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2461A -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2461A
KR20080062461A KR1020060138332A KR20060138332A KR20080062461A KR 20080062461 A KR20080062461 A KR 20080062461A KR 1020060138332 A KR1020060138332 A KR 1020060138332A KR 20060138332 A KR20060138332 A KR 20060138332A KR 20080062461 A KR20080062461 A KR 20080062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particles
conductive film
anisotropic conductive
p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8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민수
길승범
조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060138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2461A/ko
Publication of KR20080062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2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기판 상에 설계된 다수의 미세 도전 패턴에 대하여 집적회로 (IC) 등의 전자부품의 리드 등을 접속하는 곳에 사용되는 실장용 접속재료인 이방성 도전성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1)절연성 접착제 제조단계; 2)금속입자 및 절연입자를 용매로 분산시키는 도전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도전볼을 절연성 접착제에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방성 도전 필름, 금속 입자, 절연 입자, 접속신뢰성, 도전볼

Description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nisotropic cinductive film}
도 1은 실시형태의 이방성 도전 필름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이방성 도전 필름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방성 도전 필름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회로기판 상에 설계된 다수의 미세 도전 패턴에 대하여 집적회로 (IC) 등의 전자부품의 리드 등을 접속하는 곳에 사용되는 실장용 접속재료인 이방성 도전성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폴리이미드 기판 (도2, (1))에 설계된 배선 패턴과 액정 표시 장치의 유리기판 상에 설계된 ITO (도 2, (2)) 패턴 또는 전자부품의 리드 등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곳에 이방성 도전 필름이 사용되었다.
이 이방성 도전 필름은 에폭시계 절연성 접착제에 니켈, 금, 은 등의 도전성 입자를 분산하여 두께 20㎛정도의 시트 형태로 제조한 것이다.
이 이방성 도전 필름의 사용 예로는 폴리이미드 기판에 설계된 패턴과 액정 표시장치의 유리기판 상에 설계된 ITO 패턴이 서로 접속하는 사이에 이방성 도전 필름을 서로 겹치도록 넣어 180℃, 20kgf/㎠으로 10초간 가열 압착한다.
이 때 이방성 도전 필름 중의 접착제가 가열 시에 유동으로 배선패턴 사이로 다량 흘러 면방향으로 절연성을 띠고, 폴리이미드 기판의 배선 패턴과 액정표시장치의 유리기판 상의 ITO 패턴 사이에 도전성 입자가 끼어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최근, 전자기기의 소형화, 박형화에 따라 회로의 고밀도화가 진행되고 있고, 회로 부재에 있어서 배선 패턴간의 피치가 미세화하여, 배선패턴 사이에서 높은 절연성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다.
회로부재의 미세화된 배선 패턴과 액정표시장치의 유리기판 상의 ITO 패턴의 미세화로 배선 패턴의 간격은 더욱 좁아지게 되어 가열가압시 배선 패턴 사이로 다량의 절연성 접착제가 유입되는 동시에 도전성 입자 또한 다량으로 유입되어 도전성 입자가 사슬을 이루거나(도2,(3))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아 응김이 있는 도전성 입자로 인해 패턴간 쇼트가 발생하여 불량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에폭시계 절연성 접착제에 도전성 입자와 절연성 입자를 분산하여 가열가압시 가압 방향으로는 도전성을 가지며 그 이외의 방향으로는 우수한 절연성을 가지는 이방성 도전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절연성 접착제 제조단계; 2)금속입자 및 절연입자를 용매에 분산시켜 도전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도전볼을 절연성 접착제에 분산시키는 단계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절연성 접착제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된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노블락형 에폭시수지와 폴리에스테르 수지, 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PVA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셀룰로스 수지, 케톤 수지, 스티렌 수지 등의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수지 등이며,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도전성 입자는 니켈, 금, 백금, 동 등의 금속 입자이다. 절연성 입자는 스티렌, 스티렌 가교 미립자, 아크릴, 아크릴 가교 미립자 또는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아크릴 가교미립자를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가교미립자, 스티렌아크릴 가교미립자를 사용한다.
도전성 입자 및 절연성 입자의 크기는 1~8㎛가 적절하며, 바람직하게는 1~4㎛ 크기의 입자이다. 절연성 입자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단량체 조성물, 사슬연장제, 중합개시제, 점도강하제 및 필요에 따라 분산안정제를 포함하는 상기 반응물을 현탁중합 반응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잠재성 경화제는 상온에서의 제조, 보존 및 비교적 저온에 의한 건조 시에는 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경화온도에서의 가열가압에 의해 경화반응을 일으키는 경화제로 이미다졸, 아민 등의 상기 경화제 성분을 마이크로 캡슐화한 것으로 시판품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극성 용매로는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이소부틸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이소부틸케톤, 사이클로핵사논 등의 케톤계 용매,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등을 사용하고 비극성 용매로는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등을 사용한다.
이밖에 본 발명의 접착제 성분으로는 계면활성제, 커플링제 등의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속 재료에 있어서, 절연성 접착제 성분은 열경화성 수지를 20~9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60중량부, 열가소성 수지를 0~6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30 중량부, 도전성 입자 3~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8중량부, 절연성 입자는 0~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5중량부로 구성된다.
절연성 입자가 상기 범위를 초과할 시에는 절연성 접착제에 도전성 입자를 분산시킬 때 응집이 발생할 수 있다.
도전성 입자와 절연성 입자의 배합비는 5:5~9:1로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1~8:2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 실시예1 >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에서 A는 절연성 접착제를 나타내며 이 절연성 접착제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東都化成 제품의 페녹시 수지YP-50을 45 중량부, 셀화학 제품의 에폭시 수지 에비코트 630을 45 중량부, 잠재성 경화제로는 HX3741 10중량부 혼합하여 절연성 접착제를 제조한 후, 4㎛ 크기의 니켈 금속 입자 8중량부와 4㎛ 크기의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절연성 입자 2중량부를 톨루엔 10중량부에 분산시켜 도전볼을 만들고, 이 도전볼을 절연성 접착제에 분산시켜 20㎛두께의 이방성 도전 필름을 제조하였다.
도 1의 B는 도전성 입자를 나타내고 C는 절연성 입자를 나타낸다. 제조된 이방성 도전 필름을 50㎛ 피치인 폴리이미드 기판과 액정 표시장치의 유리기판 상에 설계된 ITO 패턴이 서로 접속하는 사이에 이방성 도전 필름을 서로 겹치도록 넣어 180℃, 20kgf/㎠으로 10초간 10set를 가열 압착하였다.
< 실시예2 >
하기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3㎛ 크기의 단분산 절연성 입자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3 >
하기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2㎛ 크기의 단분산 절연성 입자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4 >
하기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1㎛ 크기의 다분산 절연성 입자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
하기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절연성 입자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표 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
도전 입자 (4㎛) 8wt% 8 wt% 8 wt% 8 wt% 8 wt%
절연 입자 (4㎛) 2 wt%
절연 입자 (3㎛) 2 wt%
절연 입자 (2㎛) 2 wt%
절연 입자 (1㎛) 2wt%
효과 엉김 X X X X
쇼트(개수) 2Set
상기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이방성 도전 필름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이방성 도전 필름에 비하여 쇼트가 없는 우수한 전기적 접속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이방성 도전 필름은 분산성이 우수하여 엉김이 발생하지 않고 도전 입자보다 작은 절연 입자로 인해 불량의 원인이 되는 쇼트 발생수를 현저하게 감소시켜 우수한 접속신뢰성을 제공한다.

Claims (3)

  1.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절연성 접착제 제조단계; 2)금속입자 및 절연입자를 용매로 분산시키는 도전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도전볼을 절연성 접착제에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입자는 스티렌 가교미립자, 스티렌아크릴가교미립자 중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입자의 평균입경이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060138332A 2006-12-29 2006-12-29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방법 KR200800624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332A KR20080062461A (ko) 2006-12-29 2006-12-29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332A KR20080062461A (ko) 2006-12-29 2006-12-29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2461A true KR20080062461A (ko) 2008-07-03

Family

ID=39814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8332A KR20080062461A (ko) 2006-12-29 2006-12-29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24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605B1 (ko) * 2013-05-31 2014-11-28 (주)드림텍 Fpcb 임피던스 케이블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220079338A (ko) 2020-12-04 2022-06-13 주식회사 카카오 루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서버, 및 루틴 정보를 제공받는 방법과 사용자 단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605B1 (ko) * 2013-05-31 2014-11-28 (주)드림텍 Fpcb 임피던스 케이블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220079338A (ko) 2020-12-04 2022-06-13 주식회사 카카오 루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서버, 및 루틴 정보를 제공받는 방법과 사용자 단말
KR20230136589A (ko) 2020-12-04 2023-09-26 주식회사 카카오 루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서버, 및 루틴 정보를 제공받는 방법과 사용자 단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357B1 (ko) 다층이방도전성접착제,이의제조방법및이를사용한접속구조체
KR102467618B1 (ko) 접착제 조성물
KR20050108503A (ko) 절연 전도성 미립자 및 이를 함유하는 이방 전도성 접착필름
US20100085720A1 (en) Joined structur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nisotropic conductive film used for the same
CN101836515B (zh) 各向异性导电粘接剂
CN102559091B (zh) 各向异性导电胶、导电膜及其制备方法
JP3516379B2 (ja) 異方導電フィルム
WO2020090727A1 (ja) 電磁波シールドフィルム、シールド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及び、シールドプリント配線板
JPH07157720A (ja) 異方導電フィルム
KR20110019358A (ko) 접착 필름
KR102180143B1 (ko) 이방 도전성 필름,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또는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JP7020029B2 (ja) 導電性接着フィルム
JPH06187834A (ja) 異方導電フィルム
KR20080062461A (ko)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방법
CN101142634A (zh) 高级的电连接用各向异性绝缘导电球、其制备方法和使用其的产品
JP3150054B2 (ja) 異方導電フィルム
KR20090073366A (ko) 이방성 도전접속용 절연 도전성 입자 및 이를 이용한이방성 도전접속재료
JP3480754B2 (ja) 異方導電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H087658A (ja) 異方導電性接着フィルム
JPS63110506A (ja) 異方性導電シ−ト
JPS608377A (ja) 異方導電性接着剤
JPH1161060A (ja) 異方導電性接着剤
KR20090073369A (ko) 이방성 도전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소자
JPH03101007A (ja) 異方導電フィルム
KR20100007035A (ko)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이방성도전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