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5789A -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5789A
KR20080065789A KR1020070002879A KR20070002879A KR20080065789A KR 20080065789 A KR20080065789 A KR 20080065789A KR 1020070002879 A KR1020070002879 A KR 1020070002879A KR 20070002879 A KR20070002879 A KR 20070002879A KR 20080065789 A KR20080065789 A KR 20080065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charging
battery
charging dev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6691B1 (ko
Inventor
권혁민
박창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2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691B1/ko
Publication of KR20080065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94Details related to signal transmission in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2Recharging of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청소기와 충전대의 물리적 접촉 없이도 청소기의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은 내부에 배터리가 구비되는 청소기;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충전 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충전 장치에는 상기 청소기가 상기 충전 장치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충전 신호를 송신하는 충전 신호 송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청소기에는 상기 충전 신호에 의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류 발생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스스로 이동 가능한 청소기의 청소 수행 중에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서, 상기 청소기가 충전 장치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청소기가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장치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서 상기 배터리로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소기와 상기 충전 장치의 물리적 접촉 없이도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청소기, 충전 장치

Description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Charging system of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청소기와 충전 장치로 구성되는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청소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상기 청소기와 충전 장치의 충전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
도 4는 상기 청소기의 배터리가 충전 장치에 의해서 충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충전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청소기 170 : 배터리
190 : 충전 전류 발생부 200 : 충전 장치
250 : 충전 신호 송신부
본 발명은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청소기와 충전대의 물리적 접촉 없이도 청소기의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진공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이물을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조작되는 수동 청소기와 사용자의 조작없이 스스로 청소를 수행하는 청소기로 분류된다.
한편, 일반적인 청소기는 충전된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하여, 입력된 프로그램을 따라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의 바닥을 이동하면서 스스로 청소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청소 시간을 단축하면서 편리함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생활 욕구에 맞춰 여러 형태로 개발 및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청소기는 상기 본체에 설치된 센서를 통하여 벽이나 장애물로 둘러싸인 청소 영역의 외곽을 주행하여 청소할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청소 영역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 경로를 계획한다.
그런 다음, 바퀴의 회전수 및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센서를 통해 검출된 신호로부터 주행거리 및 현재 위치를 산출하면서 계획된 청소경로를 주행할 수 있도록 바퀴를 구동시킨다.
이러한 청소 과정에서 청소기의 배터리의 전력이 소모된 경우 충전을 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상기 청소기에는 필요시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하여 실내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충전 장치와 접속되는 단자부가 구비되며, 상기 충전 장치에는 상기 단자부와 접속되는 충전 단자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청소기가 상기 충전 장치로 이동되어 상기 청소기의 단자부가 상기 충전 장치의 충전 단자와 접속되면, 상기 충전 단자로부터 전류가 흘려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충전 장치에는 상기 충전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충전 단자에는 항상 전류가 흐르고 있으므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상기 충전 단자를 만지는 경우 사용자가 감전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충전 장치와 청소기가 물리적으로 접촉하여야 충전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청소기가 상기 충전 장치로 도킹하는 과정에서 상기 충전 장치가 넘어지거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충전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충전 단자와 상기 단자부의 접속 과정에서 채터링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단자부 및 충전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산화 또는 부식되어 상기 충전 장치 또는 청소기의 고장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스스로 이동 가능한 청소기와 충전 장치의 물리적 접촉 없이도 청소기의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청소기의 배터리의 안정적인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은 내부에 배터리가 구비되는 청소기;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충전 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충전 장치에는 상기 청소기가 상기 충전 장치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충전 신호를 송신하는 충전 신호 송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청소기에는 상기 충전 신호에 의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류 발생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은 내부에 배터리가 구비되며, 스스로 이동 가능한 청소기; 상기 청소기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충전 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충전 장치에서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상기 청소기의 내부에서 전류가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전류에 의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스스로 이동 가능한 청소기의 청소 수행 중에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서, 상기 청소기가 충전 장치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청소기가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장치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서 상기 배터리로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스스로 이동 가능한 청소기의 청소 수행 중, 충전 장치로부터 상기 청소기로 충전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청소기의 배터리의 충전 여부가 판단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청소기가 상기 충전 장치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신호에 의해서 상기 배터리로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청소기와 충전 장치로 구성되는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청소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청소기(100)와, 상기 청소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70)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 장치(20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청소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흡입력 발생시키는 흡입 장치(130)와, 상기 흡입 장치(130)의 구동에 의해 바닥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부(미도시)와,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 중의 이물을 집진하는 집진 장치(14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청소기(100)는 상기 본체(110)의 하부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청소기(10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 바퀴(150)(160)와, 상기 청소기(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80)와, 상기 청소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70) 가 포함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본체(110)에는 실내의 벽이나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청소기(100)가 장애물을 회피하면서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상측에는 상기 청소기(100)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 버튼(116)과, 상기 청소기(100)의 작동 상태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대략 중앙부에는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1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소정의 데이터 저장 장치가 포함되어 청소기(100)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170)의 잔량을 감지하여 상기 배터리(170)의 충전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배터리(170)의 충전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충전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청소기(100)가 상기 충전 장치(200)로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170)의 잔량을 감지하는 배터리 잔량 감지부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 바퀴(150)(160)는 좌측 및 우측 바퀴(150)(160)가 포함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바퀴(150)(160)는 상기 제어부(180)에 의해 작동되는 좌륜 모터(151)와 우륜 모터(161)가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좌측 및 우측 바퀴(150)(160)가 별개의 모터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청소기(100)의 주행 뿐만 아니라, 상기 청소기(100)의 방향 전환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한 쌍의 구동 바퀴(150)(160)가 등속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동일한 속도로 청소기(100)가 진행하게 된다. 반면, 어느 한쪽 바퀴가 다른 속도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늦은 속도로 회전되는 바퀴 방향으로 청소기(100)의 진행 방향이 바뀌게 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170)는 상기 청소기(100)가 스스로 주행할 수 있도록 상기 청소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170)의 충전은 상기 청소기(100)가 상기 충전 장치(200)에 구비되는 한 쌍의 복귀유도센서(210)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충전 장치(200)로 복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청소기(100)에는 상기 복귀유도센서(210)의 신호를 수신하는 한 쌍의 신호수신센서(118)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170)는 한 번의 충전시 상기 청소기(100)가 장시간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170)는 리튬 폴리머 배터리(lithium polymer batteries)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리튬 폴리머 배터리는 니켈 수소 배터리 보다 대략 2배 내지 4배 정도의 수명을 가진다. 상기 리튬 폴리머 배터리는 외부 전원을 이용해 충전하는 고체 전해질 전지이며, 상기 전해질로는 고체 또는 젤 상 태의 중합체(폴리머)가 사용된다.
한편, 상기 충전 장치(200)는 청소 수행으로 인하여 소모된 상기 청소기(100)의 배터리(170)를 충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 장치(200)의 내부 상측에는 상기 청소기(100)의 신호수신센서(118)로 소정의 신호를 보내어 상기 충전 장치(200)의 위치를 알려줌으로써, 상기 청소기(100)가 상기 충전 장치(200)로 복귀 가능하도록 하는 복귀유도센서(210)가 구비된다.
즉, 상기 복귀유도센서(210)는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신호수신센서(118)는 상기 복귀유도센서(21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복귀유도센서(210)와 신호수신센서(118)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상기 청소기(100)는 상기 충전 장치(200)의 위치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 장치(200)의 저면에는 상기 청소기(100)가 상기 충전 장치(200)로 복귀시, 상기 청소기가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일정 영역 내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홈(2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충전 장치(200)의 일측에는 상기 충전 장치(20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코드(2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 코드(230)는 상기 충전 장치(200)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보관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필요시에 인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치 충전 장치(200)는, 상기 충전 장치(200)가 실내벽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장치(2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장치(220)는 상기 충전 장치(200)의 설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청소기(100)의 복귀가 용이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시스템은 상기 청소기(100)가 상기 충전 장치(200)에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배터리(170)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충전 시스템에 의하면, 종래의 청소기에 구비된 단자부와, 상기 충전 장치에 구비된 충전 단자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시스템의 충전 원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상기 청소기와 충전 장치의 충전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4는 상기 청소기의 배터리가 충전 장치에 의해서 충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00)는, 상기 청소기(100)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70)와, 상기 청소기(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80)와, 상기 충전 장치(20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신부(119) 및 수신부(118)와, 상기 충전 장치(20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전류가 발생되는 충전 전류 발생부(190)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충전 장치(200)는 상기 충전 전류 발생부(190)에서 전류 발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호를 송신하는 충전 신호 송신부(250)와, 상기 청소기(100) 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신부(210) 및 수신부(212)와, 상기 충전 장치(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4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충전 장치(200)의 송신부(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청소기(100)가 상기 충전 장치(200) 측으로 이동되도록 신호를 보내는 복귀유도센서이고, 상기 청소기(100)의 수신부(118)는 상기 복귀유도센서의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센서이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100)의 송신부(119)는 상기 충전 장치(200)로 상기 배터리(170)의 충전 명령 신호를 송신하는 부분이고, 상기 충전 장치(200)의 수신부(212)는 상기 충전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충전 신호 발생부(250)와 상기 충전 전류 발생부(190)는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하여 상기 배터리(170)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세히, 상기 충전 신호 발생부(250)는, 일정 전류 및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 1 코일부(252)와, 상기 제 1 코일부(252)로 일정 전류 및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AC 스위칭부(254)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 전류 발생부(190)는, 상기 제 1 코일부(252)에서 발생된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전류가 발생되도록 하는 제 2 코일부(192)와, 상기 제 2 코일부(192)에서 발생된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변환시키는 DC 변환부(194)가 포함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제 1 코일부(252)에는 다수의 코일이 감겨져 있어, 상기 제 1 코일부(252)로 일정 전류가 흐르게 되면, AMPERE의 법칙에 의해서 상기 전류 흐름 방향의 수직으로 자기장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자기장은 일정 영역(A)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며, 상기 청소기(100)가 상기 충전 장치(200)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2 코일부(192)가 상기 일정 영역(A) 내로 위치하게 되면, 상기 자기장에 의해서 상기 제 2 코일부(192)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2 코일부(192)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상기 제 1 코일부(252)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반대 방향임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제 2 코일부(192)로 전류가 흐르게 되면, 상기 DC 변환부(194)를 거쳐 상기 배터리(170)로 공급되어 상기 배터리(170)의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충전 장치(20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매개 수단으로 하여 상기 청소기(100) 내에서 전류가 흐르도록 함에 따라, 상기 청소기(100)와 상기 충전 장치(200)의 물리적 접촉 없이도 상기 배터리(170)의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의 제 2 코일부(192)가 상기 충전 장치(20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영역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170)의 충전이 가능하므로, 상기 배터리(170)의 충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충전 시스템이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청소기(100)로 청소 신호가 입력되면, 내부에 구비된 배터 리(1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청소기(100)는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한다(S1).
그리고, 상기 청소기(100)의 청소 수행 중에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170)의 충전이 요구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
만약, 상기 배터리(170)의 충전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청소기(100)는 지속적으로 청소를 수행한다.
반면, 상기 배터리(170)의 충전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청소기(100)는 충전을 위하여 상기 충전 장치(200) 측으로 이동된다(S3).
상세히, 상기 청소기(100)는 상기 신호수신센서(118)로 수신되는 상기 복귀유도센서(210)의 신호에 의해서 상기 충전 장치(200)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충전 장치(200) 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100)가 상기 배터리(170)의 충전이 가능한 일정 영역(A) 내로 이동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4). 여기서, 상기 일정 영역(A)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청소기(100)가 상기 충전 장치(20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범위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일정 영역(A)의 판단은 상기 복귀유도센서(210)와 신호수신센서(118)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청소기가 상기 일정 영역(A) 내로 이동되면, 상기 청소기는 상기 충전 장치(200)로 충전 명령 신호를 송출한다. 그러면, 상기 충전 장치(200)는 충전 명령 신호에 의해서 상기 배터리(170)의 충전이 수행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170)의 충전 원리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 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청소기(100)로 청소 신호가 입력되면,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1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청소기(100)는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충전 장치(200)는 지속적으로 상기 제 2 코일부(252)로 일정 전류를 인가하여 자기장이 발생되도록 한다(S11).
그리고, 상기 청소기(100)가 청소 수행 중 상기 자기장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일정 영역 내로 이동되면(S12), 상기 청소기의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170)의 충전이 요구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
만약, 상기 배터리(170)의 충전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청소기는 지속적으로 청소를 수행한다. 반면, 상기 배터리(170)의 충전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일정 영역(A) 내에서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170)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14).
이상에서는 스스로 이동가능한 청소기와 충전 장치의 충전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스스로 이동되지 않는 청소에 배터리가 요구되는 경우 상기 청소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시스템 및 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상기 청소기를 상기 충전 장치 주위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청소기의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충전 장치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매개 수단으로 하여 상기 청소기 내에서 전류가 흐르도록 함에 따라, 상기 청소기와 상기 충전 장치의 물리적 접촉 없이도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청소기의 제 2 코일부가 상기 충전 장치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영역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므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충전 장치와 청소기의 물리적 접촉없이도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충전 장치의 설치 위치 제약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내부에 배터리가 구비되는 청소기;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충전 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충전 장치에는 상기 청소기가 상기 충전 장치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충전 신호를 송신하는 충전 신호 송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청소기에는 상기 충전 신호에 의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류 발생부가 구비되는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신호는 상기 충전 장치에서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발생된 자기장인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신호 송신부는 일정 전류가 흐르는 경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 1 코일부가 포함되고,
    상기 전류 발생부는 상기 자기장에 의해서 전류가 발생되는 제 2 코일부가 포함되는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은 상기 청소기가 충전 가능한 일정 영역 내에 위치된 경우에 수행되는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
  5. 내부에 배터리가 구비되며, 스스로 이동 가능한 청소기;
    상기 청소기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충전 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충전 장치에서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상기 청소기의 내부에서 전류가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전류에 의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는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에서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자기장이 발생되고, 상기 자기장에 의해서 상기 청소기 내부에서 전류가 흐르게 되는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
  7. 스스로 이동 가능한 청소기의 청소 수행 중에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서,
    상기 청소기가 충전 장치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청소기가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장치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서 상기 배터리로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스스로 이동 가능한 청소기의 청소 수행 중,
    충전 장치로부터 상기 청소기로 충전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청소기의 배터리의 충전 여부가 판단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청소기가 상기 충전 장치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신호에 의해서 상기 배터리로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70002879A 2007-01-10 2007-01-10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76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879A KR100876691B1 (ko) 2007-01-10 2007-01-10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879A KR100876691B1 (ko) 2007-01-10 2007-01-10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789A true KR20080065789A (ko) 2008-07-15
KR100876691B1 KR100876691B1 (ko) 2008-12-31

Family

ID=39816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879A KR100876691B1 (ko) 2007-01-10 2007-01-10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66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2183A (zh) * 2013-03-20 2013-06-12 哈尔滨工业大学 智能无线充电吸尘器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689B1 (ko) 2008-04-22 2010-09-24 백창규 충전 방식을 이용한 신호값 전달시스템
KR101650178B1 (ko) * 2014-12-15 2016-08-23 한솔테크닉스(주) 로봇청소기의 무선충전장치
KR102135540B1 (ko) * 2020-02-10 2020-07-20 주식회사세오 지능형 로봇 및 이의 도킹 제어 방법
KR102158772B1 (ko) * 2020-04-23 2020-09-22 주식회사 세오 지능형 로봇 및 이의 도킹 스테이션 복귀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2183A (zh) * 2013-03-20 2013-06-12 哈尔滨工业大学 智能无线充电吸尘器系统
CN103142183B (zh) * 2013-03-20 2015-09-16 哈尔滨工业大学 智能无线充电吸尘器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6691B1 (ko)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4428B2 (en) Vacuum cleaning apparatus
US10213080B2 (en) Autonomous traveling body device
KR101484940B1 (ko) 로봇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EP1931010B1 (en) Method for charging service robot
US9340116B2 (en) Self-propelled electronic device
KR101397056B1 (ko) 로봇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76691B1 (ko)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6127448A (ja) ロボット掃除機システム及び外部充電装置復帰方法
JP5011145B2 (ja) 自走式掃除機用充電装置
JP2006236333A (ja) ロボット掃除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30113726A (ko)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49533A (ko) 로봇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50063188A (ko) 청소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US20130162194A1 (en) Charger system for an automatic cleaner
JP2016143231A (ja) 自走式電子機器
KR20060134368A (ko)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
JP2016045598A (ja) 自律走行体装置
JP6636289B2 (ja) 走行体装置
JP2018029054A (ja) 掃除機用充電ステーション
KR101196059B1 (ko) 자동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
JP2005304546A (ja) 自走式クリーナ
KR101253619B1 (ko)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
JP2007156884A (ja) 自走式掃除機システム
JP6302695B2 (ja) 自走式電子機器
KR200366079Y1 (ko) 로봇청소기의 충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