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4265A - Panic assist booster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Panic assist booster for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4265A
KR20080064265A KR1020070000980A KR20070000980A KR20080064265A KR 20080064265 A KR20080064265 A KR 20080064265A KR 1020070000980 A KR1020070000980 A KR 1020070000980A KR 20070000980 A KR20070000980 A KR 20070000980A KR 20080064265 A KR20080064265 A KR 20080064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alve
plunger
sleeve
ball bearing
powe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9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보
김병수
Original Assignee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0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4265A/en
Publication of KR20080064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42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4Installation of lines or cables on walls, ceilings or floors by means of insul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8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receiving utility lines, e.g. cables,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4Sealing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A panic-assist booster for a vehicle is provided to simplify assembling work by forming a plunger return member with elasticity between a plunger and an air valve. A panic-assist booster for a vehicle including a reaction disk(14) equipped at an end of a reaction rod(13) and a power piston(2) penetrating into an air valve(5) comprises as follows. A retainer(16) is formed toward a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valve. A plunger(22) is equipped with a plunger groove(22a) and a reaction gap(23). A ball bearing(17) is equipped with an air valve hole(5a) formed in one side of the air valve. A sleeve spring(11) is equipped between a sleeve(15) and the power piston. An adjacent spring(12) is equipped between the sleeve and the air valve. In addition, a plunger return member(31) is equipped between the air valve and plunger.

Description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Panic Assist Booster for Vehicles}Panic Assist Booster for Vehicle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의 배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wer boosting device for a panic assist boos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의 "A" 확대 단면도,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A" of FIG.

도 3 및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배력 장치의 정상 상태와 패닉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3 and 4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normal state and a panic state of a panic assist booster power boos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의 배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5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wer supply apparatus of a panic assist boos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B" 확대 단면도,FIG. 6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B” of FIG. 5;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배력 장치의 정상 상태와 패닉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7 and 8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normal state and a panic state of a panic assist booster power boo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배력 장치의 패닉 작동시 부품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9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state during the panic operation of the panic assist booster power boo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C" 확대 단면도,FIG. 10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C” of FIG. 9;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배력 장치의 정상 상태와 패닉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11 and 12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normal state and a panic state of a panic assist booster power boos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2 : 파워 피스톤1: car panic assist booster 2: power piston

3 : 클립 4 : 푸시 로드3: clip 4: push rod

5 : 에어 밸브 6 : 리어 베어링5: air valve 6: rear bearing

7 : 클립과 파워 피스톤 접촉부 7: clip and power piston contact

8 : 클립과 에어 밸브 접촉부8: Clip and air valve contact

9 : 다이아프램 10 : 서포트 플레이트9: diaphragm 10: support plate

11 : 슬리브 스프링 12 : 인접 스프링11: sleeve spring 12: adjacent spring

13 : 리액션 로드 14 : 리액션 디스크13: reaction load 14: reaction disc

15 : 슬리브 16 : 리테이너15 sleeve 16 retainer

17 : 볼 베어링 18 : 볼 베어링 홈17: ball bearing 18: ball bearing groove

19 : 에어 밸브에 구비된 플런저 후퇴 공간19: plunger retraction space provided in the air valve

20 : 플로팅 컨트롤 밸브20: floating control valve

21 : 플런저에 구비된 볼 베어링용 홈 22 : 플런저21: Ball bearing groove provided in the plunger 22: Plunger

22a: 플런저 홈 23 : 리액션 갭22a: Plunger Groove 23: Reaction Gap

24 : 에어 밸브에 구비된 볼베어링용 홀 25 : 컨트롤 밸브 스프링24: Ball bearing hole provided in the air valve 25: Control valve spring

31 : 플런저 리턴용 부재 41 : 플런저 리턴 스프링31: plunger return member 41: plunger return spring

42 : 플런저 리턴 스프링 지지부42: plunger return spring suppor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에 관한 것으로, 플런저와 에어 밸브 사이에 탄성을 지닌 플런저 리턴용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조립 공정을 간편하게 하여 작업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제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panic assist booster, comprising an elastic plunger return member between the plunger and the air valve to simplify the assembly process and increase workability as well as to improve product performance. It is about assist booster.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중 차속을 감속(減速)하거나, 정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제동장치가 마련되어 있다.In general, a vehicle is provided with a braking device that serves to slow down or stop the vehicle speed during driving.

상기한 제동장치는 크게 기관의 동력에 의해 발생되는 진공압(기관 흡입압)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페달(B/P)의 답력을 배가(倍加)시켜 주는 부스터(booster)와, 상기 부스터에 의해 배가된 압력에 따라 브레이크 회로에 브레이크 오일 유압을 형성시키는 마스터 실린더(master cylinder)와, 브레이크 오일 압력에 의해 휠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거나 정지시키는 휠 실린더(wheel cylinder)로 구성되어 있다.The braking device includes a booster that doubles the pedaling force of the brake pedal B / P by using a vacuum pressure (engine suction pressure) generated by the power of the engine, and is doubled by the booster. It is composed of a master cylinder for forming the brake oil hydraulic pressure in the brake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and a wheel cylinder for slowing or stopp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wheel by the brake oil pressure.

여기서 상기 부스터는 엔진 흡입 매니폴드의 부압을 이용하는 진공식과 엔진으로 구동되는 압축기(compressor)로부터 제공되는 압력을 이용하는 공기식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소형 차령에는 진공식이 많이 사용된다.The booster may be a vacuum type using a negative pressure of an engine intake manifold and an air type using a pressure provided from a compressor driven by an engine, and a vacuum type is generally used for a small vehic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의 배력 장치를 개 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 확대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배력 장치의 정상 상태와 패닉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wer boosting device for a vehicle panic assist boos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A" of FIG. 1, and FIGS. 3 and 4 are panic assist booster boosting devic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eady state and a panic state of a.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100)는 푸시 로드(104), 에어 밸브(105), 다이아프램(109), 서포트 플레이트(110), 파워 피스톤(102), 슬리브(115), 리테이너(116), 볼 베어링(117), 리액션 로드(113), 리액션 디스크(114), 그리고 플런저 리턴 스프링(126) 등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vehicle panic assist booster 100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 push rod 104, air valve 105, diaphragm 109, support plate 110, power piston 102, Sleeve 115, retainer 116, ball bearing 117, reaction rod 113, reaction disk 114, plunger return spring 126, and the like.

상기 다이아프램(109)은 전·후방 셀(미도시)이 밀폐 결합된 내부를 전·후방 정·변압실(미도시)로 구획하고, 그 중앙부에 서포트 플레이트(110)가 구비되며, 전·후방챔버(미도시)로의 진공 또는 대기의 연통을 제어하는 에어 밸브(105)는 상기 푸시 로드(104) 및 브레이크 패달(B/P)에 의해 연동한다.The diaphragm 109 divides the insid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cells (not shown) are hermetically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positive and transformer chambers (not shown), and the support plate 110 is provided at the center thereof. The air valve 105 which controls the communication of vacuum or atmosphere to the rear chamber (not shown) is interlocked by the push rod 104 and the brake pedal B / P.

또한, 상기 리액션 로드(113) 단부가 상기 파워 피스톤(102) 접촉하여 상기 파워 피스톤(102) 변위의 힘을 리액션 디스크(114)가 받게 된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reaction rod 113 is in contact with the power piston 102, the reaction disk 114 receives the force of the displacement of the power piston 102.

여기서,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100)의 내부 구조는, 상기 푸시 로드(104)의 작동으로부터 전·후로 움직이고, 일측으로부터 소정 위치에 홀(105a)이 형성된 에어 밸브(105)와, 상기 에어 밸브(105)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볼 베어링용 홈(118)이 형성되고 일측 단면에 소정 깊이의 플런저 리턴 스프링용 홈(128)이 형성된 플런저(122)와, 상기 플런저(122)의 볼 베어링 용 홈(118)에 구비되는 볼 베 어링(117)과, 상기 에어 밸브(105)의 외주면 일측 소정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리테이너(116)와, 상기 에어 밸브(105) 및 리테이너(116)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볼 베어링(117)이 이탈되도록 구비되는 슬리브(115)를 포함한다.Her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vehicle panic assist booster 100 is moved back and forth from the operation of the push rod 104, the air valve 105, the hole 105a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from one side, and the air valve A plunger 122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105 and having a ball bearing groove 118 formed therein and a plunger return spring groove 128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t one end surface thereof, and a ball bearing groove of the plunger 122. 118 is provided between the ball bearing 117, the retainer 116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valve 105, and between the air valve 105 and the retainer 116 And a sleeve 115 provided so that the ball bearing 117 is separated.

그리고, 상기 슬리브(115)와 상기 파워 피스톤(102) 사이에 슬리브 스프링(111)이 구비되어 상기 슬리브(115)를 지지하고, 상기 슬리브(115)와 상기 에어 밸브(105) 사이에 인접 스프링(112)이 구비된다.In addition, a sleeve spring 111 is provided between the sleeve 115 and the power piston 102 to support the sleeve 115, and an adjacent spring between the sleeve 115 and the air valve 105. 112 is provided.

또한, 상기 플런저(122) 및 상기 에어 밸브(105) 내측면 사이에 상기 플런저(122)를 상기 에어 밸브(105) 안쪽으로 밀어내도록 구비된 플런저 리턴 스프링(126)이 구비된다. In addition, a plunger return spring 126 is provided between the plunger 12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air valve 105 to push the plunger 122 into the air valve 105.

여기서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100)는 급제동시 상기 푸시 로드(104)가 상기 에어 밸브(105)를 순간적으로 빠르게 전진시키고, 상대적으로 상기 파워 피스톤(102)은 이동하지 않는다.Here, in the vehicle panic assist booster 100, the push rod 104 momentarily rapidly advances the air valve 105 during braking, and the power piston 102 does not move relatively.

이때, 상기 슬리브 스프링(111)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슬리브(115)와 상기 에어 밸브(105)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에어 밸브(105)의 홀(105a)에 구비되는 볼 베어링(117)이 상기 리액션 디스크(114)의 반력에 의한 상기 플런저(122)의 외측면으로 가하는 힘에 의해 상기 슬리브(115)에 구비된 볼 베어링용 홈(118)으로 빠져나가면서 상기 플런저(122)가 상기 에어 밸브(105) 및 상기 플런저(122)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리액션 갭(123)이 증대되어 급제동에 필요한 출력을 생성한다.At this time, as the sleeve 115 supported by the sleeve spring 111 and the air valve 105 move, the ball bearing 117 provided in the hole 105a of the air valve 105 is the The plunger 122 exits the ball valve groove 118 provided in the sleeve 115 by a forc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lunger 122 by the reaction force of the reaction disk 114. The reaction gap 123 increases as it moves into the space between 105 and the plunger 122 to produce the output required for rapid braking.

그리고, 브레이크 해제시 상기 플런저(122)가 초기 위치로 복원되어야 하고, 이때 상기 플런저(122)를 상기 에어 밸브(105) 안쪽으로부터 밀어내기 위한플런저 리턴 스프링(126)이 상기 플런저(122)의 플런저 리턴 스프링용 홈(128)에 삽입된다.In addition, when the brake is released, the plunger 122 should be restored to an initial position, and at this time, a plunger return spring 126 for pushing the plunger 122 from the inside of the air valve 105 is provided with a plunger of the plunger 122. I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28 for the return spring.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어셈블리(100)의 내부 구조는 급제동시 상기 푸시 로드(104)가 상기 에어 밸브(105)를 순간적으로 빠르게 전진시키고 상대적으로 상기 파워 피스톤(102)은 움직이지 않는 상태가 된다.However,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vehicle panic assist booster assembly 100 allows the push rod 104 to momentarily rapidly advance the air valve 105 and the power piston 102 does not move relatively during sudden braking. It does not become a state.

이때, 상기 슬리브 스프링(111)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슬리브(115)와 상기 에어 밸브(105)의 홀(105a)에 구비되는 상기 볼 베어링(117)이 상기 리액션 디스크(114)의 반력에 의한 상기 플런저(122)의 외측면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슬리브(115)에 구비된 상기 볼 베어링용 홈(118)으로 빠져 나가면서 상기 플런저(122)가 상기 에어 밸브(105)와 상기 플런저(122)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리액션 갭(123)이 증대되어 출력을 생성하는데, 브레이크 해제시 상기 플런저(122)가 초기 위치로 복원되어야 하고, 상기 플런저(122)를 에어 밸브(105) 안쪽으로부터 밀어내는 기능을 하기 위해 플런저 리턴 스프링(126)을 삽입해야 하는데, 이는 조립시 부품수가 다수여서 조립 공정이 복잡하고 그로 인해 작업 성능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case, the sleeve 115 supported by the sleeve spring 111 and the ball bearing 117 provided in the hole 105a of the air valve 105 are caused by the reaction force of the reaction disk 114. The plunger 122 is moved to the air valve 105 and the plunger 122 while exiting the ball bearing groove 118 provided in the sleeve 115 by a forc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lunger 122. The reaction gap 123 increases as it travels into the space between and generates an output, the plunger 122 must be restored to its initial position upon brake release, and the plunger 122 is moved from inside the air valve 105. The plunger return spring 126 needs to be inserted in order to push out, which has a problem in that the assembly process is complicated due to the large number of parts in assembly and thereby hinders work performanc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플런저와 에어 밸브 사이에 탄성을 지닌 플런저 리턴용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조립 공정을 간편하 게 하여 작업성을 높이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having a plunger return member with elasticity between the plunger and the air valve to simplify the assembly process for workability, improve performance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panic assist boost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액션 로드의 후단에 구비되는 리액션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달과 연동하여 전·후로 작동하는 푸시 로드의 선단과 접하는 에어 밸브가 중앙에 삽입된 파워 피스톤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밸브의 외주면 일측 소정 위치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소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리테이너, 일측 단부는 상기 에어 밸브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그 단부에 소정 깊이의 플런저 홈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리액션 디스크와 소정 간격의 리액션 갭을 형성하는 플런저, 상기 에어 밸브의 일측 소정 위치에 형성된 에어 밸브 홀에 구비되는 볼 베어링, 상기 볼 베어링이 이탈되도록 구비되는 볼 베어링용 홈이 형성된 슬리브, 상기 슬리브를 지지하도록 상기 슬리브와 상기 파워 피스톤 사이에 구비되는 슬리브 스프링, 상기 슬리브 및 상기 에어 밸브 사이에 구비되는 인접 스프링, 그리고 상기 플런저의 플런저 홈에 구비되며, 상기 에어 밸브 및 상기 플런저 사이에 구비된 소정의 탄성력을 지닌 러버 재질의 플런저 리턴 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piston in which a reaction disk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reaction rod and an air valve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push rod operating forward and backward in cooperation with the brake pedal are inserted in the center thereof. A vehicle panic assist booster, comprising: a retainer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on one side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valve, and one end portion is provid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air valve, and a plunger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t an end thereof A groove is formed,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plunger forming a reaction gap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action disk, a ball bearing provided in an air valve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one side of the air valve, and a ball bearing provided to detach the ball bearing. A sleeve having a groove formed therein so as to support the sleeve A sleeve spring provided between the rib and the power piston, an adjacent spring provided between the sleeve and the air valve, and a plunger groove of the plunger, and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provided between the air valve and the plunger. A plunger return member made of rubber is included.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는 리액션 로드의 후단에 구비되는 리액션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달과 연동하여 전·후로 작동하는 푸시 로드의 선단과 접하는 에어 밸브가 중앙에 삽입된 파워 피스톤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밸브의 외주면 일측 소정 위치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소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리테이너, 상기 에어 밸브의 일측 소정 위치에 형성된 에어 밸브 홀에 구비되는 볼 베어링, 상기 볼 베어링이 이탈되도록 구비되는 볼 베어링용 홈이 형성된 슬리브, 상기 슬리브를 지지하도록 상기 슬리브와 상기 파워 피스톤 사이에 구비되는 슬리브 스프링, 상기 슬리브 및 상기 에어 밸브 사이에 구비되는 인접 스프링, 일측 단부는 상기 에어 밸브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외주면 일측 소정위치에 상기 볼 베어링이 구비되도록 볼 베어링 홈이 형성되고, 외주면 타측 소정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단턱지게 돌출형성된 플런저 리턴 스프링 지지부가 형성된 플런저 그리고, 상기 슬리브 및 상기 파워 피스톤 사이에 구비되며 소정의 탄성력을 지닌 플런저 리턴 스프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a vehicle panic includes a reaction disc provided at a rear end of a reaction rod, and a power piston inserted into a center of an air valve in contact with a front end of a push rod operating in front and rear in conjunction with a brake pedal. An assist booster, comprising: a retainer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on one side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valve, a ball bearing provided in an air valve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one side of the air valve, and provided to be detached from the ball bearing Sleeve formed with a groove for ball bearing, sleeve spring provided between the sleeve and the power piston to support the sleeve, adjacent spring provided between the sleeve and the air valve, one end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air valv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one side of the predetermined position A ball bearing groove is formed to have a bearing, a plunger having a plunger return spring support part protrud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plunger return spring provided between the sleeve and the power piston and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의 배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도 5의 "B" 확대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배력 장치의 정상 상태와 패닉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배력 장치의 패닉 작동시 부품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C" 확대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배력 장치의 정상 상태와 패닉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5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wer boosting device for a vehicle panic assist boo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B” of FIG. 5, and FIGS. 7 and 8 a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normal state and a panic state of a panic assist booster power boo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a component during a panic operation of the panic assist booster power boo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C" of FIG. 9, and FIGS. 11 and 12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normal state and a panic state of a panic assist booster power boos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1)는 푸시 로드(4), 에어 밸브(5), 다이아프램(9), 서포트 플레이트(10), 파워 피스톤(2), 슬리브(15), 리테이너(16), 볼 베어링(17), 리액션 로드(13), 리액션 디스크(14), 그리고 플런저 리턴용 스프링(31) 등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vehicle panic assist boost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sh rod 4, an air valve 5, a diaphragm 9, a support plate 10, and a power piston 2. , A sleeve 15, a retainer 16, a ball bearing 17, a reaction rod 13, a reaction disk 14, and a plunger return spring 31.

상기 다이아프램(9)은 전·후방 셀(미도시)이 밀폐 결합된 내부를 전·후방 정·변압실(미도시)로 구획하고, 그 중앙부에 서포트 플레이트(10)가 구비되며, 전·후방챔버(미도시)로의 진공 또는 대기의 연통을 제어하는 에어 밸브(5)는 상기 푸시 로드(4) 및 브레이크 패달(B/P)에 의해 연동한다.The diaphragm 9 divides the insid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cells (not shown) are hermetically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positive and transformer chambers (not shown), and the support plate 10 is provided at the center thereof. The air valve 5 which controls the communication of vacuum or atmosphere to the rear chamber (not shown) is interlocked by the push rod 4 and the brake pedal B / P.

또한, 상기 리액션 로드(13) 단부가 상기 파워 피스톤(2) 접촉하여 상기 파워 피스톤(2) 변위의 힘을 리액션 디스크(14)가 받게 된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reaction rod 13 is in contact with the power piston 2, the reaction disk 14 receives the force of the displacement of the power piston (2).

여기서,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1)의 내부 구조는, 상기 푸시 로드(4)의 작동으로부터 전·후로 움직이고, 일측으로부터 소정 위치에 홀(5a)이 형성된 에어 밸브(5)와, 상기 에어 밸브(5)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볼 베어링용 홈(18)이 형성되고 일측 단면에 소정 깊이의 플런저 홈(22a)이 형성된 플런저(22)와, 상기 플런저(22)의 볼 베어링 용 홈(18)에 구비되는 볼 베어링(17)과, 상기 에어 밸브(5)의 외주면 일측 소정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리테이너(16)와, 상기 에어 밸브(5) 및 리테이너(16)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볼 베어링(17)이 이탈되도록 구비되는 슬리브(15)를 포함한다.Her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anic assist booster 1 for automobiles is the air valve 5 which moves back and forth from the operation of the said push rod 4, and the hole 5a was formed 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from one side, and the said air valve A plunger 22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5) and having a ball bearing groove 18 and a plunger groove 22a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ormed at one end surface thereof, and a ball bearing groove 18 of the plunger 22. And a ball bearing 17 provided between the retainer 16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valve 5, and provided between the air valve 5 and the retainer 16. And a sleeve 15 provided to be detached.

그리고, 상기 슬리브(15)와 상기 파워 피스톤(2) 사이에 슬리브 스프링(11)이 구비되어 상기 슬리브(15)를 지지하고, 상기 슬리브(15)와 상기 에어 밸브(5) 사이에 인접 스프링(12)이 구비된다.In addition, a sleeve spring 11 is provided between the sleeve 15 and the power piston 2 to support the sleeve 15, and an adjacent spring between the sleeve 15 and the air valve 5. 12) is provided.

이때, 상기 플런저(22) 및 상기 에어 밸브(5) 내측면 사이에 상기 플런저(22)를 상기 에어 밸브(5) 안쪽으로 밀어내도록 플런저 리턴 부재(31)가 구비된다.At this time, a plunger return member 31 is provided between the plunger 2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air valve 5 to push the plunger 22 into the air valve 5.

상기 플런저 리턴 부재(31)는 소정의 탄성력을 지닌 러버(rubber) 재질이며, 조립시 상기 플런저(22)의 플런저 홈(22a)에 삽입 가능하므로 이는 조립 공정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The plunger return member 31 is a rubber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plunger groove 22a of the plunger 22 at the time of assembly,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during the assembly process.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1)는 급제동시 상기 푸시 로드(4)가 상기 에어 밸브(5)를 순간적으로 빠르게 전진시키고, 상대적으로 상기 파워 피스톤(2)은 이동하지 않는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vehicle panic assist booster 1 is configured to rapidly advance the air valve 5 by the push rod 4 during rapid braking, and relatively to the power piston 2. Does not move.

이때, 상기 슬리브 스프링(11)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슬리브(15)와 상기 에어 밸브(5)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에어 밸브(5)의 홀(5a)에 구비되는 볼 베어링(17)이 상기 리액션 디스크(14)의 반력에 의한 상기 플런저(22)의 외측면으로 가하는 힘에 의해 상기 슬리브(15)에 구비된 볼 베어링용 홈(18)으로 빠져나가면서 상기 플런저(22)가 상기 에어 밸브(5) 및 상기 플런저(22)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리액션 갭(23)이 증대되어 급제동에 필요한 출력을 생성한다.At this tim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leeve 15 and the air valve 5 supported by the sleeve spring 11, the ball bearing 17 provided in the hole 5a of the air valve 5 is The plunger 22 moves to the air valve while exiting the ball bearing groove 18 provided in the sleeve 15 by a forc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lunger 22 by the reaction force of the reaction disk 14. The reaction gap 23 is enlarged as it moves to the space between the 5 and the plunger 22 to produce the output required for rapid braking.

그리고, 브레이크 해제시 상기 플런저(22)가 초기 위치로 복원되어야 하고, 이때 상기 플런저(22)를 상기 에어 밸브(5) 안쪽으로부터 밀어내기 위해서 소정의 탄성을 갖는 플런저 리턴 부재(31)를 구비한다.Then, when the brake is released, the plunger 22 should be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and at this time, the plunger 22 is provided with a plunger return member 31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to push the plunger 22 from the inside of the air valve 5. .

상기 플런저 리턴 부재(31)는 상기 플런저(22)가 상기 에어 밸브(5)의 내측으로 이동하면 탄성을 이용하여 그 형상이 작고 두꺼워진다.The plunger return member 31 is made smaller and thicker by using elasticity when the plunger 22 moves to the inside of the air valve 5.

따라서, 상기 플런저 리턴 부재(31)는 러버 재질이 바람직하며, 상기 플런저(22)의 플런저 홈(22a)에 삽입된다.Therefore, the plunger return member 31 is preferably a rubber material, and is inserted into the plunger groove 22a of the plunger 22.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1)는 푸시 로드(4), 에어 밸브(5), 다이아프램(9), 서포트 플레이트(10), 파워 피스톤(2), 슬리브(15), 리테이너(16), 볼 베어링(17), 리액션 로드(13), 리액션 디스크(14), 플런저 리턴 스프링(41), 그리고 플런저 리턴 스프링 지지부(42) 등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vehicle panic booster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sh rod 4, an air valve 5, a diaphragm 9, a support plate 10, a power piston 2, and a sleeve ( 15), retainer 16, ball bearing 17, reaction rod 13, reaction disk 14, plunger return spring 41, plunger return spring support 42 and the like.

상기 다이아프램(9)은 전·후방 셀(미도시)이 밀폐 결합된 내부를 전·후방 정·변압실(미도시)로 구획하고, 그 중앙부에 서포트 플레이트(10)가 구비되며, 전·후방챔버(미도시)로의 진공 또는 대기의 연통을 제어하는 에어 밸브(5)는 상기 푸시 로드(4) 및 브레이크 패달(B/P)에 의해 연동한다.The diaphragm 9 divides the insid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cells (not shown) are hermetically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positive and transformer chambers (not shown), and the support plate 10 is provided at the center thereof. The air valve 5 which controls the communication of vacuum or atmosphere to the rear chamber (not shown) is interlocked by the push rod 4 and the brake pedal B / P.

또한, 상기 리액션 로드(13) 단부가 상기 파워 피스톤(2) 접촉하여 상기 파워 피스톤(2) 변위의 힘을 리액션 디스크(14)가 받게 된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reaction rod 13 is in contact with the power piston 2, the reaction disk 14 receives the force of the displacement of the power piston (2).

여기서,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1)의 내부 구조는 상기 푸시 로드(4)의 작동으로부터 전·후로 움직이고, 일측으로부터 소정 위치에 홀(5a)이 형성된 에어 밸브(5)와, 후단면은 상기 에어 밸브(5)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외주면 일측 소정위치에 상기 볼 베어링(17)이 구비되도록 볼 베어링 홈(22b)이 형성되고, 외주면 타측 소정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단턱지게 돌출형성된 플런저 리턴 스프링 지지부(42)가 형성된 플런저(22)와, 상기 플런저(22)의 볼 베어링 용 홈(22b)에 구비되는 볼 베어링(17)과, 상기 에어 밸브(5)의 외주면 일측 소정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리테이너(16)와, 상기 에어 밸브(5) 및 리테이너(16)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볼 베어링(17)이 이탈되도록 구비되는 슬리브(15)를 포함한다.Her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vehicle panic assist booster 1 is moved back and forth from the operation of the push rod 4, the air valve 5 is formed with a hole 5a at a predetermined position from one side, and the rear end surface is It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air valve 5, the ball bearing groove 22b is formed so that the ball bearing 17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and a plunger return protrud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the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plunger 22 having a spring support 42 formed therein, a ball bearing 17 provided in the ball bearing groove 22b of the plunger 22, and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valve 5 And a sleeve 15 formed between the air valve 5 and the retainer 16 and provided so that the ball bearing 17 is separated.

그리고, 상기 슬리브(15) 및 상기 파워 피스톤(2) 사이에 구비되며 소정의 탄성력을 지닌 플런저 리턴 스프링(41)이 구비된다.The plunger return spring 41 is provided between the sleeve 15 and the power piston 2 and has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여기서, 상기 슬리브(15)와 상기 파워 피스톤(2) 사이에 슬리브 스프링(11)이 구비되어 상기 슬리브(15)를 지지한다.Here, a sleeve spring 11 is provided between the sleeve 15 and the power piston 2 to support the sleeve 15.

이때, 상기 플런저(22) 및 상기 에어 밸브(5) 내측면 사이에 상기 플런저(22)를 상기 에어 밸브(5) 안쪽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상기 플런저 리턴 스프링(41)이 한다.At this time, the plunger return spring 41 serves to push the plunger 22 into the air valve 5 between the plunger 2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air valve 5.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1)는 급제동시 상기 푸시 로드(4)가 상기 에어 밸브(5)를 순간적으로 빠르게 전진시키고, 상대적으로 상기 파워 피스톤(2)은 이동하지 않는다.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vehicle panic assist booster 1 has the push rod 4 momentarily rapidly advancing the air valve 5 during rapid braking, and the power piston 2 is relatively fast. Does not move.

이때, 상기 슬리브 스프링(11)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슬리브(15)와 상기 에어 밸브(5)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에어 밸브(5)의 홀(5a)에 구비되는 볼 베어링(17)이 상기 리액션 디스크(14)의 반력에 의한 상기 플런저(22)의 외측면으로 가하는 힘에 의해 상기 슬리브(15)에 구비된 볼 베어링용 홈(18)으로 빠져나가면서 상기 플런저(22)가 상기 에어 밸브(5) 및 상기 플런저(22)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리액션 갭(23)이 증대되어 급제동에 필요한 출력을 생성한다.At this tim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leeve 15 and the air valve 5 supported by the sleeve spring 11, the ball bearing 17 provided in the hole 5a of the air valve 5 is The plunger 22 moves to the air valve while exiting the ball bearing groove 18 provided in the sleeve 15 by a forc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lunger 22 by the reaction force of the reaction disk 14. The reaction gap 23 is enlarged as it moves to the space between the 5 and the plunger 22 to produce the output required for rapid braking.

이때, 브레이크 해제시 상기 플런저(22)가 초기 위치로 복원되어야 하고, 이때 상기 플런저(22)를 상기 에어 밸브(5) 안쪽으로부터 밀어내기 위해서 상기 플런저(22)에 외주면 타측 소정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단턱지게 돌출형성된 플런저 리턴 스프링 지지부(42)를 형성하고, 상기 플런저 리턴 스프링 지지부(42)와 상기 리테이너(16) 사이에 상기 플런저 리턴 스프링(41)을 구비한다.At this time, when the brake is released, the plunger 22 should be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In this case, in order to push the plunger 22 from the inside of the air valve 5,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nger 2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A stepped protruding plunger return spring support 42 is formed, and the plunger return spring 41 is provided between the plunger return spring support 42 and the retainer 16.

따라서, 급제동에 필요한 출력 생성시 상기 플런저(22)가 이동하면서 상기 플런저 리턴 스프링(41)은 수축하게 된다.Accordingly, the plunger return spring 41 is retracted while the plunger 22 is moved when generating an output required for rapid braking.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1)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vehicle panic assist boost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급제동시 상기 푸시 로드(4)가 상기 에어 밸브(5)를 순간적으로 빠르게 전진시키고, 상대적으로 상기 파워 피스톤(2)은 이동하지 않는다.During sudden braking, the push rod 4 momentarily rapidly advances the air valve 5, and the power piston 2 does not move relatively.

이때, 상기 슬리브 스프링(11)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슬리브(15)와 상기 에어 밸브(5)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에어 밸브(5)의 홀(5a)에 구비되는 볼 베어링(17)이 상기 리액션 디스크(14)의 반력에 의한 상기 플런저(22)의 외측면으로 가하는 힘에 의해 상기 슬리브(15)에 구비된 볼 베어링용 홈(18)으로 빠져나가면서 상기 플런저(22)가 상기 에어 밸브(5) 및 상기 플런저(22)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리액션 갭(23)이 증대되어 급제동에 필요한 출력을 생성한다.At this tim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leeve 15 and the air valve 5 supported by the sleeve spring 11, the ball bearing 17 provided in the hole 5a of the air valve 5 is The plunger 22 moves to the air valve while exiting the ball bearing groove 18 provided in the sleeve 15 by a forc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lunger 22 by the reaction force of the reaction disk 14. The reaction gap 23 is enlarged as it moves to the space between the 5 and the plunger 22 to produce the output required for rapid braking.

그리고, 브레이크 해제시 상기 플런저(22)를 상기 에어 밸브(5) 안쪽으로부터 밀어내기 위해서 소정의 탄성을 갖는 러버 재질의 플런저 리턴 부재(31)를 구비하고, 상기 플런저(22)가 초기 위치로 복원된다.In addition, a rubber plunger return member 31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is provided to push the plunger 22 from the inside of the air valve 5 when the brake is released, and the plunger 22 is restored to an initial position. do.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런저와 에어 밸브 사이에 탄성을 지닌 플런저 리턴용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조립 공정을 좋게 하여 작업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the plunger return member with elasticity between the plunger and the air valve, the assembly process can be improved to improve the workability as well as to improve the performanc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specific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appropriate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possible to change.

Claims (2)

리액션 로드(13)의 후단에 구비되는 리액션 디스크(14)와, 브레이크 패달과 연동하여 전·후로 작동하는 푸시 로드(4)의 선단과 접하는 에어 밸브(5)가 중앙에 삽입된 파워 피스톤(2)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1)에 있어서,Power piston (2) in which the reaction disk (14)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reaction rod (13) and the air valve (5)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push rod (4)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brake pedal and acting forward and backward are inserted in the center. In the panic assist booster (1) for automobiles, 상기 에어 밸브(5)의 외주면 일측 소정 위치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소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리테이너(16);A retainer 16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valve 5; 일측 단부는 상기 에어 밸브(5)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그 단부에 소정 깊이의 플런저 홈(22a)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리액션 디스크(14)와 소정 간격의 리액션 갭(23)을 형성하는 플런저(22);One end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air valve 5, the plunger groove (22a) of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at the end, the other end is a reaction gap 23 of the reaction disk 14 and a predetermined interval Forming a plunger 22; 상기 에어 밸브(5)의 일측 소정 위치에 형성된 에어 밸브 홀(5a)에 구비되는 볼 베어링(17);A ball bearing (17) provided in the air valve hole (5a) formed at one side of the air valve (5); 상기 볼 베어링(17)이 이탈되도록 구비되는 볼 베어링용 홈(18)이 형성된 슬리브(15);A sleeve (15) having a ball bearing groove (18) provided such that the ball bearing (17) is separated; 상기 슬리브(15)를 지지하도록 상기 슬리브(15)와 상기 파워 피스톤(2) 사이에 구비되는 슬리브 스프링(11);A sleeve spring (11) provided between the sleeve (15) and the power piston (2) to support the sleeve (15); 상기 슬리브(15) 및 상기 에어 밸브(5) 사이에 구비되는 인접 스프링(12); 그리고An adjacent spring (12) provided between said sleeve (15) and said air valve (5); And 상기 플런저(22)의 플런저 홈(22a)에 구비되며, 상기 에어 밸브(5) 및 상기 플런저(22) 사이에 구비된 소정의 탄성력을 지닌 러버 재질의 플런저 리턴 부재(31)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Is provided in the plunger groove (22a) of the plunger 22,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nger return member 31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provided between the air valve 5 and the plunger 22 Car panic assist booster. 리액션 로드(13)의 후단에 구비되는 리액션 디스크(14)와, 브레이크 패달과 연동하여 전·후로 작동하는 푸시 로드(4)의 선단과 접하는 에어 밸브(5)가 중앙에 삽입된 파워 피스톤(2)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1)에 있어서,Power piston (2) in which the reaction disk (14)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reaction rod (13) and the air valve (5)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push rod (4)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brake pedal and acting forward and backward are inserted in the center. In the panic assist booster (1) for automobiles, 상기 에어 밸브(5)의 외주면 일측 소정 위치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소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리테이너(16);A retainer 16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valve 5; 상기 에어 밸브(5)의 일측 소정 위치에 형성된 에어 밸브 홀(5a)에 구비되는 볼 베어링(17);A ball bearing (17) provided in the air valve hole (5a) formed at one side of the air valve (5); 상기 볼 베어링(17)이 이탈되도록 구비되는 볼 베어링용 홈(18)이 형성된 슬리브(15);A sleeve (15) having a ball bearing groove (18) provided such that the ball bearing (17) is separated; 상기 슬리브(15)를 지지하도록 상기 슬리브(15)와 상기 파워 피스톤(2) 사이에 구비되는 슬리브 스프링(11);A sleeve spring (11) provided between the sleeve (15) and the power piston (2) to support the sleeve (15); 상기 슬리브(15) 및 상기 에어 밸브(5) 사이에 구비되는 인접 스프링(12);An adjacent spring (12) provided between said sleeve (15) and said air valve (5); 일측 단부는 상기 에어 밸브(5)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외주면 일측 소정위치에 상기 볼 베어링(17)이 구비되도록 볼 베어링 홈(22b)이 형성되고, 외주면 타측 소정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단턱지게 돌출형성된 플런저 리턴 스프링 지지부(42)가 형성된 플런저(22); 그리고,One end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ir valve 5, the ball bearing groove 22b is formed so that the ball bearing 17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and stepp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outer circumference A plunger 22 having a protruding plunger return spring support 42 formed thereon; And, 상기 슬리브(15) 및 상기 파워 피스톤(2) 사이에 구비되며 소정의 탄성력을 지닌 플런저 리턴 스프링(41)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The panic assist booster for automobile,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sleeve (15) and the power piston (2) and has a plunger return spring (41)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KR1020070000980A 2007-01-04 2007-01-04 Panic assist booster for vehicles KR200800642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980A KR20080064265A (en) 2007-01-04 2007-01-04 Panic assist booster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980A KR20080064265A (en) 2007-01-04 2007-01-04 Panic assist booster for vehi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265A true KR20080064265A (en) 2008-07-09

Family

ID=39815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980A KR20080064265A (en) 2007-01-04 2007-01-04 Panic assist booster for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426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1921A (en) * 2021-06-30 2021-10-01 陈小锋 Pipe connecting device of comprehensive pipe rac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1921A (en) * 2021-06-30 2021-10-01 陈小锋 Pipe connecting device of comprehensive pipe rack
CN113471921B (en) * 2021-06-30 2022-06-07 中建二局第二建筑工程有限公司 Pipe connecting device of comprehensive pipe r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1524B2 (en) Master cylinder of brake
JP6012225B2 (en) Brake device
KR20080064265A (en) Panic assist booster for vehicles
KR100920467B1 (en) Panic Booster for a Vehicle
KR101345796B1 (en) Panic booster for a vehicle
JP5716901B2 (en) Pneumatic booster
KR100767305B1 (en) Booster of brake for a vehicle
CN201380843Y (en) Dual boosting-ratio vacuum booster
KR101345793B1 (en) Panic booster for a vehicle
KR20090011466A (en) Piston structure of caliper brake for a vehicle
KR100391626B1 (en) An automotive booster
KR20090050254A (en) Panic assist booster for a vehicle
KR100381776B1 (en) Brake booster of car
KR100803879B1 (en) Brake booster provided with a structure to prevent a power piston from being distorted
KR20090050498A (en) Fixing seal type-master cylinder for a vehicle
KR20090106088A (en) Panic assist booster for a vehicle
KR19990050616A (en) Booster with rear vacuum connection port
KR20010103495A (en) Brake booster
JP3743969B2 (en) Pneumatic booster
KR100412242B1 (en) A doubling brake booster for vehicle
KR20110026983A (en) Brake booster for vehicle
JP2009023506A (en) Negative pressure type booster
KR20070049468A (en) A key for brake booster of vehicle
KR20050103746A (en) A leak prevention structure of a power brake booster for a vehicle
KR20090030946A (en) Stroke adjustment device in booster master cylinder for an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