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4643A - 영상표시장치의 전도방지기구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의 전도방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4643A
KR20080064643A KR1020070001739A KR20070001739A KR20080064643A KR 20080064643 A KR20080064643 A KR 20080064643A KR 1020070001739 A KR1020070001739 A KR 1020070001739A KR 20070001739 A KR20070001739 A KR 20070001739A KR 20080064643 A KR20080064643 A KR 20080064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pad
stand
negati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1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70001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4643A/ko
Publication of KR20080064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46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5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liquid type, e.g. filled with water or g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8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46Rock wool ; Ceramic or silicate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18Trunk or parts thereof
    • A61F2007/0023Wa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39Leg or parts thereof
    • A61F2007/0045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영상표시장치의 전도방지기구는, 저면에 스탠드가 구비되어 직립 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스탠드의 저면에 구비되는 흡착패드와, 흡착패드에 부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압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압발생수단은 흡착패드의 내측에 구비되는 분리형패드와, 분리형패드에 결합되고 스탠드와 흡착패드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작동축과, 작동축을 작동시키고 고정시키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영상표시장치, 스탠드, 패드지지부, 흡착패드, 분리형패드, 작동축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의 전도방지기구{OVERTURN PREVEN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전도방지기구가 설치된 영상표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프레임에서 덮개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전도방지기구가 설치된 스탠드의 단면을 확대 도시한 단면 확대도,
도 4는 도 3의 영상표시장치의 전도방지기구가 바닥에 흡착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도4에서 바닥에 흡착된 영상표시장치의 전도방지기구가 바닥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영상표시장치 20 : 스탠드
21 : 지지프레임 22 : 패드지지부
23 : 덮개 24 : 통공
100 : 흡착패드 110 : 통기공
120 : 테두리 200 : 분리형패드
210 : 삽입공 220 : 단턱
300 : 작동축 310 : 돌기
320 : 나사산 400 : 고정나사
410 : 손잡이 420 : 나사산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형의 영상표시장치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영상표시장치의 전도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로는 음극선관(CRT:Cathode-Ray Tube)를 이용한 장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최근 PDP(Plasma Display Panel)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영상표시장치들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으며 점차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하, PDP 및 LCD는 "박형표시장치"라 총칭한다.
상기 음극선관에 의한 영상표시장치에 비하여 박형표시장치에 의한 영상표시장치는 체적 및 무게가 혁신적으로 줄어들면서 점차 사무용 및 가정용의 컴퓨터 모니터 및 텔레비전 수상기로 그 사용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박형표시장치에 의한 영상표시장치는 그 두께가 음극선관에 비해 현저하게 얇아져서 최근에는 액자와 두께가 같게 되었다. 이에 종래의 음극선관에 의한 영상표시장치가 바닥에 새워진 상태에서 사용되었던 것에 비해 박형표시장치에 의한 영상표시장치는 벽이나 천정에 고정한 후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아직도 스탠드를 부착하여 직립 되도록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상기 음극선관에 의한 영상표시장치의 경우 음극선관의 크기 때문에 영상표시장치의 바닥면적이 화면의 크기에 비례하여 폭과 두께 모두 커지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음극선관에 의한 영상표시장치의 경우에는 바닥에 설치 시 음극선관의 구조상 전도될 위험이 적어 별도의 전도방지기구를 구비하여야 할 필요가 없었다.
그러나 박형표시장치를 사용한 영상표시장치의 경우에는 화면의 크기가 커진다 하여도 PDP와 LCD의 특성상 바닥의 폭은 커지지만 두께에는 큰 변화가 없으므로 별도의 스탠드에 부착되지 않으면 영상표시장치는 자립으로 설치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박형표시장치의 경우 화면의 크기가 점차 대형화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되는 스탠드의 바닥 면적 또한 커지고 있다. 그러나 박형표시장치의 화면이 커진다 하여도 스탠드의 바닥 면적을 폭에 비례하게 크게 하는 것은 공간 활용 상 한계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박형표시장치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의 경우 제한적인 두께의 스탠드에 설치되었으며 그로 인하여 고가의 영상표시장치가 외부의 충격 및 강한 진동에 전도되어 파손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영상표시장치가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과 탈착이 쉽게 이루어지는 영상표시장치의 전도방지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영상표시장치의 전도방지기구는, 저면에 스탠드가 구비되어 직립 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스탠드의 저면에 구비되는 흡착패드와, 흡착패드에 부압(負壓)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압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압발생수단은 흡착패드의 내측에 구비되는 분리형패드와, 분리형패드에 결합되고 스탠드와 흡착패드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작동축과, 작동축을 작동시키고 고정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영상표시장치의 전도방지기구에 대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는 바닥면이 영상표시장치(10)가 전도되지 않을 정도의 폭을 가지며 상부에 지지프레임(21)이 구비된 스탠드(20)에 결합되어 있으며, 지지프레임(21)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덮개(23)를 제거하면 스탠드(20)의 상부에 구비된 지지프레임(21)은 전방이 개방된 'ㄷ'자 형태임을 알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20)의 저면 내측에는 패드지지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패드지지부(22)의 중앙은 작동축(300)이 삽입되도록 통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드지지부(22)의 내측으로는 흡착패드(100)가 삽입되며 흡착패드(100)는 패드지지부(22)에 접하는 부분에 테두리(120)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 중앙에는 통기공(1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착패드(100)의 내측에는 분리형패드(200)가 구비되면 분리형패드(200)는 상부가 흡착패드(100)의 내측 상부에 밀착되도록 상부의 형상이 흡착패드(100)의 내측 상부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분리형패드(200)의 상부 중앙에는 작동축(300)이 삽입되는 삽입공(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공(210)의 내측에는 단턱(2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리형패드(200)의 삽입공(210)에는 작동축(300)이 삽입되며 작동축(300)의 하부에는 작동축(300)의 직경보다 넓은 직경의 테두리(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작동축(300)은 분리형패드(200)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공(210)에 삽입되며 작동축(300)의 하부에 형성된 테두리(120)는 분리형패드(200)의 단턱(220)에 걸려 작동축(300)과 분리형패드(200)가 일체가 된다.
상기 스탠드(20)에 흡착패드(100)가 삽입되고 흡착패드(100)의 통기공(110)과 스탠드(20)의 통공(24) 사이에 분리형패드(200)와 결합된 작동축(300)이 삽입된 후 작동축(3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320)에 체결되도록 나사산(420)이 형성된 고정나사(40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나사(400)는 작동축(300)을 상승시켜 흡착패드(100)에 부압이 형성되도록 하거나 작동축(300)을 하강시켜 흡착패드(100)의 내측에 형성된 부압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고정나사(400)는 육각나사를 사용하거나,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체결이 가능한 나사에 손잡이(410)가 부착된 나비형나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전도방지기구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영상표시장치(10)가 설치된 위치의 바닥에 이물질이 없도록 조치한 후 스탠드(20)를 위치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20)의 상부에 구비된 지지프레임(21)의 전면에서 덮개(23)를 제거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20) 내측에 구비된 흡착패드(100)의 테두리(120)가 바닥에 고르게 접촉되도록 한다.
상기 과정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1)의 내측에 구비된 고정나사(400)를 돌려서 작동축(300)을 스탠드(20) 상부로 상승시킨다.
작동축(300)이 스탠드(20)의 상부로 상승되면서 작동축(300)의 하부와 고정되어 있는 분리형패드(200)는 흡착패드(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통기공(110)을 폐쇄하게 되고 흡착패드(100)는 테두리(120)가 스탠드(20)의 패드지지부(22)에 의해 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부는 작동축(300)에 의해 스탠드(20) 내부로 상승된다. 이로 인해 흡착패드(100)의 내부의 용적이 증가하면서 주변의 기압보다 낮은 부압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스탠드(20)는 흡착패드(100)에 의해서 지면에 밀착되고 이로 인해 영상표시장치(100)는 외부의 충격이나 강한 진동에도 전도되지 않고 설치된 위치에 직립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지지프레임(21)의 전방은 설치시 분리하였던 덮개(23)를 부착함으로 외부에서는 종래의 스탠드(20)와 동일한 형상으로 보이게 하여 설치를 마무리 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하여 사용되던 영상표시장치(10)를 다른 곳으로 옮겨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설치과정과 역순으로 지지프레임(21)의 전방에 부착된 덮개(23)를 분리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나사(400)를 고정 시의 반대방향으로 풀어서 작동축(300)을 스탠드(20)의 내측으로 하강시키면 분리형패드(200)가 작동축(300)과 함께 하강하고 폐쇄되었던 흡착패드(100)의 통기공(110)이 개방된다. 이때, 통기공(110)으로 외기가 유입되어 흡착패드(100)가 바닥에서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흡착패드(100)가 바닥에서 분리되면 영상표시장치(10)를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 흡착패드(100)를 다시금 바닥에 고정하므로 전도가 되지 않도록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영상표시장치의 전도방지기구는 종래의 방식에 비하여 영상표시장치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조작이 간편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물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저면에 스탠드가 구비되어 직립 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의 저면에 구비되는 흡착패드; 와
    상기 흡착패드에 부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압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전도방지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발생수단은,
    상기 흡착패드의 내측에 구비되는 분리형패드와,
    상기 분리형패드에 결합되고 상기 스탠드와 상기 흡착패드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을 작동시키고 고정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전도방지기구.
KR1020070001739A 2007-01-05 2007-01-05 영상표시장치의 전도방지기구 KR200800646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739A KR20080064643A (ko) 2007-01-05 2007-01-05 영상표시장치의 전도방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739A KR20080064643A (ko) 2007-01-05 2007-01-05 영상표시장치의 전도방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643A true KR20080064643A (ko) 2008-07-09

Family

ID=39815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1739A KR20080064643A (ko) 2007-01-05 2007-01-05 영상표시장치의 전도방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46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7759A (zh) * 2019-07-19 2019-10-25 南安市谷隆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负压固定的计算机零售用客户体验放置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7759A (zh) * 2019-07-19 2019-10-25 南安市谷隆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负压固定的计算机零售用客户体验放置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16932B2 (en) Mountable frame for holding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s of mounting frame for holding flat panel display
US6281136B1 (en) Apparatus for etching glass substrate
KR20090109343A (ko) 월 마운트
KR20060098882A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80064643A (ko) 영상표시장치의 전도방지기구
EP1677529A2 (en) Device and method for arranging a flat panel display
JP4988518B2 (ja) 映像表示装置
KR100778217B1 (ko) 영상표시장치의 월 마운트 겸용 스탠드.
JP2007178148A (ja) 薄型表示装置
JP2009105479A (ja) スピーカーユニット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KR101888882B1 (ko)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월 마운트
CN212643951U (zh) 一种显示屛支撑架
KR100730155B1 (ko) 회로기판 장착 구조 및 이를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
KR20040026263A (ko) Pdp 세트의 스탠드 장치
JP4370820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用スタンド
KR20090099290A (ko)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장치
JP4434188B2 (ja) 電子機器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1008637B1 (ko) 영상표시기기의 벽걸이장치
KR20070112589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JP2014089424A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080019476A (ko) 평판 텔레비전의 전도 방지 장치
CN100381969C (zh) 设有可移式后壳体的液晶显示电脑
KR100680985B1 (ko) 텔레비젼의 승강 및 전도 방지장치
KR100589779B1 (ko) 엘씨디 패널용 브래킷
JP2009031624A (ja) 薄型表示装置用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