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8346A - 코드분할 알고리즘을 이용한 이동 노드간 암호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코드분할 알고리즘을 이용한 이동 노드간 암호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8346A
KR20220068346A KR1020200155042A KR20200155042A KR20220068346A KR 20220068346 A KR20220068346 A KR 20220068346A KR 1020200155042 A KR1020200155042 A KR 1020200155042A KR 20200155042 A KR20200155042 A KR 20200155042A KR 20220068346 A KR20220068346 A KR 20220068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education
informati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규
Original Assignee
리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리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5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8346A/ko
Publication of KR20220068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3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3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07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ticket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eth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육 인증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로서, 일실시예에 따른 교육 인증 장치는 교육고유정보와 제1 계정 코드가 반영된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인증정보 생성부, 상기 생성된 인증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여 상기 출력된 인증정보를 리딩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교육장의 퇴실시 상기 인증정보에 상응하는 토큰과 제2 계정 코드를 회신받는 인증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교육장의 입실시 상기 리딩한 인증정보를 교육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승인요청하고, 상기 승인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교육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토큰을 수신하여 회신하며, 상기 인증정보 생성부는, 상기 토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생성된 인증정보에 상기 제2 계정 코드를 반영하여 최종인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드분할 알고리즘을 이용한 이동 노드간 암호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ENCRYPTION AMONG MOBILE NODES BY USING CODE DIVISION ALGORITHM}
본 발명은 코드분할 알고리즘을 이용한 이동 노드간 암호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에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측위를 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과 통신 리더기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중 위치 정보를 암호화하여 외부에서의 탈취 시도를 차단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위치기반 서비스 (Location based Service, LBS)는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이동통신망과 IT기술을 종합적으로 활용한 위치정보 기반의 시스템 및 서비스를 말한다.
위치기반 서비스는 고객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정보 뿐만 아니라 교통정보, 위치추적정보 등 생활 전반에 걸친 다양한 정보제공에 활용될 수 있다. 2002년 이후 각 이동통신사에서 GPS(위성항법장치)칩을 내장한 휴대폰을 통해 차세대 LBS서비스를 시작하여 지금까지 제공되고 있는 위치정보는, 사용자의 위치를 사용자가 있는 기지국 단위로 파악하여,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만 원하는 정보를 기지국을 기준으로 제공한다. 이 때문에 단말기가 어느 기지국하고 접속하고 있느냐에 따라 위치를 확인하게 되어 위치 추적의 정확도가 1~2㎞의 오차 범위를 포함하여 위치확인 기능을 제대로 실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인공위성을 이용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항법장치)와 기지국 정보를 결합한 차세대 위치정보서비스(LBS)가 등장하여 기존의 오차 범위를 줄여 30∼50m 로 줄이는 이점을 제공하였다.
위성측위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 GPS)은 궤도상에 떠 있는 인공위성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GPS 수신기를 통해 수신기에 도달한 시간과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삼각측량을 통해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위성측위 시스템과 결합한 위치기반서비스는 교통관련 정보인 운전편의정보, 대중교통정보 경로탐색 및 설정 등을 제공하며, 위치추적 정보로는 위치 추적, 개인위치정보, 분실된 단말기 추적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생활편의 정보로 물류, 생활편의 서비스, 전화번호서비스, 지역정보 등을 제공하고, 상거래 정보로는 원하는 상품에 대한 통보기능, 위치기반마케팅/광고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현재 GPS센서를 이용한 LBS(Location Based Service)는 상당부분 실생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GPS를 이용한 위치 측위의 경우에는 실내에서는 신호세기가 불규칙하게 감지되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를 감지해 낼 수 없어 GPS 신호가 닿지 않는 건물 내부 즉, 실내에서는 GPS 신호를 사용하지 않는 새로운 방식의 측위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발맞추어 최근 실내 위치측위 환경으로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을 이용한 측위 방식이 실내 측위 시스템에서 가장 적합한 기술로 각광 받고 있다. 하지만,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을 이용한 실내 위치 측위 시스템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측위인프라 비용이 무료이거나 최소여야 하기 때문에 기존의 인프라를 최대한 사용하되 서비스 지역에 대해 검토 하여 음영지역에 최소한의 인프라를 추가하는 방향으로 위치 측위를 위한 인프라를 선정해야만 하는 제약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3-0058428호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신분인증 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방법" 한국공개특허 제2002-0096442호 "온라인 교육시스템 상에서의 사용자인증에 의한 출결관리방법"
본 발명은 오프라인 교육에 있어 교육의 참석 여부를 확인하는데 따른 신뢰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교육 인증 장치의 계정 정보가 매칭된 전용 앱에서 QR 코드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계정 정보가 매칭된 전용 앱을 이용해서 QR 코드를 리딩 함으로써, 대리출석 등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교육 인증 장치는 교육고유정보와 제1 계정 코드가 반영된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인증정보 생성부, 상기 생성된 인증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여 상기 출력된 인증정보를 리딩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교육장의 퇴실시 상기 인증정보에 상응하는 토큰과 제2 계정 코드를 회신받는 인증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교육장의 입실시 상기 리딩한 인증정보를 교육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승인요청하고, 상기 승인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교육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토큰을 수신하며, 상기 인증정보 생성부는, 상기 회신받은 토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토큰에 상기 제2 계정 코드를 반영하여 최종인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증 처리부는, 상기 생성한 최종인증정보를 상기 교육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최종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교육 인증 서버는 상기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인증정보로부터 상기 교육고유정보 및 상기 제1 단말기고유정보를 확인하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정보들과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토큰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계정 코드는 상기 교육 인증 장치를 고유식별 하는 숫자 또는 문자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계정 코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고유식별 하는 숫자 또는 문자의 조합을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증정보 생성부는, 사전에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제1 계정 코드의 매칭 후 실행된 전용 앱을 구동하고, 상기 구동되는 전용 앱을 통해 상기 교육고유정보 및 상기 제1 계정 코드가 반영된 인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출력부는, 상기 구동되는 전용 앱을 통해 상기 생성된 인증정보를 출력하되, 전용 앱에서 제공하는 조건에 따라 인증정보의 출력 형태 및 출력 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가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증정보는 QR(Quick Response)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교육고유정보와 제1 계정 코드가 반영되어 교육 인증 장치에서 출력되는 인증정보를 리딩하는 리더부, 및 상기 리딩된 인증정보를 교육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토큰을 요청하는 승인요청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인요청 처리부는, 상기 교육 인증 서버에서 상기 인증정보가 승인되면, 상기 교육 인증 서버로부터 토큰을 수신하고, 교육장에서 퇴실시 상기 교육 인증 장치로 상기 토큰과 제2 계정 코드를 전송하여 최종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리더부는, 사전에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제2 계정 코드의 매칭 후 실행된 전용 앱을 구동하고, 상기 구동되는 전용 앱을 통해 인증정보 리딩 앱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인증정보 리딩 앱을 통해 상기 출력되는 인증정보를 리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승인요청 처리부는, 상기 리딩된 인증정보와 상기 제1 계정 코드 및 상기 교육고유정보와 관련한 모음판 코드를 매핑하여 교육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승인요청 하고, 상기 교육 인증 서버는, 상기 모음판 코드를 사용자의 계정에 저장하고, 상기 모음판 코드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의 교육 실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승인요청 처리부는, 상기 최종인증을 요청하는 경우에 진동을 발생하거나, 관리자의 단말기로 상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교육 인증 서버는 등록된 교육에 상응하는 교육고유정보와 교육장에 설치되는 교육 인증 장치를 고유식별 하는 제1 계정 코드를 연관지어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교육장에 입실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교육고유정보 및 상기 제1 계정 코드가 반영된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토큰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승인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인 처리부는, 상기 토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교육장에서 퇴실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고유식별 하는 제2 계정 코드와 상기 토큰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교육 출석을 최종 승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교육 인증 방법은 교육 인증 장치에서 교육고유정보와 제1 계정 코드가 반영된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한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출력된 인증정보를 리딩하여 교육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교육 인증 서버에서 상기 전송된 인증정보를 승인하고, 상기 승인 결과로서 토큰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회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토큰과 제2 계정 코드를 상기 교육 인증 장치로 회신하는 단계, 상기 교육 인증 장치에서 상기 토큰 및 상기 제2 계정 코드를 반영하여 최종인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최종인증정보를 상기 교육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교육 인증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교육 출석을 최종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교육 인증 방법은 상기 제1 계정 코드는 상기 교육 인증 장치를 고유식별 하는 숫자 또는 문자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계정 코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고유식별 하는 숫자 또는 문자의 조합을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프라인 교육에 있어 교육의 참석 여부를 확인하는데 따른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교육 인증 장치의 계정 정보가 매칭된 전용 앱에서 QR 코드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계정 정보가 매칭된 전용 앱을 이용해서 QR 코드를 리딩 함으로써, 대리출석 등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교육 인증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교육 인증 시스템 중에서 교육 인증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교육 인증 시스템 중에서 사용자 단말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교육 인증 시스템 중에서 교육 인증 서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교육 인증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교육 인증 시스템(1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교육 인증 시스템(100)은 오프라인 교육에 있어 교육의 참석 여부를 확인하는데 따른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교육 인증 시스템(100)은 교육 인증 장치(110), 사용자 단말기(120), 및 교육 인증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교육 인증 장치(110)는 교육고유정보와 제1 계정 코드가 반영된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교육고유정보는 현재 진행중인 오프라인 교육을 고유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주최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로 해석될 수 있다. 일례로, 교육 인증 장치는 교육장에 설치되기 전에 주최측의 서버로부터 교육고유정보를 수집하여 메모리에 기록 및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QR 코드를 이용해서 화면에 출력되는 인증정보를 설명하지만 인증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설계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화면에 출력되는 형태의 인증정보뿐만 아니라, 음성이나 영상으로 출력되는 형태의 인증정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출력이라 함은, 모니터 상에 표시하는 의미뿐만 아니라, 일정 포맷으로 외부의 기기로 제공되거나, 제공될 준비가 완료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계정 코드는 교육 인증 장치(110)를 고유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단말기의 양산시에 생성되는 시리얼 정보나 주최측에서 각 단말기로 부여하는 식별 정보 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교육장에 입실할 때, 교육 인증 장치(110)가 출력하는 인증정보를 리딩하고 이를 교육 인증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120)는 교육 인증 장치(110)가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인증정보를 리딩하기 위한 스캐너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례로, 교육 인증 장치(110)는 QR 코드를 출력하고, 교육 인증 장치(110)에 인접한 사용자 단말기(120)는 스캐너를 활성화 하여 출력되는 인증정보를 리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20)는 교육 인증 장치(110)가 인접하는 경우에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 해서 출력되는 QR 코드를 리딩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20)는 QR 코드를 리딩하기 위해 교육 인증 장치(110)에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해야만 한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기(120)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거리 이내로 근접해서 QR 코드를 리딩할 수 있고, 특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이 가능한 거리 이내로 근접해서 QR 코드를 리딩할 수 있다.
NFC 통신은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다양한 무선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 기술로서 통신거리가 짧고 보안이 우수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NFC 방식으로써 교육 인증 장치(110)와 사용자 단말기(120)의 통신을 설명하지만 비콘 방식을 통해서도 교육 인증 장치(110)와 사용자 단말기(120)의 통신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20)는 리딩한 인증정보를 교육 인증 서버(130)로 전송하여 1차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교육 인증 서버(130)는 전송된 인증정보의 승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교육 인증 서버(130)는 교육고유정보와 인증에 사용된 교육 인증 장치(110)에 대한 제1 계정 코드를 주최측으로부터 사전에 전달 받아 기록하고 유지할 수 있다. 인증정보를 수신한 교육 인증 서버(130)는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하여 사전에 주최측으로 전달된 정보들이 맞는지, 교육 고유 정보와 제1 계정 코드가 정확히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매칭되는 경우, 교육 인증 서버(130)는 승인 결과로서 토큰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20)로 회신할 수 있다.
토큰을 생성하는 의미는, 사용자 단말기(120)가 교육장으로 입실 하였음을 교육 인증 서버(130)가 인식하는 것이다.
교육 인증 서버(130)로부터 토큰 형태의 토큰을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120)는 교육장에서 퇴실 시 토큰과 함께 제2 계정 코드 및 비콘 데이터를 교육 인증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계정 코드는 사용자 단말기(120)를 고유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단말기의 양산시에 생성되는 시리얼 정보나 주최측에서 각 단말기로 부여하는 식별 정보 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20)와 교육 인증 장치(110)는 근접한 거리에 위치하여 근거리 통신, 예를 들면 NFC 통신을 통해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NFC 통신은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다양한 무선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 기술로서 통신거리가 짧고 보안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교육 인증 장치(110)는 토큰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 단말기(120)의 퇴실 시 수신한 토큰, 제2 계정 코드, 및 비콘 데이터를 교육 인증 서버(130)로 전송하여 교육 참석에 대한 2차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기(120)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교육 인증 서버(130)와 이동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기(120)가 교육장에서 퇴실하는 경우 사용자 진동 안내를 통해 사용자로 퇴실을 알릴 수 있다. 또한, 관리자에게 사용자 단말기(120)의 퇴실을 알릴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에 대한 제2 계정 코드 역시 사전에 교육 인증 서버(130)로 전송된 후 교육 인증 서버(130)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및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육 참석을 인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기(120)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기(120)는 교육 인증 서버(130)로 교육 참석을 요청한 사용자의 정보,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기인 사용자 단말기(120)의 제2 계정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교육 인증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교육 출석을 최종 승인할 수 있다.
이때, 교육 인증 서버(130)는 사전에 준비한 설문 데이터가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20)로 설문 데이터를 제공하고 설문 작성이 완료되는 경우에만 교육 출석을 최종 승인할 수도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교육 인증 시스템 중에서 교육 인증 장치(2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교육 인증 장치(200)는 인증정보 생성부(210), 출력부(220), 및 인증 처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인증정보 생성부(210)는 교육고유정보와 제1 계정 코드가 반영된 인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계정 코드는 교육 인증 장치(200)를 고유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단말기의 양산시에 생성되는 시리얼 정보나 주최측에서 각 단말기로 부여하는 식별 정보 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일례로, 인증정보 생성부(210)는 사전에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제1 계정 코드의 매칭 후 실행된 전용 앱을 구동하고, 구동되는 전용 앱을 통해 교육고유정보 및 제1 계정 코드가 반영된 인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교육 인증 장치(200)에는 모음판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전용 앱이 설치, 구동될 수 있다. 전용 앱은 교육 인증 서버에서 생성되어 교육 인증 장치(200) 별로 발급되는 고유한 식별 정보인 계정 코드가 매칭될 수 있으며, 계정 코드를 기초로 앱 상에서 생성된 인증정보가 앱에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모음판이란 좁은 의미로는 오프라인 상에서 카드 형태로 발행되어 매장 등에서 사용자의 교육 실적을 인증하거나, 그에 따른 포인트를 적립하고 그에 따른 혜택을 부여하기 위한 스탬프 카드를 온라인 상에서 구현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모음판 서비스는 이러한 모음판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도 활용 및 응용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하여 별도의 장치나 번거로운 절차가 필요하지 않으며 사용자 및 발행자 모두 동일한 단일의 앱을 단말에 설치하는 것 만으로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출력부(220)는 생성된 인증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출력부(220)는 구동되는 전용 앱을 통해 상기 생성된 인증정보를 출력하되, 전용 앱에서 제공하는 조건에 따라 인증정보의 출력 형태 및 출력 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가변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인증 처리부(230)는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여 상기 출력된 인증정보를 리딩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정보에 상응하는 토큰과 제2 계정 코드를 회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는 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인증정보를 리딩하고, 리딩한 인증정보를 교육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승인 요청할 수 있다.
교육 인증 서버는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증정보로부터 교육고유정보 및 제1 단말기고유정보를 확인하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정보들과 대응되는 경우에 토큰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승인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교육 인증 서버로부터 토큰을 수신하여 인증 처리부(230)로 토큰과 함께 제2 계정 코드를 회신할 수 있다.
제2 계정 코드는 교육 인증 장치(200)를 고유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단말기의 양산시에 생성되는 시리얼 정보나 주최측에서 각 단말기로 부여하는 식별 정보 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증정보 생성부(210)는 토큰에 대한 응답으로, 토큰에 제2 계정 코드를 반영하여 최종인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처리부(230)는 생성된 최종인증정보를 교육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최종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교육 인증 시스템 중에서 사용자 단말기(3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300)는 리더부(310)와 승인요청 처리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리더부(310)는 교육 인증 장치에서 출력되는 인증정보를 리딩할 수 있다. 인증정보는 교육고유정보에 제1 계정 코드가 반영된 QR 코드, 비콘, NFC의 형태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리더부(310)는 사전에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제2 계정 코드의 매칭 후 실행된 전용 앱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리더부(310)는 구동되는 전용 앱을 통해 인증정보 리딩 앱을 실행하고, 실행된 인증정보 리딩 앱을 통해 출력되는 인증정보를 리딩할 수 있다.
교육장에 입실 시, 일실시예에 따른 승인요청 처리부(320)는 리딩된 인증정보를 교육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승인요청 할 수 있다.
교육 인증 서버에서 상기 인증정보가 승인되면, 승인요청 처리부(320)는 승인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교육 인증 서버로부터 토큰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교육장에서 퇴실 시, 교육 인증 장치로 인증정보에 상응하는 토큰과 제2 계정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승인요청 처리부(320)는 리딩된 인증정보와 제1 계정 코드 및 교육고유정보와 관련한 모음판 코드를 매핑하여 교육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승인요청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교육 인증 서버는 모음판 코드를 사용자의 계정에 저장하고, 모음판 코드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교육 실적 정보를 저장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2 계정 코드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고유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단말기의 양산시에 생성되는 시리얼 정보나 주최측에서 각 단말기로 부여하는 식별 정보 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교육 인증 시스템 중에서 교육 인증 서버(4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교육 인증 서버(400)는 데이터베이스(410)와 승인 처리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10)는 등록된 교육에 상응하는 교육고유정보와 교육장에 설치되는 교육 인증 장치를 고유식별 하는 제1 계정 코드를 연관지어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승인 처리부(42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교육고유정보 및 제1 계정 코드가 반영된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토큰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승인 처리부(420)는 토큰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를 고유식별 하는 제2 계정 코드와 토큰이 포함된 최종인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승인 처리부(420)는 최종인증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교육 출석을 최종 승인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교육 인증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교육 인증 방법에 따르면, 교육 인증 장치는 교육고유정보와 제1 계정 코드가 반영된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단계 501). 교육고유정보는 현재 진행중인 오프라인 교육을 고유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주최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로 해석될 수 있다. 일례로, 교육 인증 장치는 교육장에 설치되기 전에 주최측의 서버로부터 교육고유정보를 수집하여 메모리에 기록 및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교육 인증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교육 인증 장치가 출력하는 인증정보를 리딩하고, 이를 교육 인증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502). 일례로, 교육 인증 장치는 QR 코드를 출력하고, 사용자 단말기는 카메라 모듈을 이용해서 출력되는 QR 코드를 리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는 QR 코드를 리딩하기 위해 교육 인증 장치에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해야만 한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기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이 가능한 거리 이내(10cm 이내)로 근접해서 QR 코드를 리딩할 수 있다.
교육 인증 서버에서는 전송된 인증정보의 승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503).
일례로, 교육 인증 서버는 교육고유정보와 인증에 사용된 교육 인증 장치에 대한 제1 계정 코드를 주최측으로부터 사전에 전달 받아 기록하고 유지할 수 있다. 인증정보를 수신한 교육 인증 서버는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하여 사전에 주최측으로 전달된 정보들이 맞는지, 교육 고유 정보와 제1 계정 코드가 정확히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매칭되는 경우, 교육 인증 서버는 승인 결과로서 토큰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504).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한 토큰과 함께 제2 계정 코드를 교육 인증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505).
제2 계정 코드는 사용자 단말기를 고유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단말기의 양산시에 생성되는 시리얼 정보나 주최측에서 각 단말기로 부여하는 식별 정보 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
토큰과 제2 계정 코드를 수신한 교육 인증 장치는 토큰에 대한 응답으로, 교육 인증 장치에서 생성한 토큰에 제2 계정 코드를 반영하여 최종인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506). 또한, 교육 인증 장치는 생성된 최종인증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교육 인증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507). 이때, 최종인증정보는 NFC 통신 방식 또는 QR 코드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제2 계정 코드 역시 사전에 교육 인증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및 유지될 수 있다.
이에, 교육 인증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교육 출석을 최종 승인할 수 있다(단계 508).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면, 사용자에 대한 교육 참석을 근거리 통신과 토큰을 활용하여 1, 2차로 인증함으로써, 교육 참석을 인증 하는데 따른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교육고유정보와 제1 계정 코드가 반영된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인증정보 생성부;
    상기 생성된 인증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여 상기 출력된 인증정보를 리딩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교육장의 퇴실시 상기 인증정보에 상응하는 토큰과 제2 계정 코드를 회신받는 인증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교육장의 입실시 상기 리딩한 인증정보를 교육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승인요청하고, 상기 승인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교육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토큰을 수신하며,
    상기 인증정보 생성부는,
    상기 회신받은 토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토큰에 상기 제2 계정 코드를 반영하여 최종인증정보를 생성하는 교육 인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처리부는,
    상기 생성한 최종인증정보를 상기 교육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최종인증을 요청하는 교육 인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인증 서버는 상기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인증정보로부터 상기 교육고유정보 및 상기 제1 단말기고유정보를 확인하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정보들과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토큰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인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정 코드는 상기 교육 인증 장치를 고유식별 하는 숫자 또는 문자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계정 코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고유식별 하는 숫자 또는 문자의 조합을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인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 생성부는,
    사전에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제1 계정 코드의 매칭 후 실행된 전용 앱을 구동하고, 상기 구동되는 전용 앱을 통해 상기 교육고유정보 및 상기 제1 계정 코드가 반영된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교육 인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구동되는 전용 앱을 통해 상기 생성된 인증정보를 출력하되, 전용 앱에서 제공하는 조건에 따라 인증정보의 출력 형태 및 출력 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는 교육 인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는 QR(Quick Response)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인증 장치.
  8. 교육고유정보와 제1 계정 코드가 반영되어 교육 인증 장치에서 출력되는 인증정보를 리딩하는 리더부; 및
    상기 리딩된 인증정보를 교육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토큰을 요청하는 승인요청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승인요청 처리부는,
    상기 교육 인증 서버에서 상기 인증정보가 승인되면, 상기 교육 인증 서버로부터 토큰을 수신하고, 교육장에서 퇴실시 상기 교육 인증 장치로 상기 토큰과 제2 계정 코드를 전송하여 최종인증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부는,
    사전에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제2 계정 코드의 매칭 후 실행된 전용 앱을 구동하고,
    상기 구동되는 전용 앱을 통해 인증정보 리딩 앱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인증정보 리딩 앱을 통해 상기 출력되는 인증정보를 리딩하는 사용자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승인요청 처리부는,
    상기 리딩된 인증정보와 상기 제1 계정 코드 및 상기 교육고유정보와 관련한 모음판 코드를 매핑하여 교육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승인요청 하고,
    상기 교육 인증 서버는,
    상기 모음판 코드를 사용자의 계정에 저장하고, 상기 모음판 코드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의 교육 실적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기.
KR1020200155042A 2020-11-19 2020-11-19 코드분할 알고리즘을 이용한 이동 노드간 암호화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68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042A KR20220068346A (ko) 2020-11-19 2020-11-19 코드분할 알고리즘을 이용한 이동 노드간 암호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042A KR20220068346A (ko) 2020-11-19 2020-11-19 코드분할 알고리즘을 이용한 이동 노드간 암호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346A true KR20220068346A (ko) 2022-05-26

Family

ID=81808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042A KR20220068346A (ko) 2020-11-19 2020-11-19 코드분할 알고리즘을 이용한 이동 노드간 암호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834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442A (ko) 2001-06-20 2002-12-31 (주)니트 젠 온라인 교육시스템 상에서의 사용자인증에 의한 출결관리방법
KR20030058428A (ko) 2001-12-31 2003-07-07 주식회사 에듀메카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신분인증 카드를이용한 사용자 인증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442A (ko) 2001-06-20 2002-12-31 (주)니트 젠 온라인 교육시스템 상에서의 사용자인증에 의한 출결관리방법
KR20030058428A (ko) 2001-12-31 2003-07-07 주식회사 에듀메카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신분인증 카드를이용한 사용자 인증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2128B2 (en) Verification of both identification and presence of objects over a network
US95849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ctor processing on behalf of image aperture aim
KR102539939B1 (ko) 식별, 위치결정 및 인증 시스템들 및 방법들
CN101883992B (zh) 用于无线局域网定位和基于位置的服务提供的方法
KR20130011821A (ko) 거래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20110053614A1 (en) Position information system
CN103548401A (zh) 使用近场通信的服务增强
CN106537963A (zh) 基于无线节点的网络进行的定位
KR20050085484A (ko) 휴대 장치 위치 추적 방법,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고정국및 휴대 장치
US11917070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multiplicity of credentials
CN106716471A (zh) 用于识别移动装置的方法和系统
US10102364B2 (en) Verification of both identification and presence over a network
CN113574558A (zh) 用于动态地理栅栏的电子装置及方法
PT2325807E (pt) Método e dispositivos para geração de informação de portagens num sistema de portagens de estradas
US20170299688A1 (en) Beacon transmitting device and beacon transmitting method
KR20150020927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카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US11651328B2 (en) Delivery verification
US9477917B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ext specific identity in a radio frequency identity (RFID) chip
KR100593400B1 (ko) 무선 주파수 식별 코드의 구조, 이를 이용한 텔레매틱스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30040634A (ko)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6108904B2 (ja) サーバ装置、携帯端末、および決済端末
KR20220068346A (ko) 코드분할 알고리즘을 이용한 이동 노드간 암호화 방법 및 시스템
US20190349757A1 (en) Position authentication system, positioning terminal device, and position authentication device
KR20120066196A (ko) 단말기의 실제 위치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46378B1 (ko) 가상 비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가상 비콘 서비스 실행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