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3728A - 위치 기반 서비스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 서비스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3728A
KR20080063728A KR1020080048276A KR20080048276A KR20080063728A KR 20080063728 A KR20080063728 A KR 20080063728A KR 1020080048276 A KR1020080048276 A KR 1020080048276A KR 20080048276 A KR20080048276 A KR 20080048276A KR 20080063728 A KR20080063728 A KR 20080063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contents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080048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3728A/ko
Publication of KR20080063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728A/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서비스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컨텐츠-하나 이상의 위치정보와 연관된 컨텐츠-를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 휴대폰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확인 또는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또는 추출된 컨텐츠가 사용자 휴대폰에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치기반, 컨텐츠, 무선통신장치

Description

위치 기반 서비스 운용 방법{Method for Operating Location Based Service}
도1은 위치 기반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와 독립형 측위부가 탑재된 무선통신장치에 대한 간단한 도면이다.
도2는 위치 기반 컨텐츠가 저장되고, 독립형 측위부가 구비된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한 간단한 도면이다.
도3은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위치 기반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무선통신장치에 구비된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4는 무선통신장치의 저장 매체에 구비된 위치 기반 컨텐츠와 독립형 측위부가 생성하는 무선통신장치 위치 정보를 근거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제어부 105 : 메모리부
110 : 위치 기반 컨텐츠(DB) 115 : 위치 정보(DB)
* 120 : 무선 처리부 125 : 음성 처리부
130 : 키 입력부 135 : 화면 출력부
140 : ICC(Integrated Circuit Chip) 145 : 독립형 측위부
150 : 위치 정보 생성부 155 : GPS 칩셋
본 발명은 컨텐츠-하나 이상의 위치정보와 연관된 컨텐츠-를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 휴대폰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확인 또는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또는 추출된 컨텐츠가 사용자 휴대폰에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장치에 대한 위치 추적 및/또는 측위 방법에는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에 저장된 무선통신장치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셀 아이디 기반 측위 방법, 이동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를 이용하여 무선통신장치의 위치를 추적하는 네트워크 기반 측위 방법, 그리고 측위 칩셋(Chipset)을 무선통신장치 내부에 탑재하는 칩셋 기반 측위 방법 등이 존재하며, 최근에는 인공위성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칩셋을 이용하는 GPS 칩셋 기반 측위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무선통신장치에 적용되는 측위 방법을 이용하는 기존의 위치 기반 서비스는 서버 의존형(Server Dependent) 위치 기반 서비스이다.
즉, 기존 위치 기반 서비스의 일반적인 제공 과정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위 방법을 통해 획득된 무선통신장치에 대한 위치 정보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망 상의 측위 서버로 전송되고, 측위 서버는 상기 무선통신장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 분배하고,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해당 무선통신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추출 및/또는 생성하한 후, SMS를 포함하는 푸시형(Push Style) 메시지 전송 방법을 통해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 제공에 대한 승인을 얻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제공에 대한 승인을 득한 무선통신장치로 해당 컨텐츠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기존 위치 기반 서비스는, 이동 통신사 입장에서 무선통신장치의 위치를 실시간 추적함으로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기반 부가 정보(예컨대, 위치 기반 고객관계관리(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정보 등)를 축적하는 것이 가능하고, 컨텐츠 제공 서버 입장에서 무선통신장치에 대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실시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특징이 있으나, 반면 무선통신장치 사용자 입장에서 위치 이동에 따라 불필요한 정보를 제공받거나, 복수개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복 수개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을 승인하는 요청이 폭주하거나, 또는 무선통신장치 위치를 불필요하게 노출하여 사생활을 침해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츠-하나 이상의 위치정보와 연관된 컨텐츠-를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 휴대폰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확인 또는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또는 추출된 컨텐츠가 사용자 휴대폰에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운용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위치 정보가 삽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기반 컨텐츠를 무선통신장치로 다운로드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무선통신장치에 탑재된 독립형 측위부가 주기적으로,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통신장치 측위 명령을 근거로, 해당 무선통신장치의 현재 위치를 측위 하고, 상기 측위 정보를 근거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위치 기반 컨텐츠 중에서 현재 무선통신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기반 컨텐츠를 검색 및/또는 추출하고,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기반 컨텐츠 정보를 무선통신장치 화면에 출력 및/또는 알람을 통해 무선통신장치 사용자에게 공지하여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를 사용하는 단계 등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한 독립형 위치 기반 서비스 운용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운용 방법은, 컨텐츠-하나 이상의 위치정보와 연관된 컨텐츠-를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 휴대폰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확인 또는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또는 추출된 컨텐츠가 사용자 휴대폰에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는, 할인 쿠폰, 티켓, 광고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는, 벨소리 금지 구역 위치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폰을 자동으로 진동으로 전환하거나, 또는 벨소리 금지 구역 위치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폰을 진동으로 전환하도록 사용자에게 공지하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 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무선통신장치에 구비되는 독립형 측위부는 GPS를 이용하는 측위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하 도면과 설명은 GPS를 이용하는 측위 방법을 통해 위치 기반 컨텐츠를 이용한 독립형 위치 기반 서비스 운용 방법을 설명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이 GPS를 이용한 측위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GPS를 이용한 측위 방법은 이론적으로 수 센티미터 이내의 측위 오차를 포함하고 있으나, GPS를 이용한 측위 결과가 부적절하게 오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 민간에서 사용하는 측위 오차는 수백 미터 이상이다. 따라서, 실제로 GPS를 이용한 측위 방법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수백 미터의 측위 오차를 보정하여 십 수 미터 이내로 줄이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도면과 설명에서 상기와 같은 GPS를 이용한 측위 방법의 측위 오차 보정 시스템 및/또는 보정 방법을 포함하는 것이 오히려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으므로 이하 도면과 설명에서 생략한다.
도면1은 위치 기반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와 독립형 측위부(145)가 탑재된 무선통신장치에 대한 간단한 도면이다.
도면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장치는 이동 통신망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제어부(100)와 키 입력부(130)와 화면 출력부(135)와 무선 처리부(120)와 음성 처리부(125)와 메모리(105) 및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한다.
제어부(100)는 무선통신장치가 부팅되는 과정 및/또는 부팅된 후 로드(Load)되는 운영 체제 및 단말기 제어 관리 프로그램과 무선통신장치 에이전트(Agent) 들의 총칭으로서, 무선통신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제어부(100)는 무선 처리부(120)를 통해 무선통신장치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기반 컨텐츠를 해당 무선통신장치 내부 메모리부(105) 및/또는 CAD(Chip Acceptance Device)를 통해 해당 무선통신장치와 연결된 ICC(Integrated Circuit Chip)(140) 등에 저장하고, 독립형 측위부(145)를 통해 추출 및/또는 생성되는 위치 정보를 해당 무선통신장치 내부 메모리부(105)에 임시 저장하고, 상기 무선통신장치 메모리부(105)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무선통신장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기반 컨텐츠를 검색 및/또는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 기반 컨텐츠 정보를 화면 출력부(135)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음성 처리부(125)를 통해 출력하는 기능 등과 같은 일련의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메모리부(105)는 무선통신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에 의한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등이 저장되는 공간 및/또는 저장 영역의 총칭으로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이나 FM(Flash Memory) 등의 형태로 무선통신장치에 탑재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메모리부(10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기반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여유 공간(110)과, 메모리부(105)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기반 컨텐츠에 포함된 각각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그램 및/또는 독립형 측위부(145)에서 측위된 무선통신장치 위치 정보를 임시 저장할 수 있는 여유 공간(115)과,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기반 컨텐츠를 추출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무선 처리부(120)는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통신장치와 이동 통신망 상의 기지국 사이에 송수신되는 무선 통신 구간의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를 처리하는 기존 무선 처리부(120)의 기능을 그대로 포함하되, 추가적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기반 컨텐츠를 수신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음성 처리부(125)는 제어부(100)를 통해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무선 처리부(120)로 전달하고, 무선 처리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여 스피커에 음성 신호로서 출력하는 기존 음성 처리부의 기능을 그대로 포함하되, 추가적으로 무선통신장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기반 컨텐츠 정보를 사운드를 통해 무선통신장치 사용자에게 공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키 입력부(130)는 다수의 숫자키(Number Key)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키(Character Key), 그리고 기능키(Function Key)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누를 때 해당되는 키 데이터(Key Data)를 발생하여 제어부(100)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키 입력부(130)는 독립형 측위부(145)를 통해 현재 무선통신장치의 위치를 측위 하는 명령을 발생하는 기능과, 독립형 측위부(145)를 통해 추출 및/또는 생성된 무선통신장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기반 컨텐츠 중에서 무선통신장치로 제공받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기반 컨텐츠를 선택하는 기능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00)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한다.
화면 출력부(135)는 키 입력부(130)에서 발생되는 키 데이터 및 제어부(100)의 각종 정보 신호를 입력받아 화면에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화면 출력부(135)는 제어부(100)에 의해 위치 기반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화면에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통신장치에는 위치 기반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로서 위하여 ISO/IEC 7816 및/또는 ISO/IEC 14443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CC(Integrated Circuit Chip) 표준 규격 및/또는 EMV(Europay, MasterCard, Visa)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 ICC 규격을 만족하는 ICC(140)가 탑재된다.
상기 ICC(140)에는 ISO/IEC 7816에 정의된 ICC 저장 정보의 형태로 CAD(Chip Acceptance Device)를 통해 위치 기반 컨텐츠가 저장 및/또는 추출되는 것이 가능한데, ICC(140)에 저장되는 위치 기반 컨텐츠는 할인 쿠폰과 같은 금융 및/또는 결제 관련 위치 기반 컨텐츠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통신장치에는 GPS를 이용하는 독립형 측위부(145)가 구비된다.
GPS를 이용하는 측위 방법은 위성측위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인공 위성으로부터 발사되는 신호가 무선통신장치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전파지연 시간을 측정하고, 무선통신장치에 구비된 독립형 측위부(145)가 해당 무선통신장치에서 위성까지의 거리를 구하고, 삼각법을 통해 해당 무선통신장치의 위치를 정밀하게 결정하는 측위 방법이다.
상기 GPS를 이용하는 측위 방법은 지구궤도를 공전하는 인공 위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타원체 장반경, 타원체 단반경, 타원체 편평률, 지구의 각속도, 및 지구의 중력상수 등을 변수로 사용하는 WGS-84(World Geodetic System, 1984) 타원체를 기준 좌표계로 사용한다. 그런데, 우리가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지도는 타원체의 지구를 평면에 도시한 기준 좌표계(예컨대, 베셀(Bessel) 좌표계)를 사용한다.
만약 위치 기반 컨텐츠에 포함된 위치 정보가 WSG-84 좌표계가 아니라면, 무선통신장치 내부에서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WSG-84 좌표계로 환산하는 과정이 포함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환산 과정은 열악한 무선통신장치에서 처리되는 것은 무리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서는 위치 기반 컨텐츠에 포함되는 위치 정보는 GPS를 이용한 측위 방법이 사용하는 WSG-84 좌표계로 환산되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위치 기반 컨텐츠에 포함되는 위치 정보가 임의의 기준 좌표계를 사용한다면, 무선통신장치가 무선통신장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기반 컨텐츠를 검색 및/또는 추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에 포함된 임의의 기준 좌표계를 WSG-84 좌표계로 환산하는 과정이 포함되어야 함은 명백하다.
무선통신장치에 구비된 독립형 측위부(145)는 위치 정보 생성부(150)와 GPS 칩셋(155)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GPS 칩셋은 인공위성으로부터 제공받는 측위 정보를 근거로 해당 무선통신장치의 위치를 산출하는 기능이 구비된 집적회로로서, 무선통신장치의 무선 처리부(120) 및/또는 GPS 칩셋(155) 내부에 포함된 무선 통신부 등을 통해 인공위성으로부터 측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측위 정보를 근거로 GPS 위치 산출 방식에 따라 해당 무선통신장치의 측위 결과를 산출한다.
위치 정보 생성부(150)는 GPS 칩셋(155)이 산출한 무선통신장치 측위 결과를 근거로 무선통신장치에 구비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위치 기반 컨텐츠에 포함된 위치 정보와 비교 분석하기 위한 무선통신장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데, 상기 위치 정보 생성부(150)가 생성한 무선통신장치 위치 정보는 무선통신장치에 구비된 메모리부(105)에 임시 저장된다.
도면2는 위치 기반 컨텐츠가 저장되고, 독립형 측위부(145)가 구비된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한 간단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독립형 측위부(145)가 구비된 무선통신장치는 상기 독립형 측위부(145)를 이용한 무선통신장치의 위치를 측위 하기 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본 발명이 제시하는 위치 기반 컨텐츠를 제공받아 해당 무선통신장치에 구비된 저장 매체에 저장한다.
따라서, 무선통신장치는 무선 데이터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망(210)과 게이트웨이를 거쳐 위치 기반 컨텐츠가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 연결된다.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무선통신장치에 구비된 독립형 측위부(145)의 측위 결과로서 추출 및/또는 생성되는 무선통신장치 위치 정보와 동일한 또는 호환되는 임의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기반 컨텐츠 D/B(205)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 D/B(205)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맹점에 대한 위치 정보가 포함된 위치 기반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위치 기반 컨텐츠와 독립형 측위부(145)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가 제공되지 전에 해당 무선통신장치로 다운로드 되어 해당 무선통신장치에 구비된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 기반 컨텐츠와 독립형 측위부(145)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위치 기반 컨텐츠에 포함된 위치 정보와, 독립형 측위부(145)가 측위하는 무선통신장치의 위치 정보 형태에 따라 구분된다.
예컨대, 도면2의 (가)와 같이 위치 기반 컨텐츠에 포함된 위치 정보가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점의 위치점(X1, Y1)을 포함하고, 독립형 측위부(145)가 생성하는 무선통신장치 위치 정보가 현재 무선통신장치가 위치한 위치점(X, Y)과 반경(R)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상점의 위치점이 무선통신장치 위치점을 기준으로 반경 안에 존재한다면, 해당 위치 기반 컨텐츠는 상기 무선통신장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기반 컨텐츠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도면2의 (나)와 같이 위치 기반 컨텐츠에 포함된 위치 정보가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점의 위치영역((X1, Y1), (X2, Y2))을 포함하고, 독립형 측위부(145)가 생성하는 무선통신장치 위치 정보가 현재 무선통신장치가 위치한 위치점(X, Y)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상점의 위치 영역안에 무선통신장치 위치점이 존재한다면, 해당 위치 기반 컨텐츠는 상기 무선통신장치 위치 정보에 대응하 는 위치 기반 컨텐츠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3은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위치 기반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무선통신장치에 구비된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간단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위치 기반 컨텐츠를 무선통신장치로 다운로드하여 해당 무선통신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방법은, 컨텐츠 제공 서버(200)가 푸시 기술(Push Technology)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기반 컨텐츠를 무선통신장치에 다운로드 시키는 경우와, 무선통신장치가 풀 기술(Pull Technology)을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기반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경우 등이 존재하는데, 본 도면3은 풀 기술을 통해 무선통신장치가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기반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무선통신장치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을 요청하면(300),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위치 기반 컨텐츠 D/B(205)에 저장된 위치 기반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기반 컨텐츠를 추출하고(305),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에 포함된 위치 정보와 해당 무선통신장치에 구비된 독립형 측위부(145)와 호환되는지 여부를 확인한 다(310).
예컨대, 위치 기반 컨텐츠에 포함된 위치 정보는 WSG-84 기준 좌표계를 근거로 생성된 위치 정보이어야 한다.
또는, 독립형 측위부(145)가 생성하는 무선통신장치 위치 정보가 도면2의 (가)와 같이 해당 무선통신장치 위치점과 반경을 생성한다면,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에 포함된 위치 정보는 위치점 형태이어야 한다.
또는, 독립형 측위부(145)가 생성하는 무선통신장치 위치 정보가 도면2의 (나)와 같이 해당 무선통신장치 위치점이라면,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에 포함된 위치 정보는 위치영역 형태이어야 한다.
만약 위치 기반 컨텐츠에 포함된 위치 정보와 무선통신장치에 구비된 독립형 측위부(145)가 생성하는 무선통신장치 위치 정보가 호환되지 않는다면(315),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위치 기반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무선통신장치에 구비된 독립형 측위부(145)와 호환되도록 가공한다(320).
반면 위치 기반 컨텐츠에 포함된 위치 정보와 무선통신장치에 구비된 독립형 측위부(145)가 생성하는 무선통신장치 위치 정보가 호환되거나, 또는 호환되도록 가공하였다면(325), 무선통신장치는 해당 무선통신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 매체 중에서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가 저장될 저장 매체를 선택한다(330).
상기와 같이 위치 기반 컨텐츠가 저장될 저장 매체가 선택되면,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를 해당 저장 매체에 저장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한다(335).
예컨대,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는 무선통신장치에 구비된 메모리부(105)에 저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무선통신장치는 제조사마다 각기 다른 운영체제가 탑재되어 있으며, 또한 파일 시스템이 서로 다르다. 따라서,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이동 통신망 상의 HLR(Home Location Register)/VLR(Visitor Location Register)에 저장된 무선통신장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를 해당 무선통신장치에 저장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한다.
또는,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는 무선통신장치에 구비된 ICC(140)에 저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를 ISO/IEC 7816 및/또는 ISO/IEC 14443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CC(Integrated Circuit Chip) 표준 규격 및/또는 EMV(Europay, MasterCard, Visa)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 ICC 규격에 따라 ICC 저장 정보 형태로 가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200)가 위치 기반 컨텐츠를 무선통신장치에 구비된 저장 매체에 저장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하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무선통신장치로 전송하고(340), 무선통신장치는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를 선택된 저장 매체에 저장한다(345).
본 발명의 한가지 특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무선통신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 위치 기반 컨텐츠는 도면4에서 위치 정보 검색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위치 기반 컨텐츠에 포함된 위치 정보만 분리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상기와 같이 무선통신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 위치 기반 컨텐츠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분리하여 저장하지 않는다면(350), 위치 기반 컨텐츠를 무선통신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과정은 정상 종료된다.
반면 무선통신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 위치 기반 컨텐츠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분리하여 저장하도록 결정하였다면(355), 무선통신장치는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에 포함된 위치 정보의 빠른 검색을 위해 위치 기반 컨텐츠의 위치 정보만 추출하여 분리 저장한다(360).
도면4는 무선통신장치의 저장 매체에 구비된 위치 기반 컨텐츠와 독립형 측위부(145)가 생성하는 무선통신장치 위치 정보를 근거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무선통신장치에 구비된 독립형 측위부(145)가 해당 무선통신장치의 위치 정보를 측위하는 과정은, 무선통신장치의 키 입력부(130)를 통해 독립형 측위부(145)로 현재 무선통신장치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도록 요청하는 경우와, 상기 독립형 측위부(145)가 주기적으로 해당 무선통신장치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통신장치에 구비된 메모리부(105)에 임시 저장하는 경우 등이 있으며, 본 도면4는 무선통신장치의 키 입력부(130)를 통해 독립형 측위부(145)로 현재 무선통신장치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도록 요청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무선통신장치의 키 입력부(130)를 통해 독립형 측위부(145)로 현재 무선통신장치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도록 요청하면(400), 독립형 측위부(145)는 GPS를 이용한 독립형 측위 방법을 통해 무선통신장치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고(405), 독립형 측위부(145)가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위치를 근거로 해당 무선통신장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410).
예컨대, 상기와 같이 생성된 무선통신장치에 대한 위치 정보는 도면2의 (가)와 같이 위치점과 반경의 형태가 가능하며, 또는 도면2의 (나)와 같이 위치점 등의 형태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독립형 측위부(145)가 현재 무선통신장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면, 무선통신장치는 상기 무선통신장치에 대한 위치 정보와 무선통신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 위치 기반 컨텐츠의 위치 정보 등을 근거로 무선통신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부(105)에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415).
만약 상기 과정에서 독립형 측위부(145)에 대응하는 위치 기반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다면(420), 무선통신장치는 위치 기반 컨텐츠와 독립형 측위부(145)가 생성하는 무선통신장치 위치 정보를 근거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종료한다.
반면 독립형 측위부(145)에 대응하는 위치 기반 컨텐츠가 존재한다면(425), 무선통신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 위치 기반 컨텐츠 중에서 현재 무선통신장치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기반 컨텐츠를 추출하고(430), 상기와 같이 추출된 위치 기반 컨텐츠 정보를 무선통신장치 화면 출력부(135)를 통해 상기와 같이 추출된 위치 기반 컨텐츠를 무선통신장치 화면 출력부(135)에 출력한다(435).
상기와 같이 무선통신장치 화면 출력부(135)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기반 컨텐츠 정보가 출력되면, 무선통신장치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출력된 위치 기반 컨텐츠 중에서 현재 사용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기반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상기 과정에서 위치 기반 컨텐츠가 선택되지 않는다면(440), 위치 기반 컨텐츠와 독립형 측위부(145)를 통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이 종료된다.
반면 상기 과정에서 위치 기반 컨텐츠가 선택된다면(445), 무선통신장치는 상기와 같이 선택된 위치 기반 컨텐츠를 근거로 독립형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450). 예컨대, 위치 기반 컨텐츠가 할인 쿠폰이라면, 무선통신장치는 위치 기반 컨텐츠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점에서 상기 할인 쿠폰을 이용한 할인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독립형 측위부가 구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위치 정보가 삽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기반 컨텐츠 를 무선통신장치로 다운로드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 매체에 저장하고, 무선통신장치에 탑재된 독립형 측위부가 주기적으로,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통신장치 측위 명령을 근거로, 해당 무선통신장치의 현재 위치를 측위 하고, 상기 측위 정보를 근거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위치 기반 컨텐츠 중에서 현재 무선통신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기반 컨텐츠를 검색 및/또는 추출하고,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기반 컨텐츠 정보를 무선통신장치 화면에 출력 및/또는 알람을 통해 무선통신장치 사용자에게 공지하여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를 사용하는 과정을 통해 위치 정보가 삽입된 위치 기반 컨텐츠를 이용한 독립형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위치 기반 서비스 방식에서, 무선통신장치 사용자가 위치 이동에 따라 제공받던 불필요한 정보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또한 무선통신장치 위치의 불필요한 노출에 대한 사생활 등의 침해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개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복수개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의 승인 요청에 따라 발생 가능한 네트워크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컨텐츠-하나 이상의 위치정보와 연관된 컨텐츠-를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휴대폰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확인 또는 추출하는 단계;
    상기 확인 또는 추출된 컨텐츠가 사용자 휴대폰에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운용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할인 쿠폰, 티켓, 광고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운용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벨소리 금지 구역 위치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폰을 자동으로 진동으로 전환하거나, 또는
    벨소리 금지 구역 위치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폰을 진동으로 전환 하도록 사용자에게 공지하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운용 방법.
KR1020080048276A 2008-05-23 2008-05-23 위치 기반 서비스 운용 방법 KR200800637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276A KR20080063728A (ko) 2008-05-23 2008-05-23 위치 기반 서비스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276A KR20080063728A (ko) 2008-05-23 2008-05-23 위치 기반 서비스 운용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772A Division KR101073589B1 (ko) 2003-05-23 2003-05-23 위치 기반 컨텐츠를 사용하는 무선통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728A true KR20080063728A (ko) 2008-07-07

Family

ID=39815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276A KR20080063728A (ko) 2008-05-23 2008-05-23 위치 기반 서비스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372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849B1 (ko) * 2010-03-04 2012-02-28 오큐브 주식회사 위치연동 컨텐츠 제공 시스템, 위치연동 컨텐츠 이용 단말기 및 위치연동 컨텐츠의 이용방법
KR20130123973A (ko) * 2012-05-04 2013-11-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영역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26752A (ko) 2014-05-02 2015-11-1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정보를 구비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 위치 정보 제공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849B1 (ko) * 2010-03-04 2012-02-28 오큐브 주식회사 위치연동 컨텐츠 제공 시스템, 위치연동 컨텐츠 이용 단말기 및 위치연동 컨텐츠의 이용방법
KR20130123973A (ko) * 2012-05-04 2013-11-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영역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26752A (ko) 2014-05-02 2015-11-1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정보를 구비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 위치 정보 제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49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ctor processing on behalf of image aperture aim
US20140164280A1 (en) Shipping address determination based on device location
CN112232801B (zh) 一种电子交易的方法及终端
CN103548401A (zh) 使用近场通信的服务增强
US93834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atellite navigation signal based on software
CN102075861A (zh) 一种实现数据定位推送的方法及系统
US20160234647A1 (en) Method for optimizing battery use in a mobile device while tracking a location of the device
CN110895343A (zh) 一种数据处理方法、系统以及相关设备
US2013015009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
US20230325809A1 (en) Merchant location based display for a projectable transaction card
KR101073589B1 (ko) 위치 기반 컨텐츠를 사용하는 무선통신장치
KR20080063728A (ko) 위치 기반 서비스 운용 방법
US95478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 mobile terminal using received messages
CN104899733B (zh) 数据处理方法及数据处理装置
KR20190020940A (ko) 외부 전자 장치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CN101319910A (zh) 导航电子地图正版验证方法及系统
CN108093374B (zh) 行程管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US8335523B2 (en) Electronic entity and microcircuit card for electronic entity
KR101128570B1 (ko) 상황별 메뉴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
CN111582904A (zh) 一种信息核销系统以及方法
JP2010193348A (ja) 位置情報を送信する位置情報送信システム及び位置情報送信装置
KR102055914B1 (ko) 분실단말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101746369B1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치 알림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과 단말기
KR100989036B1 (ko) 무선 단말기에서의 위치정보 운용방법
KR20080007847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방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의 활성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Effective date: 20110422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