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8268A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8268A
KR20080068268A KR1020070005787A KR20070005787A KR20080068268A KR 20080068268 A KR20080068268 A KR 20080068268A KR 1020070005787 A KR1020070005787 A KR 1020070005787A KR 20070005787 A KR20070005787 A KR 20070005787A KR 20080068268 A KR20080068268 A KR 20080068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film
crystal display
retardation
polariz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이
김상우
윤해영
심창우
최지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5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8268A/ko
Publication of KR20080068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2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기 제 1 및 제 2 편광축을 갖는 상부 편광 필름 및 하부 편광 필름과, 상기 상부 편광 필름과 상기 하부 편광 필름 사이에 마련되고,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 화소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각기 접속된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단위 화소는 복수의 서브 화소 영역으로 분리되고, 상기 서브 화소 영역의 중앙에 도메인을 제어하기 위한 도메인 제어 패턴이 마련된 액정 표시 패널과, 상기 하부 편광 필름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 사이 영역에 마련된 이축성 필름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화소 각각의 중앙에 도메인 규제수단이 마련된 PVA 모드의 액정 표시 패널의 하부에 이축성 필름을 포함하는 하부 광학 필름부를 두어 광 누설을 방지하고, 연색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연색성을 향상시켜 명암비를 높일 수 있고, 전방위적인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액정 표시 패널, PVA, 연색성, 이축성 필름, 편광필름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위 화소 영역의 평면 개념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대해 자른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연색성과 시야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연색성과 시야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6은 일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의 연색성 100에서의 시야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부 기판 110 : 게이트 라인
120 : 박막 트랜지스터 130 : 데이터 라인
160 : 화소 전극 200 : 상부 기판
210 : 컬러 필터 230 : 공통 전극
250 : 절개 홈 400, 700 : 편광 필름
500, 900 : 위상차 필름 600 : C-플레이트
800 : 이축성 필름 1000 : 액정 표시 패널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PVA모드의 액정 표시 패널의 빛샘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과, 액정 표시 패널의 상 하부에 부착된 편광판과, 액정 표시 패널 하부에 마련되어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를 포함한다. 이때, 액정 표시 패널은 각 화소를 스위칭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된 하부 기판(또는 TFT 기판)과, 공통전극이 형성된 상부 기판(또는 컬러필터 기판)과, 두 기판 사이에 마련된 액정층으로 구성된다. 액정 표시 패널은 액정층 양단의 전계를 변화시켜 액정층의 광 투과율을 제어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액정에 의하여 차폐되지 않은 방향으로만 광이 투과하여 영상을 구현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다른 표시 장치에 비해 시야각이 좁은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광시야각을 실현하기 위하여 수직 배향(Vertically Aligned)모드 액정 표시 장치가 개발되었다.
특히 다중 도메인을 갖는 PVA(Patterned Vertical Alignment)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는 대향하는 면에 수직 배향 처리된 상부 및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사이에 밀봉된 네거티브 타입의 유전율 이방성(Negative type dielectric constant anisotropy)을 갖는 액정으로 구성된다. 상기 액정의 분자는 수직(homeotropic) 배향의 성질을 갖는다. 액정 표시 장치의 동작시, 두 기판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에는 기판 표면에 대하여 액정이 대략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어 블랙(black)을 표시하고, 소정의 전압이 인가될 때에는 두 기판 표면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정렬되어 화이트(white)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화이트 표시를 위한 전압보다 작은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에는 기판 표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배향되어 인가된 전압에 해당하는 그레이(gray)를 표시한다.
이러한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를 통해 넓은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지만, 액정 분자에 기인한 복굴절에 의하여 암 상태에서 광 누설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액정 표시 장치의 명암비를 감소시키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화소 각각의 중앙에 도메인 규제수단이 마련된 PVA 모드의 액정 표시 패널의 하부에 이축성 필름을 포함하는 하부 광학 필름부를 두어 광 누설을 방지하고, 연색성을 향상시켜 높은 명암비와 넓은 시야각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각기 제 1 및 제 2 편광축을 갖는 상부 편광 필름 및 하부 편광 필름과, 상기 상부 편광 필름과 상기 하부 편광 필름 사이에 마련되고,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 화소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각기 접속된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단위 화소는 복수의 서브 화소 영역으로 분리되고, 상기 서브 화소 영역의 중앙에 도메인을 제어하기 위한 도메인 제어 패턴이 마련된 액정 표시 패널 및 상기 하부 편광 필름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 사이 영역에 마련된 이축성 필름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상부 편광 필름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 사이 영역에 마련된 상부 위상차 필름과, 상기 이축성 필름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 사이 영역에 마련된 하부 위상차 필름을 더 포함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위상차 필름은 입사광의 위상을 λ/4만큼 지연시켜 출사하는 λ/4 위상차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위상차 필름의 정면 방향의 리타데이션(Ro)은 100 내지 200㎚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상부 위상차 필름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 사이 영역에 마련된 C-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Rth)은 100 내지 300㎚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이축성 필름의 정면 방향 리타데이션(Ro)은 100 내지 200㎚이고,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Rth)은 -100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축성 필름의 정면 방향 리타데이션(Ro)은 160㎚이고,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Rth)은 -54.6㎚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기 이축성 필름의 최대 굴절률 값을 제공하는 방향에서의 굴절률(nx)은 1.5808이고, 최소 굴절률 값을 제공하는 방향에서의 굴절률(ny)은 1.5787이고, 깊이 방향에서의 굴절률(nz)은 1.5808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은, 상기 게이트 라인, 상기 데이터 라인 및 박막 트랜지스터 그리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전극 영역을 구비하는 화소 전극이 마련된 하부 기판과, 상기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공통 전극과, 빛샘을 방지하는 차광 패턴과, 색상을 표시하는 컬러 필터가 마련된 상부 기판과, 상기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사이 영역에 마련된 액정층을 구비하고, 상기 서브 전극 중심 영역의 상기 화소 전극 및 상기 공통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된 절개홈을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시트 및 각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표현하였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도록 하였다. 또한, 시트, 창,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부에 또는 위에 있다고 표현되는 경우는 각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상부 또는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각 부분과 다른 부분의 사이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위 화소 영역의 평면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대해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1000)과, 액정 표시 패널(1000) 상부 및 하부에 각기 마련된 상부 및 하부 광학 필름부(2000, 3000)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 표시 패널(1000)은 박막 트랜지스터(120) 및 화소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 화소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20)에 게이트 턴온 전압을 공급하는 게이트 라인(110)과, 상기 단위 화소에 계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라인(130)을 구비하고, 단위 화소는 복수의 서브 화소 영역으로 분리되고, 상기 서브 화소 영역의 중앙에는 도메인을 제어하기 위한 도메인 제어 패턴이 마련된다.
액정 표시 패널(1000)은 박막 트랜지스터(1200)와, 화소 커패시터의 화소 전극(160)이 마련된 하부 기판(100)과, 화소 커패시터의 공통 전극(230)이 마련된 상부 기판(200)과, 상부 기판(200)과 하부 기판(100) 사이에 마련된 액정층(300)을 포함한다. 액정층(300)은 화소 커패시터의 유전체막으로 작용한다.
하부 기판(100)은 일정 간격을 갖고 일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110)과, 게이트 라인(110)과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130)과, 상기 게이트 라인(110)과 데이터 라인(130)이 교차하여 정의된 화소 영역에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화소 전극(160)과, 상기 게이트 라인(110)에 인가된 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데이터 라인(130)의 신호를 각 화소 전극(160)에 전달하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120)를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라인(110)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화소 전극(160)과 그 일부가 중첩되는 유지 전극 라인(140)을 포함한다. 상기 화소 전극(160)과 유지 전극 라인(140)의 중첩 영역에는 유지 커패시터가 마련된다.
상기의 박막 트랜지스터(120)는 게이트 전극(121), 게이트 절연막(122), 활성층(123) 및 오믹 접촉층(124), 소스 전극(125) 및 드레인 전극(126)을 포함한다.
상기의 게이트 라인(110)은 주로 가로 방향으로 뻗어 있고, 게이트 라인(110)의 일부가 상부 및/또는 하부로 돌출하여 박막 트랜지스터(120)의 게이트 전극(121)을 이룬다. 게이트 라인(110)의 끝단에는 외부 회로와의 연결을 위한 게이트 콘택패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 라인(130)은 주로 세로 방향으로 뻗어 있다. 데이터 라인(130)의 일부가 각기 돌출하여 박막 트랜지스터(120)의 소스 전극(125)을 이룬다. 데이터 라인(126)의 끝단에는 데이터 콘택 패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직선형의 데이터 라인(130)을 예시하였으나, 데이터 라인(130)은 소정의 굽은 영역을 가 질 수도 있고, 이때는 화소 전극(160)이 데이터 라인(130)의 굽은 영역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게이트 라인(110)과 데이터 라인(130)은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게이트 라인(110)과 데이터 라인(130)으로는 Cr, MoW, Cr/Al, Cu, Al(Nd), Mo/Al, Mo/Al(Nd), Cr/Al(Nd) 및 Mo/Al/Mo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Al, Nd, Ag, Cr, Ti, Ta 및 Mo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전극 라인(140)은 게이트 라인(110)과 동일한 층에 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 형상으로 형성하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소 영역의 중심에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유지 전극 라인(140)의 끝단은 공통 전압(Vcom)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하부 기판(100)은 박막 트랜지스터(120)와 데이터 라인(130) 상에 마련된 보호층(150)을 포함한다. 이때, 보호층(150)으로는 패시베이션층과 유기 절연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층(150)은 하부 구조물을 보호하고, 박막 트랜지스터(120)와 화소 전극(160)간을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호층(150)에는 박막 트랜지스터(120)의 드레인 전극(126)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드레인 콘택홀(151)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층(150) 상에는 드레인 콘택홀(151)을 통해 드레인 전극(126)에 접속되는 화소 전극(160)이 마련된다.
화소 전극(160)은 게이트 라인(110)과 데이터 라인(130)에 의해 정의된 단위 화소 영역 내에 각기 형성된다. 이러한 화소 전극(160)으로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또는 인듐 징크 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소 전극(160)은 소정 간격 이격된 제 1 및 제 2 서브 전극(161, 162)과,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 전극(161, 162)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1 연결 전극(163)과, 상기 제 1 서브 전극(161)과 접속되어 상기 드레인 전극(126)과 접속되는 제 2 연결 전극(164)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서브 화소(161, 162)는 각 모서리가 라운딩된 사각형 구조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및 제 2 서브 전극(161, 162)은 다각형 또는 원형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 화소(161, 162)의 중심에 도메인 제어 패턴으로 절개홈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소 전극(160)은 2개 이상의 서브 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부 기판(200)은 단위 화소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컬러 필터(210)와, 상기 컬러 필터(210) 상에 마련된 오버 코트막(220)과, 상기 오버 코트막(220) 상에 마련된 공통 전극(2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부 기판(200)에는 빛샘을 방지하기 위해 블랙 매트릭스를 이용한 차광 패턴(240)이 형성된다. 차광 패턴(240)는 단위 화소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빛이 새는 것과 인접한 화소 영역들 사이의 광 간섭을 방지한다. 차광 패턴(240)은 하부 기판(100)의 게이트 라인(110)과 데이터 라인(130) 및 박막 트랜지스터(120)가 형성된 영역에 대응되는 상부 기판(200) 영역에 형성된다. 컬러 필터(210)는 차광 패턴(240)을 경계로 하여 단위 화소 영역마다 적색, 녹색 및 청색 필터가 반복되어 형성된다. 컬러 필터(210)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어 액정층(300)을 통과한 빛에 색상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며, 감광성 유기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오버 코트막(220)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공통 전극(230)은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또는 인듐 징크 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서브 화소(161, 162) 각각의 중심 영역에 대응하는 공통 전극(230) 영역에 절개 홈(250)이 마련된다. 이때, 절개 홈(250)은 원형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절개 홈(250)은 다각형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절개 홈(250)이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는 액정의 전계와 상기 절개 홈(250)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대응하는 액정의 전계는 상이하다. 따라서, 액정층(300)의 도메인은 다수 개로 분할 된다.
상술한 하부 기판(100)의 화소 전극(160)과 상부 기판(200)의 공통 전극(230)이 서로 대향하도록 합착 밀봉한다. 그리고, 두 기판 사이에 액정층(300)을 개재하여 액정 표시 패널(1000)을 제작한다.
상기 액정 표시 패널(1000)의 상측 즉, 상부 기판(200)의 상측에 상부 광학 필름부(2000)가 마련된다. 상부 광학 필름부(2000)는 C-플레이트(C-plate; 600)와, 상부 위상차 필름(500)과 상부 편광 필름(400)을 포함한다.
C-플레이트(600)는 광축의 비정상축(extraordinary axis) 방향의 굴절율(ne)과 정상축(ordinary axis) 방향의 굴절율(no)간의 크기 비교에 따라 포지티브 타 입(positive type) 또는 네거티브 타입(negative type)으로 분류된다. 상기 포지티브 C-플레이트는 x-축 방향 굴절률(nx)이 y-축 방향 굴절률(ny)과 동일하고, z-축 방향 굴절률(nz)보다 작은 특성을 갖는다. 상기 네거티브 C-플레이트는 x-축 방향 굴절률(nx)이 y-축 방향 굴절률(ny)과 동일하고, z-축 방향 굴절률(nz)보다 큰 특성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C-플레이트(600)로 네거티브 C-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C-플레이트(600)의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Rth)은 100 내지 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Rth)은 200 내지 24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부 위상차 필름(500)은 입사되는 광의 위상을 λ/4만큼 지연시켜 출사하는 λ/4 위상차 필름을 사용한다. 상기 상부 위상차 필름(500)의 정면 방향의 리타데이션(Ro)은 100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정면 방향의 리타데이션(Ro)은 120 내지 16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부 편광 필름(400)은 제 1 편광축을 갖고 상기 상부 위상차 필름(500)을 통과한 광중 상기 제 1 편광축에 평행한 광만을 통과시킨다.
상기 상부 편광 필름(400), 상부 위상차 필름(500) 및 C-플레이트(600)는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각기 접착부재(미도시)를 통해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 편광 필름(400) 및 상부 위상차 필름(500)이 접착된 C-플레이트(600)는 상기 상부 기판(200)에 부착된다.
상기 액정 표시 패널(1000)의 하측 즉, 하부 기판(100)의 하측에 하부 광학 필름부(3000)가 마련된다. 하부 광학 필름부(3000)는 하부 위상차 필름(900)과, 이축성 필름(800)과, 하부 편광 필름(700)을 포함한다.
하부 편광 필름(700)은 제 2 편광축을 갖고, 백라이트에서 조사된 광중 상기 제 2 편광축에 평행한 광만을 통과시킨다. 이때, 상부 편광 필름(400)의 제 1 편광축과, 하부 편광 필름(700)의 제 2 편광축은 직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이축성 필름(800)의 위상차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편광축의 관계는 변화될 수 있다.
이축성 필름(800)은 하부 편광 필름(700)과 하부 위상차 필름(900) 사이 영역에 마련된다. 여기서, 이축성이란 y-축 방향 굴절률과 z-축 방향 굴절률이 상이한 것을 칭한다. 즉, 필름의 면내에서의 최대 굴절률 방향을 x-축 방향, 그와 직교하는 면내의 축을 y-축 방향, 두께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여 각각의 축 방향에서의 굴절률을 nx, ny 및 nz로 했을 때, ny≠nz 가 되는 것을 칭한다.
상기 이축성 필름(800)의 정면 방향 리타데이션(Ro)은 100 내지 200㎚이고,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Rth)은 -100 내지 -10㎚이다. 바람직하게는 정면 방향 리타데이션(Ro)은 140 내지 180㎚이고,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Rth)은 -60 내지 -40㎚인 것이 효과적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정면 방향 리타데이션(Ro)은 160㎚이고,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Rth)은 -54.6㎚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이축성 필름(800)의 nx 즉, 면내 지상축(최대 굴절률 값을 제공하는 방향)에서의 굴절률은 1.5808이고, ny 즉, 면내 지상축(최소 굴절률 값을 제공하는 방향)에서의 굴절률은 1.5787이고, nz 즉, 필름의 깊이 방향에서의 굴절률은 1.5808이다.
하부 위상차 필름(900)은 입사되는 광의 위상을 λ/4만큼 지연시켜 출사하는 λ/4 위상차 필름을 사용한다. 하부 위상차 필름(900)은 상부 위상차 필름(600)과 동일한 리타데이션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상기 하부 위상차 필름(900)과 상부 위상차 필름(600)의 슬로우축(Slow axis)는 서로 교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패널(1000)의 하부의 백라이트에서 광이 조사되고, 액정 표시 패널(1000)이 구동할 경우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액정 표시 패널(1000)의 서브 화소 영역의 중심에 절개 홈(250)이 형성되어 있어 액정의 다중 도메인을 형성할 수 있다. 평면상에서 관찰할 경우, 서브 화소 영역의 중심 영역에 액정 분자의 디렉터(director)가 모이게 되어 편광 필름을 사용하더라도 텍스쳐(texture)가 편광 필름의 투과축에 따라 형성된다. 액정 분자의 디렉터는 장축 방향의 진행 방향을 칭한다. 텍스처는 하부 기판(100) 아래 및 상부 기판(200) 위에 각각 위상차 필름(600, 900)을 형성하고, 하부 기판(100) 아래에 이축성 필름(800)을 형성하여 시인되지 않는다.
도 4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연색성과 시야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연색성과 시야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의 연색성 100에서의 시야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액정 표시 패널(1000)의 하부 기판(100) 하측에 이축성 필름(800)이 위치 하지 않는 경우의 연색성(Color Rendering; CR)에 따른 시야각 특성을 설명한 그래프로, 연색성이 10인 경우에는 약 60도에서 전방위적인 시야각을 갖고, 연색성이 100 인 경우에는 약 30도에서 전방위적인 시야각을 갖는다. 그리고, 도 5는 액 정 표시 패널(1000)의 하부 기판(100) 하측에 이축성 필름(800)이 위치하는 경우 연색성에 따른 시야각 특성을 설명한 그래프로, 연색성이 10인 경우에는 모든 방위에서 시야각을 확보하게 되고, 연색성이 100인 경우(도 6 참조)에는 약 70도에서 전방위적인 시야각을 갖는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위적으로 약 70이상의 시야각에서 빛샘 없이 블랙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 표시 패널(1000)의 하부 기판(100) 하측에 이축성 필름(800)을 위치시켜 연색성 70 내지 100을 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명암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넓은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화소 각각의 중앙에 도메인 규제수단이 마련된 PVA 모드의 액정 표시 패널의 하부에 이축성 필름을 포함하는 하부 광학 필름부를 두어 광 누설을 방지하고, 연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색성을 향상시켜 명암비를 높일 수 있고, 전방위적인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Claims (10)

  1. 각기 제 1 및 제 2 편광축을 갖는 상부 편광 필름 및 하부 편광 필름;
    상기 상부 편광 필름과 상기 하부 편광 필름 사이에 마련되고,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 화소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각기 접속된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단위 화소는 복수의 서브 화소 영역으로 분리되고, 상기 서브 화소 영역의 중앙에 도메인을 제어하기 위한 도메인 제어 패턴이 마련된 액정 표시 패널; 및
    상기 하부 편광 필름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 사이 영역에 마련된 이축성 필름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편광 필름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 사이 영역에 마련된 상부 위상차 필름과,
    상기 이축성 필름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 사이 영역에 마련된 하부 위상차 필름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위상차 필름은 입사광의 위상을 λ/4만큼 지연시켜 출사하는 λ/4 위상차 필름을 사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위상차 필름의 정면 방향의 리타데이션(Ro)은 100 내지 200㎚인 액정 표시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위상차 필름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 사이 영역에 마련된 C-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C-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Rth)은 100 내지 300㎚인 액정 표시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축성 필름의 정면 방향 리타데이션(Ro)은 100 내지 200㎚이고,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Rth)은 -100 내지 -10㎚인 액정 표시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축성 필름의 정면 방향 리타데이션(Ro)은 160㎚이고,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Rth)은 -54.6㎚인 액정 표시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기 이축성 필름의 최대 굴절률 값을 제공하는 방향에서의 굴절률(nx)은 1.5808이고, 최소 굴절률 값을 제공하는 방향에서의 굴절률(ny)은 1.5787이고, 깊이 방향에서의 굴절률(nz)은 1.5808인 액정 표시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은,
    상기 게이트 라인, 상기 데이터 라인 및 박막 트랜지스터 그리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전극 영역을 구비하는 화소 전극이 마련된 하부 기판과,
    상기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공통 전극과, 빛샘을 방지하는 차광 패턴과, 색 상을 표시하는 컬러 필터가 마련된 상부 기판과,
    상기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사이 영역에 마련된 액정층을 구비하고,
    상기 서브 전극 중심 영역의 상기 화소 전극 및 상기 공통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된 절개홈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70005787A 2007-01-18 2007-01-18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682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787A KR20080068268A (ko) 2007-01-18 2007-01-18 액정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787A KR20080068268A (ko) 2007-01-18 2007-01-18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268A true KR20080068268A (ko) 2008-07-23

Family

ID=39822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787A KR20080068268A (ko) 2007-01-18 2007-01-18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82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30912B2 (en) 2009-08-18 2012-12-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providing side view luminance enhance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30912B2 (en) 2009-08-18 2012-12-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providing side view luminance enhancement
US8502942B2 (en) 2009-08-18 2013-08-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providing side view luminance enhanc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3006B2 (ja) 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4644158B2 (ja) 横電界方式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32154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332162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660352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high transmittance and high aperture ratio in which electrodes having branches arranged symmetry together in adjacent sub-pixel regions
US905255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JP4002105B2 (ja) 液晶表示装置
KR20080071001A (ko) 액정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36520B1 (ko) 액정 표시장치
KR101016525B1 (ko)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KR20070070402A (ko)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875188B1 (ko) 횡전계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54194A (ko)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1104956A1 (ja) 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15012092A1 (ja) 液晶表示装置
US2015012420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38486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first and second organic alignment films having slow axes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by aligning polymer chains
KR20080068268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03040A (ko)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308353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7004168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光学フィルムアセンブリ
JP2005128233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9151136A (ja) 液晶表示装置
KR20040100338A (ko)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70795A (ko)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