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3973A - 무선 네트워크 영역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 영역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3973A
KR20130123973A KR1020120047532A KR20120047532A KR20130123973A KR 20130123973 A KR20130123973 A KR 20130123973A KR 1020120047532 A KR1020120047532 A KR 1020120047532A KR 20120047532 A KR20120047532 A KR 20120047532A KR 20130123973 A KR20130123973 A KR 20130123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wireless network
servic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network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5905B1 (ko
Inventor
허재형
엄봉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7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905B1/ko
Publication of KR20130123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영역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즉, 서비스장치가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한 단말장치의 진입 감지에 따라,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서비스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전달하는 서비스정보제공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수신된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의 신호 세기에 따라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는 서비스동작수행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추가적인 인프라 구성 없이도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을 운용하는 네트워크장치(예: AP) 접속정보의 인지만으로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 영역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WIRELESS NETWORK AREA}
본 발명은 통합 광고 플랫폼 운용 방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네트워크 영역(예: WIFI Zone)에 단말장치가 진입할 경우, 해당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및 동작명령 등을 단말장치에 전달하고, 단말장치가 무선 네트워크 영역을 벗어날 경우, 전달된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거나, 동작명령에 따라 전환된 동작모드를 해제하도록 하는 무선 네트워크 영역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무선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한 서비스의 경우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패킷(Packet) 데이터 등과 같이 데이터를 송신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로 발전해 가고 있다.
특히, 단말장치를 이용한 다양한 무선인터넷 서비스 중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와 관련되어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는 넓은 활용성과 편리함으로 인해 크게 각광받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존 기지국 기반으로 운용되는 위치 기반 서비스의 경우, 교환기 단위의 지역에 대해서만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에는 서버가 주기적으로 홈 위치 등록기(HLR)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해당 지역에 들어오는 사용자에게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에, 홈 위치 등록기에 심각한 부하를 줄 수 있기 때문에 교환기 단위의 큰 지역만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제약 사항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건물 내 2층, 3층 등 특정 층에 대해서 서비스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단말장치의 진화와 컴퓨터 사양에 근접하는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고객은 더 높은 수준의 컨텐츠 제공을 기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통신 사업자도 고객의 니즈를 만족시킬 동적인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무선 네트워크 영역(예: WIFI Zone)에 단말장치가 진입할 경우, 해당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및 동작명령 등을 단말장치에 전달하고, 단말장치가 무선 네트워크 영역을 벗어날 경우, 전달된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거나, 동작명령에 따라 전환된 동작모드를 해제하도록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 영역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영역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한 단말장치의 진입 감지에 따라,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서비스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전달하는 서비스장치; 및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으로의 진입에 따라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서비스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의 신호 세기에 따라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으로의 진입에 따라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서비스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으로의 진입에 따라 획득된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의 신호 세기에 따라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부는, 2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으로의 동시 진입에 따라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서비스정보를 모두 획득하며, 상기 동작제어부는, 상기 2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 중 신호 세기가 큰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제어부는,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가 기준크기 이상으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될 경우,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 수행 상태에서,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크기 미만으로 전환되거나, 상기 기준크기 이상으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 수행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정보에 삽입되어 전달되는 특정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동작, 상기 서비스정보에 삽입되어 전달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2동작, 및 단말장치의 현재 동작모드를 특정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제3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서비스장치는,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한 단말장치의 진입이 감지될 경우,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서비스정보를 추출하는 정보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서비스정보를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진입한 단말장치에 전달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전달된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의 신호 세기에 따라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영역 별로 지정된 각각의 서비스정보를 등록하는 정보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등록부는, 2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이 포함되도록 특정 서비스 영역을 구성하고, 상기 특정 서비스 영역을 구성하는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 모두에 동일한 서비스정보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단말장치에서 수신되는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가 기준크기 이상으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될 경우, 상기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단말장치의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 수행 상태에서, 상기 단말장치에서 수신되는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 크기 미만으로 전환되거나, 상기 기준크기 이상으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 수행을 종료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동작은, 상기 서비스정보에 삽입되어 전달되는 특정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동작, 상기 서비스정보에 삽입되어 전달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2동작, 및 단말장치의 현재 동작모드를 특정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제3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영역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장치가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한 단말장치의 진입 감지에 따라,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서비스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전달하는 서비스정보제공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수신된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의 신호 세기에 따라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는 서비스동작수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으로의 진입에 따라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서비스정보를 획득하는 서비스정보획득단계; 및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 진입에 따라 획득된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의 신호 세기에 따라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정보획득단계는, 2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으로의 동시 진입에 따라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서비스정보를 모두 획득하며, 상기 동작제어단계는, 상기 2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 중 신호 세기가 큰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제어단계는,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가 기준크기 이상으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될 경우,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 수행 상태에서,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크기 미만으로 전환되거나, 상기 기준크기 이상으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 수행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제어단계는, 상기 서비스정보에 삽입되어 전달되는 특정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동작, 상기 서비스정보에 삽입되어 전달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2동작, 및 단말장치의 현재 동작모드를 특정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제3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은,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한 단말장치의 진입이 감지될 경우,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서비스정보를 추출하는 서비스정보추출단계; 및 상기 추출된 서비스정보를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진입한 단말장치에 전달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전달된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의 신호 세기에 따라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정보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 영역 별로 지정된 각각의 서비스정보를 등록하는 서비스정보등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정보등록단계는, 2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이 포함되도록 특정 서비스 영역을 구성하고, 상기 특정 서비스 영역을 구성하는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 모두에 동일한 서비스정보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제공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에서 수신되는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가 기준크기 이상으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될 경우, 상기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단말장치의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 수행 상태에서, 상기 단말장치에서 수신되는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 크기 미만으로 전환되거나, 상기 기준크기 이상으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 수행을 종료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동작은, 상기 서비스정보에 삽입되어 전달되는 특정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동작, 상기 서비스정보에 삽입되어 전달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2동작, 및 단말장치의 현재 동작모드를 특정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제3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무선 네트워크 영역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무선 네트워크 영역(예: WIFI Zone)에 단말장치가 진입할 경우, 해당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및 동작명령 등을 단말장치에 전달하고, 단말장치가 무선 네트워크 영역을 벗어날 경우, 전달된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거나, 동작명령에 따라 전환된 동작모드를 해제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추가적인 인프라 구성 없이도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을 운용하는 네트워크장치(예: AP) 접속정보의 인지만으로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영역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영역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영역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영역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무선 네트워크 영역 별로 서비스정보를 등록하고,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진입한 단말장치에 등록된 서비스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장치(100);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을 운용하는 네트워크장치(200); 및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진입에 따라 서비스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장치(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무선 네트워크 영역은 네트워크장치(200)에 의해 형성되는 와이파이(WIFI) 서비스 커버리지를 지칭하게 되며, 이와 관련하여 네트워크장치(200)는 상술한 와이파이(WIFI) 서비스 커버리지를 운용하는 억세스포인트(AP)를 지칭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컨텐츠장치(100)에서 무선 네트워크 영역 별로 서비스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하는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하나, 각각의 네트워크장치(200)에서 자신의 서비스정보를 등록하여 자신의 영역으로 진입한 단말장치(300)를 대상으로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의 적용 또한 가능하다.
서비스장치(100)는 무선 네트워크 영역 별로 지정된 각각의 서비스정보를 등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장치(100)는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을 운용하는 네트워크장치(200)에 대한 접속정보(예: MAC Address)에 맵핑되도록 서비스정보를 등록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 영역 별로 운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정보를 등록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장치(100)는 운용자 지정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영역 각각을 개별 서비스 영역(예: 매장, 관광지, 극장 등)으로 인지하여, 개별 무선 네트워크 영역을 운용하는 네트워크장치(200) 각각의 접속정보에 대응하도록 서비스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장치(100)는 운용자 지정에 따라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을 하나의 서비스 영역(예: 여러층으로 구분된 동일 매장 및 극장)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서비스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네트워크장치(200) 접속정보 모두에 동일한 서비스정보를 등록하게 된다. 여기서, 서비스정보의 경우, 예컨대, 해당 서비스 영역과 관련한 전단지, 티켓, 쿠폰 등의 컨텐츠, 해당 서비스 영역에 대한 안내 수행을 위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해당 서비스 영역에 진입한 단말장치(300)를 특정 동작모드(예: 진동모드, 카메라 기능 비활성화)로 전환시키기 위한 동작명령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추가로, 단말장치(300)에서 해당 서비스 영역 이탈 시 수행되어야 하는 동작명령 예컨대, 수신된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지 또는, 전환된 동작모드 해제 등의 지시정보가 포함되게 된다.
또한, 서비스장치(100)는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한 단말장치(300)의 진입 감지에 따라, 해당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서비스정보를 추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장치(100)는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단말장치(300)가 접속될 경우, 해당 무선 네트워크 영역을 운용하는 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단말장치(300)의 접속을 확인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장치(100)는 네트워크장치(200)의 접속정보(예: MAC Address)를 전달받게 되고, 이를 통해 해당 네트워크장치(200)의 접속정보에 맵핑되어 등록된 서비스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장치(200)는 단말장치(100)의 접속을 확인한 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접속 통보를 기초로 해당 네트워크장치(200)의 접속정보를 확인하거나,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진입한 단말장치(300)로부터 이기종 네트워크 예컨대, 3G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장치(200)의 접속정보를 전달받아 확인하는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서비스장치(100)는 추출된 서비스정보를 단말장치(300)에 전달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장치(100)는 단말장치(300)의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 진입에 따라 추출된 서비스정보를 해당 단말장치(300)에 전달함으로써, 단말장치(300)로 하여금, 전달된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자신이 접속중인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에 따라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300)는 자신이 접속중인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한 진입 및 이탈이 반복될 수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자신이 현재 접속중인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가 기준크기 이상인 상태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될 경우 안정적으로 해당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간주함으로써,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해 전달되는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위치 기반 서비스에 대응하는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단말장치(300)는 위치 기반 서비스 이용 상태에서 자신이 현재 접속중인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가 기준크기 이상인 상태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거나, 기준크기 미만으로 전환될 경우, 해당 무선 네트워크 영역으로부터의 이탈로 간주함으로써, 현재 이용중인 위치 기반 서비스를 종료하게 된다.
단말장치(300)는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진입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서비스정보를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300)는 네트워크장치(200)가 운용하는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진입할 경우, 서비스장치(100)로부터 해당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서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해 맵핑되어 등록된 서비스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정보의 경우, 예컨대, 해당 서비스 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 등의 컨텐츠, 해당 서비스 영역에 대한 안내 수행을 위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해당 서비스 영역에 진입한 단말장치(300)를 특정 동작모드(예: 진동모드, 카메라 기능 비활성화)로 전환시키기 위한 동작명령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추가로, 단말장치(300)에서 해당 서비스 영역 이탈 시 수행되어야 하는 동작명령 예컨대, 수신된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지 또는, 전환된 동작모드 해제 등의 지시정보가 포함되게 된다.
이에, 단말장치(300)는 서비스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300)는 자신이 접속중인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한 진입 및 이탈이 반복될 수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자신이 현재 접속중인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가 기준크기 이상인 상태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될 경우 안정적으로 해당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간주함으로써,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해 전달되는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위치 기반 서비스에 대응하는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예컨대, 단말장치(300)는 전달된 서비스정보에 삽입된 해당 서비스 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 및 기사 등의 컨텐츠를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거나, 텍스트로 구성된 알림 페이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클릭하였을 경우, 등록된 URL로 자동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단말장치(300)는 서비스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영역 별로 구분하고, 각각의 영역에 사용자 프로파일(Profile) 기반 컨텐츠, 운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컨텐츠, Biz 파트너에 의해 제공되는 컨텐츠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300)는 전달된 서비스정보에 삽입되어 전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거나, 서비스정보에 삽입된 동작명령에 따라 해당 서비스 영역에 적합한 특정 동작모드(예: 진동모드, 카메라 기능 비활성화)로 전환하게 된다. 한편, 단말장치(300)는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이 중첩된 영역으로 진입하여, 복수의 네트워크장치(200)에 동시 접속하는 경우가 발생할 경우, 서비스장치(100)로부터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맵핑되어 등록된 서비스정보를 모두 수신하게 되며, 무선 네트워크 영역 중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나아가, 단말장치(300)는 현재 접속중인 무선 네트워크 영역으로부터 이탈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 이용을 종료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300)는 서비스장치(100)로부터 전달된 위치 기반 서비스 이용 상태에서 자신이 현재 접속중인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가 기준크기 이상인 상태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거나, 기준크기 미만으로 전환될 경우, 해당 무선 네트워크 영역으로부터의 이탈로 간주하여 상기 서비스정보에 삽입된 동작명령에 따라, 수신된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지 또는, 전환된 동작모드 해제 등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위치 기반 서비스 이용을 종료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1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서비스장치(100)는 무선네트워크 영역 별로 서비스정보를 등록하는 정보등록부(110), 특정 서비스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정보추출부(120), 및 추출된 서비스정보를 단말장치(300)에 제공하는 정보제공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정보등록부(110)는 무선 네트워크 영역 별로 지정된 각각의 서비스정보를 등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등록부(110)는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을 운용하는 네트워크장치(200)에 대한 접속정보(예: MAC Address)에 맵핑되도록 서비스정보를 등록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 영역 별로 운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정보를 등록하게 된다. 이때, 정보등록부(110)는 운용자 지정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영역 각각을 개별 서비스 영역(예: 매장, 관광지, 극장 등)으로 인지하여, 개별 무선 네트워크 영역을 운용하는 네트워크장치(200) 각각의 접속정보에 대응하도록 서비스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정보등록부(110)는 운용자 지정에 따라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을 하나의 서비스 영역(예: 여러층으로 구분된 동일 매장 및 극장)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서비스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네트워크장치(200) 접속정보 모두에 동일한 서비스정보를 등록하게 된다. 여기서, 서비스정보의 경우, 예컨대, 해당 서비스 영역과 관련한 전단지, 티켓, 쿠폰 등의 컨텐츠, 해당 서비스 영역에 대한 안내 수행을 위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해당 서비스 영역에 진입한 단말장치(300)를 특정 동작모드(예: 진동모드, 카메라 기능 비활성화)로 전환시키기 위한 동작명령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추가로, 단말장치(300)에서 해당 서비스 영역 이탈 시 수행되어야 하는 동작명령 예컨대, 수신된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지 또는, 전환된 동작모드 해제 등의 지시정보가 포함되게 된다.
정보추출부(120)는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한 단말장치(300)의 진입 감지에 따라, 해당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서비스정보를 추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추출부(120)는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단말장치(300)가 접속될 경우, 해당 무선 네트워크 영역을 운용하는 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단말장치(300)의 접속을 확인하게 된다. 이때, 정보추출부(120)는 네트워크장치(200)의 접속정보(예: MAC Address)를 전달받게 되고, 이를 통해 해당 네트워크장치(200)의 접속정보에 맵핑되어 등록된 서비스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정보추출부(120)는 단말장치(100)의 접속을 확인한 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접속 통보를 기초로 해당 네트워크장치(200)의 접속정보를 확인하거나,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진입한 단말장치(300)로부터 이기종 네트워크 예컨대, 3G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장치(200)의 접속정보를 전달받아 확인하는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정보제공부(130)는 추출된 서비스정보를 단말장치(300)에 전달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제공부(130)는 단말장치(300)의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 진입에 따라 추출된 서비스정보를 해당 단말장치(300)에 전달함으로써, 단말장치(300)로 하여금, 전달된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자신이 접속중인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에 따라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300)는 자신이 접속중인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한 진입 및 이탈이 반복될 수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자신이 현재 접속중인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가 기준크기 이상인 상태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될 경우 안정적으로 해당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간주함으로써,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해 전달되는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위치 기반 서비스에 대응하는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단말장치(300)는 위치 기반 서비스 이용 상태에서 자신이 현재 접속중인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가 기준크기 이상인 상태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거나, 기준크기 미만으로 전환될 경우, 해당 무선 네트워크 영역으로부터의 이탈로 간주함으로써, 현재 이용중인 위치 기반 서비스를 종료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3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단말장치(300)는 서비스장치(100)로부터 서비스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310) 및 수신된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작제어부(3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통신부(310)는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진입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서비스정보를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310)는 네트워크장치(200)가 운용하는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진입할 경우, 서비스장치(100)로부터 해당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서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해 맵핑되어 등록된 서비스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정보의 경우, 예컨대, 해당 서비스 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 등의 컨텐츠, 해당 서비스 영역에 대한 안내 수행을 위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해당 서비스 영역에 진입한 단말장치(300)를 특정 동작모드(예: 진동모드, 카메라 기능 비활성화)로 전환시키기 위한 동작명령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추가로, 단말장치(300)에서 해당 서비스 영역 이탈 시 수행되어야 하는 동작명령 예컨대, 수신된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지 또는, 전환된 동작모드 해제 등의 지시정보가 포함되게 된다.
동작제어부(320)는 서비스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작제어부(320)는 자신이 접속중인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한 진입 및 이탈이 반복될 수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자신이 현재 접속중인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가 기준크기 이상인 상태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될 경우 안정적으로 해당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간주함으로써,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해 전달되는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위치 기반 서비스에 대응하는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예컨대, 동작제어부(320)는 전달된 서비스정보에 삽입된 해당 서비스 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 및 기사 등의 컨텐츠를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거나, 텍스트로 구성된 알림 페이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클릭하였을 경우, 등록된 URL로 자동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동작제어부(320)는 서비스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영역 별로 구분하고, 각각의 영역에 사용자 프로파일(Profile) 기반 컨텐츠, 운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컨텐츠, Biz 파트너에 의해 제공되는 컨텐츠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동작제어부(320)는 전달된 서비스정보에 삽입되어 전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거나, 서비스정보에 삽입된 동작명령에 따라 해당 서비스 영역에 적합한 특정 동작모드(예: 진동모드, 카메라 기능 비활성화)로 전환하게 된다. 한편, 동작제어부(320)는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이 중첩된 영역으로 진입하여, 복수의 네트워크장치(200)에 동시 접속하는 경우가 발생할 경우, 서비스장치(100)로부터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맵핑되어 등록된 서비스정보를 모두 획득하게 되며, 무선 네트워크 영역 중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아울러, 동작제어부(320)는 현재 접속중인 무선 네트워크 영역으로부터 이탈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 이용을 종료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작제어부(320)는 서비스장치(100)로부터 전달된 위치 기반 서비스 이용 상태에서 자신이 현재 접속중인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가 기준크기 이상인 상태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거나, 기준크기 미만으로 전환될 경우, 해당 무선 네트워크 영역으로부터의 이탈로 간주하여 상기 서비스정보에 삽입된 동작명령에 따라, 수신된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지 또는, 전환된 동작모드 해제 등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위치 기반 서비스 이용을 종료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영역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무선 네트워크 영역(예: WIFI Zone)에 단말장치가 진입할 경우, 해당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및 동작명령 등을 단말장치에 전달하고, 단말장치가 무선 네트워크 영역을 벗어날 경우, 전달된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거나, 동작명령에 따라 전환된 동작모드를 해제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추가적인 인프라 구성 없이도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을 운용하는 네트워크장치(예: AP) 접속정보의 인지만으로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영역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영역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서비스장치(100)가 무선 네트워크 영역 별로 지정된 각각의 서비스정보를 등록한다(S110).
바람직하게는, 서비스장치(100)는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을 운용하는 네트워크장치(200)에 대한 접속정보(예: MAC Address)에 맵핑되도록 서비스정보를 등록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 영역 별로 운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정보를 등록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장치(100)는 운용자 지정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영역 각각을 개별 서비스 영역(예: 매장, 관광지, 극장 등)으로 인지하여, 개별 무선 네트워크 영역을 운용하는 네트워크장치(200) 각각의 접속정보에 대응하도록 서비스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장치(100)는 운용자 지정에 따라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을 하나의 서비스 영역(예: 여러층으로 구분된 동일 매장 및 극장)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서비스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네트워크장치(200) 접속정보 모두에 동일한 서비스정보를 등록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장치(100)가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한 단말장치(300)의 진입 감지에 따라, 해당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서비스정보를 추출한다(S120-S140).
바람직하게는, 서비스장치(100)는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단말장치(300)가 접속될 경우, 해당 무선 네트워크 영역을 운용하는 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단말장치(300)의 접속을 확인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장치(100)는 네트워크장치(200)의 접속정보(예: MAC Address)를 전달받게 되고, 이를 통해 해당 네트워크장치(200)의 접속정보에 맵핑되어 등록된 서비스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장치(200)는 단말장치(100)의 접속을 확인한 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접속 통보를 기초로 해당 네트워크장치(200)의 접속정보를 확인하거나,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진입한 단말장치(300)로부터 이기종 네트워크 예컨대, 3G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장치(200)의 접속정보를 전달받아 확인하는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단말장치(300)가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진입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서비스정보를 수신하게 된다(S150-S16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300)는 네트워크장치(200)가 운용하는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으로의 진입에 따라, 서비스장치(100)로부터 해당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서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해 맵핑되어 등록된 서비스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정보의 경우, 예컨대, 해당 서비스 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 등의 컨텐츠, 해당 서비스 영역에 대한 안내 수행을 위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해당 서비스 영역에 진입한 단말장치(300)를 특정 동작모드(예: 진동모드, 카메라 기능 비활성화)로 전환시키기 위한 동작명령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추가로, 단말장치(300)에서 해당 서비스 영역 이탈 시 수행되어야 하는 동작명령 예컨대, 수신된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지 또는, 전환된 동작모드 해제 등의 지시정보가 포함되게 된다.
이에, 단말장치(300)가 서비스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다(S17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300)는 자신이 접속중인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한 진입 및 이탈이 반복될 수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자신이 현재 접속중인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가 기준크기 이상인 상태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될 경우 안정적으로 해당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간주함으로써,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해 전달되는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위치 기반 서비스에 대응하는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예컨대, 단말장치(300)는 전달된 서비스정보에 삽입된 해당 서비스 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 및 기사 등의 컨텐츠를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거나, 텍스트로 구성된 알림 페이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클릭하였을 경우, 등록된 URL로 자동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단말장치(300)는 전달된 서비스정보에 삽입되어 전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거나, 서비스정보에 삽입된 동작명령에 따라 해당 서비스 영역에 적합한 특정 동작모드(예: 진동모드, 카메라 기능 비활성화)로 전환하게 된다.
한편, 단말장치(300)는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이 중첩된 영역으로 진입하여, 복수의 네트워크장치(200)에 동시 접속하는 경우가 발생할 경우, 서비스장치(100)로부터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맵핑되어 등록된 서비스정보를 모두 수신하게 되며, 무선 네트워크 영역 중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이후, 단말장치(300)가 현재 접속중인 무선 네트워크 영역으로부터 이탈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 이용을 종료한다(S18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300)는 서비스장치(100)로부터 전달된 위치 기반 서비스 이용 상태에서 자신이 현재 접속중인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가 기준크기 이상인 상태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거나, 기준크기 미만으로 전환될 경우, 해당 무선 네트워크 영역으로부터의 이탈로 간주하여 상기 서비스정보에 삽입된 동작명령에 따라, 수신된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지 또는, 전환된 동작모드 해제 등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위치 기반 서비스 이용을 종료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무선 네트워크 영역 별로 지정된 각각의 서비스정보를 등록한다(S210).
바람직하게는, 정보등록부(110)는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을 운용하는 네트워크장치(200)에 대한 접속정보(예: MAC Address)에 맵핑되도록 서비스정보를 등록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 영역 별로 운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정보를 등록하게 된다.
이때, 정보등록부(110)는 운용자 지정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영역 각각을 개별 서비스 영역(예: 매장, 관광지, 극장 등)으로 인지하여, 개별 무선 네트워크 영역을 운용하는 네트워크장치(200) 각각의 접속정보에 대응하도록 서비스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정보등록부(110)는 운용자 지정에 따라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을 하나의 서비스 영역(예: 여러층으로 구분된 동일 매장 및 극장)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서비스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네트워크장치(200) 접속정보 모두에 동일한 서비스정보를 등록하게 된다.
여기서, 서비스정보의 경우, 예컨대, 해당 서비스 영역과 관련한 전단지, 티켓, 쿠폰 등의 컨텐츠, 해당 서비스 영역에 대한 안내 수행을 위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해당 서비스 영역에 진입한 단말장치(300)를 특정 동작모드(예: 진동모드, 카메라 기능 비활성화)로 전환시키기 위한 동작명령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추가로, 단말장치(300)에서 해당 서비스 영역 이탈 시 수행되어야 하는 동작명령 예컨대, 수신된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지 또는, 전환된 동작모드 해제 등의 지시정보가 포함되게 된다.
그리고 나서,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한 단말장치(300)의 진입 감지에 따라, 해당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서비스정보를 추출한다(S220-S240).
바람직하게는, 정보추출부(120)는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단말장치(300)가 접속될 경우, 해당 무선 네트워크 영역을 운용하는 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단말장치(300)의 접속을 확인하게 된다.
이때, 정보추출부(120)는 네트워크장치(200)의 접속정보(예: MAC Address)를 전달받게 되고, 이를 통해 해당 네트워크장치(200)의 접속정보에 맵핑되어 등록된 서비스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정보추출부(120)는 단말장치(100)의 접속을 확인한 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접속 통보를 기초로 해당 네트워크장치(200)의 접속정보를 확인하거나,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진입한 단말장치(300)로부터 이기종 네트워크 예컨대, 3G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장치(200)의 접속정보를 전달받아 확인하는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이후, 추출된 서비스정보를 단말장치(300)에 전달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S250).
바람직하게는, 정보제공부(130)는 단말장치(300)의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 진입에 따라 추출된 서비스정보를 해당 단말장치(300)에 전달함으로써, 단말장치(300)로 하여금, 전달된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자신이 접속중인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에 따라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300)는 자신이 접속중인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한 진입 및 이탈이 반복될 수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자신이 현재 접속중인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가 기준크기 이상인 상태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될 경우 안정적으로 해당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간주함으로써,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해 전달되는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위치 기반 서비스에 대응하는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단말장치(300)는 위치 기반 서비스 이용 상태에서 자신이 현재 접속중인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가 기준크기 이상인 상태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거나, 기준크기 미만으로 전환될 경우, 해당 무선 네트워크 영역으로부터의 이탈로 간주함으로써, 현재 이용중인 위치 기반 서비스를 종료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3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진입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서비스정보를 수신한다(S310-S320).
바람직하게는, 통신부(310)는 네트워크장치(200)가 운용하는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진입할 경우, 서비스장치(100)로부터 해당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서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해 맵핑되어 등록된 서비스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정보의 경우, 예컨대, 해당 서비스 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 등의 컨텐츠, 해당 서비스 영역에 대한 안내 수행을 위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해당 서비스 영역에 진입한 단말장치(300)를 특정 동작모드(예: 진동모드, 카메라 기능 비활성화)로 전환시키기 위한 동작명령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추가로, 단말장치(300)에서 해당 서비스 영역 이탈 시 수행되어야 하는 동작명령 예컨대, 수신된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지 또는, 전환된 동작모드 해제 등의 지시정보가 포함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S330-S360).
바람직하게는, 동작제어부(320)는 자신이 접속중인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한 진입 및 이탈이 반복될 수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자신이 현재 접속중인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가 기준크기 이상인 상태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될 경우 안정적으로 해당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간주함으로써,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해 전달되는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위치 기반 서비스에 대응하는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예컨대, 동작제어부(320)는 전달된 서비스정보에 삽입된 해당 서비스 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 및 기사 등의 컨텐츠를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거나, 텍스트로 구성된 알림 페이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클릭하였을 경우, 등록된 URL로 자동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동작제어부(320)는 서비스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영역 별로 구분하고, 각각의 영역에 사용자 프로파일(Profile) 기반 컨텐츠, 운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컨텐츠, Biz 파트너에 의해 제공되는 컨텐츠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동작제어부(320)는 전달된 서비스정보에 삽입되어 전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거나, 서비스정보에 삽입된 동작명령에 따라 해당 서비스 영역에 적합한 특정 동작모드(예: 진동모드, 카메라 기능 비활성화)로 전환하게 된다.
이후, 현재 접속중인 무선 네트워크 영역으로부터 이탈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 이용을 종료한다(S340-S350, S370).
바람직하게는, 동작제어부(320)는 서비스장치(100)로부터 전달된 위치 기반 서비스 이용 상태에서 자신이 현재 접속중인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가 기준크기 이상인 상태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거나, 기준크기 미만으로 전환될 경우, 해당 무선 네트워크 영역으로부터의 이탈로 간주하여 상기 서비스정보에 삽입된 동작명령에 따라, 수신된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지 또는, 전환된 동작모드 해제 등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위치 기반 서비스 이용을 종료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영역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무선 네트워크 영역(예: WIFI Zone)에 단말장치가 진입할 경우, 해당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및 동작명령 등을 단말장치에 전달하고, 단말장치가 무선 네트워크 영역을 벗어날 경우, 전달된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거나, 동작명령에 따라 전환된 동작모드를 해제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추가적인 인프라 구성 없이도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을 운용하는 네트워크장치(예: AP) 접속정보의 인지만으로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영역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무선 네트워크 영역(예: WIFI Zone)에 단말장치가 진입할 경우, 해당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및 동작명령 등을 단말장치에 전달하고, 단말장치가 무선 네트워크 영역을 벗어날 경우, 전달된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거나, 동작명령에 따라 전환된 동작모드를 해제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서비스장치
110: 정보등록부 120: 정보추출부
130: 정보제공부
200: 네트워크장치
300: 단말장치
310: 통신부 320: 동작제어부

Claims (20)

  1.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한 단말장치의 진입 감지에 따라,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서비스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전달하는 서비스장치; 및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으로의 진입에 따라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서비스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의 신호 세기에 따라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영역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으로의 진입에 따라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서비스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으로의 진입에 따라 획득된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의 신호 세기에 따라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2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으로의 동시 진입에 따라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서비스정보를 모두 획득하며,
    상기 동작제어부는,
    상기 2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 중 신호 세기가 큰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제 2 항 또는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제어부는,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가 기준크기 이상으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될 경우,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 수행 상태에서,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크기 미만으로 전환되거나, 상기 기준크기 이상으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 수행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정보에 삽입되어 전달되는 특정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동작, 상기 서비스정보에 삽입되어 전달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2동작, 및 단말장치의 현재 동작모드를 특정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제3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한 단말장치의 진입이 감지될 경우,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서비스정보를 추출하는 정보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서비스정보를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진입한 단말장치에 전달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전달된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의 신호 세기에 따라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영역 별로 지정된 각각의 서비스정보를 등록하는 정보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등록부는,
    2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이 포함되도록 특정 서비스 영역을 구성하고, 상기 특정 서비스 영역을 구성하는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 모두에 동일한 서비스정보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단말장치에서 수신되는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가 기준크기 이상으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될 경우, 상기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단말장치의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 수행 상태에서, 상기 단말장치에서 수신되는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 크기 미만으로 전환되거나, 상기 기준크기 이상으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 수행을 종료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동작은,
    상기 서비스정보에 삽입되어 전달되는 특정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동작, 상기 서비스정보에 삽입되어 전달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2동작, 및 단말장치의 현재 동작모드를 특정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제3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11. 서비스장치가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한 단말장치의 진입 감지에 따라,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서비스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전달하는 서비스정보제공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수신된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의 신호 세기에 따라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는 서비스동작수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영역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12.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으로의 진입에 따라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서비스정보를 획득하는 서비스정보획득단계; 및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 진입에 따라 획득된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의 신호 세기에 따라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정보획득단계는,
    2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으로의 동시 진입에 따라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서비스정보를 모두 획득하며,
    상기 동작제어단계는,
    상기 2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 중 신호 세기가 큰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12 항 또는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제어단계는,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가 기준크기 이상으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될 경우,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 수행 상태에서,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크기 미만으로 전환되거나, 상기 기준크기 이상으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 수행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제어단계는,
    상기 서비스정보에 삽입되어 전달되는 특정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동작, 상기 서비스정보에 삽입되어 전달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2동작, 및 단말장치의 현재 동작모드를 특정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제3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6.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한 단말장치의 진입이 감지될 경우,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서비스정보를 추출하는 서비스정보추출단계; 및
    상기 추출된 서비스정보를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진입한 단말장치에 전달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전달된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의 신호 세기에 따라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정보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 영역 별로 지정된 각각의 서비스정보를 등록하는 서비스정보등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정보등록단계는,
    2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이 포함되도록 특정 서비스 영역을 구성하고, 상기 특정 서비스 영역을 구성하는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 모두에 동일한 서비스정보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에서 수신되는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가 기준크기 이상으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될 경우, 상기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단말장치의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 수행 상태에서, 상기 단말장치에서 수신되는 상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영역의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 크기 미만으로 전환되거나, 상기 기준크기 이상으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서비스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지정된 서비스동작 수행을 종료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동작은,
    상기 서비스정보에 삽입되어 전달되는 특정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동작, 상기 서비스정보에 삽입되어 전달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2동작, 및 단말장치의 현재 동작모드를 특정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제3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20047532A 2012-05-04 2012-05-04 무선 네트워크 영역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45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532A KR101945905B1 (ko) 2012-05-04 2012-05-04 무선 네트워크 영역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532A KR101945905B1 (ko) 2012-05-04 2012-05-04 무선 네트워크 영역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973A true KR20130123973A (ko) 2013-11-13
KR101945905B1 KR101945905B1 (ko) 2019-02-11

Family

ID=49853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532A KR101945905B1 (ko) 2012-05-04 2012-05-04 무선 네트워크 영역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9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1760A (ko) * 2013-11-28 2015-06-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0418A (ko) * 2003-05-23 2004-12-0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위치 기반 컨텐츠를 사용하는 무선통신장치 및 이를이용한 독립형 위치 기반 서비스 운용 방법
KR20070025795A (ko) * 2005-09-05 200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전원 소모 감소 장치 및 방법
KR20080063728A (ko) * 2008-05-23 2008-07-0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위치 기반 서비스 운용 방법
KR20100063611A (ko) * 2008-12-03 2010-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네트워크 간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프 방법
KR20100080160A (ko) * 2008-12-31 2010-07-08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KR20110052304A (ko) * 2009-11-12 2011-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기반의 컨텐츠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KR20120030305A (ko) * 2011-03-21 2012-03-28 (주)소프트크로스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0418A (ko) * 2003-05-23 2004-12-0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위치 기반 컨텐츠를 사용하는 무선통신장치 및 이를이용한 독립형 위치 기반 서비스 운용 방법
KR20070025795A (ko) * 2005-09-05 200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전원 소모 감소 장치 및 방법
KR20080063728A (ko) * 2008-05-23 2008-07-0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위치 기반 서비스 운용 방법
KR20100063611A (ko) * 2008-12-03 2010-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네트워크 간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프 방법
KR20100080160A (ko) * 2008-12-31 2010-07-08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KR20110052304A (ko) * 2009-11-12 2011-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기반의 컨텐츠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KR20120030305A (ko) * 2011-03-21 2012-03-28 (주)소프트크로스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1760A (ko) * 2013-11-28 2015-06-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5905B1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3027B1 (ko) 하이브리드 방식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11557A (ko)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정보 자동 설정 방법, 장치
US1000258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N108093461A (zh) 一种连接无线接入点的方法
JP2015043537A (ja) 管理装置およびアクセスポイント
KR101943430B1 (ko) 사용자 장치, 사용자 장치의 구동방법, 서비스제공장치 및 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방법
CN104782100B (zh) 无线通信系统、无线通信终端及其操作方法
CN105635148B (zh) 一种Portal认证方法及装置
JP6071947B2 (ja) 位置情報サービスのための端末、無線信号検知装置及びサーバー
KR20130062439A (ko) 위치 기반 커뮤니티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30123973A (ko) 무선 네트워크 영역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9532167B2 (en) Mobil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content providing server, content panel display method, and mobile terminal program
CN103188822A (zh) 一种机器通信方法及设备
US9516468B2 (en) Mobile terminal, content panel display method, and mobile terminal program
KR101730429B1 (ko) 지역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31609B1 (ko) 이동 단말, 원격 디스플레이, 원격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4125605A (zh) 一种请求建立wifi连接的实现方法及装置
CN104252811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JP2017103785A (ja) 位置情報サービスのための端末、無線信号検知装置及びサーバー
CN104301361B (zh) 一种基于m2m系统的智能导览方法和系统
KR20110137068A (ko) 와이파이 단말을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162980B1 (ko) 단말스캐닝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단말스캐닝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40045642A (ko)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192878B1 (ko)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815263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