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7847A -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방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의 활성화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방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의 활성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7847A
KR20080007847A KR20060067017A KR20060067017A KR20080007847A KR 20080007847 A KR20080007847 A KR 20080007847A KR 20060067017 A KR20060067017 A KR 20060067017A KR 20060067017 A KR20060067017 A KR 20060067017A KR 20080007847 A KR20080007847 A KR 20080007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mobile communication
place
communication terminal
ac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67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5612B1 (ko
Inventor
최경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7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612B1/ko
Publication of KR20080007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7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61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 방법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의 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메시지 송신측이, 메시지 수신측을 지정한 후, 메시지 내용과 상기 메시지 수신측에서 상기 메시지 내용이 활성화될 장소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메시지 수신측이 상기 활성화 장소에 위치할 때에만 상기 메시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의 활성화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메시지 송신측이 특정 장소와 메시지 내용을 입력하여 전송한 경우, 메시지 수신측이 상기 특정 장소에 위치할 때에만 상기 메시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메시지, 위치 정보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 방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의 활성화 방법{Method of Transmitting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of Activating Recevived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방법이 구현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의 활성화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메시지의 활성화 방법이 구현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 방법의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시지 송신측이 특정 장소와 메시지 내용을 입력하여 전송한 경우, 메시지 수신측이 상기 특정 장소에 위치할 때에만 상기 메시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 방법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의 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단문메시지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이하 'SMS'라 함)란, 휴대전화 이용자들이 별도의 부가장비 없이도 40자 내외의 단문을 주고 받을 수 있는 문자 서비스를 말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이에 비례해 문자 서비스 이용 인구도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데, 이메일(e-mail)과 달리 발송 시점과 거의 동시에 내용 전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2001년 이후 통신 수단의 하나로 이미 확고한 자리를 굳힌 상태다.
기본적으로 단말기 사이에 회신번호와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이 제공되며, 일기예보ㆍ뉴스ㆍ주식정보 등을 알 수 있음은 물론, 고객이 직접 다양한 정보를 검색해 필요한 정보만을 선택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인터넷ㆍPC 통신 등을 통해 메일을 보내거나 받을 수도 있고, 일상생활에 필요한 각종 정보검색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대화식으로 정보가 제공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청소년은 물론, 정보 이용에 문외한인 중장년층의 이용도 늘어나고 있다. 한국에서도 신용카드 회사들이 카드 사고를 막기 위해 거래 승인 내용을 문자 메시지를 통해 전송하는 서비스를 도입하는 등 전자결제ㆍ전자상거래에까지 계속 활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한편, 기존의 SMS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멀티미디어메시징시스템(Multimedia Messaging System: 이하 'MMS'라 함)이 등장하였다. MMS란,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의 기본 요소로서 정지영상, 음악, 음성 및 동영상 등의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메시징 시스템을 말한다. 2세대의 SMS의 뒤를 이은 MMS는 기존의 미디어 형식 메시지들과 멀티미디어 형식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 시스템을 사용하여 실시간 전송 요구없이 사용자들 간에 송수신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존의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메시지 송신자가 메시지를 전송하면 수신자가 거의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종래 기술에 의하면 '예약 문자 서비스'가 있는데, '예약 문자 서비스'를 이용하면, 우선 메시지 송신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는 네트워크의 서버에 저장되었다가 예약된 시간이 되면 수신자에게로 발송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메시지 송신자가 원하는 시각에 수신자가 메시지를 확인하게 할 수 있을 뿐이고, 메시지 송신자가 원하는 장소에 수신자가 위치하는 경우에만 수신자가 메시지를 확인하게 하는 기술은 존재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송신자가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소를 미리 지정하고, 수신자가 상기 지정된 장소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 방법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의 활성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 방법은, 메시지 수신측을 입력받는 단계; 메시지 내용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메시지 수신측에서 상기 메시지 내용이 활성화될 장소(이하 '활성화 장소'라고 함)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받은 메시지 내용과 활성화 장소를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메시지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의 활성화 방법은, 메시지 내용과, 상기 메시지 내용이 활성화될 장소(이하 '활성화 장소'라고 함)를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활성화 장소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 내용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 방법은, 이동통신 기지국이, 메시지 송신측으로부터, 메시지 수신측과, 메시지 내용과, 상기 메시지 수신측에서 상기 메시지 내 용이 활성화될 장소(이하 '활성화 장소'라고 함)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제1 메시지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 상기 활성화 장소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메시지 수신측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메시지 수신측의 위치와 상기 활성화 장소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는 제3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메시지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모듈(100), 무선 측위 통신 모듈(110), 입력부(120), 제어부(130), 메모리부(140) 및 표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통신 모듈(100)은, 이동통신망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 장치이다. 무선 측위 통신 모듈(110)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위성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로서, 미국에 의해 운영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과, 러시아에 의해 운영되는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과, 유럽연합에 의해 개발되고 있는 GALILEO에 의한 무선 측위 시스템 중 어느 하나에 의한다. 예를 들어, 무선 측위 통신 모듈(110)에 의해 GPS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구현에 있어서, 무선 측위 통신 모듈(110)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시스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장치로서, 각종 숫자키, 방향키 등을 구비하는 키 패드 혹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부(14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30)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표시부(15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혹은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 장치이다. 제어부(130)는, 상기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00),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 및 SMS 서버(225)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신측 단말기(200)와 수신측 단말기(210)는, 도 1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해당한다. 이동통신망(220)의 예를 들면, GSM, IS-95 CDMA, IMT-2000, WCDMA 등이 있다. SMS 서버(225)는, 단문메시지서비스(SMS)를 위한 서버이다. SMS 서버(225)는, 멀티미디어메시징서비스(MMS)를 위한 서버로 대체될 수 있다. 이동통신망(220)은, SMS 서버(225)를 이용하여, 송신측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메시지를 수신측 단말기(210)로 전달한다.
이하, 도 1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도 2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수신 메시지의 활성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방법이 구현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도 1에 의한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력부(120)를 통해 메시지 수신측을 입력받고[S300], 메시지 내용을 입력받는다[S310]. 예를 들어,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그리고, 입력부(120)를 통해 상기 입력받은 메시지 수신측에서 상기 입력받은 메시지 내용이 활성화될 장소(이하 '활성화 장소'라고 함)를 입력받는다[S320].
상기 S320 단계는,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지도를 표시부(150)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지도 중 어느 지점이 선택됨으로써 상기 활성화 장소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화 장소" 입력란의 "지도 선택" 페이지(400)를 선택하면, 지도 선택을 위한 지역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지역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지역을 선택하면, 선택된 지역에 해당하는 지도가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지도 중 어느 지점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활성화 장소를 입력할 수 있다. 도 4(b)는, 사용자가 "서울"을 선택한 경우, 서울 지역의 지도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된 지도 중 어느 지점을 선택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나,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입력부(120)가 키 패드인 경우, 상기 S320 단계는, 상기 키 패드를 통해 상기 활성화 장소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활성화 장소" 입력란의 "직접 입력" 페이지(400)를 선택하고, 상기 키 패드를 통해 장소를 입력할 수 있다. 도 4(c)는,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이라는 장소가 입력된 상태를 도시한다. 참조번호 420은, 커서를 나타낸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받은 메시지 내용 및 활성화 장소를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이동통신 모듈(100)을 통해 상기 메시지 수신측으로 전송한다[S330]. 상기 메시지 데이터는, 상기 활성화 장소에 관한 지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상기 S320 단계에서 입력된 활성화 장소가 포함된 지역에 관한 지도를 메모리부(140)로부터 읽어들이고, 상기 읽어 온 지도에 상기 활성화 장소를 표시한 후, 상기 전송할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의 활성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메시지의 활성화 방법이 구현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도 1에 의한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를 이용한 수신 메시지의 활성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통신 모듈(100)을 통해 메시지 내용과, 상기 메시지 내용이 활성화될 장소(이하 '활성화 장소'라고 함)를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한다[S500]. 상기 수신된 메시지 데이터는, 상기 활성화 장소에 관한 지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 상기 메시지 수신 사실과 상기 활성화 장소를 사용자에게 알린다[S510]. 단, 상기 S510 단계에서는, 상기 S500 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 내용이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수신 사실(600), 메시지 수신 시각(610), 활성화 장소(620) 및 메시지의 송신측 정보(630)를 표시부(150)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6(a)에 도시된 정보들은,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 정보로 출력될 수도 있다. S510 단계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활성화 장소로 가야함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a)에서는, 2006년 5월 25일 오후 3시 20분에 홍길동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210)가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S500 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 데이터가 상기 활성화 장소에 관한 지도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상기 활성화 장소에 관한 지도를 표시부(15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메시지 데이터에 상기 활성화 장소에 관한 지도가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제어부(130)는, 상기 활성화 장소에 관한 지도를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지도를 검색하여 표시부(15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6(a)에 도시된 "지도 보기"(625)를 선택한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의 지도가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S520]. 상기 위치 정보의 대표적인 예로서, 위도 및 경도가 있다. 상기 S520 단계의 구현은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첫째, 제어부(130)는, 무선 측위 통신 모듈(110)을 통해 수신한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무선 측위 시스템에 의한 위치 정보 획득에 관한 내용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둘째, 제어부(130)는, 이동통신 모듈(100)을 통해 수신한 이동통신 기지국의 시스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동통신망(220)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그 위치 정보를 시스템 파라미터의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21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와 상기 S500 단계에서 수신된 활성화 장소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530]. 상기 S530 단계는, 소정의 주기마 다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상기 S530 단계의 판단 결과,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메시지 내용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고[S540], 일치하면, 상기 메시지 내용을 활성화한다[S550]. 즉, 사용자는,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와 상기 활성화 장소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메시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및 수신 메시지 활성화 방법은, 이동통신망(220)이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를 그대로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로 전송하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그러나,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망(200)이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여 활성화 장소를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와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분리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통신망(220)이,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메시지 수신측과, 메시지 내용과, 상기 메시지 수신측에서 상기 메시지 내용이 활성화될 장소(이하 '활성화 장소'라고 함)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한다[S700].
그리고, 이동통신망(220)은, 상기 수신된 제1 메시지 데이터를 SMS 서버(225)에 저장한다[S710]. 그리고, 이동통신망(220)은, 상기 제1 메시지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여, 상기 활성화 장소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메시 지 수신측에 해당하는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로 전송한다[S720]. 한편, 상기 제2 메시지 데이터는, 상기 활성화 장소에 관한 지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SMS 서버(225)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 중 상기 제1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된 활성화 장소에 관한 지도를 검색한 후, 상기 검색된 지도를 제2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시켜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망(220)은,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위치를 파악하여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위치가 상기 활성화 장소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는 제3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로 전송한다[S73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 방법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의 활성화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송신자가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소를 미리 지정하고, 수신자가 상기 지정된 장소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메시지를 확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메시지 수신측을 입력받는 단계;
    메시지 내용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메시지 수신측에서 상기 메시지 내용이 활성화될 장소(이하 '활성화 장소'라고 함)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받은 메시지 내용과 활성화 장소를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메시지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장소 입력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지도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지도 중 어느 지점이 선택됨으로써 상기 활성화 장소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장소 입력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키 패드를 통해 상기 활성화 장소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데이터는,
    상기 활성화 장소에 관한 지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 방법.
  5.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를 활성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메시지 내용과, 상기 메시지 내용이 활성화될 장소(이하 '활성화 장소'라고 함)를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활성화 장소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 내용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의 활성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 상기 수신 사실과 상기 활성화 장소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의 활성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시스템 파라미터 혹은 GPS 신호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의 활성화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데이터는,
    상기 활성화 장소에 관한 지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의 활성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 상기 활성화 장소에 관한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의 활성화 방법.
  10. 이동통신 기지국이, 메시지 송신측으로부터, 메시지 수신측과, 메시지 내용과, 상기 메시지 수신측에서 상기 메시지 내용이 활성화될 장소(이하 '활성화 장소'라고 함)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제1 메시지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 상기 활성화 장소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메시지 수신측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메시지 수신측의 위치와 상기 활성화 장소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는 제3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메시지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 데이터는,
    상기 활성화 장소에 관한 지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 방법.
KR1020060067017A 2006-07-18 2006-07-18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방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의 활성화 방법 KR101265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017A KR101265612B1 (ko) 2006-07-18 2006-07-18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방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의 활성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017A KR101265612B1 (ko) 2006-07-18 2006-07-18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방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의 활성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847A true KR20080007847A (ko) 2008-01-23
KR101265612B1 KR101265612B1 (ko) 2013-05-22

Family

ID=39220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017A KR101265612B1 (ko) 2006-07-18 2006-07-18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방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의 활성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6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5242A (ko) * 2010-04-15 2011-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전자 기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전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10132154A (ko) * 2010-06-01 2011-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5242A (ko) * 2010-04-15 2011-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전자 기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전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10132154A (ko) * 2010-06-01 2011-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5612B1 (ko) 201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8856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location-based short message service system, location-based message generation method and location-based message display method
US8014762B2 (en) Time and location-based non-intrusive advertisements and informational messages
US74779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a search using a wireless mobile device
US90205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initiated location-based services through messaging
US7865297B2 (en) Methods for obtaining a navigation track between a first and a second location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shared between peer devices and related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US7680504B2 (en)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ived message activation method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ived message activation functions
CN103067588B (zh) 在移动终端显示和分享实时地图的系统及方法
US20080208467A1 (en) Methods for obtaining a navigation track between a first and a second location at a client device using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server device and related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CN101848428A (zh) 提供位置信息的方法及装置
US20100216492A1 (en) Employment of a text message by a user of a first mobile telephone to invoke a process that provides information to a user of a second mobile telephone
CN1694372B (zh) 提供综合消息传送业务的无线通信终端及其方法
KR100706345B1 (ko) 메세지 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26561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방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의 활성화 방법
WO2003003781A1 (fr) Appareil et systeme fournissant des images
EP2192733B1 (en) Including information in a message
JP2003114137A (ja) 情報配信方法、情報端末
KR101042113B1 (ko)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과 그 시스템
KR101531054B1 (ko) 통합 메시징 환경에서의 지리정보 전송장치 및 그 방법
KR10127687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텍스트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30171B1 (ko)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예약 메시지 서비스 방법과 그 시스템
KR101075665B1 (ko) 경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8040339A (ja) 通信端末、中継サーバ、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出力方法及び中継方法
KR20080015181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