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3106A - 다기능 동축 교정기 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동축 교정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3106A
KR20080063106A KR1020070136081A KR20070136081A KR20080063106A KR 20080063106 A KR20080063106 A KR 20080063106A KR 1020070136081 A KR1020070136081 A KR 1020070136081A KR 20070136081 A KR20070136081 A KR 20070136081A KR 20080063106 A KR20080063106 A KR 20080063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control button
control
lever
calib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벵쌍 로셀라
에릭 괼레
Original Assignee
몽트레 브레귀에 에스. 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몽트레 브레귀에 에스. 아. filed Critical 몽트레 브레귀에 에스. 아.
Publication of KR20080063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1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00Driving mechanisms
    • G04B1/02Driving mechanisms with driving weight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7/00Mechanical devices for setting the time indicating means
    • G04B27/004Mechanical devices for setting the time indicating means having several simultaneous functions, e.g. stopping or starting the clockwork or the hand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00Driving mechanism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00Normal winding of clockworks by hand or mechanically; Winding up several mainsprings or driving weights simultaneously
    • G04B3/04Rigidly-mounted keys, knobs or crowns
    • G04B3/048Operation exclusively by axial movement of a push-button, e.g. for chronograph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다기능 동축 교정기 장치는 푸셔(10)를 가진 단일의 외부 제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푸셔(10)의 헤드(11)와 튜브(13)는 랙(35)을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 버튼(15)의 한 측부에 조립된다. 상기 랙(35)의 한 단부에서 피벗회전하는 레버(45)의 구동 암(49)은 푸셔의 튜브(13)에 접하며 피구동 암(51)은, 상기 레버(45)를 회전시킴으로써, 결정된 교정기(9a)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푸셔(10)를 한 번 또는 여러 번 눌러 레버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교정기(9a)를 작동시킨다.
Figure 112007092400635-PAT00001
교정기 장치, 제어 버튼, 제어 스템, 구동 피니언, 슬라이딩 피니언, 피구동 암

Description

다기능 동축 교정기 장치{MULTIFUNCTION COAXIAL CORRECTOR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시계에서 단일의 제어 부재에 의해 다이얼 상에 나타내지는 정보를 선택하고 및/또는 변경하기 위한 다기능 동축 교정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손목시계와 같은 시계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현재 시각을 알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잘 알려진 방식으로 시계의 와인딩 스템(winding stem)을 정해진 위치로 당김으로써 시각을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손목시계는 날짜 표시, 시간 영역, 크로노그래프 등등과 같은 현재 시각으로부터 "유발된(derived)" 기능들을 나타내거나 개시하거나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중앙부는 특정 개수의 푸시 버튼들을 포함하여야 한다.
비제한적인 예시에 의해, EP 특허 번호 제 1 085 384호에 공개된 크로노그래프 시계가 참조될 수 있으며, 상기 시계에서 중앙부는 3개의 위치를 점유할 수 있 는 와인딩 스템과 2개의 푸시 버튼들을 포함한다.
이것들은 특히 시계의 핵심 부품 즉 여기서는 방수 기능을 가진 무브먼트를 둘러싸는 케이스를 제조할 때 시계설계자들에게 특정 문제점들을 야기시킨다. 상기 푸시 버튼들로 인해 중급 시계가 반드시 고급스럽고 깔끔하며 우아하고 매력적인 외관으로 보이는 것은 아니다.
US 특허 번호 제 5 299 177호는 한 실시예가 단일의 외부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알람시계에 대해 기술하는 시계를 공개하며, 상기 단일의 외부 제어 부재 상에서 시각을 교정하고 알람시간을 교정하거나 또는 알람 상태를 체크/변경하기 위하여 다수의 상이한 작동(당김, 누름, 돌림, 2개 조작상태 사이의 휴지(pause) 작동)들이 수행되어야 한다. 상기 알람시계는 필수적으로 전자식 제어 회로를 갖추고 있으며 수행되어야 하는 조작방법이 복잡한 결점을 가진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조작방법 설명서를 계속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할지도 모른다.
비제한적인 예시에 의해, EP 특허 번호 제 1 085 384호에 공개된 크로노그래프 시계가 참조될 수 있으며, 상기 시계에서 중앙부는 3개의 위치를 점유할 수 있는 와인딩 스템과 2개의 푸시 버튼들을 포함한다.
이것들은 특히 시계의 핵심 부품 즉 여기서는 방수 기능을 가진 무브먼트를 둘러싸는 케이스를 제조할 때 시계설계자들에게 특정 문제점들을 야기시킨다. 상기 푸시 버튼들로 인해 중급 시계가 반드시 고급스럽고 깔끔하며 우아하고 매력적인 외관으로 보이는 것은 아니다.
US 특허 번호 제 5 299 177호는 한 실시예가 단일의 외부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알람시계에 대해 기술하는 시계를 공개하며, 상기 단일의 외부 제어 부재 상에서 시각을 교정하고 알람시간을 교정하거나 또는 알람 상태를 체크/변경하기 위하여 다수의 상이한 작동(당김, 누름, 돌림, 2개 조작상태 사이의 휴지(pause) 작동)들이 수행되어야 한다. 상기 알람시계는 필수적으로 전자식 제어 회로를 갖추고 있으며 수행되어야 하는 조작방법이 복잡한 결점을 가진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조작방법 설명서를 계속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할지도 모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계 중앙부의 단일의 제어 부재에 의해 시간에 관련되거나 또는 시간에 관련되지 않은 다수 기능들을 작동하고 및/또는 변경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선택된 기능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시계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위에서 기술한 종래 기술의 결점들을 극복하는데 있다. 상기 장치는 본래 기계식 무브먼트를 위해 고안되었으나 전자기계식 또는 전자식 무브먼트에도 특별한 어려움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교정기 메커니즘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중앙부에 위치된 단일의 외부 제어 부재로, 정해진 기능을 선택하고 및/또는 변경하기 위한 시계용 다기능 동축 교정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기본적으로 푸셔를 포함하며, 상기 푸셔는 2개의 단부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여 작동될 수 있는 제어 버튼의 한 측부에 조립된 튜브와 헤드에 의해 형성된다.
제어 버튼은 제어 스템을 구동하며, 상기 제어 스템의 단부는 랙의 한 단부가 레버를 포함하는 랙의 톱니와 맞물리는 구동 피니언을 가지며, 상기 레버의 구동 암은 푸셔 튜브의 숄더에 접하여 고정되며 피구동 암은 결정된 교정기에 마주보도록 랙에 의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기능이 선택되고 나면, 중앙부에 표시되거나 또는 다이얼에 나타낼 수 있고, 푸셔 헤드를 한 번 또는 여러 번 눌러서 선택된 기능으로 교정한다.
조금 더 복잡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 버튼에 견인력이 가해질 때 레버와 풀-아웃 피스에 의해 알려진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는 슬라이딩 피니언을 통하여 구동 피니언과 랙 톱니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중앙부 상에 임의의 다른 제어 부재를 가질 필요 없이 기계식 무브먼트의 태엽 스프링을 감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계 중앙부의 단일의 제어 부재에 의해 시간에 관련되거나 또는 시간에 관련되지 않은 다수 기능들을 작동하고 및/또는 변경할 수 있고 사용자는 선택된 기능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시계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위에서 기술한 종래 기술의 결점들을 극복하는 데 있다. 상기 장치는 본래 기계식 무브먼트를 위해 고안되었으나 전자기계식 또는 전자식 무브먼트에도 특별한 어려움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교정기 메커니즘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중앙부에 위치된 단일의 외부 제어 부재로, 정해진 기능을 선택하고 및/또는 변경하기 위한 시계용 다기능 동축 교정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기본적으로 푸셔를 포함하며, 상기 푸셔는 2개의 단부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여 작동될 수 있는 제어 버튼의 한 측부에 조립된 튜브와 헤드에 의해 형성된다.
제어 버튼은 제어 스템을 구동하며, 상기 제어 스템의 단부는 랙의 한 단부가 레버를 포함하는 랙의 톱니와 맞물리는 구동 피니언을 가지며, 상기 레버의 구동 암은 푸셔 튜브의 숄더에 접하여 고정되며 피구동 암은 결정된 교정기에 마주보도록 랙에 의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기능이 선택되고 나면, 중앙부에 표시되거나 또는 다이얼에 나타낼 수 있고, 푸셔 헤드를 한 번 또는 여러 번 눌러서 선택된 기능으로 교정한다.
조금 더 복잡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 버튼에 견인력이 가해질 때 레버와 풀-아웃 피스에 의해 알려진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는 슬라이딩 피니언을 통하여 구동 피니언과 랙 톱니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중앙부 상에 임의의 다른 제어 부재를 가질 필요 없이 기계식 무브먼트의 태엽 스프링을 감을 수 있다.
도 1은 현재 시각 및 시간의 경과에 관련되거나 또는 관련되지 않는 그 외의 다른 정보들을 나타내기 위하여 손목시계와 같은 시계의 중앙부(3) 일부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3)는 단일의 외부 제어 부재(1)를 가지며, 상기 외부 제어 부재(1)는 주름 크라운(fluted crown, 17)에 의해 제어되어 이동하고 적어도 회전하여 작동될 수 있는 제어 버튼(15)과 푸셔(pusher, 10)로 형성되며, 상기 2개 요소들은 동축으로 조립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어 버튼(15)은 인덱스(index, 7)를 포함하며, 상기 인덱스(7)는 사용자에게 그가 선택하려는 기능을 알려 주기 위하여 중앙부(3)의 가이드-마크(guide-mark, 5)에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마크(5)들은 중앙부 상에 간단한 표시들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선택된 기능을 좀 더 명확하게 보여주는 그림표지판(pictogram) 또는 기호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마크들 중 한 가이드-마크(5a)는 아무 기능도 선택되지 않는 중립 위치에 해당하며 이에 따라 푸셔가 우발적으로 눌러져서 바람직하지 못하게 교정(correction)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시된 실례에서, 시간-설정, 날짜 교정 또는 크로노그래프 기능의 선택과 같은 3가지 기능들이 선택될 수 있다. 시계설계자의 선택 또는 시계의 복잡성에 따라 3가지 선택 가능한 기능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기능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종래 기술의 당업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변형물(variant)의 디자인에 따라서, 상기 선택된 기능은 다이얼의 구멍 내에서 이동하는 시계바늘에 의해 동일하게 보여지며, 상기 시계바늘은 하기의 설명에서 더 잘 이해될 수 있는 메커니즘의 랙(rack)과 맞물린 피니언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구동된다.
또한 상기 선택된 기능은 제어 스템(control stem, 25) 또는 랙(36)과 운동학적으로 연결된 또 다른 지시기(indicator)에 의해 다이얼 상에서 보일 수 있다.
도 2, 도 3, 도 6 및 도 7에서, 제 1 실시예가 좀 더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2는, 결정된 교정기(corrector, 9a)가 홈이 파진 크라운(grooved crown, 17)을 사용하여 제어 버튼(15)을 회전시킴으로써 선택되었을 때를 한정한 메커니즘을 도시한 상부도이다. 제어 버튼(15)을 회전시킴으로써 콘트레이트 톱니(contrate teeth, 28)를 가진 구동 피니언(29)이 고정된 제어 스템(25)은 연신된 판(36)에 의해 형성된 랙(35)의 톱니(37)와 맞물린다. 2개의 단부 위치들 사이의 랙(35)의 이동은 2개의 연신된 구멍(oblong aperture, 41)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연신된 구멍(41)을 통해 2개의 나사(39)가 하부 판 내에 또는 무브먼트(movement)의 브릿지(bridge) 내에 나사고정된다.
상기 2개의 단부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랙(35)의 톱니(37)는 다이얼 상에 직접 선택된 기능을 보여주기 위하여 피니언을 구동시키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의 구동 톱니는 랙(35) 상의 임의의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레버(45)는 판(36) 내에 고정된 나사(48)에 의해 상기 랙(35)의 한 단부 상에서 피벗회전한다. 상기 레버(36)는 구동 암(driving arm, 49)과 피구동 암(driven arm, 51)을 포함하며, 상기 암들 사이에 피벗회전 지점(47)이 제공되고, 상기 실례에서 상기 레버는 다른 형태도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U자 형태이다. 상기 구동 암(49)은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레버(45)의 고정 나사(48) 위에 배열된 나선형 토션 스프링에 의해 푸셔(10)의 내부 숄더(14) 상에 접하여 고정된다. 상기 실례에서, 외부방향으로 만곡된 끝부분(52)을 가진 피구동 암(51)의 헤드는, 노치(43)와 점퍼 스프링(jumper spring, 38)의 협력(cooperation)에 의해서, 선택된 교정기(9a)에 마주보도록 고정되며, 상기 실례에서 상기 노치(43)는 판(36)의 한 변부 상에서 랙의 톱니(37)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점퍼 스프링(38)은 상기 노치(43)에 결합될 수 있는 비크(beak, 40)를 포함한다. 종래 기술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랙(35)을 고정(immobilising)하기 위한 또 다른 장치를 고안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일단 기능이 선택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를 한 번 누르거나 또는 여러 번 누름으로써 레버(45)는 피벗회전하여 피구동 암(51)이 상기 기능을 작동하도록 이동된다.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 도 6의 분해 투시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조립체와 그 외의 다른 구조물의 세부사항, 특히 외부 제어 부재(1) 및 상기 부재(1)와 랙(35)과의 기계적 연결(mechanical connection)에 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푸셔(10)는 2개의 개별 요소 즉 제어 버튼(15)의 한 측부에 장착되어야 하는 튜브(13)와 헤드(11)에 의해 형성되며, 그 뒤, 개별 부품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그 외의 다른 요소(11, 13)와 일체 구성된 윙(wing, 12)에 의해 기계적으로 조립된다. 상기 조립체는 종래 기술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그 외의 다른 임의 수단 즉 클립 또는 베이오닛(bayonet) 타입의 조립체와 같은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장착되기 전에 조립될 수 있는 상기 2개의 요소들을 도시한다.
2개의 요소(11, 13)가 조립가능해지도록, 제어 버튼(15)은 푸셔 헤드(11)를 수용하고 상기 헤드(11)를 눌러 푸셔를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바닥(21)에 의해 밀폐되고 외부를 향하는 원형 오목부(19)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21)은 윙(12)을 연결하기 위한 통로로서 2개의 환형 구멍(22)을 가진다. 윙(12)과 홀(22)의 각 구멍(angular aperture)은 제어 버튼(15)이 푸셔(10)를 작동시키지 않고 랙(35)의 2개의 단부 위치 사이에서 상기 랙(35)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회전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각 구멍은 제어 버튼(15)의 각 변위(angular displacement)가 대략 40°로 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푸시 버튼(15)은 제어 스템(25)의 단부(26)와 반회전 연결(anti-rotation connection)과 푸셔 튜브(13)의 축 위치를 위한 이음 부재(junction member, 23)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연결은 접착 나사 조립체와 같이 종래 기술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동 피니언(29)은 그 외의 다른 단부(27) 상에 동일하게 장착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어 스템(25)은 이음 부 재(23)와 일체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6에서, 레버(45)의 암(49, 51)은 두꺼운 부분(49a, 51a)들을 가지며 이들은 각각 푸셔(10)와 교정기(9)의 숄더(14)와 고정되어 접촉된다.
도 4, 도 5 및 도 8은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며, 제 2 실시예는 랙(35)과 제어 부재(1) 사이의 연결에 대해서 앞에서 기술했었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상이하다.
크라운을 당기고(traction) 그의 조작을 통해 슬라이딩 피니언(30)에 의해, 상기 연결은 잘 알려진 와인딩(winding)/시간-설정 스템 메커니즘을 적용한다. 따라서 제어 스템(25)은 랙(35)을 향해 배향된 상기 제어 스템의 부분(27)에서 정사각형 부분(27)과 상기 제어 스템의 다른 부분(26)에서 풀-아웃 피스(pull-out piece)(도시되지 않음)의 암이 결합되는 환형 홈(28)을 가진다.
구동 피니언(29)은 제어 버튼(15)과 이음부를 형성하는 부분(26)과 정사각형 부분(27a) 사이에 포함된 원통형 부분 상에서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앞에서와 같이, 구동 피니언(29)은 융기 톱니(ridged toothing, 29a)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피니언(29)은 슬라이딩 피니언(30)의 상응하는 톱니(34b)와 맞물리도록 제공된 환형의 융기 톱니(29b)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공지된 방식과 같이, 슬라이딩 피니언(30)은 환형 홈(32)을 가지고 상기 환형 홈(32)에서 레버의 암(도시되지 않음)이 결합되며, 다른 단부에서 무브먼트의 또 다른 톱니바퀴 세트를 구동하기 위하여 Breguet 톱니(34a)를 가진다.
"기능 선택" 위치에서, 피니언(29)은 슬라이딩 피니언(30)에 의해 간접적으 로 구동되며 조립체는 레버(45)의 스프링에 의해 맞물려서 고정된다. 예를 들어 기계식 무브먼트의 태엽 스프링(barrel spring)을 감기 위하여, 날짜를 교정하기 위하여 또는 그 외의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 버튼(15)에 견인력이 가해질 때 톱니(29b, 34b)는 분리되며, 슬라이딩 피니언(30)이 이동함으로써 레버/풀-아웃 피스 장치에 의해 톱니(34a)는 연쇄 운동을 하는 시계 무브먼트의 또 다른 톱니바퀴 세트와 맞물린다.
전술한 사항들은 실례에 의해 시계용 다기능 동축 교정기의 2개의 실시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종래 기술의 당업자는 예를 들어 푸셔(10)를 통해 제어 스템(25)과 제어 버튼(15) 사이의 기계적 연결에 대하여 다른 변형물들을 고안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그 외의 다른 이점들과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에서 비제한적인 예시에 의해 다양한 실시예를 기술하는 하기에서 나타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 장치를 도시한 부분 투시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라서 "기능 선택" 위치에서 교정기 메커니즘을 도시한 상부도.
도 3은 "기능 작동" 위치에서 도 2에 해당하는 도면.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라서 또 다른 기능을 작동하기 위하여 도 3의 메커니즘을 도시한 상부도.
도 5는 위에서 도시된 도 4에 해당하는 도면.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 장치를 도시한 분해 투시도.
도 7은 조립된 푸시 버튼을 도시한 투시도.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 장치를 도시한 분해 투시도.

Claims (12)

  1. 중앙부(3)에 위치한 단일의 외부 제어 부재(1)에 의해, 결정된 기능을 선택하고 및/또는 변경하기 위하여 시계용 다기능 동축 교정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정기 장치는
    -헤드(11)와 튜브(13)를 가지는 푸셔(10)를 포함하고,
    -바닥(21)에 의해 밀폐되고 외부를 향하는 원형 오목부(19)를 포함하는 주름 크라운(17)을 가진 제어 버튼(15)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버튼(15)에 고정된 제어 스템(25)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스템의 단부(27)를 통해 제어 스템(25)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된 콘트레이트 톱니(29a)를 가진 구동 피니언(29)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피니언(29)과 맞물리는 톱니(37)를 가진 랙(35)을 포함하고,
    -구동 암(49)과 피구동 암(51)을 포함하며 상기 랙(35) 상에서 피벗회전 지점(47)을 가진 레버(45)를 포함하며,
    레버(45)의 피구동 암(51)의 단부는 랙(35)의 무브먼트에 의해 제어 버튼(15)을 회전시켜 기능 교정기(9)에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푸셔(10)를 한 번 또는 여러 번 눌러서 선택된 기능을 작동시키고 및/또는 변경하는 시계용 다기능 동축 교정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푸셔(10)의 튜브(13)와 헤드(11)는 제어 버튼(15)의 오목 부(19) 바닥(21)에 형성된 홀(hole, 22)을 통과하는 윙(12)에 의해 상기 제어 버튼(15)의 한 측부에 조립된 2개의 개별 부품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원통형 튜브(23)는 제어 스템(25)과 연결되는 부재를 형성하기 위하여 오목부(19)의 바닥(2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 피니언(29)은 고정되어 제어 스템(25) 상에서 회전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 스템(25)의 단부(27)의 한 부분은 정사각형 부분(27a)으로 제공되고 다른 단부(26)는 풀-아웃 피스로 구성된 홈(28)을 포함하며,
    -단부(16, 27)들 사이에서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장착된 구동 피니언(29)은 환형 융기 톱니(29b)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환형 융기 톱니(29b)는 레버를 통해 작동되는 홈(32)을 가진 슬라이딩 피니언(30)의 상응하는 톱니(34b)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견인력이 제어 버튼(15)에 가해질 때, 슬라이딩 피니 언(30)은 와인딩 톱니바퀴, 시간-설정 톱니바퀴 또는 그 외의 다른 톱니바퀴와 맞물리도록 제 2 Breguet 톱니(34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랙(35)은 연신된 판(36) 형태를 지니며, 상기 연신된 판(36)의 이동은 상기 판(36) 내에 연신된 구멍(41)을 통해 브릿지 내에 또는 판의 바닥 내에 나사고정된 2개의 나사(39)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랙(35)은 노치(43)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노치(43)에서 점퍼 스프링(38)의 비크(40)는 상기 랙(35)을 제어 버튼(15)에 의해 선택된 위치에 유지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레버(45)는 U자 형태로 형성되며, 구동 암(49)은 탄성 수단에 의해 푸셔(10)의 튜브(13) 숄더(14)에 접하여 고정되고, 피구동 암(51)은 외부방향으로 만곡된 끝부분(5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중앙부(3)는 제어 버튼(15)에 고정된 인덱스(7)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가이드-마크(5)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 버튼에 의해 선택된 교정 위치는 구멍 내에서 이동하는 시계바늘에 의해 또는 제어 스템(25) 또는 랙(35)과 운동학적으로 연결된 그 외의 다른 임의의 타입의 지시기에 의해 다이얼 상에서 보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 장치.
  12. 기계적 무브먼트를 포함하는 시계에 있어서, 상기 시계는 제 1 항 내지 제 11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교정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KR1020070136081A 2006-12-29 2007-12-24 다기능 동축 교정기 장치 KR200800631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27370.2 2006-12-29
EP06127370A EP1939699B1 (fr) 2006-12-29 2006-12-29 Dispositif correcteur coaxial multifo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106A true KR20080063106A (ko) 2008-07-03

Family

ID=38330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081A KR20080063106A (ko) 2006-12-29 2007-12-24 다기능 동축 교정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41945B2 (ko)
EP (1) EP1939699B1 (ko)
JP (1) JP5254606B2 (ko)
KR (1) KR20080063106A (ko)
CN (1) CN101226374B (ko)
HK (1) HK1123367A1 (ko)
SG (1) SG14411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263B1 (ko) * 2008-10-01 2010-04-16 최광열 캐논피니언 재생기
KR20180128852A (ko) * 2017-05-24 2018-12-04 오메가쏘시에떼아노님 푸셔용의 잠금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타임피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72755T1 (de) * 2006-03-29 2010-07-15 Giuliano Mazzuoli S R L Uhr mit einem durch einen drehbaren aussenring gesteurten zeigereinstellmechanismus
CH705439B1 (fr) * 2006-12-18 2013-03-15 Jean Pierre Jaquet Mécanisme de commande d'un chronographe.
EP2533110B1 (fr) * 2007-07-02 2018-10-24 Rolex S.A. Pièce d'horlogerie munie d'un dispositif de commande de fonctions et/ou d'indications horaires
EP2031468B1 (fr) * 2007-08-30 2010-05-26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Montre pourvue d'un indicateur de fonctions
CH702841B1 (fr) * 2010-03-16 2014-11-14 Kari Voutilainen Dispositif correcteur multifonction et pièce d'horlogeri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correcteur.
EP2367080B1 (fr) * 2010-03-17 2019-01-16 Glashütter Uhrenbetrieb GmbH Dispositif de commande et de réglage d'un mouvement horloger
CN101893737B (zh) * 2010-06-11 2012-02-01 哈尔滨工程大学 三芯光纤光学微手及其控制方法
EP2444861B1 (fr) * 2010-10-22 2013-05-01 Audemars Piguet (Renaud et Papi) SA Sélecteur de fonction
EP2453322B1 (fr) * 2010-11-16 2013-07-17 Omega SA Correcteur rapide d'indicateur d'une grandeur temporelle pour pièce d'horlogerie
EP2503410B1 (fr) 2011-03-22 2014-05-21 Montres Breguet SA Mecanisme de calendrier comportant un correcteur rapide de mois
EP2701015B1 (fr) * 2012-08-21 2018-11-14 Blancpain SA. Dispositif de correction de fonctions affichées par une pièce d'horlogerie
CH707870B1 (fr) * 2013-04-08 2017-07-14 Gfpi S A Mécanisme de sélection et d'actionnement des fonctions d'un mouvement horloger et pièce d'horlogerie comprenant un tel mécanisme.
US9565138B2 (en) 2013-12-20 2017-02-07 Brocade Communications Systems, Inc. Rule-based network traffic interception and distribution scheme
EP3026506B1 (fr) * 2014-11-26 2019-01-16 The Swatch Group Management Services AG Chronomètre avec sélecteur de vitesse
CH711600B1 (fr) * 2015-10-01 2019-10-15 Officine Panerai Ag Couronne à poussoir et pièce d'horlogerie comportant une telle couronne.
CH712662A1 (fr) * 2016-07-12 2018-01-15 Bremont Watch Company Mécanisme de sélection et d'actionnement de fonctions d'un mouvement horloger.
USD830217S1 (en) * 2016-07-18 2018-10-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3489760B1 (fr) 2017-11-22 2020-08-26 Harry Winston SA Boîte d'horlogerie avec poussoir
JP1624218S (ko) * 2017-12-21 2019-02-12
CH718356A1 (fr) * 2021-02-16 2022-08-31 Mft Dhorlogerie Audemars Piguet Sa Organe de commande de plusieurs fonctions d'un mouvement horloger.
US20220299942A1 (en) 2021-03-04 2022-09-22 Rolex Sa Device for selecting timepiece functions
US20220283547A1 (en) 2021-03-04 2022-09-08 Rolex Sa Device for selecting timepiece functions
EP4053639A1 (fr) 2021-03-04 2022-09-07 Rolex Sa Dispositif de sélection de fonctions horlogères
EP4198645A1 (fr) * 2021-12-16 2023-06-21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Dispositif de correction multifonction pour pièce d'horlogerie et pièce d'horlogeri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de correction multifonction
EP4198639A1 (fr) * 2021-12-16 2023-06-21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Boite de piece d'horlogerie comportant un organe de correction
EP4270114A1 (fr) * 2022-04-25 2023-11-01 Montres Breguet S.A. Dispositif de selection et de commande de fonctions d'un mouvement horlog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48362A (en) * 1948-11-22 1951-04-10 Edward L Gordon Automatic restoring mechanism for alarm-clock shutoffs
US2541817A (en) * 1950-05-22 1951-02-13 Edward L Gordon Automatic restoring mechanism for alarm clock shutoff
US3828546A (en) * 1971-02-03 1974-08-13 Suwa Seikosha Kk Setting means for time zone watch with calendar display
JPS5235314B1 (ko) * 1971-07-12 1977-09-08
US3837162A (en) * 1971-08-06 1974-09-24 H Meitinger Device for adjusting the dial train of watches
JPS60167218A (ja) * 1985-01-24 1985-08-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時計の切換構造
JPS62106190U (ko) * 1985-12-24 1987-07-07
US4853909A (en) * 1987-04-09 1989-08-01 Casio Computer Co., Ltd. Time correction mechanism for an analog timepiece using plastic gear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 of the manual operation member to the hands
CH684044B5 (fr) * 1992-09-25 1995-01-13 Ebauchesfabrik Eta Ag Pièce d'horlogerie analogique pouvant afficher des informations supplémentaires.
CH684920B5 (fr) * 1993-08-31 1995-08-15 Ebauchesfabrik Eta Ag Pièce d'horlogerie.
DE69939467D1 (de) 1999-09-16 2008-10-16 Eta Sa Mft Horlogere Suisse Elektronische Chronographuhr
US6761478B2 (en) * 2001-03-21 2004-07-13 Glashütter Uhrenbetrieb GmbH Chronograph with two rotational directions
EP1336907A2 (de) * 2002-02-14 2003-08-20 Richemont International S.A. Steuerungsmechanismus für Einstellvorrichtungen einer Uhr sowie diesen Mechanismus integrierende Uhren
JP4462606B2 (ja) * 2004-01-27 2010-05-1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表示修正機構付き時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263B1 (ko) * 2008-10-01 2010-04-16 최광열 캐논피니언 재생기
KR20180128852A (ko) * 2017-05-24 2018-12-04 오메가쏘시에떼아노님 푸셔용의 잠금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타임피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39699B1 (fr) 2012-05-30
SG144118A1 (en) 2008-07-29
JP2008164616A (ja) 2008-07-17
EP1939699A1 (fr) 2008-07-02
HK1123367A1 (en) 2009-06-12
CN101226374B (zh) 2011-06-15
US7441945B2 (en) 2008-10-28
JP5254606B2 (ja) 2013-08-07
US20080159081A1 (en) 2008-07-03
CN101226374A (zh) 200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3106A (ko) 다기능 동축 교정기 장치
US9052696B2 (en) Control device for a timepiece
JP3647808B2 (ja) 竜頭スイッチ機構
RU2557357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и настройки часового механизма
US7862226B2 (en) Watch with a function indicator
US8439558B2 (en) Winding and time-setting control device for a timepiece movement
JP6469978B2 (ja) 計時器機構、計時器ムーブメント、及び計時器
US20080205200A1 (en) Transmission switching mechanism
US8727606B2 (en) Control device for a timepiece mechanism using pressure or traction
US7563020B2 (en) Control stem device for a watch
JP5519563B2 (ja) 時計ムーブメント用の制御・設定デバイス
JP2008151790A (ja) 時刻指示子のための時刻合わせ部材
US7717616B2 (en) Timepiece with an hour hand able to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by one hour step
US8545092B2 (en) Timepiece comprising a chronograph mechanism
US8641269B2 (en) Timepiece mechanism and module comprising such a mechanism
JP6469979B2 (ja) 計時器機構、計時器ムーブメント、及び計時器
JP6820439B2 (ja) クラウンプッシャー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備えた手首装着型電子デバイス
US20240077834A1 (en) Member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functions of a timepiece movement
US9720379B2 (en) Chronometer with speed selector
JP2016102781A (ja) 時計の機能を調節するためのデバイス
US20110141859A1 (en) Timepiece comprising a hand-setting mechanism controlled by a rotating bezel
US20240176301A1 (en) Horological movement comprising a display correction mechanism
EP0427566B1 (en) Multifunctional electronic timepiece
CN115016240A (zh) 钟表功能的选择装置
CN115016238A (zh) 钟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