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4727A -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과의 부착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 및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고리형 올레핀계필름 - Google Patents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과의 부착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 및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고리형 올레핀계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4727A
KR20080064727A KR1020080000278A KR20080000278A KR20080064727A KR 20080064727 A KR20080064727 A KR 20080064727A KR 1020080000278 A KR1020080000278 A KR 1020080000278A KR 20080000278 A KR20080000278 A KR 20080000278A KR 20080064727 A KR20080064727 A KR 20080064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cyclic olefin
coating
weigh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9905B1 (ko
Inventor
윤한식
장영래
심재훈
구재필
권동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080064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4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9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올레핀계 수지 5 내지 50 중량부, 광개시제 2 내지 20 중량부 및 용매 80 내지 4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에 추가로 평균입경 0.5 내지 5 ㎛의 미립자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들은 각각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에 대한 하드 코팅 조성물 및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은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 상에 코로나, 플라즈마 등과 같은 친수 표면 처리를 하지 않더라도, 코팅 조성물에 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에 구현하였던 눈부심 방지, 반사 방지 등의 광학 특성과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과 부착성이 우수한 코팅층을 제공할 수 있다.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 올레핀계 수지, 하드 코팅, 눈부심 방지 코팅, 부착성, 내스크래치성

Description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과의 부착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COATING COMPOSITIONS HAVING A SUPERIOR HIGH ADHESIVE STRENGTH ON CYCLOOLEFIN POLYMER FILMS AND CYCLOOLEFIN POLYMER FILMS COMPRISING COATING LAYER MANUFACTURE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과의 부착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고리형 올레핀계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수지로 만든 광학필름(이하,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에 코로나, 플라즈마 등과 같은 친수 표면 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기존에 구현하였던 눈부심 방지, 반사 방지 등의 광학 특성과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과의 부착성이 우수한 코팅층을 제공할 수 있는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하드 코팅 조성물 또는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은 2007년 1월 4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07-0000965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정보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 표시 패널(PDP), 전 기영동 표시장치(ELD) 등의 다양하고 많은 디스플레이들이 개발 중이거나 상품화되어 있으며, 실내 전시용 디스플레이는 점점 대형화 및 박형화되는 추세에 있고, 실외 휴대용 디스플레이는 소형화 및 경량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런 추세 때문에 현재 디스플레이의 두께를 최소화시키는 기술은 필수적인 것이 되었고, 이를 위하여 일찍부터 각종 광학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광학필름에 사용되는 재료는 디스플레이의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높은 투광도, 광학적 등방성, 무결점 표면, 높은 내열성 및 내습성, 높은 유연성, 높은 표면경도, 낮은 수축율, 공정상의 처리용이성 등의 물성을 갖추어야 한다.
일반적인 광학필름 재료로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우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등이 있고, 디스플레이의 조건 및 광학필름 재료의 고유한 물성에 따라 선택되어 광학필름의 제조에 사용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광학필름은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고 표면코팅처리됨으로써, 광학필름 재료의 고유한 특성에서 기인하는 부족한 물성을 보완하고, 부가적으로 필요한 디스플레이 기능들을 구현한다. 특히, 광학필름이 디스플레이의 최외각에 위치할 때에는 외상방지, 눈부심방지, 반사방지, 대전방지, 내오염성 등의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진다.
현재 LCD용 편광판에는 폴리비닐알코올 재질의 편광막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으로서 양쪽 면에 높은 투광도, 광학적 등방성, 무결점 표면 등의 특성을 지닌 트리아세틸 셀룰로우즈 필름을 대부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트리아세틸 셀룰로 오즈 필름은 열과 습도에 약하기 때문에 고온 고습의 환경에서 장시간 사용할 경우 편광도의 저하, 수분 열화로 인해 가장자리의 빛이 과다 누출되는 빛샘 현상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여 내구성이 떨어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4-0071485(2004.08.12 공개)에서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우즈 대신에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이용하는 방안을 개시하고 있다.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는 노보넨계 수지라고도 하며 고리형 올레핀계 중합체 뿐만 아니라 고리형과 직선형 올레핀이 섞여있는 고리형 올레핀계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는 탄화수소의 함량이 높아서 유전상수가 낮고 전기적으로 등방성이 우수하여 복굴절이 없으며, 흡습성이 낮고 무정형이며 파이 콘쥬게이션(π-conjugation)으로 인한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광흡수가 없어서 우수한 광투과도를 보이고, 연신처리를 통해 위상차를 줄 수 있으므로 위상차 필름으로의 적용도 가능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는 극성기가 없거나 아주 약한 극성을 갖는 노보넨을 단량체로 하기 때문에, 극성이 매우 높은 폴리비닐알코올 편광막과의 층간 부착성이 기존의 다른 광학필름을 사용할 때보다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추가적인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표면코팅처리 시에 코팅막과의 부착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에 다른 특정 성분의 첨가, 폴리머 자체의 변형, 또는 분자량 조절 등과 같은 다양한 고리형 올레핀계 광학필름 제조방법들이 개시되어 있으나, 광학특성, 성분간 친화성, 광학필름 강도 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에 코로나, 플라즈마 등과 같은 친수표면처리를 한 후에 코팅을 하여 부착성을 개선시키는 방법들이 개시되어 있으나, 표면처리공정 추가에 따른 비용 및 생산성 부담과 표면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부산물 및 오염원들이 제품에 잔류하여 제품 수율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광학필름의 제조 과정에서 폴리머를 변성시키거나, 또는 코팅 전 광학필름에 표면처리하는 과정 없이, 코팅 조성물 자체의 개발을 통하여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과 표면 코팅막과의 부착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보다 절실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상에 코로나, 플라즈마 등과 같은 친수 표면 처리를 하지 않더라도, 코팅 조성물에 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에 구현하였던 눈부심 방지, 반사 방지 등의 광학 특성과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과 부착성이 우수한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하드 코팅 조성물 또는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코팅층을 구비한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올레핀계 수지 5 내지 50 중량부, 광개시제 2 내지 20 중량부 및 용매 80 내지 4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조성물은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과 부착성이 우수한 코팅층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에 대한 하드 코팅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은 평균입경 0.5 내지 5 ㎛의 미립자 1 내지 20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내스크래 치성,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물성 뿐만 아니라 눈부심 방지, 반사 방지 등의 광학 특성이 우수하고,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과 부착성이 우수한 코팅층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에 대한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계면활성제를 0 초과 10 중량부 이하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코팅층을 구비한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은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상에 코로나, 플라즈마 등과 같은 친수 표면 처리를 하지 않더라도, 기존에 구현되었던 우수한 눈부심 방지, 반사 방지 등의 광학 특성과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과의 부착성이 현저히 뛰어난 효과를 갖는 코팅층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코팅층을 구비한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은 기존 코팅 처리에 의해 구현되었던 우수한 광학 특성 및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코팅층과의 부착성이 현저히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과의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UV 경 화형 아크릴계 하드 코팅 조성물 및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 중에 올레핀계 수지를 첨가한 결과 기존의 하드 코팅막 및 눈부심 방지 코팅막의 광학 및 기계적 물성이 크게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과의 부착성이 향상됨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올레핀계 수지 5 내지 50 중량부, 광개시제 2 내지 20 중량부 및 용매 80 내지 4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계면활성제를 0 초과 10 중량부 이하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은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 등에 도포되는 경우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과의 부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을 외부의 화학적인 또는 물리적인 힘으로부터 보호하여 내구성 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은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에 대하여 하드 코팅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는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는 1 내지 6 개의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예로는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 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렌프로필 트리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베타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는 통상적으로 2 내지 6 개의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가지는 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중량평균분자량이 500 내지 1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올레핀계 수지는 선형 또는 환형 올레핀계 구조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화합물이 포함된 모든 중합체 및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올레핀계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 내지 10,0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올레핀계 수지의 예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A),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 에틸렌-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nBA) 등의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공중합체(SI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공중합체(SB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공중합체(SE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공중합체(SEPS) 등의 올레핀계 블록공중합체, 염화폴리프로필렌-아크릴레이트 변성 공중합체 등의 변성 올레핀계 수지 등이 있다.
상기 올레핀계 수지는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기재와의 부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50 중량부를 초과한 경우에는 코팅막의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광개시제로는 자외선에 분해 가능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예로는 1-히드록시 시클로 헥실페닐케톤, 벤질 디메틸 케탈, 히드록시디메틸아세토 페논, 벤조인, 벤조인 메틸에테르, 또는 벤조인 에틸에테르 등이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코팅막의 미경화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코팅막의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레벨링제 또는 습윤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불소계 또는 폴리실록산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최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기재와의 부착성 및 코팅막의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용매로는 알코올류, 아세테이트류, 케톤류, 또는 방향족 용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플로필 알콜, 부탄올, 2-메톡시 에탄올, 2-에톡시 에탄올, 2-부톡시 에탄올, 2-이소프로폭시 에탄올, 메틸 아세테 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시클로헥산, 시클로헥사논, 톨루엔, 크실렌, 또는 벤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 내지 4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의 함량이 8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코팅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서 코팅막의 평탄화도가 나빠지는 등 코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40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코팅막의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이 저하되며, 코팅 조성물의 점도가 코팅기계와 기재에 전사되지 않을 정도로 지나치게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은 평균입경 0.5 내지 5 ㎛의 미립자 1 내지 20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물성 뿐만 아니라 눈부심 방지, 반사 방지 등의 광학 특성이 우수하고,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과 부착성이 우수한 코팅층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에 대한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미립자는 평균입경 0.5 내지 5 ㎛인 유기물 및 무기물의 정형 혹은 무정형 입자이다. 상기 미립자는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미립자가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에 묻혀서 눈부심 방지 효과가 미미하며,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용도로서의 광학특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 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코팅층은 하드코팅층 또는 눈부심 방지층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그 두께가 0.01 내지 1,0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층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을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에 코팅하고, 필요한 경우 건조 및 경화를 거쳐 형성할 수 있다. 코팅층의 형성 방법은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기술을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이란 고리형 올레핀계 구조를 포함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을 의미한다. 상기 고리형 올레핀계 구조를 포함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수지는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당기술분야에서 필름은 협의로 얇은 막 형태를 의미하고, 시트는 상기 협의의 필름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것을 의미하며, 상기 시트는 천 모양인 것을 의미하기도 하나, 이들은 객관적 기준이 없는 관념적인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필름'은 상기 협의의 필름 뿐만 아니라 상기 시트로 지칭되는 두께를 갖는 것을 모두 포함하고, 그 형태도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을 것을 의도한다. 예컨대, 상기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은 0.5 마이크로미터 내지 0.5mm의 두께를 갖는 필름 뿐만 아니라 0.5mm 이상 1,000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시트의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두께는 1 마이크로미터 이상 10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하드 코팅액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22 중량부,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3 중량부 및 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중량평균분자량 800, 6 개의 아크릴레이트 관능기, SK Cytec사 제조) 65 중량부로 이루어진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올레핀계 수지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중량평균 분자량 500,000) 17 중량부, 광개시제로 1-히드록시 시클로 헥실 페닐 케톤 13 중량부, 계면활성제로 습윤제(Tego 270, 테고사 제조) 0.9 중량부, 및 용매로 시클로헥산 217 중량부와 메틸 에틸 케톤 87 중량부를 상온에서 혼합하여, 하드 코팅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22 중량부,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3 중량부 및 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중량평균분자량 800, 6개의 아크릴레이트 관능기, SK Cytec사 제품) 65 중량부로 이루어진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광개시제로 1-히드록시 시클로 헥실 페닐 케톤 13 중량부, 계면활성제로 습윤제(Tego 270, Tego사 제조) 0.9 중량부, 및 용매로 시클로헥산 217 중량부와 메틸 에틸 케톤 87 중량부를 상온에서 혼합하여, 하드 코팅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눈부심 방지 코팅액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2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22 중량부, 베타 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3 중량부 및 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중량평균분자량 1000, 6개의 아크릴레이트 관능기, SK Cytec사 제조) 65 중량부로 이루어진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올레핀계 수지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LG화학, LG604) 22 중량부, 미립자로 평균입경 2 ㎛의 실리카(OK607, 대구사 제조) 2.2 중량부, 광개시제로 1-히드록시 시클로 헥실 페닐 케톤 13 중량부, 계면활성제로 습윤제(Tego 270, 테고사 제조) 0.9 중량부, 및 용매로 톨루엔 217 중량부와 메틸 이소부틸 케톤 87 중량부를 상온에서 혼합하여, 눈부심 방지 코팅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22 중량부, 베타 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3 중량부 및 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중량평균분자량 1000, 6개의 아크릴레이트 관능기, SK Cytec사 제조) 65 중량부로 이루어진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미립자로 평균입경 2 ㎛의 실리카(OK607, 대구사 제조) 2.2 중량부, 광개시제로 1-히드록시 시클로 헥실 페닐 케톤 13 중량부, 계면활성제 로 습윤제(Tego 270, 테고사 제조) 0.9 중량부, 및 용매로 톨루엔 217 중량부와 메틸 이소부틸 케톤 87 중량부를 상온에서 혼합하여, 눈부심 방지 코팅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한 코팅액 조성물로 60 ㎛ 두께의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Zeonor, ZEON사 제조)을 와이어 바(10호)로 코팅처리한 후, 이를 60 ℃ 오븐에서 2 분간 건조하고, 1 J/㎠의 UV(자외선)로 경화시켜 코팅처리된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을 제조하였다.
코팅처리된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투과율, 헤이즈, 부착성, 내스크래치성 등의 물성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ㄱ) 투과율 및 헤이즈 - HR100(일본 무라카미사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ㄴ) 부착성 - 크로스컷(10X10) 테이프법에 의거하여 크로스컷 부분에 테이프을 붙였다가 떼어낸 후 막이 남아있는 비율을 관찰하여 측정하였다.
ㄷ) 내스크래치성 - 강철솜(grade #0000)을 설치한 마모자에 1 kg의 하중을 걸어 코팅 필름에 문지른 후, 스크래치의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상, 중, 하로 평가하였다.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 실시예 1 비교예 1 실시예 2 비교예 2
투과율 (%) 93.7 93.8 93.0 93.2
헤이즈 (%) 0.3 0.2 9.7 9.5
부착성 (%) 100 0 100 0
내스크래치성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액(실시예 1)으로 처리된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은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지 않는 하드 코팅액(비교예 1)으로 처리된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과 비교시 우수한 투과율, 투명도 및 내스크레치성은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부착성에 있어서는 현저히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 코팅액 조성물(실시예 2)로 처리된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은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지 않는 눈부심 방지 코팅액 조성물(비교예 2)로 처리된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과 비교시 우수한 투과율, 투명도 및 내스크래치성은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부착성에 있어서는 현저히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7)

  1.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올레핀계 수지 5 내지 50 중량부, 광개시제 2 내지 20 중량부 및 용매 80 내지 4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는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1 내지 6 개의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가진 화합물인 것인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렌프로필 트리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에 틸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평균 분자량이 500 내지 10,000 이고 2 내지 6 개의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인 것인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수지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블록공중합체 및 변성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올레핀계 블록공중합체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공중합체 및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변성 올레핀계 수지는 염화폴리프로필렌-아크릴레이트 변성 공중합체인 것인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1-히드록시 시클로 헥실페닐 케톤, 벤질 디메틸 케탈, 히드록시디메틸아세토 페논, 벤조인, 벤조인 메틸에테르 및 벤조인 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알코올류, 아세테이트류, 케톤류 및 방향족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플로필 알콜, 부탄올, 2-메톡시 에탄올, 2-에톡시 에탄올, 2-부톡시 에탄올, 2-이소프로폭시 에탄올,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시클로헥산, 시클로헥사논, 톨루엔, 크실렌 및 벤젠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를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에 대하여 0 초과 10 중량부 이하로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레벨링제 또는 습윤제인 것인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평균입경 0.5 내지 5 ㎛의 미립자 1 내지 20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코팅층을 구비한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두께가 0.5 마이크로미터 내지 1000mm인 것인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
  16. 청구항 13에 따른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코팅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코팅층을 구비한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의 두께가 0.5 마이크로미터 내지 1000mm인 것인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
KR1020080000278A 2007-01-04 2008-01-02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과의 부착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 KR100939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0965 2007-01-04
KR1020070000965 2007-0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727A true KR20080064727A (ko) 2008-07-09
KR100939905B1 KR100939905B1 (ko) 2010-02-03

Family

ID=39588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278A KR100939905B1 (ko) 2007-01-04 2008-01-02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과의 부착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00009151A1 (ko)
EP (1) EP2099876B1 (ko)
JP (1) JP4995925B2 (ko)
KR (1) KR100939905B1 (ko)
CN (1) CN101578342B (ko)
PL (1) PL2099876T3 (ko)
TW (1) TWI361902B (ko)
WO (1) WO20080822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957B1 (ko) * 2011-04-05 2013-06-12 재단법인 구미전자정보기술원 태양전지 모듈 보호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25056A (ja) * 2011-07-18 2014-09-25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高明暗比を示す防眩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40138807A (ko) * 2012-03-27 2014-12-04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코팅 도료용 수지 조성물
KR101617387B1 (ko) * 2013-02-26 2016-05-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팅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플라스틱 필름
JP6135234B2 (ja) * 2013-03-26 2017-05-31 Dic株式会社 環状オレフィン樹脂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環状オレフィン樹脂フィルム
WO2016004618A1 (en) * 2014-07-11 2016-01-1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ion and article of manufacture comprising thereof
WO2016117706A1 (ja) * 2015-01-25 2016-07-28 日本製紙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WO2017176997A1 (en) * 2016-04-08 2017-10-12 Avery Dennison Corporation Clear hot melt adhesives
JP2019536831A (ja) * 2016-09-29 2019-12-19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Uv硬化性プライマー用ポリマー組成物
CN107376029A (zh) * 2017-07-17 2017-11-24 江西丰临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医用亲水润滑涂层及其涂制方法
CN109779107A (zh) * 2019-03-08 2019-05-21 广东中煌建筑工程有限公司 节能玻璃幕墙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1058A (en) * 1981-03-30 1984-11-06 Mobil Oil Corporation Heat-sealable laminar thermoplastic films
US4880849A (en) * 1988-03-14 1989-11-14 Ppg Industries, Inc. UV coatings containing chlorinated polyolefins, method of curing, and coated substrates therefrom
US5003023A (en) * 1988-03-31 1991-03-26 Union Carbide Chemicals Olefin 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polyorganosiloxanes and the use thereof in the production of film material and polyorganosiloxanes
GB9112141D0 (en) 1991-06-05 1991-07-24 Ici Resins Bv Aqueous coating compositions
JPH09113728A (ja) * 1995-08-11 1997-05-02 Konica Corp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
US5914073A (en) * 1995-08-11 1999-06-22 Konica Corporation Protective film for polarizing plate
EP0860213A3 (de) * 1997-01-03 2002-10-16 Therapol SA Bioaktive Beschichtung von Oberflächen
JP3857234B2 (ja) * 2001-01-25 2006-12-13 帝人株式会社 改良された水素化スチレン−共役ジエン−スチレンブロック共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140156A1 (de) 2001-08-16 2003-03-20 Basf Coatings Ag Thermisch und mit aktinischer Strahlung härtbare Beschichtungsstoffe und ihre Verwendung
JP4213616B2 (ja) * 2004-03-31 2009-01-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液晶パネル用ベースフィルム、液晶パネル用機能フィルム、機能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機能フィルムの製造装置
KR100601341B1 (ko) * 2004-06-23 2006-07-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이방 도전성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접착필름
US7329465B2 (en) * 2004-10-29 2008-02-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films incorporating cyclic olefin copolymers
US8124215B2 (en) * 2006-03-28 2012-02-28 Nitto Denko Corporation Hard-coated antiglare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optical devic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957B1 (ko) * 2011-04-05 2013-06-12 재단법인 구미전자정보기술원 태양전지 모듈 보호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99876A1 (en) 2009-09-16
KR100939905B1 (ko) 2010-02-03
WO2008082257A9 (en) 2009-08-27
JP4995925B2 (ja) 2012-08-08
TWI361902B (en) 2012-04-11
CN101578342A (zh) 2009-11-11
TW200900725A (en) 2009-01-01
EP2099876B1 (en) 2012-10-24
WO2008082257A1 (en) 2008-07-10
JP2010514894A (ja) 2010-05-06
US20100009151A1 (en) 2010-01-14
CN101578342B (zh) 2012-08-15
EP2099876A4 (en) 2011-09-07
PL2099876T3 (pl) 201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905B1 (ko)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과의 부착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고리형 올레핀계 필름
JP6155329B2 (ja) ハード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
KR102274137B1 (ko)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EP2873995B1 (en) Polarizing plate comprising hard coating film
JP6155334B2 (ja) 積層ハード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
KR101686644B1 (ko) 플라스틱 필름 적층체
EP2873692B1 (en) Hard coating film
EP3144327A1 (en) Resin composition for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same
KR102040796B1 (ko) 위상차 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1496456B1 (ko) 하드코팅필름
KR101475565B1 (ko) 자외선 차단 기능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735690B1 (ko) 편광자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2436845B1 (ko)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KR20140118875A (ko) 편광자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편광판의 제조방법
KR102313377B1 (ko) 눈부심 방지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11029A (ko)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KR20170044964A (ko)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KR20180026184A (ko) 자기 복원 특성을 갖는 코팅 필름
KR102384287B1 (ko) 광학 필름, 광학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600584B1 (ko) 편광자 보호 필름용 수지 조성물
KR20170041058A (ko)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KR20170042054A (ko)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KR20200031223A (ko) 폴리카보네이트 기재 투명 도전체
KR20130010386A (ko)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대전방지 하드코팅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장치
KR20170006511A (ko)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