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0634A -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0634A
KR20130040634A KR1020110105526A KR20110105526A KR20130040634A KR 20130040634 A KR20130040634 A KR 20130040634A KR 1020110105526 A KR1020110105526 A KR 1020110105526A KR 20110105526 A KR20110105526 A KR 20110105526A KR 20130040634 A KR20130040634 A KR 20130040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information
sensor attached
control inform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4606B1 (ko
Inventor
박용국
이호준
강태영
전희철
배주윤
최원영
김정호
차상옥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5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606B1/ko
Priority to US13/588,407 priority patent/US9100777B2/en
Priority to PCT/KR2012/006640 priority patent/WO2013055030A1/en
Priority to EP12839943.3A priority patent/EP2767104B1/en
Publication of KR20130040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3Access point logical id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제 1 외부 기기가 수신한 제 2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고, 제 2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외부 기기를 인증하고, 인증된 제 2 외부 기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외부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기기 제어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지역(zone)에서 센서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은 휴대폰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NFC는 아주 가까운 거리에서 기기 간에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게 하는 기술로서, 교통카드, 티켓, 금전 거래 등 다양한 서비스에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계속적으로 이용이 확대되고 있는 기술이다.
스마트폰의 수많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설정으로 인하여, 많은 기능 중에 특정 기능을 선택하는 것을 사용자가 많이 어려워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지능적으로 반응하는 지능형 UX(User Experience)를 위치기반 서비스와 함께 제공하며, 켄텍스트를 파악하는 엔진의 소비전력을 극소화하기 위하여 서비스가 있는 특정 지역에서 필요한 센서만 단계적으로 가동시키는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기 제어 방법은 제 1 외부 기기가 수신한 제 2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외부 기기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된 제 2 외부 기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외부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외부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는 상기 제 1 외부 기기에 부착된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일 수 있다.
기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 1 외부 기기에 부착된 센서와 연관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 1 외부 기기에 부착된 센서와 연관된 서비스를 상기 서비스의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외부 기기에 부착된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는 상기 제 1 외부 기기에 부착된 소정의 센서를 활성화시키는 제어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제 1 외부 기기에 부착된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는 상기 제 1 외부 기기에 부착된 소정의 센서를 비활성화시키는 제어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제 2 외부 기기는 무선 송수신기일 수 있다.
상기 무선 송수신기는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고유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SSID 및 MAC 어드레스를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기 제어 장치는 제 1 외부 기기가 수신한 제 2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 2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외부 기기를 인증하고, 인증된 제 2 외부 기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외부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개략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제어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개략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말(terminal)측(110) 및 서버(server)측(120)을 포함하고 단말 측(110)은 포지셔닝(positioning, 111) 모듈 및 모바일 통신(mobile communication, 112) 모듈을 포함하고, 서버 측(120)은 플랫폼(platform, 121) 및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122)를 포함한다.
포지셔닝(positioning, 111) 모듈은 단말 측(110)의 위치 확인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셀 ID 측위(Cell ID), 개선된 셀 ID 측위(Enhanced Cell ID), AoA(Angle of Arrival), ToA(Time of Arrival),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등과 같은 삼각측량(Triangulation),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AGPS(Assisted GPS),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등과 같은 기술을 이용하는 모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는 단지 예일 뿐, 여기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다.
모바일 통신(mobile communication, 112) 모듈은 단말 측(110)과 서버 측(120)의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모바일 통신과 관련된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기술 등이 있으며, 근거리 통신과 관련된 기술은 WIFI(Wireless Fidelity) 또는 BLUETOOTH 기술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는 단지 예일 뿐, 여기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다.
플랫폼(platform, 121)은 서버 아키텍쳐(server architecture), 저장(storage), 인덱싱(indexing), 오픈 API(open API) 및 보안(security) 등의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아키텍쳐(server architecture) 기술은 위치획득서버로부터 위치를 획득하여 단말 측(클라이언트)의 위치 정보 요청에 응답, 위치 정보의 관리 및 개인 또는 집단의 위치 정보 처리, 이동 경로 추적 등 위치기반 기능에 해당하는 위치 중심의 처리 기술을 의미한다. 저장(storage) 기술은 대용량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인덱싱(indexing) 기술은 위치 정보 자체 또는 이와 관련된 정보를 최적화된 형태로 조직화하고 이에 대한 검색이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오픈 API(open API) 기술은 타 사업자와의 위치 정보 및 관련 정보 제공과의 연계 기술을 의미한다. 보안(security) 기술은 사용자 프로파일 관리, 인증, 보안 등 다양한 사용자의 접근 통제 기술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는 단지 예일 뿐, 여기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다.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122)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최종적으로 단말 측(110)에 제공할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예로는 지도(map), 네비게이션(navigation), 정보(information), 상거래(commerce), 헬스 케어(health care), 추적(tracing), 광고(advertizing),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 안전 및 건강(safe & health)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는 단지 예일 뿐, 여기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기기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이하에서는, '기기 제어 장치'라고 칭함)는 무선 송수신기로부터 무선 송수신기의 고유 정보를 수신한다. 도 2에서의 기기 제어 장치는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와 같은 단말에 포함되어 있다. 무선 송수신기는 무선 송수신기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송출 신호를 브로드캐스팅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무선 송수신기는 비콘(beacon) 또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무선 송수신기의 고유 정보는 MAC 어드레스 정보, SSID(Service Set Identifier) 또는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기기 제어 장치는 고유 정보에 포함된 특정 정보가 기저장된 특정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기기 제어 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단말에 부착된 소정의 센서를 제어한다. 수신한 무선 송수신기의 고유 정보의 특정 필드에 미리 정하여진 특정 태그가 있는 경우에는, 기기 제어 장치는 특정 태그와 관련된 단말의 센서를 활성화 또는 온(ON)시킨다. 예를 들어, '맥도날드'라는 특정 태그가 단말에 미리 저장되어 있고, 수신한 SSID에 '맥도날드 강남점'이라는 태그가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특정 태그가 일치하므로 단말은 '맥도날드'와 관련된 센서를 온시키는데, 예를 들어, 단말은 '맥도날드'와 관련되어 주문 또는 결제와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센서를 활성화시킨다. 센서의 예로는, NFC 칩, 무선 송수신기 스캐닝 장치, 마이크, 카메라 또는 진동 센서 등이 있다. 다만, 이는 예일 뿐,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230에서, 단말은 소정의 센서와 관련된 서비스를 수신한다. 단말은 활성화된 센서와 관련된 서비스를 서버 또는 근접한 무선 송수신기로부터 수신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패스트푸드점에서 NFC 센서가 활성화된 경우, 주문 또는 결제에 대한 서비스를 다운받는다.
도 2의 경우,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실행 및 설정에서 NFC와 같은 센서를 활성화하지 않고, 무선 송수신기의 커버리지 지역(zone)에 진입하는 경우 자동으로 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기기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이하에서는, '기기 제어 장치'라고 칭함)는 제 1 외부 기기가 수신한 제 2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서의 기기 제어 장치는 서버이고, 제 1 외부 기기는 제 2 외부 기기에 근접하여 고유 정보를 수신하고, 후술할 센서가 부착된 단말이며, 제 2 외부 기기는 무선 송수신기이다. 무선 송수신기는 무선 송수신기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송출 신호를 브로드캐스팅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무선 송수신기는 비콘(beacon) 또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무선 송수신기의 고유 정보는 MAC 어드레스 정보, SSID(Service Set Identifier) 또는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20에서, 기기 제어 장치는 제 2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외부 기기를 인증한다. 기기 제어 장치는 무선 송수신기의 MAC 어드레스 또는 SSID가 기기 제어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을 위한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기기 제어 장치는 일치가 확인되는 경우, 무선 송수신기를 인증하게 된다.
단계 330에서, 기기 제어 장치는 인증된 제 2 외부 기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기기 제어 장치에는 무선 송수신기의 위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기기 제어 장치는 인증된 무선 송수신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단계 340에서, 기기 제어 장치는 검출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외부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제 1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는 상기 제 1 외부 기기에 부착된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외부 기기에 부착된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는 제 1 외부 기기에 부착된 소정의 센서를 활성화 또는 온(ON)시키는 제어 정보이다. 예를 들어, 무선 송수신기의 위치 정보가 '맥도날드 강남점'인 경우, 기기 제어 장치는 '맥도날드'와 관련된 단말의 센서를 온시키는 명령을 단말로 송신한다. 그 후, 수신한 명령에 따라 센서를 온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은 주문 또는 결제와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센서를 활성화시킨다. 센서의 예로는, NFC 칩, 무선 송수신기 스캐닝 장치, 마이크, 카메라 또는 진동 센서 등이 있다. 다만, 이는 예일 뿐,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 기기 제어 장치는 제 1 외부 기기에 부착된 소정의 센서를 비활성화 또는 오프(OFF)시키는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즉, 단말이 무선 송수신기의 근접하는 경우, 기기 제어 장치에 의하여 단말에서는 자동으로 무선 송수신기와 관련된 서비스의 센서를 제어할 수가 있다.
기기 제어 장치는 제어 정보를 송신한 후, 제 1 외부 기기에 부착된 센서와 연관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무선 송수신기가 '맥도날드 강남점'에 대한 무선 송수신기인 경우, 기기 제어 장치는 주문 또는 결제에 대한 서비스를 송신한다. 이 경우, 서비스는 이 서비스와 관련된 외부의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방법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420)은 AP(410)의 커버리지 영역(411)에 진입하는 경우, AP(410)로부터 AP(410)의 고유 정보인 MAC 어드레스 및/또는 SSID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한 AP(410)의 고유 정보를 서버(430)에 송신한다. 그 후, 서버(430)은 AP(410)를 인증하고,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이에 대한 단말(420)의 센서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명령을 단말로 송신한다. 단말(420)은 수신한 명령에 따라 센서를 온 또는 오프시킨다. 그 후, 서버(430)는 송신한 명령과 관련된 센서에 대한 서비스를 단말(420)로 송신한다. 이 때, 서버(430)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CP 서버(440)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제어 장치에 관한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송수신기(510)에 근접하는 단말(520)은 통신부(522), 제어부(524), 저장부(526) 및 센서부(528)를 포함하고, 서버(530)는 통신부(532), 제어부(534) 및 저장부(536)를 포함한다.
단말(520)의 통신부(522)는 무선 송수신기(510)로부터 무선 송수신기(510)의 고유 정보를 수신한다. 무선 송수신기(510)는 무선 송수신기(510)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송출 신호를 브로드캐스팅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무선 송수신기(510)는 비콘(beacon) 또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무선 송수신기(510)의 고유 정보는 MAC 어드레스 정보, SSID(Service Set Identifier) 또는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520)의 제어부(524)는 고유 정보에 포함된 특정 정보가 단말(520)의 저장부(526)에 저장된 특정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센서부(528)에 포함된 소정의 센서를 제어한다. 수신한 무선 송수신기(510)의 고유 정보의 특정 필드에 미리 정하여진 특정 태그가 있는 경우에는, 단말(520)의 제어부(524)는 센서부(528)에 포함된 특정 태그와 관련된 단말의 센서를 활성화 또는 온(ON)시킨다. 예를 들어, '맥도날드'라는 특정 태그가 단말(520)의 저장부(526)에 미리 저장되어 있고, 수신한 SSID에 '맥도날드 강남점'이라는 태그가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특정 태그가 일치하므로 단말(520)의 제어부(524)는 '맥도날드'와 관련된 센서부(528)의 센서를 온시키는데, 예를 들어, 단말(520)의 제어부(524)는 센서부(528)에서 '맥도날드'와 관련되어 주문 또는 결제와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센서를 활성화시킨다. 센서의 예로는, NFC 칩, 무선 송수신기(510) 스캐닝 장치, 마이크, 카메라 또는 진동 센서 등이 있다. 다만, 이는 예일 뿐,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520)에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실행 및 설정에서 NFC와 같은 센서를 활성화하지 않고, 무선 송수신기(510)의 커버리지 지역(zone)에 진입하는 경우 자동으로 센서를 활성화될 수 있다.
단말(520)의 센서부(528)를 제어하는 다른 실시예를 이하에서는 설명한다.
단말(520)의 통신부(522)는 수신한 무선 송수신기(510)의 고유 정보를 서버(530)로 송신하고, 서버(530)의 통신부(532)는 이를 수신한다.
서버(530)의 제어부(534)는 수신한 무선 송수신기(510)의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송수신기(510)를 인증한다. 서버(530)의 제어부(534)는 무선 송수신기(510)의 MAC 어드레스 또는 SSID가 서버(530)의 저장부(536)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을 위한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서버(530)의 제어부(534)는 일치가 확인되는 경우, 무선 송수신기(510)를 인증하게 된다.
그 후, 서버(530)의 제어부(534)는 인증된 제 2 외부 기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서버(530)의 저장부(536)에는 무선 송수신기(510)의 위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서버(530)의 제어부(534)는 인증된 무선 송수신기(510)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서버(530)의 제어부(534)는 검출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520)에 대한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단말(520)에 대한 제어 정보는 단말(520)에 부착된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단말(520)에 부착된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는 단말(520)에 부착된 소정의 센서를 활성화 또는 온(ON)시키는 제어 정보이다. 예를 들어, 무선 송수신기(510)의 위치 정보가 '맥도날드 강남점'인 경우, 서버(530)의 제어부(534)는 '맥도날드'와 관련된 단말의 센서를 온시키는 명령을 단말(520)로 송신한다. 그 후, 단말(520)은 수신한 명령에 따라 센서부(528)의 센서를 온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520)은 센서부(528)에서 주문 또는 결제와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센서를 활성화시킨다. 센서의 예로는, NFC 칩, 무선 송수신기 스캐닝 장치, 마이크, 카메라 또는 진동 센서 등이 있다. 다만, 이는 예일 뿐,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서버(530)의 제어부(534)는 단말(520)에 부착된 소정의 센서를 비활성화 또는 오프(OFF)시키는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단말(520)이 무선 송수신기(510)의 근접하는 경우, 서버(530)에 의하여 단말(520)에서는 자동으로 무선 송수신기(510)와 관련된 서비스의 센서를 제어할 수가 있다.
서버(530)의 제어부(534)는 제어 정보를 송신한 후, 단말(520)에 센서와 연관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무선 송수신기(510)가 '맥도날드 강남점'에 대한 무선 송수신기(510)인 경우, 서버(530)의 제어부(534)는 서버(530)의 통신부(532)를 통하여 단말(520)로 주문 또는 결제에 대한 서비스를 송신한다. 이 경우, 서비스는 이 서비스와 관련된 외부의 서비스 프로바이더 서버(540)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기기 제어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제 1 외부 기기가 수신한 제 2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외부 기기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된 제 2 외부 기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외부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는 상기 제 1 외부 기기에 부착된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 기기에 부착된 센서와 연관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 기기에 부착된 센서와 연관된 서비스를 상기 서비스의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 기기에 부착된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는 상기 제 1 외부 기기에 부착된 소정의 센서를 활성화시키는 제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 기기에 부착된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는 상기 제 1 외부 기기에 부착된 소정의 센서를 비활성화시키는 제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외부 기기는 무선 송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기는 액세스 포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고유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SSID 및 MAC 어드레스를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방법.
  10. 제 1 외부 기기가 수신한 제 2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 2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외부 기기를 인증하고, 인증된 제 2 외부 기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외부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는 상기 제 1 외부 기기에 부착된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외부 기기에 부착된 센서와 연관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 1 외부 기기에 부착된 센서와 연관된 서비스를 상기 서비스의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 기기에 부착된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는 상기 제 1 외부 기기에 부착된 소정의 센서를 활성화시키는 제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 기기에 부착된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는 상기 제 1 외부 기기에 부착된 소정의 센서를 비활성화시키는 제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외부 기기는 무선 송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기는 액세스 포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고유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SSID 및 MAC 어드레스를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장치.
  19. 기기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제 1 외부 기기가 수신한 제 2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외부 기기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된 제 2 외부 기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외부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10105526A 2011-10-14 2011-10-14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814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526A KR101814606B1 (ko) 2011-10-14 2011-10-14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13/588,407 US9100777B2 (en) 2011-10-14 2012-08-17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
PCT/KR2012/006640 WO2013055030A1 (en) 2011-10-14 2012-08-2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
EP12839943.3A EP2767104B1 (en) 2011-10-14 2012-08-2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526A KR101814606B1 (ko) 2011-10-14 2011-10-14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634A true KR20130040634A (ko) 2013-04-24
KR101814606B1 KR101814606B1 (ko) 2018-01-05

Family

ID=48082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526A KR101814606B1 (ko) 2011-10-14 2011-10-14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00777B2 (ko)
EP (1) EP2767104B1 (ko)
KR (1) KR101814606B1 (ko)
WO (1) WO20130550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41290B2 (en) * 2014-12-19 2020-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in electronic device having processo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26119B2 (en) * 2013-11-20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Using sensor data to provide information for proximally-relevant group communications
FR3021173B1 (fr) * 2014-05-13 2016-06-24 Schneider Toshiba Inverter Europe Sas Convertisseur de puissance multi-niveaux
US10721223B2 (en) 2018-04-12 2020-07-21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device provisioning in an industrial control system
WO2019232332A1 (en) * 2018-06-01 2019-12-05 Capital One Services, Llc Use of gesture-based nfc interaction to trigger device functionality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0597B1 (fr) 2001-02-05 2003-10-03 France Telecom Systeme et procede de localisation d'un terminal mobile et d'obtention d'informations liees a cette localisation
JP2003163629A (ja) 2002-11-25 2003-06-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
AU2004200809B2 (en) 2003-03-07 2006-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ata services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JP4322147B2 (ja) 2004-03-09 2009-08-26 株式会社ナビタイムジャパン 地図表示機能を有する携帯端末、地図表示システムおよび情報配信サーバならびにプログラム
ES2714179T3 (es) 2005-03-07 2019-05-27 Nokia Technologies Oy Método y dispositivo de terminal móvil que incluye módulo de tarjeta inteligente y medios de comunicaciones de campo cercano
NO324541B1 (no) 2005-12-12 2007-11-19 Telenor Asa Fremgangsmate, abonnentidentitetsmodul og system for tilveiebringelse av mobilkommunikasjonsterminallokasjonsdata
US7885639B1 (en) * 2006-06-29 2011-02-08 Symante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a wireless access point
US20080090520A1 (en) * 2006-10-17 2008-04-17 Camp William O Apparatu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mobility management using near-field communications
US8887307B2 (en) 2007-10-12 2014-11-11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GPS for secure authentication
US8176328B2 (en) * 2008-09-17 2012-05-08 Alcatel Lucent Authentication of access point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KR101067326B1 (ko) 2009-05-14 2011-09-23 이원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8750793B2 (en) * 2010-10-14 2014-06-10 Blackberry Limited Near-field communication (NFC) system with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determining geographic positions of NFC tags and related methods
US9055101B2 (en) * 2011-10-12 2015-06-09 F-Secure Corporation Near field communication securi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41290B2 (en) * 2014-12-19 2020-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in electronic device having process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67104B1 (en) 2018-11-21
KR101814606B1 (ko) 2018-01-05
EP2767104A4 (en) 2015-06-24
EP2767104A1 (en) 2014-08-20
WO2013055030A1 (en) 2013-04-18
US20130095790A1 (en) 2013-04-18
US9100777B2 (en) 2015-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4326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ovisioning location specific content information to a mobile device
US94185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people
EP29367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ty mechanism for proximity-based access requests
US201302174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location of wireless access point
US103212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KR101814606B1 (ko)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104677A (ko) 무선 에이피와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위치인증 서비스 시스템
KR20160019220A (ko) 위치정보 인식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US201300889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verage of wireless transceiver
US201300420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on
US201300958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and service interface based on position
KR20120020626A (ko) 맥 어드레스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596262B1 (ko) 소정의 단말과 인터랙션하는 브로드캐스팅 단말 및 이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110132642A (ko) 블루투스 기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
US89834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KR20140112321A (ko) 모바일 단말, 그를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 및 그를 기록한 기록매체
CN114157988A (zh) 一种电子设备的控制方法、装置以及介质
JP6353238B2 (ja) 情報システム、屋内地図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60033677A (ko) 무선 ap 및/또는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위치 기반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24123A (ko) 고도를 이용한 통신접속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