정합되는 제1 커브 부분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투명 커브 부분과 정합되는 제2 커브 부분을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30.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길이(length), 폭(width) 및 깊이(depth)를 구비하는 투명 외피 - 상기 투명 외피는 상기 길이의 하나의 말단에서 구멍(opening)을 포함함 -; 및
    상기 구멍을 덮도록 구성되는 말단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말단 뚜껑은 오디오 디바이스를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외피는, 상기 길이에 대체로 수직이며 상기 구멍을 한정하는 외부 테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말단 뚜껑은 상기 구멍을 한정하는 상기 외부 테두리를 덮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 뚜껑은, 상기 투명 외피로까지 확장되며 상기 말단 뚜껑을 제자리에 유지시키는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
  33. 제30항,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외피는 상기 길이의 추가의 말단에서 추가의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추가의 구멍을 덮도록 구성되는 추가의 말단 뚜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의 말단 뚜껑은 추가의 오디오 디바이스를 위한 추가의 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외피는 상기 길이에 수직이며 상기 추가의 구멍을 한정하는 외부 테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말단 뚜껑은 상기 추가의 구멍을 한정하는 상기 외부 테두리를 덮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35.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디바이스는 마이크이고, 상기 추가의 오디오 디바이스는 확성기인 하우징.
  36. 제30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외피는 전체적으로 투명 물질로 만들어진 하우징.
  37.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길이(length), 폭(width) 및 깊이(depth)를 구비하는 투명 외피 - 상기 투명 외피는 상기 길이의 하나의 말단에서 구멍(opening)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은 상기 투명 외피의 외부 테두리에 의해 한정됨 -; 및
    상기 구멍 및 상기 외부 테두리를 덮도록 배치되는 말단 뚜껑을 포함하는 하우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테두리는 상기 길이에 대체로 수직인 하우징.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외피는 깨지기 쉬운 물질로 만들어진 하우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깨지기 쉬운 물질은 유리(glass)인 하우징.
KR1020127024224A 2010-03-18 2010-03-18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하우징 KR101537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10/051190 WO2011114190A1 (en) 2010-03-18 2010-03-18 A housing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392A true KR20130000392A (ko) 2013-01-02
KR101537438B1 KR101537438B1 (ko) 2015-07-16

Family

ID=44648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224A KR101537438B1 (ko) 2010-03-18 2010-03-18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하우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119293B2 (ko)
EP (1) EP2517540B1 (ko)
KR (1) KR101537438B1 (ko)
CN (1) CN102804942B (ko)
BR (1) BR112012023540B1 (ko)
TW (1) TWI584712B (ko)
WO (1) WO201111419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4807A (ko) * 2016-01-26 2018-05-24 구글 엘엘씨 전자 장치용 유리 인클로저
KR20190126272A (ko) * 2013-07-11 2019-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US11165896B2 (en) 2012-01-07 2021-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US11693558B2 (en) 2021-06-08 202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on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65236B2 (en) * 2011-09-26 2014-03-04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wrap around display
US8773848B2 (en) * 2012-01-25 2014-07-08 Apple Inc. Fused glass device housings
US9611165B2 (en) * 2012-06-08 2017-04-04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ending a glass sheet and an electronic device casing
US9429997B2 (en) 2012-06-12 2016-08-3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wrapped display
US9364861B2 (en) 2012-06-28 2016-06-14 Nokia Technologies Oy Tube-shaped part and an associated method of manufacture
KR102133158B1 (ko) * 2012-08-10 2020-07-1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의 제작 방법
KR102419385B1 (ko) 2012-09-03 2022-07-0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2194305B1 (ko) 2013-10-09 2020-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곡형 디스플레이 모듈을 갖는 전자 장치
US9817500B2 (en) 2013-12-27 2017-11-14 Intel Corporation Mechanism for facilitating flexible wraparound displays for computing devices
FR3021134B1 (fr) * 2014-05-14 2023-01-06 Lg Electronics Inc Terminal mobile
WO2016059514A1 (en) 2014-10-17 2016-04-2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CN104460089B (zh) * 2014-12-12 2018-02-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多面显示器件
KR102410549B1 (ko) * 2015-04-09 2022-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베젤리스 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장치
CN106163168A (zh) * 2015-04-22 2016-11-23 富泰华精密电子(郑州)有限公司 壳体及采用该壳体的电子装置
US10983626B2 (en) 2015-06-05 2021-04-20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display and touch sensor structures
WO2018006427A1 (zh) 2016-07-08 2018-01-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电池盖以及电子设备
KR102592054B1 (ko) * 2016-12-23 2023-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글래스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TWI630860B (zh) 2017-01-05 2018-07-21 宏達國際電子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WO2019130756A1 (ja) * 2017-12-26 2019-07-0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8773022A (zh) * 2018-05-25 2018-11-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电子装置和壳体的制造方法
CN108696610A (zh) * 2018-05-25 2018-10-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电子装置和壳体的制造方法
CN108668483B (zh) * 2018-05-29 2020-06-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的浮法成型设备及方法
CN110875967A (zh) * 2018-09-03 2020-03-1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壳体及其制备方法、电子设备及其制备方法
US11005515B2 (en) * 2018-09-10 2021-05-11 Apple Inc. Transparent accessory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2027890B1 (ko) * 2018-10-15 2019-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0728909A (zh) * 2019-09-29 2020-01-24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贴合屏幕的方法
CN112822879B (zh) * 2019-11-15 2022-07-26 荣耀终端有限公司 电子设备
KR102215076B1 (ko) * 2020-03-26 2021-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5522A (en) * 1992-09-24 1994-03-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as purge system for isolation enclosure for contamination sensitive items
US6771237B1 (en) 1993-05-24 2004-08-03 Display Science, Inc. Variable configuration video displays and their manufacture
JP3098455B2 (ja) * 1997-05-14 2000-10-16 邦彦 小池 携帯電話機
US7800592B2 (en) 2005-03-04 2010-09-21 Apple Inc.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multiple touch sensing devices
JP3141869B2 (ja) 1999-02-15 2001-03-07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およびこれを搭載する携帯用情報端末機器
KR200194785Y1 (ko) 2000-04-06 2000-09-01 강귀현 휴대폰 방수케이스
JP2002101173A (ja) 2000-09-26 2002-04-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電話装置
US7180735B2 (en) * 2001-11-19 2007-02-20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and watertight adapter for an interactive flat-panel controlled device
US20030095656A1 (en) 2001-11-20 2003-05-22 Sommer Henry David Rugged design and method for housing an electronic device
US6659274B2 (en) 2001-12-14 2003-12-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aterproof casing for Hewlett-Packard Jornada portable personal computer
US7656393B2 (en) 2005-03-04 2010-02-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urrounding touch sensitive bezel for user interface and control
US8715058B2 (en) 2002-08-06 2014-05-06 Igt Reel and video combination machine
US7724532B2 (en) * 2004-07-02 2010-05-25 Apple Inc. Handheld computing device
US7515431B1 (en) * 2004-07-02 2009-04-07 Apple Inc. Handheld computing device
CN1893786B (zh) * 2005-11-01 2010-05-12 摩托罗拉公司 半透明或透明盖及具有这种盖的装置
US20070261978A1 (en) * 2006-05-10 2007-11-15 David Sanderson Waterproof case for electronic devices
KR100772909B1 (ko) 2006-05-30 2007-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검색 방법 및 장치
EP2036314A1 (en) 2006-06-22 2009-03-18 Nokia Corporation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an illuminated static display
US7912508B2 (en) 2006-12-15 2011-03-22 Motorola Mobility,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additional input or output device
EP1967937A1 (en) 2007-03-06 2008-09-10 Polymer Vision Limited A display unit,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1310757B1 (ko) 2007-03-16 2013-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CN101686813B (zh) 2007-12-10 2013-01-02 爱科来株式会社 便携式医疗设备
TW201008437A (en) 2008-08-15 2010-02-16 Fih Hong Kong Ltd Housin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529916B1 (ko) 2008-09-02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1521219B1 (ko) 2008-11-10 2015-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00156887A1 (en) 2008-12-18 2010-06-24 Nokia Corporation Extended user interface
KR101534109B1 (ko) 2008-12-23 2015-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전용량형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정전용량형 터치 시스템
KR100934120B1 (ko) 2009-03-09 2009-12-29 황성남 휴대폰 케이스
US20100253902A1 (en) 2009-04-07 2010-10-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10044424A (ko) 2009-10-23 2011-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195254B2 (en) 2009-12-22 2012-06-05 Nokia Corporation Apparatus comprising a sliding display part
US8605006B2 (en) 2009-12-23 2013-12-1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nformation for display
US20120032891A1 (en) 2010-08-03 2012-02-09 Nima Parivar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Enhanced Touch Targeting
US9268367B2 (en) 2010-10-13 2016-02-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 of low-power display on device
US9117384B2 (en) 2011-03-18 2015-08-25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bendable display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65896B2 (en) 2012-01-07 2021-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KR20190126272A (ko) * 2013-07-11 2019-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US10691313B2 (en) 2013-07-11 2020-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s and methods thereof
US11409327B2 (en) 2013-07-11 2022-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s and methods thereof
US11675391B2 (en) 2013-07-11 2023-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s and methods thereof
KR20180054807A (ko) * 2016-01-26 2018-05-24 구글 엘엘씨 전자 장치용 유리 인클로저
US11693558B2 (en) 2021-06-08 202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on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46129A (en) 2011-12-16
EP2517540A1 (en) 2012-10-31
US20150296635A1 (en) 2015-10-15
KR101537438B1 (ko) 2015-07-16
EP2517540B1 (en) 2018-12-05
TWI584712B (zh) 2017-05-21
US20130107433A1 (en) 2013-05-02
US9119293B2 (en) 2015-08-25
CN102804942A (zh) 2012-11-28
BR112012023540A2 (pt) 2016-07-26
CN102804942B (zh) 2015-12-16
EP2517540A4 (en) 2014-03-05
US9686873B2 (en) 2017-06-20
WO2011114190A1 (en) 2011-09-22
BR112012023540B1 (pt)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7438B1 (ko)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하우징
US10257333B2 (en) Electronic device
US11917347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coustic module
US10819836B2 (en) Conduit structure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U2013251253B2 (en) Electronic device
KR102559386B1 (ko)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012766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peaker module
JP6275943B2 (ja) 携帯電子機器
US10757239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nic part and earphone jack assembly
US20070178949A1 (en) Mobile Terminal
KR20200030237A (ko) 밀폐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87587A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17111A (ko) 전자 장치의 방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37019B1 (ko) 기울어진 진동판을 갖는 스피커 모듈 및 상기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73697A (ko) 전자 장치
KR20130096923A (ko) 마이크로 폰 홀더용 장착 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2014050082A (ja) 携帯端末装置
CN111491053A (zh) 电子设备
JP2009171175A (ja) 携帯電子機器
JP2007324714A (ja) 携帯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