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073B1 - 위치정보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위치정보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073B1
KR100920073B1 KR1020030005520A KR20030005520A KR100920073B1 KR 100920073 B1 KR100920073 B1 KR 100920073B1 KR 1020030005520 A KR1020030005520 A KR 1020030005520A KR 20030005520 A KR20030005520 A KR 20030005520A KR 100920073 B1 KR100920073 B1 KR 100920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server
database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9085A (ko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030005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0073B1/ko
Publication of KR20040069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3/00Time or time-programme switches providing a choice of time-intervals for executing one or more switching actions and automatically terminating their operations after the programme is completed
    • H01H43/02Details
    • H01H43/04Means for time se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 H01H47/18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for introducing delay in the operation of the relay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정보 저장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를 통해 획득되는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이동 통신망 및/또는 무선 인터넷 상의 서버(또는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위치정보를 응용 서비스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무선 단말기, 서버, 위치

Description

위치정보 운용방법{Method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도1은 무선 측위 기술을 통해 무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간단한 도면이다.
도2는 무선 측위 기술을 통해 무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이동 통신망 및/또는 무선 인터넷 상의 서버(또는 저장매체)상의 D/B에 저장하는 시스템에 대한 간단한 도면이다.
도3은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서버에 탑재 및/또는 연동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4는 서버(또는 저장매체)에 탑재 및/또는 연동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면5는 서버(또는 저장매체)에 탑재 및/또는 연동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제3자의 무선 단말기(또는 저장매체)로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200 : 서버(또는 저장매체)
205 :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
210 : 무선 단말기
본 발명은 LBS(Location Based Service)를 통해 획득되는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이동 통신망 및/또는 무선 인터넷 상의 서버(또는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위치정보를 응용 서비스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무선 단말기는 무선채널을 통하여 기지국과 무선통신 신호를 교환하여 일반적인 음성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단문 메시지 서비스와 데이터 서비스 등의 다양한 부가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이동 통신 기지국의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셀 아이디 기반 무선 측위 방법, 이동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네트워크 기반 무선 측위 방법, 그리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칩셋을 단말기 내부에 내장하는 GPS 기반 무선 측위 방법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무선 측위 중에서 한가지 이상의 무선 측위를 통해 제공되는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통해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 받는다.
이동 통신 기지국의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셀 아이디 기반 무선 측위 방법은, 무선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방법은 전파 도달 각(Angle Of Arrival; AOA)이나, 또는 전파 도달 시간의 상관 관계 등을 이용하는 무선 측위 기술이고,
이동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네트워크 기반 무선 측위 방법은, 정확한 위치를 알고 있고, 고정되어 있는 기지국에서 무선 단말기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무선 단말기의 2차원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고안된 무선 측위 기술이며,
그리고 GPS 칩셋을 단말기 내부에 내장하는 GPS 기반 무선 측위 방법은 24개의 GPS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위성 신호를 해석함으로써, 무선 단말기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시간에 관계없이 획득할 수 있도록 고안된 무선 측위 기술이다.
도면1은 무선 측위 기술을 통해 무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간단한 도면이다.
무선 단말기에 전원이 입력되어 기지국과 제어국을 통해 이동 통신망에 접속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 정보는 홈 위치 등록기를 거쳐 교환기에 전달되며, 교환기는 무선 측위 서버를 통해 무선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는 셀 아이디 기반 무선 측위 방법과 네트워크 기반 무선 측위 방법, 및/또는 GPS 위성을 이 용하는 GPS 기반 무선 측위 방법 중에서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무선 측위 방법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와 같이 추출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통해 실시간 변화하는 무선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 등에 다양하게 활용된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가 할인 쿠폰을 다운로드 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 제공자가 교환기를 통해 측위 서버로부터 현재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무선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의 상점 및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할인 쿠폰을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항상 측위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매번 다시 제공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단말기가 측위서버(또는 교환기)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측위서버(또는 교환기)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이동 통신망 및/또는 무선 인터넷 상의 서버(또는 저장매체)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망 및/또는 무선 인터넷 상의 서버(또는 저장매체)에 탑재 및/또 는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저장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이동 통신망 및/또는 무선 인터넷 상의 서버(또는 저장매체)에 탑재 및/또는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에 기 저장된 위치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위치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위치에 관련된 서비스(쿠폰/ 티켓 제공, 멜로디 제공 등 미리 예약된 서비스 포함)를 제공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에 기 저장된 위치정보를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무선 단말기의 현재 이동 위치에서 상기 기 저장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계속적으로(또는 간헐적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위치 이동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제3자의 무선 단말기(또는 저장매체)로 제공하는 위치정보 운용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위치정보 저장방법에 대한 것으로, LBS(Location Based Service)를 통해 획득되는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이동 통신망 및/또는 무선 인터넷 상의 서버(또는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위치정보를 응용 서비스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단말기가 측위서버(또는 교환기)로 상기 무선 단말 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측위서버(또는 교환기)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이동 통신망 및/또는 무선 인터넷 상의 서버(또는 저장매체)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망 및/또는 무선 인터넷 상의 서버(또는 저장매체)에 탑재 및/또는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저장방법과 상기 이동 통신망 및/또는 무선 인터넷 상의 서버(또는 저장매체)에 탑재 및/또는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에 기 저장된 위치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위치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위치에 관련된 서비스(쿠폰/ 티켓 제공, 멜로디 제공 등 미리 예약된 서비스 포함)를 제공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에 기 저장된 위치정보를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무선 단말기의 현재 이동 위치에서 상기 기 저장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계속적으로(또는 간헐적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위치 이동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제3자의 무선 단말기(또는 저장매체)로 제공하는 위치정보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은, 이동 통신 기지국의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셀 아이디 기반 무선 측위 방법, 이동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네트워크 기반 무선 측위 방법, 그리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칩셋을 단말기 내부에 내장하는 GPS 기반 무선 측위 방법 중에서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포함하며, 향후 상기 측위방법에 대한 기술진보에 따라 새로운 측위방법이 개발된다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저장방법은 상기와 같은 새로운 측위방법을 통해 얻어지는 위치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망 및/또는 무선 인터넷 상의 서버(또는 저장매체)에 탑재 및/또는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 운용할 수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도면2는 무선 측위 기술을 통해 무선 단말기(21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이동 통신망 및/또는 무선 인터넷 상의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상의 D/B에 저장하는 시스템에 대한 간단한 도면이다.
도면2에 따르면, 무선 측위 기술을 통해 무선 단말기(210)의 위치 정보를 추 출하여 저장하는 시스템은 도면1과 같은 기존 LBS 시스템의 특징을 그대로 포함하며, 상기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에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가 탑재 및/또는 연동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에 탑재 및/또는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는 각각의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를 저장하도록 요청하는 무선 단말기(210)와 일대일로 대응하여 저장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되는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기(210)에 탑재되어 있는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위치 기반 서비스용 에이전트와,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가 탑재 및/또는 연동되어 있는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에 탑재되어 있는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위치 기반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상기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위치 기반 서비스를 공유하는 다른 서버에 탑재되어 있는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위치 기반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과 논리적으로 연동되어 공유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3은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를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에 탑재 및/또는 연동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특히, 도면3은 무선 단말기(210)가 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에 접속하여 해당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또는 저장매체)(200)가 교환기를 통해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에 탑재 및/또는 연동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것이다.
무선 단말기(210)가 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에 접속하고(300), 상기 서버(또는 저장매체)(200)를 통해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 저장을 요청하면(305), 상기 서버(또는 저장매체)(200)가 교환기를 통해 측위 서버로부터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310), 상기 추출된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210) 사용자에게 출력한다(320).
여기서, 상기 무선 단말기(210)가 서버(또는 저장매체)(200)로 상기 무선 단말기(210)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방식은, 상기 무선 단말기(210)가 상기 무선 단말기(210)에서 미리 설정한 단축키를 통해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서버(또는 저장매체)(200)가 교환기를 통해 측위 서버로부터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210)로 전송하고(315), 상기 무선 단 말기(210)가 상기 전송된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도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상기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의 출력방법은, 상기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를 숫자 및/또는 문자의 형태로 출력하거나, 또는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정보에 대응하는 지도와 결합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각종 화살표 등의 기호를 포함하여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가 출력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210) 사용자 또는 상기 무선 단말기(210)는 상기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를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에 탑재 및/또는 연동된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상기 과정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를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에 탑재 및/또는 연동된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하지 않는다면(325),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를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에 탑재 및/또는 연동된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하는 과정은 종료된다.
또한, 상기 무선 단말기(210)가 상기 전송된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경우, 상기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를 서버(또는 저 장매체)(200)에 탑재 및/또는 연동된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하지 않는다면, 상기 무선 단말기(210)의 제어부는 다운로드 되어 출력된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를 삭제하고(330), 상기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에서도 삭제하도록 요청한 후,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를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에 탑재 및/또는 연동된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하는 과정은 종료된다.
반면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를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에 탑재 및/또는 연동된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하기로 결정하였다면(335), 무선 단말기(210) 사용자(또는 무선 단말기(210))는 통신망(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에 탑재 및/또는 연동된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상기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를 저장하도록 요청한다(340).
상기 과정을 통해 상기 획득된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에 탑재 및/또는 연동된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로 저장하도록 요청되면, 상기 서버(또는 저장매체)(200)는 상기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에 탑재 및/또는 연동된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한다(345).
상기와 같이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에 탑재 및/또는 연동된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가 저장되면, 서버(또는 저장매체)(200)는 무선 단말기(210)에 탑재되어 있는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위치 기반 서비스용 에이전트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가 탑재 및/또는 연동되어 있는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에 탑재되어 있는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위치 기반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상기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위치 기반 서비스를 공유하는 다른 서버에 탑재되어 있는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위치 기반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과 논리적으로 연동되어 공유되도록 설정한다(350).
또한, 상기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에 탑재 및/또는 연동된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할 때, 상기 무선 단말기(210) 사용자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인덱스(Index) 정보(또는 위치설명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아 상기 위치 정보와 매칭(또는 연계)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한다.
예를들면, 상기 무선 단말기(210)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하고자 하는 위치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집`인 경우, 상기 위치정보를 저장할 때 상기 위치가 `집`이라는 것을 상기 사용자(또는 제3자)에게 언제든지 쉽게 인지시키기 위해 상기 위치정보에 `집` 또는 `1`이라는 일종의 인덱스를 매칭(또는 연계)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토록 한다.
또한, 상기 무선 단말기(210)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 역)(205)에 저장하고자 하는 위치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거래처`인 경우, 상기 위치정보를 저장할 때 상기 위치가 `거래처`라는 것을 상기 사용자(또는 제3자)에게 언제든지 쉽게 인지시키기 위해 상기 위치정보에 '거래처' 또는 '거래처1' 또는 '거래처2'라는 일종의 인덱스를 매칭(또는 연계)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토록 한다.
또한, 상기 무선 단말기(210)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하고자 하는 위치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애인과 처음 만난 지역인 경우, 상기 위치정보를 저장할 때 상기 위치가 `추억의 거리'라는 것을 상기 사용자(또는 제3자)에게 언제든지 쉽게 인지시키기 위해 상기 위치정보에 '추억의 거리' 또는 '첫만남 장소' 등과 같은 일종의 인덱스를 매칭(또는 연계)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토록 한다.
또한, 상기 서버(또는 저장매체)(200)는 상기 무선 단말기(210) 위치정보를 통신망(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210)로 전송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210) 사용자가 직접 상기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토록 할 수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도면4는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에 탑재 및/또는 연동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에 탑재 및/또는 연동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된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를 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은,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에 탑재 및/또는 연동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된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를 운용함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기(210)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기 저장된 위치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1)위치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위치에 관련된 서비스(미리 예약된 서비스 포함)를 제공하도록 하며, 2)위치정보가 일치하는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기 저장된 위치정보를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 저장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계속적으로(또는 간헐적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위치 이동 정보를 제공한다.
무선 단말기(210)가 위치 기반 서비스를 개시하면(400), 무선 단말기(210)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에이전트를 실행하거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에 탑재된 위치 기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한다(405).
상기와 같이 무선 단말기(210)에서 LBS 에이전트가 실행되거나,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에 탑재된 LBS 애플리케이션으로 LBS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LBS 에이전트 및 LBS 애플리케이션 등은 교환기를 통해 측위 서버로부터 무선 단말기(210)의 현재 위치를 추출한다(410).
상기와 같이 무선 단말기(210)의 현재 위치가 추출되면, 상기 LBS 에이전트 및 LBS 애플리케이션 등은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에 탑재된 및/또는 연동된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된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415), 상기와 같이 추출된 무선 단말기(210) 위치 정보와, 해당 무선 단말기(2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비교함으로써(420), 현재 무선 단말기(210)가 도면3의 과정을 거쳐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무선 단말기(210)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한다면(425),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위치에 관련된 서비스(쿠폰/ 티켓 제공, 멜로디 제공 등 미리 예약된 서비스 포함)를 제공한다.
반면, 무선 단말기(210)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기 저장된 위치정보와 상기 무선 단말기(210)의 현재 이동 위치를 계속적으로(또는 간헐적으로) 비교하여 상기 비교결과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기 저장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위치 이동 정보를 제공한다(440).
여기서, 상기 위치 이동 정보는 숫자 및/또는 문자의 형태, 또는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정보에 대응하는 지도 형태, 또는 각종 화살표 등의 기호 형태, 또는 '전', '후', '좌', '우' 등과 같은 음성 형태로 제공되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무선 단말기(210) 사용자가 상기 도면3과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미리 저장한 '거래처1'로 다시 찾아가려고 하는 경우, 상기 무선 단말기(210)는 상기 무선 단말기(210)의 현재 위치를 상기 도면3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위치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미리 저장한 '거래처1' 의 위치정보를 계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생성된 위치 이동 정보(상기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기 저장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거래처1' 로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면5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제3자의 무선 단말기(210)(또는 저장매체)로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제3자의 무선 단말기(210)(또는 저장매체)로 제공하는 과정은, 우선 상기 무선 단말기(210) 사용자가 제3자의 무선 단말기(210)(또는 저장매체)로 제공하고자 하는 위치 정보를 선택 및/또는 추출한 후(500), 상기 선택 및/또는 추출한 위치정보를 상기 제3자의 무선 단말기(210)(또는 저장매체)로 제공하는 방식(또는 전송방식)을 선택 및/또는 결정한다(505).
여기서, 상기 무선 단말기(210)(또는 저장매체)로 제공하는 방식(또는 전송방식)은,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저장매체)(200)를 통해 상기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에서 상기 제3자의 무선 단말기(210)(또는 저장매체)로 직접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서버(또는 저장매체)(200)에서 상기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210)로 일차적으로 제공한 후, 상기 사용자 무선 단말기(210)에서 상기 제3자의 무선 단말기(210)(또는 저장매체)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무선 단말기(210)에서 상기 제3자의 무선 단말기(210)(또는 저장매체)로 제공하는 경우에는(510),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등 메시지 전송 센터를 통해 메시지(멀티미디어 메시지 포함) 형태로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단말기(210)간 데이터 직접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전송하거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방식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515).
상기 제3자의 무선 단말기(210)(또는 저장매체)로 제공하는 방식(또는 전송방식)이 선택/또는 결정되면(520), 상기 제3자의 무선 단말기(210)(또는 저장매체) 연결정보를 입력한 후(525), 상기 결정된 전송방식으로 상기 제3자의 무선 단말기(210)(또는 저장매체)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530).
상기와 같이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제3자의 무선 단말기(210)(또는 저장매체)로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제3자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가 제공하는 위치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제공한 위치로 보다 용이하게 찾아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3자의 저장매체는 상기 제3자의 이메일 등 상기 제3자의 무선 단말기(210)와 이외 다른 저장수단을 총칭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와 같이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제3자의 무선 단말기(210)(또는 저장매체)로 제공하는 과정은, 본 발명의 효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 상기 위치 정보 제공시, 상기 위치정보와 함께 간단한 메시지(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같이 보낼 수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가 자신의 `집`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3자에게 전송하여 상기 제3자가 상기 사용자의 집을 별도의 다른 정보 없이 보다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며, 이 경우 사용자가 물건을 주문하고 물건 배송지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배송자에게 전송하는 등 많은 부분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물건 배송자에게 상기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배달 빨리해 주세요` 등과 같은 메시지를 같이 보낼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결혼식장 위치정보를 다수의 하객들에게 (동시에)발송하여 하객들이 별도의 청첩장 없이 보다 용이하게 찾아오도록 하며, 이 경우 상기 하객들에게 위치정보 발송과 함께 결혼 청첩장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안내문 등)를 같이 전송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자의 무선 단말기(210)(또는 저장매체)로 제공하는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서 선택 및/또는 추출하여 제공하는 것만 기술하였지만,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205)에 저장되는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210) 사용자의 요청 또는 조작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210)로 전송하여, 저장/ 관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3자의 무선 단말기(210)(또는 저장매체)로 제공하는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210)에서 선택 및/또는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정보 저장 및 운용방법을 제공함에 따라, 상기와 같이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항상 측위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매번 다시 제공받아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자 하는 위치정보에 인덱스를 달아 보다 편리하게 위치정보를 선택/또는 추출하도록 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운용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에 기 저장된 위치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1)위치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위치에 관련된 서비스(미리 예약된 서비스 포함)를 제공하도록 하며, 2)위치정보가 일치하는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에 기 저장된 위치정보를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 저장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계속적으로(또는 간헐적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위치 이동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위치 관련 서비스를 보다 용이하게 제공하도록 한다.
즉, 상기 사용자에게 위치에 관련된 서비스(쿠폰/ 티켓 제공, 멜로디 제공 등 미리 예약된 서비스 포함) 제공에 대한 편리성 제공과 함께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에 미리 저장한 위치로 다시 찾아가 려고 하는 경우, 상기 무선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에 미리 저장한 위치정보를 비교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위치로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제3자의 무선 단말기(또는 저장매체)로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가 물건을 주문하는 경우, 또는 결혼식장 위치정보 제공 등 제3자에게 위치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6)

  1. 서버에서 무선 단말기의 특정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정보와 연결하여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시키는 단계;
    서버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확인한 후, 확인된 상기 무선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에 과거 기 저장된 상기 무선 단말기의 특정 위치정보와 매칭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에 과거 기 저장된 상기 무선 단말기의 특정 위치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서버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운용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무선 단말기의 특정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정보와 연결하여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특정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인덱스 정보(또는 위치설명 정보)를 매칭(또는 연계)하여 더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정보 운용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무선 단말기의 특정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정보와 연결하여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특정 위치정보를 통신망(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정보 운용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30005520A 2003-01-28 2003-01-28 위치정보 운용방법 KR100920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520A KR100920073B1 (ko) 2003-01-28 2003-01-28 위치정보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520A KR100920073B1 (ko) 2003-01-28 2003-01-28 위치정보 운용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814A Division KR100920080B1 (ko) 2008-01-28 2008-01-28 위치정보 제공방법
KR1020080008812A Division KR100920076B1 (ko) 2008-01-28 2008-01-28 무선 단말기 위치 관련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80008813A Division KR100920077B1 (ko) 2008-01-28 2008-01-28 무선 단말기의 이동 정보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085A KR20040069085A (ko) 2004-08-04
KR100920073B1 true KR100920073B1 (ko) 2009-10-07

Family

ID=37357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520A KR100920073B1 (ko) 2003-01-28 2003-01-28 위치정보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00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745B1 (ko) * 2004-12-08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장치 및 방법
US9060247B2 (en) 2011-12-16 2015-06-16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ulti-radio cloud computing for location sens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411A (ko) * 2000-12-08 2001-03-05 홍봉희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시공간 고객관계 정보에 의해 동적생성된 위치를 포함한 정보 제공 무선네트워크 시스템 및그 방법
JP2001160063A (ja) * 1999-12-03 2001-06-12 Denso Corp 携帯型地図表示装置
KR100340199B1 (ko) 1999-10-13 2002-06-12 이계철 위치정보와 지리정보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방법
KR20020081643A (ko) * 2001-04-20 2002-10-30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199B1 (ko) 1999-10-13 2002-06-12 이계철 위치정보와 지리정보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방법
JP2001160063A (ja) * 1999-12-03 2001-06-12 Denso Corp 携帯型地図表示装置
KR20010016411A (ko) * 2000-12-08 2001-03-05 홍봉희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시공간 고객관계 정보에 의해 동적생성된 위치를 포함한 정보 제공 무선네트워크 시스템 및그 방법
KR20020081643A (ko) * 2001-04-20 2002-10-30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085A (ko) 200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8525B2 (en) Techniques for wireless position determination utilizing a collaborative database
KR100725792B1 (ko) 개인 웹페이지에서의 지리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6771970B1 (en) Location determination system
US8099105B2 (en) Device based trigger for location push event
US7245926B2 (en) Multimedia information and information inquiry download service
US116510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location data
US200502028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meeting place utilizing telephone auto location system
JP2007511120A (ja) 近接位置検出システム及び方法
US83746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using mobile code
CN101790127A (zh) 移动计算及通信
KR20090116526A (ko) 물류차량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물류정보시스템
CN101227746B (zh) 一种基于移动通信网络的a-gps定位系统和方法
KR20030046656A (ko) 지피에스 수신기능 구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위치통지방법 및 그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CN101378532A (zh) 基于源蜂窝小区定位的信息查询方法及系统
KR100920073B1 (ko) 위치정보 운용방법
KR100920076B1 (ko) 무선 단말기 위치 관련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0920080B1 (ko) 위치정보 제공방법
KR100920077B1 (ko) 무선 단말기의 이동 정보 제공방법
KR100989036B1 (ko) 무선 단말기에서의 위치정보 운용방법
KR101022804B1 (ko) 무선 단말기의 이동 정보 제공방법
KR100576933B1 (ko) 지능형 웹 에이전트를 이용한 위치기반정보 제공장치 및방법
KR20080014921A (ko) 무선 단말기에서의 위치정보 제공방법
JP2002074587A (ja) 乗車客選択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40069076A (ko) 무선 단말기내 위치정보 저장 및 운용방법
CN106559751A (zh) 基于地理信息系统的交互式移动终端位置信息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