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882B1 -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월 마운트 - Google Patents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월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882B1
KR101888882B1 KR1020110073353A KR20110073353A KR101888882B1 KR 101888882 B1 KR101888882 B1 KR 101888882B1 KR 1020110073353 A KR1020110073353 A KR 1020110073353A KR 20110073353 A KR20110073353 A KR 20110073353A KR 101888882 B1 KR101888882 B1 KR 101888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ount
flat panel
panel displa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2270A (ko
Inventor
신제환
윤현섭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3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882B1/ko
Publication of KR20130012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월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벽면과의 이격 공간 없이 벽면에 장착될 수 있는,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월 마운트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는, 벽면의 하단에 장착되어 평판표시장치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다운 마운트 모듈; 및 상기 벽면의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상단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업 마운트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월 마운트{FLAT PANEL DISPLAY AND WALL MOUNT FOR THE SAME}
본 발명은 평판표시장치 및 물건을 벽에 고정시킬 수 있는 월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벽에 장착될 수 있는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벽에 고정시킬 수 있는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평판 형태의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FPD)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로는 액정표시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 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d Emission Display Device) 및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평판표시장치들의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연구개발과 더불어, 수요자들에게 보다 어필할 수 있는 디자인적인 측면에서의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특히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평판표시장치의 두께를 최소화(슬림화)하는 방안 및 평판표시장치의 전면에 불필요한 단차가 없도록 하는 보더리스 타입과 같이, 평판표시장치의 외형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평판표시장치의 두께가 슬림화되어 감에 따라 벽면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이용될 수 있는 벽걸이용 평판표시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벽걸이용 평판표시장치를 보다 안전하고 간편하게 벽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월 마운트에 대한 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에 의해 평판표시장치가 벽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걸이용 평판표시장치(10)의 뒷면에 월 마운트(Wall Mount)(20)를 장착한 후, 이 월 마운트를 다시 벽(30)에 고정시킴으로써, 벽걸이용 평판표시장치를 벽에 장착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평판표시장치(10)를 위한 월 마운트(20)는 그 크기(Size)가 크고, 무거워서 고객이 직접 설치하기가 불편하며, 크고 무거움에 따라 제조단가가 상승되어 고객의 비용부담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평판표시장치의 뒷면과 벽면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기 때문에, 그 두께만큼 평판표시장치가 벽면에서 이격되어 돌출된 것으로 보여지며,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평판표시장치가 두껍다고 느끼도록할 뿐만 아니라, 외관상 보이는 디자인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평판표시장치는, 그 뒷면의 중앙부분에 월 마운트가 장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평판표시장치의 중앙부분의 내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부품들이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평판표시장치의 중앙부분을 슬림화하는데는 한계가 있으며, 따라서, 월 마운트(20)를 이용하여 평판표시장치가 벽면에 장착된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표시장치(10)와 벽면(30)과의 사이에는 반드시 이격 공간이 생기게 되어 미관을 해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벽면과의 이격 공간 없이 벽면에 장착될 수 있는,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월 마운트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는, 벽면의 하단에 장착되어 평판표시장치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다운 마운트 모듈; 및 상기 벽면의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상단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업 마운트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운 마운트 모듈 각각은 상기 벽면의 하단에 장착되는 하단지지부; 및 상기 하단지지부를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단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단지지부에는 상기 하단체결부가 관통될 수 있는 하단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단지지부는, 상기 하단체결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하단체결부에 의해 상기 벽면에 고정되는 하단배면지지대; 및 상기 하단배면지지대의 하측 끝단에서 상기 하단배면지지대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그 끝단은 다시 상기 하단배면지지대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저면지지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저면지지대 중 상기 하단배면지지대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부분은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저면을 지지하며, 상기 저면지지대의 끝단에서 상기 하단배면지지대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부분은,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저면에서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상단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업 마운트 모듈 각각은, 상기 벽면의 상단에 장착되는 상단지지부; 및 상기 상단지지부를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상단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지지부에는 상기 상단체결부가 관통될 수 있는 상단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지지부는, 상기 상단체결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상단체결부에 의해 상기 벽면에 고정되는 상단배면지지대; 및 상기 상단배면지지대의 상측 끝단에서 상기 상단배면지지대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평면지지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평면지지대에는 상기 평면지지대를 관통하여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평면에 체결될 수 있는 평면지지 체결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평면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면에 부착되어 상기 다운 마운트 모듈과 상기 업 마운트 모듈이 상기 벽면에 장착될 위치를 표시해 주기 위한 기준위치 표시용 시트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준위치 표시용 시트는, 종이 또는 셀로판지로 형성되는 시트로 형성되며, 상기 시트 상에는 상기 다운 마운트 모듈 및 상기 업 마운트 모듈을 위한 구멍이 뚫려야할 부분을 나타내는 표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준위치 표시용 시트는 상기 벽면에 부착된 후, 상기 업 마운트 모듈 및 상기 다운 마운트 모듈이 상기 벽면에 장착되면, 상기 벽면으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는, 전면, 배면, 평면, 저면, 좌측면 및 우측면으로 구성된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배면과 상기 저면이 만나는 모서리부분에는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되어 있는 상기 다운 마운트 모듈이 체결될 수 있도록 다운 마운트 모듈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면과 상기 평면이 만나는 모서리부분에는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되어 있는 상기 업 마운트 모듈이 체결될 수 있도록 업 마운트 모듈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운 마운트 모듈 체결부는, 상기 배면의 하단에서 움푹파여진 형상으로 되어 있는 하단배면홈; 및 상기 저면에서 상기 하단배면홈과 연속되게 움푹파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저면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저면홈에는 상기 다운 마운트 모듈의 끝단이 상기 저면에 수직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저면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업 마운트 모듈 체결부는, 상기 배면의 상단에서 움푹파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단배면홈; 및 상기 평면에서 상기 상단배면홈과 연속되게 움푹파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평면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평면홈에는 상기 업 마운트 모듈에 형성되어 있는 평면홀과 연속되게 형성되어 있는 평면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평면홀과 상기 평면삽입홈을 관통하는 평면지지 체결부에 의해 상기 업 마운트 모듈이 상기 업 마운트 모두 체결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해결 수단에 따라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벽면과의 이격 공간 없이 평판표시장치가 벽면에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벽걸이용 평판표시장치의 디자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고 경량화된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평판표시장치를 벽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월 마운트의 구매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에 의해 평판표시장치가 벽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에 의해 벽면과의 이격 공간 없이 벽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의 기준위치 표시용 시트가 벽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의 업 마운트 모듈과 다운 마운트 모듈이 기준위치 표시용 시트를 통해 벽면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의 업 마운트 모듈과 다운 마운트 모듈이 기준위치 표시용 시트를 통해 벽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가 벽면에 장착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와 체결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가 벽면에 장착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와 체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를 벽면의 뒷쪽에서 투시한 상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A영역을 상세히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B영역을 상세히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에 의해 벽면과의 이격 공간 없이 벽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100)는 벽면에 장착된 상태로 시청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것으로서,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전계 방출 표시 장치 또는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등으로 제작된 텔레비젼(TV)이 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광고 출력을 목적으로한 표시장치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300)과의 이격 공간 없이 벽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는 미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가 이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를 이용하여 평판표시장치(100)를 벽면(300)에 장착시키는 과정이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의 기준위치 표시용 시트가 벽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의 업 마운트 모듈과 다운 마운트 모듈이 기준위치 표시용 시트를 통해 벽면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의 업 마운트 모듈과 다운 마운트 모듈이 기준위치 표시용 시트를 통해 벽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가 벽면에 장착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와 체결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가 벽면에 장착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와 체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를 벽면(30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기준위치 표시용 시트(400)를 벽면(300)에 부착하여야 한다.
여기서, 기준위치 표시용 시트(400)는, 사용자가 벽면상에서의 평판표시장치의 거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이와 같이 얇은 재질로 되어 있는 시트(410) 및 시트 상에서 구멍이 뚫려야할 부분을 나타내고 있는 표시(420)를 포함하고 있다.
즉, 시트(410)는 일단 벽면(300)에 부착되었다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가 벽면에 부착된 후, 벽면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으로서, 가격과 휴대 등을 고려하여 종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외에도, 셀로판지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표시(420)는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의 업 마운트 모듈 및 다운 마운트 모듈이 벽면에 부착되어야할 위치를 시트(410)상에 표시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 마운트 모듈 및 다운 마운트 모듈의 형상 및 구멍이 뚫려야할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평판표시장치를 벽면(300)에 장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평판표시장치 또는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와 함께 제공된 기준위치 표시용 시트(40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이 원하는 벽면의 특정 위치에 우선적으로 부착해야 한다.
이후, 사용자는 표시(420) 상의 구멍 위치에 드릴 등을 이용하여 구멍을 뚫는다. 따라서, 벽면(300)에는 기준위치 표시용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구멍이 뚫리게 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기준위치 표시용 시트(400)는 평판표시장치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실물 SIZE(사진 형식 일수 있음)의 시트(410)로 형성되어, 고객이 평판표시장치가 장착될 벽면의 위치를 혼자서도 쉽게 찾을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시트(410)에는 마운트 모듈이 장착될 위치가 표시(420)가 표시되어 있다.
한편, 도 3에는 하나의 평판표시장치에 대응되는 표시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의 평판표시장치에 대응될 수 있도록, 복수의 표시(420)들이 표시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는 평판표시장치와 함께 제공되기 때문에, 하나의 평판표시장치와 대응하는 표시(420)만이 시트(410)에 표시되어 있으면 되지만,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는 경우에 따라서는 다양한 크기의 평판표시장치에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시트(410) 상에는 다양한 크기의 평판표시장치를 고려한 복수의 표시(420)들이 표시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200)의 업 마운트 모듈(210) 및 다운 마운트 모듈(220)을 벽면(300)에 부착시킨다.
여기서, 업 마운트 모듈(210)은, 벽면의 상단에 장착되어 평판표시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상단지지부(213) 및 상단지지부를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상단체결부(211)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단지지부(213)에는 상단체결부(211)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단체결홀(2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운 마운트 모듈(220)은, 벽면의 하단에 장착되어 평판표시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하단지지부(223) 및 하단지지부를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단체결부(221)를 포함하고 있으며, 하단지지부(223)에는 하단체결부(221)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하단체결홀(2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업 마운트 모듈(210)이 두 개이고, 다운 마운트 모듈(220)이 두 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200)는 두 개 이상의 업 마운트 모듈 또는 두 개 이상의 다운 마운트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벽면에는 표시(420)의 구멍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이 뚫려져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단체결홀(212) 또는 하단체결홀(222)을 상기 구멍에 맞춘 상태에서, 상단체결부(211) 또는 하단체결부(221)를 상기 구멍에 삽입하여, 상단지지부(213) 또는 하단지지부(223)가 벽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업 마운트 모듈(210) 및 다운 마운트 모듈(220)을 벽면에 고정시킨 후, 기준위치 표시용 시트(400)를 벽면으로부터 제거한다.
즉, 기준위치 표시용 시트(400)는 업 마운트 모듈(210) 및 다운 마운트 모듈(220)이 벽면에 위치해야할 위치를 사용자에게 정확하게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과정들을 통해 업 마운트 모듈 및 다운 마운트 모듈이 벽면에 장착된 후에는, 벽면으로부터 제거된다.
따라서, 기준위치 표시용 시트(4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값이 저렴하고 폐기 처분이 용이한 종이 또는 셀로판지 등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기준위치 표시용 시트(4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업 마운트 모듈 및 다운 마운트 모듈을 벽면의 정확한 위치에 혼자서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렴하고 가벼운 종이재질의 기준위치 표시용 시트(400)를 이용하고 있으며, 크기가 작고 경량화된 업 마운트 모듈(210) 및 다운 마운트 모듈(220)을 이용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준위치 표시용 시트(400)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기준위치 표시용 시트(400)는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와 함께 2매 이상 제공될 수 있다.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100)를 벽면(300)에 장착되어 있는 두 개의 업 마운트 모듈(210) 및 두 개의 다운 마운트 모듈(220)에 체결시킨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100) 중 업 마운트 모듈(210)과 대응되는 상단부 모서리에는 업 마운트 모듈 체결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운 마운트 모듈(220)과 대응되는 하단부 모서리에는 미도시된 다운 마운트 모듈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는, 전면, 배면, 평면, 저면, 좌측면 및 우측면으로 구성된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영상을 출력하고, 배면과 저면이 만나는 하단부 모서리부분에는 다운 마운트 모듈이 체결될 수 있도록 다운 마운트 모듈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과 평면이 만나는 상단부 모서리부분에는 업 마운트 모듈이 체결될 수 있도록 업 마운트 모듈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마지막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100)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200)와 체결되면, 평판표시장치(100)는 벽면(300)과의 이격 공간이 없는 상태로, 벽면(300)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즉, 업 마운트 모듈(210)은 평판표시장치(100)의 상단부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는 업 마운트 모듈 체결부(110)에 체결되고, 다운 마운트 모듈(220)은 평판표시장치의 하단부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는 다운 마운트 모듈 체결부에 체결됨으로써, 평판표시장치의 뒷면에는 어떠한 구조물도 돌출되어 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평판표시장치의 뒷면과 벽면은 어떠한 이격 공간도 없이 밀착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를 벽면의 뒷쪽에서 투시한 상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200)에 의해 이격 공간이 없는 상태로 벽면(30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도 8은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200)와 평판표시장치(100)의 체결 상태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벽면(300) 쪽에서 평판표시장치의 뒷면을 투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8은 도 7과 같이 평판표시장치(100)가 벽면(30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벽면(300) 쪽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중, 다운 마운트 모듈(220)과 다운 마운트 모듈 체결부가 체결되어 있는 A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다운 마운트 모듈(220)과 다운 마운트 모듈 체결부가 체결되어 있는 A부분을 먼저 설명하고자 하는 이유는, 도 6에서 평판표시장치를 업 마운트 모듈과 다운 마운트 모듈에 체결할 때, 다운 마운트 모듈(220)과 다운 마운트 모듈 체결부가 먼저 체결되기 때문이다.
즉, 다운 마운트 모듈(220)은 평판표시장치(100)가 바닥면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평판표시장치의 저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우선적으로 평판표시장치의 다운 마운트 모듈 체결부(120)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 마운트 모듈(220)과 체결시켜야 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A영역을 상세히 나타낸 예시도로서, A영역의 다운 마운트 모듈이 평판표시장치와 체결되는 상태(A') 및 체결된 상태(A)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다운 마운트 모듈 체결부(120)는 평판표시장치의 뒷면, 즉, 배면의 하단에서 움푹파여진 형상으로 되어 있는 하단배면홈(121) 및 평판표시장치의 저면에서 하단배면홈과 연속되게 움푹파여진 형상으로 형성 되어 있는 저면홈(1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단배면홈(121)으로는 다운 마운트 모듈의 하단지지부(223)의 하단배면지지대(223a)가 삽입되며, 저면홈(122)으로는 하단지지부(223)의 저면지지대(223b)가 삽입된다.
또한, 다운 마운트 모듈 체결부(120)와 체결되는 다운 마운트 모듈(220)의 하단지지부(22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배면지지대(223a)와 저면지지대(223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특히, 저면지지대(223b)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표시장치의 저면을 감싼 상태에서 저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저면홈(122)에 형성되어 있는 저면삽입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갈고리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9에서 도면번호로 표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저면홈(122)에는 하단지지부(223)의 끝단, 즉, 하단배면지지대(223a)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저면지지대(223b)의 끝단이 평판표시장치의 저면에 수직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저면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단지지부(223)는, 하단체결홀(222)이 형성되어 있어서 하단체결부(221)에 의해 상기 벽면에 고정되는 하단배면지지대(223a) 및 하단배면지지대의 하측 끝단에서 하단배면지지대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그 끝단은 다시 하단배면지지대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저면지지대(223b)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저면지지대(223b) 중 상기 하단배면지지대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부분은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저면을 지지하며, 상기 저면지지대의 끝단에서 상기 하단배면지지대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부분은 저면삽입홈을 통해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저면에서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상단방향으로 삽입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운 마운트 모듈(220)의 하단지지부(223)는 하단배면지지대(223a)와 저면지지대(223b)가 전체적으로 갈고리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평판표시장치의 저면을 감싸 평판표시장치의 하중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평판표시장치의 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저면홈(122)에 삽입됨으로써, 평판표시장치가 벽면의 앞쪽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두 개의 다운 마운트 모듈의 하단지지부(223)들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벽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평판표시장치의 다운 마운트 모듈 체결부(120)에 삽입되며, 이때, 하단지지부의 저면지지대(223b)가 평판표시장치의 저면을 지지하여 평판표시장치가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한편, 평판표시장치의 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저면홈(122)에 형성된 저면삽입홀에 삽입됨으로써, 평판표시장치가 벽면의 앞쪽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다운 마운트 모듈의 하단지지부(223)는 상기한 바와 같이 평판표시장치의 배면과 저면에 움푹파여진 형상으로 형성된 다운 마운트 모듈 체결부(120)에 삽입됨으로써, 외관상으로 평판표시장치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평판표시장치와 벽면 사이에는 어떠한 이격 공간도 존재하지 않게 된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B영역을 상세히 나타낸 예시도로서, B영역의 업 마운트 모듈이 평판표시장치와 체결되는 상태(B') 및 체결된 상태(B)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8은 도 7과 같이 평판표시장치(100)가 벽면(30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벽면(300) 쪽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중, 업 마운트 모듈(210)과 업 마운트 모듈 체결부(110)가 체결되어 있는 B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업 마운트 모듈(210)과 업 마운트 모듈 체결부(110)가 체결되어 있는 B부분을 A부분 다음으로 설명하는 이유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도 6에서 평판표시장치를 업 마운트 모듈과 다운 마운트 모듈에 체결할 때, 업 마운트 모듈과 업 마운트 모듈 체결부가 마지막으로 체결되기 때문이다.
즉, 업 마운트 모듈(210)은 평판표시장치(100)가 벽면(300)의 앞쪽 방향으로 기울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운 마운트 모듈(220)과 같이 평판표시장치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우선적으로 다운 마운트 모듈 체결부(120)에 다운 마운트 모듈(220)을 장착하여 평판표시장치가 지지되도록 하며, 최종적으로 업 마운트 모듈 체결부(110)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 마운트 모듈(210)과 체결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업 마운트 모듈 체결부(110)는 평판표시장치의 뒷면, 즉, 배면의 상단부 모서리에서 움푹파여진 형상으로 되어 있는 상단배면홈(111) 및 평판표시장치의 평면에서 상단배면홈과 연속되게 움푹파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평면홈(112)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업 마운트 모듈(210)의 상단지지부(113)은 상단배면지지대(213a) 및 평면지지대(213b)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단배면홈(111)으로는 업 마운트 모듈의 상단지지부(213)의 상단배면지지대(213a)가 삽입되며, 평면홈(112)으로는 상단지지부(213)의 평면지지대(213b)가 삽입된다. 또한, 평면홈(112)에는 업 마운트 모듈에 형성되어 있는 평면홀(215)과 연속되게 형성되어 있는 평면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평면홀과 평면삽입홈을 관통하는 평면지지 체결부(214)에 의해 상단지지부(213)가 업 마운트 모듈 체결부(110)에 체결될 수 있다.
평면지지대(213b)에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홈(112)에 형성된 평면삽입홈과 연장선상에 위치되어 있는 평면홀(215)이 형성되어 있으며, 평면홀(215)로는 평면지지 체결부(214)가 삽입되어, 평판표시장치와 체결된다.
즉, 업 마운트 모듈(210)은, 벽면의 상단에 장착되는 상단지지부(213) 및 상단지지부를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상단체결부(211)를 포함하며, 상단지지부에는 상단체결부가 관통될 수 있는 상단체결홀(2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업 마운트 모듈(210)은 평판표시장치(100)가 벽면 앞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 것으로서, 이를 위해, 업 마운트 모듈(210)의 상단지지부(213)의 평면지지대(213b)에 형성된 평면홀(215)로 평면지지 체결부(214)가 삽입되어 평판표시장치와 체결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기본적으로 업 마운트 모듈(210)의 상단지지부(213)는 상단체결부(211)에 의해 벽면(300)에 고정되어 있으며, 다운 마운트 모듈(220)에 의해 평판표시장치가 지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단지지부(213)의 평면지지대(213b)를 관통하는 평면지지 체결부(214)에 의해 평판표시장치의 평면과 체결됨으로써, 평판표시장치의 상단부분은 벽면의 앞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두 개의 업 마운트 모듈의 상단지지부(213)는 상기한 바와 같이 평판표시장치의 상단부 모서리의 배면과 평면에 움푹파여진 형상으로 형성된 업 마운트 모듈 체결부(110)에 삽입됨으로써, 외관상으로 평판표시장치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평판표시장치와 벽면 사이에는 어떠한 간격도 이격 공간도 존재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평판표시장치(100)가 벽면(300)과의 이격 공간 없이 벽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설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는 상단 체결홀(212)과 하단 체결홀(222)이 업 마운트 모듈과 다운 마운트 모듈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단 체결홀(212) 및 하단 체결홀(222)은 각각 두 개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단 체결부(211) 및 하단 체결부(221) 역시, 상단 체결홀 및 하단 체결홀의 숫자만큼 구비될 수 있다.
즉, 다운 마운트 모듈 또는 업 마운트 모듈을 벽면에 체결할 때, 하나의 체결부만이 이용되면, 다운 마운트 모듈 또는 업 마운트 모듈이 회전(Rotation)되어 그 위치가 변동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은 체결부와 체결홀을 각각 두 개이상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체결부가 다운 마운트 모듈과 업 마운트 모듈에 각각 구비된 경우, 하나는 핀으로 사용되어 다운 마운트 모듈 또는 업 마운트 모듈의 위치를 고정하는 회전(Rotation) 방지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나머지 하나는 스크류(Screw) 형태로 구성되어 실질적으로 벽면에 고정되는 형태로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다운 마운트 모듈과 업 마운트 모듈을 평판표시장치에 체결하기 위한 방법이 다른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다운 마운트 모듈 및 업 마운트 모듈은, 상기에서 다운 마운트 모듈과 업 마운트 모듈을 평판표시장치에 체결하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방법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에서는 다운 마운트 모듈만이 후크(Hook) 형태로 구성되어, 평판표시장치의 하단(저면)에서 평판표시장치의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업 마운트 모듈 역시 그 끝단이 후크(Hook) 형태로 구성되어, 평판표시장치의 상단(평면)에서 그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업 마운트 모듈만이 평면지지 체결부(214)에 의해 평판표시장치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운 마운트 모듈 역시 평면지지 체결부(214)와 같은 형태의 저면지지 체결부에 의해 평판표시장치에 고정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에서 다운 마운트 모듈에 적용되는 후크 형태의 체결방식은 체결이 쉽고, 비용(Cost)도 저렴하기 때문에, 간편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이지만, 보다 더 안전한 체결방법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업 마운트 모듈에서와 같은 평면지지 체결부(214)가 다운 마운트 모듈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평판표시장치 110 : 업 마운트 모듈 체결부
111 : 상단 배면홈 112 : 평면홈
120 : 다운 마운트 모듈 체결부 121 : 하단 배면홈
122 : 저면홈 200 :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
210 : 업 마운트 모듈 211 : 상단 체결부
212 : 상단 체결홀 213 : 상단 지지부
213a : 상단 배면 지지대 213b : 평면 지지대
214 : 평면지지 체결부 215 : 평면홀
220 : 다운 마운트 모듈 221 : 하단 체결부
222 : 하단 체결홀 223 : 하단 지지부
223a : 하단 배면 지지대 223b : 저면 지지대
300 : 벽면 400 : 기준위치 표시용 시트
410 : 시트 420 : 표시

Claims (15)

  1. 벽면의 하단에 장착되어 평판표시장치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다운 마운트 모듈; 및
    상기 벽면의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상단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업 마운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다운 마운트 모듈 각각은
    상기 벽면의 하단에 장착되는 하단지지부; 및
    상기 하단지지부를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단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지지부는,
    상기 하단체결부에 의해 상기 벽면에 고정되는 하단배면지지대; 및
    상기 하단배면지지대의 하측 끝단에서 상기 하단배면지지대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그 끝단은 다시 상기 하단배면지지대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저면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저면지지대 중 상기 하단배면지지대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부분은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저면을 지지하며,
    상기 저면지지대의 끝단에서 상기 하단배면지지대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부분은,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저면에서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상단방향으로 삽입되는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지지부에는 상기 하단체결부가 관통될 수 있는 하단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배면지지대에는 상기 하단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 마운트 모듈 각각은,
    상기 벽면의 상단에 장착되는 상단지지부; 및
    상기 상단지지부를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상단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지지부에는 상기 상단체결부가 관통될 수 있는 상단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지지부는,
    상기 상단체결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상단체결부에 의해 상기 벽면에 고정되는 상단배면지지대; 및
    상기 상단배면지지대의 상측 끝단에서 상기 상단배면지지대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평면지지대를 포함하는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지지대에는 상기 평면지지대를 관통하여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평면에 체결될 수 있는 평면지지 체결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평면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에 부착되어 상기 다운 마운트 모듈과 상기 업 마운트 모듈이 상기 벽면에 장착될 위치를 표시해 주기 위한 기준위치 표시용 시트를 더 포함하는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위치 표시용 시트는,
    종이 또는 셀로판지로 형성되는 시트로 형성되며, 상기 시트 상에는 상기 다운 마운트 모듈 및 상기 업 마운트 모듈을 위한 구멍이 뚫려야할 부분을 나타내는 표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위치 표시용 시트는 상기 벽면에 부착된 후, 상기 업 마운트 모듈 및 상기 다운 마운트 모듈이 상기 벽면에 장착되면, 상기 벽면으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용 월 마운트.
  11. 전면, 배면, 평면, 저면, 좌측면 및 우측면으로 구성된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배면과 상기 저면이 만나는 모서리부분에는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되어 있는 상기 다운 마운트 모듈이 체결될 수 있도록 다운 마운트 모듈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면과 상기 평면이 만나는 모서리부분에는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되어 있는 상기 업 마운트 모듈이 체결될 수 있도록 업 마운트 모듈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 마운트 모듈 체결부는,
    상기 배면의 하단에서 움푹파여진 형상으로 되어 있는 하단배면홈; 및
    상기 저면에서 상기 하단배면홈과 연속되게 움푹파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저면홈을 포함하는 평판표시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홈에는 상기 다운 마운트 모듈의 끝단이 상기 저면에 수직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저면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업 마운트 모듈 체결부는,
    상기 배면의 상단에서 움푹파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단배면홈; 및
    상기 평면에서 상기 상단배면홈과 연속되게 움푹파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평면홈을 포함하는 평판표시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홈에는 상기 업 마운트 모듈에 형성되어 있는 평면홀과 연속되게 형성되어 있는 평면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평면홀과 상기 평면삽입홈을 관통하는 평면지지 체결부에 의해 상기 업 마운트 모듈이 상기 업 마운트 모두 체결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KR1020110073353A 2011-07-25 2011-07-25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월 마운트 KR101888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353A KR101888882B1 (ko) 2011-07-25 2011-07-25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월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353A KR101888882B1 (ko) 2011-07-25 2011-07-25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월 마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270A KR20130012270A (ko) 2013-02-04
KR101888882B1 true KR101888882B1 (ko) 2018-08-16

Family

ID=47893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353A KR101888882B1 (ko) 2011-07-25 2011-07-25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월 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978B1 (ko) 2014-04-02 2021-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214298B1 (ko) 2016-10-06 2021-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75623B1 (ko) * 2018-11-30 2023-09-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926Y1 (ko) * 2003-06-30 2003-09-2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평면형 디스플레이장치의 벽면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2898A (ja) * 1997-04-18 1998-11-04 Fujitsu General Ltd 壁際スタンド装置
WO2005023051A2 (en) * 2003-08-26 2005-03-17 Thomson Licensing Visual display wall mounting apparatus
KR200385555Y1 (ko) * 2005-03-10 2005-05-31 전운광 다목적 모니터 지지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926Y1 (ko) * 2003-06-30 2003-09-2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평면형 디스플레이장치의 벽면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270A (ko) 2013-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7257B2 (en) Liquid crystal module and display device
EP1777955A2 (en) Panel type television and LCD television
US20130148324A1 (en) Touch-enabled video wall support system, apparatus, and method
CN101221309A (zh) 触控式显示装置
US20080089019A1 (en) Flat panel display with detachable base
US9320157B2 (en) Display device
KR101888882B1 (ko)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월 마운트
KR102174478B1 (ko) 표시 장치
US8162278B2 (en) Mount structure
WO2014089878A1 (zh) 液晶显示模组及其组装方法
US20060077623A1 (en) Display device
KR101014730B1 (ko) 디스플레이장치
US20210345499A1 (en) Display device
JP6557869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に用いられる背面板
CN103730063B (zh) 支架以及具有该支架的显示装置
US7819372B2 (en) Display and detachable base assembly thereof
US11920724B2 (en) Electronic apparatus
JP2012150371A (ja) 画像表示装置
US20100320886A1 (en) Display Device
US9612387B2 (en)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CN202533677U (zh) 显示装置
US9122099B2 (en)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2063218A (zh) 触控式显示装置
JP2011170382A (ja) 表示装置
KR20130064248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부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