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6572A - 음성출력장치 및 음성출력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음성출력장치 및 음성출력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6572A
KR20080066572A KR1020080002380A KR20080002380A KR20080066572A KR 20080066572 A KR20080066572 A KR 20080066572A KR 1020080002380 A KR1020080002380 A KR 1020080002380A KR 20080002380 A KR20080002380 A KR 20080002380A KR 20080066572 A KR20080066572 A KR 20080066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compound
designated
compound word
wo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1464B1 (ko
Inventor
다카토시 아베
다쿠로 아베
다카시 고조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0385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17120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14754A external-priority patent/JP430551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6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전자사전(1)은 복수의 단어로 이루어지는 복합어 각각에 음성데이터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음성데이터베이스(83)와, 복수의 단어를 포함하는 텍스트를 표시하는 표시부(40)와, 표시부(40)에 의해 표시된 텍스트 중의 어느 하나의 단어를 사용자 조작에 의거하여 지정단어로서 지정하는 입력부(30)와, 지정단어를 포함하는 텍스트 중의 복수의 단어 중, 음성데이터베이스(83)에 의해 음성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복합어를 검출하는 CPU(20)와, CPU(20)에 의해서 검출된 복합어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를 음성 출력하는 음성출력부(50)를 구비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으로 복합어를 음성 출력시킬 수 있다.
전자사전, 음성출력장치, 음성데이터, 복합어, 복합어음성데이터기억수단, 텍스트표시수단, 단어지정수단, 복합어검출수단

Description

음성출력장치 및 음성출력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VOICE OUTPUTT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VOICE OUTPUTTING PROGRAM}
본 발명은 음성출력장치 및 음성출력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어학학습에 이용되는 전자사전 등의 장치에 있어서는, 음성 출력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단어 등의 발음기호정보에 의거하여 음성데이터를 합성해서 출력하거나, 미리 기억된 단어 등의 녹음데이터를 음성 출력하거나 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특개 2006-268501호 및 특개 2006-268496호 참조).
그런데 전자사전에 의한 음성 출력의 대상으로서는, 복수의 단어로 이루어지는 복합어가 있다.
그러나, 음성데이터를 합성하는 방식에 의해서 복합어를 음성 출력하는 경우에는 단어간의 연결이 정확하게 재현되지 않고, 발음에 위화감이 발생하여 버린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복합어를 정확하게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음성 출력시킬 수 있는 음성출력장치 및 음성출력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음성출력장치는, 복수의 단어로 이루어지는 복합어 각각에 음성데이터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복합어음성데이터기억수단과,
복수의 단어를 포함하는 텍스트를 표시하는 텍스트표시수단과,
상기 텍스트표시수단에 의해 표시된 상기 텍스트 중의 어느 하나의 단어를 사용자 조작에 의거하여 지정단어로서 지정하는 단어지정수단과,
상기 지정단어를 포함하는 상기 텍스트 중의 복수의 단어 중, 상기 복합어음성데이터기억수단에 의해 음성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복합어를 검출하는 복합어검출수단과,
상기 복합어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복합어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를 음성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면, 지정단어를 포함하는 텍스트 중의 복수의 단어 중, 음성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복합어가 검출되고, 검출된 복합어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가 음성 출력되므로, 복합어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단어를 지정함으로써 복합어를 음성 출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비교해서 간단한 조작으로 복합어를 음성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지정 복합어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가 음성 출력되므로, 복합어를 지정함으로써 해당 복합어를 음성 출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비교해서 간단한 조작으로 복합어를 음성 출력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음성출력장치를 전자사전에 적용한 경우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전자사전의 구성을 설명한다.
[외관구성]
도 1은 전자사전(1)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사전(1)은 메인디스플레이(10), 서브디스플레이(11), 스피커(12) 및 키 그룹(2)을 구비하고 있다.
메인디스플레이(10) 및 서브디스플레이(11)는 사용자에 의한 키 그룹(2)의 조작에 따른 문자나 부호 등, 각종 데이터를 표시하는 부분이며,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ELD(Electronic Luminescent Display) 등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브디스플레이(11)는 이른바 터치 패널로 이루어져 있으며, 표면을 누름으로써 누름 위치에 따른 입력조작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스피커(12)는 사용자에 의한 키 그룹(2)의 조작에 따른 표제어나 예문 등의 음성을 출력하는 부분이다.
키 그룹(2)은 사용자가 전자사전(1)을 조작하기 위한 각종 키를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키 그룹(2)은 번역/결정 키(2b)와, 문자 키(2c)와, 사전선택 키(2d)와, 커서 키(2e)와, 시프트 키(2f)와, 리턴 키(2g)와, 음성출력 키(2h)와, 용례 키 (2i)와, 복합어 키(2j) 등을 갖고 있다.
번역/결정 키(2b)는 검색의 실행이나, 표제어의 결정 등에 사용되는 키다, 문자 키(2c)는 사용자에 의한 문자의 입력 등에 사용되는 키이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A”∼“Z” 키를 구비하고 있다. 사전선택 키(2d)는 후술의 사전데이터베이스(84, …, 도 2 참조)의 선택에 사용되는 키다.
커서 키(2e)는 화면 내의 반전 표시장치, 즉 커서 위치의 이동 등에 사용되는 키이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하좌우의 방향을 지정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시프트 키(2f)는 일본어의 단어를 검색대상으로 설정할 때 등에 사용되는 키다. 리턴 키(2g)는 전회(前回) 표시한 화면으로 되돌아갈 때 등에 사용되는 키다.
음성출력 키(2h)는 선택된 표제어나 복합어 등의 음성을 출력시킬 경우에 눌러지는 키다. 용례 키(2i)는 선택된 표제어 등을 포함하는 예문을 표시시킬 경우에 눌러지는 키다. 복합어 키(2j)는 선택된 표제어를 포함하는 관용구ㆍ복합어를 표시시킬 경우에 눌러지는 키다.
[내부구성]
계속해서, 전자사전(1)의 내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전자사전(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사전(1)은 표시부(40), 입력부(30), 음 성출력부(50), CPU(Central Processing Unit, 20), 플래시ROM(Read Only Memory, 80), RAM(Random Access Memory, 90)을 구비하고, 각부는 버스(100)로 상호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40)는 상기의 메인디스플레이(10) 및 서브디스플레이(11)를 구비하고 있으며, CPU(20)로부터 입력되는 표시신호에 의거하여 각종 정보를 메인디스플레이 (10)나 서브디스플레이(11)에 표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입력부(30)는 상기의 키 그룹(2)을 구비하고 있으며, 눌러진 키에 대응하는 신호를 CPU(20)에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음성출력부(50)는 상기의 스피커(12)를 구비하고 있으며, CPU(2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음성데이터를 스피커(12)에 재생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CPU(20)는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서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거한 처리를 실행하고, 각 기능부로의 지시나 데이터의 전송 등을 실행하며, 전자사전(1)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CPU(20)는 입력부(30)로부터 입력되는 조작신호 등에 따라서 플래시ROM(80)에 격납된 각종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해당 프로그램에 따라서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CPU(20)는 처리결과를 RAM(90)에 보존하는 동시에, 해당 처리결과를 표시부(40)나 음성출력부(50)에 적절히 출력시킨다.
플래시ROM(80)은 전자사전(1)의 각종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플래시ROM(80)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음성출력프로그램(81)과, 사전데이터베이스그룹(82)과, 음성데이터베이스 (83) 등을 기억하고 있다.
음성출력프로그램(81)은 후술의 사전검색처리(도 6∼도 9 참조)를 CPU(20)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사전데이터베이스그룹(82)은 복수의 사전데이터베이스(84, …)를 갖고 있으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영일사전의 사전데이터베이스(84a)나, 영영사전의 사전데이터베이스(84b) 등을 갖고 있다.
이들 사전데이터베이스(84, …)에는, 예를 들면 도 3에 한 예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표제어에 대해서, 이 표제어의 발음기호 및 의미내용으로 이루어지는 설명정보나, 표제어의 예문(용례)을 식별하기 위한 용례번호, 표제어를 포함하는 숙어를 식별하기 위한 숙어번호, 관용구ㆍ복합어를 식별하기 위한 복합어번호 등이 대응지어져 격납되어 있다. 또, 각 사전데이터베이스(84)에는, 예를 들면 도 4a∼도 4b에 한 예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의 용례번호에 예문과 그 대역이 대응지어진 테이블이나, 상기의 복합어번호에 관용구ㆍ복합어와 해당 관용구ㆍ복합어의 설명정보가 대응지어진 테이블이나, 상기의 숙어번호에 숙어와 해당 숙어의 설명정보가 대응지어진 테이블 등이 격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사전데이터베이스(84)에 있어서의 설명정보는 텍스트데이터로 이루어져 있다.
또, 음성데이터베이스(83)에는, 예를 들면 도 5에 한 예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제어나 관용구ㆍ복합어 등에 대해서, 원어민의 발음에 의한 음성데이터, 이른바 「트루보이스」가 대응지어져 격납되어 있다.
RAM(90)은 CPU(20)가 실행할 각종 프로그램이나, 이들 프로그램의 실행에 관련되는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홀딩하는 메모리영역을 구비하고 있다. 이 RAM(90)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선택사전기억영역(91), 입력문자기억영역(92), 선택표제어기억영역(93), 제 1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95) 및 제 2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96)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선택사전기억영역(91)에는 표제어의 검색대상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전데이터베이스(84)의 식별정보가 격납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입력문자기억영역(92)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입력문자가 격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선택표제어기억영역(93)에는 사전찾기대상의 표제어로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표제어가 기억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택표제어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입력문자나 지정문자에 앞쪽 일치하도록 알파벳순 혹은 오십음순으로 사전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된 표제어의 일람으로부터 선택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제 1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95), 제 2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96)에는 후술의 음성서치처리(도 8∼도 9 참조)에 있어서 음성출력대상의 후보가 되는 각 단어열이 리스트화되어 메인후보리스트, 서브후보리스트로서 기억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동작]
계속해서 전자사전(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도 9는 CPU(20)가 음성출력프로그램(81)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사전검색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사전선택 키(2d)가 눌러져서 사전데이터베이스그룹(82)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사전데이터베이스(84)가 선택된 후(스텝S1), 표제어 검색의 개시가 지시되고(스텝S2), 검색문자열이 입력되면(스텝S3), CPU(20)는 입력된 검색문자열에 대응하는 표제어의 후보를 선택된 사전데이터베이스(84) 중에서 추출하여 메인디스플레이(10)에 일람 표시시키는 동시에, 선두의 표제어를 반전 표시의 대상으로서 반전 지정하며, 그 설명정보를 사전데이터베이스(84)로부터 검색하여 표제어 일람과는 다른 영역에서 메인디스플레이(10)에 프리뷰표시시킨다(스텝S4).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텝S1의 처리에 있어서, 표제어 및 설명정보의 적어도 한쪽이 영어로 기재된 사전데이터베이스(84)가 선택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또, 스텝S3의 처리에 있어서 분리복합어가 입력될 때는, 해당 분리복합어에 있어서의 각 구성단어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입력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다음으로, CPU(20)는 사용자에 의해서 커서 키(2e)의 상하 키가 조작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스텝S5), 조작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S5; Yes)에는, 반전 지정의 표제어를 표제어 일람 중에서 커서 방향으로 변경하고, 변경지 표제어의 설명정보를 사전데이터베이스(84)로부터 검색해서 표제어 일람과는 다른 영역에서 메인디스플레이(10)에 프리뷰표시시킨 후(스텝S6), 상기 스텝S5의 처리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S5에 있어서 상하 키가 조작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스텝S5; No)에는, CPU(20)는 사용자에 의해서 음성출력 키(2h)가 조작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스텝S7), 조작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S7; Yes)에는, 반전 지정의 표제어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를 음성데이터베이스(83)에서 검색하며(스텝S8), 음성데이터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스텝S9). 그리고, 이 스텝S9에 있어서 음성데이터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S9; Yes)에는, CPU(20)는 해당 음성데이터를 음성출력부(50)에 음성 출력시킨 후(스텝S10), 상기 스텝S5의 처리로 이행한다. 또, 스텝S9에 있어서 음성데이터가 없다고 판정한 경우(스텝S9; No)에는, CPU(20)는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성데이터가 없는 취지를 메인디스플레이(10)에 표시시킨 후(스텝S11), 상기 스텝S5의 처리로 이행한다.
또, 상기의 스텝S7에 있어서 음성출력 키(2h)가 조작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스텝S7; No)에는, CPU(20)는 사용자에 의해서 번역/결정 키(2b)가 조작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스텝S12), 조작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스텝S12; No)에는, 다른 처리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S12에 있어서 번역/결정 키(2b)가 조작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S12; Yes)에는, CPU(20)는 반전 지정의 표제어의 설명정보를 메인디스플레이(10)에 전체화면 표시시킨다(스텝S13). 이때, 표시되어 있는 표제어를 포함하는 복합어가 사전데이터베이스(84)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CPU(20)는 그 취지를 나타내는 복합어마크(M1, 도 13a 참조)를 메인디스플레이(10)의 오른쪽 상부에 표시시킨다. 또, 표제어의 용례가 사전데이터베이스(84)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CPU(20)는 그 취지를 나타내는 용례마크(M2, 도 13a 참조)를 메인디스플레이(10)의 표시영역 중, 용례가 기억되어 있는 의미내용의 부분에 각각 표시시킨다.
다음으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20)는 음성출력 키(2h)가 조작되 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스텝S21), 음성출력 키(2h)가 조작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S21; Yes)에는, 음성서치처리를 실행한다(스텝S22).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CPU(20)는 음성서치처리가 실행중인 것을 나타내는 음성서치마크(M3, 도 13a, 도 13b, 도 13c 등 참조)을 표시부(40)의 메인디스플레이(10)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음성 출력의 속도설정화면(도 1 참조)을 서브디스플레이(11)에 표시시킨다(스텝T11). 또한, 이 속도설정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서브디스플레이(11)의 소정영역을 누름으로써 음성의 출력속도가 임의의 속도로 변경된다.
다음으로, CPU(20)는 메인디스플레이(10)에 표시되어 있는 설명정보 또는 용례에 있어서의 선두의 단어를 반전 지정한 후(스텝T12), 사용자에 의해서 커서 키 (2e)가 조작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스텝T13), 조작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T13; Yes)에는, 반전 지정의 단어(이하, 지정단어로 한다)를 커서 방향으로 변경한 후(스텝T14), 상기 스텝T13의 처리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T13에 있어서 커서 키(2e)가 조작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스텝T13; No)에는, CPU(20)는 사용자에 의해서 번역/결정 키(2b)가 조작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T15).
상기 스텝T15에 있어서 번역/결정 키(2b)가 조작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T15; Yes)에는, CPU(20)는 지정단어나, 이 지정단어의 변화형 단어와 완전 일치하는 표제어를 음성데이터베이스(83)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경우에는, 그 표제어를 음성출력후보로서 제 1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95)의 메인후보리스트에 추가한다(스 텝T17).
또한, 변화형 단어로서는, 예를 들면 원형 동사의 구성단어에 대한 원형, 과거형, 과거분사형, 격변화형의 단어나, 원형 형용사의 구성단어에 대한 원형, 비교급형, 최상급형의 단어 등이 있다. 또, 구성단어의 변화형 단어를 취득하는 방법으로서는, 각 단어에 대해 변화형 단어를 대응지어 기억한 테이블을 참조하는 등, 종래로부터 공지의 수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CPU(20)는 지정단어로부터 적어도 1개 뒤쪽의 단어까지의 단어열이나, 이 단어열 중의 적어도 1개의 구성단어가 변화형 단어로 변환된 변화형 단어열에 부분 일치하는 복합어를 음성데이터베이스(83)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경우에는, 그 복합어를 음성출력후보로서 제 2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96)의 서브후보리스트에 추가한다(스텝T18). 마찬가지로, CPU(20)는 지정단어로부터 적어도 1개 앞쪽의 단어까지의 단어열이나, 이 단어열 중의 적어도 1개의 구성단어가 변화형 단어로 변환된 변화형 단어열에 부분 일치하는 복합어를 음성데이터베이스(83)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경우에는, 그 복합어를 음성출력후보로서 제 2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96)의 서브후보리스트에 추가한다(스텝T19). 또한, 변화형 단어열로서는, 구성단어가 변화형 단어로 변환된 단어열의 외, 구성단어를 하이픈 등으로 결합한 단어열 등이 있다.
다음으로, CPU(20)는 제 2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96)의 서브후보리스트에 있어서의 복합어와 지정단어를 포함하여 메인디스플레이(10)에 표시되어 있는 단어열이나, 그 변화형 단어열을 비교하고, 해당 단어열 또는 변화형 단어열에 완전 일치 하는 복합어를 음성출력후보로서 제 1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95)의 메인후보리스트에 추가한다(스텝T20).
이에 따라, 지정단어를 선두 또는 2번째 이후에 포함해서 텍스트 중에 표시되어 있으며, 또한 음성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복합어가 검출되어, 제 1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95)의 메인후보리스트에 추가된다.
다음으로, CPU(20)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95)에 음성출력후보가 기억되어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하고(스텝T31), 기억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T31; Yes)에는, 메인후보리스트의 단어열을 메인디스플레이(10)에 일람 표시시키며(스텝T32), 사용자에 의해 커서 키(2e)로 어느 하나의 단어열이 지정되고, 번역/결정 키(2b)로 선택되면(스텝T33), 선택된 단어열의 음성데이터를 음성출력부(50)에 음성 출력시킨다(스텝T34).
다음으로, CPU(20)는 사용자에 의해서 리턴 키(2g)가 조작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스텝T35), 조작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스텝T35; No)에는, 상기 스텝T33의 처리로 이행하며, 조작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T35; Yes)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텝T13의 처리로 이행한다.
또, 도 9,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텝T31에 있어서 음성 출력의 후보가 없다고 판정한 경우(스텝T31; No)에는, CPU(20)는 그 취지와 지정단어에 대해 합성음성을 음성 출력할지 안 할지 질문하는 취지를 메인디스플레이(10)에 표시시킨 후(스텝T36), 음성 출력이 선택될지 안 될지를 판정하고(스텝T37), 선택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스텝T37; No)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스 텝T13의 처리로 이행한다.
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텝T37에 있어서 음성 출력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T37; Yes)에는, CPU(20)는 지정단어의 발음기호에 의거하여 해당 단어의 합성음성데이터를 생성하고, 합성음성데이터를 음성출력부(50)에 음성 출력시킨 후(스텝T38),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텝T13의 처리로 이행한다. 또한, 발음기호에 의거하여 합성음성데이터를 음성 출력하는 수법으로서는, 각 음소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를 플래시ROM(80) 등에 미리 격납한 상태에서 발음기호의 텍스트데이터를 음소로 분해하고, 분해된 각 음소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를 합성해서 연속 재생하는 등, 종래로부터 공지의 수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단, 발음기호의 텍스트데이터에 의거하여 합성음성을 출력하는 것은 아니고, 단어 자체의 텍스트데이터에 의거하여 합성음성을 출력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스텝T15에 있어서 번역/결정 키(2b)가 조작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스텝T15; No)에는, CPU(20)는 사용자에 의해서 리턴 키(2g)가 조작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스텝T21), 조작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스텝T21; No)에는, 다른 처리로 이행하며, 조작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T21; Yes)에는, 음성서치처리를 종료한 후,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텝S21의 처리로 이행한다.
또, 이 스텝S21에 있어서 음성출력 키(2h)가 조작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스텝S21; No)에는, CPU(20)는 사용자에 의해서 용례 키(2i)가 조작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스텝S31), 조작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S31; Yes)에는, 상기 스텝S13에 의해서 메인디스플레이(10)에 표시된 용례마크(M2, … ) 중, 선두의 용례마 크(M2)를 반전 지정하며, 해당 용례마크에 대응하는 의미내용에서의 용례를 표제어의 설명정보와는 다른 영역에서 메인디스플레이(10)에 프리뷰표시시킨다(스텝S32).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 커서 키(2e)의 상하 키로 어느 하나의 용례마크 (M2)가 지정되고, 번역/결정 키(2b)로 선택되면(스텝S33), CPU(20)는 선택된 용례마크에 대응하는 의미내용에서의 용례를 메인디스플레이(10)에 전체화면 표시시킨다(스텝S34).
다음으로, CPU(20)는 음성출력 키(2h)가 조작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스텝S35), 조작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스텝S35; No)에는, 다른 처리로 이행하며, 조작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S35; Yes)에는, 상기 스텝S22와 똑같은 음성서치처리를 실행한 후(스텝S36), 상기 스텝S35의 처리로 이행한다.
또, 상기 스텝S31에 있어서 용례 키(2i)가 조작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스텝S31; No)에는, CPU(20)는 사용자에 의해서 복합어 키(2j)가 조작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스텝S41), 조작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스텝S41; No)에는, 다른 처리로 이행한다.
또, 스텝S41에 있어서 복합어 키(2j)가 조작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S41; Yes)에는, CPU(20)는 지정단어를 포함하는 복합어를 메인디스플레이(10)에 일람 표시시키며(스텝S42), 사용자에 의해 커서 키(2e)의 상하 키로 어느 하나의 복합어가 지정되고, 번역/결정 키(2b)로 선택되면(스텝S43), 선택된 복합어의 설명정보를 메인디스플레이(10)에 전체화면 표시시킨다(스텝S44).
다음으로, CPU(20)는 사용자에 의해서 음성출력 키(2h)가 조작되는지 아닌지 를 판정하고(스텝S45), 조작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스텝S45; No)에는, 다른 처리로 이행하며, 조작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S45; Yes)에는, 상기 스텝S22와 똑같은 음성서치처리를 실행한 후(스텝S46), 상기 스텝S45의 처리로 이행한다.
동작예
계속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기의 사전검색처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11a∼도 11c 등에 있어서는, 도면 중의 좌측에 전자사전(1)의 전체도를 간략화해서 나타내는 동시에, 도면 중의 우측에 조작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 동작예 1)
예를 들면,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서 영일사전의 사전데이터베이스(84a)가 선택되고(스텝S1), 검색문자열로서 「batteringram」이 입력되면(스텝S3), 해당 검색문자열에 대응하는 표제어의 후보 「batter」, 「battery」, …가 메인디스플레이(10)의 중단에 일람 표시되는 동시에, 선두의 표제어「[batter]∼ing ram」이 반전 지정되고, 그 설명정보가 메인디스플레이(10)의 하단에 프리뷰표시된다(스텝S4).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서 음성출력 키(2h)가 조작되면(스텝S7; Yes), 반전 지정의 표제어「[batter]∼ing ram」이 음성 출력된다(스텝S10).
다음으로,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서 번역/결정 키(2b)가 조작되면(스텝S12; Yes), 반전 지정의 표제어「[batter]∼ing ram」의 설명정보가 전체화면 표시되고(스텝S13), 또한, 사용자에 의해서 음성출력 키(2h)가 조작되면(스텝S21; Yes), 음성서치마크(M3)가 메인디스플레이(10)에 표시되는 동시에, 음 성 출력의 속도설정화면이 서브디스플레이(11)에 표시된다(스텝T11).
다음으로, 메인디스플레이(10)에 표시되어 있는 설명정보의 선두의 단어「batter」가 반전 지정된 후(스텝T12), 사용자에 의해서 커서 키(2e)의 아래 키가 조작되면(스텝T13; Yes), 해당 커서 방향에 있어서 단어열「∼ing ram」에 있어서의 단어「∼ing」가 반전 지정된다(스텝T14).
다음으로,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서 번역/결정 키(2b)가 조작되면(스텝T15; Yes), 반전 지정되어 있는 단어「∼ing」나 변화형 단어「batter」와 완전 일치하는 표제어「battering」및 「batter」가 음성데이터베이스 (83)로부터 검색되고, 제 1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95)의 메인후보리스트에 추가된다(스텝T17).
다음으로, 지정단어「∼ing」로부터 적어도 1개 뒤쪽의 단어까지의 단어열「battering ram」에 부분 일치하는 복합어「battering ram」이 음성데이터베이스 (83)로부터 검색되고, 제 2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96)의 서브후보리스트에 추가된다(스텝T18).
다음으로, 지정단어「∼ing」로부터 적어도 1개 앞쪽의 단어열에 부분 일치하는 복합어가 검색되는데, 이 경우, 지정단어「∼ing」의 앞쪽에는 복합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복합어는 검출되지 않는다(스텝T18).
다음으로, 제 2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96)의 서브후보리스트에 있어서의 복합어「battering ram」과, 지정단어를 포함하여 메인디스플레이(10)에 표시되어 있는 단어열「battering ram」이 비교되고, 해당 단어열에 완전 일치하는 복합어「 battering ram」이 제 1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95)의 메인후보리스트에 추가된다(스텝T20).
다음으로, 제 1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95)에 기억된 메인후보리스트의 단어열「battering ram」, 「battering」, 「batter」가 일람 표시된다(스텝T32).
그리고, 도 1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커서 키(2e)의 아래 키가 조작되고, 번역/결정 키(2b)가 조작되면(스텝T33), 선택된 단어열「battering」의 음성데이터가 음성 출력된다(스텝T34).
( 동작예 2)
예를 들면,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서 영영사전의 사전데이터베이스(84b)가 선택되고(스텝S1), 검색문자열로서「baked beans」가 입력된 후(스텝S3), 표제어의 후보「baked beans」에 대해 번역/결정 키(2b)가 조작되면(스텝S12; Yes), 반전 지정의 표제어「baked beans」의 설명정보가 전체화면 표시된다(스텝S13).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서 음성출력 키(2h)가 조작되면(스텝S21; Yes), 음성서치마크(M3)가 메인디스플레이(10)에 표시되는 동시에, 음성 출력의 속도설정화면이 서브디스플레이(11)에 표시된다(스텝T11).
다음으로, 메인디스플레이(10)에 표시되어 있는 설명정보의 선두의 단어「baked」가 반전 지정된 후(스텝T12), 사용자에 의해서 번역/결정 키(2b)가 조작되면(스텝T15; Yes),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전 지정되어 있는 단어「baked」나 변화형 단어「bake」와 완전 일치하는 표제어「bake」가 음성데이터베이스 (83)로부터 검색되고, 제 1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95)의 메인후보리스트에 추가된다(스텝T17).
다음으로, 지정단어「baked」로부터 적어도 1개 뒤쪽의 단어까지의 단어열「baked beans」에 부분 일치하는 복합어「baked beans」가 음성데이터베이스(83)로부터 검색되고, 제 2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96)의 서브후보리스트에 추가된다(스텝T18).
다음으로, 지정단어「baked」로부터 적어도 1개 앞쪽의 단어까지 단어열에 부분 일치하는 복합어가 검색되는데, 이 경우, 지정단어「baked」의 앞쪽에는 복합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복합어는 검출되지 않는다(스텝T18).
다음으로, 제 2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96)의 서브후보리스트에 있어서의 복합어「baked beans」와, 지정단어를 포함하여 메인디스플레이(10)에 표시되어 있는 단어열「baked beans」가 비교되고, 해당 단어열에 완전 일치하는 복합어「baked beans」가 제 1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95)의 메인후보리스트에 추가된다(스텝T20).
다음으로, 제 1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95)에 기억된 메인후보리스트의 단어열「baked beans」, 「bake」가 일람 표시된다(스텝T32).
그리고,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번역/결정 키(2b)가 조작되면(스텝T33), 선택된 단어열「baked beans」의 음성데이터가 음성 출력된다(스텝T34).
( 동작예 3)
예를 들면,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서 영일사전의 사전 데이터베이스(84a)가 선택되고(스텝S1), 검색문자열로서「bread」가 입력된 후(스텝S3), 표제어의 후보「bread」에 대해 번역/결정 키(2b)가 조작되면(스텝S12; Yes), 반전 지정의 표제어「bread」의 설명정보가 전체화면 표시된다(스텝S13).
다음으로,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서 용례 키(2i)가 조작되고(스텝S31; Yes), 의미내용「食パン」에서의 용례에 대해 번역/결정 키(2b)가 조작되면(스텝S33), 해당 의미내용「食パン」에서의 표제어「bread」의 용례가 전체화면 표시된다(스텝S34).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서 음성출력 키(2h)가 조작되면(스텝S35; Yes), 음성서치마크(M3)가 메인디스플레이(10)에 표시되는 동시에, 음성 출력의 속도설정화면이 서브디스플레이(11)에 표시된다(스텝T11).
다음으로, 메인디스플레이(10)에 표시되어 있는 설명정보의 선두의 단어「bread」가 반전 지정된 후(스텝T12), 사용자에 의해서 커서 키(2e)의 아래 키나 오른쪽 키가 복수회 조작되면(스텝T13; Yes), 해당 커서 방향에 있어서 용례「I have a glass of milk, hot cereal, and bread and butter for breakfast.」에 있어서의 단어「bread」가 반전 지정된다(스텝T14).
다음으로, 도 1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서 번역/결정 키(2b)가 조작되면(스텝T15; Yes), 지정단어「bread」와 완전 일치하는 표제어「bread」가 음성데이터베이스(83)로부터 검색되고, 제 1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95)의 메인후보리스트에 추가된다(스텝T17).
다음으로, 지정단어「bread」로부터 적어도 1개 뒤쪽의 단어까지의 단어열「 bread and」나 「bread and butter」, 변화형 단어열「bread-and-butter」 등에 부분 일치하는 복합어「bread and butter」및「bread-and-butter」가 음성데이터베이스(83)로부터 검색되고, 제 2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96)의 서브후보리스트에 추가된다(스텝T18).
다음으로, 지정단어「bread」로부터 적어도 1개 앞쪽의 단어열「and bread」 등에 부분 일치하는 복합어가 검색되는데, 이 검색에서는 복합어가 검출되지 않는다(스텝T18).
다음으로, 제 2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96)의 서브후보리스트에 있어서의 복합어「bread and butter」및「bread-and-butter」와, 지정단어를 포함해서 메인디스플레이(10)에 표시되어 있는 단어열「bread and butter」, …이나, 그 변화형 단어열「bread-and-butter」, …이 비교되고, 해당 단어열 또는 변화형 단어열에 완전 일치하는 복합어「bread and butter」, 「bread-and-butter」가 제 1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95)의 메인후보리스트에 추가된다(스텝T20).
다음으로, 제 1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95)에 기억된 메인후보리스트의 단어열「bread-and-butter」, 「bread and butter」, 「butter」가 일람 표시된다(스텝T32).
그리고, 도 1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커서 키(2e)의 아래 키가 조작되고, 번역/결정 키(2b)가 조작되면(스텝T33), 선택된 단어열「bread and butter」의 음성데이터가 음성 출력된다(스텝T34).
또한, 상기의 동작 예에 있어서는,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례「I have a …breadand butter…」에 있어서의 단어「bread」가 반전 지정된 상태에서 번역/결정 키(2b)가 조작된 경우에 대해 설명했는데, 도 14a,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nd」나 「butter」가 반전 지정된 상태에서 번역/결정 키(2b)가 조작된 경우라도, 도 13c, 도 1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똑같은 처리가 실행된다.
이상의 전자사전(1)에 따르면, 도 8의 스텝T18∼T20이나, 도 11a∼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정단어를 포함하는 텍스트 중의 복수의 단어 중, 음성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복합어가 검출되고, 검출된 복합어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가 음성 출력되므로, 복합어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단어를 지정함으로써 복합어를 음성 출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비교해서 간단한 조작으로 복합어를 음성 출력시킬 수 있다.
또, 도 8의 스텝T17∼T20이나, 도 12a∼도 1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텍스트 중에 표시되어 있는 복합어로서, 적어도 1개의 구성단어가 변화형 단어로 변환된 것이 검출되므로, 음성데이터와 대응지어 기억되어 있는 복합어에 대해서 텍스트 중에서의 복합어가 변화형인 경우라도, 해당 복합어를 음성 출력시킬 수 있다.
또, 도 9의 스텝T32나, 도 13c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 출력되는 음성출력후보로서 지정단어와, 검출된 각 복합어가 일람 표시되고, 사용자 조작에 의거하여 어느 하나의 음성출력후보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가 음성 출력되므로, 복합어를 음성 출력시킬지, 지정단어를 음성 출력시킬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 검출된 복합어가 복수 있는 경우에, 어느 하나의 복합어를 음성 출력시킬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 도 6의 스텝S3∼S4, S13이나, 도 13a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조작에 의거하여 사전데이터베이스(84)에 있어서의 어느 하나의 표제어가 지정되면, 해당 표제어에 대응하는 설명정보가 사전데이터베이스(84)로부터 검색되고, 검색된 설명정보가 텍스트로서 표시되므로, 설명정보 중의 어느 하나의 단어를 반전 지정함으로써, 해당 설명정보 중의 복합어를 음성 출력시킬 수 있다.
변형예
계속해서,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사전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똑같은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의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사전(1A)은 플래시ROM(80A)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플래시ROM(80A)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음성출력프로그램(81A)을 기억하고 있다.
상기 음성출력프로그램(81A)은 후술의 사전검색처리(도 6∼도 7, 도 9, 도 15 등 참조)를 CPU(20)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계속해서, 전자사전(1A)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도 7, 도 8의 스텝T15∼ 스텝T21, 도 9, 도 15는 CPU(20)가 음성출력프로그램(81)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사전검색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전자사전(1A)의 동작은 상기의 전자사전(1)의 동작과 비교해서 주로 스텝T14의 처리(도 8 참조)가 달리하고 있기 때문에, 이하, 스텝T13에 있어서 커서 키(2e)가 조작된 후(스텝T13; Yes)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스텝T13에 있어서 커서 키 (2e)가 조작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T13; Yes)에는, CPU(20)는 현시점에서 복합어가 반전 지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스텝T44), 반전 지정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T44; Yes)에는, 해당 복합어 내에 있어서 커서 방향으로 2번째의 단어를 반전 지정하고(스텝T45), 스텝T13의 처리로 이행한다.
또, 스텝T44에 있어서 복합어가 반전 지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스텝T44; No)에는, CPU(20)는 현시점에서의 지정단어로부터 커서 방향으로 적어도 1개 앞의 단어까지의 단어열이나, 이 단어열의 변화형 단어열에 완전 일치하는 복합어를 음성데이터베이스(83)에서 검색하고(스텝T46), 검출된 복합어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스텝T47).
그리고, 복합어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T47; Yes)에는, CPU(20)는 해당 복합어를 반전 지정한 후(스텝T48), 스텝T13의 처리로 이행하며, 복합어가 없다고 판정한 경우(스텝T47; No)에는, 커서 방향으로 1개 앞의 단어를 반전 지정한 후(스텝T49), 스텝T13의 처리로 이행한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상기 스텝T48의 처리에 의해서 복합어가 반전 지정된 상태에서 스텝T15(도 8 참조)에 있어서 번역/결정 키(2b)가 조작된 경우(스텝T15; Yes)에는, CPU(20)는 스텝T17∼T20 및 스텝T31∼T34(도 9 참조)의 처리를 실행하는 대신에, 해당 복합어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를 음성 출력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도 1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1a∼도 11b와 똑같은 조작에 의해 용례「I have a glass of milk, hot cereal, and bread and butter for breakfast.」에 있어서의 단어「and」가 반전 지정된 상태로부터, 커서 키(2e)의 오른쪽 키가 조작되면(스텝T13; Yes), 현시점에서는 복합어가 반전 지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기 때문에(스텝T44; No), 지정단어「and」로부터 커서 방향(오른쪽 방향)으로 적어도 1번째의 단어까지의 단어열「and bread…」에 완전 일치하는 복합어가 음성데이터베이스(83)에서 검색된 후(스텝T46), 복합어가 없다고 판정되고(스텝T47; No), 도 1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서 방향(오른쪽 방향)의 단어「bread」가 반전 지정된다(스텝T49).
또, 이 상태로부터 추가로 커서 키(2e)의 오른쪽 키가 조작되면(스텝T13; Yes), 현시점에서는 복합어가 반전 지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기 때문에(스텝T44; No), 지정단어「bread」로부터 커서 방향(오른쪽 방향)으로 적어도 1번째의 단어까지의 단어열「bread and…」에 완전 일치하는 복합어가 음성데이터베이스 (83)에서 검색된 후(스텝T46), 복합어「bread and butter」가 있다고 판정되고, (스텝T47; Yes), 도 1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 복합어「bread and butter」가 반전 지정된다(스텝T48).
또, 이 상태로부터 추가로 커서 키(2e)의 오른쪽 키가 조작되면(스텝T13; Yes), 현시점에서는 복합어「bread and butter」가 반전 지정되어 있다고 판정되기 때문에(스텝T44; Yes), 도 16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 복합어「bread and butter」내에 있어서 커서 방향(오른쪽 방향)으로 2번째의 단어「and」가 반전 지정된다(스텝T45).
또, 이 상태로부터 추가로 커서 키(2e)의 오른쪽 키가 조작되면(스텝T13; Yes), 현시점에서는 복합어가 반전 지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기 때문에(스텝T44; No), 지정단어「and」로부터 커서 방향(오른쪽 방향)으로 적어도 1번째의 단어까지의 단어열「and butter…」에 완전 일치하는 복합어가 음성데이터베이스 (83)에서 검색된 후(스텝T46), 복합어가 없다고 판정되고(스텝T47; No), 도 16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서 방향(오른쪽 방향)의 단어「butter」가 반전 지정된다(스텝T49).
또, 이 상태로부터 추가로 커서 키(2e)의 오른쪽 키가 조작되면(스텝T13; Yes), 현시점에서는 복합어가 반전 지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기 때문에(스텝T44; No), 지정단어「butter」로부터 커서 방향(오른쪽 방향)으로 적어도 1번째의 단어까지의 단어열「butter for…」에 완전 일치하는 복합어가 음성데이터베이스 (83)에서 검색된 후(스텝T46), 복합어가 없다고 판정되고(스텝T47; No), 도 16의 (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서 방향(오른쪽 방향)의 단어「for」가 반전 지정된다(스텝T49).
또, 이 상태로부터 추가로 커서 키(2e)의 왼쪽 키가 조작되면(스텝T13; Yes), 현시점에서는 복합어가 반전 지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기 때문에(스텝T44; No), 지정단어「for」로부터 커서 방향(왼쪽 방향)으로 적어도 1번째의 단어까지의 단어열「…butter for」에 완전 일치하는 복합어가 음성데이터베이스(83)에서 검색된 후(스텝T46), 복합어가 없다고 판정되고(스텝T47; No), 도 16의 (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서 방향(왼쪽 방향)의 단어「butter」가 반전 지정된다(스 텝T49).
또, 이 상태로부터 추가로 커서 키(2e)의 왼쪽 키가 조작되면(스텝T13; Yes), 현시점에서는 복합어가 반전 지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기 때문에(스텝T44; No), 지정단어「butter」로부터 커서 방향(왼쪽 방향)으로 적어도 1번째의 단어까지의 단어열「…and butter」에 완전 일치하는 복합어가 음성데이터베이스(83)에서 검색된 후(스텝T46), 복합어「bread and butter」가 있다고 판정되고,(스텝T47; Yes), 도 16의 (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 복합어「bread and butter」가 반전 지정된다(스텝T48).
또, 이 상태로부터 추가로 커서 키(2e)의 왼쪽 키가 조작되면(스텝T13; Yes), 현시점에서는 복합어「bread and butter」가 반전 지정되어 있다고 판정되기 때문에(스텝T44; Yes), 도 16의 (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 복합어「bread and butter」내에 있어서 커서 방향(왼쪽 방향)으로 2번째의 단어「and」가 반전 지정된다(스텝T45).
또, 이 상태로부터 추가로 커서 키(2e)의 왼쪽 키가 조작되면(스텝T13; Yes), 현시점에서는 복합어가 반전 지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기 때문에(스텝T44; No), 지정단어「and」로부터 커서 방향(왼쪽 방향)으로 적어도 1번째의 단어까지의 단어열「…bread and」에 완전 일치하는 복합어가 음성데이터베이스(83)에서 검색된 후(스텝T46), 복합어가 없다고 판정되고(스텝T47; No), 도 16의 (j)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서 방향(왼쪽 방향)의 단어「bread」가 반전 지정된다(스텝T49).
또, 이 상태로부터 추가로 커서 키(2e)의 왼쪽 키가 조작되면(스텝T13; Yes), 현시점에서는 복합어가 반전 지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기 때문에(스텝T44; No), 지정단어「bread」로부터 커서 방향(왼쪽 방향)으로 적어도 1번째의 단어까지의 단어열「…and bread」에 완전 일치하는 복합어가 음성데이터베이스(83)에서 검색된 후(스텝T46), 복합어가 없다고 판정되고(스텝T47; No), 도 16의 (k)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서 방향(왼쪽 방향)의 단어「and」가 반전 지정된다(스텝T49).
이상의 전자사전(1A)에 따르면, 도 15의 스텝T48이나,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조작에 의거하여 반전 지정된 지정 복합어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가 음성 출력되므로, 복합어를 지정함으로써 해당 복합어를 음성 출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비교해서 간단한 조작으로 복합어를 음성 출력시킬 수 있다.
또, 도 15의 스텝T45나,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조작에 의거하여 지정 복합어 중의 어느 하나의 단어가 반전 지정되므로, 복합어를 반전 지정한 상태에서 단어를 반전 지정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실시형태는,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일 없이,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음성출력장치를 전자사전(1)으로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것은, 이와 같은 제품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전화, 퍼스컴 등의 전자기기 전반에 적용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음성출력프로그램(81)은 전자사전(1)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메모리카드, CD 등에 기억되는 것으 로 해도 좋다.
또, 복합어를 음성 출력시키기 위해 표제어의 설명정보나 용례 중의 단어가 반전 지정되는 것으로서 설명했는데, 예를 들면 외부기기로부터 다운로드되어 표시된 텍스트 중의 단어가 반전 지정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스텝T15에 있어서 번역/결정 키(2b)가 조작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T15; Yes)에는, CPU(20)는 스텝T17∼T20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제 1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95)의 메인후보리스트에 음성출력후보를 기억시키는 것으로서 설명했는데, 지정단어를 포함해서 음성데이터베이스(83)에 기억된 모든 단어열을 검색하여 제 2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96)에 기억시킨 후, 각 단어열에 대해 텍스트 중의 단어열이나, 그 변화형 단어열과 완전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완전 일치하는 단어열을 음성출력후보로서 제 1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95)에 기억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음성출력장치를 적용한 전자사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음성출력장치를 적용한 전자사전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사전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도 4b는 사전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음성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사전검색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사전검색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음성서치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음성서치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a∼도 10b는 사전검색처리에 있어서 표시되는 메시지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도 11d는 사전검색처리에 있어서의 표시내용 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a∼도 12c는 사전검색처리에 있어서의 표시내용 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a∼도 13d는 사전검색처리에 있어서의 표시내용 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4a∼도 14b는 사전검색처리에 있어서의 표시내용 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5는 음성서치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사전검색처리에 있어서의 표시내용 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전자사전 2: 키 그룹
2b: 번역/결정 키 2c: 문자 키
2d: 사전선택 키 2e: 커서 키
2f: 시프트 키 2g: 리턴 키
2h: 음성출력 키 2i: 용례 키
2j: 복합어 키 10: 메인디스플레이
11: 서브디스플레이 12: 스피커
20: CPU 30: 입력부
40: 표시부 50: 음성출력부
80, 80A: 플래시ROM 81, 81A: 음성출력프로그램
82: 사전DB그룹 83: 음성DB
84: 사전DB 84a: 영일사전DB
84b: 영영사전DB 90: ROM
91: 선택사전기억영역 92: 입력문자기억영역
93: 선택표제어기억영역 95: 제 1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
96: 제 2 음성출력후보기억영역 100: 버스
M1: 복합어마크 M2: 용례마크
M3: 음성서치마크

Claims (8)

  1. 복수의 단어로 이루어지는 복합어 각각에 음성데이터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복합어음성데이터기억수단과,
    복수의 단어를 포함하는 텍스트를 표시하는 텍스트표시수단과,
    상기 텍스트표시수단에 의해 표시된 상기 텍스트 중의 어느 하나의 단어를 사용자 조작에 의거하여 지정단어로서 지정하는 단어지정수단과,
    상기 지정단어를 포함하는 상기 텍스트 중의 복수의 단어 중, 상기 복합어음성데이터기억수단에 의해 음성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복합어를 검출하는 복합어검출수단과,
    상기 복합어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복합어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를 음성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출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어검출수단은,
    상기 지정단어를 포함하는 상기 텍스트 중의 복수의 단어 중, 적어도 1개의 구성단어가 변화형 단어로 변환된 복합어를 검출하는 변화형 복합어검출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출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출력수단에 의해 음성 출력되는 음성출력후보로서, 상기 지정단어와, 상기 복합어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각 복합어를 일람 표시하는 음성출력후보일람표시수단과,
    사용자 조작에 의거하여 어느 하나의 상기 음성출력후보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를 상기 음성출력수단에 음성 출력시키는 음성출력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출력장치.
  4. 복수의 단어로 이루어지는 복합어 각각에 음성데이터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복합어음성데이터기억수단과,
    복수의 단어를 포함하는 텍스트를 표시하는 텍스트표시수단과,
    상기 텍스트표시수단에 의해 표시된 상기 텍스트 중의 복합어를 사용자 조작에 의거하여 지정 복합어로서 지정하는 복합어지정수단과,
    상기 지정 복합어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를 음성 출력하는 지정 복합어음성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출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지정 복합어 중의 어느 하나의 단어를 지정단어로서 지정하는 복합어 내 단어지정수단과,
    상기 지정단어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를 음성 출력하는 복합어 내 단어음성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출력장치.
  6. 제 1 항에서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표제어에 설명정보를 대응지어 이루어지는 사전정보를 기억하는 사전기억수단과,
    사용자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사전정보에 있어서의 어느 하나의 표제어를 지정표제어로서 지정하는 표제어지정수단과,
    상기 지정표제어에 대응하는 설명정보를 상기 사전정보로부터 검색하는 검색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텍스트표시수단은,
    상기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설명정보를 상기 텍스트로서 표시하는 설명정보표시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출력장치.
  7. 컴퓨터에,
    복수의 단어로 이루어지는 복합어 각각에 음성데이터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복합어음성데이터기억기능과,
    복수의 단어를 포함하는 텍스트를 표시하는 텍스트표시기능과,
    상기 텍스트표시기능에 의해 표시된 상기 텍스트 중의 어느 하나의 단어를 사용자 조작에 의거하여 지정단어로서 지정하는 단어지정기능과,
    상기 지정단어를 포함하는 상기 텍스트 중의 복수의 단어 중, 상기 복합어음성데이터기억기능에 의해 음성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복합어를 검출하는 복합어검 출기능과,
    상기 복합어검출기능에 의해서 검출된 복합어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를 음성 출력하는 음성출력기능을 실현시키는 음성출력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8. 컴퓨터에,
    복수의 단어로 이루어지는 복합어 각각에 음성데이터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복합어음성데이터기억기능과,
    복수의 단어를 포함하는 텍스트를 표시하는 텍스트표시기능과,
    상기 텍스트표시기능에 의해 표시된 상기 텍스트 중의 복합어를 사용자 조작에 의거하여 지정 복합어로서 지정하는 복합어지정기능과,
    상기 지정 복합어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를 음성 출력하는 지정 복합어음성출력기능을 실현시키는 음성출력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80002380A 2007-01-11 2008-01-09 음성출력장치 및 음성출력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9314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03850A JP2008171208A (ja) 2007-01-11 2007-01-11 音声出力装置及び音声出力プログラム
JPJP-P-2007-00003850 2007-01-11
JP2007014754A JP4305515B2 (ja) 2007-01-25 2007-01-25 音声出力装置及び音声出力プログラム
JPJP-P-2007-00014754 2007-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572A true KR20080066572A (ko) 2008-07-16
KR100931464B1 KR100931464B1 (ko) 2009-12-11

Family

ID=39618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380A KR100931464B1 (ko) 2007-01-11 2008-01-09 음성출력장치 및 음성출력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65879B2 (ko)
KR (1) KR1009314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70606B (en) * 2009-05-29 2011-05-04 Paul Siani Electronic reading device
US20130030789A1 (en) * 2011-07-29 2013-01-31 Reginald Dalce Universal Language Translator
JP5842452B2 (ja) * 2011-08-10 2016-01-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音声学習装置及び音声学習プログラム
JP5810814B2 (ja) * 2011-10-11 2015-11-1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辞書機能を備えた電子機器、複合語検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35998B2 (ja) * 2014-09-16 2019-07-0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音声学習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2063A (ja) 1981-11-27 1983-06-01 Hitachi Ltd イデイオム処理方式
JPH0760378B2 (ja) 1986-12-27 1995-06-28 富士通株式会社 文章読み上げ装置
JPH077420B2 (ja) 1987-03-18 1995-01-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電子辞書
JPH01284900A (ja) 1988-05-12 1989-11-16 Toshiba Corp 音声合成装置
JPH02159674A (ja) * 1988-12-13 1990-06-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意味解析装置と構文解析装置
JPH03232063A (ja) 1990-02-08 1991-10-16 Oki Electric Ind Co Ltd 電子辞書の検索方法
JP3147245B2 (ja) 1992-01-06 2001-03-19 キヤノン株式会社 文書処理装置及び文書処理方法
CN1093190A (zh) 1993-03-31 1994-10-05 上海荣川应用技术研究所 语言学习机
JP4267101B2 (ja) * 1997-11-17 2009-05-2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音声識別装置、発音矯正装置およびこれらの方法
CN1300718C (zh) 2002-10-31 2007-02-14 卡西欧计算机株式会社 信息显示装置和信息显示处理程序
CN100559463C (zh) * 2002-11-11 2009-11-1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声音识别用辞典编制装置和声音识别装置
US7496498B2 (en) * 2003-03-24 2009-02-24 Microsoft Corporation Front-end architecture for a multi-lingual text-to-speech system
US7447627B2 (en) * 2003-10-23 2008-11-04 Microsoft Corporation Compound word breaker and spell checker
US7567896B2 (en) * 2004-01-16 2009-07-28 Nuance Communications, Inc. Corpus-based speech synthesis based on segment recombination
JP4715204B2 (ja) 2004-03-31 2011-07-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6047866A (ja) * 2004-08-06 2006-02-16 Canon Inc 電子辞書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581779B2 (ja) 2005-03-24 2010-11-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581778B2 (ja) 2005-03-24 2010-11-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876434B2 (ja) * 2005-04-28 2012-02-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音声出力制御装置および音声出力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72226A1 (en) 2008-07-17
KR100931464B1 (ko) 2009-12-11
US8165879B2 (en) 2012-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206317A (ja) オーサリング方法、オーサリング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EP2646932A1 (en) Text conversion and representation system
KR100931464B1 (ko) 음성출력장치 및 음성출력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JP5119671B2 (ja) 音声出力装置及び音声出力プログラム
JP2010198241A (ja) 中国語入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219218A (ja) 語学学習用電子機器および訳文再生方法
JP2006293186A (ja) 表示マスク機能付き電子機器および表示マスクプログラム
JP6641680B2 (ja) 音声出力装置、音声出力プログラムおよび音声出力方法
JP4305515B2 (ja) 音声出力装置及び音声出力プログラム
JP5482516B2 (ja) 辞書機能を備えた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JP6036911B2 (ja) 情報表示制御装置、情報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673215B2 (ja) ロシア語検索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171174A (ja) 文章読み上げ装置、読み上げのため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8171208A (ja) 音声出力装置及び音声出力プログラム
JP2020140374A (ja) 電子図書再生装置及び電子図書再生プログラム
JP2580565B2 (ja) 音声情報辞書作成装置
JPH1011457A (ja) 携帯型検索装置
JP3838507B2 (ja) 文章読み上げ装置、読み上げのため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451153B2 (ja) 情報表示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446801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924089B2 (ja) 日本語発音練習機
JP2023046232A (ja) 電子機器、学習支援システム、学習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043306A (ja) 電子機器、音声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S6136796A (ja) 発音辞書編集装置
JP2007225999A (ja) 電子辞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