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3684A - 디스플레이 기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3684A
KR20080063684A KR1020070000358A KR20070000358A KR20080063684A KR 20080063684 A KR20080063684 A KR 20080063684A KR 1020070000358 A KR1020070000358 A KR 1020070000358A KR 20070000358 A KR20070000358 A KR 20070000358A KR 20080063684 A KR20080063684 A KR 20080063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inge
lifting
support
elev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0990B1 (ko
Inventor
장운근
백승진
황성훈
윤용한
채영석
나재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0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990B1/ko
Priority to US12/521,714 priority patent/US20100188804A1/en
Priority to PCT/KR2007/006980 priority patent/WO2008082212A1/en
Publication of KR20080063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16M11/10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the horizontal axis being the roll axis, e.g. for creating a landscape-portrait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3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206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pan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는, 적어도 디스플레이 모듈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후방에 놓이는 힌지몸체; 상기 힌지몸체에 일측이 지지되는 제 1 승강부재; 상기 제 1 승강부재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한 제 2 승강부재; 상기 제 1 승강부재 및 제 2 승강부재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지주부; 및 상기 지주부의 하단부에 놓여서 상기 지주부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베이스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를 넓은 공간 범위 안에서 사용할 수 있어서, 본체를 인출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본체를 상측으로 이동시켜서 전방으로 회전시키기만 하면된다. 나아가서 이와 같은 동작은 간단한 기구적인 구성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비가 경감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이점을 기대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Ⅰ-Ⅰ'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Ⅱ-Ⅱ'의 단면도.
도 4는 본체가 전방으로 빠진 상태에서 힌지몸체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체가 하측으로 내려져 있는 상태이고, 도 6은 본체가 상측으로 올려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 1 승강부재가 지주부의 전방으로 인출상태의 도면.
도 8은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본체 각도로 과도하게 조정한 상태의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제 1 승강부재 8 : 제 2 승강부재
본 발명은 디스프레이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본체의 위치를 편리하고 다양한 위치로 조절가능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공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위치를 다양한 각도로 조절가능하게 하는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를 지지하는 베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스탠드는 상기 본체의 위치를 조절하는 기구로서, 상기 본체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는 높이 조절기능이 제공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 본체를 전방으로 당겨서 사용자가 좀 더 가까운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기기를 시청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베이스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전체를 전방으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본체의 위치를 앞으로 당기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전체적으로 움직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스탠드를 자체적으로 경사질 수 있는 구조로 제공하여 스탠드의 경사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를 전방으로 당길 수 있는 구조도 가능한 일이다. 그러나, 스탠드의 자체적인 이동에 의해서는 스탠드가 움직일 수 있는 거리가 제한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광폭으로 상기 본체를 조절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탠드가 경사가 질 수 있는 구조로 되기 위해서는 구조가 복잡해지고 나아가서 비용이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가 전방으로 큰 폭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고, 나아가서 본체의 위치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안한다.
또한, 간단한 기구적인 구성으로도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를 전방으로 광폭 이동시킬 수 있어서 제조비가 경감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는, 적어도 디스플레이 모듈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후방에 놓이는 힌지몸체; 상기 힌지몸체에 일측이 지지되는 제 1 승강부재; 상기 제 1 승강부재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한 제 2 승강부재; 상기 제 1 승강부재 및 제 2 승강부재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지주부; 및 상기 지주부의 하단부에 놓여서 상기 지주부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베이스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일측이 연결되고, 힌지가 개입된 상태에서 직렬적으로 설치되는적어도 두개 이상의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작용을 가이드하고, 상기 승강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는 인출가능하도록 하고 적어도 하나는 인출이 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주부; 및 상기 지주부의 하측부를 지지하는 베이스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를 넓은 사용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간단한 기구적인 구성으로도 제작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내부에 디스플레이 모듈 이 수용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후방에 제공되는 스탠드(2)와, 상기 스탠드(2)가 바닥면에 대하여 직립하도록 하는 베이스(3)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스탠드(2)에는 상기 베이스(3)에 대하여 자체적으로 직립되는 지주부(7)와, 상기 지주부(7)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 1 승강부재(6)와, 제 2 승강부재(8)와, 상기 제 1 승강부재(6)와 제 2 승강부재(8)가 상호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보조힌지(9)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지주부(7)는 상기 베이스(3)에 견고하게 체결되어 있어서, 상기 지주부(7)는 베이스(3)에 대하여 항상 고정적으로 놓여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6)(8)은 상기 지주부(7)의 내부에서 상하로 승강이 가능하게 놓여있는데, 상기 제 1 승강부재(6)는 상기 지주부(7)의 단부에서 빠질 수 있으나, 상기 제 2 승강부재(8)는 상기 지주부(7)의 끝단에서 빠지지 않게 놓여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주부(7)의 안쪽에는 스토퍼(도 3의 13참조)가 마련되어 있고, 제 2 승강부재(8)는 제 1 승강부재(6)에 비하여 좌측 및 우측단이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승강부재(6)의 상측단에는 힌지몸체(5)가 놓여있어서, 상기 배면고정부(4)는 상기 제 1 승강부재(6)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에서는 상기 배면 고정부가 상기 힌지몸체(5)에 의해서 전방으로 꺾여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승강부재(8)는 상하로 승강시에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하는데, 이는 상기 본체(1)의 자중이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 2는 도 1의 Ⅰ-Ⅰ'의 단면도로서,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본체의 자중이 지지되는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지주부(7)에는 스프링(11)의 일단이 걸린 상태에서, 그 타단은 말려있다. 상기 스프링(11)은 태엽스프링으로 예시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11)은 상기 미는부(10)에 의해서 밀리는 동작이 가능하게 제공되어 있다. 상기 미는부(10)는 상기 제 2 승강부재(8)와 일체로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상기 제 2 승강부재(8)가 하측으로 밀리게 되면, 상기 미는부(10)가 스프링(11)을 밀게 되고, 상기 스프링(11)은 감겨있는 형상이 풀리면서 상기 미는부(10)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스프링(11)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본체(1)의 자중이 지지된다.
도 3은 도 1의 Ⅱ-Ⅱ'의 단면도로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승강부재(6)(8)의 승강작용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지주부(7)는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3)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승강부재(6)(8)가 수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승강부재(6)는 상기 지주부(7)의 상측으로 빠질 수 있게 마련되지만, 상기 제 2 승강부재(8)는 상기 지주부(7)의 상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 2 승강부재(8)와 상기 지주부(7)의 상호 간의 걸림작용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승강부재(8)의 양측단부에는 돌출부(도 4의 81참조)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사용자가 상기 본체(1)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려고 할 때, 사용자는 상기 승강부재(6)(8)를 상기 지주부(7)를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시킨다. 이때에는 상기 스프링(11)에 의해서 가하여지는 탄성력에 의해서 사용자는 작은 힘으로도 본체(1)의 상하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측으로 본체(1)를 당길 때에는, 상기 제 1 승강부재(6) 및 보조힌지(9)가 지주부(7)에서 빠지는 위치까지는 본체(1)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 2 승강부재(8)가 상기 지주주(7)의 상단측에까지 이르면, 상기 지주부(7)에 형성되는 스토퍼(13)에 상기 제 2 승강부재(8)의 양단이 걸리기 때문에, 상기 제 2 승강부재(8)는 지주부(7)에서 빠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승강부재(6)(8)의 이동한계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후에는, 사용자가 상기 보조힌지(9)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 1 승강부재(6)를 앞쪽으로 빼낼 수 있다. 상기 보조힌지(9)에 의해서 상기 제 1 승강부재(6)가 전방으로 빠지는 상태는, 다시 말하면 상기 본체(1)가 사용자를 향하여 대폭적으로 이동하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더욱 가까운 거리에서 디스플레이 기기를 볼 수 있다.
도 4는 본체가 전방으로 빠진 상태에서 상기 힌지몸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힌지몸체(5)는 상기 본체(1)가 다양한 자유도의 움직임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힌지몸체(5)에는 배면 고정부와 상기 제 1 승강부재(6)의 사이에 피봇힌지(51)와, 스위벨 힌지(52)가 마련된다. 물론,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경사힌지(53)도 제공되어 있다.
상세하게, 상기 피봇힌지(51)는 상기 본체(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힌지이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본체(1)를 잡고 전방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본체를 돌리면 상기 피봇힌지(51)의 상대적인 회전운동에 의해서 본체(1)는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스위벨 힌지(52)는 상기 본체(1)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힌지이다.
상기 경사힌지(53)는 상기 본체(1)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힌지이다.
상기되는 각각의 힌지는 각각의 힌지(51)(52)(53)의 회전축에 대하여 제시되어 있는 화살표를 참조하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승강부재(6)가 상기 지주부(7)의 바깥쪽으로 빠져나온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1)와 상기 스탠드(2) 간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본체(1)를 잡고서 편리하게 움직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어떠한 상태로도 본체(1)의 위치를 이동시키더라도 본체(1)가 스탠드(2)에 걸리지 않아서 편리한 것이다. 물론, 본체(1)가 사용자와 더욱 인접할 수 있는 편의가 있는 것도 당연하다.
상기되는 설명에서 힌지(51)(52)(53)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설명이 되어 있지않았지만, 이는 힌지의 일반적인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서, 각각의 힌지에는 마찰부재가 개입되어 있어서, 각각의 상대적인 부재가 회전될 때 회전작용에 대한 마찰력을 부여하고 있다.
상기되는 각 부분의 상세 구성 및 그에 관한 작용은 상기되는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되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놓여질 수 있는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는, 승강부재(6)(8)가 상기 지주부(7)에 의 해서 가이드되는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상태이다. 다시 말하면, 승강부재(6)(8)가 상하측으로 직선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체가 하측으로 내려져 있는 상태이고, 도 6은 본체가 상측으로 올려져 있는 상태이다.
다만, 상기되는 바와 같이 승강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승강작용을 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상기 힌지몸체(5)의 작용에 의해서 본체(1)가 경사회전, 피봇회전, 스위벨 회전이 될 수 있는 것도 당연하다.
이 상태는 사용자가 본체와 어느 정도 간격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본체를 움직여서 여러방면에서 본체를 보고자 할 때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도 6에서는 상기 지주부(7)와 본체(1)가 작은 간격(W1)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서로 떨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어떠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지주부와 본체와의 간격을 크게 하고자 할 때도 있다. 대표적으로는 걸상을 당겨서 앉아 있다가, 걸상을 뒤로 밀어서 편안하게 앉아 있고자 할 때를 상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보조힌지(9)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승강부재(6)를 회전시켜서 상기 본체(1)를 앞쪽으로 빼낼 수 있다. 그리고, 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상기 제 2 승강부재(8)를 상기 지주부(7)를 따라서 다시 하측으로 내릴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상기 제 1 승강부재(6)가 지주부(7)의 전방으로 인출상태이다. 그와 같은 상태는 도 7에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그러면, 상기 지주부(7)와 본체(1)가 큰 간격(W2)을 유지하게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지주부(7)와 상기 본체(1)의 사이 간격이 커지는 것을 결국 사용자와 본체(1)와의 간격이 가깝게 되는 것이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큰 화면을 보다 가까이에서 볼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된다.
한편, 상기 본체(1)가 너무 낮은 위치에 내려가 있게 되면, 사용자는 오히려 불편할 수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힌지몸체(5)를 동작시켜서 상기 본체(1)를 과도한 각도로 상방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의 도면은 도 8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를 대폭적으로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나아가서, 사용자의 조작이 간편하고, 보조힌지가 하나 더 적용되는 단순한 구조에 의해서 상기되는 효과가 달성가능하기 때문에, 제조비가 경감되는 이점을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 2 승강부재(8)는 양측단이 상기 지주부(7)에 걸리기 때문에 빠지지 않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 2 승강부재(8)의 양측단이 걸리는 것이 아니라, 제 2 승강부재(8)의 배면부가 걸리도록 하는 것도 용이하게 상정할 수 있고, 나아가서, 수리등의 편리와 이동의 편리를 위하여 어떠한 스프링 기구에 의해서 제 2 승강부재(8)를 지주부(7)에서 빼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한 일이다.
상기되는 설명에서는, 승강부재가 제 1 승강부재 및 제 2 승강부재로 서로가 분리되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제 3 승강부재가 동일한 양상으로 더 제공되어 있거나, 그 이상으로 제공되어 있는 것도 용이하게 예상이 가능한 일이다.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나아가서, 상기되는 실시예 중의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구성요소가 다른 실시예에 구성요소로 포함됨으로써, 또 다른 실시예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위치를 넓은 사용 범위 안에서 사용할 수 있어서, 본체를 인출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본체를 상측으로 이동시켜서 전방으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된다. 나아가서 이와 같은 동작은 간단한 기구적인 구성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비가 경감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이점을 기대할 수도 있다.
또한, 본체를 상방으로 이동한 다음에 일정 경사각으로 하측으로 내리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이점을 기대할 수도 있다.

Claims (6)

  1. 적어도 디스플레이 모듈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후방에 놓이는 힌지몸체;
    상기 힌지몸체에 일측이 지지되는 제 1 승강부재;
    상기 제 1 승강부재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한 제 2 승강부재;
    상기 제 1 승강부재 및 제 2 승강부재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지주부; 및
    상기 지주부의 하단부에 놓여서 상기 지주부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베이스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승강부재에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가 걸리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지주부에 형성되는 스토퍼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3. 재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몸체에는, 경사힌지 또는 스위벨 힌지 또는 피봇 힌지가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4. 본체;
    상기 본체에 일측이 연결되고, 힌지가 개입된 상태에서 직렬적으로 설치되는적어도 두개 이상의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작용을 가이드하고, 상기 승강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는 인출가능하도록 하고 적어도 하나는 인출이 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주부; 및
    상기 지주부의 하측부를 지지하는 베이스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에 의해서, 상기 승강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본체의 전방을 향하여 상기 승강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는 미는부; 및
    상기 미는부에 의해서 밀리는 동작이 수행되고, 일측은 상기 지주부에 고정되는 스프링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KR1020070000358A 2007-01-02 2007-01-02 디스플레이 기기 KR101300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358A KR101300990B1 (ko) 2007-01-02 2007-01-02 디스플레이 기기
US12/521,714 US20100188804A1 (en) 2007-01-02 2007-12-28 Display device
PCT/KR2007/006980 WO2008082212A1 (en) 2007-01-02 2007-12-28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358A KR101300990B1 (ko) 2007-01-02 2007-01-02 디스플레이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684A true KR20080063684A (ko) 2008-07-07
KR101300990B1 KR101300990B1 (ko) 2013-08-27

Family

ID=39588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358A KR101300990B1 (ko) 2007-01-02 2007-01-02 디스플레이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188804A1 (ko)
KR (1) KR101300990B1 (ko)
WO (1) WO200808221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435B1 (ko) * 2013-08-02 2015-03-3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가변안내표지장치
KR20200120253A (ko) * 2019-04-12 2020-10-21 정철 회전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49525B (zh) * 2008-12-15 2012-05-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支撑机构
KR101877061B1 (ko) * 2012-03-23 2018-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TWI534384B (zh) * 2014-07-10 2016-05-21 明基電通股份有限公司 顯示器支撐裝置
CN110388548B (zh) * 2018-04-19 2022-04-22 鸿富锦精密电子(重庆)有限公司 显示装置
KR102564304B1 (ko) 2018-12-31 2023-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3548A (ko) * 2003-01-08 2004-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판 모니터용 절첩식 받침대 구조
KR20040096097A (ko) * 2003-05-07 2004-11-16 여단열 스탠드형 액정표시장치
KR100628118B1 (ko) * 2004-08-17 2006-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판형 모니터
TWI280052B (en) * 2004-07-21 2007-04-21 Lg Electronics Inc Wall mounting structure for a flat panel display
KR20040096907A (ko) * 2004-09-30 2004-11-17 권상학 트레이 잔디 재배방법 및 트레이 잔디제품
TWM274544U (en) * 2005-04-04 2005-09-01 Fulfil Tech Co Ltd Support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elevation range and display module using same
KR101237570B1 (ko) * 2006-02-17 2013-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435B1 (ko) * 2013-08-02 2015-03-3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가변안내표지장치
KR20200120253A (ko) * 2019-04-12 2020-10-21 정철 회전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0990B1 (ko) 2013-08-27
US20100188804A1 (en) 2010-07-29
WO2008082212A1 (en) 200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990B1 (ko) 디스플레이 기기
KR101237560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EP1577601A2 (en) Image display device
KR101239009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101435160B1 (ko) 다기능 간이침대
JP2020030349A (ja) 映像表示装置
JP2007037927A (ja)
KR101301874B1 (ko) 암레스트를 구비한 양변기
KR101703230B1 (ko)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US11723455B2 (en) Desk lift mechanism and variable height desk including the same
KR101563328B1 (ko) 경사조절상판을 구비한 독서실 책상
JP3154356U (ja) 天板傾斜角度調整機構付き机
JP3862851B2 (ja) 薄形表示装置の昇降機構
KR20080063685A (ko) 디스플레이 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 조절을 위한탄성력 조절 장치
JP3669267B2 (ja) 昇降天板付きワゴンデスク
JP2010273759A (ja) リクライニングベッドの駆動装置
KR20080063682A (ko) 디스플레이 기기
CA2816132C (en) Composite chair
KR20110000209U (ko) 컴퓨터용 책상
JPH11318574A (ja) 収納テーブル
JP4991188B2 (ja) 平面ディスプレイのヒンジ装置
JP3796314B2 (ja) 折り畳みテーブル
JP2009153748A (ja) 理美容用椅子
JP2840649B2 (ja) 収納式椅子
KR200334567Y1 (ko) 학생용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