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467B1 - Panic Booster for a Vehicle - Google Patents

Panic Booster for a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467B1
KR100920467B1 KR1020060124447A KR20060124447A KR100920467B1 KR 100920467 B1 KR100920467 B1 KR 100920467B1 KR 1020060124447 A KR1020060124447 A KR 1020060124447A KR 20060124447 A KR20060124447 A KR 20060124447A KR 100920467 B1 KR100920467 B1 KR 100920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alve
air
control valve
boost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44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52802A (en
Inventor
김상보
김병수
Original Assignee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4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0467B1/en
Publication of KR20080052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8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4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3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reaction devices
    • B60T13/575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reaction devices using resilient discs or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2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eceleration
    • B60T8/3255Systems in which the braking action is dependent on brake pedal data
    • B60T8/3275Systems with a braking assistant function, i.e. automatic full braking initiation in dependence of brake pedal velo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3Brake assis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패닉 브레이킹(panic Braking) 상태에서 부스터의 출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2개의 에어 밸브를 각각 구비하고, 그 사이에 씰링 부재를 삽입하여, 패닉 브레이킹 상태일 경우 2개의 에어 밸브가 분리되면서 그 사이로 제1 및 제2 공기 통로를 형성하고, 정상 작동시에는 제1 공기 통로만 개폐되며 패닉 작동시, 제2 공기 통로가 개폐되어 제 2 공기 통로만큼 유동 면적이 증대되고, 그에 따라 공기 유입량이 증대되고 제동력을 증대시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브레이크 패달(B/P)에 연계되어 입력을 전달하는 푸쉬 로드와, 상기 푸쉬 로드의 전진으로 입력을 전달받도록 외주면 소정 위치에 파워 피스톤 돌출부가 형성된 파워 피스톤의 일단 중심부에 리액션 디스크가 개제되어 접하도록 구비된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에 있어서, 일측 단부는 상기 리액션 디스크에 접하며, 타측 내경부에 상기 푸쉬 로드가 접하도록 구비되고, 외주면 중심 소정 위치에 단차지게 클립 지지용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푸쉬 로드가 고정 및 지지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소정 깊이 함몰된 고정용 코킹부가 형성되고, 외측 소정 위치에 테이퍼진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2 에어 밸브; 상기 제2 에어 밸브의 테이퍼 진 형상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일측 외주면에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된 에어 밸브 돌출부를 갖는 제1 에어 밸브; 상기 파워 피스톤 돌출부 및 상기 에어 밸브 돌출부의 일정한 단차를 유지하기 위해 구비된 클립; 상기 파워 피스톤 및 상기 에어 밸브 돌출부와 접촉 및 씰링을 위해 구비되되, 컨트롤 밸브 스프링과 에어 밸브 스프링을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컨트롤 밸브; 상기 제1 에어 밸브와 상기 컨트롤 밸브 사이의 제1 공기 통로; 및 상기 제1 에어 밸브와 제2 제어 밸브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공기 통로; 를 포함하여 이루어 짐으로써, 상기 제1 공기 통로와 제2 공기 통로를 통해 상기 부스터의 내부로의 공기 유입량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nic booster for a vehicle, each having two air valves in order to maximize the output of the booster in the panic braking state, and inserting a sealing member therebetween, The two air valves are separated to form first and second air passages, and during normal operation only the first air passage is opened and closed, and during panic operation, the second air passage is opened and closed to increase the flow area by the second air passage. In order to provide an automobile panic booster which can increase air inflow and increase braking force, thereby improving performance, a push rod for transmitting an input in connection with a brake pedal (B / P), and the push rod Reaction De In the panic booster for automobiles provided with a scaffold in contact, one end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reaction disk,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the push rod in contact with the inner diameter portion, and the projection for supporting the clip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center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second air valve having a fixing caulking portion recess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be fixed and supported by the push rod, and having a protrusion having a tapered shape at an outer predetermined position; A first air valve formed to contact the tapered shape of the second air valve and having an air valve protrusion protruding a predetermined height on on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clip provided to maintain a constant step of the power piston protrusion and the air valve protrusion; A control valve provided for contacting and sealing the power piston and the air valve protrusion, the control valve including a control valve spring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air valve spring; A first air passage between the first air valve and the control valve; And a second air passage formed between the first air valve and the second control valve. By including, characterized in that for increasing the air inflow amount into the booster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and the second air passage.

패닉 부스터, 제1 에어 밸브, 제2 에어 밸브, 파워 피스톤, 제1 공기 통로, 제2 공기 통로 Panic booster, first air valve, second air valve, power piston, first air passage, second air passage

Description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Panic Booster for a Vehicle}Panic Booster for a Vehic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panic boos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의 배력 장치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larged power boosting device for a panic boos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r panic boo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의 배력 장치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larged power boosting device for a panic boos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의 정상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normal operating state of a vehicle panic boo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의 패닉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nic operation state of a vehicle panic boo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의 배력 장치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7 is a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larged power boosting device for a panic boos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의 배력 장치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larged power supply apparatus of a vehicle panic boos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의 배력 장치 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larged power supply apparatus of a vehicle panic boos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의 패닉 작동 상태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larged panic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panic boo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패닉 부스터 2 : 프론트 하우징1: panic booster 2: front housing

3 : 리어 하우징 13 : 파워 피스톤3: rear housing 13: power piston

14 : 클립 15 : 스프링 리테이너14: Clip 15: Spring Retainer

16 : 서포트 17 : 씰링 부재16: support 17: sealing member

18 : 에어 밸브 스프링 19 : 컨트롤 밸브 스프링18: air valve spring 19: control valve spring

20 : 컨트롤 밸브 21 : 인써트20: control valve 21: insert

22 : 내측 립씰 23 : 외측 립씰22: inner lip seal 23: outer lip seal

24, 43 : 제1 에어 밸브 25, 44 : 제2 에어 밸브24, 43: 1st air valve 25, 44: 2nd air valve

25' : 제2 에어 밸브 돌출부 26 : 그루브25 ': second air valve protrusion 26: groove

27 : 오링 28, 45 : 제1 에어 밸브 지지부27: O-ring 28, 45: first air valve support

29, 46 : 제2 에어 밸브 지지부 30, 55 : 립씰29, 46: 2nd air valve support part 30, 55: Lip seal

31 : 컨트롤 밸브 홀 32 : 고정용 코킹부31: control valve hole 32: fixing caulking portion

33 : 클립 지지용 돌출부 34 : 파워 피스톤 돌출부33: clip support protrusion 34: power piston protrusion

35 : 에어 밸브 돌출부 36 : 접시형 스프링35: air valve protrusion 36: dish type spring

37 : 접시형 스프링 공기 통로37: Saucer Spring Air Path

38, 54 : 접시형 스프링 고정용 턱38, 54: Jaw fixing plate

39 : 씰링부 일체형 컨트롤 밸브39: control valve integrated control valve

40 : 컨트롤 밸브와 씰링부 연결부 41 : 컨트롤 밸브의 씰링부40: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trol valve and the sealing portion 41: sealing portion of the control valve

42 : 씰링부 고정용 턱 47 : 오링42: jaw for fixing the sealing portion 47: O-ring

48, 49 : 제1 공기 통로 50, 51 : 제2 공기 통로48, 49: first air passage 50, 51: second air passage

52 : 에어 밸브 안착용 구배면 53 : 그루브52: gradient surface for seating the air valve 53: groove

57 : 오링용 그루브57: O-ring groov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에 관한 것으로, 패닉 브레이킹(panic Braking) 상태에서 부스터의 출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2개의 에어 밸브를 각각 구비하고, 그 사이에 씰링 부재를 삽입하여, 패닉 브레이킹 상태일 경우 2개의 에어 밸브가 분리되면서 그 사이로 제1 및 제2 공기 통로를 형성하고, 정상 작동시에는 제1 공기 통로만 개폐되며 패닉 작동시, 제2 공기 통로가 개폐되어 제 2 공기 통로만큼 유동 면적이 증대되고, 그에 따라 공기 유입량이 증대되고 제동력을 증대시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nic booster for automobiles, each having two air valves in order to maximize the output of the booster in the panic braking state, and inserting a sealing member therebetween. The two air valves are separated to form first and second air passages, and during normal operation only the first air passage is opened and closed, and during panic operation, the second air passage is opened and closed to increase the flow area by the second air pass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nic booster for automobiles, which can increase air inflow and increase braking force, thereby improving performance.

자동차의 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함에 따라, 자동차 속도가 점차 빨라졌으며, 내·외장 부품의 증대로 인해 자동차의 무게도 점차 중량화 되어왔다. 이로 인해 자동차의 관성력의 주요 인자인 질량과 가속도가 서로 상승작용을 일으키면서 증대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주행중의 안전에 대한 관심도 아울러 고조되어 왔다.As the technology of automobiles has developed rapidly, the speed of automobiles has gradually increased, and the weight of automobiles has gradually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of internal and external parts. As a result, not only mass and acceleration, which are major factors of the inertial force of automobiles, have increased, but also interest in safety while driving has increased.

그 결과, 자동차의 제동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져 왔으며,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최근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것이 바로 브레이크 부스터(booster of brake)이다.As a result, various researches and developmen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braking performance of automobiles, and as a result of these efforts,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is the booster of brake.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중 차속을 감속(減速)하거나, 정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제동장치가 마련되어 있다.In general, a vehicle is provided with a braking device that serves to slow down or stop the vehicle speed during driving.

상술한 바와 같은 제동장치는 크게, 기관의 동력에 의해 발생되는 진공압(기관 흡입압)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을 배가(倍加)시켜주는 부스터(booster)와 상기 부스터에 의해 배가된 힘에 따라 브레이크 회로에 브레이크 오일 유압을 형성시키는 마스터 실린더(master cylinder)와 브레이크 오일 압력에 의해 휠(wheel)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거나 정지시키는 휠 실린더(wheel cylinder)로 구성되어 있다.The braking device described above is largely based on a booster that doubles the pedaling force of the brake pedal by using a vacuum pressure (engine suction pressure) generated by engine power and a force doubled by the booster. Accordingly, it is composed of a master cylinder for forming brake oil hydraulic pressure in the brake circuit and a wheel cylinder for slowing or stopp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wheel by the brake oil pressure.

여기서, 부스터는 엔진 흡기매니폴드의 부압을 이용하는 진공식과 엔진으로 구동되는 압축기(compressor)로부터 제공되는 압력을 이용하는 공기식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소형차량에는 진공식이 많이 사용된다.Here, the booster may be a vacuum type using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engine intake manifold and an air type using the pressure provided from a compressor driven by the engine, and a vacuum type is generally used in a small vehic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의 배력 장치를 확대하여 개략 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panic boos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power supply apparatus of a vehicle panic boos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100)는 진공 챔버인 프론트 하우징(102)과 대기압 챔버인 리어 하우징(103)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론트 하우징(102) 및 리어 하우징(103)으로의 진공 또는 대기의 연통을 제어하는 제어 밸브(control valve,130) 및 에어 밸브(160)와 파워 피스톤(140)과 브레이크 페달(B/P)에 가해지는 답력을 전달하는 푸쉬 로드(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vehicle panic booster 100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omposed of a front housing 102 which is a vacuum chamber and a rear housing 103 which is an atmospheric pressure chamber, and the front housing 102 and the rear housing ( A control valve 130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of vacuum or atmosphere to the 103 and a push rod for transmitting a response force applied to the air valve 160 and the power piston 140 and the brake pedal B / P 150) and the like.

여기서, 상기 전·후방챔버(110, 120)를 구성하는 전방 정·변압실와 후방 정·변압실는 전방 다이어프램과 후방 다이어프램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전·후방 다이어프램은 각각의 전·후방 서포트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Here, the front forward / transformer chamber and the rear forward / transformer chamber constituting the front and rear chambers 110 and 120 are partitioned by a front diaphragm and a rear diaphragm, and the front and rear diaphragms are supported by respective front and rear supports. It is.

그리고, 상기 제어밸브(130)는 일단부 외주부에 상기 전방 다이어프램과 전방 서포트, 센터 플레이트 및 후방 다이어프램과 후방 서포트이 결합되며, 공기흡입부가 형성된 타단부는 후방 셀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대기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는 상기 전·후방 정압실과 전·후방 변압실을 연통시키는 정압통로와, 대기(大氣)와 전·후방 변압실을 연통시키는 변압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밸브(130)의 내부에는 상기 입력축의 단부와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하는 에어 밸브(160)가 설치되는데, 상기 에어 밸브(160)의 일단부와 제어밸브(130)의 일단부는 출력축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리액션 디스크(180)와 접촉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valve 130 is coupled to the front diaphragm and the front support, the center plate and the rear diaphragm and the rear support at one end thereof, and the other end formed with the air suction portion communicates with the atmosphere through the center of the rear cell. . In addition, a positive pressure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constant pressure chambers and the front and rear transformer chambers, and a transformer passage is formed to communicate the atmosphere with the front and rear transformer chambers. In addition, an air valve 160 sliding in the axial direction with an end of the input shaft is installed in the control valve 130, one end of the air valve 160 and one end of the control valve 130 is output shaft It is in contact with the reaction disk 180 provided at the end.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100)의 작동을 간략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rake booster 100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briefly described.

먼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기전 부스터(100)의 작동 정지(Rest)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밸브(130)가 에어 밸브(160)와 맞닿음되고, 이 때, 상기 제어밸브(130)와 파워 피스톤(140)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고 있다. First, in the rest state of the booster 100 before the driver presses the brake pedal, the control valve 1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air valve 160. At this time, the control valve 130 and the power are controlled.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the pistons 140.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전방 챔버(110)에 흡기매니폴드(미도시)로부터 부압이 작용하며, 이 부압은 파워 피스톤(140)과 제어밸브(130)의 간극을 통해 후방 챔버로 전달된다. 이 때, 상기 센터 플레이트에 의해 전/후로 분할되어 있는 전·후방 챔버가 부압 상태에 있게 되며, 상기 전·후방 다이어프램은 리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정지위치에 유지된다.In this state, a negative pressure acts on the front chamber 110 from an intake manifold (not shown), and the negative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rear chamber through a gap between the power piston 140 and the control valve 130. At this time, the front and rear chambers divid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center plate are in a negative pressure state, and the front and rear diaphragms are held at the stop position by the elasticity of the return spring.

그리고,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부스터(100)는 초기견제(Initial Apply) 상태가 되는데, 이 때, 상기 제어밸브(130)는 압력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 에어 밸브 피스톤(160)과의 접촉을 유지한 채 파워 피스톤(140)과 밀착상태가 되고, 후방 챔버에 가해지는 진공 부압이 단락된다. 이 때, 상기 푸쉬로드(150)가 약간 전진하여 에어 밸브 피스톤(16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파워 피스톤(140)과 에어 밸브 피스톤(160)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생겨 부스터(100)는 부분 제동(Partial Braking) 상태에 도달한다. In addition, when the driver presses the brake pedal, the booster 100 is in an Initial Apply state. At this time, the control valve 130 is pushed forward by a pressure spring (not shown), thereby providing an air valve piston 160. )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ower piston 140 while maintaining the contact with the power supply, and the vacuum negative pressure applied to the rear chamber is short-circuited. At this time, when the push rod 150 moves forward slightly to move the air valve piston 160 forward, a slight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power piston 140 and the air valve piston 160 to boost the booster 100. Reaches a partial braking state.

이에 따라, 전방 챔버에는 부압이, 후방 챔버에는 대기압이 작용하지만, 진공 챔버인 전방 챔버와 대기압 챔버인 후방 챔버 간의 압력차가 크지 않아 다이어프램은 전방 챔버 쪽으로 미약하게 밀려 들어가면서 리턴 스프링을 서서히 압축한다. 이 때, 리턴 스프링이 압축되는 만큼 로드 피스톤이 전진하여 마스터 실린더에 제동력을 가하게 된다.Accordingly, the negative pressure acts on the front chamber and the atmospheric pressure acts on the rear chamber, but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chamber, which is the vacuum chamber, and the rear chamber, which is the atmospheric chamber, is not large, so that the diaphragm is slightly pushed toward the front chamber and gradually compresses the return spring. At this time, the rod piston is advanced as much as the return spring is compressed to apply a braking force to the master cylinder.

또한, 에어 밸브 피스톤(160)이 로드 피스톤과 접할 정도로 푸쉬로드(150)가 밀려 들어오면, 에어 밸브 피스톤(160)은 파워 피스톤(140)과 밀착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제어밸브(130)로부터 완전히 떨어지게 되어 완전 제동(Full Braking)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 때, 진공 챔버인 전방 챔버는 부압 상태에서 폐쇄된 채로 유지되며, 대기압 챔버인 후방 챔버는 완전히 개방되어 대기압 상태가 되므로, 전·후방 챔버의 압력차는 최대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후방 다이어프램이 전방으로 최대한 전진하여 리턴 스프링이 완전히 압축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입력이 배력되며, 이 후, 브레이크 페달이 더 밟히면 푸쉬로드(150)에 의해 운전자의 입력이 마스터 실린더에 직접적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push rod 150 is pushed in such that the air valve piston 160 is in contact with the rod piston, the air valve piston 160 is completely removed from the control valve 130 keep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power piston 140. It will fall off and become a full braking state. At this time, the front chamber, which is a vacuum chamber, is kept closed in a negative pressure state, and the rear chamber, which is an atmospheric pressure chamber, is completely opened and becomes an atmospheric pressure state, s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chambers is maximum. As a result, the front and rear diaphragms are advanced as far forward as possible and the return spring is completely compressed. In the above process, the driver's brake pedal input is boosted, and when the brake pedal is further depressed, the driver's input is directly acted on the master cylinder by the push rod 150.

결국, 기압차로 인해 발생된 힘은 압력이 큰 쪽에서 작은 쪽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며, 상기 전·후방 다이어프램과 파워 피스톤(140)과 연동되는 상기 제어밸브(130)는 압력차에 의해 발생된 힘으로 상기 전·후방 정압실 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제어밸브(130) 중심부위를 통해 상기 리액션 디스크(180)를 밀게 된다. As a result, the force generat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acts in the direction from the larger side to the smaller side, and the control valve 130 interlocked with the front and rear diaphragms and the power piston 140 is a force generat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The reaction disk 180 is pushed through the center of the control valve 130 by being moved toward the front and rear constant pressure chambers.

이 때, 상기 리액션 디스크(180)는 플런저 선단부로부터 가해지는 힘과 제어밸브(130)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운전자가 가한 힘과 기압차에 의해 발생되어 가해지는 배력비는 상기 리액션 디스크(180) 선단의 면적비와 접촉하여 연동되는 출력축의 중심부 면적비로 귀결된다.  At this time, the reaction disk 180 acts by the force applied from the plunger tip and the force applied from the control valve 130. In this case, the power ratio generated by the driver and the pressure difference applied by the driver results in a ratio of the center area of the output shaf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area ratio of the tip of the reaction disk 180.

그러나, 이렇게 발생된 배력은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B/P)을 밟는 힘이 일정수준 이상인 경우에는 더 이상의 배력효과는 상실되며, 브레이크 페달(B/P)의 밟 는 힘이 그대로 전달되는 현상이 발생된다.However, when the driver's stepping force on the brake pedal (B / P) is more than a certain level, the additional power is lost, and the stepping force of the brake pedal (B / P) is transmitted as it is. Is generated.

그러나, 종래의 부스터(100)는 긴급 제동을 요구하는 패닉 브레이킹(panic braking) 상황에서 운전자의 프레이크 페달(B/P) 입력 대비 출력이 충분하지 못하므로 제동력이 부족하여 제동 거리가 길어지고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ooster 100 may not have enough output compared to the driver's brake pedal (B / P) input in a panic braking situation requiring emergency braking, and thus the braking force may be insufficient, resulting in a long braking distance and an accident.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be follow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패닉 브레이킹(panic Braking) 상태에서 부스터의 출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2개의 에어 밸브를 각각 구비하고, 그 사이에 씰링 부재를 삽입하여, 패닉 브레이킹 상태일 경우 2개의 에어 밸브가 분리되면서 그 사이로 제1 및 제2 공기 통로를 형성하고, 정상 작동시에는 제1 공기 통로만 개폐되며 패닉 작동시, 제2 공기 통로가 개폐되어 제 2 공기 통로만큼 유동 면적이 증대되고, 그에 따라 공기 유입량이 증대되고 제동력을 증대시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order to maximize the output of the booster in the panic braking (panic braking) each provided with two air valves, between the sealing member is inserted, the panic breaking state In this case, the two air valves are separated to form first and second air passages therebetween, and during normal operation, only the first air passage is opened and closed, and during panic operation, the second air passage is opened and closed to flow as much as the second air passag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nic booster for automobiles that can increase in area, thereby increasing air inflow and increasing braking force to improve performanc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브레이크 페달(B/P)에 연계되어 입력을 전달하는 푸쉬 로드와, 상기 푸쉬 로드의 전진으로 입력을 전달받도록 외주면 소정 위치에 파워 피스톤 돌출부가 형성된 파워 피스톤의 일단 중심부 에 리액션 디스크가 개제되어 접하도록 구비된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에 있어서, 일측 단부는 상기 리액션 디스크에 접하며, 타측 내경부에 상기 푸쉬 로드가 접하고, 외주면 중심 소정 위치에 단차지게 클립 지지용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푸쉬 로드가 고정 및 지지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소정 깊이 함몰된 고정용 코킹부가 형성되고, 외측 소정 위치에 테이퍼진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2 에어 밸브; 상기 제2 에어 밸브의 테이퍼 진 형상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일측 외주면에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된 에어 밸브 돌출부를 갖는 제1 에어 밸브; 상기 파워 피스톤 돌출부 및 상기 에어 밸브 돌출부의 일정한 단차를 유지하기 위해 구비된 클립; 상기 파워 피스톤 및 상기 에어 밸브 돌출부와 접촉 및 씰링을 위해 구비되되, 컨트롤 밸브 스프링과 에어 밸브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서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컨트롤 밸브; 상기 제1 에어 밸브와 상기 컨트롤 밸브 사이의 제1 공기 통로; 및 상기 제1 에어 밸브와 제2 에어 밸브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공기 통로; 를 포함하여 이루어 짐으로써, 상기 제1 공기 통로와 제2 공기 통로를 통해 상기 부스터의 내부로 공기 유입량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 push rod for transmitting an input in conjunction with the brake pedal (B / P), and a power piston protrusion formed on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receive the input to the advance of the push rod In a panic booster for a vehicle provided with a reaction disk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a power piston, one end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reaction disk, the push rod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inner diameter portion, and the clip is stepp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center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second air valve having a protruding portion for protruding, a fixing caulking portion recess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be fixed and supported by the push rod, and having a protruding portion having a tapered shape at an outer predetermined position; A first air valve formed to contact the tapered shape of the second air valve and having an air valve protrusion protruding a predetermined height on on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clip provided to maintain a constant step of the power piston protrusion and the air valve protrusion; A control valve provided for contacting and sealing the power piston and the air valve protrusion, the control valve comprising a support provided to support a control valve spring and an air valve spring; A first air passage between the first air valve and the control valve; And a second air passage formed between the first air valve and the second air valve. By including the, characterized in that for increasing the air inflow amount into the booster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and the second air passage.

그리고, 상기 제2 에어 밸브에 형성된 돌출부의 테이퍼 면에 소정 깊이의 그루브를 형성하고, 상기 그루브에 오링을 구비한다.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the tapered surface of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second air valve, and the groove is provided with an O-ring.

또한, 상기 파워 피스톤에 구비되되, 상기 제1 에어 밸브를 지지하는 제1 에어 밸브 지지부를 갖고, 상기 제2 에어 밸브를 지지하는 제2 에어 밸브 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piston may include a first air valve support part supporting the first air valve and a second air valve support part supporting the second air valve.

그리고, 상기 제1 에어 밸브 및 제2 에어 밸브를 밀착시키도록 상기 제2 에 어 밸브의 일단에 구비된 접시형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접시형 스프링은 중심부에 소정 직경으로 접시형 스프링의 공기통로를 갖고, 상기 접시형 스프링이 고정되도록 상기 제2 에어 밸브의 일측 끝단부에 접시형 스프링 고정용 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dish spring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air valve to closely contact the first air valve and the second air valve, wherein the dish spring has an air passage of the dish spring with a predetermined diameter at the center thereof. It has a,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dish-type spring fixing jaw at one end of the second air valve so that the dish-type spring is fixed.

또한, 상기 제2 에어 밸브에 형성된 돌출부의 테이퍼 면에 소정 깊이의 그루브를 형성하고, 상기 그루브에 립 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the tapered surface of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second air valve, and the groove is provided with a lip seal.

그리고, 상기 컨트롤 밸브에 컨트롤 밸브 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컨트롤 밸브 홀은 적어도 한 개 이상 다수개 형성 가능하다.In addition, a control valve hole is formed through the control valve, and at least one or more control valve holes may be formed.

또한, 상기 컨트롤 밸브의 내측에 내측 립씰을 형성하여 외부에서 대기압 작용시, 진공 챔버 쪽으로 누설을 방지하며, 상기 컨트롤 밸브의 외측에 외측 립씰을 형성하여 내부에서 대기압 작용시, 진공 챔버 쪽으로 누설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inner lip seal is formed inside the control valve to prevent leakage to the vacuum chamber when atmospheric pressure acts from the outside, and an outer lip seal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ontrol valve to prevent leakage to the vacuum chamber when atmospheric pressure acts inside. Characterized in that.

그리고, 상기 컨트롤 밸브의 립씰에 상기 서포트 및 상기 파워 피스톤의 기밀성 유지를 위하여 그루브를 형성하고, 상기 그루브에 씰링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roove is formed on the lip seal of the control valve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support and the power piston, and the groove is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또한, 상기 컨트롤 밸브는 외측에 립씰 형상의 내측 립씰과 상기 씰링 부재를 일체로 형성한 씰링부 일체형 컨트롤 밸브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val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lip seal of the lip seal shape and the sealing member integral control valv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aling member formed on the outside.

다른 실시예로는, 브레이크 페달(B/P)에 연계되어 입력을 전달하는 푸쉬 로드와, 상기 푸쉬 로드의 전진으로 입력을 전달받도록 외주면 소정 위치에 파워 피스톤 돌출부가 형성된 파워 피스톤의 일단 중심부에 리액션 디스크가 개제되어 접 하도록 구비된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에 있어서, 일측 단부는 상기 리액션 디스크에 접하며, 타측 내경부에 상기 푸쉬 로드가 접하고, 외주면 중심 소정 위치에 단차지게 클립 지지용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푸쉬 로드가 고정 및 지지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소정 깊이 함몰된 고정용 코킹부가 형성되고, 외측 소정 위치에 단턱진 테이퍼 형상의 에어 밸브 안착용 구배면를 갖는 돌출부가 형성된 제2 에어 밸브; 상기 제2 에어 밸브의 구배면에 접하도록 제1 에어 밸브 구배면을 갖고, 일측 외주면에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된 에어 밸브 돌출부가 형성된 제1 에어 밸브; 상기 파워 피스톤 돌출부 및 상기 에어 밸브 돌출부의 일정한 단차를 유지하기 위해 구비된 클립; 상기 파워 피스톤 및 상기 에어 밸브 돌출부와 접촉 및 씰링을 위해 구비되되, 컨트롤 밸브 스프링과 에어 밸브 스프링을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컨트롤 밸브; 상기 제1 에어 밸브와 상기 컨트롤 밸브 사이의 제1 공기 통로; 및 상기 제1 에어 밸브와 제2 에어 밸브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공기 통로;를 포함하여 이루어 짐으로써, 상기 제1 공기 통로와 제2 공기 통로를 통해 상기 부스터의 내부로의 공기 유입량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a reaction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one end of a power rod having a push rod that is connected to a brake pedal B / P and transmits an input, and a power piston protrusion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sh rod to receive an input forward of the push rod. In the panic booster for cars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disc, one end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reaction disk, the push rod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inner diameter portion, the projecting portion for the clip support is formed to be stepp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center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 second air valve having a fixing caulking portion recess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be fixed and supported by the push rod, and having a protrusion having a tapered air valve seating gradient surface at an outer predetermined position; A first air valve having a first air valve gradient surface to be in contact with a gradient surface of the second air valve, and having an air valve protrusion formed on on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protrude a predetermined height; A clip provided to maintain a constant step of the power piston protrusion and the air valve protrusion; A control valve provided for contacting and sealing the power piston and the air valve protrusion, the control valve including a control valve spring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air valve spring; A first air passage between the first air valve and the control valve; And a second air passage formed between the first air valve and the second air valve,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into the booster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and the second air passage. It is characterized by.

그리고, 상기 제2 에어 밸브에 형성된 돌출부의 테이퍼 형상의 상기 에어 밸브 안착용 구배면에 소정 깊이의 그루브를 형성하고, 상기 그루브에 오링 또는 립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the tapered shape of the air valve seating gradient surface of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second air valve, and the groove is provided with an O-ring or a lip seal.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의 배력 장치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의 정상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의 패닉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의 배력 장치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의 배력 장치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r panic boo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larged power supply apparatus of the car panic boo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of the car panic boo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normal operating state, FIG.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nic operation state of an automobile panic boo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nlarged power boosting device of a car panic boo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larged power supply apparatus of a panic boos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1)는 프론트 하우징(2), 리어 하우징(3), 푸쉬 로드(12), 파워 피스톤 돌출부(34)가 형성된 파워 피스톤(13), 리액션 디스크(42), 클립(14), 제1·제2 에어 밸브(24,25), 컨트롤 밸브(20), 그리고 제1·제2 공기 통로(48,50) 등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vehicle panic boost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piston 13 in which a front housing 2, a rear housing 3, a push rod 12, and a power piston protrusion 34 are formed. ), The reaction disk 42, the clip 14, the first and second air valves 24 and 25, the control valve 20, and the first and second air passages 48 and 50.

그리고, 진공 챔버인 상기 프론트 하우징(2)과 대기압 챔버인 리어 하우징(3)으로의 진공 또는 대기의 연통을 제어하는 컨트롤 밸브(20) 및 제1·제2 에어 밸브(24,25)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한다.The control valve 20 and the first and second air valves 24 and 25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vacuum or the atmosphere to the front housing 2 as the vacuum chamber and the rear housing 3 as the atmospheric pressure chamber are air. Adjust the inflow rate.

브레이크 페달(B/P)에 연계되어 입력을 전달하는 푸쉬 로드(12)와, 상기 푸쉬 로드(12)의 전진으로 입력을 전달받도록 외주면 소정 위치에 파워 피스톤 돌출부(34)가 형성된 파워 피스톤(13)의 일단 중심부에 리액션 디스크(42)가 개제 된 다.A power rod 13 in which a push rod 12 is connected to the brake pedal B / P and transmits an input, and a power piston protrusion 34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sh rod 12 to receive an input forward. The reaction disk 42 is placed at the center of one end of the.

그리고, 상기 제2 에어 밸브(25)는 상기 푸쉬 로드(12)와 인접하게 스테이킹으로 고정되며, 일측 외주면은 상기 리액션 디스크(42)에 접하고, 외주면 중심 소정 위치에 단차지게 클립 지지용 돌출부(3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푸쉬 로드(12)가 고정 및 지지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소정 깊이 함몰된 고정용 코킹부(32)가 형성되고, 외측 소정 위치에 테이퍼진 형상의 돌출부(25')가 형성된다.And, the second air valve 25 is fixed to the staking adjacent to the push rod 12, on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reaction disk 42, the projection for supporting the clip stepped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center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 33 is formed to protrude, and a fixing caulking portion 32 recess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so that the push rod 12 is fixed and supported, and a protrusion 25 'having a tapered shape at an outer predetermined position is formed. Is formed.

또한, 제1 에어 밸브(24)는 상기 제2 에어 밸브(25)의 테이퍼 진 형상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일측 외주면에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된 에어 밸브 돌출부(35)를 갖는다.In addition, the first air valve 24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tapered shape of the second air valve 25, and has an air valve protrusion 35 protruding a predetermined height on one outer peripheral surface.

여기서, 상기 파워 피스톤 돌출부(34) 및 상기 에어 밸브 돌출부(35)의 단차는 클립(14)을 통해 일정하게 유지한다.Here, the step between the power piston protrusion 34 and the air valve protrusion 35 is kept constant through the clip 14.

또한, 상기 컨트롤 밸브(20)는 상기 파워 피스톤(13) 및 상기 에어 밸브 돌출부(35)와 접촉 및 씰링을 위해 구비되되, 컨트롤 밸브 스프링(19)과 에어 밸브 스프링(18)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서포트(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valve 20 is provided for contacting and sealing the power piston 13 and the air valve protrusion 35, and is provided to support the control valve spring 19 and the air valve spring 18.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support 16.

따라서, 상기 제1 에어 밸브(24)와 상기 컨트롤 밸브(20) 사이의 제1 공기 통로(48)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에어 밸브(24)와 제2 에어 밸브(25) 사이에 제2 공기 통로(50)가 형성됨으로써, 정상 작동시에는 상기 제1 공기 통로(48)가 개폐되고, 패닉 작동시에는 제2 공기 통로(50)를 통해 상기 부스터(1)의 내부로의 공기 유입량을 증대시켜 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 first air passage 48 between the first air valve 24 and the control valve 20 is provided, and a second air valve 24 between the first air valve 24 and the second air valve 25 is provided. The air passage 50 is formed, so that the first air passage 48 is opened and closed during normal operation, and the air inflow amount into the booster 1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50 during the panic operation. The output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또한, 패닉 브레이킹(panic bracking)시, 공기 유입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제 2 공기 통로(50)는 정상 작동 조건에서는 기밀을 유지하여야 하므로, 상기 제2 에어 밸브(25)에 형성된 돌출부(25')의 테이퍼 면에 소정 깊이의 그루브(26)를 형성하고, 상기 그루브(26)에 오링(27)을 구비 및 조립하여 상기 제2 공기 통로(50)는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다.In addition, during panic bracking, since the second air passage 50 for increasing the air inflow rate must be kept airtight under 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protrusion 25 'formed on the second air valve 25 A groove 26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the tapered surface, and an o-ring 27 is provided and assembled in the groove 26 to maintain the airtight of the second air passage 50.

여기서, 상기 제2 에어 밸브(25)에 형성된 돌출부(25')의 테이퍼 면에 형성된 소정 깊이의 그루브(26)에 립 씰(30)을 구비가능 하다.Here, the lip seal 30 may be provided in the groove 26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ormed on the tapered surface of the protrusion 25 ′ formed in the second air valve 25.

그리고, 상기 기밀 유지를 위해 구비된 오링(27) 또는 립 씰(3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에어 밸브(24)와 제2 에어 밸브(25)를 밀착시키기 위한 접시형 스프링(36)이 상기 제2 밸브(25)의 일단에 구비된다.In addition, the plate-shaped spring 36 for closely contacting the first air valve 24 and the second air valve 25 with the O-ring 27 or the lip seal 30 provided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therebetween. One end of the second valve 25 is provided.

또한, 상기 접시형 스프링(36)은 중심부에 소정 직경으로 접시형 스프링 공기 통로(37)가 형성되며, 상기 접시형 스프링(36)이 고정되도록 상기 제2 에어 밸브(25)의 일측 끝단부에 접시형 스프링 고정용 턱(38)을 돌출 형성한다.In addition, the dish-shaped spring 36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ish-shaped spring air passage 37 with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at one end of the second air valve 25 so that the dish-shaped spring 36 is fixed. The dish-shaped spring fixing jaw 38 protrudes.

그리고, 상기 파워 피스톤(13)에 제1 에어 밸브 지지부(28)를 구비하여, 상기 부스터(1)의 패닉 작동시, 상기 제1 에어 밸브(24)의 스트로크를 일정 수준으로 제한하고, 상기 제2 에어 밸브(25)의 상기 제2 공기 통로(50)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 에어 밸브(24)의 동심을 확보한다.In addition, the power piston 13 is provided with a first air valve support part 28, and during the panic operation of the booster 1, the stroke of the first air valve 24 is limited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the 2 allows the second air passage 50 of the air valve 25 to be opened and ensures concentricity of the first air valve 24.

또한, 상기 파워 피스톤(13)에 제2 에어 밸브 지지부(29)를 구비하여, 상기 부스터(1)의 정상 또는 패닉 작동시, 부스터 작동 한계 이후 구간(runout)에서의 페달 스트로크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작동시 상기 제2 에어 밸브(25)의 동심을 확보한다.In addition, the power piston 13 is provided with a second air valve support 29 to maintain the pedal stroke in the runout after the booster operating limit at a normal or panic operation of the booster 1. To ensure concentricity of the second air valve 25 during operation.

그리고, 상기 컨트롤 밸브(20)는 상기 파워 피스톤(13) 및 상기 에어 밸브 돌출부(35)와 접촉 및 씰링을 위해 구비되되, 컨트롤 밸브 스프링(19)와 에어 밸브 스프링(18)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서포트(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trol valve 20 is provided for contacting and sealing the power piston 13 and the air valve protrusion 35, and is provided to support the control valve spring 19 and the air valve spring 18.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support 16.

여기서, 상기 컨트롤 밸브(20)는 상기 파워 피스톤 접촉부와 상기 에어 밸브 접촉부 사이에 관통 형성된 컨트롤 밸브 홀(31)이 형성되어, 작동시에는 상기 컨트롤 밸브(20) 내측에 대기압이 작용하여 상기 컨트롤 밸브(20)를 상기 파워 피스톤 돌출부(34)에 밀착시켜 기밀성을 향상시키고 해지시에는 다시 진공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control valve 20 is formed with a control valve hole 31 penetrated between the power piston contact portion and the air valve contact portion, and during operation, atmospheric pressure acts inside the control valve 20 to control the control valve.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ower piston protrusion 34 to improve airtightness and to return to vacuum upon release.

그리고, 상기 컨트롤 밸브(20)에 형성된 상기 컨트롤 밸브 홀(31)은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개로 형성 가능하다.In addition, at least one or more control valve holes 31 formed in the control valve 20 may be formed.

또한, 상기 부스터(1)가 작동하지 않는 조건에서, 상기 컨트롤 밸브(20)의 내측에 립씰 형상의 내측 립씰(22)를 형성하여 상기 컨트롤 밸브(20)의 내측에 진공압이 작용하고 상기 부스터(1)의 외부에는 대기압 작용할 때, 진공 챔버쪽으로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booster 1 does not operate, a lip seal shape inner lip seal 22 is formed inside the control valve 20 so that a vacuum pressure acts on the inside of the control valve 20 and the booster is activated. When atmospher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outside of (1), leakage to the vacuum chamber can be prevented.

그리고, 상기 부스터(1)의 작동 조건에서는, 상기 부스터(1) 내부에는 진공압이 작용하고, 상기 컨트롤 밸브(20)의 외측에 외측 립씰(23)를 형성하여 내부에서 대기압 작용시, 진공 챔버 쪽으로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In operation conditions of the booster 1, a vacuum pressure is applied to the booster 1, and an outer lip seal 23 is formed outside the control valve 20 to operate the atmospheric pressure in the vacuum chamber. To prevent leakage.

또한, 서포트(16)의 외주면에 그루브(57)를 형성하고, 상기 그루브(57)에 씰링 부재(17)를 구비하여 상기 서포트(16) 및 상기 파워 피스톤(13)의 기밀성을 유지한다.In addition, a groove 57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16, and a sealing member 17 is provided on the groove 57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support 16 and the power piston 13.

여기서, 상기 컨트롤 밸브(20)는 외측에 외측 립씰(23)와 상기 씰링 부재(17)를 일체로 형성한 씰링부 일체형 컨트롤 밸브(39)로 형성 가능하다.Here, the control valve 20 can be formed as a sealing unit integrated control valve 39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lip seal 23 and the sealing member 17 on the outside.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1)의 작동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panic boost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1)는 급제동시 상기 푸쉬 로드(12)가 이와 인접하게 스테이킹으로 고정된 상기 제2 에어 밸브(25)를 순간적으로 빠르게 전진시키며, 클립(14)을 통해 일정한 단차를 유지하는 상기 파워 피스톤 돌출부(34)와 에어 밸브 돌출부(35)가 형성된 상기 파워 피스톤(13)에 의해 상기 부스터(1) 내부의 가변 챔버를 진공·대기로 변환시킨다.The automobile panic booster 1 rapidly and rapidly advances the second air valve 25 in which the push rod 12 is staking adjacent thereto during rapid braking, and maintains a constant step through the clip 14. The variable piston inside the booster 1 is converted into vacuum and atmosphere by the power piston 13 having the power piston protrusion 34 and the air valve protrusion 35.

상기 패닉 부스터(1)의 정상 작동시는, 상기 제1·제2 에어 밸브(24,25)의 테이퍼진 면이 기밀을 유지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그루브(26)를 형성하고 기밀 유지용 오링(27) 및 립씰(30) 그리고, 접시형 스프링(37)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공기 통로(28)만을 통해 공기 유입이 된다.In the normal operation of the panic booster 1, the grooves 26 are formed and the airtight O-rings are formed so that the tapered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air valves 24 and 25 remain airtight and are not separated. 27) and the lip seal 30, and the dish-shaped spring 37 is provided, the air is introduced through only the first air passage (28).

그러나, 상기 패닉 부스터(1)의 패닉 브레이킹(panic braking) 상황에서는 상기 제1·제2 에어 밸브(24,25)가 분리되면서, 제1 공기 통로(28)와 제2 공기 통로(50)가 형성되어 상기 제2 공기 통로(50)만큼의 유동 통로의 면적이 증대되며 그에 따른 공기의 유입량이 증가 되어 제동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However, in the panic braking situation of the panic booster 1, the first air passage 28 and the second air passage 50 are separated while the first and second air valves 24 and 25 are separated. It is formed to increase the area of the flow passage as much as the second air passage 50, and thus the inflow of air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braking force.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의 배력 장치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차용 패닉 부스터의 작동 상태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9 is a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larged power supply apparatus of a vehicle panic boos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an operating state of a vehicle panic boo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 section.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1)는 프론트 하우징(2), 리어 하우징(3), 푸쉬 로드(12), 파워 피스톤 돌출부(34)가 형성된 파워 피스톤(13), 리액션 디스크(42), 클립(14), 제1·제2 에어 밸브(43,44), 컨트롤 밸브(20), 그리고 제1·제2 공기 통로(49,51) 등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vehicle panic booster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front housing 2, a rear housing 3, a push rod 12, a power piston protrusion 34 Power piston 13, reaction disk 42, clip 14, first and second air valves 43 and 44, control valve 20, and first and second air passages 49 and 51, etc. It consists of.

그리고, 진공 챔버인 상기 프론트 하우징(2)과 대기압 챔버인 리어 하우징(3)으로의 진공 또는 대기의 연통을 제어하는 컨트롤 밸브(20) 및 제1·제2 에어 밸브(43,44)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한다.The control valve 20 and the first and second air valves 43 and 44 which control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vacuum or the atmosphere to the front housing 2 as the vacuum chamber and the rear housing 3 as the atmospheric pressure chamber are air. Adjust the inflow rate.

브레이크 페달(B/P)에 연계되어 입력을 전달하는 푸쉬 로드(12)와, 상기 푸쉬 로드(12)의 전진으로 입력을 전달받도록 외주면 소정 위치에 파워 피스톤 돌출부(34)가 형성된 파워 피스톤(13)의 일단 중심부에 리액션 디스크(42)가 개제된다.A power rod 13 in which a push rod 12 is connected to the brake pedal B / P and transmits an input, and a power piston protrusion 34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sh rod 12 to receive an input forward. The reaction disk 42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one end of the backplane.

그리고, 일측 단부는 상기 리액션 디스크(42)에 접하며, 타측 내경부에 상기 푸쉬 로드(12)가 접하고, 외주면 중심 소정 위치에 단차지게 클립 지지용 돌출부(3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푸쉬 로드(12)가 고정 및 지지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소정 깊이 함몰된 고정용 코킹부(32)가 형성되고, 외측 소정 위치에 단턱진 테이퍼 형상의 에어 밸브 안착용 구배면(52)를 갖는 돌출부(44')가 형성된다.In addition, one end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reaction disk 42, the push rod 12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inner diameter portion, the clip support protrusion 33 is projected to be stepp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center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push rod ( A fixing caulking portion 32 recessed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12 is fixed and supported, and a protrusion 44 'having a tapered air valve seating gradient surface 52 having a stepped shape at an outer predetermined position. Is formed.

또한, 상기 제1 에어 밸브(43)는 상기 제2 에어 밸브(44)의 구배면(52)에 접하도록 제1 에어 밸브 구배면(43')을 갖고, 일측 외주면에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된 다.In addition, the first air valve 43 has a first air valve gradient surface 43 'to be in contact with the gradient surface 52 of the second air valve 44, and is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height on one outer peripheral surface.

여기서, 상기 파워 피스톤 돌출부(34) 및 상기 에어 밸브 돌출부(35)의 단차는 클립(14)을 통해 일정하게 유지한다.Here, the step between the power piston protrusion 34 and the air valve protrusion 35 is kept constant through the clip 14.

그리고, 상기 파워 피스톤(13)에 제1 에어 밸브 지지부(28)를 구비하여, 상기 부스터(1)의 패닉 작동시, 상기 제1 에어 밸브(43)의 스트로크를 일정 수준으로 제한하고, 상기 제2 에어 밸브(44)의 상기 제2 공기 통로(51)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 에어 밸브(43)의 동심을 확보한다.In addition, the power piston 13 is provided with a first air valve support part 28 to limit the stroke of the first air valve 43 to a predetermined level during the panic operation of the booster 1, The second air passage 51 of the second air valve 44 can be opened, and concentricity of the first air valve 43 is ensured.

또한, 상기 파워 피스톤(13)에 제2 에어 밸브 지지부(29)를 구비하여, 상기 부스터(1)의 정상 또는 패닉 작동시, 부스터 작동 한계 이후 구간(runout)에서의 페달 스트로크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작동시 상기 제2 에어 밸브(44)의 동심을 확보한다.In addition, the power piston 13 is provided with a second air valve support 29 to maintain the pedal stroke in the runout after the booster operating limit at a normal or panic operation of the booster 1. To ensure concentricity of the second air valve 44 during operation.

또한, 상기 컨트롤 밸브(20)는 상기 파워 피스톤(13) 및 상기 에어 밸브 돌출부(35)와 접촉 및 씰링을 위해 구비되되, 컨트롤 밸브 스프링(19)과 에어 밸브 스프링(18)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서포트(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valve 20 is provided for contacting and sealing the power piston 13 and the air valve protrusion 35, and is provided to support the control valve spring 19 and the air valve spring 18.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support 16.

따라서, 상기 제1 에어 밸브(43)와 상기 컨트롤 밸브(20) 사이의 제1 공기 통로(49)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에어 밸브(43)와 제2 에어 밸브(44) 사이에 제2 공기 통로(51)가 형성됨으로써, 정상 작동시에는 제1 에어 밸브(43)가 작동되어 상기 제1 공기 통로(49)가 개폐되며, 패닉 작동시에는 상기 제1·제2 에어 밸브(24,25)가 분리되면서, 상기 제2 공기 통로(50)만큼의 유동 통로의 면적이 증대되며 그에 따른 공기의 유입량이 증가 되어 제동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 first air passage 49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ir valve 43 and the control valve 20, and a second air path between the first air valve 43 and the second air valve 44 is provided. As the air passage 51 is formed, the first air valve 43 is operated in the normal operation to open and close the first air passage 49, and the first and second air valves 24 in the panic operation. As 25) is separated, the area of the flow passage as much as the second air passage 50 is increased and thus the inflow of air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braking force.

또한, 패닉 브레이킹(panic bracking)시 공기 유입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제2 공기 통로(51)는 정상 작동 조건에서는 기밀을 유지하여야 하므로, 상기 제2 에어 밸브(44)에 형성된 돌출부(44')의 테이퍼 구배면(52)에 소정 깊이의 그루브(53)를 형성하고, 상기 그루브(53)에 오링(27)을 구비 및 조립하여, 상기 제2 공기 통로(51)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air passage 51 for increasing the air inflow rate during panic bracking must be kept airtight under 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taper of the protrusion 44 'formed in the second air valve 44 is maintained. A groove 53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the gradient surface 52, and the O-ring 27 is provided and assembled to the groove 53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second air passage 51.

여기서, 상기 제2 에어 밸브(44)에 형성된 돌출부(44') 외측의 구배면(52)에 형성된 상기 그루브(53)에 립 씰(30)을 구비 가능하다.Here, the lip seal 30 may be provided in the groove 53 formed on the gradient surface 52 outside the protrusion 44 ′ formed on the second air valve 44.

그리고, 상기 기밀 유지를 위한 오링(27) 또는 립씰(3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에어 밸브(43)와 제2 에어 밸브(44)를 밀착시키기 위한 접시형 스프링(36)을 상기 제2 에어 밸브(44)의 일단에 구비한다.In addition, the oval ring 27 or the lip seal 30 for maintaining the airtight, and the dish-shaped spring 36 for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first air valve 43 and the second air valve 44 is made of the first It is provided in the one end of the 2 air valve 44.

또한, 상기 접시형 스프링(36)은 중심부에 소정 직경으로 접시형 스프링 공기통로(37)가 형성되며, 상기 접시형 스프링(36)이 고정되도록 상기 제2 에어 밸브(44)의 일측 끝단부에 접시형 스프링 고정용 턱(54)을 형성한다.In addition, the dish-shaped spring 36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ish-shaped spring air passage 37 with a predetermined diameter, one side end of the second air valve 44 so that the dish-shaped spring 36 is fixed A dish spring fixing jaw 54 is formed.

그리고, 상기 컨트롤 밸브(20)는 상기 파워 피스톤(13) 및 상기 에어 밸브 돌출부(35)와 접촉 및 씰링을 위해 구비되되, 컨트롤 밸브 스프링(19)과 에어 밸브 스프링(18)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서포트(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valve 20 is provided for contacting and sealing the power piston 13 and the air valve protrusion 35, and is provided to support the control valve spring 19 and the air valve spring 18.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support 16.

여기서, 상기 컨트롤 밸브(20)는 컨트롤 밸브 홀(31)이 형성되어, 작동시에는 상기 컨트롤 밸브(20) 내측에 대기압이 작용하여 상기 컨트롤 밸브(20)를 상기 파워 피스톤 돌출부(34)에 밀착시켜 기밀성을 향상시키고 해지시에는 다시 진공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control valve 20 is formed with a control valve hole 31, during operation atmospheric pressure acts on the inside of the control valve 20 to close the control valve 20 to the power piston protrusion 34. To improve airtightness and to return to vacuum upon termination.

그리고, 상기 컨트롤 밸브(20)에 형성된 상기 컨트롤 밸브 홀(31)은 적어도 한개 이상 다수개로 형성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ntrol valve hole 31 formed in the control valve 20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r more.

또한, 상기 부스터(1)가 작동하지 않는 조건에서, 상기 컨트롤 밸브(20)의 내측에 립씰 형상의 내측 립씰(22)를 형성하여 상기 컨트롤 밸브(20)의 내측에 진공압이 작용하고 상기 부스터(1)의 외부에는 대기압 작용할 때, 진공 챔버쪽으로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booster 1 does not operate, a lip seal shape inner lip seal 22 is formed inside the control valve 20 so that a vacuum pressure acts on the inside of the control valve 20 and the booster is activated. When atmospher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outside of (1), leakage to the vacuum chamber can be prevented.

그리고, 상기 부스터(1)의 작동 조건에서는, 상기 부스터(1) 내부에는 진공압이 작용하고, 상기 컨트롤 밸브(20)의 외측에 외측 립씰(23)를 형성하여 내부에서 대기압 작용시, 진공 챔버 쪽으로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In operation conditions of the booster 1, a vacuum pressure is applied to the booster 1, and an outer lip seal 23 is formed outside the control valve 20 to operate the atmospheric pressure in the vacuum chamber. To prevent leakage.

또한, 상기 컨트롤 밸브(20)에 오링용 그루브(57)를 형성하고, 상기 오링용 그루브(57)에 씰링 부재(17)를 구비하여 상기 서포트(16) 및 상기 파워 피스톤(13)의 기밀성을 유지한다.In addition, an O-ring groove 57 is formed in the control valve 20, and a sealing member 17 is provided in the O-ring groove 57 to provide airtightness of the support 16 and the power piston 13. Keep it.

여기서, 상기 컨트롤 밸브(20)는 외측에 외측 립씰(23)와 상기 씰링 부재(17)를 일체로 형성한 씰링부 일체형 컨트롤 밸브(39)로 형성 가능하다.Here, the control valve 20 can be formed as a sealing unit integrated control valve 39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lip seal 23 and the sealing member 17 on the outsid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패닉 브레이킹(panic Braking) 상태에서 부스터의 출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2개의 에어 밸브를 각각 구비하고, 그 사이에 씰링 부재를 삽입하여, 정상적인 작동 조건에서는 정상으로 작동하고, 패닉 브레이킹 상태에서는 2개의 에어 밸브가 분리되면서, 그 사이로 제2의 공기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공기의 유입량을 증대시켜 제동력을 증대시키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two air valves, respectively, in order to maximize the output of the booster in the panic braking state, and inserts a sealing member therebetween, thereby operating normally. Under normal conditions, the two air valves can be separated in the panic braking state, forming a second air passage therebetween, increasing the inflow of air to increase braking force and improve performance. hav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서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is appropriate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Claims (28)

브레이크 페달(B/P)에 연계되어 입력을 전달하는 푸쉬 로드(12)와, 상기 푸쉬 로드(12)의 전진으로 입력을 전달받도록 외주면 소정 위치에 파워 피스톤 돌출부(34)가 형성된 파워 피스톤(13)의 일단 중심부에 리액션 디스크(42)가 개제되어 접하도록 구비된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1)에 있어서,A power rod 13 in which a push rod 12 is connected to the brake pedal B / P and transmits an input, and a power piston protrusion 34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sh rod 12 to receive an input forward. In the vehicle panic booster (1) which is provided so that the reaction disk (42)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center of one end, 일측 단부는 상기 리액션 디스크(42)에 접하며, 타측 내경부에 상기 푸쉬 로드(12)가 접하고, 외주면 중심 소정 위치에 단차지게 클립 지지용 돌출부(3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푸쉬 로드(12)가 고정 및 지지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소정 깊이 함몰된 고정용 코킹부(32)가 형성되고, 외측 소정 위치에 테이퍼진 형상의 돌출부(25')가 형성된 제2 에어 밸브(25);One end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reaction disk 42, the push rod 12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inner diameter portion, the clip support protrusion 33 is projected to be stepp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center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push rod 12 A second air valve 25 in which a fixing caulking portion 32 recess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such that the fixing and supporting are fixed, and a protrusion 25 'having a tapered shape is formed at an outer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제2 에어 밸브(25)의 테이퍼 진 형상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일측 외주면에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된 에어 밸브 돌출부(35)를 갖는 제1 에어 밸브(24);A first air valve 24 formed to contact the tapered shape of the second air valve 25 and having an air valve protrusion 35 protruding a predetermined height on on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 파워 피스톤 돌출부(34) 및 상기 에어 밸브 돌출부(35)의 일정한 단차를 유지하기 위해 구비된 클립(14);A clip (14) provided to maintain a constant step between the power piston protrusion (34) and the air valve protrusion (35); 상기 파워 피스톤(13) 및 상기 에어 밸브 돌출부(35)와 접촉 및 씰링을 위해 구비되되, 컨트롤 밸브 스프링(19)과 에어 밸브 스프링(18)을 지지하는 서포트(16), 상기 파워피스톤(13)과 서포트(16) 사이에 씰링을 위한 씰링부재(17)를 포함하고, 컨트롤밸브 관통홀(31), 내측 립씰(22) 및 외측 립씰(23)로 구성되는 컨트롤 밸브(20);It is provided for contacting and sealing the power piston 13 and the air valve protrusion 35, the support 16 for supporting the control valve spring 19 and the air valve spring 18, the power piston 13 A control valve 20 including a sealing member 17 for sealing between the support 16 and the control valve, comprising a control valve through hole 31, an inner lip seal 22, and an outer lip seal 23; 상기 제1 에어 밸브(24)와 상기 컨트롤 밸브(20) 사이의 제1 공기 통로(48); 및A first air passage (48) between the first air valve (24) and the control valve (20); And 상기 제1 에어 밸브(24)와 제2 에어 밸브(25)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공기 통로(50);A second air passage (50) formed between the first air valve (24) and the second air valve (25); 를 포함하여 이루어 짐으로써, 상기 제1 공기 통로(48)와 제2 공기 통로(50)를 통해 상기 부스터(1)의 내부로 공기 유입량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By including, the vehicle panic booster, characterized in that to increase the air inflow into the booster (1)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48) and the second air passage (50).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에어 밸브(25)에 형성된 돌출부(25')의 테이퍼 면에 소정 깊이의 그루브(26)를 형성하고, 상기 그루브(26)에 오링(2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A panic for an automobile, characterized in that a groove 26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the tapered surface of the protrusion 25 ′ formed in the second air valve 25, and the groove 26 is provided with an o-ring 27. booster.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 was abandoned when the setup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파워 피스톤(13)에 구비되되, 상기 제1 에어 밸브(24)를 지지하는 제1 에어 밸브 지지부(2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The panic booster for a vehicle, which is provided in the power piston (13) and has a first air valve support (28) for supporting the first air valve (2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파워 피스톤(13)에 구비되되, 상기 제2 에어 밸브(25)를 지지하는 제2 에어 밸브 지지부(29)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The panic booster for a vehicle, which is provided in the power piston (13) and has a second air valve support (29) for supporting the second air valve (2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에어 밸브(24) 및 제2 에어 밸브(25)를 밀착시키도록 상기 제2 에어 밸브(25) 일단부에 접시형 스프링(3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The panic booster for automobiles, comprising a dish-shaped spring (36) at one end of the second air valve (25) to bring the first air valve (24) and the second air valve (25) into close contact.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6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접시형 스프링(36)은 중심부에 소정 직경으로 접시형 스프링 공기통로(3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The pan-shaped spring 36 is a panic boost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late-shaped spring air passage (37) at a predetermined diameter in the center.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7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접시형 스프링(36)이 고정되도록 상기 제2 에어 밸브(25)의 일측 끝단부에 접시형 스프링 고정용 턱(38)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The panic booster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h-type spring fixing jaw (38)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air valve (25) so that the dish-type spring (36) is fixed.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8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상기 제2 에어 밸브(25)에 형성된 돌출부(25')의 테이퍼 진 면에 소정 깊이의 그루브(26)를 형성하고, 상기 그루브(26)에 립 씰(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An automobile, characterized in that a groove 26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the tapered surface of the protrusion 25 ′ formed in the second air valve 25, and the lip seal 30 is provided in the groove 26. Dragon Panic Booster.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9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컨트롤 밸브(20)에 컨트롤 밸브 홀(31)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Panic booster for car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valve hole 31 is penetrated through the control valve (2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0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registration fee.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컨트롤 밸브(20)에 형성된 컨트롤 밸브 홀(31)은 적어도 한 개 이상 다수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The control valve hole 31 formed in the control valve 20 is at least one car panic boost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plural.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1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registration fe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컨트롤 밸브(20)의 내측에 내측 립씰(22)을 형성하여 외부에서 대기압 작용시, 진공 챔버 쪽으로 누설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The inner lip seal 22 is formed inside the control valve 20 to prevent leakage to the vacuum chamber when the atmospheric pressure from the outsid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panic booster.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2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컨트롤 밸브(20)의 외측에 외측 립씰(23)을 형성하여 내부에서 대기압 작용시, 진공 챔버 쪽으로 누설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An outer lip seal (23)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ontrol valve (20) to prevent leakage to the vacuum chamber when atmospheric pressure acts inside the car panic booster.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3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컨트롤 밸브(20)의 립씰(30)에 상기 서포트(16) 및 상기 파워 피스톤(13)의 기밀성 유지를 위하여 그루브(57)를 형성하고, 상기 그루브(57)에 씰링 부재(1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A groove 57 is formed on the lip seal 30 of the control valve 20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support 16 and the power piston 13, and the groove 57 is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17. Car panic booster,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4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컨트롤 밸브(20)는 외측에 외측 립씰(23)과 상기 씰링 부재(17)를 일체로 형성한 씰링부 일체형 컨트롤 밸브(39)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The control valve (20) is a panic booster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lip seal (23) and the sealing member integrated control valve (39) formed integrally formed on the outside.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5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브레이크 페달(B/P)에 연계되어 입력을 전달하는 푸쉬 로드(12)와, 상기 푸쉬 로드(12)의 전진으로 입력을 전달받도록 외주면 소정 위치에 파워 피스톤 돌출부(34)가 형성된 파워 피스톤(13)의 일단 중심부에 리액션 디스크(42)가 개제되어 접하도록 구비된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1)에 있어서,A power rod 13 in which a push rod 12 is connected to the brake pedal B / P and transmits an input, and a power piston protrusion 34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sh rod 12 to receive an input forward. In the vehicle panic booster (1) which is provided so that the reaction disk (42)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center of one end, 일측 단부는 상기 리액션 디스크(42)에 접하며, 타측 내경부에 상기 푸쉬 로드(12)가 접하고, 외주면 중심 소정 위치에 단차지게 클립 지지용 돌출부(3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푸쉬 로드(12)가 고정 및 지지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소정 깊이 함몰된 고정용 코킹부(32)가 형성되고, 외측 소정 위치에 단턱진 테이퍼 형상의 에어 밸브 안착용 구배면(52)를 갖는 돌출부(44')가 형성된 제2 에어 밸브(44);One end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reaction disk 42, the push rod 12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inner diameter portion, the clip support protrusion 33 is projected to be stepp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center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push rod 12 Fixing caulking portion 32 recessed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be fixed and supported, and a protrusion 44 'having a tapered air valve seating gradient surface 52 having a stepped shape at an outer predetermined position is formed. Second air valve 44; 상기 제2 에어 밸브(44)의 구배면(52)에 접하도록 제1 에어 밸브 구배면(45')을 갖고, 일측 외주면에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된 에어 밸브 돌출부(35)가 형성된 제1 에어 밸브(43);A first air valve having a first air valve gradient surface 45 'to be in contact with the gradient surface 52 of the second air valve 44, and having an air valve protrusion 35 protruding a predetermined height on on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43); 상기 파워 피스톤 돌출부(34) 및 상기 에어 밸브 돌출부(35)의 일정한 단차를 유지하기 위해 구비된 클립(14);A clip (14) provided to maintain a constant step between the power piston protrusion (34) and the air valve protrusion (35); 상기 파워 피스톤(13) 및 상기 에어 밸브 돌출부(35)와 접촉 및 씰링을 위해 구비되되, 컨트롤 밸브 스프링(19)과 에어 밸브 스프링(18)을 지지하는 서포트(16), 상기 파워피스톤(13)과 상기 서포트(16) 사이의 씰링을 위한 씰링부재(17)를 포함하고, 컨트롤 밸브 관통홀(31), 내측립씰(22) 및 외측립씰(27)으로 구성되는 컨트롤 밸브(20);It is provided for contacting and sealing the power piston 13 and the air valve protrusion 35, the support 16 for supporting the control valve spring 19 and the air valve spring 18, the power piston 13 A control valve 20 including a sealing member 17 for sealing between the support 16 and a control valve through hole 31, an inner lip seal 22, and an outer lip seal 27; 상기 제1 에어 밸브(43)와 상기 컨트롤 밸브(20) 사이의 제1 공기 통로(49); 및A first air passage (49) between the first air valve (43) and the control valve (20); And 상기 제1 에어 밸브(43)와 제2 에어 밸브(44)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공기 통로(51);A second air passage (51) formed between the first air valve (43) and the second air valve (44); 상기 제1 에어 밸브(43)와 상기 제2 에어 밸브(44)를 밀착시키기 위한 접시형스프링(36);A dish-shaped spring (36) for bringing the first air valve (43)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air valve (44); 를 포함하여 이루어 짐으로써, 상기 제1 공기 통로(49)와 제2 공기 통로(51)를 통해 상기 부스터(1)의 내부로 공기 유입량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By including, the vehicle panic booster, characterized in that to increase the air inflow into the booster (1)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49) and the second air passage (51).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6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registration fee.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제2 에어 밸브(44)에 형성된 돌출부(44')의 테이퍼 형상의 상기 에어 밸브 안착용 구배면(52)에 소정 깊이의 그루브(53)를 형성하고, 상기 그루브(53)에 오링(4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A groove 53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the tapered shape of the air valve seating gradient surface 52 of the protrusion 44 ′ formed on the second air valve 44, and an o-ring 47 is formed on the groove 53. Panic booster for car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7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파워 피스톤(13)에 구비되되, 상기 제1 에어 밸브(43)를 지지하는 제1 에어 밸브 지지부(4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The panic booster for a vehicle, which is provided in the power piston (13) and has a first air valve support part (45) for supporting the first air valve (43).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8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파워 피스톤(13)에 구비되되, 상기 제2 에어 밸브(44)를 지지하는 제2 에어 밸브 지지부(4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The panic booster for a vehicle, which is provided in the power piston (13) and has a second air valve support (46) for supporting the second air valve (44).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9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제1 에어 밸브(43) 및 제2 에어 밸브(44)를 밀착시키도록 상기 제2 에어 밸브(44)의 일단에 접시형 스프링(3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The panic booster for automobiles provided with a dish-type spring (36) at one end of the second air valve (44) to bring the first air valve (43) and the second air valve (44) into close contact.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0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접시형 스프링(36)은 중심부에 소정 직경으로 접시형 스프링의 공기통로(3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The pan-shaped spring (36) is a panic boost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air passage (37) of the dish-shaped spring at a predetermined diameter in the center.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1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2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접시형 스프링(36)이 고정되도록 상기 제2 에어 밸브(44)의 일측 끝단부에 접시형 스프링 고정용 턱(5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The panic booster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h-type spring fixing jaw (54)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air valve (44) so that the dish-type spring (36) is fixed.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2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제2 에어 밸브(44)에 형성된 돌출부(44')의 테이퍼 형상의 상기 에어 밸브 안착용 구배면(52)에 소정 깊이의 그루브(53)를 형성하고, 상기 그루브(53)에 립씰(5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A groove 53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the tapered shape of the air valve seating slope 52 of the protrusion 44 ′ formed on the second air valve 44, and a lip seal 55 is formed on the groove 53. Panic booster for car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3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컨트롤 밸브(20)에 컨트롤 밸브 홀(31)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Panic booster for car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valve hole 31 is penetrated through the control valve (20).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4 was abandoned when the setup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2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컨트롤 밸브(20)에 형성된 컨트롤 밸브 홀(31)은 적어도 한 개 이상 다수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The control valve hole 31 formed in the control valve 20 is at least one car panic boost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plural.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5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컨트롤 밸브(20)의 내측에 내측 립씰(22)을 형성하여 외부에서 대기압 작용시, 진공 챔버 쪽으로 누설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The inner lip seal 22 is formed inside the control valve 20 to prevent leakage to the vacuum chamber when the atmospheric pressure from the outsid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panic booster.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6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컨트롤 밸브(20)의 외측에 외측 립씰(23)을 형성하여 내부에서 대기압 작용시, 진공 챔버 쪽으로 누설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An outer lip seal (23)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ontrol valve (20) to prevent leakage to the vacuum chamber when atmospheric pressure acts inside the car panic booster.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7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서포트(16) 및 상기 파워 피스톤(13)의 기밀성 유지를 위하여 상기 서포트(16)의 외주면에 오링용 그루브(57)를 형성하고, 상기 오링용 그루브(57)에 씰링 부재(1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In order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support 16 and the power piston 13, an o-ring groove 57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16, and the o-ring groove 57 is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17. Car panic booster,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2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8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컨트롤 밸브(20)는 외측에 외측 립씰(23)과 상기 씰링 부재(17)를 일체로 형성한 씰링부 일체형 컨트롤 밸브(39)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The control valve (20) is a panic booster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lip seal (23) and the sealing member integrated control valve (39) formed integrally formed on the outside.
KR1020060124447A 2006-12-08 2006-12-08 Panic Booster for a Vehicle KR1009204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447A KR100920467B1 (en) 2006-12-08 2006-12-08 Panic Booster for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447A KR100920467B1 (en) 2006-12-08 2006-12-08 Panic Booster for a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802A KR20080052802A (en) 2008-06-12
KR100920467B1 true KR100920467B1 (en) 2009-10-14

Family

ID=39807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4447A KR100920467B1 (en) 2006-12-08 2006-12-08 Panic Booster for a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046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827B1 (en) * 2008-09-11 2009-06-09 한국델파이주식회사 Brake booster for vehicles with panic braking function
KR101292258B1 (en) * 2010-03-31 2013-08-01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ower cylinder of break booster
KR101320876B1 (en) * 2010-03-31 2013-10-23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ower cylinder of break booster
KR101913866B1 (en) * 2012-12-27 2018-12-2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Modu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7167A (en) 1997-06-27 2002-03-05 ボッシュ システマス デ フレナド ソシエダッド リミタダ Pneumatic brake booster with improved valve
KR20050035435A (en) * 2003-10-13 2005-04-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Brake booster device
KR20050040585A (en) * 2003-10-29 2005-05-03 서한산업(주) Brake booster
KR20060019346A (en) * 2004-08-27 2006-03-03 한국델파이주식회사 Brake booster provided with a structure to prevent a power piston from being distorte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7167A (en) 1997-06-27 2002-03-05 ボッシュ システマス デ フレナド ソシエダッド リミタダ Pneumatic brake booster with improved valve
KR20050035435A (en) * 2003-10-13 2005-04-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Brake booster device
KR20050040585A (en) * 2003-10-29 2005-05-03 서한산업(주) Brake booster
KR20060019346A (en) * 2004-08-27 2006-03-03 한국델파이주식회사 Brake booster provided with a structure to prevent a power piston from being distor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802A (en) 200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372B1 (en) Brake for vehicle
JPS599973Y2 (en) Master cylinder with brake booster
KR100920467B1 (en) Panic Booster for a Vehicle
JPS5996050A (en) Brake drive
JP2004115006A (en) Vacuum servo brake for booster brake system for vehicle with prime motor
KR101026076B1 (en) Negative pressure booster
JP2622032B2 (en) Poppet retainer for control valve
US8196505B2 (en) Brake booster
JP2000108880A (en) Negative pressure type booster
KR100767305B1 (en) Booster of brake for a vehicle
JP2001106053A (en) Vacuum booster
KR20000013677A (en) Device for power distributing of brake for motor vehicle
KR101283442B1 (en) Brake Booster
KR20090050254A (en) Panic assist booster for a vehicle
KR100413388B1 (en) Brake booster for car
JP2000177578A (en) Negative pressure type booster
KR19990050617A (en) Easy booster booster
JP2004058959A (en) Pneumatic booster
JPH0858565A (en) Air pressure type booster
KR100423766B1 (en) Brake booster for automobile
JP4502527B2 (en) Negative pressure booster
KR20090106088A (en) Panic assist booster for a vehicle
JP4538775B2 (en) Brake actuator
KR200286151Y1 (en) Low pressure accumulator with anti-lock brake system
KR100677848B1 (en) Brake booster for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