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5181A -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5181A
KR20080015181A KR1020060076557A KR20060076557A KR20080015181A KR 20080015181 A KR20080015181 A KR 20080015181A KR 1020060076557 A KR1020060076557 A KR 1020060076557A KR 20060076557 A KR20060076557 A KR 20060076557A KR 20080015181 A KR20080015181 A KR 20080015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loc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5869B1 (ko
Inventor
송경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6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869B1/ko
Publication of KR20080015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5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서비스한다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GPS 모듈을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따라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특정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를 요청하고, 요청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에 따라 입력된 서비스 조건을 전송하며, 전송된 서비스 조건에 따라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통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후에, 서비스 조건 및 수신된 위치 정보에 따라 검색된 교통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무선 통신망을 통해 목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따른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쉽고 효과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 교통 정보,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TARGET POSITION GUIDANCE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B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서비스하는데 적합한 목표 위치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서비스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1-102/n : 이동 통신 단말기 104/1-104/n : 무선 통신망
104a/1-104a/n : 제 1 - 제 n무선 기지국
104b/1-104b/n : 제 1- 제 n 기지국 제어기
106 : MSC 108 : HLR/VLR
110 : 인터넷 통신망 112 : 목표 위치 서비스 서버
114 : PSDN 116 : 교통 정보 서비스 서버
118 : SMS 센터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표 위치 서비스 요청에 따라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서비스하는데 적합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음성 통화 기능 외에 내장 카메라나 메모리 등을 탑재하여 디지털 카메라 촬영이나 MP3 음악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등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그 기능이 확장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향상으로 인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또한 음성 통화를 위한 통신 서비스의 제공에만 그치지 않고,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새로이 부가되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하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는 이동 통신 단말기 이용자들이 별도의 부가장비 없이도 수십자 내외의 짧은 문장을 주고받을 수 있는 문자 서비스이다. 이러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문자 서비스 이용 인구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이메일과 달리 발송 시점과 거의 동시에 내용 전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통신수단의 하나로 이미 확고한 자리를 굳힌 상태이다.
그리고,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단말기 사이에 회신번호와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이 제공되며, 일기예보, 뉴스, 주식정보 등을 알 수 있음은 물론, 고객이 직접 다양한 정보를 검색해 필요한 정보만을 선택할 수도 있다. 그밖에 인터넷, PC통신 등을 통해 메일을 보내거나 받을 수도 있고, 일상생활에 필요한 각종 정보검색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대화식으로 정보가 제공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신용카드 회사들이 카드 사고를 막기 위해 거래 승인 내용을 문자 메시지를 통해 전송하는 서비스를 도입하는 등 전자결제·전자상거래에까지 계속 활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로는 교통 정보 서비스, 디지털 지도 다운로드 서비스, 위치 정보 서비스, 날씨 정보 서비스, 응급 서비스, 차량 항법 서비스 등의 위치 기반 서비스가 있는데, 이동 통신 단말기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통해 측정된 위치 정보를 텔레메틱스(Telematics) 정보 센터에 전송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에 기반한 정보를 서비스 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위치 기반 서비스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GPS 모듈을 장착하여 이를 통해 측정된 위치 정보를 통해 제공되기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에 GPS 모듈을 장착해야만 하고, 이러한 GPS 모듈을 통한 위치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서비스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목표 위치 안내 정보 단문 메시지를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서비스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를 요청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조건을 수신하고, 상기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목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MSC 또는 위치 정보 시스템으로 요청하여 수신한 후에, 이에 따라 제공되는 교통 정보 서비스 수단으로부터의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수단과, 상기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조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교통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수단으로 제공하는 상기 교통 정보 서비스 수단과, 상기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목표 위치 안내 정보에 대한 단문 메시지를 발생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서비스하는 방법으로서, 특정 이동 통신 단말기가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의 요청을 위해 서비스 조건을 입력하여 전송 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서비스 조건에 따라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목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조건 및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에 따라 검색된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공된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핵심 기술요지는, 특정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입력된 서비스 조건을 전송하고, 이러한 서비스 조건에 따라 상대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한 후에, 서비스 조건 및 위치 정보에 따른 교통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고, 이러한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해당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로 제공한다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바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서비스 하는데 적합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102/1-102/n), 무선 통신망(104/1-104/n), MSC(Mobile Switching Center, 106), HLR/VLR(Home Location Register/Vistor Location Register, 108), 인터넷 통신망(110),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서버(112), PSDN(114), 교통 정보 서비스 서버(116) 및 SMS 센터(118)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무선 통신망(104/1-104/n)은 제 1 - 제 n 무선 기지국(104a/1-104a/n) 및 제 1 - 제 n 기지국 제어기(104b/1-104b/n)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2/1-102/n)는 임의의 무선 기지국(104a)의 범위 내에 있고, 이동 통신 단말기(102/1-102/n)의 정보는 무선 통신망(104/1-104/n)을 거쳐 MSC(106)로 전송되며, MSC(106)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정보 및 서비스 데이터는 무선 통신망(104/1-104/n)을 거쳐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102/1-102/n)로 전송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서비스를 요청하는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와 서비스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2/2-102/n)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는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를 요청하는 요청신호를 무선 통신망(104/1)을 통해 전송하고, 무선 통신망(104/1)을 통해 수신되는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조건 설정을 위한 메뉴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며, 이를 이용하여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조건 설정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이러한 메뉴 화면을 통해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조건이 입력되면, 무선 통신망(104/1)을 통해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조건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목표 위치는 예를 들면, 약속 장소 등을 의미하고,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조건은, 예를 들어 날짜, 시간, 목표 위치, 상대측 이동 통신 단말기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2/2-102/n)는 MSC(106)로부터 무선 통신망(104/2-104/n)을 통해 전송되는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목표 위치 안내 정보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아 이를 디스플레이한다.
다음에, 무선 통신망(104/1-104/n)의 제 1 - 제 n 무선 기지국(104a/1-104a/n)은 이동 통신 단말기(102/1-102/n)를 제 1 - 제 n 기지국 제어기(104b/1-104b/n)에 접속시켜 이동 통신 단말기(102/1-102/n)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제 1 - 제 n 기지국 제어기(104b/1-104b/n)와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유무선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 1 - 제 n 기지국 제어기(104b/1-104b/n)는 제 1 - 제 n 무선 기지국(104a/1-104a/n))을 MSC(106)에 접속시켜 다른 기지국간의 연결을 조정하고, 제 1 - 제 n 무선 기지국(104a)과 MSC(106)간의 통신을 위한 신호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102/1-102/n)로부터의 각종 요청신호, 단말기 정보 등을 MSC(106)로 전송하고, MSC(106)로부터의 각종 정보 데이터, 부가 서비스 데이터 등을 이동 통신 단말기(102/1-102/n)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무선 통신망은 서비스를 요청하는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에 접속되는 제 1 무선 통신망(104/1)과 서비스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2/2-102/n)에 접속되는 제 2 무선 통신망(104/2-104/n)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MSC(106)는 이동 통신 가입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02/1-102/n)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거나 받을 때, 통화 호를 연결하며, 무선 통신망(104/1-104/n) 의 제 1 - 제 n 기지국 제어기(104b/1-104b/n)와 접속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2/1-102/n)의 통화 설정, 해제 기능 등을 수행하고, HLR/VLR(108)과 연결되어 호 처리를 수행하며, 다른 통신망, 예를 들어 인터넷 통신망(110)과의 연계 기능 등을 수행한다.
또한, MSC(106)는 이동 통신 단말기(102/1)로부터의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요청신호를 인터넷 통신망(110)을 통해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서버(112)로 전송하고,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서버(112)로부터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 화면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해당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로 제 1 무선 통신망(104/1)을 통해 전송하며,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로부터의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조건 데이터를 인터넷 통신망(110)을 통해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서버(112)로 전송한다.
그리고, MSC(106)는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서버(112)로부터의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조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2/2-102/n)의 단말기 정보를 HLR/VLR(108)과 연동하여 해당 단말기 위치 정보를 추출한 후,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서버(112)로 인터넷 통신망(110)을 통해 전송하고, SMS 센터(118)와 연동하여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서버(112)로부터 전송되는 교통 정보가 포함된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생성하고, 이러한 단문 메시지를 제 2 무선 통신망(104/2-104/n)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2/2-102/n)에 전송한다.
한편, HLR/VLR(108) 중 HLR(Home Location Register)은 홈 위치 등록기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102/1-102/n)와 가입자의 영구적인 정보, 위치 정보, 부가 서비스 정보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며, MSC(106) 또는 VLR과 상호 작용하여 호 처리 및 부가 서비스에 관련된 각종 기능을 수행하고 통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VLR(Visitor Location Register)은 방문자 위치 등록기로서, MSC(106)가 서비스하는 지역 내 방문 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며, 담당 영역으로 위치 등록한 이동 통신 단말기(102/1-102/n) 및 가입자 정보를 HLR(Home Location Register)로부터 가져와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에,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서버(112)는 MSC(106)로부터 인터넷 통신망(110)을 통해 전송되는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른 서비스 조건 입력을 위한 메뉴 화면 데이터를 MSC(106)로 전송하고, 전송되는 약소 장소 서비스 조건 데이터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4/2-104/n)의 단말기 정보(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인터넷 통신망(110)을 통해 MSC(106)로 요청하며, 이에 따라 해당 단말기 정보를 MSC(106)로부터 인터넷 통신망(110)을 통해 수신한다. 여기에서, 단말기의 위치 정보는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서버(112)에서 위치 정보 서비스(LBS : Location Based Service)를 제공하는 위치 정보 시스템(도시 생략됨)으로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서버(112)는 해당 단말기 정보 및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조건에 따라 인터넷 통신망(110)을 통해 교통 정보 서비스 서버(116)와 연동하여 해당 단말기 위치에 따른 교통 정보를 검색하고, 이러한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인터넷 통신망(110)을 통해 MSC(106)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목표 위치 안내 정보는, 예를 들어 날짜, 시간, 목표 위치, 해당 단말기에서 목표 위치까지의 거리, 교통 수단, 소요 시간, 서비스 요청한 이동 통신 단말기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PSDN(114)은 이동 통신 단말기(102/1-102/n)와 무선 통신망(104/1-104/n)을 통해 접속되어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102/1-102/n)로부터 무선 통신망(104/1-104/n)을 통해 전송되는 각종 데이터를 인터넷 통신망(110)을 통해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서버(112) 또는 교통 정보 서비스 서버(116)로 전송한다.
그리고, 교통 정보 서비스 서버(116)는 인터넷 통신망(110)을 통해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서버(112)와 연동하여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서버(112)로부터의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조건 및 단말기 정보에 따라 각각의 단말기 위치에서부터 목표 위치까지의 교통 정보를 검색하고, 이러한 교통 정보를 인터넷 통신망(110)을 통해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서버(112)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교통 정보는, 예를 들어 해당 단말기에서 목표 위치까지의 거리, 교통 수단, 소요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 SMS 센터(118)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MSC(106)와 연동하여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 후, MSC(106) 및 제 2 무선 통신망(104/2-104/n)을 통해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2/2-102/n)로 전송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시스템에서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요청 및 서비스 조건 전송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해당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로 서비스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서비스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시스템의 대기 모드에서(단계202),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에서는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를 요청하는 특정키가 입력되는 방식으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요청이 있는지를 체크한다(단계204).
상기 단계(204)에서의 체크 결과,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요청이 있을 경우 이러한 요청 신호는 제 1 무선 통신망(104/1)을 통해 MSC(106)로 전송되고, 인터넷 통신망(110)을 통해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서버(112)로 전송되며,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서버(112)에서는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화면 데이터를 인터넷 통신망(110)을 통해 MSC(106)로 전송하고, 이는 제 1 무선 통신망(104/1)을 통해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로 전송되어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화면을 제공한다(단계206). 한편, 본 발명에서는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서버(112)에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화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각각의 단말기 내부에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화면 데이터가 기 저장되어 서비스 요청과 함께 서비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에서는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조건의 입력을 기 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대기하며, 이러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조건이 입력됨으로써(단계208),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에서는 입력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조건에 따른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를 요청하는지를 체크한다(단계210). 여기에서, 목표 위치는 예를 들면, 약속 장소 등을 의미하고,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조건은, 예를 들어 날짜, 시간, 상대측 이동 통신 단말기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210)에서의 체크 결과,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조건에 따른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에서는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조건 데이터를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제 1 무선 통신망(104/1)을 통해 MSC(106)로 전송하고, 이러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조건 정보는 인터넷 통신망(110)을 통해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서버(112)로 전송된다(단계212).
다음에,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서버(112)에서는 전송되는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조건을 확인한 후에 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2/2-102/n)의 단말기 정보(즉, 단말기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인터넷 통신망(110)을 통해 MSC(106)로 전송한다(단계214).
이에 따라, MSC(106)에서는 HLR/VLR(108) 및 제 2 무선 통신망(104/2-104/n)과 연동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2/2-102/n)의 단말기 정보(즉, 단말기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이러한 단말기 정보를 인터넷 통신망(110)을 통해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서버(112)로 전송한다(단계216). 여기에서, 단말기의 위치 정보는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서버(112)에서 위치 정보 서비스(LBS : Location Based Service)를 제공하는 위치 정보 시스템(도시 생략됨)으로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서버(112)에서는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조건 정보 및 해당 단말기 정보를 인터넷 통신망(110)을 통해 교통 정보 서비스 서버(116)로 전송하고, 해당 단말기 정보(즉, 단말기 위치 정보) 및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정보에 따라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2/2-102/n)의 위치에서부터 목표 위치까지의 교통 정보를 검색한 후에(단계218), 검색된 교통 정보를 인터넷 통신망(110)을 통해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서버(112)로 전송한다(단계220). 여기에서, 교통 정보는, 예를 들어 해당 단말기에서 목표 위치까지의 거리, 교통 수단, 소요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서버(112)에서는 전송되는 교통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포함하는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인터넷 통신망(110)을 통해 MSC(106)로 전송하고, MSC(106)에서는 SMS 센터(118)와 연동하여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제 2 무선 통신망(104/2-104/n)을 통해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2/2-102/n)로 전송하여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해당 단말기로 제공한다(단계222). 여기에서, 목표 위치 안내 정보는, 예를 들어 날짜, 시간, 목표 위치, 해당 단말기에서 목표 위치까지의 거리, 교통 수단, 소요 시간, 서비스 요청한 이동 통신 단말기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를 요청하고, 이에 따른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조건을 입력하여 전송하면 입력된 서비스 조건에 따른 해당 단말기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이러한 위치 정보에 따른 교통 정보를 검색한 후에, 검색된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하여 해당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로 제공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GPS 모듈을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따라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특정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입력된 서비스 조건을 전송하고, 이러한 서비스 조건에 따라 목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한 후에, 서비스 조건 및 위치 정보에 따른 교통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고, 이러한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해당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로 제공함으로써,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요청 시 입력 전송된 서비스 조건에 따른 해당 단말기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이러한 위치 정보에 따라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쉽고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서비스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를 요청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조건을 수신하고, 상기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목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MSC 또는 위치 정보 시스템으로 요청하여 수신한 후에, 이에 따라 제공되는 교통 정보 서비스 수단으로부터의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수단과,
    상기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조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교통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수단으로 제공하는 상기 교통 정보 서비스 수단과,
    상기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목표 위치 안내 정보에 대한 단문 메시지를 발생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조건은, 날짜, 시간, 목표 위치 및 목표 이동 통신 단말기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목표 위치까지의 거리, 교통 수단 및 소요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위치 안내 정보는, 날짜, 시간, 목표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목표 위치까지의 거리, 교통 수단, 소요 시간 및 상기 서비스 요청한 이동 통신 단말기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시스템.
  5.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서비스하는 방법으로서,
    특정 이동 통신 단말기가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의 요청을 위해 서비스 조건을 입력하여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서비스 조건에 따라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목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조건 및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에 따라 검색된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공된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목표 위치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는, MSC 또는 위치 정보 시스템으로 요청하여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조건은, 상기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입력된 날짜, 시간, 목표 위치 및 목표 이동 통신 단말기 번호를 포함하여 상기 서비스 요청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는, 상기 서비스 조건 및 상기 위치 정보에 따른 상기 목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목표 위치까지의 거리, 교통 수단 및 소요 시간을 검색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위치 안내 정보는, 상기 서비스 조건 및 상기 교통 정보에 따른 날짜, 시간, 목표 위치, 상기 목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목표 위치까지의 거리, 교통 수단, 소요 시간 및 상기 서비스 요청한 이동 통신 단말기 번호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위치 안내 정보는, 상기 서비스 조건 및 상기 교통 정보에 따른 날짜, 시간, 목표 위치, 상기 목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목표 위치까지의 거리, 교통 수단, 소요 시간 및 상기 서비스 요청한 이동 통신 단말기 번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ultimedia Message)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방법.
KR1020060076557A 2006-08-14 2006-08-14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KR101215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557A KR101215869B1 (ko) 2006-08-14 2006-08-14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557A KR101215869B1 (ko) 2006-08-14 2006-08-14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181A true KR20080015181A (ko) 2008-02-19
KR101215869B1 KR101215869B1 (ko) 2012-12-31

Family

ID=39383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557A KR101215869B1 (ko) 2006-08-14 2006-08-14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8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5869B1 (ko) 201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4156B2 (en) User-tagging of cellular telephone locations
KR20050120664A (ko) 문자열변수 url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신하는 시스템,단말기 및 방법
US20070140439A1 (en) Method for presenting location information on a mobile terminal
US20050208954A1 (en) User-tagging of cellular telephone locations
US73497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KR20090112359A (ko)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665818B1 (ko) 위치정보 서비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를이용한 인스턴트 메세징 시스템
KR101462121B1 (ko) 이종망 연동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1586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표 위치 안내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20034270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목표물 위치확인 서비스 제공방법
KR2006002851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에 따른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434647B1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80011881A (ko)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0784664B1 (ko) 메신저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및 방법
KR20070034337A (ko)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공시지가 정보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789276B1 (ko) 모바일을 통한 업체 상세정보 서비스방법
KR1005305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가능 지역 등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858152B1 (ko) 글로벌 네비게이션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245625B1 (ko) 단말기를 이용한 영역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0213949A (ja) 携帯型電話機によるナビゲ―ションシステム
KR20220073187A (ko)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토지보상가 정보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653552B1 (ko) 인터넷을 이용한 공간적 위치조회 서비스 시스템
US20100082584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inquiring position information
KR20000054038A (ko) 인터넷을 이용한 무선 이동 단말간의 경로 서비스 방법
KR20000050054A (ko) 인터넷을 이용한 일기 정보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