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036B1 - 무선 단말기에서의 위치정보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단말기에서의 위치정보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036B1
KR100989036B1 KR1020080008807A KR20080008807A KR100989036B1 KR 100989036 B1 KR100989036 B1 KR 100989036B1 KR 1020080008807 A KR1020080008807 A KR 1020080008807A KR 20080008807 A KR20080008807 A KR 20080008807A KR 100989036 B1 KR100989036 B1 KR 100989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memory
wireless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2403A (ko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080008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036B1/ko
Publication of KR20080012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03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에서의 위치정보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 단말기에서 메모리(또는 메모리 영역)에 기 저장된 특정 위치 정보와 현재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결과, 메모리(또는 메모리 영역)에 기 저장된 특정 위치 정보와 현재 위치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무선 단말기에서 현재 위치에 관련된 쿠폰 또는 티켓 제공 서비스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무선 단말기, 위치

Description

무선 단말기에서의 위치정보 운용방법{Method for Operating Location Information in Mobile Device}
도1은 무선 측위 기술을 통해 무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간단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무선 단말기에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면4는 무선 단말기에 저장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운용하여 위치 비교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면5는 무선 단말기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제3자의 무선 단말기(또는 저장매체)로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200 : 제어부 205 : 키 입력부
210 : 디스플레이부 215 : 무선 처리부
220 : 음성 처리부 225 : 메모리
230 : 배터리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에서 메모리(또는 메모리 영역)에 기 저장된 특정 위치 정보와 현재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결과, 메모리(또는 메모리 영역)에 기 저장된 특정 위치 정보와 현재 위치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무선 단말기에서 현재 위치에 관련된 쿠폰 또는 티켓 제공 서비스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내 위치정보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단말기는 무선채널을 통하여 기지국과 무선통신 신호를 교환하여 일반적인 음성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단문 메시지 서비스와 데이터 서비스 등의 다양한 부가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이동 통신 기지국의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셀 아이디 기반 무선 측위 방법, 이동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네트워크 기반 무선 측위 방법, 그리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칩셋을 단말기 내부에 내장하는 GPS 기반 무선 측위 방법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무선 측위 중에서 한가지 이상의 무선 측위를 통해 제공되는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통해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 받는다.
이동 통신 기지국의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셀 아이디 기반 무선 측위 방법은, 무선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방법은 전파 도달 각(Angle Of Arrival; AOA)이나, 또는 전파 도달 시간의 상관 관계 등을 이용하는 무선 측위 기술이고,
이동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네트워크 기반 무선 측위 방법은, 정확한 위치를 알고 있고, 고정되어 있는 기지국에서 무선 단말기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무선 단말기의 2차원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고안된 무선 측위 기술이며,
그리고 GPS 칩셋을 단말기 내부에 내장하는 GPS 기반 무선 측위 방법은 24개의 GPS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위성 신호를 해석함으로써, 무선 단말기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시간에 관계없이 획득할 수 있도록 고안된 무선 측위 기술이다.
도면1은 무선 측위 기술을 통해 무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간단한 도면이다.
무선 단말기에 전원이 입력되어 기지국과 제어국을 통해 이동 통신망에 접속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 정보는 홈 위치 등록기를 거쳐 교환기에 전달되며, 교환기는 무 선 측위 서버를 통해 무선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는 셀 아이디 기반 무선 측위 방법과 네트워크 기반 무선 측위 방법, 및/또는 GPS 위성을 이용하는 GPS 기반 무선 측위 방법 중에서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무선 측위 방법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와 같이 추출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통해 실시간 변화하는 무선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 등에 다양하게 활용된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가 할인 쿠폰을 다운로드 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 제공자가 교환기를 통해 측위 서버로부터 현재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무선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의 상점 및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할인 쿠폰을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항상 측위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매번 다시 제공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단말기에서 메모리(또는 메모리 영역)에 기 저장된 특정 위치 정보와 현재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결과, 메모리(또는 메모리 영역)에 기 저장된 특정 위치 정보와 현재 위치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무선 단말기에서 현재 위치에 관련된 쿠폰 또는 티켓 제공 서비스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내 위치정보 운용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에서의 위치정보 운용방법은, 무선 단말기에서 메모리(또는 메모리 영역)에 기 저장된 특정 위치 정보와 현재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결과, 메모리(또는 메모리 영역)에 기 저장된 특정 위치 정보와 현재 위치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무선 단말기에서 현재 위치에 관련된 쿠폰 또는 티켓 제공 서비스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위 서버를 통해 추출되는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 단말기는, 상기 추출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무선 단말기와, 상기 추출된 무선 단말기에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도록 허락한 무선 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발명에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은, 이동 통신 기지국의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셀 아이디 기반 무선 측위 방법, 이동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네트워크 기반 무선 측위 방법, 그리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칩셋을 단말기 내부에 내장하는 GPS 기반 무선 측위 방법 중에서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측위방법을 포함하며, 향후 상기 측위방법에 대한 기술진보에 따라 새로운 측위방법이 개발된다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내 위치정보 저장 및 운용방법은 상기와 같은 새로운 측위방법을 통해 얻어지는 위치정보를 무선 단말기내 저장하고, 운용할 수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도면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2를 참조하면, 무선 단말기는 기지국과 이동 교환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 전화 시스템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제어부(200)와 키 입력부(205)와 디스플레이부(210)와 무선 처리부(215)와 음성 처리부(220)와 메모리(225) 및 배터리(230)를 구비한다.
제어부(200)는 무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측위 서버로부터 추출되어 전달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소정의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에 저장하거나, 상기 저장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로드(Load)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는 무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에 의한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등이 저장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가 저장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저장 공간으로서, 보다 상세히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에 기 포함되어 있는 주소록이나 명함 등에 위치정보를 포함시켜 저장하는 위치 정보 저장 영역 및/또는 상기 무선 단말기에 듀얼 슬롯, 듀얼 칩, 또는 원칩 방식으로 탑재되는 IC(Integrated Circuit) 칩의 저장 영역을 포함한다.
무선 처리부(215)는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며 송/수신되는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를 처리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음성 처리부(220)는 제어부(200)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코딩하여 무선 처리부(215)로 전달하고, 무선 처리부(215)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디코딩하여 스피커에 음성신호로서 송출한다.
키 입력부(205)는 다수의 숫자 및 문자키들과 기능키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누를 때 해당되는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 저장 키를 누르는 경우 해당 키 데이터를 제어부(200)로 전달하거나,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에 저장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하는 키를 누르는 경우 해당 키 데이터를 제어부(200)로 전달한다.
디스플레이부(210)는 키 입력부(205)에서 발생되는 키데이터 및 제어부의 각종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며, 특히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숫자 및/또는 문자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거나, 또는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정보에 대응하는 지도와 결합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각종 화살표 등의 기호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도면3은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무선 단말기에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방법은, 무선 단말기가 키 입력부(205)를 통해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 다운로드 명령을 내리면, 제어부(200)가 무선 처리부(215)를 통해 교환기로 해당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교환기가 무선 단말기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직접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방법과, 무선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가 교환기를 통해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무선 단말기로 다운로드 하여 저장하는 방법 등이 있다.
도면3의 (가)는 무선 단말기가 키 입력부(205)를 통해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 다운로드 명령을 내리면, 제어부(200)가 무선 처리부(215)를 통해 교환기로 해당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교환기가 무선 단말기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직접 전송하여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것이다.
무선 단말기가 키 입력부(205)를 통해 해당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명령을 입력하면(300), 제어부(200)가 무선 처리부(215)를 통해 이동 통신 망의 교환기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 추출을 요청한다(305).
또한, 무선 단말기가 키입력부(205)를 통해 해당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무선 단말기에 미리 설정한 단축키를 통해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 다운로드 명령을 내려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기도 한다.
무선 단말기로부터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 추출이 요청되면, 교환기는 측위 서버로부터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고(310), 무선 단말기 제어부(200)는 상기 전송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10)에 출력한다(315).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10)에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가 출력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에 저장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상기 과정에서 전송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에 저장하지 않는다면(320), 무선 단말기의 제어부(200)는 다운로드 되어 출력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삭제하고(325),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에 저장하는 과정은 종료된다.
반면 무선 단말기로 전송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에 저장하기로 결정하였다면(330), 제어부(200)는 상기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저장할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 상의 저장 영역을 선택한다(335).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단말기로 다운로드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는 (위치정보용)주소록이나 명함 등과 같은 무선 단말기 에이전트에 포함되어 저장되거나, 듀얼 슬롯, 듀얼 칩, 또는 원 칩 방식으로 무선 단말기에 탑재되어 있는 IC칩 상의 저장 영역에 저장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가 저장될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 상의 저장 영역이 결정되면, 제어부(200)는 상기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결정된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 상의 저장 영역에 저장한다(340).
또한, 상기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 상의 저장 영역에 저장할 때,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부(205)를 통해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인덱스(Index) 정보(또는 위치설명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아 상기 위치 정보와 매칭(또는 연계)하여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 상의 저장 영역에 저장한다.
예를 들면,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 상의 저장 영역에 저장하고자 하는 위치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집' 인 경우, 상기 위치정보를 (위치정보용)주소록 또는 명함 등에 저장할 때 상기 위치가 `집` 이라는 것을 상기 사용자(또는 제3자)에게 언제든지 쉽게 인지시키기 위해 상기 위치정보에 `집` 또는 `1` 이라는 일종의 인덱스를 매칭(또는 연계)시켜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 상의 저장 영역에 저장토록 한다.
또한,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 상의 저장 영역에 저장하고자 하는 위치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거래처인 경우, 상기 위치정보를 (위치정보용)주소록 또는 명함 등에 저장할 때 상기 위치가 `거래처` 라는 것을 상기 사용자(또는 제3자)에게 언제든지 쉽게 인지시키기 위해 상기 위치정보에 `거래처` 또는 `거래처1` 또는 `거래처2` 라는 일종의 인덱스를 매칭(또는 연계)시켜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 상의 저장 영역에 저장토록 한다.
또한,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55) 상의 저장 영역에 저장하고자 하는 위치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애인과 처음 만난 지역인 경우, 상기 위치정보를 (위치정보용)주소록 또는 명함 등에 저장할 때 상기 위치가 '추억의 거리' 라는 것을 상기 사용자(또는 제3자)에게 언제든지 쉽게 인지시키기 위해 상기 위치정보에 '추억의 거리' 또는 '첫만남 장소' 등과 같은 일종의 인덱스 를 매칭(또는 연계)시켜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 상의 저장 영역에 저장토록 한다.
또한,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위치정보를 통신망 상에 위치하는 저장매체(또는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여, 저장하고, 관리토록 할 수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도면3의 (나)는 무선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또는 무선측위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가 교환기를 통해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여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에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것이다.
무선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고(300), 상기 서버를 통해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 다운로드를 요청하면(305), 상기 서버가 교환기를 통해 측위 서버로부터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310).
상기와 같이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추출하면, 서버는 상기 추출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고(315), 무선 단말기 제어부(200)는 상기 전송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10)에 출력 한다(320).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10)에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가 출력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에 저장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상기 과정에서 전송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에 저장하지 않는다면(325), 무선 단말기의 제어부(200)는 다운로드 되어 출력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삭제하고(330),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에 저장하는 과정은 종료된다.
반면 무선 단말기로 전송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에 저장하기로 결정하였다면(335), 제어부(200)는 상기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저장할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 상의 저장 영역을 선택한다(340).
상기 과정을 통해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가 저장될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 상의 저장 영역이 결정되면, 제어부(200)는 상기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결정된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 상의 저장 영역에 저장한다(345).
또한, 상기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 상의 저장 영역에 저장할 때,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부(205)를 통해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인덱스(Index) 정보(또는 위치설명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아 상기 위치 정보와 매칭(또는 연계)하여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 상의 저장 영역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에 저장되는 위치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요청 또는 조작에 의해 통신망 상에 위치하는 저장매체(또는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여, 저장하고, 관리토록 할 수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도면4는 무선 단말기에 저장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운용하여 위치 비교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무선 단말기에 저장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운용하여 위치 비교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은, 무선 단말기에 저장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운용함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상기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에 기 저장된 위치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1)위치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위치에 관련된 서비스(미리 예약된 서비스 포함)를 제공하도록 하며, 2)위치정보가 일치하는 않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 역)(225)에 기 저장된 위치정보를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 저장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계속적으로(또는 간헐적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위치 이동 정보를 제공한다.
무선 단말기가 키 입력부(205)를 통해 위치 비교 서비스 개시 명령을 내리면(400), 무선 단말기는 위치 비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무선 인터넷을 통해, 또는 측위 서버를 통해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교환기로부터 직접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405).
상기와 같이 무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200)는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에 저장되어 있는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410), 상기와 같이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로부터 추출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와, 서버 및/또는 교환기 등으로부터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를 비교함으로써(415), 현재 무선 단말기가 도면3의 과정을 거쳐 저장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약 무선 단말기가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에 저장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한다면(420),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위치에 관련된 서비스(쿠폰/ 티켓 제공, 멜로디 제공 등 미리 예약된 서비스 포함)를 제공한다(425).
반면, 무선 단말기가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에 저장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다면(430), 상기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에 기 저장된 위치정보와 상기 무선 단말기의 현재 이동 위치를 계속적으로(또는 간헐적으로) 비교하여 상기 비교결과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에 기 저장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위치 이동 정보를 제공한다(435).
여기서, 상기 위치 이동 정보는 숫자 및/또는 문자의 형태, 또는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정보에 대응하는 지도 형태, 또는 각종 화살표 등의 기호 형태, 또는 `전`, `후`, `좌`, `우` 등과 같은 음성 형태로 제공되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도면3과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에 미리 저장한 `거래처1`로 다시 찾아가려고 하는 경우,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상기 도면3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위치정보와 상기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에 미리 저장한 `거래처1`의 위치정보를 계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생성된 위치 이동 정보(상기 사용자가 상기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에 기 저장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거래 처1`로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면5는 무선 단말기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제3자의 무선 단말기(또는 저장매체)로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상기 무선 단말기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제3자의 무선 단말기(또는 저장매체)로 제공하는 과정은, 우선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제3자의 무선 단말기(또는 저장매체)로 제공하고자 하는 위치 정보를 선택 및/또는 추출한 후(500), 상기 선택 및/또는 추출한 위치정보를 상기 제3자의 무선 단말기(또는 저장매체)로 제공하는 방식(또는 전송방식)을 선택 및/또는 결정한다(505).
여기서, 상기 무선 단말기(또는 저장매체)로 제공하는 방식(또는 전송방식)은 예를 들어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등 메시지 전송 센터를 통해 메시지(멀티미디어 메시지 포함) 형태로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단말기간 데이터 직접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전송하거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방식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자의 무선 단말기(또는 저장매체)로 제공하는 방식(또는 전송방식)이 선택/또는 결정되면, 상기 제3자의 무선 단말기(또는 저장매체) 연결정보를 입력한 후(510), 상기 결정된 전송방식으로 상기 제3자의 무선 단말기(또는 저장매 체)로 상기 무선 단말기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515).
상기와 같이 무선단말기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제3자의 무선 단말기(또는 저장매체)로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제3자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가 제공하는 위치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제공한 위치로 보다 용이하게 찾아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3자의 저장매체는 상기 제3자의 이메일 등 상기 무선 단말기 외의 다른 저장수단을 총칭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와 같이 무선단말기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제3자의 무선 단말기(또는 저장매체)로 제공하는 과정은, 본 발명의 효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 상기 위치 정보 제공시, 상기 위치정보와 함께 간단한 메시지(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같이 보낼 수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가 자신의 `집`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3자에게 전송하여 상기 제3자가 상기 사용자의 집을 별도의 다른 정보 없이 보다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며, 이 경우 사용자가 물건을 주문하고 물건 배달장소를 상기 사용자 무선 단말기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배송자에게 전송하는 등 많은 부분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물건 배송자에게 상기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빨리 배달해 주세요` 등과 같은 메시지를 같이 보낼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결혼식장 위치정보를 다수의 하객들에게 (동시에)발송하여 하객들이 별도의 청첩장 없이 보다 용이하게 찾아오도록 하며, 이 경우 상기 하객들에게 위치정보 발송과 함께 결혼 청첩장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안내문 등)를 같이 전송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자의 무선 단말기(또는 저장매체)로 제공하는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에서 선택 및/또는 추출하여 제공하는 것만 기술하였지만, 상기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225)에 저장되는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요청 또는 조작에 의해 통신망 상에 위치하는 저장매체(또는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여, 저장/ 관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3자의 무선 단말기(또는 저장매체)로 제공하는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저장매체(또는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 및/또는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단말기내 위치정보 저장 및 운용방법을 제공함에 따라, 상기와 같이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는 항상 측위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매번 다시 제공받아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 상의 저장 영역에 저장하고자 하는 위치정보에 인덱스를 달아 보다 편리하게 위치정보를 선택/또는 추출하도록 하며, 무선 단말기에 저장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운용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상기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에 기 저장된 위치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1)위치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위치에 관련된 서비스(미리 예약된 서비스 포함)를 제공하도록 하며, 2)위치정보가 일치하는 않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에 기 저장된 위치정보를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 저장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계속적으로(또는 간헐적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위치 이동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위치 관련 서비스를 보다 용이하게 제공하도록 한다.
즉, 상기 사용자에게 위치에 관련된 서비스(쿠폰/ 티켓 제공, 멜로디 제공 등 미리 예약된 서비스 포함) 제공에 대한 편리성 제공과 함께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에 미리 저장한 위치로 다시 찾아가려고 하는 경우, 상기 무선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상기 메모리부(또는 메모리 영역)에 미리 저장한 위치정보를 비교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위치로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선 단말기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제3자의 무선 단말기(또는 저장매체)로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가 물건을 주문하는 경우, 또는 결혼식장 위치정보 제공 등 제3자에게 위치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무선 단말기에서 특정 위치 정보를 상기 특정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쿠폰 또는 티켓과 연계하여 메모리(또는 메모리 영역) 상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메모리(또는 메모리 영역)과 연계하여, 상기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와 특정 위치 정보의 일치 여부를 비교/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메모리(또는 메모리 영역)에 기 저장된 특정 위치 정보와 상기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가 동일한 경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확인된 특정 위치 정보와 연결하여 저장된 쿠폰 또는 티켓이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에서의 위치정보 운용방법.
KR1020080008807A 2008-01-28 2008-01-28 무선 단말기에서의 위치정보 운용방법 KR100989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807A KR100989036B1 (ko) 2008-01-28 2008-01-28 무선 단말기에서의 위치정보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807A KR100989036B1 (ko) 2008-01-28 2008-01-28 무선 단말기에서의 위치정보 운용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05502A Division KR20040069076A (ko) 2003-01-28 2003-01-28 무선 단말기내 위치정보 저장 및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403A KR20080012403A (ko) 2008-02-11
KR100989036B1 true KR100989036B1 (ko) 2010-10-20

Family

ID=39340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807A KR100989036B1 (ko) 2008-01-28 2008-01-28 무선 단말기에서의 위치정보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0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370B1 (ko) * 2008-12-16 2014-09-1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789A (ko) * 1999-05-10 1999-08-05 이선희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sms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21058A (ko) * 1999-07-07 2001-03-15 스테븐 디.피터스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전자 쿠폰 배분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02550A (ko) * 2000-06-30 2002-01-10 이종완 전자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030007552A (ko) * 2000-04-27 2003-01-23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네비게이션시스템 및 특정 편의시설의 위치데이터를저장하는 기억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789A (ko) * 1999-05-10 1999-08-05 이선희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sms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21058A (ko) * 1999-07-07 2001-03-15 스테븐 디.피터스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전자 쿠폰 배분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07552A (ko) * 2000-04-27 2003-01-23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네비게이션시스템 및 특정 편의시설의 위치데이터를저장하는 기억매체
KR20020002550A (ko) * 2000-06-30 2002-01-10 이종완 전자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403A (ko) 2008-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01332A1 (en) Method of tracking mobile station location
US20020062263A1 (en) Method of providing store information and store information server
RU2008115055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географического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KR20050120664A (ko) 문자열변수 url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신하는 시스템,단말기 및 방법
KR20080033125A (ko) 서비스 정보 제공 장치 및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CN103987022A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位置信息查询方法、系统及移动终端
KR20030046656A (ko) 지피에스 수신기능 구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위치통지방법 및 그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06345B1 (ko) 메세지 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989036B1 (ko) 무선 단말기에서의 위치정보 운용방법
KR20060082737A (ko) Poi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115426B1 (ko) 위치 정보를 이용한 상점 안내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gps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92007B1 (ko) 위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서비스제공 방법
KR100514699B1 (ko) Gps용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방법및 그 시스템
KR20060117851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특정 장소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101022804B1 (ko) 무선 단말기의 이동 정보 제공방법
JP2008244856A (ja) 通信サーバおよび通信接続方法
KR101136145B1 (ko)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크인 방법
KR20080014921A (ko) 무선 단말기에서의 위치정보 제공방법
KR20040069076A (ko) 무선 단말기내 위치정보 저장 및 운용방법
KR20040100418A (ko) 위치 기반 컨텐츠를 사용하는 무선통신장치 및 이를이용한 독립형 위치 기반 서비스 운용 방법
KR100920073B1 (ko) 위치정보 운용방법
KR100920076B1 (ko) 무선 단말기 위치 관련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TWI271537B (en) Mobile device with wireless telecommunication positioning function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bined with positioning function, and methods thereof
KR100920077B1 (ko) 무선 단말기의 이동 정보 제공방법
KR100920080B1 (ko) 위치정보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